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900B1 -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 Google Patents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900B1
KR100720900B1 KR1020010065628A KR20010065628A KR100720900B1 KR 100720900 B1 KR100720900 B1 KR 100720900B1 KR 1020010065628 A KR1020010065628 A KR 1020010065628A KR 20010065628 A KR20010065628 A KR 20010065628A KR 100720900 B1 KR100720900 B1 KR 10072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ilot
valve
port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352A (ko
Inventor
카네다토모히사
호리슈우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3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2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 B62D11/06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 B62D11/1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 B62D11/14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differential power outputs being effected by additional power supply to one side, e.g. power originating from secondary power source
    • B62D11/18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by differentially driving ground-engaging elements on opposite vehicle sides by means of a single main power source using gearings with differential power outputs on opposite sides, e.g. twin-differential or epicyclic gears differential power outputs being effected by additional power supply to one side, e.g. power originating from secondary power source the additional power supply being supplied hydraulically
    • B62D11/183Control system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의 조작성의 향상, 오퍼레이터의 부담의 경감을 도모한다.
제 1의 조작패턴(S1)으로 조작할 때에는, 제 1의 전환밸브(40)의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1의 조작패턴(S1)측으로 전환되고, 제 2의 전환밸브(140)의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1의 조작패턴(S1)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좌우 2개의 제 1의 조작장치(5L, 5R) 중의 한쪽의 조작장치(5L)로부터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좌우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3, 34)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또한 제 2의 조작패턴(S2)으로 조작할 때에는, 제 1의 전환밸브(40)의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2의 조작패턴(S2)측으로 전환되고, 제 2의 전환밸브(140)의 패턴전환용 레버 (146)가 제 2의 조작패턴(S2)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제 1의 조작장치(5L)로부터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좌측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3)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지고, 우측의 제 1의 조작장치 (5R)로부터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우측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4)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또한 제 3의 조작패턴(S3)으로 조작할 때에는, 제 1의 전환밸브(40)의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3의 조작패턴(S3)측으로 전환되고, 제 2의 전환밸브(140)의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3의 조작패턴(S3)측으로 전환되어진다. 이것에 의해서 제 1의 조작장치(5L, 5R)로부터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주행용 액추에이터(33, 34)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또한 제 2의 조작장치 (15L, 15R)로부터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작업기용 액추에이터(72, 73)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Description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CONTROL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
도 1은, 제 1의 조작패턴전환시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 2의 조작패턴전환시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 3의 조작패턴전환시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a), (b)는,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조작레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며, 조작레버의 경사이동방향에 대응시켜서 차량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주행체 구동부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제 1의 패턴전환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제 2의 패턴전환밸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제 2의 패턴전환밸브의 다른 구성예를 게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의 상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면도에 대응하는 저면도이며, 도 10에 대하여 삼각법으로 표시한 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H-H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14(a), (b), (c)는, 도 13의 A단면, B단면, C단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며, 제 1의 조작패턴전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a), (b), (c)는, 도 13의 A단면, B단면, C단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며, 제 2및 제 3의 조작패턴전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a), (b)는, 도 13의 E단면, F단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며, 제 1및 제 2의 조작패턴전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a), (b)는, 도 13의 E단면, F단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이며, 제 3의 조작패턴전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a), (b), (c), (d)는 스키드 스티어로더의 각 조작패턴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용한 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조작레버와 액추에이터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조작레버와 액추에이터의 유압회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L, 5R … 조작레버장치 6L, 6R … 조작레버
15L, (15R) … 페달장치 16L, 16R … 페달
7 … 장치본체 8 … 디스크플레이트
11∼18, 111∼114 … 파일럿관로 40, 140 … 패턴전환밸브
41∼44 … 셔틀밸브 45 … 브릿지회로
46, 146 … 패턴전환용 레버 47 … 보디
48, 148 … 피스톤 31, 32 … 주행체용 제어밸브
33, 34 … 주행용 유압펌프 35, 37 … 주행용 유압모터
36, 38 … 주행체(크롤러) 72 … 붐용 제어밸브
73 … 버킷용 제어밸브
본 발명은 조작레버, 페달 등의 조작방향과 액추에이터의 구동방향의 대응관계의 조합을 변경하는 조합 변경장치에 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셔블에서는, 상부선회체, 붐, 암,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작업기가, 오퍼레이터의 운전석의 좌우에 설치된 좌우의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된다.
좌우 2개의 조작레버의 각 조작방향과 상기 4개의 작업기의 각 작동방향과의 대응관계의 조합(이것을 이하 조작패턴이라함)은, 종래는 유압셔블의 제조회사에 따라 달랐다.
따라서 A회사제의 유압셔블의 조작에 친숙한 오퍼레이터가 다른 B회사제, C회사제의 유압셔블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가 조작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 피로가 커진다. 또한 조작패턴의 상위를 의식하여 조작해야만 하며 오퍼레이터에 커다란 부담을 주게 된다.
그래서 종래로부터 유압셔블에 있어서 조작패턴을 전환하는 조작패턴전환에 관한 발명, 고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실공평6-38935호 공보에는, 유압셔블의 조작패턴을, 압유의 경로를 전환함으로써 바꾸는 고안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스키드 스티어로더에서는, 작업기가 붐과 버킷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주행체(차륜 또는 크롤러)는 차체의 좌우 각각 설치된 좌우 2개의 주행용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된다. 좌우의 주행체가, 차체의 좌우 각각 설치된 유압 모터에 의해서 독립해서 작동된다. 차체의 좌측의 주행체는 좌측 전용으로 설치된 구동기구에 의해서 독립해서 구동되고 독립해서 변속된다. 마찬가지로 차체의 우측의 주행체는 좌측 전용으로 설치된 구동기구에 의해서 독립해서 구동되고 독립해서 변속된다. 각 구동기구는 유압펌프와 유압 모터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스키드 스티어로더에서는, 붐, 버킷, 좌우 2개의 주행체로 이루어지는 4개의 주행체, 작업기가, 오퍼레이터의 운전석의 좌우에 설치된 좌우의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작동된다.
좌우 2개의 조작레버의 각 조작방향과 상기 4개의 주행체, 작업기의 각 작동 방향과의 대응관계의 조합(조작패턴)은, 스키드 스티어로더의 제조회사에 따라 다르다. 각 조작패턴을 도 18(a), (b), (c)에 나타낸다.
도 1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의 운전석(80)의 좌우에는 좌 조작레버(6L), 우 조작레버(6R)가 설치하고 있다.
도 18(a)에 나타내는 조작패턴에서는, 좌 조작레버(6L)의 각 조작방향과 좌측 주행체의 각 작동방향(좌 주행전, 좌 주행후), 붐의 각 작동방향(붐 위, 붐 아래)가 대응함과 아울러, 우 조작레버의 각 조작방향과 우측 주행체의 각 작동방향(우측 주행전, 우측 주행후), 버킷의 각 작동방향(버킷덤프, 버킷굴삭)이 대응하고 있다. 즉 좌우의 조작레버(6L, 6R)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의 주행체가 작동된다.
도 18(b), (c)에 나타내는 조작패턴에서는, 좌 조작레버(6L)의 각 조작방향과 좌우 주행체의 각 작동방향(전진, 후진, 우선회, 좌선회)이 대응함과 아울러, 우 조작레버의 각 조작방향과 붐, 버킷의 각 작동방향(붐 위, 붐 아래, 버킷덤프, 버킷굴삭)이 대응하고 있다. 즉 좌 조작레버(6L)의 조작만으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b)에 나타내는 조작패턴에서는, 좌 조작레버(6L)가 회전조작되는 것에 따라 좌우 주행체가 선회작동되고, 우 조작레버(6R)가 회전조작되는 것에 따라 버킷이 작동된다.
도 19는 좌 조작레버(6L)의 조작만으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경우(도 18(b), (c))의 유압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 1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조작레버장치(5L)는 좌 조작레버(6L) 와, 4개의 셔틀밸브(41, 42, 43, 44)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하여 브리지 회로(45)와, 좌 조작레버(6L)와 브리지 회로(45)를 연통하는 유압관로(11, 12, 13, 14)로 이루어진다. 관로(11, 12, 13, 14)는 각각, 좌 조작레버(6L)의 전방향, 후방향, 우방향, 좌방향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신호(파일럿압)가 발생하는 관로이다,
관로(11, 12, 13, 14)는 각각, 셔틀밸브(41, 42)의 유입구, 셔틀밸브(43, 44)의 유입구, 셔틀밸브(42, 43)의 유입구, 셔틀밸브(44, 41)의 유입구로 연통되어 있다.
셔틀밸브(41, 42, 43, 44)의 각 유출구는,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포트(32F),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포트(31F),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포트(32R),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포트(31R)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에 의해서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의 용량을 변화시켜,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에 의해서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의 용량을 변화시킨다.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는 유압 모터를 개재하여 좌측 주행체를 작동시킨다.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포트(31F)에 유압신호(파일럿압)가 작용하면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의 용량이 전진측으로 변화되고, 좌측 주행체가 전진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포트(31R)에 유압신호가 작용하면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의 용량이 후진측으로 변화되고, 좌측 주행체가 후진방향으로 작동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포트(32F)에 유압신호가 작용하면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의 용량이 전진 측으로 변화되고, 우측 주행체가 전진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포트(32R)에 유압신호가 작용하면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의 용량이 후진측으로 변화되며, 우측 주행체가 후진방향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좌 조작레버(6L)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차량은 「전진」되고, 또한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차량은 「후진」되며, 또한 우방향으로 조작되면, 차량은 「우측선회」되며, 또한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차량은 「좌선회」된다.
한편, 우 조작레버장치(5R)는 우 조작레버(6R)와, 우 조작레버(6R)에 연통하는 압유관로(15, 16, 17, 18)로 이루어진다. 관로(15, 16, 17, 18)는 각각, 우 조작레버(6R)의 전방향, 후방향, 우방향, 좌방향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신호가 발생하는 관로이다.
관로(15, 16, 17, 18)는 각각,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포트(72a)의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포트(72b),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포트(73a),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포트(73b)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붐용 제어밸브(72), 버킷용 제어밸브(73)에는 작업기용 펌프(71)로부터 압유가 공급된다. 붐용 제어밸브(72), 버킷용 제어밸브(73)에 의해 제어된 압유는 각각, 붐용 유압실린더, 버킷용 유압실린더에 공급된다.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포트(72a)에 유압신호(파일럿압)가 작용하면 붐용 유압실린더가 붐하측으로 구동되고, 붐이 하측으로 작동된다. 또한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포트(72b)에 유압신호가 작용하면 붐용 유압실린더가 붐상측으로 구동되고, 붐이 상측으로 작동된다. 마찬가지로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포트(73a)의 유압신호가 작용하면 버킷용 유압실린더가 버킷덤프측으로 구동되고, 버킷이 덤프측으로 작동된다. 또한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포트(73b)에 유압신호가 작용하면 버킷용 유압실린더가 버킷굴삭측으로 구동되고, 버킷이 굴삭측으로 작동된다.
따라서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붐은 하측으로 작동되고, 또한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붐은 상측으로 작동되며, 또한 우방향으로 조작되면, 버킷은 덤프측으로 작동되고, 또한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버킷은 굴삭측으로 작동된다.
도 20은 좌우의 조작레버(6L, 6R)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경우(도 18(a))의 유압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와 공통하는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좌 조작레버(6L)와,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 붐용 제어밸브(72)는, 관로 (91, 92)에 의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관로(91)는, 좌 조작레버(6L)의 전후방향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신호가 발생하는 관로이다. 관로(92)는, 좌 조작레버(6L)의 좌우방향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신호가 발생하는 관로이다.
또한 우 조작레버(6R)와,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 버킷용 제어밸브(73)는, 관로(93, 94)에 의해서 각각 접속되어 있다. 관로(93)는, 우 조작레버(6R)의 전후방향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신호가 발생하는 관로이다. 관로(94)는, 우 조작레버(6R)의 좌우방향의 조작에 따라서 유압신호가 발생하는 관로이다.
따라서 좌 조작레버(6L)를 전방향으로 조작하면, 차량은 「좌전진」하고, 또한 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차량은 「좌후진」한다. 또한 우방향으로 조작하면, 붐이 하측으로 작동되고, 또한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붐이 상측으로 작동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차량은 「우측전진」되고, 또한 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차량은 「우후진」한다. 또한 우측 방향으로 조작하면, 버킷은 덤프측으로 작동하고, 또한 좌방향으로 조작하면, 버킷은 굴삭측으로 작동한다.
이상과 같이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에는, 한쪽의 조작레버(좌 조작레버 (6L))의 조작만으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조작패턴(이것을 제 1의 조작패턴이라함)과, 좌우의 조작레버(6L, 6R)의 양쪽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조작패턴(이것을 제 2의 조작패턴)이 있다.
또한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은, 유압셔블 등과 다르고, 주행체를 번잡하게 작동시킴이 없이 대부분 작업기를 작동하는 빈도는 적다. 따라서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면서, 페달을 밟는 조작에 의해서, 작업기를 작동시키는 조작패턴(이것을 제 3의 조작패턴이라 함)도 존재한다.
상기 일본 실공평6-38935호 공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기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조작패턴을 바꾸는 종래 기술은 존재하지만,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제 1의 조작패턴과 제 2의 조작패턴과 제 3의 조작패턴을 바꾸는 것에 관한 종래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제 1의 조작패턴과 제 2의 조작패턴과 제 3의 조작패턴의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의 조작성의 향상, 오퍼레이터의 부담의 경감을 도모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발명은,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복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 1의 조작방향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2개의 제 1의 조작장치(5L, 5R)와,
복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 2의 조작방향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2개의 제 2의 조작장치(15L, 15R)와,
차량의 좌우의 주행체마다 설치되고,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구동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좌우의 주행체를,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좌우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3, 34)와,
적어도 2개의 작업기마다 설치되고,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구동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2개의 작업기를,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적어도 2개의 작업기용 액추에이터(72, 7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및 제 2의 조작장치(5L, 5R, 15L, 15R)의 각 조작방향과, 상기 각 액추에이터(33, 34, 72, 73)의 각 구동방향과의 조합을 변경하도록 한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출력신호의 조합을 전환하는 제 1의 전환밸브(4 0)와,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출력신호의 조합을 전환하는 제 2의 전환밸브 (140)를 설치하고,
상기 제 1의 조작장치(5L, 5R)로부터 출력되는 제 1의 조작방향신호, 및 상기 제 2의 조작장치(15L, 15R)로부터 출력되는 제 2의 조작방향신호를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 및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에 입력신호로서 입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로부터 출력되는 각 출력신호중 소정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에 입력신호로서 입력하고,
삭제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의 각 출력신호 중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에 입력되는 소정의 출력신호를 제외한 출력신호, 및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의 출력신호를, 구동신호로서 상기 주행용 액추에이터(33, 34) 및 상기 작업기용 액추에이터(72, 73)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발명을 도 1, 도 2,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제 1의 전환밸브(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제 2의 전환밸브(1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1발명에 의하면, 제 1의 조작패턴(S1)으로 조작할 때에는,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전환밸브(40)의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1의 조작패턴 (S1)측으로 전환되고,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전환밸브(140)의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1의 조작패턴(S1)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2개의 제 1의 조작장치(5L, 5R) 중 어느 한쪽의 조작장치(5L)에서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좌우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3, 34)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이 때문에 한쪽의 조작레버(좌 조작레버(6L))의 조작만으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의 조작패턴(S2)으로 조작할 때에는,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전환밸브(40)의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2의 조작패턴(S2)측으로 전환되고,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전환밸브(140)의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2의 조작패턴(S2)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제 1의 조작장치(5L)에서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좌측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3)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지고, 우측의 제 1의 조작장치(5R)에서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우측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4)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이 때문에 좌우의 조작레버(6L, 6R)의 양쪽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의 조작패턴(S3)으로 조작할 때에는,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전환밸브(40)의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3의 조작패턴(S3)측으로 전환되고,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의 전환밸브(140)의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3 의 조작패턴(S3)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서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조작장치(5L, 5R)에서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주행용 액추에이터 (33, 34)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또한 제 2의 조작장치(15L, 15R)에서 출력되는 각 조작방향신호와, 작업기용 액추에이터(72, 73)의 각 구동방향이 대응되어진다. 이 때문에 조작레버(6L, 6R)의 조작에 의해, 좌우의 주행체를 작동시키면서, 좌우의 페달(16L, 16R)을 밟는 조작에 의해서, 작업기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제 1발명에 의하면, 주행체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제 1의 조작패턴(S1)과 제 2의 조작패턴(S2)과 제 3의 조작패턴(S3)으로 바꿀 수 있어,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의 조작성의 향상, 오퍼레이터의 부담의 경감이 도모된다.
또한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와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를 동일의 보디(47) 안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에 의하면,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전환밸브(40)와 제 2의 전환밸브(140)를 동일의 보디(47) 내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양 전환밸브(40, 140)를 접속하는 배관 등 각종 배관을 짧게 할 수 있고, 장소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에 있어서의 조작패턴을 변경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에서는, 작업기가 붐과 버킷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킷이 떼여지고, 커터 등의 부착물이 설치되는 것이 있다.
차량의 차체의 좌우에는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주행체(좌 크롤러)(36), 우측 주행체(우 크롤러)(38)가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주행체(36, 38)(크롤러)는 차체의 좌우 각각 설치된 좌우 2개의 주행용 유압 모터(35, 37)에 의해 작동된다 또 주행체(36, 38)는 크롤러 대신에 차륜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는 HST(하이드로·스태틱·트랜스미션 또는 정유압 구동)차를 가정하고 있다. 좌우의 주행체(36, 38)가, 차체의 좌우 각각에 설치된 유압 모터(35, 37)에 의해서 독립해서 구동된다. 차체의 좌측의 주행체(36)는 좌측 전용으로 설치된 구동기구에 의해서 독립해서 구동되고 독립해서 변속된다. 마찬가지로 차체의 우측의 주행체(38)는 우측 전용으로 설치된 구동기구에 의해서 독립해서 구동되고 독립해서 변속된다. 좌측 구동기구는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와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35)로 구성되고, 우측 구동기구는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와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37)로 구성되어 있다.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에서는, 도 18(a), (c), (d)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 버킷, 좌우 2개의 주행체(36, 38)로 이루어지는 4개의 주행체, 작업기가, 오퍼레이터의 운전석(80)의 좌우에 설치된 좌우의 조작레버(6L, 6R)의 조작 또는 좌우의 페달(16L, 16R)을 밟는 조작에 의해서 작동된다.
좌우 2개의 조작레버(6L, 6R)의 각 조작방향, 좌우 2개의 페달(16L, 16R)의 각 발밟기 조작방향과 상기 4개의 주행체, 작업기의 각 작동방향과의 대응관계의 조합(조작패턴)은, 스키드 스티어로더의 제조회사에 따라 다르다. 다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8(c)에 나타내는 제 1의 조작패턴(S1)과, 도 18(a)에 나타내는 제 2의 조작패턴(S2)과, 도 18(d)에 나타내는 제 3의 조작패턴(S3) 사이에서 전환을 행하는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좌 조작레버(6L)의 조작만으로 좌우의 주행체(36, 38)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우 조작레버(6R)의 조작만으로 붐, 버킷을 작동시키는 제 1의 조작패턴(S1) 전환시의 유압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는 좌우 조작레버(6L, 6R)의 양쪽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의 주행체(36, 38)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좌우 조작레버(6L, 6R)의 양쪽의 조작에 의해서 붐, 버킷을 조작시키는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시의 유압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좌우 조작레버(6L, 6R)의 조작에 의해서 좌우의 주행체(36, 38)를 작동시킴과 아울러, 좌우페달(16L, 16R)의 발밟기 조작에 의해서 붐, 버킷을 작동시키는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시의 유압회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조작레버장치(5L)의 요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이다.
우선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조작레버장치(5L, 5R)에 관해서 설명한다. 좌우의 조작레버장치(5L, 5R)의 구조는 같기 때문에 좌 조작레버장치(5L)를 대표로 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조작레버장치(5L)는, 장치본체(9)와, 장치본체(9)에 대하여 경사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좌 조작레버(6L)로 이루어진다. 좌 조작레버(6L)는 장치본체(9)에 대하여 프리 조인트, 디스크플레이트(8)를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장치본체(9)로부터 피스톤 앞끝이 돌출하도록 4개의 피스톤(1, 2, 3, 4)이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1, 2, 3, 4)은 장치본체(9)의 상면으로부터 봐서 정사각형의 4모서리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 조작레버(6L)가 도 4(a)의 도 중에서 전방향으로 경사이동되면 피스톤(1)이 밀려 내려간다. 피스톤(1)이 밀어 내려지면, 파일럿압유(유압신호)가 파일럿관로(11)로 출력된다. 파일럿관로(11)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압은 좌 조작레버(6L)의 경사이동량에 따른 크기로 된다.
마찬가지로 좌 조작레버(6L)가 도 4(a)의 도 중에서 후방향으로 경사이동되면 피스톤(2)이 밀려 내려간다. 피스톤(2)이 밀어 내려지면, 레버 경사이동량에 따 른 파일럿압유가 파일럿관로(12)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좌 조작레버(6L)가 도 4(a)의 도 중에서 우측 방향으로 경사이동되면 피스톤(3)이 밀어 내려진다. 피스톤 (3)이 밀려 내려지면 피스톤(3)이 밀려 내려지면, 레버 경사이동량에 따른 파일럿압유가 파일럿관로(13)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좌 조작레버(6L)가 도 4(a)의 도 중에서 좌방향으로 경사이동되면 피스톤(4)이 밀려 내려간다. 피스톤(4)이 밀려 내려가면, 레버 경사이동량에 따른 파일럿압유가 파일럿관로(14)로 출력된다.
우 조작레버장치(5R)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 후방향, 우방향, 좌방향으로 각각 조작되는 것에 따라서 피스톤(1, 2, 3, 4)이 밀려 내려가고, 레버 경사이동량에 따른 파일럿압유가 파일럿관로(15, 16, 17, 18)로 각각 출력된다.
한편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좌페달장치(15L)는, 그 페달(16L)이 전측, 후측으로 각각 발밟기 조작되면, 발밟기량에 따른 파일럿압유가 파일럿관로(111, 112)로 각각 출력된다. 우측페달장치(15R)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그 페달(16L)이 전측, 후측으로 각각 발밟기 조작되면, 발밟기량에 따른 파일럿압유가 파일럿관로 (113, 114)로 각각 출력된다.
도 1, 도 2,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 조작레버장치(5L)의 파일럿관로(11, 12, 13, 14)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1, I2, I3, I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우 조작레버장치(5R)의 파일럿관로(15, 16)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 (I5, I6)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우 조작레버장치(5R)의 파일럿관로(17, 18)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9, I1O)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좌페달장치(15L)의 파일럿관로(111, 112)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 (I12, I11)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우페달장치(15R)의 파일럿관로(113, 114)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 (I14, I1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5, E6)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7, I8)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1, E2, E3, E4)는,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 (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1R)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8, E7)는,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패턴전환밸브(140)가 출력포트(E11, E12)는,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파일럿 포트(73a), 버킷굴삭측 파일럿 포트(73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패턴전환밸브(140)가 출력포트(E9, E1O)는,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상측 파일럿 포트(172b), 부속장치 하측 파일럿 포트(172a)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붐용 제어밸브(72), 버킷용 제어밸브(73),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에는 각각, 작업기용 펌프(71)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공급된다. 붐용 제어밸브(72), 버킷용 제어밸브(73),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에서는, 파일럿 포트에 작용되는 파일럿압에 따라서, 작업기용 펌프(71)로부터 공급되는 토출압유의 방향이 제어된다. 또한, 동 토출압유의 유량이 제어된다. 붐용 제어밸브(72), 버킷용 제어밸브(73),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에 의해서 제어된 압유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붐용 유압실린더, 버킷용 유압실린더, 부속장치용 유압실린더에 공급된다.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에 출력포트(E8)를 개재하여 파일럿압(유압신호)이 작용하면 붐용 유압실린더가 붐하측으로 구동되고, 이것에 따라서 붐이 하측으로 작동된다. 또한 출력포트(E8)를 통해서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붐용 유압실린더가 붐상측으로 구동되고, 이것에 따라서 붐이 상측으로 작동된다. 마찬가지로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파일럿 포트(73a)에 출력포트(E11)를 통해서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버킷용 유압실린더가 버킷덤프측으로 구동되고, 이것에 따라서 버킷이 덤프측으로 작동된다. 또한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파일럿포트(73b)에 출력포트(E12)를 통해서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버킷용 유압실린더가 버킷굴삭측으로 구동되고, 이것에 따라서 버킷이 굴삭측으로 작동된다.
마찬가지로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하측 파일럿 포트(172a)에 출력포트(E10)를 통해서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부속장치용 유압실린더가 부속장치 하측으로 구동되고, 이것에 따라서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된다. 또한 출력포트(E9)를 통해서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상측 파일럿 포트(172b)에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부속장치용 유압실린더가 부속장치 상측으로 구동되고, 이것에 따라서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레버장치(5L, 5R)는 조작레버를 경사이동조작하는 것으로 파일럿압유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도 18(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손잡이)를 회전조작하는 것으로 파일럿압유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주행체 구동부(3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주행체 구동부(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에는, 유압펌프(39)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공급된다.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에서는, 파일럿 포트에 작용되는 파일럿압에 따라서, 유압펌프(39)로부터 공급되는 토출압유의 방향이 제어됨과 아울러, 동 토출압유의 유량이 제어된다.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에 의해서 제어된 압유는 좌펌프 용량구동용 유압실린더(74)에 공급된다. 좌펌프 용량구동용 유압실린더(74)가 구동되면,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의 용량이 변화된다.
마찬가지로,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에는, 유압펌프(39)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공급된다.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에서는, 파일럿 포트에 작용되는 파일럿압에 따라서, 유압펌프(39)로부터 공급되는 토출압유의 방향이 제어됨과 아울러, 동 토출압유의 유량이 제어된다.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에 의해서 제어된 압유는, 우펌프 용량구동용 유압실린더(75)에 공급된다. 우펌프 용량구동용 유압실린더(75)가 구동되면,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의 용량이 변화된다.
좌측 주행체(좌 크롤러)(36)는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35)가 구동되는 것에 따라 작동한다. 즉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35)는 좌측 주행체(36)를 전진 및 후진의 2진행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는 엔진(70)에 의해서 구동된다.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의 각 압유토출구는 좌측 주행용 유압 모터(35)의 각 압유 유입구에, 유압관로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 주행체(좌 크롤러)(38)는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37)가 구동되는 것에 따라 작동한다. 즉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37)는 우측 주행체(38)를 전진 및 후진의 2진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 (34)는 엔진(70)에 의해서 구동된다.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의 각 압유토출구는 우측 주행용 유압 모터(37)의 각 압유 유입구에, 유압관로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에 출력포트(E2)를 통해서 파일럿압(유압신호)이 작용하면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의 용량이 전진측으로 변화되고, 이것에 따라서 좌측 주행체(36)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된다. 또한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1R)에 출력포트 (E4)를 통해서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의 용량이 후진측으로 변화되고, 이것에 따라서 좌측 주행체(36)가 후진 R방향으로 작동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에 출력포트 (E1)를 통해서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의 용량이 전진측으로 변화되어, 우측 주행체(38)가 전진 F방향으로 작동된다. 또한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에 출력포트(E3)를 통해서 파일럿압이 작용하면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34)의 용량이 후진측으로 변화되고, 우측 주행체 (38)가 후진 R방향으로 작동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4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40)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동 도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밸브(40)는, 패턴전환용 레버(46)의 조작에 따라서 밸브위치가, 2위치로 전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패턴전환밸브(40)에는, 4개의 셔틀밸브(41, 42, 43, 44)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브리지 회로(4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패턴전환밸브(40)에는 입력포트(I1~I6) 및 출력포트 (E1∼E6)가 설치하고 있다.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조작되어, 패턴전환밸브(40)가 도 중의 좌측의 제 1의 조작패턴(S1) 전환위치에 위치되면, 입력포트(I1)가 셔틀밸브(41, 42)의 유입구로 연통되고, 입력포트(I2)가 셔틀밸브(43, 44)의 유입구로 연통되고, 입력포트 (I3)가 셔틀밸브(42, 43)의 유입구로 연통되며, 입력포트(I4)가 셔틀밸브(44, 41)의 유입구로 연통된다. 또한 셔틀밸브(41)의 유출구가 출력포트(E1)에 연통되고, 셔틀밸브(42)의 유출구가 출력포트(E2)에 연통되고, 셔틀밸브(43)의 유출구가 출력포트(E3)에 연통되며, 셔틀밸브(44)의 유출구가 출력포트(E4)에 연통된다. 또한 입력포트(I5)가 출력포트(E5)에 연통되고, 입력포트(I6)가 출력포트(E6)에 연통된다.
이것에 대하여 패턴전환용 레버(46)를 조작하고, 패턴전환밸브(40)를 도 중의 우측의 제 2의 조작패턴(S2) 및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로 하면, 입력포트(I1)가 출력포트(E2)에 접속된다. 동시에 입력포트(I2)가 출력포트(E4)에, 입력포트(I3)가 출력포트(E5)에, 입력포트(I4)가 출력포트(E6)에, 입력보트(I5)가 출력포트(E1)에, 입력포트(I6)가 출력포트(E3)에 각각 접속한다.
도 7은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140)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동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밸브(140)는, 패턴전환용 레버 (146)의 조작에 따라서 밸브위치가, 2위치로 전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패턴전환밸브(140)에는 입력포트(I7~I14) 및 출력포트(E7∼E12)가 설치하고 있다.
패턴전환용 레버(146)를 조작하여, 패턴전환밸브(140)를 도 중의 좌측의 제 1의 조작패턴(S1) 및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위치로 하면, 입력포트(I7)가 출력포트(E8)에 접속된다. 동시에 입력포트(I8)가 출력포트(E7)에, 입력포트(I9)가 출력포트(E11)에, 입력포트(I1O)가 출력포트(E12)에, 입력포트(I11)가 출력포트(E1O)에, 입력포트(I12)가 출력포트(E9)에 각각 접속한다.
이것에 대하여 패턴전환용 레버(146)를 조작하여, 패턴전환밸브(140)를 도 중의 우측의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로 하면, 입력포트(I7)가 출력포트(E1O)에 접속된다. 동시에 입력포트(I8)가 출력포트(E9)에, 입력포트(I11)가 출력포트 (E8)에, 입력포트(I12)가 출력포트(E7)에, 입력포트(I13)가 출력포트(E12)에, 입력포트(I14)가 출력포트(E11)에 각각 접속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패턴전환용 레버(46, 146)의 조작에 따라서 패턴전환밸브(40, 140)의 밸브위치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패턴의 조합의 변경을 지시하는 수단이면, 레버조작에 한정됨이 없이 스위치조작, 버튼조작 등 임의의 지시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패턴전환밸브(40, 140)은 수동조작에 따라서 작동되는 경우에 한정됨이 없이 전기신호, 유압신호 등에 따라서 작동시켜도 좋다. 가령 전환스위치가 조작된 것에 따라서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이것을 패턴전환밸브(40, 140)에 가하는 것으로 밸브위치를 전환하여도 좋다.
다음에 상기 조합 변경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1의 조작패턴(S1)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작되면, 패턴전환밸브(40)의 밸브위치는 제 1의 조작패턴(S1) 전환위치에 위치된다. 이것과 아울러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1의 조작패턴(S1)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작되면, 패턴전환밸브(140)의 밸브위치는 제 1의 조작패턴(S1) 전환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의 유압회로가 도 1에 나타내진다.
즉 좌 조작레버장치(5L)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11, 12, 13, 14)가, 셔틀밸브(41, 42), 셔틀밸브(43, 44), 셔틀밸브(42, 43), 셔틀밸브(44, 41)의 유입구에 각각 접속된다. 또한 셔틀밸브(41, 42, 43, 44)의 유출구가 좌우의 주행체용 제어밸브(31, 32)의 파일럿 포트(32F, 31F, 32R, 31R)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좌 조작레버(6L)의 조작만으로, 좌우의 주행체(36, 38)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좌 조작레버(6L)를 전방향으로 조작하면 피스톤(1)만을 밀어 내린다. 따라서 파일럿관로(11)에만 파일럿압이 발생한다.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 (40)의 입력포트(I1), 2개의 셔틀밸브(41, 42)의 유입구, 셔틀밸브(41, 42)의 유출구,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1, E2)를 경유하여, 좌우의 주행체용 제어밸브 (31, 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 31F)에 작용한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는 동 속도로 전진방향(F)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를 후방향으로 조작하면 피스톤(2)만을 밀어 내린다. 따라서, 파일럿관로(12)에만 파일럿압이 발생한다.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2), 2개의 셔틀밸브(43, 44)의 유입구, 셔틀밸브(43, 44)의 유출구,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3, E4)를 경유하여, 좌우의 주행체용 제어밸브(31, 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 31R)에 작용한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는 동 속도로 후진방향(R)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를 우측 방향으로 조작하면 피스톤(3)만을 밀어 내린다. 따라서, 파일럿관로(13)에만 파일럿압이 발생한다.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 (40)의 입력포트(I3), 2개의 셔틀밸브(42, 43)의 유입구, 셔틀밸브(42, 43)의 유출구,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2, E3)를 경유하여,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 (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에 작용한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는 각각 동 속도로 전진방향 (F), 후진방향(R)으로 작동한다. 이 동작은 일반적으로 우측 초신지선회 또는 우측 스핀턴(spin turn)이라고 불린다.
또한 좌 조작레버(6L)를 좌방향으로 조작하면 피스톤(4)만을 밀어 내린다. 따라서, 파일럿관로(14)에만 파일럿압이 발생한다.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4), 2개의 셔틀밸브(44, 41)의 유입구, 셔틀밸브(44, 41)의 유출구,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4, E1)를 경유하여,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1R),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에 작용한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는 각각 동 속도로 후진방향(R), 전진방향(F)으로 작동한다. 이 동작은 일반적으로 좌측 초신지선회 또는 좌측 스핀턴이라고 불린다.
다음에 좌 조작레버(6L)를 우측 경사 전방향, 즉 전방향과 우측 방향의 사이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를 말한다.
좌 조작레버(6L)를 기울임으로써, 좌 조작레버장치(5L)의 피스톤(1)과 피스톤(3)을 밀어 내린다. 피스톤(1)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관로(11)를 통해서 2개의 셔틀밸브(41, 42)에 작용한다. 피스톤(3)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관로(13)를 통해서 2개의 셔틀밸브(42, 43)에 작용한다. 이 때, 셔틀밸브(42)는, 관로(11)와 관로(13) 중 어느 하나의 높은 쪽의 압력을 출력한다. 출력된 파일럿압은 좌측 주행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에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좌측 주행용 유압펌프(33)는 전진방향으로 용량이 제어되어, 좌측 주행체는 전진한다.
셔틀밸브(41)는 관로(11)의 파일럿압을 우측 주행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로 출력한다.
셔틀밸브(43)는 관로(13)의 파일럿압을 우측 주행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R)로 출력한다.
이 때 우측 주행용 제어밸브는 전진후진의 어디로도 파일럿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관로(11)와 관로(13)의 차압에 따라서 전진방향 또는 정지, 후진방향으로 우측 주행용 유압펌프의 용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좌측 주행체(36)의 속도는, 관로(11)와 관로(13) 중 어느 하나의 높은 쪽의 압력으로 정해진다. 또한 우측 주행체(38)의 속도는, 관로(11)와 관로(13)의 차압에 따라서 정한다. 따라서 항상 좌측 주행체(36)의 속도가 능가한다. 이것으로부터 차량은 우측전방향으로 선회주행한다. 선회의 크기는 관로(11)와 관로 (13)의 차압, 요컨대 좌 조작레버(6L)의 경사이동방향으로 의해서 정해진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레버를 우측앞 45도방향으로 쓰러 뜨렸을 때, 관로(11)와 관로(13)의 출력압을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 우측경사앞 45도방향으로 쓰러 뜨렸을 때 우측 주행체(38)는 정지하여, 좌측 주행체(36)만이 전진한다.
좌 조작레버(6L)를 좌경사 앞방향으로 기울인 경우는, 마찬가지의 작동에 의해 차량은 좌측 앞방향으로 선회주행한다.
좌 조작레버(6L)를 우측경사 뒤방향으로 기울인 경우는 마찬가지의 작동에 의해 차량은 좌측 뒤방향으로, 좌측경사 좌방향으로 기울인 경우는 우측뒤방향으로 선회주행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장치(5R)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15, 16, 17, 18)는, 붐용 제어밸브(72), 버킷용 제어밸브(73)의 파일럿 포트(72a, 72b, 73a, 73b)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우 조작레버(6R)의 조작만으로, 붐, 버킷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5)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5), 출력포트(E5),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7), 출력포트(E8)를 경유하여,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붐이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6)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6), 출력포트(E6),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8), 출력포트(E8)를 경유하여,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붐이 상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7)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9), 출력포트(E11)를 경유하여,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파일럿 포트(73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버킷이 덤프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8)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O), 출력포트(E12)를 경유하여,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파일럿 포트(73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버킷이 굴삭측으로 작동한다.
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좌페달(16L)이 뒤측으로 발밟기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12)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1), 출력포트(E1O)를 경유하여,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하측 파일럿포트(172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페달(16L)이 전측으로 발밟기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11)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2), 출력포트(E9)를 경유하여,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상측 파일럿 포트(172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한다.
다음에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2의 조작패턴(S2)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작되고, 또한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2의 조작패턴(S2)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작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때 패턴전환밸브(40)의 밸브위치는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패턴전환밸브(140)의 밸브위치는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의 유압회로를 도 2에 나타낸다.
즉 좌 조작레버장치(5L)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11, 12, 13, 14)가, 브리지 회로(45)를 개재함이 없이,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파일럿 포트(31F, 31R), 붐용 제어밸브(72)의 파일럿 포트(72a, 72b)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좌 조작레버(6L)의 조작에 의해서, 좌측 주행체(36)와 붐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우 조작레버장치(5R)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I5, I6, 17, 18)가,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파일럿 포트(32F, 32R), 버킷용 제어밸브(73)의 파일럿 포트(73a, 73b)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우 조작레버(6R)의 조작에 의해서, 우측 주행체(38)와 버킷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좌 조작레버(6L)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1)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1), 출력포트(E2)를 경유하여,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전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2)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2), 출력포트(E4)를 경유하여,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포트(31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후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3)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3), 출력포트(E5), 패턴전환밸브 (140)의 입력포트(I7), 출력포트(E8)를 경유하여,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붐이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4)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4), 출력포트(E6),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8), 출력포트(E7)를 경유하여,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붐이 상측으로 작동한다.
한편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5)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5), 출력포트(E1)를 경유하여,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 (38)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고, 차량은 우측전진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6)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6), 출력포트(E3)를 경유하여,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 (38)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후진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7)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9), 출력포트(E11)를 경유하여,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파일럿 포트(73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버킷이 덤프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8)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O), 출력포트(E12)를 경유하여,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파일럿 포트(73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버킷이 굴삭측으로 작동한다.
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의 경우와 같이, 좌페달(16L)이 뒤측으로 발밟기 조작되면,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하고, 좌페달(16L)이 전측으로 발밟기 조작되면,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시에는, 좌우의 조작레버(6L 6R)의 양쪽의 조작에 의해서 차량의 전후진, 전진좌우선회, 후진좌우선회, 좌우초신지선회가 실현된다.
다음에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제 3의 조작패턴(S3)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작되고, 또한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제 3의 조작패턴(S3)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조작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때 패턴전환밸브(40)의 밸브위치는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에 위치되고, 또한 패턴전환밸브(140)의 밸브위치는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의 유압회로를 도 3에 나타낸다.
즉 좌 조작레버장치(5L)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11, 12)가, 브릿지회로(45)를 개재함이 없이,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파일럿 포트(31F, 31R)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좌 조작레버(6L)의 조작에 따라서, 좌측 주행체(36)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우 조작레버장치(5R)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15, 16)가,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파일럿 포트(32F, 32R)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우 조작레버 (6R)의 조작에 의해서, 우측 주행체(38)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좌페달장치(15L)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111, 112)가, 붐용 제어밸브 (72)의 파일럿 포트(72b, 72a)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좌페달(16L)의 발밟기 조작에 의해서, 붐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우측페달장치(15R)에 접속되는 파일럿관로(13, 114)가, 버킷용 제어밸브(73)의 파일럿 포트(73a, 73b)에 각각 접속된다. 이 때문에 우측페달(16R)의 발 밟기 조작에 의해서, 버킷을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좌 조작레버(6L)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1)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1), 출력포트(E2)를 경유하여,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전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2)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2), 출력포트(E4)를 경유하여,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1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후진한다.
한편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5)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5), 출력포트(E1)를 경유하여,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 (38)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전진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6)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6), 출력포트(E3)를 경유하여,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38)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후진한다.
또한 좌페달(16L)이 뒤측으로 발밟기 되면, 파일럿관로(112)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1), 출력포트(E8)를 경유하여,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붐이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페달(16L)이 전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1)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2), 출력포트(E7)를 경유하여,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붐이 상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측페달(16R)이 뒤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4)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3) 출력포트(E12)를 경유하여,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파일럿 포트(73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버킷이 굴삭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측페달(16R)이 전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3)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4), 출력포트(E11)를 경유하여,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파일럿 포트(73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버킷이 덤프측으로 작동한다.
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좌 조작레버(6L)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3)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3), 출력포트(E5),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7), 출력포트(E1O)를 경유하여,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하측 파일럿 포트(172a)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4)에서 발생한 파일럿압은,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4), 출력포트(E6),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8), 출력포트(E9)를 경유하여,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상측 파일럿 포트(172b)에 작용된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한다.
이상과 같게 하여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시에는, 좌우의 조작레버(6L, 6R)의 양쪽의 조작에 의해서 차량의 전후진, 전진좌우선회, 후진좌우선회, 좌우초신지선회가 실현됨과 아울러, 좌우의 페달(16L, 16R)의 양쪽의 발밟기 조작에 의해서 붐의 올림, 내림 동작, 버킷의 굴삭, 덤프동작이 실현된다.
이상과 같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행체(36, 38), 붐, 버킷 등의 작업기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제 1의 조작패턴(S1)과 제 2의 조작패턴(S2)과 제 3의 조작패턴(S3)으로 전환할 수 있고,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의 조작성의 향상, 오퍼레이터의 부담의 경감이 기도된다.
다음에 패턴전환밸브(40, 140)의 구체적 구성예에 관해서 도 9∼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패턴전환밸브(40, 1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전환밸브(40, 140)는 동일의 보디(47) 내에 설치되어 있다.
패턴전환밸브(40)는,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접속하고 있는 원통형상의 피스톤(48)과, 보디(47)로 이루어진다. 패턴전환밸브(140)는,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접속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피스톤(148)과, 보디(47)로 이루어진다. 보디(47)는 피스톤(48, 148)을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의 기능을 보유한다. 보디(47)는, 보디 상부(47A), 보디 중앙부(47C), 보디 하부(47B)의 3개의 구성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보디 상부(47A)에 패턴전환용 레버(46)가 설치되어 있고, 보디 하부(47B)에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40, 140)의 상면도이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 상부(47A)에는 입력포트(I1, I2, I3, I4, I5, I6)가 형성되어 있다. 패턴전환용 레버(46)는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도 중 좌방향과, 이것과는 반대측의 화살표(A2)로 나타내는 도 중 우측 방향으로 조작할 수가 있다. 패턴전환용 레버(46)가 A1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6에 나타내는 제 1의 조작패턴(S1) 전환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패턴전환용 레버(46)가 A2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6에 나타내는 제 2의 조작패턴(S2) 및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로 전환된다.
도 11은 도 10의 상면도에 대응하는 저면도이며 도 10에 대하여 삼각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 하부(47B)에는 출력포트(E8, E8, E9, E1O, E11, E12)가 형성되어 있다. 패턴전환용 레버(146)는 화살표(A3)에 나타내는 도 중 우측 방향과, 이것과는 반대측의 화살표(A4)에 나타내는 도 중 좌측방향으로 조작할 수가 있다.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A3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1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7에 나타내는 제 1의 조작패턴(S1) 및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위치로 전환된다. 또한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A4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1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7에 나타내는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로 전환된다.
도 12는 도 10의 H-H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 상부(47A), 보디 중앙부(47C), 보디 하부(47B)는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패턴전환용 레버(46)는 피스톤(48)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피스톤(48) 내에는 4개의 셔틀밸브(41, 42, 43, 44)를 고리형상으로 접속한 브리지 회로(45)가 설치되어 있다. 패턴전환용 레버(146)는 피스톤(148)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3은 도 9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40, 140)의 측면도이며, 도 12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도이다. 보디(47)의 보디 중앙부(47C)에는 입력포트(I9, I1O, I11, I12, I13, I14), 출력포트(E1, E2, E3, E4, E5, E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a)는 도 1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4(b)은 도 13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4(c)는 도 13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제 1의 조작패턴(S1)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15(a)는 도 1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5(b)는 도 13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5(c)는 도 13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제 2의 조작패턴(S2), 제 3의 조작패턴(S3)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4(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A 단면에서는, 입력포트(I1, I2, I3, I4)가 관로(50, 83, 82, 84)를 개재하여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또한 셔틀밸브(41, 42)의 유입구(51), 셔틀밸브(42, 43)의 유입구(85), 셔틀밸브(43, 44)의 유입구(86), 셔틀밸브(44, 41)의 유입구(87)가 각각, 피스톤(48)의 외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셔틀밸브(41)는 볼(41a)의 양끝에 가해지는 압유 중 고압측을 유출시키도록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셔틀밸브(42, 43, 4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셔틀밸브(41)의 볼(41a)의 하면에는 셔틀밸브(41)의 유출구(53)가 형성되어 있다(도 14(b)참조). 유출구(53)는 볼(41a)의 하면에서 보디 중앙부(47C)의 C단면에 이르는 위치까지 아래쪽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도 14(c)참조). 볼(41)의 작동에 따라 유출구(53)에 압유를 유출한다. 다른 셔틀밸브(42, 43, 44)의 볼(42a, 43a, 44a)의 하면에도 마찬가지로 하여 유출구(55, 57, 58)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B-B 단면의 구성에 관해서 도 1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B 단면에서는, 보디(47)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인접하는 입력포트(I1), 관로(156)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90, 56)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스톤(48)의 외벽면에는 이들 입력포트(I1), 관로(156)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디(47)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입력포트(I2), 관로(158)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81, 60)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스톤(48)의 외벽면에는 이들 입력포트(I2), 관로(158)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5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47)측의 입력포트(I5), 관로(188)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61, 188a)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스톤(48)에는 이들 입력포트(I5), 관로(188)를 연통하는 형상의 관로(88)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디(47)측의 입력포트(I6), 관로(189)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64, 189a)를 개재하여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스톤(48)에는 이들 입력포트(I6), 관로(189)를 연통하는 형상의 관로(89)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C-C 단면의 구성에 관해서 도 1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 도 14(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I5), 입력포트(I7), 입력포트(I3)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161, 63, 67)를 개재하여 각각 연통되어 있다. 피스톤(48)의 외벽면에는, 인접하는 입력포트(I5), 입력포트(I7)끼리를, 또는 인접하는 입력포트(I7), 입력포트(I3)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포트(I7)는 출력포트(E5)에 연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I6), 입력포트(I8), 입력포트 (I4)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164, 66, 68)를 개재하여 각각 연통되어 있다. 피스톤(48)의 외벽면에는, 인접하는 입력포트(I6), 입력포트(I8)끼리를 또는 인접하는 입력포트(I8), 입력포트(I4)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포트(I8)는 출력포트(E6)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보디(47)측의 출력포트(E1)는 관로(188)에 연통되어 있다. 출력포트 (E1)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54)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스톤 (48)의 외벽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관로(54)에 연통하는 노치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53a)는 셔틀밸브(41)의 유출구(53)에 연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보디(47)측의 출력포트(E3)는 관로(189)에 연통되어 있다. 출력포트(E3)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59)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 스톤(48)의 외벽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관로(59)에 연통하는 노치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57a)는 셔틀밸브(43)의 유출구(57)에 연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보디(47)측의 출력포트(E2)는 관로(156)에 연통되어 있다. 출력포트(E2)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256)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스톤(48)의 외벽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관로(256)에 연통하는 노치부(155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55a)는 셔틀밸브(42)의 유출구(55)에 연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보디(47)측의 출력포트(E4)는 관로(158)에 연통되어 있다. 출력포트(E4)는, 피스톤(48)의 외벽면에 관로(160)를 통해서 연통되어 있다. 한쪽 피스톤(48)의 외벽면의 대향하는 위치에는, 관로(160)에 연통하는 노치부(158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158a)는 셔틀밸브(44)의 유출구(58)에 연통되어 있다.
도 16(a)은 도 13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6(b)은 도 13의 F-F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제 1의 조작패턴(S1), 제 2의 조작패턴(S2)으로 전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17(a)는 도 13의 E-E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며, 도 17(b)은 도 13의 F-F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제 3의 조작패턴(S3)에 전환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16(a), 도 17(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E-E 단면에서는,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출력포트(E8), 입력포트(I7)끼리 또는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 (I7), 출력포트(E1O)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201)가, 피스톤(148)의 외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출력포트(E7), 입력포트(I8)끼리 또는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I8), 출력포트(E9)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 (202)가, 피스톤(148)의 외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48)의 외벽면에는,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I12), 출력포트(E7)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48)에는, 노치부(205)에 연통함과 아울러 보디(47)측의 출력포트(E9)에 연통하는 형상의 관로(206)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피스톤(148)의 외벽면에는,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 (I11), 출력포트(E8)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148)에는, 노치부(207)에 연통함과 아울러 보디(47)측의 출력포트(E1O)에 연통하는 형상의 관로(208)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F-F 단면의 구성에 관해서 도 16(b), 도 17(b)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피스톤(148)의 외벽면에는,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I10), 출력포트 (E12)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48)에는, 노치부(203)에 연통함과 아울러 보디(47)측의 입력포트(I13)에 연통하는 형상의 관로 (203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피스톤(148)의 외벽면에는, 보디(47)측의 인접하는 입력포트 (I9), 출력포트(E11)끼리를 연통하는 폭의 노치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 (148)에는, 노치부(204)에 연통함과 아울러 보디(47)측의 입력포트(I14)에 연통하는 형상의 관로(204a)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패턴전환밸브(40, 14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패턴전환용 레버(46)가 A1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14에 나타내는 제 1의 조작패턴(S1) 전환위치로 전환되어진다. 동시에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A3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1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16에 나타내는 제 1의 조작패턴(S1) 전환위치로 전환되어진다.
이 때 좌 조작레버(6L)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1)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1)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50)를 통해서 피스톤(48)측의 셔틀밸브(41, 42)의 유입구 (51)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셔틀밸브(41)의 볼(41a)이 작동된다. 또한 셔틀밸브 (42)의 볼(42a)이 작동된다. 이 때문에 셔틀밸브(41, 42)의 각 유출구(53, 55)로 파일럿압유가 유출된다(도 14(a), (b)참조).
셔틀밸브(41)의 유출구(53)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 (53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54)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 (54)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1)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셔틀밸브(42)의 유출구(55)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155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 (256)로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256)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2)로부터 유출된다(도 14(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1, E2)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우의 주행체용 제어밸브(31, 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 31F)에 각각 가해진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가 동 속도로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고, 차량은 전진(직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2)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2)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83)를 통해서 피스톤(48)측의 셔틀밸브(43, 44)의 유입구(86)에 유입된다. 이 결과 셔틀밸브(43, 44)의 볼(43a, 44a)이 마찬가지로 하여 작동된다. 이 때문에 셔틀밸브(43, 44)의 각 유출구(57, 58)로 파일럿압유가 유출된다(도 14(a), (b)참조).
셔틀밸브(43)의 유출구(57)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 (57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59)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 (59)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3)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셔틀밸브(44)의 유출구(58)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158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 (160)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160)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4)로부터 유출된다(도 14(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3, E4)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우의 주행체용 제어밸브(31, 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 31R)에 각각 가해진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가 동 속도로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고, 차량은 후진(직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3)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82)를 통해서 피스톤(48)측의 셔틀밸브(42, 43)의 유입구(85)에 유입된다. 이 결과 셔틀밸브(42, 43)의 볼(42a, 43a)이 마찬가지로 하여 작동된다. 이 때문에 셔틀밸브(42, 43)의 각 유출구(55, 57)로 파일럿압유가 유출된다(도 14(a), (b)참조).
셔틀밸브(42)의 유출구(55)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 (155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256)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256)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2)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셔틀밸브(43)의 유출구(57)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57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 (59)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59)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3)로부터 유출된다(도 14(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2, E3)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에 각각 가해진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가 각각 동 속도로 전진방향(F),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선회(우측 스핀턴 또는 우측 초신지선회)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4)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4)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84)를 통해서 피스톤(48)측의 셔틀밸브(44, 41)의 유입구 (87)에 유입된다. 이 결과 셔틀밸브(44, 41)의 볼(44a, 41a)이 마찬가지로 하여 작동된다. 이 때문에 셔틀밸브(44, 41)의 각 유출구(58, 53)로 파일럿압유가 유출된다(도 14(a), (b)참조).
셔틀밸브(44)의 유출구(58)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 (158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160)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160)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4)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셔틀밸브(41)의 유출구 (53)로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48)측의 노치부(53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54)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54)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1)로부터 유출된다(도 14(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4, E1)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1R),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에 각각 가해진다. 이 결과 좌우의 주행체(36, 38)가 각각 동 속도로 후진방향(R),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선회(좌 스핀턴 또는 좌측 초신지선회)한다.
한편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5)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5)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161), 피스톤(48)측의 노치부(62)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63)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63)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5)로부터 출력됨과 아울러, 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7)에 입력된다(도 14(c) 참조).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7)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1)를 통해서, 전환밸브(140)가 출력포트(E8)로부터 유출된다 (도 16(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8)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붐이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6)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6)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164), 피스톤(48)측의 노치부(65)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66)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관로(66)를 통과하여 출력포트 (E6)로부터 유출됨과 아울러, 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8)에 입력된다(도 14(c)참조).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8)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2)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7)로부터 유출된다 (도 16(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7)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붐이 상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7)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9)에 유입된다.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9)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 (204)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1)로부터 유출된다(도 16(b)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1)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파일럿 포트(73a)에 가해진다. 이 결과 버킷이 덤프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8)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0)에 유입된다.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10)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3)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2)로부터 유출된다(도 16(b)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2)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파일럿 포트(73b)에 가해진다. 이 결과 버킷이 굴삭측으로 작동한다.
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좌페달(16L)이 전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1)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2)에 유입된다.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12)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5), 관로(206)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9)로부터 유출된다(도 16(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9)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상측 파일럿 포트(172b)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페달(16L)이 뒤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2)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1)에 유입된다.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11)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7), 관로(208)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0)로부터 유출된다(도 16(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O)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하측 파일럿 포트(172a)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한다.
다음에 패턴전환용 레버(46)가 A2방향으로 조작되어,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A3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패턴전환용 레버(46)가 A2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15에 나타내는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위치로 전환되어진다.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A3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 (1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고, 도 16에 나타내는 제 2의 조작패턴(S2) 전환위치로 전환되어진다.
이 때 도 15(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전환밸브브(40)의 각 입력포트(I1∼I4)는 셔틀밸브(41∼44)에 연통하지 않는 위치로 된다.
좌 조작레버(6L)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1)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1)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90), 피스톤(48)측의 노치부(55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 (56)에 유입된다. 관로(56)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56)를 통과하고 출력포트 (E2)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2)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전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2)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2)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81), 피스톤(48)측의 노치부(58a)를 통하여 보디(47)측의 관로(60)에 유입된다. 관로(60)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58)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4)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4)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1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후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3)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7), 피스톤(48)측의 노치부(62)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63)에 유입된다. 관로(63)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출력포트(E5)로부터 출력됨과 아울러 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7)에 입력된다(도 15(c)참조).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7)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1)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8)로부터 유출된다 (도 16(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8)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붐이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4)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4)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8), 피스톤(48)측의 노치부(65)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66)에 유입된다. 관로(66)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출력포트(E6)로부터 유출됨과 아울러 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8)에 입력된다(도 15(c)참조).
도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8)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2)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7)로부터 유출된다 (도 16(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7)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붐이 상측으로 작동한다.
한편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5)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5)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1), 피스톤(48)측의 관로(88)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188a)에 유입된다. 관로(188a)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88)를 통과하고 출력포트(E3)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1)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38)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전진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6)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6)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4), 피스톤(48)측의 관로(89)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189a)에 유입된다. 관로(189a)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89)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3)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3)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2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38)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후진한다.
또 우 조작레버(6R)가 우측 방향, 좌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은, 이미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부속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좌페달(16L)이 전방향, 후방향으로 발밟기 조작되었을 때의 동작은, 이미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패턴전환용 레버(46)가 A2방향으로 조작되어,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A4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패턴전환용 레버(46)가 A2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어, 도 15에 나타내는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로 전환되어진다. 패턴전환용 레버(146)가 A4방향으로 조작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 (148)의 상대회전위치가 변화되어, 도 17에 나타내는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로 전환되어진다.
이 때 도 15(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턴전환밸브(40)의 각 입력포트 (I1∼I4)는 셔틀밸브(41∼44)에 연통하지 않은 위치로 된다.
좌 조작레버(6L)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1)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1)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90), 피스톤(48)측의 노치부(55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 (56)에 유입된다. 관로(56)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56)를 통과하여 출력포트 (E2)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2)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1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전진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2)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12)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81), 피스톤(48)측의 노치부(58a)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60)에 유입된다. 관로(60)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58)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4)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4)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좌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1)의 후진측 파일럿 포트(31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좌측 주행체(36)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좌후진한다.
한편 우 조작레버(6R)가 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5)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5)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1), 피스톤(48)측의 관로(88)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188a)에 유입된다. 관로(188a)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88)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1)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1)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전진측 파일럿 포트(32F)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38)가 전진방향(F)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전진한다.
또한 우 조작레버(6R)가 후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6)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6)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4), 피스톤(48)측의 관로(89)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189a)에 유입된다. 관로(189a)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관로(189)를 통과하여 출력포트(E3)로부터 유출된다(도 15(b), (c)참조).
패턴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3)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우측 주행체용 제어밸브(32)의 후진측 파일럿포트(32R)에 작용된다. 이 결과 우측 주행체(38)가 후진방향(R)으로 작동되어, 차량은 우측후진한다.
또한 좌페달(16L)이 전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1)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2)에 유입된다.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12)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5)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7)로부터 유출된다 (도 17(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7)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붐용 제어밸브(72)의 붐상측 파일럿 포트(72b)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붐이 상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페달(16L)이 뒤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2)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1)에 유입된다.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11)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7)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8)로부터 유출된다 (도 17(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8)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붐용 제어밸브(72)의 붐하측 파일럿 포트(72a)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붐이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측페달(16R)이 전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4)에 유입된다.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14)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관로(204a), 노치부(204)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1)로부터 유출된다(도 17(b)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1)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덤프측 파일럿 포트(73a)에 가해진다. 이 결과 버킷이 덤프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우측페달(16R)이 뒤측으로 발밟기되면, 파일럿관로(114)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13)에 유입된다.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13)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관로(203a), 노치부(203)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2)로부터 유출된다(도 17(b)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2)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버킷용 제어밸브(73)의 버킷굴삭측 파일럿보트(73b)에 가해진다. 이 결과 버킷이 굴삭측으로 작동한다.
부속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좌 조작레버(16L)가 우측 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3)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3)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7), 피스톤(48)측의 노치부(62)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63)에 유입된다. 관로(63)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출력포트(E5)로부터 출력됨과 아울러 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7)에 입력된다(도 15(c)참조).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7)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1)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O)로부터 유출된다(도 17(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1O)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하측 파일럿포트(172a)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좌 조작레버(6L)가 좌방향으로 조작되면, 파일럿관로(14)로부터 출력된 파일럿압유는, 패턴전환밸브(40)의 입력포트(I4)에 유입된다. 이 때문에 파일럿압유는 보디(47)측의 관로(68), 피스톤(48)측의 노치부(65)를 통해서 보디(47)측의 관로(66)에 유입된다. 관로(66)에 유입된 파일럿압유는 출력포트(E6)로부터 유출됨과 아울러 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8)에 입력된다(도 15(c)참조).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포트(I8)에 입력된 파일럿압유는, 피스톤(148)측의 노치부(202)를 통해서, 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9)로부터 유출된다 (도 17(a)참조).
패턴전환밸브(140)의 출력포트(E9)로부터 유출된 파일럿압유는, 부속장치용 제어밸브(172)의 부속장치 상측 파일럿 포트(172b)에 가해진다. 이 결과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한다.
이상과 같게 도 9 ∼ 도 17에 나타내는 패턴전환밸브(40, 140)에 의하면, 보디(47)에 대한 피스톤(48, 148)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킨다라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제 1의 조작패턴(S1)과 제 2의 조작패턴(S2)과 제 3의 조작패턴(S3)의 사이에서 전환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환밸브(40), 전환밸브(140)를 동일 보디(47) 내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양 전환밸브(40, 140)를 접속하는 관로, 즉 전환밸브(40)의 출력포트(E5, E6)를 각각 전환밸브(140)의 입력포트(I7, I8)에 접속하는 관로를, 보디(47) 내에 형성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전환밸브(40, 140)의 장소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또 피스톤(48, 148)은 보디(47)에 대한 상대위치가 변화되는 것이면 좋고, 원통형상에 한정됨이 없이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피스톤(48, 148)을 원통형상으로 하면, 피스톤(48, 148)을 회전조작한다라는, 보다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작패턴의 전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패턴전환밸브(40, 140)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의 조작패턴(S1, S2)의 경우에, 부속장치를, 좌페달(16L)의 발밟기 조작으로, 작동시킴과 아울러, 제 3의 조작패턴(S3)의 경우에, 부속장치를, 좌 조작레버(6L)의 조작으로, 작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제 1, 제 2의 조작패턴(S1, S2)의 경우에, 부속장치를, 우측 레버(6R)의 발밟기 조작으로, 작동시킴과 아울러, 제 3의 조작패턴(S3)의 경우에, 부속장치를, 우 조작레버 (6R)의 조작으로,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환밸브(140)를,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하면 좋다.
도 8에 나타내는 전환밸브(140)에 의하면, 제 1, 제 2의 조작패턴(S1, S2) 전환위치로 전환되면, 우측페달(16R)의 전측의 발밟기 조작으로,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하고, 우측페달(16R)의 뒤측의 발밟기 조작으로,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한 제 3의 조작패턴(S3) 전환위치로 전환되면 우 조작레버(6R)의 우측 방향으로의 조작으로, 부속장치가 상측으로 작동하고, 우 조작레버(6R)의 좌방향으로의 조작으로, 부속장치가 하측으로 작동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각 조작레버(6L, 6R), 페달(16L, 16R)의 각 조작방향과 주행체, 붐, 버킷, 부속장치의 각 작동방향의 조합은 일예이며,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조합 이외의 임의의 조합을 적당 선택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조작패턴으로 전환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지만 전환밸브(40)의 2개의 전환위치, 전환밸브(140)의 2개의 전환위치의 각 조합을 전부 이용하여, 4개의 조작패턴으로 전환되는 실시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기의 종류가 붐, 암, 부속장치의 3종류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지만, 작업기의 종류가 더 증가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전환밸브(40, 140)의 전환위치를 3이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더 많은 조작패턴으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환밸브(40, 140)에 대하여 추가로 마찬가지의 전환밸브를 마찬가지의 접속형태로 추가함으로써, 더 많은 조작패턴으로 전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 1의 조작패턴과 제 2의 조작패턴과 제 3의 조작패턴의 전환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스키드 스티어로더 등의 차량의 조작성의 향상, 오퍼레이터의 부담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2)

  1. 복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 1의 조작방향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2개의 제 1의 조작장치(5L, 5R);
    복수의 조작방향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 2의 조작방향신호를 출력하는 좌우 2개의 제 2의 조작장치(15L, 15R);
    차량의 좌우의 주행체마다 설치되고,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구동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좌우의 주행체를,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좌우의 주행용 액추에이터(33, 34); 및
    2개이상의 작업기마다 설치되고,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구동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2개이상의 작업기를,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2개이상의 작업기용 액추에이터(72, 73)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조작장치(5L, 5R, 15L, 15R)의 각 조작방향과, 상기 각 액추에이터 (33, 34, 72, 73)의 각 구동방향의 조합을 변경하도록 한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출력신호의 조합을 전환하는 제 1의 전환밸브(40)와, 복수의 입력신호와 복수의 출력신호의 조합을 전환하는 제 2의 전환밸브(140)를 설치하고,
    상기 제 1의 조작장치(5L, 5R)로부터 출력되는 제 1의 조작방향신호, 및 상기 제 2의 조작장치(15L, 15R)로부터 출력되는 제 2의 조작방향신호를,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 및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에 입력신호로서 입력함과 아울러,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로부터 출력되는 각 출력신호 중 소정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에 입력신호로서 입력하고,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의 각 출력신호 중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에 입력되는 소정의 출력신호를 제외한 출력신호, 및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의 출력신호를, 구동신호로서 상기 주행용 액추에이터(33, 34) 및 상기 작업기용 액추에이터(72, 73)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전환밸브(40)와 상기 제 2의 전환밸브(140)를 동일한 보디(47) 안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KR1020010065628A 2000-10-25 2001-10-24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KR100720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25620A JP4244104B2 (ja) 2000-10-25 2000-10-25 操作装置とアクチュエータの組合せ変更装置
JPJP-P-2000-00325620 2000-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352A KR20020032352A (ko) 2002-05-03
KR100720900B1 true KR100720900B1 (ko) 2007-05-25

Family

ID=18802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628A KR100720900B1 (ko) 2000-10-25 2001-10-24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01670B2 (ko)
JP (1) JP4244104B2 (ko)
KR (1) KR100720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0368B1 (fr) * 2002-05-30 2004-09-10 Groupe Mecalac Dispositif electro-hydraulique et engin de travaux publics ainsi equipe
US6975930B2 (en) * 2003-08-08 2005-12-13 Caterpillar Inc. Rate limiting control system
US7036248B2 (en) * 2003-10-25 2006-05-02 Deere & Company Pattern select valve for control levers of a title work vehicle
KR100621980B1 (ko) * 2004-03-22 2006-09-1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조이스틱을 이용한 중장비 주행 제어방법
US20060064221A1 (en) * 2004-09-21 2006-03-23 Sporer Mark A Operator selectable control pattern
US7114433B2 (en) * 2005-01-31 2006-10-03 Caterpillar, Inc. Valve stack having a pattern switching valve
DE202006002969U1 (de) * 2005-11-08 2006-05-11 Agco Gmbh Steuereinrichtung für Nutzfahrzeuge
JP4100425B2 (ja) * 2005-11-22 2008-06-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制御装置
FR2897372B1 (fr) * 2006-02-14 2010-03-26 Groupe Mecalac Agencement electro-hydraulique de pilotage pour un engin de travaux publics
US7563199B2 (en) * 2006-06-28 2009-07-21 Equipment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al speed and direction of a crop sprayer
US7634863B2 (en) * 2006-11-30 2009-12-22 Caterpillar Inc. Repositioning assist for an excavating operation
WO2009071113A1 (de) * 2007-12-03 2009-06-11 Berner Fachhochschule Fuer Technik Und Informatik Behindertengerechtes fahrzeug
JP2009228297A (ja) * 2008-03-24 2009-10-08 Tcm Corp 作業車両
US8894346B2 (en) 2011-01-05 2014-11-25 Cnh Industrial America Llc Skid steer loader blade control
JP5749058B2 (ja) * 2011-04-01 2015-07-15 株式会社竹内製作所 作業機械
CN109072577B (zh) 2016-04-01 2021-07-30 克拉克设备公司 可变发动机速度控制
GB201617661D0 (en) * 2016-10-19 2016-11-30 Agco International Gmbh A control lever for a vehicle
FR3062662B1 (fr) 2017-02-03 2019-03-15 Manitou Bf Engin de travaux, notamment de chantier, et procede de commande d'un tel engin
US10774504B2 (en) 2018-06-22 2020-09-15 Caterpillar Forest Products Inc. Input-output control mapping with corresponding splash screen
US11371209B2 (en) * 2019-06-24 2022-06-28 Deere & Company Work vehicle with switchable propulsion control system
WO2023159054A1 (en) * 2022-02-15 2023-08-24 Clark Equipment Company Control systems for drive systems and work elements of power machi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806A (ko) * 1990-10-19 1992-05-27 최현규 삼방위(三方位)전환방식의 데이지 휠타자기 및 이에 의한 한글모아쓰기 인자방식
KR920007806B1 (ko) * 1985-12-03 1992-09-17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KR950002734A (ko) * 1993-07-08 1995-02-16 이상복 가정용 물리치료기
KR950002734B1 (ko) * 1990-12-31 1995-03-24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조작패턴 절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497A (en) * 1982-09-13 1985-09-17 Caterpillar Tractor Co. Control mechanism for operating a tractor
JPH0671891B2 (ja) * 1983-06-24 1994-09-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履帯式トラクタの制御装置
US4664220A (en) * 1986-01-21 1987-05-12 Deere & Company Method of arranging function controls for a vehicle
US4794813A (en) * 1987-06-25 1989-01-03 J. I. Case Company Adjustable hydraulic controls for earth-moving equipment
US4949805A (en) * 1988-07-27 1990-08-21 Clark Equipment Company Electrically controlled auxiliary hydraulic system for a skid steer loader
US5285861A (en) * 1992-08-27 1994-02-15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Steering device of crawler type vehicle
US5868230A (en) * 1996-05-28 1999-02-09 Komatsu America International Company Hydraulic motion control valve and lever
US5887669A (en) * 1997-05-08 1999-03-30 Case Corporation Auxiliary hydraulic control system
JP2001020907A (ja) * 1999-05-06 2001-01-23 Komatsu Ltd 操作レバー装置
US6435289B1 (en) * 1999-09-22 2002-08-20 Komatsu Ltd. Apparatus for altering operation apparatus and actuator combinations, and operation lever apparatus
US6523636B2 (en) * 2000-02-22 2003-02-25 Probir Chatterjea & Associates, Inc. Crawler motion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7806B1 (ko) * 1985-12-03 1992-09-17 구보다 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작업차의 밸브조작구조
KR920007806A (ko) * 1990-10-19 1992-05-27 최현규 삼방위(三方位)전환방식의 데이지 휠타자기 및 이에 의한 한글모아쓰기 인자방식
KR950002734B1 (ko) * 1990-12-31 1995-03-24 삼성중공업주식회사 조작패턴 절환장치
KR950002734A (ko) * 1993-07-08 1995-02-16 이상복 가정용 물리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29597A (ja) 2002-05-09
US20020046895A1 (en) 2002-04-25
US6601670B2 (en) 2003-08-05
JP4244104B2 (ja) 2009-03-25
KR20020032352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900B1 (ko) 조작장치와 액추에이터의 조합 변경장치
JP5513395B2 (ja) コンバイナ弁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0407231B1 (en) Hydraulic pump control circuit for travelling construction machines
JP6156871B2 (ja) 作業車両
JP6831648B2 (ja) 液圧駆動システム
US6435289B1 (en) Apparatus for altering operation apparatus and actuator combinations, and operation lever apparatus
KR102515522B1 (ko) 유압 구동 장치
US20220049727A1 (en) Working machine
WO2007027307A1 (en) Combiner valv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285861A (en) Steering device of crawler type vehicle
JP6690858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6855618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H0232167B2 (ko)
JP7210651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3880754B2 (ja) 操作装置とアクチュエータの組合せ変更装置
JPH06306892A (ja) 建設機械の走行制御装置
JP7080767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JPH086354B2 (ja) 油圧式掘削機の油圧回路
KR100351500B1 (ko) 1개의 조작레버를 이용한 불도저의 주행제어장치
JP7290619B2 (ja) 作業用車両
JP7274997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US20220112687A1 (en) Hydraulic system for working machine
JPH09165791A (ja) 作業機械の油圧回路
JP2020002993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CN118339347A (zh) 作业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