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806B1 -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7806B1 KR920007806B1 KR1019860010281A KR860010281A KR920007806B1 KR 920007806 B1 KR920007806 B1 KR 920007806B1 KR 1019860010281 A KR1019860010281 A KR 1019860010281A KR 860010281 A KR860010281 A KR 860010281A KR 920007806 B1 KR920007806 B1 KR 920007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device
- bell crank
- valve
- input rod
- output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14—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14—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 G05G2009/04718—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with cardan or gimbal type joi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048—With preselecting means for plural valve actuat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056—With selective motion for plural valve actuator
- Y10T137/87072—Rotation about either of two pivotal ax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201—Control moves in two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조작구조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며, 제6도 내지 제13도는 제2실시예를 표시한다.
제1도는 작업차의 전체측면도.
제2도는 제1연결관계상태를 표시하는 주요부분의 정면도.
제3도는 제2연결관계를 표시하는 주요부분의 정면도.
제4도는 변환기구의 일부절결 측면도.
제5도는 밸브조작구조의 사시도.
제6도는 조작레버와 밸브의 연계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제1, 제2, 제3벨크랭크와 연동레버 및 로드의 연결관계부분을 표시하는 평면도.
제8도는 제7도에 있어서의 Ⅲ-Ⅲ선의 일부단면을 나타내는 화살표시도.
제9도는 정면에서 본 주요부분의 단면도.
제10도는 측면에서 본 중요부분의 단면도.
제11도는 판스프링의 평면도.
제12도는 조작레버와, 제1, 제2연동레버의 연동구조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3도는 판스프링의 다른 형상을 표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조작레버 20A : 제1입력로드
20B : 제2입력로드 22 : 제1벨크랭크
22 : 제2벨크랭크 24 : 제3벨크랭크
36A : 포오크부재 36B : 피보트축
36C : 아암부재 40 : 부착부재
V3 : 제1밸브 V4 : 제2밸브
본 발명은 작업차용 밸브조작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밸브중 하나는 십자로 교차하여 요동자재토록 된 조작레버의 제1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조작되고, 또다른 밸브는 조작레버의 제2방향으로 요동하도록 조작됨과 아울러, 이 2밸브의 조작방향을 변환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밸브조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밸브조작구조로서, 예컨대 미국특허 제4,541,161호에서 조작레버의 요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와, 밸브를 연결하는 연결로드장치 기구내에 중계장치를 설치하여, 요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와 중계장치 및, 밸브와 중계장치를 연결하는 로드장치의 부착 배치를 변경시키므로써 조작레버의 요동방향에 의하여 조작되는 제어밸브를 변경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요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와 밸브 사이에 캠식 크로스오버스 윗치기구를 구비한 연결로드장치 기구를 설치한 밸브조작기구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60년 제211522호(대응의 영국 공개공보 GB 2159492A)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계장치가 크로스오버스윗치장치도 매우 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조경비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이것을 수납하기 위해서 매우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중계장치나, 크로스오버스윗치기구도, 요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와 밸브 사이에 설치하여, 변환기구와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로드장치와, 밸브와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로드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문에 연동구조가 복잡하게 되어서 그 구성부품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그들 구성부품을 차체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하나씩 차체에 결합하여 연동구조를 조립하는데 상당한 공수(工數)가 소요되어 차체의 조립생산능률이 대폭적으로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및 제2연동레버와, 제1 및 제2밸브와의 연동상태를 변환하는 기구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므로써 종전과 동등한 기능을 갖추면서도 차체조립공정에 있어서의 조립공수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밸브조작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밸브조작구조는 십자(十字)상태로 요동가능한 조작레버와, 상기한 조작레버를 제1방향으로 요동시키므로써 조작레버에 압인되는 제1입력로드장치와, 조작레버를 제2방향으로 요동시키므로써 조작레버에 압인되는 제2입력로드장치와, 제1밸브에 연결되는 제1출력로드장치와, 제2밸브에 연결되는 제2출력로드장치와, 제1. 제2입력로드장치 및 제1. 제2입력로드장치 및 제1. 제2출력로드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연동변환장치로 구성되며, 상기한 연동변환장치는 제1출력로드장치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1입력로드장치에 연결가능한 제1벨크랭크기구와, 제2출력로드장치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1입력로드장치 및 제2입력로드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제2벨크랭크기구와, 제1출력로드장치에 연결됨과 아울러 제2입력로드장치에 연결가능한 제3벨크랭크기구로 구성됨과 아우러, 제1. 제2입력로드장치를 세로축에 대하여 횡단방향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변화조작기구의 조작에 의해서 제2벨크랭크기구에 제2입력로드장치를 연결하고, 제1벨크랭크기구에 제1입력로드장치를 연결하여, 조작레버의 제1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1밸브의 제어에 사용하는 한편, 제2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2밸브의 제어에 사용하는 제1연동관계와, 제1벨크랭크기구에 제1입력로드장치를 연결하고, 제3벨크랭크기구에 제2입력로드장치를 연결하여, 조작레버의 제1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2밸브의 제어에 사용하는 한편, 제2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1밸브의 제어에 사용하고 있는 제2연동관계를 선택적으로 변환한다.
상기한 밸브조작구조에서는 연동관계를 입력로드장치와 벨크랭크기구와의 연결위치를 변경시키므로써 변환하고 있으나, 출력로드장치와 벨크랭크기구의 연결위치를 변경시키므로써 변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어서 가능하다.
그와 같은 밸브조작구조에서는, 제1벨크랭크기구는 상기한 제2입력로드장치와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1출력로드장치와 연결가능하고, 제2벨크랭크기구는 상기한 제1입력로드장치와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1출력로드장치, 또는 제2출력로드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며, 제3벨크랭크기구는 상기한 제2입력로드장치와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출력로드장치와 연결가능하고, 변환조작기구는 제1. 2출력로드장치를 세로축에 대하여 횡단방향으로 변위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연동변환장치는 상기한 변환조작기구의 조작에 의해서, 제2벨크랭크기구에 제1출력로드장치를 연결하고 제3벨크랭크기구에 제2출력로드장치를 연결하여, 조작레버의 제1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1밸브의 제어에 사용하고, 제2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2밸브의 제어에 사용하는 제1연동관계와, 제2벨크랭크기구에 제2출력로드장치를 연결하고 제1벨크랭크기구에 제1출력로드장치를 연결하여, 조작레버의 제1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2밸브의 제어에 사용하고, 제2요동방향에서의 변위를 제1밸브의 제어에 사용하는 제2연동관계를 선택적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과 특징과 이익은 다음의 해설에 의하여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식 주행장치(1)에 선회대(2)를 부착하고, 그 선회대(2)에 백호우장치(포크레인장치)(3)를 구비함과 아울러, 탑승운전부(4)를 설치하여 백호우 작업차를 구성하고 있다. 백호우장치(3)는 선회대(2)에 피보팅된 부움(5), 부움(5)에 피보팅된 아암(6) 및 아암(6)에 피보팅된 바켓트(7)로서 이루어지며, 상기한 부움(5), 아암(6) 및 바켓트(7)는 각각 유압실린더(8)(9)(10)에 의하여 요동구동된다.
또 선회대(2)는 회전구조를 통하여 종축심(P)주위로 회전자재하게 주행장치(1)에 장착되어 있으며, 유압 모우터(11)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탑승운전부(4)에 있어서, 운전좌석(12)의 전방에서는, 주행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레버(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좌석(12)의 좌우양 횡측부에는 백호우장치(3) 및 선회대(2)에 대하여 십자상태(十字狀態)로 요동조작자재한 작업장치용 조작레버(14)가 조작대(15)로부터 기립설치된 좌우 1쌍의 포스트(16)상단부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장치용 조작레버(14)의 하나는 부움구동용 유압실린더(8)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밸브(V1) 및 바켓트구동용 유압실린더(1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밸브(V2)에 대하여 연동연결되어 있다.
다른 작업장치용 조작레버(14)는, 선회대구동용 유압모우터(11)를 제어하기 위한 제1밸브(V3) 및 아암 구동용 유압모우터(9)를 제어하기 위한 제2밸브(V4)에 연동연결되어 있어서, 조작레버(14)의 좌우요동조작에 의해 아암(6)이 각각 별도로 조작되는 상태와, 레버(14)의 좌우 요동조작에 의해 선회대(2)가 각각 별도로 조작되는 상태의 2가지 양태 사이에서, 조작패턴의 변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끔 연동연결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조작레버(14)가 제1밸브(V3) 및 제2밸브(V4)에 어떻게 연동연결되어 있는가를 표시하는 도면으로서, 포스트(16)내에서, 제1요동부재(18A)는 포스트(16)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양축심(Q1)주위로 피보팅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제2요동부재(18B)는 제1요동부재(18A)에 부착하면서 좌우향축심(Q2)주위로 피보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요동부재(18B)에 조작레버(14)를 부착하므로써 레버(14)를 X-X 및 Y-Y의 십자교차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포스트(16)내에, 유니버설조인트(19A)를 통해 제1요동부재(18A)에 연결되어 있는 제1입력로드(20A)와, 유니버설조인트(19B)를 통해 제2요동부재(18B)에 연결되는 제2입력로드(20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조작레버(14)에 작용하는 좌우요동조작력은 제1요동부재(18A) 및 제1입력로드(20A)를 통하여 전달되고, 또, 조작레버(14)에 작용하는 전후요동조작력은 제2요동부재(18B) 및 제2입력로드(20B)를 통해서 전달되는데, 이러한 작용력들은 조작대의 하부에 위치한 입력로드(20A), (20B)의 상하에 걸친 압인 조작의 결과로써 전달되게 된다.
조작대(15)의 그 바닥쪽에 설치된 중개지지축(21)을 포함하며, 중개지지축의 횡방향축심(Q3)주위로 제1내지 제2벨크랭크(22), (23), (24)가 회동가능하게끔 지지하고 있다.
제1입력로드(20A)는 제1벨크랭크의 입력아암(22A)과 제2벨크랭크(23)의 입력아암(23A)사이에 그 자유단이 위치하며, 제2입력로드(20B)는 제2벨크랭크(23)의 입력아암(23A)과 제3벨크랭크(24)의 입력아암(24A)사이에 그 자유단이 위치하고 있다.
제1벨크랭크(22) 및 제3벨크랭크(24)는, 제1벨크랭크의 출력아암(22B)과 제3벨크랭크(24)의 출력아암(24B)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압인로드(25), (26)를 통해 제1밸브(V3)에 연동연결되어 있다.
제1중계벨크랭크(27)는 압인로드(25), (26)에 연결되고, 제1출력로드(28)는 제1중계벨크랭크에 연결되어 있다.
제2벨크랭크(23)는 제2벨크랭크의 출력아암(23B)에 연결된 압인중계로드(29)를 통하여 제2밸브(V4)에 연동연결되고, 제2중계벨크랭크(30)는 압인중계로드(29)에 연결되고, 제2출력로드(31)는 제2중계벨크랭크(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포스트(16)를 통해 연장설치되어 있는 제1입력로드(20A) 및 제2입력로드(20B)의 자유단은 조작대(15)의 하부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벨크랭크(22), (23), (24)의 입력아암(22A), (23A), (24A)사이에 위치한다.
제1 내지 제2입력로드(20A), (20B)를 제1 내지 제3벨크랭크(22), (23), (24)에 연동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1 내지 제2벨크랭크(22), (23)의 각 입력아암(22A), (23A)은 제1입력로드(20A)연결용 피보트핀(32), (33)을 각각 구비하고 있고, 제2 내지 제3벨크랭크(23), (24)의 입력아암(23A), (24A)은 제2입력로드(20B)연결용 피보트핀(34), (35)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밸브(V3) 및 제2밸브(V4)에 대한 조작상태에 있을때, 제1입력로드(20A)에 연결가능한 피보트핀(32), (33)과, 제2입력로드(20B)에 연결가능한 피보트핀(34), (35)은 각각 좌우횡방향축심(Q4)상에 배열된다.
제1입력로드(20A)에 연결가능한 피보트핀(32), (33)은 상기한 축심(Q4)에 연속법으로 배열되고, 제1입력로드는, 제1벨크랭크(22)에 부착된 피보트핀(32)의 계지위치와, 제2벨크랭크(23)에 부착된 피보트핀(33)의 계지위치 사이에서 피보트핀(32), (33)에 안내되어 그 자유단이 축방향으로 좌. 우 요동변위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좌우횡방향축심(Q4)상에 연속법으로 배치된 제2입력로드(20B)에 연결가능한 피보트핀(34), (35)에 있어서, 제2입력로드(20B)는, 제2벨크랭크(23)에 부착된 비보트핀(34)의 계지위치와, 제3벨크랭크(24)에 부착된 피보트핀(35)의 계지위치 사이에서 피보트핀(34), (35)에 의해서 안내되어 그 자유단이 축방향으로 좌우요동변위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더 나아가 변환조작방식에 따라 벼환조작기구, 또는 제1. 제2입력로드(20A), (20B)와 제1. 제2. 제3벨크랭크(22), (23), (24)사이의 연동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각 변환기구(38)는 변환조작기구부착부재(40)와, 입력로드(20A) 또는 (20B)를 끼고 있는 포오크부재(36A)와, 부착부재(40)내에 장착된 피보트측(36B)과, 상기한 포오크부재(36A)를 구비함과 아울러 입력로드(20A) 또는 (20B)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피보트측(36B)에 요동가능하게 한 아암부재(36C)로 구성되어 있다. 부착부재(40)는 포스트(16)에 설치되어 있다.
변환조작기구(38)는 제1. 제2입력로드(20A), (20B)와, 제1. 제2. 제3벨크랭크(22), (23), (24)사이에서 연동관계를 선택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입력로드를 좌우 스위에 의해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2도는 제1입력로드(20A)가 제1벨크랭크(22)의 피보트핀(32)에 계지되고, 제2입력로드(20B)가 제2벨크랭크(23)의 피보트핀(34)에 계지되는 연동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는 제1입력로드(20A)가 제2벨크랭크(23)의 피보트핀(33)에 계지되고, 제2입력로드(20B)가 제3벨크랭크(24)의 피보트핀(35)에 계지되는 연동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피보트측(36B)에 장착된 너트(37)는 포오크부재(36A)를 임의의 연동관계 위치에서 부착부재(40)에 고정 할 수가 있다.
또한 피보트축(36)에 레버등을 설치하면 연동관계의 변환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한 변환조작기구(38)에는 제1입력로드(20A)와, 제2입력로드(20B)의 각각의 변위위치를 가압지지 하기 위하여 제1연동관계와 제2연동관계와의 변환에 수반하여 그 가압방향을 변경하는 가압장치(3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가압장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스프링은 입력로드의 각 변위위치에 있어서 스프링의 작용선이 상기한 피보트측에서 변위방향축으로 위치하도록, 그 일단을 상기한 부착부재(40)에 부착하고 타단을 아암부재(36C)에 부착하고 있다.
상기한 포오크부재(36A)에는 입력로드(20A)(20B)의 양측에서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부분에, 횡축심주위로 회전이 자유로운 칼러(41)를 1쌍부착하여, 제1. 제2입력로드(20A)(20B)의 상하 압인조작에 기인하는 마모를 적게하고 있다.
또한 도면중 42는 변환조작기구(38)의 변환방향을 표시하기 위하여 부착한 지시플레이트이고, 43은 너트(37)에 대한 탈락방지용 리테이너 너트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밸브조작구조에 있어서는, 연동관계를 입력로드와 벨크랭크기구의 연결위치를 변경하므로써 변화하고 있지만, 출력로드와 벨크랭크기구의 연결위치를 변동시키므로써 연동관계를 변환하는 별도의 실시예를 제6도 내지 제8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횡축심(Q)상에서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제1벨크랭크(119A), 제2벨크랭크(119B), 제3벨크랭크(119C)를 구비하고 있다.
제1벨크랭크(119A) 및 제3벨크랭크(119C)는 조작레버의 전후요동(Y-Y)에 의하여 다른 것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제2외측입력로드(117) 및 제2내측입력로드(118)를 통하여 조작레버(114)에 연결되어 있다.(제12도 참조)
제2벨크랭크(119B)는 중계로드(120')를 구성하는 입력중계로드기구(120)와, 제1입력로드(121)를 구성하는 제1로드기구를 통하여, 조작레버(114)의 축방향요동(X-X)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조작레버(114)에 연결되어 있다.
제3벨크랭크(119C)는 제1조인트(123A)를 일체로 포함하고, 제2벨크랭크(119B)는 제2조인트(123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제2밸브(V4)에 연결된 제2출력로드(112B)의 자유단은 상기한 제1.제2조인트(123A), (123B)사이에 배치되고, 제2출력로드(122B)가 피보트가능하므로 제1.제2조인트(123A), (123B)에 대하여 자유단이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벨크랭크(119B)는 또한 제3조인트(123C)를 일체로 포함하고, 제1벨크랭크(119A)는 제4조인트(123D)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제1밸브(V3)에 연결된 제1출력로드(122A)의 자유단은 제3 및 제4조인트(123C), (123D)사이에 배치되고, 제1출력로드(122A)가 피보트가능하므로 제3.제4조인트(123C)(123D)에 대하여 자유단이 이동하능하게 된다.
변환조작기구(138)는 제1연동관계 및 제2연동관계를 선택적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출력로드(122A), (122B)를 요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연동관계에 있어서, 제1출력로드(122A)는 제3조인트(123C)에 계지되어 있고, 제2출력로드(122B)는 제1조인트(123A)에 개지되어 있다.
제2연동관계에 있어서는 제1출력로드(122A)는 제4조인트(123D)에 계지되어 있고, 제2출력로드(122B)는 제2조인트(123B)에 계지되어 있다.
또한 제2 및 제3벨크랭크(119B) 및 (119C)는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제1벨크랭크(119A)상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8도-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연동관계에서 제2벨크랭크(119B)의 제3조인트(123C)에 계지하고, 또한 제2연동관계에서 제1벨크랭크(119A)의 제4조인트(123D)에 계지하는 위치결정용 제1판스프링(124A)를 제1출력로드(122A)에 설치하고, 상기한 제1연동관계에서는 제3벨크랭크(119C)의 제1조인트(123A)에 계지하고, 또한 제2연동관계에서는 제2벨크랭크(119B)의 제2조인트(123B)에 계지하는 위치결정용 제2판스프링(124B)을 제2출력로드(122B)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제1, 제2판스프링(124A)(124B)은 각각 로드(122A)(122B)에 대한 외감설치부(25)와, 좌우양측에 각각 대응하는 조인트(123)에 계지하는 계지부(126) 및 로드(122)의 요동조작에 따라서 계지부(126)를 조인트(123)에 계지안내하는 경사상의 가이드부(127)로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 제2출력로드(122A)(122B)는, 조작레버(114)의 좌우요동(X-X) 및 전후요동(Y-Y)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항상 별도로 연동하며, 또한, 제1, 제2, 제3벨크랭크(119A)(119B)(119C)를 각각 제1, 제2밸브(V3), (V4)의 어느 하나에 상시 연동시키고 있어도 좋다.
상기한 제1, 제2판스프링(124A)(124B)은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가이드부(127)대신에 손으로 잡고, 제1, 제2출력로드(122A)(122B)를 요동변환조작하기 쉽도록 바로 윗쪽에 돌출하는 협지부(128)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양로드(122A)(122B)를 요동조작하여 제1연동상태나 또는 제2연동상태로 변환함에 있어서는, 직접 로드(122A)(122B)를 가지고 조작하지 않고, 조작부재를 설치하여 양 출력로드(122A)(122B)를 변환 조작해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밸브조작부를 덮고 있는 차체커버를 개폐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상기한 제1, 제2연동관계로 변환할 수 있다.
Claims (7)
- 십자상(十字狀)으로 요동자재한 조작레버(14)와, 상기한 조작레버(14)에 연결되고 조작레버의 제1방향의 요동에 의해서 압입되는 제1입력로드장치(20A)와, 상기한 조작레버(14)에 연결되고 조작레버의 제2 방향의 요동에 의해서 압입되는 제2입력로드장치(20B)와, 제1밸브(V3)에 연결된 제1출력로드장치(28)와, 제2밸브(V4)에 연결된 제2출력로드장치(31)와, 상기한 제1.제2입력로드장치(20A), (20B)와 제1.제2출력로드장치(28), (31)사이에 설치된 연동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기구에서, 상기한 연동 변환장치는 제1출력로드장치(28)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입력로드장치(20A)와 연결가능한 제1벨크랭크기구(22)와, 제2출력로드장치(31)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입력로드장치(20A)나 또는 제2입력로드장치(20B)와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제2벨크랭크기구(23)와, 제1출력로드장치(28)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2입력로드장치(20B)와, 연결가능한 제2벨크랭크기구(24)와, 제1.제2입력로드장치를 세로측에 대하여 횡단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환조작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동변환장치는 변환조작기구의 조작에 의하여, 제2벨크랭크기구(23)에 제2입력로드장치(20B)를 연결하고, 제1벨크랭크기구(22)에 제1입력로드장치(20A)를 연결하여 조작레버(14)의 제1요동방향에의 변위를 제1밸브(V3)의 제어에 사용하고, 제2요동방향에의 변위를 제2밸브(V4)의 제어에 사용하는 제1연동관계와, 제2벨크랭크기구(23)에 제1입력로드장치(20A)를 연결하고, 제3벨크랭크기구(24)에 제2입력로드장치(20B)를 연결하여 조작레버의 제1요봉항에의 변위를 제2밸브(V4)의 제어에 사용하고 제2요동방향에의 변위를 제1밸브(V3)의 제어에 사용하는 제2연동관계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변환장치는 제1입력로드장치(20A)와 제2입력로드장치(20B)의 각각의 변위위치를 가압유지하기 위하여 제1연동관계와 제2연동관계의 변환에 수반하여 그 가압방향으로 변경하는 가압장치(3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변환조작기구는, 변환조작기구 부착부재(40)와, 각 입력로드장치를 협지하고 있는 포오크부재(36A)와, 이 포오크부재(36A)를 부착하고 있음과 아울러 각 입력로드장치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한 부착부재(40)에 설치된 피보트측(36B)주위로 요동가능한 아암부재(36C)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장치(39)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은 입력로드장치의 각 변위위치에 있어서 스프링의 작용선이 상기한 피보트측(36B)보다 변위방향측에 위치하도록, 그 일단이 상기한 부착부재(40)에 설치되고 타단이 아암부재(36C)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십자상으로 요동자재한 조작레버(114)와, 상기한 조작레버(114)에 연결되어 이 조작레버의 제1방향의 요동에 의해서 압인되는 제1입력로드장치(121)와, 상기한 조작레버(114)에 연결되어 조작레버의 제2방향의 요동에 의하여 압인되는 제2입력로드장치와, 제1밸브(V3)에 연결된 제1출력로드장치(122A)와, 제2밸브에 연결된 제2출력로드장치(122B)와, 상기한 제1.제2입력로드장치와, 제1.제2출력로드장치(122B)사이에 설치된 연동변환장치로 구성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기구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변환장치는, 제2입력로드장치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출력로드장치(122A)와 연결가능한 제1벨크랭크기구(119A)와, 제1입력로드장치(121)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1출력로드장치(122A)나 또는 제2출력로드장치(122B)와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제2벨크랭크기구(119B)와, 제2입력로드장치와 연결됨과 아울러 제2출력로드장치(122B)와 연결가능한 제3벨크랭크기구(119C)와, 제1.제2출력로드장치를 세로축에 대하여 횡단방향으로 변위시키는 변환조작기구(138)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동변환장치는 변환조작기구(138)의 조작에 의하여 제2벨크랭크기구에 제1출력로드장치(122A)를 연결하고, 제3벨크랭크기구에 제2출력로드장치(122B)를 연결하여 조작레버(114)의 제1요동방향에의 변위를 제1밸브(V3)의 제어에 사용하고, 제2요동방향에의 변위를 제2밸브(V4)의 제어에 사용하는 제1연동관계와, 제2벨크랭크기구(119B)에 제2출력로드장치를 연결하고 제1벨크랭크기구(119A)에 제1출력로드장치를 연결하여 조작레버의 제1요동방향에의 변위를 제2밸브의 제어에 사용하고 제2요동방향에의 변위를 제1밸브의 제어에 사용하는 제2연동관계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조작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변환장치에는 제1연동관계와 제2연동관계의 변환에 따라서 제1출력로드장치(122A)와 제2출력로드장치(122B)의 각각의 변위위치를 유지하는 가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장치는, 제1연동관계에 있어서 제2벨크랭크기구에 계지함과 아울러, 제2연동관계에 있어서 제1벨크랭크기구(119A)에 계지하기 위하여 제1출력로드장치(122A)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제1판스프링(124A)와, 제1연동관계에 있어서 제3벨크랭크기구(119C)에 계지함과 아울러 제2연동관계에 있어서 제2벨크랭크기구에 계지하기 위하여 제2출력로드장치(122B)에 설치된 위치결정용 제2판스프링(124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86165 | 1985-12-03 | ||
JP18616585U JPH044270Y2 (ko) | 1985-12-03 | 1985-12-03 | |
JP2995286U JPH044271Y2 (ko) | 1986-02-28 | 1986-02-28 | |
JP29952 | 1986-02-28 | ||
JP22952 | 1986-02-28 | ||
JP17212386U JPH044272Y2 (ko) | 1986-11-10 | 1986-11-10 | |
JP172123 | 1986-11-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70006287A KR870006287A (ko) | 1987-07-10 |
KR920007806B1 true KR920007806B1 (ko) | 1992-09-17 |
Family
ID=2728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60010281A KR920007806B1 (ko) | 1985-12-03 | 1986-12-02 |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4736647A (ko) |
KR (1) | KR920007806B1 (ko) |
DE (1) | DE3641203A1 (ko) |
FR (1) | FR2593619B1 (ko) |
GB (1) | GB218379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0900B1 (ko) * | 2000-10-25 | 2007-05-25 |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738281A1 (de) * | 1987-11-11 | 1989-06-01 | Heinz Schuett | Erdbewegungsgeraet |
JPH0642274Y2 (ja) * | 1988-11-01 | 1994-11-02 | 株式会社クボタ | 制御弁操作構造 |
GB8909955D0 (en) * | 1989-04-29 | 1989-06-14 | Bamford Excavators Ltd | Control lever assembly |
US5138756A (en) * | 1989-12-08 | 1992-08-18 | Ford New Holland, Inc. | Method of converting backhoe controls |
US5056985A (en) * | 1989-12-08 | 1991-10-15 | Ford New Holland, Inc. | Backhoe control mechanism |
US5125232A (en) * | 1990-05-29 | 1992-06-30 | Kubota Corporation | Control change system for a hydraulic working vehicle |
US5235811A (en) * | 1990-05-29 | 1993-08-17 | Kubota Corporation | Control change system for a hydraulic work vehicle |
US5112184A (en) * | 1990-06-11 | 1992-05-12 | Reach All | Multi-function hydraulic control handle |
US5131483A (en) * | 1991-01-28 | 1992-07-21 | Shivvers, Inc. | Single lever control |
US5360312A (en) * | 1992-07-29 | 1994-11-01 | Case Corporation | Three function control mechanism |
US5316435A (en) * | 1992-07-29 | 1994-05-31 | Case Corporation | Three function control system |
US5288198A (en) * | 1992-07-29 | 1994-02-22 | Case Corporation | Control mechanism for an off-highway implement |
US5488818A (en) * | 1993-06-28 | 1996-02-06 | The Actava Group Inc. | Lawn mower having improved trim feature |
US5511367A (en) * | 1993-06-28 | 1996-04-30 | The Actava Group, Inc. | Lawn mower having additinal improved trim featuure |
US5924516A (en) | 1996-01-16 | 1999-07-20 | Clark Equipment Company | Electronic controls on a skid steer loader |
US5887669A (en) * | 1997-05-08 | 1999-03-30 | Case Corporation | Auxiliary hydraulic control system |
US6213244B1 (en) * | 1999-10-29 | 2001-04-10 | Deere & Company | Multi function control mechanism |
US6499205B1 (en) | 2000-09-29 | 2002-12-31 | Caterpillar Inc | Method of converting a control set to obtain various control pattern configurations |
DE50113363D1 (de) * | 2000-10-20 | 2008-01-24 | Deere & Co | Bedienungselement |
FR2822859B1 (fr) * | 2001-03-29 | 2003-07-18 | Volvo Compact Equipment Sa | Engin de travaux publics polyvalent du type chargeuse- pelleteuse |
US6837124B2 (en) * | 2002-12-11 | 2005-01-04 | Tonic Fitness Technology, Inc. | Directly-driven power swing rod device without dead points |
JP4226546B2 (ja) * | 2004-03-29 | 2009-02-18 | 株式会社クボタ | 旋回作業機 |
GB0603217D0 (en) * | 2006-02-17 | 2006-03-29 | Jcb Compact Products Ltd | Control apparatus |
JP2008025161A (ja) * | 2006-07-19 | 2008-02-07 | Kubota Corp | 作業車 |
JP2008082128A (ja) * | 2006-09-29 | 2008-04-10 | Kubota Corp | ローダ作業機 |
US7849941B2 (en) * | 2006-10-10 | 2010-12-14 | Clark Equipment Company | Universal linkage assembly for a power machine |
JP5155725B2 (ja) * | 2008-04-15 | 2013-03-06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AT512500B1 (de) * | 2012-04-26 | 2013-09-15 | Wacker Neuson Linz Gmbh | Vorrichtung zum Steuern einer Arbeitsmaschine |
US9797113B2 (en) * | 2014-11-10 | 2017-10-24 | Caterpillar Inc. | Motor grader implement valve layout for narrow front cab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380607A (fr) * | 1963-10-14 | 1964-12-04 | Commande inversable de direction pour engin de travaux publics | |
US3897805A (en) * | 1972-06-23 | 1975-08-05 | Caterpillar Tractor Co | Three-way lever control for actuating a plurality of valves |
GB1510170A (en) * | 1975-12-19 | 1978-05-10 | Bamford Excavators Ltd J |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
US4185662A (en) * | 1977-06-08 | 1980-01-29 |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 Apparatus for actuating operating valve unit for winch |
DE3047553C2 (de) * | 1980-08-22 | 1984-12-20 | KUBOTA, Ltd., Osaka | Steuereinrichtung für einen Bagger |
JPS60454U (ja) * | 1983-06-11 | 1985-01-05 | 株式会社クボタ | 操作装置 |
JPS6026730A (ja) * | 1983-07-22 | 1985-02-09 | Kubota Ltd | バツクホウ作業車の操作部改造方法 |
JPS60211522A (ja) * | 1984-04-05 | 1985-10-23 | Kubota Ltd | 作業車の操作構造 |
-
1986
- 1986-11-26 GB GB8628274A patent/GB2183795B/en not_active Expired
- 1986-12-02 KR KR1019860010281A patent/KR9200078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6-12-03 FR FR8616891A patent/FR2593619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6-12-03 DE DE19863641203 patent/DE3641203A1/de active Granted
- 1986-12-03 US US06/937,504 patent/US4736647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0900B1 (ko) * | 2000-10-25 | 2007-05-25 |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8628274D0 (en) | 1986-12-31 |
DE3641203C2 (ko) | 1988-12-15 |
GB2183795B (en) | 1989-10-04 |
GB2183795A (en) | 1987-06-10 |
FR2593619B1 (fr) | 1990-02-23 |
DE3641203A1 (de) | 1987-06-04 |
KR870006287A (ko) | 1987-07-10 |
US4736647A (en) | 1988-04-12 |
FR2593619A1 (fr) | 1987-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20007806B1 (ko) |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 |
JP2585517B2 (ja) | ワイパ装置 | |
JPH03202288A (ja) | 産業用ロボツト | |
CA1232892A (en) | Mechanism for actuating a proportioning valve | |
US4646778A (en) | Valve control structure for working vehicle | |
EP0059219A1 (en) | Structure of operating section of excavating vehicle | |
KR890004697B1 (ko) | 백호우작업차용 조작밸브의 기계식 조작장치 | |
WO1990013863A1 (en) | Control lever assembly | |
US4355693A (en) | Working vehicle | |
JPH044270Y2 (ko) | ||
JP2558630Y2 (ja) | バックホーの油圧操作構造 | |
JPH044271Y2 (ko) | ||
JPH044272Y2 (ko) | ||
KR970011600B1 (ko) | 주행레버의 속도전환장치 | |
JP2624386B2 (ja) | バックホーの油圧操作構造 | |
JPH063885Y2 (ja) | バックホウ装置の左右揺動及び旋回作動切換装置 | |
KR930005857B1 (ko) | 조향클러치 전환기구의 배치구조 | |
KR100255978B1 (ko) | 크레인의 유압시스템용 다중조종장치 | |
JPH0231347Y2 (ko) | ||
JPH0521565Y2 (ko) | ||
JP2555889Y2 (ja) | バックホウの油圧操作構造 | |
JPH0745650Y2 (ja) | 作業機の操作レバー装置 | |
JPH0739725Y2 (ja) | 作業車の走行用伝動構造 | |
JPH0343522A (ja) | バックホウの操作構造 | |
CN118029482A (zh) | 一种基于单轴的机械式操纵机构及滑移装载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8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