KR20110098759A -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759A
KR20110098759A KR1020117014732A KR20117014732A KR20110098759A KR 20110098759 A KR20110098759 A KR 20110098759A KR 1020117014732 A KR1020117014732 A KR 1020117014732A KR 20117014732 A KR20117014732 A KR 20117014732A KR 20110098759 A KR20110098759 A KR 20110098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aiting time
boarding
valu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4693B1 (ko
Inventor
마사미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텍크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8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66B1/20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and for varying the manner of operation to suit particular traffic conditions, e.g. "one-way rush-hou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6Energy consum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3Periodic re-allocation of call inp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5Taking into account predicted future events, e.g. predicted future call inp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3Distribution of elevator cars, e.g. based on expected future n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02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by historical, statistical or predicted traffic data, e.g. by learning

Abstract

다양한 교통 상황이나, 군 관리 시스템에 요구되는 다양한 사양 조건 하에서, 효율이 좋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플로어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취역시켜, 신규로 발생한 승장 호출에 대하여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그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최적의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 발생하고 있거나 혹은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층 방향별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대기 시간의 총합 또는 평균의 기대값)을 상기 평가 지표로 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CONTROLLING GROUP OF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교통 상황이나, 군 관리 시스템에 요구되는 다양한 사양 조건 하에서, 효율이 좋은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군 관리 시스템은, 빌딩 내의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효율적으로 운행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객의 평균 대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을 제어의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군 관리 시스템이, 그 제어에서 정말로 평가해야 할 것은, 장래 발생할 승객도 포함시킨 모든 승객의 대기 시간이며, 기본적으로 승객 한사람 한사람의 대기 시간의 가중치는 등가로 생각해야 한다. 그러나, 군 관리 시스템은 직접적으로 승객 한사람 한사람의 대기 시간을 아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종래는, 그 대체로서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 즉 승장 호출이 등록되고 나서 그 호출에 엘리베이터가 응답하여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대기 시간으로서 평가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 시, 할당의 대상으로 되는 신규로 등록된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이 평가의 중심이며, 개개의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은 반드시 등가로는 취급되고 있지 않았다. 게다가, 승장 호출의 할당은, 이미 발생한 호출뿐만 아니라 가까운 장래에 발생할 승장 호출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래 발생할 승장 호출에 대해서도 평가에 포함시키는 것이 필수적이지만, 장래 발생할 승장 호출에 대한 평가를 행하였다고 해도, 그 평가값은 보정항으로서의 취급이 일반적이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군 관리 시스템은, 승장 호출이 등록되면 순시에 응답 호기를 결정하는 「즉시 할당 방식」, 및, 할당 호기를 즉시 승장에서 안내하는 「즉시 예보 방식」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 「즉시 예보 방식」의 군 관리 시스템에서는, 할당 후에 승장 호출의 할당을 변경하면 엘리베이터의 대기 손님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할당 변경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할당 변경은, 예를 들면 긴 대기로 될 것 같은 승장 호출을 다른 호기에 할당 변경하는 등,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에 한정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또한, 종래의 군 관리 시스템은, 의사 호출(가상 호출)을 할당함으로써 카를 임의의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 이용은, 한산한 때의 분산 대기나, 출근 시에 기준층으로 되돌아오는 것 등, 한정된 교통 상황 하에서만 한정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또한, 종래의 군 관리 시스템은, 퍼지나 뉴로 등의 인공 지능 기술 등을 응용함으로써, 조금이라도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자 하는 방침에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1 : 일본 특공평 6-62259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6-124075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공평 6-2553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개평 8-225256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군 관리 시스템이 그 제어에서 정말로 평가해야 할 것은, 장래 발생할 승객도 포함시킨 모든 승객의 대기 시간인데, 특허 문헌 1과 같이, 그 대체로서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을 평가하여 제어를 행하면, 어떤 플로어에 복수의 대기 손님이 존재하는 경우, 처음에 승장 호출을 등록한 사람의 대기 시간밖에 평가되지 않아, 1개의 승장 호출의 배후에서 기다리고 있는 복수의 대기 손님의 대기 시간에 대하여, 적정하게 평가할 수 없다. 게다가, 장래 발생할 승장 호출(대기 손님)에 대해서도 그 일부뿐만 아니라 전부를 고려한 것이 아니면, 군 관리 시스템의 제어의 결과로서의 승객의 대기 시간을 적정하게 평가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불특정의 복수의 층에 대기 손님이 집중되는 바와 같은 교통 상황에 대하여, 적절하게 대기 시간을 평가하여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하여 긴 대기를 억제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었다. 예를 들면, 오피스 빌딩의 출근 시와 같이 특정 층에만 승객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가정할 수 있는 것이면, 그와 같은 교통 상황에 알맞은 제어 방법을 미리 준비해 두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였다. 그러나, 불특정의 복수 층에 교통이 집중되는 바와 같은 복잡하고 또한 다양한 교통 상황에 대하여, 적정하게 대기 시간을 평가하여 유연하게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제어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2에서는 긴 대기의 발생 등, 특정한 사태가 실제로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할당 변경을 행하도록 하고 있지만, 애당초 일반적인 군 관리 시스템이 전제로 하고 있는 「즉시 예보 방식」은, 국가나 지역, 혹은 고객의 사고 방식에 따라서는 즉시 예보가 필요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군 관리 시스템 내의 엘리베이터 대수가 적은 경우도 즉시 예보는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경우, 본래라면 조금이라도 승객의 대기 시간이 감소하는 것이면 승장 호출의 할당은 자유롭게 변경해도 됨에도 불구하고, 승장 호출의 할당과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에서 상이한 평가 기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이 승객의 대기 시간의 감소에 최대한으로 활용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마찬가지로, 특허 문헌 3에서는, 빈 카(운전 방향을 갖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카)에 의사 호출(가상 호출)을 할당함으로써 카를 임의의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만, 그 이용은, 역시 한산한 때의 분산 대기나, 출근 시에 기준층으로 되돌아오는 것 등, 한정된 교통 상황 하에서만 한정되어 있고, 어떠한 교통 상황이라도 의사 호출의 할당에 의한 대기 시간 단축의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장 호출의 할당과 의사 호출 할당에서 상이한 평가 기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의사 호출 할당이 승장의 대기 시간의 감소에 역시 충분히 활용되고 있다고는 말하기 어려웠다.
또한, 할당 변경 및 의사 호출 할당은, 군 관리 사양, 엘리베이터 사양, 승장의 유저 인터페이스, 빌딩 용도, 고객의 요구, 혹은 교통 상황 등에 의해 허용되는 빈도가 상이하지만, 다양한 요구나 사양 조건에 따라서 적절한 빈도로 할당 변경이나 의사 호출 할당을 행하면서 승객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군 관리 제어를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4와 같이, 인공 지능 기술 등을 응용함으로써, 조금이라도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고자 한 경우, 제어 내용이 고도화됨으로써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시스템이 복잡화, 대규모화, 블랙박스화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뿐만 아니라, 새로운 제어 기능의 추가 등에 대하여, 한정된 개발 기간에서 대응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고, 또한, 제어상의 문제를 지적받아도, 그것을 해석하거나, 설명하거나, 조정하거나 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플로어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취역시켜, 신규로 발생한 승장 호출에 대하여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그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최적의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 발생하고 있거나 혹은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층 방향별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대기 시간의 총합 또는 평균의 기대값)을 상기 평가 지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평가 지표로 하여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을 행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이나, 빈 카에의 의사 호출 할당을, 소정 시간마다 혹은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동시에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각 층 방향별의 승객 도착률의 추정값과, 군 전체에서의 승장 호출 발생률의 추정값과, 각 층 방향별의 각 카의 예측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이 아니라, 승객의 대기 시간을 확률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한 것에 의해, 각 층의 승객 도착률의 치우침이나 장래 발생할 승객의 대기 시간을 적정하게 평가할 수 있어, 복잡하고 또한 다양한 교통 상황에 대해서도, 본래 요구되고 있는 승객의 대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 평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신규 승장 호출이 없는 국면에서도 수시로 그 국면을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승장 호출의 할당 이외의 제어 수단, 즉,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이나 운전 방향을 갖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빈 카에의 의사 호출의 할당에도 동일한 평가 지표(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를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제어 전체로서의 최적화를 도모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군 관리 시스템에 즉시 예보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한정된 교통 상황에 한정하지 않고 상시 유효 이용함으로써, 승객의 대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정된 교통 상황에 한정하지 않고 의사 호출 할당을 상시 유효 이용할 수 있어, 즉, 운전 방향을 갖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빈 카를 수시로 적정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승객의 대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개의 빌딩에 따라서 상이한 다양한 요구나 사양 조건에 맞추어 할당 변경 또는 의사 호출 할당의 빈도를 조정할 수 있고, 그 조건을 기초로 승객의 대기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객의 대기 시간이라고 하는 일원화된 평가 지표에 기초하는 군 관리 제어 방식을 실현할 수 있고, 그 결과 종래의 인공 지능을 응용한 군 관리 제어 등에 비하면 단순한 제어 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제어 기능의 추가가 용이해져, 제어상의 문제점을 지적받았다고 해도, 그 해석이나 설명, 조정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카 도착 시간의 예측을 설명하기 위한 카 위치와 호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전체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메인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어떤 정류 위치에 대한 각 호기의 예측 도착 시간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사선부의 영역을 분할하여 그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스텝 S2에서의, 신규 승장 호출 할당 처리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텝 S24에서의, 모든 정류 위치에 대한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산출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8의 스텝 S204에서의, 정류 위치 s에 대한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산출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0은 도 8의 스텝 S204에서의, 정류 위치 s에 대한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산출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1은 도 4의 스텝 S4에서의, 승장 호출 할당 변경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2는 도 4의 스텝 S4에서의, 승장 호출 할당 변경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3은 도 4의 스텝 S4에서의, 승장 호출 할당 변경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4는 도 4의 스텝 S5에서의, 의사 호출 할당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5는 도 4의 스텝 S5에서의, 의사 호출 할당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6은 도 4의 스텝 S5에서의, 의사 호출 할당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신규 승장 호출 할당과 할당 변경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신규 승장 호출 할당과 할당 변경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신규 승장 호출 할당과 할당 변경 처리의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의 일부이다.
실시 형태 1.
일반적으로, 군 관리 제어에서의 카 위치에 대해서는, 플로어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고, 카의 운전 방향도 포함시켜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이 이후의 설명에서는, 층과 방향을 포함하는 카의 정지 위치의 개념으로서, 「정류 위치」라고 하는 단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 1∼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는 1호기∼3호기의 3대의 엘리베이터를 1군으로서 관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물론 이 대수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1은 1호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참조 부호 12 및 13은 동일하게 2호기 및 3호기 엘리베이터의 운행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참조 부호 20은 각 호기에 공통의 승장 호출의 등록을 행하는 승장 호출 등록 장치, 참조 부호 30은 각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13)와 통신을 행하면서 각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1군으로서 관리하는 군 관리 제어 장치이다.
참조 부호 31은 각 정류 위치에서의 승객의 도착률을 추정하는 승객 도착률 추정 수단이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도착을 포아슨 도착이라고 가정하고, 승장 호출의 미발생 시간에 관한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확률적으로 승객의 도착률을 추정하는 등,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방법 등에 의해 승객의 도착률을 추정한다. 또한, 카 호출의 수나 카의 적재 하중의 변화 등에 의해, 승객의 도착률을 보정하도록 해도 된다.
참조 부호 32는 군 전체에서의 승장 호출의 발생률을 추정하는 승장 호출 발생률 추정 수단이며, 예를 들면 단기 학습 또는 장기 학습에 기초하는 그 시간대에서의 소정 시간당의 승장 호출 발생수를 그 소정 시간으로 제산하는 등, 이것도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참조 부호 33은 각 정류 위치에 대하여 각 카가 도착 가능한 시간을 예측하는 카 도착 시간 예측 수단이며, 이 도착 시간의 예측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는 종래의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 예측에서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단, 종래의 승장 호출의 대기 시간 예측은, 카가 1주(周)하는 동안의 대기 시간을 예측하면 충분하였지만, 본 발명은 장래 발생할 승객의 대기 시간도 예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의 할당 승장 호출로부터 파생하는 가장 먼 곳의 카 호출도 고려하면 1주반, 또한 현상에서 상정할 수 있는 모든 호출에 다 응답한 후에 발생하는 승객에 대한 대기 시간도 추정할 필요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최대로 카가 2주반하는 동안의 도착 시간을 예측해 둘 필요가 있다.
이 카 도착 시간 예측 수단에 의해 작성한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의 일례를, 도 3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서, 카가 1플로어 주행하는 데에 요하는 시간을 2초, 1회의 정지에 요하는 시간을 10초로 하여 계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주행 시간 등은 군 관리의 학습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참조 부호 34는 전체 정류 위치에서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체 승객(이미 발생한 승객을 포함함)의 대기 시간의 총합 또는 평균의 기대값(이하, 대기 시간의 총합 또는 평균의 기대값을 간단히 대기 시간 기대값으로 함)을 범용 평가 지표로 하여 확률적으로 산출하는 대기 시간 기대값 산출 수단이며, 이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사고 방식과 그 산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참조 부호 35는 신규로 등록된 승장 호출을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평가 지표로 하여, 혹은 대기 시간 기대값과 다른 평가 지표를 병행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적의 카에 할당하는 승장 호출 할당 수단이며, 신규 승장 호출이 발생할 때마다 할당 처리를 행한다.
참조 부호 36은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을,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에 기초하여 할당 변경하는 승장 호출 할당 변경 수단이며, 소정 시간마다 할당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할당 변경 전과 비교하여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행한다.
참조 부호 37은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에 기초하여 빈 카에 대하여 의사 호출을 할당하는 의사 호출 할당 수단이며, 소정 시간마다 의사 호출을 할당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의사 호출의 할당 전과 비교하여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 빈 카에 대하여 의사 호출의 할당을 행한다.
참조 부호 38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13)나 승장 호출 등록 장치(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고, 축적하기 위한 학습 수단이며, 종래의 군 관리 제어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교통 상황을 알기 위한 단기 학습 수단이나, 평일, 휴일, 혹은 동일한 요일의 각 시간대에서의 교통 상황을 알기 위한 장기 학습 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참조 부호 39는 각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13)와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수단이다.
이상의 구성에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의 처리 수순을 도 4∼도 16의 플로우차트 등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체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메인의 플로우차트이며, 신규 승장 호출이 발생할 때마다 할당 처리를 행하고, 또한 소정 시간마다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 처리나, 의사 호출 처리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시 반복 실행되고 있다.
우선 스텝 S1에서 신규의 승장 호출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존재하는 경우는 스텝 S2에서 전술한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그 승장 호출을 최적의 카에 할당한다. 또한,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는 별도로, 소정 시간 경과할 때마다(스텝 S3), 스텝 S4에서 현상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과 임시로 할당 변경을 행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비교하고,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킬 것 같으면 할당 변경을 행하고, 마찬가지로 스텝 S5에서 현상에서의 대기 시간 기대값과 임시로 빈 카에 의사 호출을 할당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비교하고,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킬 것 같으면 의사 호출의 할당 처리를 행한다. 각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이와 같이, 실시 형태 1에서는, 신규 승장 호출이 발생하였을 때, 및 소정 시간마다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그 값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즉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이 짧아지도록, 동일한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뿐만 아니라,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이나, 빈 카에의 의사 호출의 할당 등을 소정 시간마다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각 처리 수순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범용 평가 지표로 되는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사고 방식과 그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을 평가하고자 하는 경우, 빈 카(운전 방향을 갖지 않고 정지하고 있는 카)의 도착 시간의 평가 방법에 대하여 생각해 두어야 한다. 빈 카의 도착 시간에 대하여 적정한 평가를 행할 수 없는 한, 모든 교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적인 평가 지표로는 될 수 없다. 특히, 의사 호출의 할당 제어는, 원칙적으로 빈 카에 대한 것이므로, 빈 카의 도착 시간을 적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로 된다.
그러나, 빈 카가, 어느 시점에서, 어느 방향으로 운전을 시작할지에 대해서는 불확정한 요소가 많아, 주행 중인 카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각 정류 위치에의 도착 시간을 추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장래 그 정류 위치에 승장 호출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이미 그 빈 카는 다른 승장 호출에 응답하여 원래의 위치에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군 전체에서의 승장 호출의 발생률과 카 대수로부터, 빈 카가 원래의 위치에 대기 상태로 존재할 확률 P(t)를 시각 t의 지수 함수로서 다음 식(수학식 1)으로 나타내고, 대기 상태인 경우는 임의의 정류 위치의 호출에 최단 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는 평가의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기로 한다.
Figure pct00001
이와 같이 빈 카의 대기 확률을 지수 함수로서 나타내고, 이것을 후술하는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에 이용함으로써, 간이적이기는 하지만, 빈 카의 존재가 장래 발생할 승객의 대기 시간에 줄 영향을 확률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어떤 정류 위치에서의 「소정 시간 T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을 도 5와 같이 도식화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어떤 정류 위치에 대한 각 호기의 예측 도착 시간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횡축이 시각, 종축이 예측 도착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1호기는, T 시간 내에서 항상 주행 중이며, 대상으로 되는 정류 위치를 한번 통과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2호기는, 현재 빈 카로 정지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3호기는, 현재 주행 중이지만, 시각 t4에서 정지하여 빈 카로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 5에서,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은, 사선부를 적분하고, 승객 도착률 λ를 승산한 값으로 된다. 단, 주행 중인 카보다도 가까운 위치에 빈 카가 존재하는 경우는, 그 빈 카가 수학식 1에 나타낸 확률 P(t)로 응답하는 것으로 하여 대기 시간의 기대값을 계산한다.
이 사선부의 영역을, 다음에 나타내는 조건에 들어맞는 시각으로 분할한다.
(가) 주행 중인 카의 예측 도착 시간이, 빈 카의 예측 도착 시간과 동일하게 되는 시각
(나) 주행 중인 카가, 빈 카로 정지 상태로 되는 시각
(다) 주행 중인 카가, 대상으로 되는 정류 위치에 도달하는 시각
이와 같이 하여 분할된 영역은, 도 6과 같이 단순한 형상을 나타내므로, 용이하게 적분 계산을 행하고, 그 사이에 발생하는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E5의 영역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은, 다음 식(수학식 2)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마찬가지로 하여, 일반적으로 대상으로 되는 정류 위치의 승객의 대기 시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빈 카의 대수를 m으로 하면, 시간대 ta∼tb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Ez는, 다음 식(수학식 3)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3
이렇게 하여, 각 영역마다 구한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모두 합계하면, 정류 위치 s에서 소정 시간 T 내에 발생하는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Es가 다음 식(수학식 4)에 의해 구해진다.
Figure pct00004
또한, 그 정류 위치에서 이미 승장 호출이 발생한 경우는, 승장 호출 등록 시에 1명의 승객이 발생하고 있을 것이며, 그 승장 호출의 할당 카가 도착할 때까지의 동안, 빈 카의 존재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은, 다음 식(수학식 5)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5
그리고, 모든 정류 위치에서, 이미 발생하고 있거나 혹은 소정 시간 T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ET는, 최종적으로 다음 식(수학식 6)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pct00006
이 ET가, 본 발명에 따른 군 관리 제어 방식에서 범용 평가 지표로서 이용하는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이다.
이상의 점을 근거로 하여,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 수순과, 그 결과에 기초하여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을 행하는 경우의 처리 수순을, 도 7∼도 10의 플로우차트에 의해 설명한다.
도 7은 도 4에서의 스텝 S2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며, 신규 승장 호출을 각 호기에 임시로 할당한 경우에,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각각 산출하고, 그 값이 가장 작아지는 호기에 신규 승장 호출을 할당하는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스텝 S21에서 대기 시간 기대값을 나타내는 변수 eval의 초기값에 최대값을 설정하고, 스텝 S22와 스텝 S27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전체 호기에 대하여 반복한다.
스텝 S23에서는 신규 승장 호출 HC를 i호기에 임시로 할당한 경우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카에 대하여 각각 작성한다. 그리고 스텝 S24에서 그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에 기초하여, i호기에 임시 할당한 경우의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상세 수순은 후술), 그것을 변수 e로서 기억한다.
스텝 S25에서는 이 e를 전술한 eval과 비교하여, e<eval이면 스텝 S26에서 그 때의 대기 시간 기대값 e를 eval에 호기 번호 i를 car에 각각 대입한다. 마찬가지로 하여 스텝 S23∼스텝 S26을 전체 호기에 대하여 반복하면, 각 호기에 신규 승장 호출을 각각 임시 할당한 경우의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중 최소값이 eval로, 또한 그 때의 임시 할당 호기가 car로서 각각 기억되게 되므로, 스텝 S28에서 그 대기 시간 기대값이 최소로 되는 car호기에 신규 승장 호출 HC를 실제로 할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텝 S24의, 어떤 호기에 신규 승장 호출을 임시 할당한 경우의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도시한다.
우선 스텝 S201에서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나타내는 변수 ET의 초기값을 0으로 한다. 스텝 S202에서는 전술한 수학식 1에 나타낸 승장 호출의 발생률을 구하여 α로 하고, 스텝 S203과 스텝 S206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전체 정류 위치에 대하여 반복한다. 즉 스텝 S204에서는 정류 위치 s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그것을 Es로 하고, 스텝 S206에서 이 Es를 상기 ET에 더한 것을 새로운 ET로서 갱신 기억한다. 이렇게 하여 모든 정류 위치에 대하여 스텝 S204 및 스텝 S205를 반복하면, 어떤 호기에 신규 승장 호출을 임시 할당한 경우의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이 ET로서 구해지게 되므로, 스텝 S207에서 이 ET를 도 7의 스텝 S24로 되돌려서, e에 대입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텝 S204의, 어떤 정류 위치 s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도시한 것이 도 9 및 도 10의 플로우차트이며, 편의상, 접속 기호 G에 의해 플로우를 2개로 분할하여 나타내고 있다.
우선 스텝 S251에서 정류 위치 s에서의 승객 도착률을 구하여 λ로 하고, 스텝 S252에서 소정 시간 T(예를 들면 60초 정도)를,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기 시간 기대값의 적분 계산 가능한 복수의 시간대로 분할한다. 스텝 S253에서는 분할된 시간대의 수를 n으로 하고, 스텝 S254에서 Es의 초기값으로서 0을, ta의 초기값으로서 현재 시각을 각각 세트한다.
그리고 스텝 S255와 스텝 S269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전체 시간대에 대하여 반복한다. 즉 스텝 S256에서는 시간대 z의 종료 시각을 tb로 세트하고, 스텝 S257에서는 시간대 z가 선두의 시간대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선두의 시간대인 경우는 스텝 S258에서 정류 위치 s의 승장 호출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정류 위치 s에 승장 호출이 없는 경우는,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승객만이 대상으로 되므로, 전술한 수학식 3에 기초하여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되어, 스텝 S259로 진행한다.
스텝 S259에서는 시간대 z에서 운전 방향이 있는 호기 중, 정류 위치 s에 대하여 최단 시간에 도착 가능한 호기의 예측 도착 시간을 w0에 대입하고, 스텝 S260에서, 시간대 z에서 운전 방향이 없는 호기 중 정류 위치 s에 대한 예측 도착 시간이 w0보다 짧은 모든 호기의 도착 시간을 짧은 순으로 w1∼wm에 대입하고, 그 대수를 m에 대입한다. 그리고 스텝 S261에서 전술한 수학식 3으로 나타낸 식에 기초하여, 시간대 z에서의 대기 시간의 기대값 Ez를 산출한다.
한편, 스텝 S257에서 z가 선두의 시간대이고, 또한 스텝 S258에서 정류 위치 s에 승장 호출이 있는 경우는, 이미 발생한 승객이 대상으로 되므로 전술한 수학식 5에 기초하여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는 것으로 되어, 스텝 S262로 진행한다.
스텝 S262에서는 정류 위치 s의 승장 호출 할당 호기를 acar로 하고, 스텝 S263에서 정류 위치 s의 승장 호출 발생 시각을 ta, 스텝 S264에서 정류 위치 s에 대한 acar호기의 예측 도착 시각을 tb로 하여, 스텝 S265에서 그 차로부터 예측 도착 시간 hcwt를 구하고, 스텝 S266에서 전술한 수학식 5로 나타낸 식에 기초하여 시간대 z에서의 대기 시간의 기대값 Ez를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 S267에서, 원래의 Es에 스텝 S261 혹은 스텝 S266에서 구한 Ez를 가산한 것을 새로운 Es로 하고, 스텝 S268에서 tb를 새로운 ta로서 갱신 기억한다. 이렇게 하여 전체 시간대에 대하여 스텝 S256∼스텝 S268의 처리를 반복하면, 정류 위치 s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 Es가 구해지게 되므로, 스텝 S270에서 이 Es를 도 8의 스텝 S204로 되돌려서, 새로운 Es로서 갱신 기억한다.
이상이,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평가 지표로 한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 처리이다.
다음으로, 동일하게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평가 지표로 하여, 소정 시간마다 행하는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도 13은 도 4의 스텝 S4에서의 승장 호출 할당 변경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며, 편의상, 접속 기호 C, D에 의해 플로우를 3개로 분할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어떤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의 할당 호기를 임시로 다른 호기로 할당 변경한 경우의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할당 변경 전과 비교하여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 할당 변경을 실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스텝 S401에서 현상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을 전체 호기에 대하여 작성하고, 그것을 Tab로서 보존한다. 스텝 S402에서는 그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에 기초하여, 현상의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eval0으로서 기억한다. 이 스텝 S402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 수순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7에서의 스텝 S24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403에서는 할당 변경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나타내는 변수 eval의 초기값으로서 최대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S404와 스텝 S415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전체 정류 위치에 대하여 반복한다. 즉 스텝 S405에서는 정류 위치 s에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이 있는 경우는 스텝 S406에서 그 할당 호기를 acar로 한다.
또한 스텝 S407과 스텝 S414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1호기부터 순서대로 전체 호기에 대하여 반복한다. 스텝 S408에서는 i호기가 상기의 acar호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acar호기가 아닌 경우, 즉 정류 위치 s의 할당 호기가 아닌 경우는, 스텝 S409에서 그 정류 위치 s를 서비스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서비스 가능하면, 스텝 S410에서 정류 위치 s의 할당 호기를 i호기로 임시로 할당 변경한 경우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을 전술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성하고, 스텝 S411에서 이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에 기초하는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변수 e로서 기억한다. 이 스텝 S411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 수순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7에서의 스텝 S24와 마찬가지의 수순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텝 S412에서 이 e와 상기 eval을 비교하고, e쪽이 작은 경우는 그것을 새로운 eval로서 갱신 기억하고, 그 때의 할당 호기 번호 i를 car로서 보존한다. 그리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스텝 S414에서 전체 호기에 대하여 행하고, 또한 스텝 S415에서 모든 정류 위치에 대하여 반복하여 행하면, eval에는 할당 변경을 행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 중 최소값이, car에는 그 때의 할당 변경 호기가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416에서 현상의(임시 할당 변경 전의) 대기 시간 기대값 eval0과 임시 할당 변경 후의 상기 최소값 eval과의 차가 설정값 ReasParam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텝 S417에서는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삭감률(현상의 대기 시간 기대값 eval0과 임시 할당 변경 후의 상기 최소값 eval과의 차를 eval0으로 제산한 값×100%)이 설정값 ReasParam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값 이상이면, 스텝 S418에서 정류 위치 s의 승장 호출을 car호기에 할당 변경하고,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 처리를 종료한다. 즉 이 예에서는, 할당 변경에 수반되는 필요 이상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이 설정값 이상 감소하고, 또한 그 삭감률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만 할당 변경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동일하게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평가 지표로 하여, 소정 시간마다 행하는 빈 카에의 의사 호출의 할당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도 16은 도 4의 스텝 S5에서의 의사 호출 할당 처리의 구체적인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며, 편의상, 접속 기호 E, F에 의해 플로우를 3개로 분할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어떤 정류 위치의 의사 호출을 빈 카에 임시로 할당한 경우의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임시 할당 전과 비교하여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 의사 호출 할당을 실행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스텝 S501에서 현상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을 전체 호기에 대하여 작성하고, 그것을 Tab로서 보존한다. 스텝 S502에서는 그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에 기초하여, 현상의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eval0으로서 기억한다. 이 스텝 S502의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 수순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7에서의 스텝 S24와 마찬가지의 수순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503에서는 eval의 초기값으로서 최대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 S504와 스텝 S513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1호기부터 순서대로 전체 호기에 대하여 반복한다. 즉 스텝 S505에서는 i호기가 빈 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빈 카이면 스텝 S506과 스텝 S512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전체 정류 위치 s에 대하여 반복한다.
스텝 S507에서는 i호기가 정류 위치 s를 서비스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서비스 가능하면, 스텝 S508에서 정류 위치 s의 의사 호출을 i호기에 임시 할당한 경우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을 전술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성하고, 스텝 S509에서 이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에 기초하는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변수 e로서 기억한다. 이 스텝 S509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 수순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7에서의 스텝 S24와 마찬가지의 수순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텝 S510에서 이 e와 상기 eval을 비교하고, e쪽이 작은 경우는 스텝 S511에서 그것을 새로운 eval로서 갱신 기억하고, 그 때의 할당 호기 번호 i를 car로서 갱신 기억한다. 그리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전체 정류 위치에 대하여 행하고, 또한 전체 호기에 대하여 반복하여 행하면, eval에는 의사 호출 할당을 행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 중 최소값이, car에는 그 때의 의사 호출 임시 할당 호기가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스텝 S514에서 현상의(의사 호출 임시 할당 전의) 대기 시간 기대값eval0과 의사 호출 임시 할당 후의 상기 최소값 eval과의 차가 설정값 PseudoParam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텝 S515에서는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삭감률(현상의 대기 시간 기대값 eval0과 의사 호출 임시 할당 후의 상기 최소값 eval과의 차를 eval0으로 제산한 값×100%)이 설정값 PseudoParam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값 이상이면, 스텝 S516에서 정류 위치 s의 의사 호출을car호기에 할당하고, 빈 카에의 의사 호출 할당 처리를 종료한다. 즉 이 예에서는, 할당 변경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의사 호출의 할당에 수반되는 필요 이상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이 설정값 이상 감소하고, 또한 그 삭감률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만 의사 호출의 할당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 혹은 의사 호출의 할당을 각각 상이한 타이밍에서 행하고 있었지만 이들을 동시에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도 19는,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며, 편의상, 접속 기호 A, B에 의해 플로우를 3개로 분할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 처리는, 신규 승장 호출을 각 호기에 할당한 경우의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과, 동시에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을 다른 호기에 할당 변경한 경우의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비교하고,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동시에 행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며, 신규 승장 호출의 발생 시에 실행된다.
우선, 스텝 S601에서 신규 승장 호출을 임시 할당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나타내는 변수 evalA와, 신규 승장 호출의 임시 할당과 동시에 할당 변경을 행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나타내는 변수 evalB에 각각 최대값을 설정하고, 스텝 S602와 스텝 S617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전체 호기에 대하여 반복한다. 즉 스텝 S603에서는 신규 승장 호출 HC를 i호기에 임시로 할당한 경우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을 작성하고, 스텝 S604에서 그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그것을 변수 e로 세트한다. 이 스텝 S604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 수순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7에서의 스텝 S24와 마찬가지의 수순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스텝 S605에서 그 e와 상기 evalA를 비교하고, e쪽이 작은 경우는 스텝 S606에서 그 e의 값을 새로운 evalA, 그 때의 임시 할당 호기 번호 i를 acarA로서 갱신 기억한다.
다음으로 스텝 S607과 스텝 S616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임시 할당 호기 i가 담당하고 있는 승장 호출 AHC 모두에 대하여 반복한다. 즉 스텝 S608에서는 HC와 AHC가 동일한 층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동일한 층이 아니면 스텝 S609와 스텝 S615에 의해, 그 사이의 처리를 전체 호기 j에 대하여 반복한다. 여기서 HC와 AHC가 동일한 층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는 것은, 신규 승장 호출과 동일 층에 역방향의 승장 호출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동일 층에서 동시에 승장 호출의 할당과 할당 변경이 발생하면 대기 손님이 혼란해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 시에 동일 층의 승장 호출을 할당 변경의 대상으로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스텝 S610에서는 i=j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i≠j의 경우는 스텝 S611에서 HC를 i호기에 임시 할당하고, AHC를 j호기에 임시 할당 변경한 경우의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을 작성한다. 스텝 S612에서는 이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에 기초하여,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고, 그것을 변수 e로 세트한다. 이 스텝 S612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산출 수순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7에서의 스텝 S24와 마찬가지의 수순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613에서는 그 e와 상기 evalB를 비교하고, e쪽이 작은 경우는 스텝 S614에서 그 e의 값을 새로운 evalB, HC의 임시 할당 호기 i를 acarB, AHC의 임시 할당 변경 호기를 rcarB로서 각각 갱신 기억한다. 이것을 스텝 S615에서 전체 호기에 대하여 임시 할당 변경을 반복하고, 스텝 S616에서 모든 승장 호출 AHC에 대하여 반복하면, evalB에는 신규 승장 호출의 임시 할당과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의 임시 할당 변경을 동시에 행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 중 최소값이, 또한 acarB에는 그 때의 임시 할당 호기가, rcarB에는 임시 할당 변경 호기가 각각 기억되게 된다.
그리고 또한 스텝 S617에서 이것을 전체 호기에 대하여 반복하면, evalA에는 신규 승장 호출의 임시 할당을 행한 경우의 대기 시간 기대값 중 최소값이, acarA에는 그 때의 임시 할당 호기가 각각 기억되게 된다.
스텝 S618에서는 이 evalA와 evalB와의 차가 설정값 ReasParam1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텝 S619에서는 대기 시간 기대값의 삭감률(evalA와 evalB와의 차를 evalA로 제산한 값×100%)이 설정값 ReasParam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값 이상이면, 스텝 S620에서 acarB호기에 HC를 할당하고, 스텝 S621에서 rcarB호기에 AHC를 할당 변경한다. 또한, 스텝 S618과 스텝 S619 중 어느 한쪽이라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는, 스텝 S622에서 acarA호기에 HC를 할당하고,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은 행하지 않도록 한다. 즉, 이 예에서는 할당 변경에 수반되는 필요 이상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이 설정값 이상 감소하고, 또한 그 삭감률이 설정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만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할당 변경을 동시에 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만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동시에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마찬가지로 하여 빈 카에 대한 의사 호출의 할당을,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 대신에 혹은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과 함께,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동시에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이나 의사 호출의 할당을 실행하는 판단 기준으로서, 현상의 대기 시간 기대값과의 차분 및 삭감률을 설정값과 비교하였지만, 물론 이 설정값은 고정의 값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즉시 예보를 행하지 않는 경우는 할당 변경에 관한 설정값을 0에 가깝게 하여, 약간이라도 대기 시간 기대값이 개선될 가능성이 있으면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에너지 절약 중시의 경우는 의사 호출 할당에 대한 설정값을 큰 값으로 하여, 큰 대기 시간 단축 효과가 기대되는 상황에서만 의사 호출에 의한 대기 운전은 행하도록 하는 등, 그 빌딩의 군 관리 사양이나 조건에 맞추어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정류 위치에서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범용 평가 지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개의 승장 호출에 대하여 최단시간에 도착할 수 있는 카를 할당한다고는 할 수 없고, 카가 승장 호출을 통과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경우, 승장의 안내 장치로서 홀랜턴만을 구비한 군 관리 시스템에서는, 카가 승장 호출을 통과해도, 대기 손님은 그것을 인식할 수 없으므로 문제는 없지만, 승장의 안내 장치로서 카의 현재 층이 표시되는 승장 인디케이터가 설치되는 군 관리 시스템에서는, 승장의 대기 손님은 카가 통과하는 모습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승장 도어에 창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카의 통과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사양의 군 관리 시스템에서는, 카의 통과를 인식한 대기 손님은, 자신의 요구가 부당하게 무시되었거나, 혹은, 뒷전으로 미루어졌다고 느끼고, 군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불만을 품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기 손님의 기대에 반하는 카의 승장 호출 통과(근접 카의 방향 반전을 포함함)를, 페널티값으로서 대기 시간 환산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의 통과 시각을 tp, 다른 카에 의해 승장 호출이 서비스되는 시각을 ts로 하면, 이 페널티값은 다음 식(수학식 7)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A는 통과 사상에 대한 이용객의 불만을 시간으로 환산하는 상수이고, B는 통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비례하여 증대되는 이용객의 불만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또한, ts나 tp는 전술한 예측 도착 시간 테이블로부터 얻을 수 있다.
승장 인디케이터의 설치 등에 의해 대기 손님이 카의 통과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 이 페널티값을, 본원 발명의 범용 평가 지표인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에 더하여 평가하거나, 혹은 또 다른 평가 지표도 더하여 종합적인 평가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변을 실시할 수 있다.
11∼13 :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20 : 승장 호출 등록 장치
30 : 군 관리 제어 장치
31 : 승객 도착률 추정 수단
32 : 승장 호출 발생률 추정 수단
33 : 카 도착 시간 예측 수단
34 : 대기 시간 기대값 산출 수단
35 : 승장 호출 할당 수단
36 : 승장 호출 할당 변경 수단
37 : 의사 호출 할당 수단
38 : 학습 수단
39 : 통신 수단

Claims (9)

  1. 복수의 플로어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취역시켜, 신규로 발생한 승장 호출에 대하여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그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최적의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으로서,
    이미 발생하고 있거나 혹은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층 방향별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대기 시간의 총합 또는 평균의 기대값)을 상기 평가 지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할당 완료된 승장 호출에 대하여 할당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소정 시간마다 산출하고, 할당 변경 전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과의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 할당 변경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신규 승장 호출을 할당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과, 동시에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행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신규 승장 호출의 발생마다 산출하고,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동시에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빈 카에 대하여 의사 호출을 임시 할당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소정 시간마다 산출하고, 임시 할당 전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과의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그 의사 호출의 할당을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규 승장 호출을 할당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과, 동시에 빈 카에 대하여 의사 호출을 임시 할당한 경우의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을 신규 승장 호출의 발생마다 산출하고, 그 차가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의사 호출의 할당을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과 동시에 실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조건은,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은, 각 층 방향별의 승객 도착률의 추정값과, 군 전체에서의 승장 호출 발생률의 추정값과, 각 층 방향별의 각 카의 예측 도착 시간을 이용하여 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8. 복수의 플로어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취역시켜, 신규로 발생한 승장 호출에 대하여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그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최적의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장치로서,
    이미 발생하고 있거나 혹은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층 방향별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는 대기 시간 기대값 산출 수단과,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에 기초하여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을 행하는 승장 호출 할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장치.
  9. 복수의 플로어에 대하여 복수대의 엘리베이터를 취역시켜, 신규로 발생한 승장 호출에 대하여 평가 지표를 산출하고, 그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최적의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장치로서,
    이미 발생하고 있거나 혹은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각 층 방향별의 전체 승객의 대기 시간 기대값을 산출하는 대기 시간 기대값 산출 수단과,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에 기초하여 신규 승장 호출의 할당을 행하는 승장 호출 할당 수단과,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에 기초하여 승장 호출의 할당 변경을 행하는 승장 호출 할당 변경 수단과, 상기 대기 시간 기대값에 기초하여 빈 카에 의사 호출을 할당하는 의사 호출 할당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장치.
KR1020117014732A 2008-12-25 2009-12-25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74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9651 2008-12-25
JP2008329651A JP5347492B2 (ja) 2008-12-25 2008-12-25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PCT/JP2009/071544 WO2010074201A1 (ja) 2008-12-25 2009-12-25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759A true KR20110098759A (ko) 2011-09-01
KR101674693B1 KR101674693B1 (ko) 2016-11-09

Family

ID=4228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732A KR101674693B1 (ko) 2008-12-25 2009-12-25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60374B2 (ko)
EP (1) EP2371752B1 (ko)
JP (1) JP5347492B2 (ko)
KR (1) KR101674693B1 (ko)
CN (1) CN102264620B (ko)
HK (1) HK1161867A1 (ko)
SG (1) SG172401A1 (ko)
WO (1) WO2010074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5384B2 (ja) * 2011-09-05 2015-06-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CN103130050B (zh) * 2013-03-13 2015-08-19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群控系统的调度方法
JP6156032B2 (ja) * 2013-09-30 2017-07-05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US9440818B2 (en) * 2014-01-17 2016-09-13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Elevator swing operation system and method
JP5847224B2 (ja) * 2014-03-14 2016-0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EP3149664A1 (en) * 2014-05-28 2017-04-05 Kone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providing traffic forecasts for elevator systems
AU2015275066A1 (en) * 2014-06-04 2017-01-05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elevator assignment
US9834405B2 (en) * 2014-11-10 2017-12-0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elevator cars in a group elevator system with uncertain information about arrivals of future passengers
JP6459855B2 (ja) * 2015-08-27 2019-01-3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制御方法
US9988237B1 (en) * 2016-11-29 2018-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vator management according to probabilistic destination determination
WO2019111359A1 (ja) * 2017-12-06 2019-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制御方法
US20190300328A1 (en) * 2018-03-29 2019-10-03 Otis Elevator Company Super group dispatching
US20200130991A1 (en) * 2018-10-24 2020-04-30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specified elevator reassignment criteria
US11270525B2 (en) * 2018-11-06 2022-03-08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Automated vehicle occupancy detection
CN110002295B (zh) * 2019-03-28 2021-08-27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基于概率数据特征的电梯运行控制方法
CN110980456B (zh) * 2019-12-17 2022-06-28 南京理工大学 基于交通流和自适应神经模糊推理的电梯群控调度方法
KR102334534B1 (ko) * 2021-03-15 2021-12-03 (주)대경기술단 공동 주택용 엘리베이터 대기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14933218A (zh) * 2022-03-24 2022-08-23 浙江华睿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调度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215A (ja) * 1989-07-05 1991-02-18 Nippon Steel Chem Co Ltd 熱硬化性炭化水素樹脂の製造方法
JPH0662259A (ja) 1992-08-13 1994-03-04 Nec Corp 2値画像符号化・復号化方式
JPH08225256A (ja) 1995-02-16 1996-09-03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20050085231A (ko) * 2003-06-24 2005-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빌딩에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복수의 카를 스케줄링하기위한 엘리베이터 스케줄러 및 그 방법
JP2006124075A (ja) 2004-10-27 2006-05-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02842A (en) * 1974-04-22 1978-03-01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system
JPH062553B2 (ja) 1983-07-08 1994-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607597B2 (ja) * 1988-03-02 1997-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712891B2 (ja) * 1988-02-17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US4989694A (en) * 1988-03-09 1991-02-05 Hitachi, Ltd. Elevator group supervisory system
JPH0772059B2 (ja) * 1988-10-19 1995-08-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ES2047073T3 (es) * 1988-10-28 1994-02-16 Inventio Ag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l control de grupos de ascensores con cabinas dobles.
JPH0662259B2 (ja) 1988-11-02 1994-08-17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2531118Y2 (ja) * 1989-08-23 1997-04-02 日野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オイルパンの部品取付装置
JP2573715B2 (ja) * 1990-03-28 1997-0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5529147A (en) * 1990-06-19 1996-06-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cars based on car delay
US5480005A (en) * 1992-05-26 1996-01-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wing car assignment to plural groups
US5767461A (en) * 1995-02-16 1998-06-16 Fujitec Co., Ltd. Elevator group supervisory control system
JP3037215U (ja) * 1996-10-25 1997-05-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3037215B2 (ja) * 1997-06-24 2000-04-24 日本電気アイシーマイコンシステム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JP4936591B2 (ja) * 1997-10-10 2012-05-23 コネ コーポレイション エレベータ群の制御方法
EP0997423B1 (en) * 1998-03-30 2003-06-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ler
JP2001048431A (ja) * 1999-08-06 2001-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かご割当て制御方法
WO2001028909A1 (fr) * 1999-10-21 2001-04-26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Unite de commande de groupe de cabines d'ascenseurs
JP4131456B2 (ja) * 2001-11-26 2008-08-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WO2006025103A1 (ja) * 2004-08-31 2006-03-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ワンシャフトマルチカー方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139819B2 (ja) * 2005-03-23 200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6298577A (ja) * 2005-04-21 2006-11-02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4657794B2 (ja) * 2005-05-06 2011-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EP1942069A4 (en) * 2005-10-26 2013-01-09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GROUP MANAGEMENT AND CONTROL APPARATUS
US7484597B2 (en) * 2006-03-27 2009-02-03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elevator cars using branch-and-bound
JP5112313B2 (ja) * 2006-06-27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4335897B2 (ja) * 2006-09-21 2009-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CN101678994B (zh) * 2007-07-12 2012-10-1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KR101260144B1 (ko) * 2008-09-19 2013-05-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7215A (ja) * 1989-07-05 1991-02-18 Nippon Steel Chem Co Ltd 熱硬化性炭化水素樹脂の製造方法
JPH0662259A (ja) 1992-08-13 1994-03-04 Nec Corp 2値画像符号化・復号化方式
JPH08225256A (ja) 1995-02-16 1996-09-03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KR20050085231A (ko) * 2003-06-24 2005-08-2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빌딩에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복수의 카를 스케줄링하기위한 엘리베이터 스케줄러 및 그 방법
JP2006124075A (ja) 2004-10-27 2006-05-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 문헌 3 : 일본 특공평 6-2553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620A (zh) 2011-11-30
EP2371752B1 (en) 2015-02-25
JP5347492B2 (ja) 2013-11-20
EP2371752A1 (en) 2011-10-05
EP2371752A4 (en) 2013-08-07
CN102264620B (zh) 2015-07-22
KR101674693B1 (ko) 2016-11-09
WO2010074201A1 (ja) 2010-07-01
US20110284329A1 (en) 2011-11-24
SG172401A1 (en) 2011-07-28
HK1161867A1 (en) 2012-08-10
US8960374B2 (en) 2015-02-24
JP2010149986A (ja)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8759A (ko)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KR920011080B1 (ko)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KR100367365B1 (ko) 엘리베이터의 관리제어장치
JP546497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CN110589642B (zh) 电梯的群管理控制系统
WO2017006379A1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及び群管理による乗車号機の割り当て方法
JP2008162764A (ja)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サービスエレベータ案内表示方法
WO2019087249A1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方法
KR92000129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JP654270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制御方法
JP6407430B2 (ja)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及び群管理による乗車号機の割り当て方法
JP2014237493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07049342A1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4642200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CN112141831B (zh) 电梯的群管理系统
JP2019142694A (ja) 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CN111201191A (zh) 拥堵避免运转系统和方法
GB2277611A (en) Elevator bank control system
CN108367880B (zh) 用于电梯控制系统的控制方法
CN114644267B (zh) 双层电梯的组群管理控制装置以及组群管理控制方法
JP679916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Basagoiti et al. Passenger flow pattern learning based on trip counting in lift systems combined with real-time information
CN112209188A (zh) 电梯的群管理系统
JP456919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2023081587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