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25B1 - 콘버젼스장치 - Google Patents

콘버젼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25B1
KR920003725B1 KR1019880001988A KR880001988A KR920003725B1 KR 920003725 B1 KR920003725 B1 KR 920003725B1 KR 1019880001988 A KR1019880001988 A KR 1019880001988A KR 880001988 A KR880001988 A KR 880001988A KR 920003725 B1 KR920003725 B1 KR 92000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convergence
detection
signal
photoelectric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614A (ko
Inventor
스스무 쯔지하라
테루오 기다오까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43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09388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440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9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194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96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8045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393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콘버젼스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디지틀콘버젼스회로에서 사용하는 격자패턴의 화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콘버젼스장치의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버젼스장치의 블록도.
제 4 도는 동 장치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도.
제 5 도는 동 실시예의 상세한 콘버젼스장치의 블록도.
제 6 도는 동 실시예의 동작파형도.
제 7 도는 동 실시예의 위치연산특성도.
제 8 도는 동 실시예의 검출동작의 타이밍도.
제 9 도는 동 실시예의 검출주기설정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의 콘버젼스장치의 요부블록도.
제 11 도는 가산기의 출력전압특성도.
제 12 도는 검출기의 감도, 저항식 특성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예의 콘버젼스장치의 요부블록도.
제 14 도는 그 동작특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15 : 검출기 18 : 위치연산회로
19 : 기억회로 20 : 검출주기설정회로
21 : 콘버젼스보정회로 22 : 패턴발생회로
23, 24, 28, 39~41, 80 : 가산기 25 : 감산기
26 : 최대치검출회로 27 : 최소치검출회로
29, 81, 82 : 비교기 30~32 : 가역카운터
33~35 : 메모리 36~38 : D/A 변환회로
42~44 : 증폭기 50~53, 63~66 : 광전변환소자
60~62 : 연산증폭기 68 : 진폭검출회로
69 : 피이크검출회로 70 : 제어신호작성회로
83 : OR회로 86 : 절환회로
본 발명은 컬러텔레비젼 수상기의 콘버젼스를 조정하는데 있어서, 다이내믹 콘버젼스조정후, 온도등에 의해서 정적으로 움직이는 콘버젼스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콘버젼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원색을 발광하는 3대의 투사관(投寫管)을 사용해서 스크리인에 확대투사하는 투사형 컬러수상기에 있어서는, 투사관의 스크리인에 대한 입사각이 각 투사관마다 다르기 때문에 스크리인상에서 색편차가 발생한다. 이들 3원색의 중첩, 소위 콘버젼스는 수평 및 수직주사주기에 동기시켜서 애널로그적으로 콘버젼스 보정파형을 만들고, 이 파형의 크기, 모양을 변화시켜서 조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콘버젼스 정밀도의 점에서 문제가 있다. 그래서 콘버젼스정밀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콘버젼스보정량을 디지틀화하여 메모리에 기억시켜 임의의 보정파형을 얻을 수 있는 제 1의 콘버젼스장치, 또한 조정시간의 단축 및 작업이 간단한 카메라를 사용해서 자동조정할 수 있는 제 2의 콘버젼스장치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 제 1의 종래방식의 콘버젼스장치의 개념은, 제 1 도에 도시한 화면상에 격자패턴등의 콘버젼스보정용패턴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각 조정점(1)마다 콘버젼스보정량의 데이터를 디지틀적으로 1프레임메모리에 기입하고, 그 데이터를 독출해서 D/A 변환하여 콘버젼스보정을 행함으로써, 각 조정점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보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밀도로 콘버젼스보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 2 도를 사용해서 제 2의 종래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도에 있어서, (10)은 투사관, (11)은 투사렌즈, (13)은 스크리인, (9)는 편향요우크, (8)은 콘버젼스요우크이다. (1)는 영상신호입력단자로서, 입력된 영상신호를 영상회로(4)에서 필요한 진폭까지 증폭하고 투사관(10)을 구동한다. 영상회로(4)는 통상의 수상기와 같은 동작을 행하나, 콘버젼스조정시는 디지틀콘버젼스회로(5)에 의해서 작성된 격자패턴등의 콘버젼스조정용 패턴을 공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 디지틀콘버젼스회로(5)는 종래 방식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편향회로(6)와 편향요우크(9)는 동기신호입력단자(3)에 입력되는 동기신호로 투사관(10)의 전자비임을 주사한다. 제 2 도에서는 투사관(10)을 1개밖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적인 컬러수상기에서는 적(R), 녹(G), 청(B)의 3개의 투사관이 사용되고 있다. 조정패턴검출기(12)는 카메라등의 광검출을 행하는 것으로서, 스크리인에 디스플레이된 콘버젼스조정패턴을 검출하여 조정점검출회로(7)에 공급한다. 조정검출회로(7)는 각 조정점의 콘버젼스편위를 검출하고, 그 콘버젼스편위의 신호에 따라서 디지틀 콘버젼스회로(5)의 보정량을 변화시켜서 자동적으로 콘버젼스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광검출기를 부착한 스크리인등에 의해서 콘버젼스편위를 보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콘버젼스장치에는, 콘버젼스조정시는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으나, 전원투입후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주변온도등에 의해서 정적인 콘버젼스편위를 발생한다. 이 정적인 편위는, 투사관의 넥크차아지, 건 센터링 드리프트(gun centering drift)나 콘버젼스의 출력회로의 DC 드리프트, 콘버젼스요우크의 열에 의한 변형, 편향 및 집속시스템의 변화등이 복합된 것이다. 따라서, 콘버젼스를 종래 방식에 의해서 고정밀도로 조정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경시변화를 충분히 한 다음에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원투입후 또는 온도상승에 의해서 발생하는 정적인 편위는 정적 콘버젼스조정기능을 갖추고, 그때마다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종래와 같이 카메라를 사용해서 위치편위량을 검출하여 콘버젼스보정을 행할 경우, 고정밀도로 보정하려면 복잡한 신호처리가 필요하고 회로규모가 커짐과 동시에, 고가의 카메라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종래의 광검출기를 부착한 스크리인을 사용해서 보정을 행할 경우, 영상신호표시용의 주스크리인과 조정용의 부스크리인을 설치하거나, 표시용의 주스크리인과 조정용 부스크리인이 일체적으로 구성된 특수한 스크리인을 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앞면투사형 디스플레이의 경우, 검출부와 신호처리부 사이의 데이터전송이 곤란함과 동시에, 외광등의 불필요한 광의 영향에 의하여 오동작을 일으켜서 콘버젼스편위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화면주변부에 설치된 검출기에 의해서 정적인 색편차를 간단히 회로구성에 의해서 고정밀도로 검출하여 화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정적인 콘버젼스보정을 고정밀도로 행하는 콘버젼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영상의 원색성분의 위치를 보정하는 콘버젼스보정수단과, 상기 화면상의 주변부에 배치된 광검출수단과, 각각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보정기간동안 상기 원색성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면의 주변영역상에, 상기 광검출수단에 입사되도록 위치되는 보정패턴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도록 텔레비젼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보정패턴발생수단과,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동안 상기 보정패턴의 검출에 의해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발생된 광전변환신호에 응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이 상기 보정패턴을 적어도 1개의 소정의 기준위치로 조정하도록 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순차 기억하여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에 계속 공급하는 신호처리, 기억수단과, 상기 보정기간의 반복주기인 검출주기를 제어하는 검출주기제어수단으로 구성된 컬러텔레비젼표시장치용의 콘버젼스장치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콘버젼스조정을 종료한 후, 온도등에 의해서 정적인 콘버젼스편위가 발생하였을때, 화면주변부에 설치된 검출기에 의해서 패턴신호를 수광해서 기준위치에 대해서의 위치편위량을 구하고, 이 연산신호를 기억회로에 의해서 데이터를 유지한 후, 이 기억회로로부터의 보정데이터로 각 패턴신호의 위치가 기준위치에 접속하도록 콘버젼스보정회로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안정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자동정적 콘버젼스를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콘버젼스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도에 있어서, (22)는 콘버젼스편위를 검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패턴신호를 발생하는 패턴발생회로, (14)(15)는 패턴신호의 광을 광전변환해서 콘버젼스편의를 검출하기 위하여 화면주변부의 중심축상에 설치된 검출기, (18)은 검출기(14)(15)로부터의 광전변환출력으로부터 기준위치에 대해서의 위치편위량을 구하기 위한 위치연산회로, (19)는 위치연산회로(18)로부터의 위치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회로, (20)은 패턴발생회로(22)와 기억회로(19)를 제어해서 검출주기를 설정하기 위한 검출주기설정회로, (21)은 기억회로(19)로부터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정적인 콘버젼스보정을 행하는 콘버젼스보정회로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은 제 2 도와 같은 부호로 표시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의 콘버젼스장치에 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화면전체의 콘버젼스조정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디지틀콘버젼스회로 혹은 애널로그 콘버젼스회로에 의하여 조정을 행하고, 조정완료후, 패턴발생회로(22)에 의하여 스크리인(13)상의 일부에 각색의 패턴신호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제 4a 도에 스크리인(13)상의 검출기(14)(15)와 패턴신호(16)(17)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제 4b, c 도에 화면 일부 (A)(B)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콘버젼스조정 완료직후이면 색편위가 없이 같은 위치를 주사하고 있다. 이때 검출기(14)(15)는 패턴신호(16)(17)의 위치편위를 검출하고 있다. 검출기(14)(15)로부터의 광전변환출력은 제 3 도에 도시한 위치연산회로(18)에 공급되어서 기준위치에 대해서의 위치편위량을 구하고 있다. 위치연산회로(18)로부터 순차적으로 구한 각 색의 위치데이터는 기억회로(19)에서 위치편위량을 일정기간동안 기억하고 있다. 검출주기설정회로(20)에서는 패턴신호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패턴발생회로(22)와 기억회로(19)를 제어해서 검출주기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기억회로(19)는 검출주기설정회로(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입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기억회로(19)로부터 판독한 보정데이터를 콘버젼스보정회로(21)에 공급해서 콘버젼스요우크(8)를 구동함으로써, 패턴신호는 검출기(14)(15)에 대해서 항상 일정한 기준위치에 디스플레이되어서 자동적으로 콘버젼스보정이 행해진다.
다음에 콘버젼스편위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해서 제 4b 도의 화면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콘버젼스조정후의 패턴신호가 제 4a 도로부터 제 4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적색패턴신호(54)가 상부쪽으로 편위되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때의 패턴신호의 색절환은 최초의 피일드주사시에 녹색(이하 G라고 한다) 패턴신호(16)가, 제 2의 피일드주사시에 적색(이하 R이라 한다) 패턴신호(54)가 패턴발생회로(22)로부터 출력된다. 검출기(14)에서 G패턴신호(16)와 R패턴신호(54)를 광전변환한 관전변환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연산회로(18)에 공급되어서 위치편위량을 구하고 있다. 위치연산회로(18)로부터는 기준위치(x0)와 이동위치(x1)의 차이데이터(x0-x1)의 위치편위량이 출력되고, 이 보정데이터는 기억회로(19)에 기억된다 기억회로(19)로부터의 보정데이터를 콘버젼스보정회로(21)의 적색-수직방향(R-V)정적 콘버젼스보정회로에 공급해서, 제 4b 도에 도시한 화면상에 적색패턴신호(54)를 (x1)으로부터 (x0)로 이동시켜서 녹색패턴신호(16)와 같은 위치가 되도록 정적인 편위량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정적인 콘버젼스보정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검출 및 제어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 5 도의 블록도, 제 6 도의 동작파형도, 제 7 도의 위치연산특성도, 제 8 도의 검출동작의 타이밍도 및 제 9 도의 검출주기설정도를 사용한다. 제 5 도에 수직방향의 보정시스템의 검출기(14), 위치연산회로(18), 기억회로(19), 콘버젼스보정회로(21), 검출주기설정회로(20)의 구체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스크리인(13)상의 일부에 디스플레이된 패턴신호(16)의 광은 검출기(14)에 의해서 수광된다. 검출기(14)의 광전변환소자로서는 예를들면 포토다이오우드나 포토트랜지스터등의 포인트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검출기(14)의 기준위치(x0)에 대해서 대칭으로 설치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50~53)로 패턴신호(16)를 수광해서 광전변환된 광전변환신호는, 가산기(23)(24)(28), 감산기(25), 최대치검출회로(26) 및 최소치검출회로(27)로 구성된 위치연산회로(18)에 공급되어서 검출기(14)의 기준위치(x0)에 대해서의 위치편위량을 구하고 있다. 기준위치(x0)에 대해서 상부방향의 광전변환소자(50~51)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가산기(23)에 가산되고, 기준위치(x0)에 대해서 하부방향의 광전변환소자(52~53)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가산기(24)에서 가산된다. 가산기(23)(24)로부터의 가산출력은 감산기(25)에 공급되어서 감산된다. 감산기(25)로부터의 출력으로서는 검출기(14)의 기준위치(x0)에 패턴신호가 위치하면, 가산기(23)(24)로부터의 신호는 제 6a, 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진폭의 파형이 되기 때문에, 감산기(25)로부터의 출력은 제 6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0(V)가 된다.
또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14)에 의해서 수광되는 패턴신호의 광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산기(23)(24)로부터의 신호도 제 6a, 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신호진폭이 변화한다. 따라서, 감산기(25)로부터의 출력은 제 6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14)의 기준위치를 기준으로해서 위치편위방향에 의하여 극성이 변화하고, 위치편위량에 의하여 신호진폭이 변환한다. 이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펄스신호는 최대치검출회로(26)와 최소검출회로(27)에 공급되어서, 최대치와 최소치를 검출해서 직류전위로 변환되고, 이 최대치의 최소치의 직류전위를 가산기(28)에서 가산함으로써, 위치편위방향과 위치편위량에 따른 직류전위가 가산기(28)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가산기(28)로부터의 출력은, 검출기(14)의 기준위치에 패턴신호가 위치할때는 제 6e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이 0(V)가 되고, 패턴신호가 상부방향(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제 6f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이 +V1(V)이 되며, 또 패턴신호가 하부방향(화살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는 제 6g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이 -V2(V)가 된다. 제 7 도에 가산기(28)로부터의 위치연산출력을 검출기(14)상의 위치에 대응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14)의 기준위치(x0)를 전압 0(V)로 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즉, 위치연산출력의 극성에 의하여 보정방향, 0(V)에서 기준위치에서 대해서 패턴신호가 대칭으로 존재한 것을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위치연산회로(18)는 기준위치에 대해서의 서로 반대방향의 광전변환신호의 대칭성을 봐서 위치연산을 행하는 대칭위치검출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제 6a, 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14)에 의해서 상관이 있는 신호, 예를들면 실내조명광등의 불필요한 광에 대해서는, 제 6a 도의 가산기(23)의 출력과 제 6b 도의 가산기(24)의 출력과의 감산처리를 행하는 대칭위치검출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광에 대해서도 연산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검출시스템이다. 가산기(28)로부터의 위치연산출력은 각 색의 위치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비교기(29)와 가역카운터(up/down counter)(30)(31)(32)와 메모리 (33)(34)(35)와 D/A 변환회로(36)(37)(38)로 구성된 기억회로(19)에 공급된다. 가산기(28)로부터의 각 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는 비교기(29)에 공급되어서 기준위치의 기준전압이 되는 전압 0(V)와 비교된다.
비교기(29)로부터의 비교출력은 적색-수직방향(이하 R-V라 한다)의 가역카운터(30)와, 녹색-수직방향(이하 G-V라 한다)의 가역카운터(31)와, 청색-수직방향(이하 B-V라 한다)의 가역카운터(32)에 공급되어서, 각 색패턴신호의 디스플레이에 동기해서 데이터의 증감을 행하고, 각 색의 패턴신호의 위치가 기준위치가 되는 데이터를 출력하고 있다. 가역카운터(30)(31)(32)로부터의 증감된 데이터는 각 색의 메모리(33)(34)(35)에 공급되어서 데이터가 기억된다. 또한, 데이터기억을 행하는 타이밍은 카운터(48)와 ROM(49)으로 구성된 검출주기설정회로(2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패턴신호와 색절환에 동기해서 행하고 있다. 제 8a, b, c 도에 검출주기설정회로(20)로부터의 각 색의 제어신호를 도시한다. 제 8a 도에 R-V의 메모리(3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Cr), 제 8b 도에 G-V의 메모리(3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Cg), 제 8c 도에 B-V의 메모리(3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Cb)를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색의 메모리동작은 각 조정기간(Tl)내에 각 색마다 순차적으로 Tlr, Tlg, Tlb의 주기로 조정을 행하여, 메모리(33)(34)(35)의 기입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즉 이 조정기간만 보정을 위하여 피이드백루우프(검출-연산-기억-제어)가 구성되고 있다.
각 색의 메모리(33), (34), (35)로부터의 디지틀데이터는 각 색의 D/A 변환회로(36)(37)(38)에 공급되어서 디지틀량을 애널로그량으로 변환한다. D/A 변환회로(36)(37)(38)로부터의 각 색의 보정데이터는, 콘버젼스보정회로(21)에 공급되어 입력단자(50')로부터의 각 색의 매뉴얼데이터와 가산기(39)(40)(41)에서 가산된 후, 증폭기(42)(43)(44)에 공급해서 RGB-V의 콘버젼스요우크(45)(46)(47)를 구동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정적 콘버젼스를 제어하고 있다. 즉, 검출기(14)를 통과하는 각 색의 패턴신호의 광은 검출기(14)로부터의 광전변환출력전압이 같아지는 검출기(14)의 기준위치, 즉 위치연산회로(18)로부터의 연산출력이 0(V)가 되도록 피이드백루우프에서 보정되고, 정적 콘버젼스와 함께 화면위상도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다음에 검출주기설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 9 도의 검출주기설정도를 사용한다. 제 9 도의 종축에 검출기상에서의 콘버젼스편위량, 횡축에 시간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콘버젼스편위는 온도에 기인하는 요소가 크기 때문에,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을 투입한 직후는 변화량이 크고, 그 후는 서서히 변화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변화량이 큰 전원을 투입한 직후는 검출주기를 짧게, 변화량이 작은 안정상태에서는 검출주기를 길게 설정하고 있다. 이 검출주기설정회로(20)의 구성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55)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를 카운터(48)에서 분주하고, 이 분주된 어드레스신호를 미리 검출주기의 타이밍이 기입된 ROM(49)에 공급해서 검출기의 설정을 행하고 있다.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주기는 t1으로부터 t7까지이며, 검출주기를 시간과 함께 변환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드리프트량이 큰기간에서는 검출주기를 짧게, 드리프트량이 작은 기간에서는 검출주기가 길어지도록 배주기적으로 검출주기를 설정함으로써, 검출동작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비주기적으로 검출주기를 설정해서 자동보정을 행함으로써 제 9 도의 D1 특성(자동보정 "OFF"시의 편위량)으로부터 검출기상의 기준위치에 접속되는 D2 특성(자동보정 "ON"시의 편위량)으로 자동보정된다. 또한, 제 9 도에서는 설명을 알기쉽게 하기 위하여, 검출주기를 길게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주기동안에 오차가 발생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이 오차량을 무시할 수 있도록 검출주기가 짧게 설정되어 있다.
또, 좌우방향의 정적편위에 콘버젼스조정도 마찬가지로, 화면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검출기(15)와 제 5 도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의 보정시스템을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청색(이하 B라한다)의 보정도 적색(R)과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주변부에 설치된 검출기(14)(15)로 패턴신호를 수광해서 기준위치에 대해서의 위치편위량을 구하고, 이 연산신호를 기억회로(19)에서 데이터유지(기억)한 후, 이 기억회로(19)로부터의 보정데이터로 콘버젼스보정회로(21)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안정하고 고정밀도로 자동적으로 정적 콘버젼스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 검출기(14)(15)의 기준위치에 집속시키기 위하여 대칭위치검출로 행함으로써, 콘버젼스와 화면위상의 보정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광전변환소자의 수광부 면적도 좁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신호처리에서의 복잡한 연산이 불필요하고, 또한 제어신호의 처리가 직류전위이기 때문에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면상의 일부에 검출기를 설치해서 검출하고 있기 때문에 검출정밀도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값싼 포인트센서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드리프트변화량에 따라서 검출주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검출오동작이 없고 안정하며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다.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를 도시한 콘버젼스장치의 블록도의 일부이다. 제 10 도에 있어서, 제 5 도의 구성과 동일한 것은 표시를 삭제하고 설명도 생략한다. 제 10 도에 있어서, (14)검출기, (23)(24)는 연산증폭기(60(61)로 구성된 가산기, (25)는 연산증폭기(62)로 구성된 감산기이다. 제 5 도의 구성과 다른 것은, 검출기(14)의 기준위치(x0) 부근에서의 검출감도를 올릴 수 있도록 제어한 점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기준위치에 대해서의 위치편위를 검출해서 항상 기준위치에 패턴신호가 위치하도록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위치부근의 검출감도가 검출정밀도에 큰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기준위치에 인접하는 광전변환소자의 검출감도를 올려서 검출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기준위치에 인접하는 광전변환소자의 검출감도를 올리는 방법으로서,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가산기(23), (24)에서의 가산비를 광전변환소자(50)(53)에 비교하면 광전변환소자(51)(52)의 가산비가 커지도록 설정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가와 같이 구성된 제 2의 실시예의 콘버젼스장치에 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 11 도의 특성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산기(23)(24)의 출력전압은 다음식으로 표현된다.
연산증폭기(60)의 출력전압(E01)은
E01=-(Rf/R1×E1+Rf/R2×E2)
연산증폭기(61)의 출력전압(E02)은
E02=-(Rf/R2×E3+Rf/R1×E4)
가 된다.
또 , 감산기(25)의 출력전압(E03)은 다음식으로 표현된다.(R3=R4, R5=R6일때).
E03=R5/R3×(E01-E02)
기준위치(x0)에 인접하는 광전변환소자(51), (52)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저항(R2)을 통해서 연산증폭기(60)(61)에 공급된다. 또 기준위치로부터 떨어진 광전변환소자(50)(53)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저항(R1)을 통해서 연산증폭기(60)(61)에 공급되고, 기준위치보다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광전변환소자(51)(50)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연상증폭기(60)에서, 기준위치보다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광전변환소자(52)(53)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연산증폭기(61)에서 각각 가산된다. 이때 저항(R1)과 (R2)의 저항비를 R1에 비해서 R2를 작게(R1〉R2) 설정함으로써, 기준위치부근에서의 검출감도를 올리고 있다. 연산증폭기(60)(61)로부터는 기준위치에 인접하는 광전변환소자(51)(52)의 검출감도가 향상된 신호가 출력된다. 연산증폭기(60)로부터의 신호는 연산증폭기(62)의 -단자에, 연산증폭기(61)로부터의 신호는 연산증폭기(62)의 +단자에 공급되고 감산되어서, 기준위치를 기준으로한 위치신호가 출력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감산되어서, 기준위치를 기준으로한 위치신호가 출력된다. 이 이후의 처리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며, 신호의 최대치 및 최소치검출을 행하고, 그 양검출신호를 가산해서 위치연산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가산기(28)로부터의 위치연산출력특성을 검출기상의 위치에 대응해서 도시하면 제 11 도와 같이 되어, 기준위치부근을 고감도로 위치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산기(23)(24)에서의 가산비를 변화해서 기준위치의 검출감도를 향상시켰을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기(14)의 광전변환소자의 감도, 지향특성이 변화해도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제 12 도에 검출기상의 위치에 대응한 광전변환소자의 감도 및 지향특성을 도시하고 기준위치에 인접하는 광전변환소자에 고감도, 고지향성의 광전변환소자(64)(65)를, 기준위치보다도 떨어진 광전변환소자에 저감도, 저지향성의 광전변환소자(63)(66)를 설치함으로써, 기준위치부근을 고감도로 위치검출 할 수 있다. 이 이후의 처리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산기에서의 가산비 및 광전변화소자의 감도, 지향특성을 변화시켜서 기준위치부근의 검출감도를 향상시켜 위치검출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자동정적 콘버젼스보정을 행할 수 있다.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콘버젼스장치의 블록도의 일부이다. 제 13 도에 있어서, 제 5 도의 구성과 같은 것은 삭제하고 도시한다. 제 5 도의 구성과 다른것은, 검출기(14)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를 진폭검출회로(68)에 공급해서 진폭검출을 행함과 동시에,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검출기(14)에 의해서 수광된 패턴신호와 패턴신호이외의 불필요한 광의 광전변환신호의 유무의 제어신호를 작성하고, 이 제약신호에 의하여 검출주기를 제어하도록 한 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3의 실시예의 콘버젼스장치에 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 14 도의 동작도를 사용한다. 광전변환소자(50)(51)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산기(23)에서, 광전변환소자(52)(53)로부터의 광전변환신호는 가산기(24)에서 각각 가산된다. 가산기(23)(24)로부터의 양 광전변환신호는 가산기(80)에 공급되어서 가산되고, 기준위치에 대해서 대칭으로 설치된 광전변환소자(50)(51)(52)(53)의 양 광전변환소자로부터의 광전변환출력이 얻어진다. 가산기(80)로부터의 신호는 다이오우드(D1)와 콘덴서(C3)로 구성된 피이크검출회로(69)에서 피이크치가 검출된다. 피이크검출회로(69)로부터의 신호는 비교기(81)(82)와 OR회로(83)로 구성된 제어신호작성회로(70)에 공급되어서 검출주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작성하고 있다. 비교기(81)에서는 비교전위를 높게 설정한 VrH와 비교함으로써, 검출기에 의해서 수광되는 패턴신호이외의 불필요한 광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다. 또 비교기(82)에서는 비교전위를 낮게 설정한 VrL과 비교함으로써, 검출기에 의해서 수광되는 패턴신호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다.
비교기(81)로부터의 불필요한 광의 검출신호와 비교기(82)로부터의 패턴신호인 검출신호는 OR회로(83)에 공급되어서, 검출기에 의해서 패턴신호만 수광된 상태를 검출하고 있다. 입력단자(55)에는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어 카운터(48)에서 분주되어서 ROM(49)용의 어드레스신호를 작성하고 있다. 카운터(48)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는 미리 검출주기가 프로그램된 ROM(49)에 공급해서 검출주기의 설정을 행하고 있다. 이 ROM의 데이터내용을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검출주기의 설정이 가능하다. ROM(49)으로부터 독출된 검출주기신호와 상기 OR회로(83)로부터의 검출신호는 절환회로(86)에 공급되어서, 검출기에서 패턴신호만이 수광되었을때만 검출주기신호를 발생하도록 검출주기를 제어하고 있다. 절환회로(86)로부터의 검출주기가 제어된 신호는 패턴발생회로(22)와 기억회로(19)에 공급되어서, 각 색의 패턴신호의 발생과 각 색의 기억회로의 동작모우드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제 14 도에서 피이크검출회로(69)로부터의 출력전압과 검출동작모우드를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전압이 VrH로부터 VrL의 범위내에만 검출동작을 행하고, 그 이외에서는 검출동작을 정지하도록 검출주기를 제어하고 있다. 그 이후의 처리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검출기에 의해서 수광된 광전변환출력의 피이크치를 검출해서 패턴신호와 패턴신호이외의 불필요한 광의 유무를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검출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광에 의한 검출오동작이 없이 위치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자동정적 콘버젼스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검출기로서 복수의 광전변환소자로 구성되었을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위치연산기능을 가진 위치검출기나 기타의 선형검출기를 사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 검출기의 설치장소로서는 화면주변부에 설치하였을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화면의 유효화면외에 화면십자상 즉 중심축상의 위치에 설치하면 고정밀도로 보정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검출주기의 설정으로서는 ROM에 설정할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위치연산회로로부터의 기준위치에 대한 위치편위량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설정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정적인 콘버젼스보정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화면주변부의 상반하는 부분에도 광전변환소자를 설치해서 타이밍콘버젼스보정의 일부를 행해도 된다. 또, 동적인 편위여부를 판단해서 동적인 콘버젼스조정을 행하는 것을 램프등을 사용해서 표시하고, 동적콘버젼스 조정지시로 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3원색의 중첩, 소위 콘버젼스보정과 화면위상의 보정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화면진폭등의 제어를 행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투사형 컬러수상기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직시형(直視形) 수상기에 관해서도 유효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틀 및 애널로그 방식의 동적 콘버젼스회로에 의해서 고정밀도로 조정된 콘버젼스가 온도등에 의하여 정적인 편위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면 주변부에 설치된 검출기에 의해서 패턴신호를 수광해서 기준위치에 대해서의 위치편위량을 구하여, 패턴신호의 디스플레이와 기억회로의 기입동작을 제어해서 검출주기의 설정을 행하고, 이 연산신호를 기억회로에서 데이터 유지한 후, 이 기억회로로부터의 보정데이터로 각 패턴신호의 위치가 기준위치에 집속하도록 콘버젼스보정회로를 제어함으로써 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안정하고 고정밀도로 자동정적 콘버젼스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 검출기의 기준위치에 집속시키는 기준위치 집속방식이므로 콘버젼스와 함께 화면위상을 동시에 자동보정할 수 있다. 또 기준위치집속방식으로서 대칭위치검출을 행함으로서, 신호처리에서의 복잡한 연산이 불필요하고 안정성이 뛰어난 것이다. 또, 제어신호를 직류전위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신호처리 및 전송이 용이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또 화면상의 일부에 검출기를 설치해서 위치검출을 행하고 있으므로, 검출정밀도가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저렴한 가격의 포인트센서등을 사용할 수 있어 값싸게 실현할 수 있어, 그 실용적 효과는 크다.
또, 위치연산회로에서의 가산화 및 광전변환소자의 감도, 저항특성을 변화하여 기준위치부근의 검출감도를 향상시켜서 위치검출을 행하여 보정을 행함으로써, 집속위치인 기준위치에 고정밀도로 패턴신호를 집속시키는 일이 가능하게 되어, 매우 고정밀도의 자동정적 콘버젼스보정을 행할 수 있다.
또, 검출기에 의해서 수광된 광전변환출력이 진폭을 검출해서 패턴신호와 패턴신호이외의 불필요한 광의 유무를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검출주기를 제어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광에 의한 검출오동작이 없이 위치검출을 할 수 있으므로, 안정하고 고정밀도로 보정할 수 있어, 그 실용적 효과는 크다.

Claims (11)

  1. 화면상에 원색성분의 조합으로서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컬러텔레비젼표시장치용의 콘버젼스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젼영상의 상기 원색성분의 위치를 보정하는 콘버젼스보정수단(21)과, 상기 화면(13)상의 주변부에 배치된 광검출수단(14, 15)과, 각각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보정기간동안 상기 원색성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면의 주변영역상에, 상기 광검출수단에 입사되도록 위치되는 보정패턴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보정패턴발생수단(22)과,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동안 상기 보정패턴의 검출에 의해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발생된 광전변환신호에 응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이 상기 보정패턴을 상기 광검출수단에 관하여 정해진 적어도 1개의 소정의 기준위치로 조정하도록 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순차 기억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21)에 계속 공급하는 신호처리기억수단(18, 19)과, 상기 보정기간의 반복주기인 검출주기를 제어하는 검출주기제어수단(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주기제어수단(20)은, 상기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보정패턴의 위치편차량에 따라 상기 검출주기를 변화주기를 변화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주기제어수단(20)은, 상기 텔레비젼표시장치의 개시기간동안에는 상기 검출주기를 비교적 짧게 하고 그후에는 상기 검출주기를 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14, 15)은 광전변환소자의 어레이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의 감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신호처리, 기억수단(18, 19)은 상기 광전변환소자의 각각으로부터 발생된 광전변환신호를 받아서 상기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보정패턴의 위치편차방향 및 위치편차량을 각각 나타내는 극성 및 크기를 지니는 검출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회로수단(18)을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동안, 상기 검출출력신호가 0에 도달할때까지 변화하고 그 이후에는 계속되는 보정주기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21)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데이터값으로서 상기 위치데이터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패턴이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동안 상기 영상의 연속화면에 각각 표시되므로써, 상기 광전변환소자로부터의 상기 광전변환신호가 펄스열로서 발생되고, 상기 검출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회로수단(18)은, 상기 광전변환소자의 상기 광전변환신호로부터, 상기 기준위치로부터의 상기 보정패턴의 위치편차량을 나타내는 편차신호를 출력하는 수단(23, 24, 25)과, 상기 편차신호의 최대진폭을 검출하고 이 최대진폭을 나타내는 DC 신호레벨을 생성하는 최대진폭검출수단(26)과, 상기 편차신호의 최소진폭을 검출하고 이 최소진폭을 나타내는 DC 신호레벨을 생성하는 최소진폭검출수단(27)과, 상기 최대진폭검출수단으로부터의 DC 신호레벨과 상기 최소진폭검출수단으로부터의 DC 신호레벨을 가산하여 상기 검출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신호가산수단(28)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신호는 상기 기준위치의 대향측상에 대칭으로 배치된 상기 광전변환소자의 각각의 세트에 의해 출력된 광전변환신호로부터 각각 유도된 2개의 신호사이의 차이신호로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7. 화면상에 원색성분의 조합으로서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컬러텔레비젼 표시장치용의 콘버젼스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젼영상의 상기 원색성분의 위치를 보정하는 콘버젼스보정수단(21)과, 상기 화면상의 주변부에 배치된 광검출수단(14, 15)과, 각각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보정기간동안 상기 원색성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면의 주변영역상에, 상기 광검출수단에 입사되도록 위치되는 보정패턴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보정패턴발생수단(22)과,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중 상기 보정패턴의 검출에 의해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발생된 광전변환신호에 응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이 상기 보정패턴을, 상기 광검출수단에 관하여 정해진 적어도 1개의 소정의 기준위치로 조정하도록 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순차 기억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21)에 계속 공급하는 신호처리기억수단(18, 19)으로 구성되고, 상기 광검출수단(14, 15)은 상기 기준위치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되어 연속으로 위치된 광전변환소자의 어레이로 이루어진 적어도 1개의 감광소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준위치에 밀접하게 위치된 상기 감광소자중의 소정의 광전변환소자의 검출감도가 상기 감광소자중의 나머지 광전변환소자의 검출감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8. 화면상에 원색성분의 조합으로서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컬러텔레비젼표시장치용의 콘버젼스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젼영상의 상기 원색성분의 위치를 보정하는 콘버젼스보정수단(21)과, 상기 화면상의 주변부에 배치된 광검출수단(14, 15)과, 각각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보정기간동안 상기 원색성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면의 주변영역상에, 상기 광검출수단에 입사되도록 위치되는 보정패턴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보정패턴발생수단(22)과,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중 상기 보정패턴의 검출에 의해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발생된 광전변환신호에 응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이 상기 보정패턴을, 상기 광검출수단에 관하여 정해진 적어도 1개의 소정의 기준위치로 조정하도록 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순차 기억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21)에 계속 공급하는 신호처리기억수단(18, 19)과, 상기 보정기간의 반복주기인 검출주기를 제어하는 검출주기제어수단(20)과, 상기 광검출수단에 의해 수광된 광의 총량이 소정레벨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에 따라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검출주기제어수단을 제어해서 상기 검출결과에 따라 검출주기를 절환하는 수단(68, 8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9. 화면상에 원색성분의 조합으로서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컬러텔레비젼표시장치용의 콘버젼스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젼영상의 상기 원색성분의 위치를 보정하는 콘버젼스보정수단(21)과, 상기 화면의 수직연장측상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광전변환소자의 어레이로 이루어진 제 1 광검출수단(14)과, 상기 화면의 수평연장측상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광전변환소자의 어레이로 이루어진 제 2 광검출수단(15)과, 각각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보정기간동안 상기 원색성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면의 주변영역상에 보정패턴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보정패턴의 제 1 및 제 2 소정의 위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광검출수단상에 각각 입사하도록 위치결정되는 보정패턴발생수단(22)과,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동안 상기 보정패턴의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위치의 검출에 의해 발생된 각각의 광전변환신호에 응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의 상기 보정패턴이 상기 제 1 및 제 2 소정위치를, 상기 제 1 및 제 2 광검출수단의 상기 소자어레이의 각각의 중앙위치에 정해진 제 1 및 제 2 소정의 기준위치로 조정하도록 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순차 이 위치데이터를 기억하여 계속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21)에 공급하는 신호처리, 기억수단(18, 1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10. 화면상에 원색성분의 조합으로서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컬러텔레비젼표시장치용의 콘버젼스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젼영상의 상기 원색성분의 위치를 보정하는 콘버젼스보정수단(21)과, 상기 화면상의 주변부에 배치된 광검출수단(14, 15)과, 각각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보정기간동안 상기 원색성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면의 주변영역상에, 상기 광검출수단에 입사되도록 위치되는 보정패턴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보정패턴발생수단(22)과,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동안 상기 보정패턴의 검출에 의해 기준위치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된 상기 광검출수단의 두 부분에 의해 각각 발생된 제 1 및 제 2 광전변환신호에 응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전변환신호간의 차이를 검출하고, 이 차이를 0으로 저감시켜 상기 보정패턴을 상기 기준위치로 조정하도록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21)이 상기 보정패턴의 위치보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순차 이 위치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위치데이터를 계속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에 공급하는 신호처리기억수단(18, 1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11. 화면상에 원색성분의 조합으로서 텔레비젼영상을 표시하는 컬러텔레비젼표시장치용의 콘버젼스장치에 있어서, 텔레비젼영상의 상기 원색성분의 위치를 보정하는 콘버젼스보정수단(21)과, 상기 화면상의 주변부에 배치된 광검출수단(14, 15)과, 각각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보정기간동안 상기 원색성분의 각각에 대해서 상기 화면의 주변영역상에, 상기 광검출수단에 입사되도록 위치되는 보정패턴을 주기적으로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보정패턴발생수단(22)과, 각각의 상기 보정기간동안 상기 보정패턴의 검출에 의해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발생된 광전변환신호에 응해서,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이 상기 보정패턴을 상기 광검출수단에 관하여 정해진 적어도 1개의 소정의 기준위치로 조정하도록 하는 위치데이터를 발생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순차 기억하고 이 위치데이터를 상기 콘버젼스보정수단(21)에 계속 공급하는 신호처리기억수단(18, 19)과, 상기 광검출수단에 의해 수광된 광의 총량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에 따라서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소정의 레벨을 초과한 경우 상기 신호처리기억수단이 신호처리동작을 중지하도록 상기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신호처리기억수단을 제어하는 수단(68, 8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버젼스장치.
KR1019880001988A 1987-02-26 1988-02-26 콘버젼스장치 KR920003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043324A JPS63209388A (ja) 1987-02-26 1987-02-26 コンバ−ゼンス装置
JP87-43324 1987-02-26
JP62-43324 1987-02-26
JP87-72440 1987-03-26
JP62-72440 1987-03-26
JP7244087A JPH065960B2 (ja) 1987-03-26 1987-03-26 コンバ−ゼンス装置
JP62-119442 1987-05-15
JP87-119442 1987-05-15
JP62119442A JP2809625B2 (ja) 1987-05-15 1987-05-15 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62180453A JPH069393B2 (ja) 1987-07-20 1987-07-20 コンバ−ゼンス装置
JP62-180453 1987-07-20
JP87-180453 1987-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614A KR880010614A (ko) 1988-10-10
KR920003725B1 true KR920003725B1 (ko) 1992-05-09

Family

ID=2746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1988A KR920003725B1 (ko) 1987-02-26 1988-02-26 콘버젼스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57998A (ko)
EP (1) EP0280302B1 (ko)
KR (1) KR920003725B1 (ko)
CA (1) CA1294702C (ko)
DE (1) DE38743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5602A (en) * 1987-08-27 1989-05-30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Color projection television system with apparatu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and misgeometry which calculates coefficients of equations representing deflection correction waveforms
DE3820727A1 (de) * 1988-06-18 1989-12-21 Graetz Noki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orizontalen rasterkorrektur bei dreiecks- oder sinusablenkung
US4999703A (en) * 1988-12-23 1991-03-12 Hughes Aircraft Company Automatic imag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ors utilizing cathode ray tubes
DE3920965C2 (de) * 1989-06-27 1997-07-10 Sel Alcate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Konvergenzeinstellung für Farbdisplays
CA1329256C (en) * 1989-09-01 1994-05-03 Electrohome Limited Ambient light rejecting quad photodiode sensor
DE3931032A1 (de) * 1989-09-16 1991-03-28 Thomson Brandt Gmbh Einrichtung zur rasterkorrektur in einem fernsehgeraet
US5077600A (en) * 1989-10-03 1991-12-31 Sony Corporation Self-inspecting convergence measuring apparatus
DE3934229A1 (de) * 1989-10-13 1991-04-18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m positionieren eines lichtstrahls auf einer bildflaeche
US5933132A (en) * 1989-11-07 1999-08-03 Proxim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geometrically an optical computer input system
JPH03179893A (ja) * 1989-12-08 1991-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US5258830A (en) * 1990-03-16 1993-11-02 Electrohome Limited Automatic video convergence system
FR2660090B1 (fr) * 1990-03-23 1994-07-29 Thomson Csf Dispositif de visualisation par projection a boucle de contre-reaction pour la correction de l'ensemble des defauts de l'image projetee.
JP3409330B2 (ja) * 1991-02-08 2003-05-26 ソニー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の調整装置および調整方法
JP3116457B2 (ja) * 1991-09-13 2000-12-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ンバージェンス測定装置
US6141000A (en) * 1991-10-21 2000-10-31 Smart Technologies Inc. Projection display system with touch sensing on screen, computer assisted alignment correction and network conferencing
KR0185238B1 (ko) * 1992-02-20 1999-05-01 다니이 아끼오 음극선관제어장치
DE4214317A1 (de) * 1992-05-04 1993-11-11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US5883476A (en) * 1994-06-09 1999-03-16 Hitachi, Ltd. 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with recovery function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5510833A (en) * 1994-06-13 1996-04-23 Display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coordinate systems in an automated video monitor alignment system
JPH089309A (ja) * 1994-06-23 1996-01-12 Canon Inc 表示方法及び装置
EP0703714A3 (en) 1994-09-20 1997-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mage display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image correction device
US5739870A (en) * 1996-03-11 1998-04-14 Display Laboratories, Inc. Math engine for generating font gradients
JPH09252416A (ja) * 1996-03-15 1997-09-22 Nec Corp Crt−プロジェクタの垂直偏向極性切替回路
US6014168A (en) * 1996-04-26 2000-01-11 Display Laboratories, Inc. Screen mapping of a cathode ray tube
US5896170A (en) * 1996-07-02 1999-04-20 Display Laboratories, Inc. Dynamic alignment of cathode ray tube rasters
DE19700204A1 (de) * 1997-01-04 1998-07-09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Konvergenz bei einem Projektions-Fernsehgerät
US6285397B1 (en) 1997-01-16 2001-09-04 Display Laboratories, Inc. Alignment of cathode ray tube video displays using a host computer processor
US5969486A (en) * 1997-01-16 1999-10-19 Display Laboratories, Inc. Detecting horizontal blanking time in cathode ray tube devices
US6437829B1 (en) 1997-01-16 2002-08-20 Display Laboratories, Inc. Alignment of cathode ray tube displays using a video graphics controller
AU2343197A (en) * 1997-03-24 1998-10-20 Display Laboratories, Inc. Correction for monitor refraction using empirically derived data
JPH10333088A (ja) * 1997-05-28 1998-12-18 Canon Inc 投射画像の表示方法および投射型画像表示装置
US6057881A (en) * 1997-06-04 2000-05-02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video display about a multiple of sensor positions by illuminating one calibration sensor at a time
US6201569B1 (en) * 1997-06-04 2001-03-13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display blanking signals
US5923366A (en) * 1997-06-04 1999-07-13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video displays
US6281950B1 (en) 1997-06-16 2001-08-28 Display Laboratories, Inc. High speed digital zone control
JP3612946B2 (ja) * 1997-07-15 2005-01-26 ミノルタ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の表示特性測定装置
US5898465A (en) * 1998-01-29 1999-04-27 Sony Corporation Automatic convergence adjustment system with the capacity to modify test patterns to b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US6333768B1 (en) * 1998-02-24 2001-12-25 Sony Corporation Convergence calibration in video displays with signal level control
EP1065891A1 (en) * 1999-06-30 2001-01-03 Thomson Licensing S.A. Projection video display with photo transistor sensors
US6297859B1 (en) * 1999-06-30 2001-10-02 Thomson Licensing S.A. Opto sensor signal detector
DE19945623A1 (de) * 1999-09-23 2001-03-29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vergenzkorrektur in einem Fernsehgerät
JP2001333434A (ja) * 2000-05-19 2001-11-30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1168849A1 (en) * 2000-06-29 2002-01-02 Sony Espana SA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projection
EP1168847A1 (en) * 2000-06-29 2002-01-02 Sony Espana SA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projection
GB2370743B (en) * 2000-09-07 2004-04-07 Thomson Licensing Sa Sensor signal processing for automatic convergence
KR100396552B1 (ko) * 2001-02-16 2003-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JP2002369214A (ja) * 2001-05-30 2002-12-20 Lg Electronics Inc 3管式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自動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KR100416547B1 (ko) * 2001-09-10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컨버젼스를 자동으로 조정하는방법 및 장치
US20030156229A1 (en) * 2002-02-20 2003-08-21 Konin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aster in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KR100465321B1 (ko) * 2002-05-02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D급 증폭기를 이용하여 컨버전스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영상왜곡보정장치
AU2003257092A1 (en) * 2002-07-31 2004-02-16 Thomson Licensing S.A. Center convergence optimization in a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7170550B2 (en) * 2003-07-03 2007-01-30 Sony Corporation Television data management system
US20050012820A1 (en) * 2003-07-03 2005-01-20 Sony Corporation Data management process for television assembly
KR100672584B1 (ko) * 2005-02-07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20080284578A1 (en) * 2007-05-16 2008-11-20 Evdokimos Mouratidis Auto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672471B2 (en) 2007-12-18 2017-06-06 Gearbox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cting occlusions in a biological subject including spectral learning
US8636670B2 (en) 2008-05-13 2014-01-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irculator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9717896B2 (en) 2007-12-18 2017-08-01 Gearbox, Llc Treatment indications informed by a priori implant information
US20090287120A1 (en) 2007-12-18 2009-11-19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irculator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20090292214A1 (en) * 2008-05-22 2009-11-26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irculatory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JP5728814B2 (ja) * 2010-03-12 2015-06-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9448A (en) * 1966-11-03 1969-11-18 Paul Kollsman Automatic color balance for color television
JPS5599882A (en) * 1979-01-23 1980-07-30 Toshiba Corp Automatic adjustment method of dynamic convergence and its unit
US4277797A (en) * 1979-03-19 1981-07-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lor television receiver having an automatic adjustment system and a process for adjusting the receiver
US4485394A (en) * 1982-09-27 1984-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convergence and gray scale correction for television _receivers and projection television systems
DE3311971A1 (de) * 1983-03-31 1984-10-0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inrichtung zum ausrichten von videoprojektionen
EP0135642A1 (de) * 1983-08-05 1985-04-03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Sensorsystem für Fernsehbildröhren
US4683467A (en) * 1983-12-01 1987-07-28 Hughes Aircraft Company Image registration system
US4593308A (en) * 1984-04-27 1986-06-03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correction of centering and convergence errors in CRT displays
JPH07121125B2 (ja) * 1986-03-19 1995-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57998A (en) 1989-08-15
DE3874366T2 (de) 1993-02-11
EP0280302A1 (en) 1988-08-31
DE3874366D1 (de) 1992-10-15
EP0280302B1 (en) 1992-09-09
KR880010614A (ko) 1988-10-10
CA1294702C (en) 1992-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725B1 (ko) 콘버젼스장치
US4684996A (en) Video projector with optical feedback
JPH05176238A (ja) 撮像装置
US4879598A (en) Infrared video camera shading correction device
JPH03139985A (ja)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JPH06133324A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0185238B1 (ko) 음극선관제어장치
JPH08149522A (ja) 位置検出装置及び画像補正装置
CN108803006B (zh) 光纤扫描成像系统、设备及其畸变检测与矫正系统
JP2006112978A (ja) 三次元計測センサ
JP2653063B2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2003047017A (ja) 3管式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自動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JPS60130288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ゼンス装置
JP2002369214A (ja) 3管式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自動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JPH0937277A (ja) 画像補正装置
JPH08317431A (ja) 信号発生装置及び位置検出装置及び画像補正装置
JP2003047018A (ja) 3管式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自動コンバーゼンス補正回路
JPH069393B2 (ja) コンバ−ゼンス装置
US5892985A (en) Eye ball detecting device
JPH065960B2 (ja) コンバ−ゼンス装置
JPS63224574A (ja) コンバ−ゼンス装置
KR20020006952A (ko) 프로젝션 tv의 지자계 보상장치
JPS63224572A (ja) コンバ−ゼンス装置
JP3361618B2 (ja) 自動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写型画像表示装置
KR0136414B1 (ko) 멀티스크린에서의 휘도조절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