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885B1 - 커피 원두 배전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원두 배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885B1
KR920004885B1 KR1019880003986A KR880003986A KR920004885B1 KR 920004885 B1 KR920004885 B1 KR 920004885B1 KR 1019880003986 A KR1019880003986 A KR 1019880003986A KR 880003986 A KR880003986 A KR 880003986A KR 920004885 B1 KR920004885 B1 KR 92000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drum
furnace
coffee beans
coffee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546A (ko
Inventor
요오지 다마기
다꾸야 기노
다까시 이또오
아끼히꼬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폭카 코오포레이션
다니다 도시가게
닛뽄 가이시 가부시끼가이샤
고하라 도시히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폭카 코오포레이션, 다니다 도시가게, 닛뽄 가이시 가부시끼가이샤, 고하라 도시히또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폭카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012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커피 원두 배전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1 도는 커피 원두 배전장치의 종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II선 단면도.
제 3 도는 그 열풍 순환계통도.
제 4 도는 커피 원두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선도.
제 5 도는 적외선 히이터의 분광분포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노체 5, 6 : 끝벽
12 : 회전드럼 13 : 트인 끝
17 : 모우터 20 : 되돌리기날개
21 : 보내는 날개 23 : 적외선 히이터
26 : 배기구 29 : 순환팬
30 : 필터 32 : 순환로
33 : 노체내 빈틈 34 : 공기도입구
35 : 배출구
본 발명은 커피 원두 배전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노체(爐體)와 상기 노체의 내부에 수평자태로 회전 운동하도록 지지되고 그리고 커피 원두를 수납하여 휘저어 섞기위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내의 원두를 복사가열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드럼을 둘러싸듯이 상기 노체의 내벽면에 배설된 적외선 히이터와, 열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기위해 상기 회전드럼의 열풍을 노체내로 순환시키는 기구를 갖고 구성한 것이다.
커피 원두를 배전하는 방식을 대별하면 종래부터 가스직화식 및 열충식이 있다. 가스직화식은 커피 원두를 열원에 직접 쬐는 것임으로 원두표면만이 타기 쉽고, 더욱 배전온도의 제어가 어렵고 구움이 고르지 못한 것이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또, 열풍식은 가스직화식에 의해 커피 원두를 균등하게 구울 수가 있는 것이지만, 다량의 열풍과 비교적 장시간을 필요로함으로, 열에너지 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배전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있어서 생산성이 나쁜 결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스직화식과 열풍식의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 구움이 고르지 못한 것이 없고, 비교적 단시간에 배전할 수 있고 열에너지의 소비도 적고, 결과로서 맛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가 있는 커피 원두 배전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발명의 커피 원두 배전장치는, 한쪽끝이 트인 원통형의 회전드럼의 둘레의 벽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뚫어 설치함과 동시에, 단열재에 의해 형성한 노체내에 이 회전드럼을 그 트인 끝이 수직한 노의 끝벽내면에 가급적으로 접근 대향하고 수평자세로 회전운동하도록 지지하고, 이 노의 끝벽에 회전드럼내에 면하는 배기구와 커피 원두의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회전드럼을 둘러싸듯이 노체 내벽면에 적외선 히이터를 배설하고, 이 회전드럼의 외측의 노체내 빈틈에 연이어 통하는 공기도입구를 노벽에 개설하고, 상기 배기구에서의 흡입한 회전드럼내의 열풍의 일부를 상기 공기도입구에서 노체내로 순환시키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회전드럼내에 투입시킨 커피 원두는 이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휘저어진다. 그리고 이 회전드럼을 둘러싸듯이 배설되어있는 적외선 히이터에 의해 커피 원두가 복사가열된다. 이때 적외선은 커피 원두의 조직의 깊이까지 도달하고 커피 원두를 내부까지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또 배전에 수반하여 회전드럼내의 열풍을 노체내에 순환시킴으로써 열에너지를 휴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설명한다.
프레임(1)상에 지지된 노체(2)는 단열재로 형성되고, 그 내벽면(3)은 원통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하면(4)은 트이게 하고, 양끝벽(5, 6)은 수직으로 형성되어있다. 이 양끝벽(5, 6)의 중심위치에 축받이(7, 8)를 설치하고 이 축받이 (7, 8)에 회전축(9)을 수평으로 축받이하여, 이 회전축(9)의 외주에 고착한 보스(boss)(10)로부터 방사형상으로 스포우크(11)를 형성하고, 이 스포우크(11)에 의해 회전드럼(12)을 지지한다. 회전드럼(12)은 한쪽끝이 트인 원통형을 이루고, 그 트인 끝(13)이 상기 노의 끝벽(6)의 내면에 가급적으로 접근 대향하고 있고, 그 틈사이는 커피 원두의 낙하가 없도록 1∼2mm로 조절되어있다. 이 회전드럼(12)은 소위 펀칭메탈에 의해 형성되고, 그 다수의 작은 구멍(둥근 구멍)에 의해 개구율이 20∼70%으로 되도록 하고있다. 더욱 이 회전드럼(12)은 그 주벽뿐만이 아니고 끝벽(15)에도 다수의 작은 구멍이 뚫어 설치되어있다. 회전축(9)의 한쪽끝은 끝벽(5)에서 노체외로 돌출하여 그 돌출부분에 스프로킷(16)이 고착되어있다. 그리고 프레임(1)에 고정설치한 감속기 부착 모우터(17)에 설치된 스프로킷(18)과 상기 스프로킷(16)을 무한체인(19)에 의해 연계하고있다. 회전드럼(12)의 내주에는 나선형상으로 한 방향으로 비틀은 되돌리기날개(20)가 3매정도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이 되돌리기날래(20)의 더욱 내주에는 이 되돌리기날개(20)와 반대권, 즉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상으로 비틀어진 보내는 날개(21)가 4매정도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되어있다. 이 되돌림날개(20) 및 보내는 날개(21)는 회전드럼(12)과 마찬가지로 펀칭메탈로 된 다수의 작은 구멍이 뚫어설치된 것으로 2개공율은 20∼70%로 되도록 하고있다. 그리고 회전드럼(12)의 트인 끝(13)가까이의 보내는 날개(21)의 일부에 마찬가지의 펀칭메탈로서 이루어진 소폭판 형상의 봇둑(22)이 돌출 형상으로 고착되어있다. 더욱 봇둑(22)은 그 표면적이 회전드럼(12)의 표면적에 비해서 극히 작기 때문에 적외선 히이터(23)의 복사효율을 저하시킬 정도의 일은 없어서 단지 판형상의 것이라도 좋다.
노체(2)의 내벽면(3)에는 적외선 히이터(23)가 회전드럼(12)을 둘러싸듯이 다수 배설 되어있다. 이들의 적외선 히이터(23)는 예를들어 일본국 실공소 50-3303호 공보에 기재되어있는 적외선 히이터를 사용하여, 니크롬선등의 금속저항발열체를 코오지 라이트자기, 실리콘자기, 알루미나자기등의 내열 충력성이 큰 세라믹체내벽면에 부착되어있다. 그리고 이 각 적외선 히이터(23)는 내열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제의 틀체를 통해서와 8개×8열의 그룹 C로 나누어서 이 각 그룹마다에 전원에 접속시켜, 이 각 그룹마다에 통전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통전에 의해 각 적외선 히이터(23)로부터는 방사율이 높은 파장 3~7μm의 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또 각 그룹에 속하는 적외선 히이터중의 하나에는 그 방사면측에 공지의 크로멜알루멜 선등의 열기전(熱起電)재료를 절연피복한 온도검출용 열전대를 장착하고, 이것을 온도설정을 행하는 조절계에 접속함으로써 그 히이터 온도를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더욱 적외선 히이터(23)는 회전드럼(12)의 외주에 될 수 있는대로 접근하여 부착되고, 그 복사열을 회전드럼(12)속에 효율좋게 방사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또, 끝된 다수의 작은 구멍에서 이 드럼내에 복사열이 방사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노체(2)의 트인 하면(4)의 하방에는 깔때기형상의 호퍼(24)가 프레임(1)속에 지지하여 설치되어있고 이 호퍼(24)의 바닥에 트레이(25)가 끼우고빼기 자유롭게 배치되어있다.
또, 26은 회전드럼(12)의 트인 끝이 대향하는 노의 끝벽(6)의 개설된 커피 원두의 투입구를 겸하는 배기구이며, 이 배기구(26)에 이어지는 덕트(27)의 상단에는 커피 원두를 투입할때에 열리는 동력셔터(28)가 배설되고, 이 덕트(27)는 더욱 노체(2) 위에 배설된 순환팬(29)의 흡입측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더욱, 배전중은 동력셔터(28)는 윗쪽에 세트되어서 배기구(26)에서 순환팬(29)에 이르는 배기로가 형성된다. 순환팬(29)의 불어올리는 측은 제 3 도에서도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클론형 분리기(39) 및 탈취, 탈연용의 필터(30)에 연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필터(30)의 2차측은 페기연도(31), 순환로(32)로 분기되고 페기연도(31)의 앞끝은 대기중에 개방되어 있고, 또 순환로(32)의 선단은 회전드럼(12)의 외측의 노체(2)내 빈틈(33)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35는 노체(2)의 끝벽(6)의 일부에 회전드럼(12)의 하변부와 동수준으로 되는 높이에 구멍을 트게한 배출구이며, 이 배출구에는 노의 끝멱(6) 외면에 핀(36)을 갖고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문짝(37)이 끼워붙여지고 이 배출구를 패쇄하고있다.
38은 배출구(35)의 외측에 설치된 커피 원두 배출가이드홈통이다.
또, 40은 상기 적외선 히이터(23)와 회전드럼(12)과의 간격에 배관된 압착공기취출관이며, 이 취출관에는 적외선 히이터(23)에 상태하는 취출구멍이 개설되어있다.
또 41은 끝벽(6)을 관통하여 앞끝의 취출노즐(42)이 회전드럼(12)내에 상대하고 있는 급수관이다.
더욱 회전드럼(12)의 펀칭메탈의 작은 구멍은 커피 원두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의 예를들어 1∼5mm의 구멍지름으로 개구율은 배전량, 드럼지름, 배전온도등의 배전조건에 따라 20∼70%의 범위내에서 적당히 선정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펀칭메탈로 회전드럼을 형성하였으나, 회전드럼의 재질은 펀칭메탈이 아니라도, 예를들어 세라믹스에 의해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혹은 펀칭메탈에 의해 형성한 회전드럼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세라믹스, 혹은 금속산화물의 소결체를 첩착시켜도 좋다. 세라믹스 혹은 금속산화물의 소결체는 일반적으로 내마모성이 있고 회전드럼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세라믹스는 금속분이 혼입하는 것같은 일이 없음으로 위생적이다. 더욱 세라믹스나 금속산화물 소결체는 적외선 흡수율이 높음으로 적외선 히이터에서 복사열을 커피 원두에 효율좋게 전달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피 원두 배전장치로는, 동력셔터(28)를 열어서 커피 생원두를 덕트(27)를 통해서 배기구(26)에서 회전드럼(12)속으로 투입한다. 그리고 모우터(17)의 구동에 의해 체인(19)을 통해서 회전드럼(12)을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40rpm 정도로 저속회전시킨다. 그렇게하면 보내는 날개(21)는 회전드럼(12)내에 들어있는 커피 원두를 끝벽(5)방향으로 밀어보내고, 되돌리기날개(20)는 커피 원두를 끝벽(6)방향으로 밀어보낸다. 이때문에 회전드럼(12)내의 커피 원두는 축방향으로 균등하게 휘저어 섞어 분포되어서 이 드럼내를 선회하면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그때 적외선 히이터(23)에서의 복사열은 이 회전드럼의 주벽과 단벽 및 보내는 날개(21)와 되돌리는 날개(20)에 뚫어설치된 다수의 작은 구멍에서 이 드럼내에 투과하여 커피 원두의 표층에서 내부로 전달한다.
제 4 도에 커피 원두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로 곡선을 도시하고, 제 5 도에는 여기에서 사용한 적외선 히이터의 시차(示差) 적외선 복사율 측정법에 의한 복사율 분광분포곡선을 도시했다. 제 4 도에서 아는 바와 같이 커피 원두는 적외선 흡수율이 거의 파장에 있어서 50% 이상의 높은 치(값)을 도시하지만, 특히 파장이 3㎛, 5.7㎛, 8.3㎛의 3점에서 적외선 흡수율이 피이크를 도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적외선 히이 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의 비(比)에너지 강도는 역시 파장이 3㎛, 5∼8㎛ 정도의 곳에 피이크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것에서 이 적외선 히이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은 대단히 높은 흡수율을 갖고 커피 원두에 흡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 이 적외선 히이터(23)의 온도는 상기 커피 원두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르에 합치시키기위해 개략 400∼700℃의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적외선 히이터(23)의 온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열전대에 의해 검출되고, 조절계에 의해 그 온도가 소요치로 되도록 자동조절된다.
보내는 날개(21) 및 되돌리기날개(20)는 회전드럼(12)의 회전에 의해 이 회전드럼내의 커피 원두를 휘저어 섞음과 동시에 이 회전드럼내의 열풍도 휘저어 섞음으로 가열에 의해 커피 원두 표면에 나온 증기를 그 열풍이 신속하게 불어제껴 대류가열을 촉진시킨다.
또 회전드럼(12)내에서 발생한 열풍은 배기구(26)에서 순환팬(29)에 흡입되어, 사이크론형 분리기(39)에 의해서 열풍중에 혼합되는 커피 원두의 엷은 껍질(이하 차프라고 함)를 분리한후, 필터(30)를 공해방지상 필요한 정도로까지 탈취, 탈연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그 열풍의 일부는 폐기되고 다른 일부는 순환로(32)를 통해서 노체(2)내 빈틈(33)에 순환된다. 노체(2)내 빈틈(33)보다 낮게 되어있기 때문에, 이 회전드럼(12)내에 그 다수의 작은 구멍을 통과하여 흡입된다. 이 회전드럼(12)과 노체(2)내 빈틈(33)과의 기압의 차는 순환팬(29)의 회전을 조절함으로서 제어할 수 있으나 그 기압차는 항상 5∼200mm 수주로 유지되도록한다. 즉, 커피 원두에 스모우크 냄새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는 것과 차프를 회수하기위해, 배전중은 배기구(26)로부터 회전드럼(12)내를 강제 배기하지만, 이 배기가 지나치게 약하면 커피 원두에서 스며나오는 유지분에 스모우크가 부착함으로 약간 스모우크 냄새가 남고, 반대로 지나치게 향하면 스모우크 냄새는 빠지지만 향기가 약하고, 좋은 맛이나 단맛이 적어지는등 커피 원두의 맛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회전드럼(12)과 노체(2)내 빈틈(33)과 기압차는 그것들의 사정을 고려하여 5∼200mm 수주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정한다.
소요의 배전이 된 시점에서, 급수관(41)으로부터 회전드럼(42)내에 물을 분무하고, 원두온도를 급강하시키고, 배전이 필요이상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한다. 그때 다량의 증기가 발생함으로 순환팬(29)의 회전을 높여서 배기량을 증대시킨다. 이경우 증기의 노외분출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노내압을 마이너스 150∼200mm 수주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배전이 필요이상으로 진행하지않도록 하기위해 상기 물분사와 동시에 적외선 히이터(23)의 그룹 A, B, C의 전부 혹은 일부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문짝(37)을 열고 회전드럼(12)의 회전수를 15rpm 정도로 떨어뜨림으로써 되돌리기날개(20)의 작용으로 이 회전드럼(12)내의 커피 원두가 배출구(35)로 향해서 보내어져서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더욱 봇둑(22)은 회전드럼(12)의 회전수를 이와 같이 15rpm 정도로 떨어뜨렸을때 보내는 날개(21)에 의한 커피 원두활하게 되도록 하고 있음으로, 배출중에 있어서 배전도의 진행은 적다.
커피 원두를 배출한후에 취출관(40)으로부터 압착공기를 2∼10초의 단시간만 불어낸다. 이것에 의해 노내에서 연소되어서 드럼의 원심력에 의해서 붙어날려져 히이터의 복사면 및 히이터 배면이나 노바닥에 퇴적한 차프(chaff)가 비산되어서 강제 배출되기도하고 트레이(25)에 회수되므로 히이터로의 차프등의 퇴적이 없어지고 히이터의 복사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다. 그 공기량은 짧은 시간이기 때문에 소량이며 노내를 온도를 내리게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은 압축공기의 불어내는 것을 커피 원두의 배전이 1회 끝날때마다 행하면 노내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더욱 배전을 끝내고 커피 원두를 배출하기 위해 문짝을 열고, 다음에 배전할 커피 생원두를 드럼(12)내에 투입하면 드럼내의 온도는 급히내려가나, 순환팬(24)을 작동시킴을서 순환로(32)중의 남은 열이 노체에 공급되므로 드럼(12)의 온도는 다시 단시간에 올라갈 수 있다.
공기도입구(34)는 단벽(5)의 아래쪽 노체(2)의 하부에 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에 개설하고 있으면 배기구(26)와 단락하여 드럼내를 충분히 승온할 수 없게 된다.
또 여기에 사용한 적외선 히이터(23)는 습기에 강한데다 청결하고 위생적이며, 더욱 열용량이 커서 식기 어려우므로, 히이터 자체의 온도강하속도는 늦고, 설정온도에 대한 변동폭이 적으므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더욱, 이 적외선 히이터의 도자기 제판은 도시한 바와 같은 만곡상이라도 평면상이라도 좋다.
또 배전중의 노내의 분위기온도는 350℃∼50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온도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커피 원두에서 배어나오는 유지분이 연소하기때문에 유지분이 회전드럼에 부착하여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항상 노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더욱 그 노내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외선 히이터(23)의 그룹(B)의 전원은 차단하고, 그룹(A, C)의 적외선 히이터만에 의해 노내를 가열해도 좋다.
표 1은 「콜롬비아스 프레모」, 「과테말라 EPW」, 「브라질 NO.2」, 「인도네시아 로브스터」의 4종류의 커피 원두에 대해서, 각각 종래의 열풍식 배전을 행하였을 경우와, 본 발명의 배전장치에 의해 배전을 행하였을 경우를 비교한 것이다.
이 결과에서도 아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배전에 의해서는, 풍향미(風香味)에 대해서 「먼지맛」「흙냄새」「고토(苦土)맛」「싫은 신맛」등의 나쁜 습성이 적은 산뜻한 밸런스가 좋은 커피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 브라질 NO.2의 커피 원두에 대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배전을 한것과 종래의 열풍식의 배전을 한것과의 보존에 의한 품질 열화(劣火)를 시음에 의해 비교한 결과를 표 2에 도시한다. 이결과, 열풍식 배전의 것은, 보존온도 37℃인때 1일 경과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좋지않은 신맛이 생기고 먼지냄새도 나게되어버리고, 2일이후는 더욱 나쁘게 진행되어 버린다. 그것에 대해, 적외선 배전은 열화가 적고, 싫은 맛, 떫은 맛, 먼지맛 등이 없고, 2일째부터는 다소 변화는 하고 있지만 아직 맛은 양호하다고 해도 좋고, 10일째까지는 그것이 유지되었다.
더욱 표 3은, 깡통에 넣은 커피에 대해서 본 발명의 배전과 종래의 열풍식에 의한 배전으로 그 기호성을 비교한 결과를 도시한다. 이 표 3은 20명의 시음자에게 앙케이트를 받어, 대단히 좋다, 좋다, 나쁘다의 순서대로 순위를 붙이고, 대단히 좋은 것은 3점, 좋은 것은 2점, 나쁜 것은 1점으로 했을때의 합계 득점수로서 맛의 우열을 나타낸 것이다. 또 표 3의 우유가 들어간 타입은 커피추출액 835g에 대해서 우유 100g, 설탕 65g를 가한 것, 블랙, 가당타입은, 커피추출액 935g에 설탕 65g을 가한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표 3]
Figure kpo00003
이상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피 원두 배전장치는, 회전드럼의 회전에 의해 커피 원두를 휘저어 섞으면서 적외선 히이터에서의 복사율에 의해 배전하고, 그 결과, 커피 원두의 표면만이 아니고, 내부깊숙히까지 복사열이 잘 침투하여, 향기, 맛과 같이 우수한 대단히 품질이 좋은 커피를 배전할 수가 있고, 더욱 시간경과에 따른 열화가 적은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커피 원두를 제공할 수가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 내부에 나선형상의 되돌리기날개와 이것과 반대로 감긴 나선형상으로 하고, 또한 일부에 봇둑을 갖춘 보내는 날개를 설치함으로서, 회전드럼에 수용된 커피 원두가 축방향으로 균등하게 휘저어 섞어 분포되어서 드럼내를 선회하면서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커피 원두의 깊은 부분으로의 복사열의 침투를 한층 확실 또한 유효하게 함과 동시에 회전드럼내의 열풍을 휘저어 섞어서 커피 원두의 표면에 나온 증기를 그 열풍으로 불어털고 대류가 열을 촉진시키고, 그결과, 품질이 좋은 커피의 배전을 얻을 수가 있다.
또, 회전드럼내에 발생한 열풍을 배기구에서 배출할 때에, 그 열풍의 일부를 노체내로 순환시키는 기구를 갖추게 함으로써, 열에너지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그리고 전력소비를 적게 할 수가 있다.
더욱, 압착공기의 불어내는 관을 적외선 히이터를 향해서 설비함으로서, 커피 원두의 배전이 1회 종료할 때마다 압착공기를 불어내어서 히이터의 복사면 및 히이터 뒷면이나 노바닥에 퇴적된 차프를 단시간에 청소배제하고, 그 결과, 히이터의 복사를 저하시키는 일이 없을 뿐만아니라 노체내의 열이 내려가는 것을 초래하는 일도 없고, 더욱 노체내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한쪽끝이 트인 원통형의 회전드럼의 주벽에 다수의 작은 구멍을 뚫어 설치함과 동시에, 단열재에 의해 형성한 노체내에 이 회전드럼을 그 트인 끝이 수직한 노의 끝벽내면에 가급적으로 접근대항하고 수평자세로 회전운동하도록 지지하고, 이 노의 끝벽에 회전드럼내에 면하는 배기구와 커피 원두의 투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고, 이 회전드럼을 둘러싸는듯이 노체 내벽면에 적외선 히이터를 배설하고, 이 회전드럼의 외측의 노체내 빈틈에 연이어 통하는 공기도입구를 노벽에 개설하고, 상기 배기구에서 흡입한 회전드럼내의 열풍을 상기 공기도입부에서 노체내로 순환시키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배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드럼의 내주에 나선형상의 되돌리기날개를 고정 설치하고, 이 되돌리는 날개의 더욱 내주에는 이 되돌리기날개와 반대로 감긴 나선형상의 보내는 날개를 고정설치하고, 더욱 회전드럼의 트인 끝에 치우친 이 보내는 날개의 일부에 봇둑을 세워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배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외선 히이터로 향해서 압착공기를 불어내는 취출관을 노체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배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구와 공기도입구를 연결하는 배기순환계통로의 도중에 회전드럼내와 노체내 빈틈과의 사이의 기압차를 5∼200mm 수주로 유지시키는 순환팬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원두 배전장치.
KR1019880003986A 1988-02-19 1988-04-08 커피 원두 배전장치 KR920004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38416A JPH01215271A (ja) 1988-02-19 1988-02-19 コーヒー豆焙煎装置
JP63-38416 1988-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546A KR890012546A (ko) 1989-09-18
KR920004885B1 true KR920004885B1 (ko) 1992-06-22

Family

ID=1252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986A KR920004885B1 (ko) 1988-02-19 1988-04-08 커피 원두 배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60461A (ko)
EP (1) EP0328791B1 (ko)
JP (1) JPH01215271A (ko)
KR (1) KR920004885B1 (ko)
CA (1) CA1294171C (ko)
DE (1) DE388478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901B1 (ko) * 1988-09-13 1995-06-07 닛뽕가이시 가부시끼가이샤 커피콩 볶음장치
US5230281A (en) * 1991-07-10 1993-07-27 Blaw Knox Food & Chemical Equipment Co.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or the like
ES2079255B1 (es) * 1991-12-13 1996-08-01 Marques Jose Maria Belloch Procedimiento con su correspondiente instalacion para el secado de chufas y otros vegetales.
US5269072A (en) * 1992-05-22 1993-12-14 Felknor International Coffee roaster
US5564331A (en) * 1994-11-03 1996-10-15 Imex Corporation Lt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RE37238E1 (en) 1994-11-03 2001-06-26 Hearthware Home Products, Inc.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5644977A (en) * 1995-09-14 1997-07-08 Rodriguez; Henry Drum cooler
MY124445A (en) * 1995-10-12 2006-06-30 Ono Foods Ind Co Ltd Method of drying foods by using far infrared rays at reduced pressure and temperature
US5638607A (en) * 1995-11-08 1997-06-17 Source Intermarketing Ag Coffee roaster
AU1862897A (en) * 1996-03-11 1997-10-01 Roasting Technologies Pty Ltd Rotary and tunnel-type kilns with multi-ducted radiant heating
US5632098A (en) * 1996-04-04 1997-05-27 Finch; Timothy S. Bean roasting system
US5749288A (en) * 1996-09-20 1998-05-12 Skaling; Tim Device for home roasting of coffee beans
WO1998031974A1 (en) * 1997-01-17 1998-07-23 Tidland John W Roasting system with heat recycler
WO1999023895A1 (en) * 1997-11-07 1999-05-20 Pop-N-Go, Inc. Hot air popcorn machine
US7285300B1 (en) * 1997-11-11 2007-10-23 Group 32 Development & Engineering, Inc. Roasting system
ATE372684T1 (de) * 1997-11-11 2007-09-15 Group 32 Dev & Engineering Inc Röstverfahren
KR100264356B1 (ko) * 1998-02-12 2000-08-16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CA2252689A1 (en) * 1998-02-12 1999-08-12 Eugene Song Coffee bean roaster
US6106877A (en) * 1998-05-01 2000-08-22 Fresh Roast Systems, Inc. Method of terminating roasting of bulk materials in real time on basis of objectively determined color of materials
US5970209A (en) * 1998-12-30 1999-10-19 Toyokura; Yasuhiro Roasting apparatus
US6036988A (en) * 1999-01-08 2000-03-14 Source Intermarketing Ag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6123971A (en) * 1999-03-08 2000-09-26 Tidland; John W. Home use coffee bean roasting device and method of roasting
US6053093A (en) * 1999-03-10 2000-04-25 Gerhardt; Wayne Coffee roaster with roasting profile control
CA2267608A1 (en) * 1999-03-31 2000-09-30 Raymond Lemaire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US6173506B1 (en) 1999-04-29 2001-01-16 Premark Wb Holdings, Inc. Roaster
DE10000810C2 (de) * 2000-01-12 2002-03-07 Dieckmann Manfred Röstvorrichtung zum Rösten von Rohkaffee od. dgl.
KR100369539B1 (ko) * 2001-01-26 2003-02-05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KR20010088457A (ko) * 2001-07-11 2001-09-28 지용 곡물볶음장치
US6382087B1 (en) * 2001-07-31 2002-05-07 Sadamu Iiyama Coffee bean roaster with recirculated, filtered exhaust airflow
US6558726B2 (en) 2001-09-28 2003-05-06 The Metal Ware Corporation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KR100463341B1 (ko) * 2002-09-18 2004-12-23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US6647866B1 (en) * 2003-03-21 2003-11-18 Chen Kuo Chih Processing device for coffee beans
US6810794B2 (en) * 2003-03-26 2004-11-02 Kumaran & Sagar Continuous vibro fluidized bed roaster using flue gas
NL1023325C2 (nl) * 2003-05-02 2004-11-03 Swilion B V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verwarmen van stukken voedsel en verpakte stukken voedsel voor gebruik bij de werkwijze.
US20050132893A1 (en) * 2003-12-17 2005-06-23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single-stage heat treatment and grinding of coffee beans
KR100583386B1 (ko) * 2004-04-12 2006-05-25 주식회사 에취알에스 원두커피 배전방법 및 원두커피 배전기
KR100679674B1 (ko) 2004-07-16 2007-02-06 주식회사 제니시스 곡물볶음장치
US20060029703A1 (en) * 2004-08-06 2006-02-09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single-stage heat treatment and grinding of mustard bran, and product and its uses
US20060040027A1 (en) * 2004-08-17 2006-02-23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manufacture of grated cheese and uses thereof
US7445806B2 (en) * 2004-09-02 2008-11-04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Process for selective grinding and recovery of dual-density foods
WO2006034203A2 (en) * 2004-09-20 2006-03-30 Fresh To Go, Inc. Coffee roasting machine and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60083834A1 (en) * 2004-10-14 2006-04-20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granulation of wet processed foods and use thereof
US20060088634A1 (en) * 2004-10-25 2006-04-27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granulation of low-moisture processed foods and use thereof
DE102005023258A1 (de) * 2004-11-16 2006-11-23 Fan Separator Gmbh Drehtrommel zur aeroben Erwärmung rieselfähiger Feststoffe
US20060286230A1 (en) * 2005-06-15 2006-12-21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packing separation and granulation of processed food content thereof, and products and uses thereof
US20060286232A1 (en) * 2005-06-15 2006-12-21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granulation of low-moisture, high-lipid content processed foods and re-use thereof
US20060286269A1 (en) * 2005-06-16 2006-12-21 Kraft Foods Holdings, Inc. Process for granulation of edible seeds
US20060286246A1 (en) * 2005-06-16 2006-12-21 Kraft Foods Holdings, Inc. Preparation of bakery mixes
US7721463B2 (en) * 2005-07-15 2010-05-25 Ricardo Leon Oven
US20070033828A1 (en) * 2005-08-09 2007-02-15 Solar Roast Coffe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by means of concentrated solar thermal energy
JP2007143550A (ja) * 2005-11-04 2007-06-14 Fuji Koki:Kk 焙煎装置および焙煎方法、並びに消煙装置および消煙方法
US20080134907A1 (en) * 2006-12-11 2008-06-12 Sadamu Iiyama Recirculated, cooled, airflow system for a roaster
KR100804835B1 (ko) * 2007-05-22 2008-02-18 안상경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971149B1 (ko) * 2007-12-28 2010-07-20 안상경 가공대상물의 가스 제거기
KR101018390B1 (ko) 2008-12-30 2011-03-02 서강인 복사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JP5402208B2 (ja) * 2009-04-23 2014-01-29 味の素株式会社 連続炒め装置
GB2482032B (en) 2010-07-16 2013-04-10 Kraft Foods R & D Inc Coffee products and related processes
CN102726812A (zh) * 2011-04-13 2012-10-17 刘洪� 烘培生产工艺及其设备
KR101310811B1 (ko) * 2011-12-13 2013-09-25 정순철 로스터
WO2014076211A1 (en) * 2012-11-14 2014-05-22 Royal Duyvis Wiener B.V. Apparatus for drying and/or roasting beans or nibs
KR101626517B1 (ko) * 2013-07-30 2016-06-01 (주) 씨엠테크 커피 배전기
KR101451063B1 (ko) * 2014-01-21 2014-10-14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볶음기
WO2016071165A1 (en) * 2014-11-05 2016-05-12 Koninklijke Philips N.V. Coffee roasting apparatus, coffe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EP3653060B1 (en) 2015-01-16 2024-05-01 Cocoterra Company Chocolat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WO2016171723A1 (en) * 2015-04-24 2016-10-27 Mallinckrod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humidity curing within tablet coating system
KR101865307B1 (ko) * 2016-12-01 2018-06-08 주식회사 제니시스 커피생두 로스팅 장치
TWI622355B (zh) * 2017-03-16 2018-05-01 Zhang wen fang Baking drum structure
US10602764B2 (en) 2017-04-13 2020-03-31 Bellwether Coffee Co. Roasting system with clean emissions and high thermal efficiency
SG11202010366UA (en) * 2018-04-20 2020-11-27 Bellwether Coffee Co Roasting system having self-aligning agitator and door bearing assembly
US11918023B2 (en) * 2018-04-20 2024-03-05 Bellwether Coffee Co. Roasting system having roasting drum with actuatable hatch
CN108887713A (zh) * 2018-07-19 2018-11-27 龙青梅 一种猫屎咖啡加工用滚筒式咖啡豆烘焙机
US11470853B2 (en) 2019-03-15 2022-10-18 CocoTerra Company Interface and application for designing a chocolate-making experience
DE102020100949B3 (de) * 2020-01-16 2021-03-18 Probat-Werke Von Gimborn Maschinenfabrik Gmbh Trommelröster zum Rösten von Bohnen
CN114287648B (zh) * 2021-12-07 2023-07-14 南京市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鲜脆瓜子均匀烘烤且无碎屑的烘烤设备
US20230228487A1 (en) * 2022-01-19 2023-07-20 Ohmium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rying using hydrogen combustion exhaus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28395A (fr) * 1902-03-08 1903-07-10 George Cleveland Lester Machine à griller le café par l'électricité
US1991190A (en) * 1933-03-23 1935-02-12 Jabez Burns & Sons Inc Roasting method
US2069192A (en) * 1936-01-29 1937-01-26 Yorktown Electric Roaster Mfg Automatic roaster
US2129673A (en) * 1936-11-25 1938-09-13 Jabez Burns & Sons Inc Roasting method and apparatus
US2189206A (en) * 1938-01-08 1940-02-06 George G Griffin Apparatus for electrically roasting coffee berries
CH255872A (de) * 1947-03-21 1948-07-15 Weibel Ag Fabrik Elektrischer Elektrisch beheizte Röstmaschine für bohnen- und körnerartiges Röstgut.
US2887383A (en) * 1950-08-18 1959-05-19 Jabez Burns & Sons Inc Method of roasting
US2746865A (en) * 1951-10-25 1956-05-22 Gump B F Co Roasting method
FR1451184A (fr) * 1961-09-04 1966-01-07 Torréfacteur électrique pour café avec thermofiltre destructeur de la fumée et évacuation automatique lorsque la cuisson est à point
US3733172A (en) * 1970-11-09 1973-05-15 Blaw Knox Food Chem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leaning of coffee roasters
DE2207803A1 (de) * 1972-02-18 1973-08-23 Gimborn Probat Werke Roestverfahren und roestmaschine zu dessen durchfuehrung
DE2354780B2 (de) * 1973-11-02 1980-02-14 Fabrik Fuer Pat. Sicherheits-Roester G.W. Barth Ludwigsburg, 7140 Ludwigsburg Röstverfahren und Röstmaschine zu dessen Durchführung
US4048473A (en) * 1975-04-17 1977-09-13 Burkhart William H Food cooking machine
US4325191A (en) * 1980-05-16 1982-04-20 Advance Company Limited Coffee roaster
JPS58141773A (ja) * 1982-02-18 1983-08-23 Takao Nishikawa 焙煎装置
GB2162412B (en) * 1984-07-31 1987-12-23 Sanden Corp Coffee roaster
CN1017211B (zh) * 1985-04-01 1992-07-01 兴洋食品株式会社 花生米的焙煎加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4788D1 (de) 1993-11-11
DE3884788T2 (de) 1994-03-03
EP0328791A2 (en) 1989-08-23
EP0328791A3 (en) 1991-06-12
KR890012546A (ko) 1989-09-18
JPH01215271A (ja) 1989-08-29
EP0328791B1 (en) 1993-10-06
JPH0452754B2 (ko) 1992-08-24
US4860461A (en) 1989-08-29
CA1294171C (en) 199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885B1 (ko) 커피 원두 배전장치
FI76679B (fi) Anordning foer rostning av speciellt smao maengder groena kaffeboenor.
JP4415194B2 (ja) 茶葉乾燥火入焙煎装置
KR101626517B1 (ko) 커피 배전기
JP6042089B2 (ja) 碾茶炉、及び荒茶製造方法
KR101782417B1 (ko) 커피 로스터
KR950005901B1 (ko) 커피콩 볶음장치
US7406913B2 (en) Coffee bean roaster and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using the same
WO2008062931A1 (en)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coffee bean roaster using the same
KR101277457B1 (ko) 커피 로스터기
US2639133A (en) Coffee roaster
US3435754A (en) Roasting and broiling apparatus
KR101455384B1 (ko) 자동 덖음기
KR102243034B1 (ko) 커피 원두 로스팅 장치
KR102130737B1 (ko) 커피 로스터
JP2004089043A (ja) 殺青装置
KR102386105B1 (ko) 커피 로스팅 장치
EP3097792A1 (en) Stir-fryer having pyrolysis function
KR101802321B1 (ko) 저온 방식으로 로스팅되는 직화식 커피 로스팅 장치
JPH052077Y2 (ko)
US20240090560A1 (en) Coffee roasting apparatus
KR101845030B1 (ko) 커피원두 냉각장치
KR20160048046A (ko) 커피 배전기
JP2004073518A (ja) コーヒーメーカー
JPH0229308B2 (ja) Koohiimamebaisensoch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5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