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160B1 - 원고 판독장치 - Google Patents

원고 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60B1
KR920003160B1 KR1019880007723A KR880007723A KR920003160B1 KR 920003160 B1 KR920003160 B1 KR 920003160B1 KR 1019880007723 A KR1019880007723 A KR 1019880007723A KR 880007723 A KR880007723 A KR 880007723A KR 920003160 B1 KR920003160 B1 KR 92000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original
feed roller
main body
pap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196A (ko
Inventor
마사오 고보리
노리오 다끼다
히데아끼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도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고바야시 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고바야시 쥰 filed Critical 도꾜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25Providing a more compact apparatus, e.g. sheet discharge tray in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고 판독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고 판독장치가 적용되어 있는 팩시밀리장치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원고대를 기립시킨 상태에 있어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3도는 원고대에 원고를 세트한 상태에 있어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4도는 손잡이를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5도는 기록지를 교환할때의 상태에 있어서의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의 본체 커버 및 원고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의 조작파넬의 평면도.
제8도는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의 본체 커버내에 수납되는 구성부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9도는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의 본체 커버내의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각종 부품을 표시한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급지롤러와 일체화된 원고 판독 유닛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의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제9도의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구동기구 유닛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14도는 원고 판독 유닛와 일체화된 급지롤러에 제9도의 본체 프레임 중에서 대향하게 배치되는 마찰판 근방을 표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15도는 제9도의 본체 프레임중의 급지경로에 배치되는 페이퍼 센서의 근방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16도는 제9도의 본체 프레임의 측면에 착설되는 구동기가 유닛를 도시한 제1도의 팩시밀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구동기가 유닛가 착설되어 있는 측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의 측면을 도시한 개략적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커버 24 : 원고 삽입구
26 : 원고 배출구 52 : 이미지 센서유닛
68 : 급지롤러 80 : 센서하우징
90 : 급지롤러 지지부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팩시밀리장치에 적용되는 원고 판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판독장치는 본체 커버의 원고 삽입구에 삽입된 원고를 급지롤러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유닛에 이송하고, 상기 센서유닛로 원고에 빛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원고를 판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원고 판독장치에 있어서는 급지롤러와 센서유닛가 상호 독립된 상태애서 상기 본채 커버내의 새시에 착설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롤러와 센서유닛와의 사이의 급지 경로의 길이가 길어져 장치의 소형화에 방해가 되었었다.
급지경로의 길이의 장대화는 상기 경로중에서 원고의 쟈밍(Jamming)이나 사행 스큐(Skew)의 발생의 확률을 높일뿐만 아니라 원고 판독작업을 위한 준비단계(스탠바이 단계)에 필요한 시간(스텐바이 시간)의 장대화를 발생시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고 발명된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가 있고, 나아가서는 원고의 쟈망이나 사행(스큐)의 발생의 확률을 저하시킬 수가 있고, 또한 원고 판독작업을 위한 스텐 바이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는 간이 구성의 원고 판독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원고 판독장치에 있어서는, 센서유닛를 위한 센서하우징에 급지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 지지부를 설치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신규 구성은 급지롤러와 센서유닛와의 사이의 급지경로의 단축화를 발생시키므로, 그 결과로써 장치의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가 있다. 또한, 그러한 이유로 원고의 쟈밍이나 사행(스큐)발생의 확률을 저하시킬 수가 있고, 그리고 원고 판독 작업을 위한 스탠바이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신규한 구성을 전술한 종래의 원고 판독장치의 구성과 비교하면 훨씬 간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원고 판독장치가 적용된 팩시밀리장치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중 참조부호(10)은 팩시밀리장치의 본체 커버를 표시한다. 이 본체 커버(1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상부 커버부재(12)와 하부커버 부재(14)로 구성되고, 상부 커버부재(12)의 상표면의 앞부분에는(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영역(18)의 상면에는 조작파넬(20)이 설치되고 조작파넬(20)상에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타트 키(22a), 통화에약 키(22b), 자동수단/수동수신전환 키(22c), 송신모드 설정키(22d), 카피모드 전환키(22e), 스톱키(22f)등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액정표시수단(22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영역(18)의 상면에는 조작파넬(20)의 후측에 원고 삽입구(24)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커버(14)의 앞면의 하부에는 원고 배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커비(10)의 상면의 앞부분에는 제1도 및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차영역(15)을 덮는 개체(25)가 개체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개체(25)는 송신모드의 경우에 원고를 재치하는 원고대를 겸하고 있고, 개체(28)의 이면에는 제2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원고 가이드(30)가 지폭방항에 슬라이드 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체(28)의 선단중앙부에는 기립된 개체(28)의 선단 중앙부에는 기립된 개체(28)의 이면상에 재치된 원고를 지지하기 위한 원고 지지부재(32)의 일단이 회동자재하게 구착되어 있고, 불사용시에는 개체(28)의 이면선단부 요입부에 수납된다. 개채(28)의 양측부에는, 단차영역(18)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1쌍의 계지공(33)에 걸어맞추어 1쌍의 계지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체(28)의 중앙부에는 개체(28)를 닫은 상태에서도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판넬(20)이 보일 수 있게하기 위하여 투명창(36)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 커버(10)의 앞면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인출이 가능하고 파지운반을 위한 손잡이(38)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커버(10)의 상면중앙부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상태의 감열기로지(40)를 교환하기 위한 개폐커버(42)가 회동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커버(42)에는 투명창(44)이 설치되어 있고, 투명창(44)은 개폐커버(42)가 닫혀져 있는 사이에 있어서 기록지(40)의 잔량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본체 커버(10)의 내부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본체 프레임(46)이 수납되어 있다.
이 본체 프레임(46)의 앞부분에는 만곡시킨 원고 안내벽(48)이 형성되어 있고, 후부에는 기록지를 수납하기 위한 기록지 수납요설부(5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46)의 원고 안내벽(48)의 상면에는 원고 판독센서유닛(52)가 장착되며, 원고 안내벽(48)의 우측에는 인자 유닛(54)이 장착되고, 일측 측면에는 구동기구 유닛이 장착된 본체 프레임(46)은 팩시밀리장치 본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체 커버(10)내에는 더욱이 본체 프레임(46)의 하측 및 후측에 프린트 배선판(58) 및 전원회로 유닛(60)이 수납되어 있다.
원고 판독 센서유닛(52)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형 이미지 센서(62), 로드렌즈 집합체(64), LED 집합체(66), 급지롤러(68), 급지롤러축(70), 일방향 클러치(72), 급지롤러 구동기어(74), 스프링(76), 맞붙임(78), 센서하우징 (80)등으로 되고, 급지롤로축(70)을 통하여 본체 프레임(4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센서하우징(80)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으로 되었고 상하면에 개구된 제1의 지지부(82)와, 제1의 지지부(82)의 장연부에 인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제2의 지지부 (84)등에 의하여 주료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의 지지부(82,84)는 파이버로 보강된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지지부(82)에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62) 로드렌즈 집합체(64), LED 집합체(66), 스프링(76), 그리고 당접부재(78)등의 판독장치 주요 구성 부품이 착설되어 있다.
제2의 지지부(84)의 하면은 본체 프레임(46)의 원고 안내벽(48)의 만곡된 상표면에 연하게 만곡되어 있고, 중앙부에 자신의 길이방향에 긴 축을 배치한 롤러 노출 개구(86)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지지부(84)의 내표면에는, 자신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상호 이간된 복수의 보강리브(88)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지지부(84)의 양측벽에는 급지롤러축(70)을 제2의 지지부(84)의 하표면과 평행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 급지롤러 지지부, 예를들면 축받이(90)가 착설되어 있고, 1쌍의 급지롤러 지지부(90)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보강리브(88)의 부위는 급지롤러축(70)을 삽통시키기 위한 절결(92)이 형성되어 있다. 급지롤러 축(77)의 중앙부에는 일방향 클러치(72) 및 급지를러(68)가 착설되어 있고, 급지롤로(68)는 일방향 클러치(72)를 통하여 급지롤러축(70)에서 회전력의 전달을 받는다. 급지롤러(68)는 급지롤러축(70)이 1쌍의 급지롤러 지지부(90)에 의하여 지지된때 센서하우징(80)의 제2의 지지부(84)의 롤러 노출 개구(86)내에 배치되어서 제2의 지지부(84)의 만고된 하표면에서 돌출된다.
1쌍의 급지롤러 지지부(90)는 또한 본체 프레임(46)의 원고 안내벽(48)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양측벽(94)(제8도 및 제9도 참조)에서 지지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센서하우징(80)은 본체 프레임(46)의 원고 안내벽(48) 및 양측벽(94)에 의하여 포위된 공간내에서 제1의 지지부(82)의 하면을 원고 안내벽(48)에 접근시킨 밀착위치와 상기 하면을 원고 안내벽(48)에서 이간시킨 이간위치와의 사이를 1쌍의 급지롤러 지지부(90)의 주위에 회동자재하다.
센서하우징(80)의 제2의 지지부(84)의 복수의 보강리브(88)는 제2의 지지부(84)의 하면에도 약간 돌출되어 있다. 센서하우징(80)이 밀착위치에 배치되어 있을때, 복수의 보강리드(88)의 하면돌출 부분은 본체 프레임(46)의 원고 안내벽(48)과 협동하고, 상기 커버부재(12)의 원고 삽입구(24)에 삽입된 원고에 미그럼 접합하여 센서하우징(80)의 제1의 지지부(82)의 하면과 원고 안내벽(48)과의 사이로 원고를 안내하는 원고 가이드로서 기능하게 된다.
급지롤러 구동기어(74)는 1쌍의 급지롤러 지지부(9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급지롤러축(70)의 일단에 대응한 급지롤러 지지부(90)의 외측에서 상기 일단부에 착설되어 있다.
센서하우징(80)에 지지된 급지롤러(68)와 대응하는 원고 안내벽(48)의 부위에는 제9도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9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97)내에는 제9도에 표시한 탄성체로된 마찰판(98)이 배치되고, 마찰판(98)은 상부 커버부재(12)의 원고 삽입구(24)에 삽입된 복수매의 원고가 급지롤러(68)에 의하여 센서하우징 (80)의 제2의 지지부(84)의 하면을 향하여 1매식 급지되도록 상기 복수매의 원고에 마찰저항을 부여한다. 마찰판(98)은 축(100)을 중심으로 요동자재하게 되도록 본체 프레임(46)에 설치된 마찰판 착설부재(102)에 고정되어, 스프링(104)에 의하여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롤러(68)에 가까와지도록 눌러져 있다. 마찰판(98)의 양측부에는 설형편(106)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설형편(106)은 마찰판 착설부재(102)의 상면에 설치된 1쌍의 돌기(108)얘 의하여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롤러(68)에 가까와지도록 탄성변형 되어있다.
본체 프레임(46)에는 원고 안내벽(48)의 하단부에 연하여 백색 가이드판(110)이 설치되어 있고, 백색 가이드판(110)은 본체 프레임(46)에 핀(112)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백색 가이드판(110)은, 그 하면측에 배치된 코일 스프링(114)에 의하여 상방을 향하여 회동되도록 부세되어 있다. 백색 가이드판(110)의 상면에는 중앙부에 길이방향에 연출된 개구(116)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개구(116)의 양측에 원고두께보다 약간 높은 돌출부(118)가 원고의 지폭방향에 연하여 형성되어 있다.
원고 판독 센서유닛(52) 센서하우징(80)의 스프링(76)(제17도)은 본체 프레임(46)에 현괘되어 있고, 스프링(76)의 탄력은 센서하우징(80)의 맞붙임부재(78)(제10도)를 백색 가이드판(110)의 돌기(118)에 맞붙친 상태로 백색 가이드관(110)을 하측에 위치한 코일 스프링(114)의 부세력에 반발하여 하방으로 눌려진다.
백색 가이드판(110)의 중앙부에 개구(116)에는 본체 프레임(46)의 1쌍의 측벽(94)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는 화이트롤러(120)가 노출되어 있고, 화이트롤러(120)의 길이는 상부 커버부재(12)의 원고 삽입구(14) (제2도)에 삽입되는 최소폭의 원고의 폭보다도 작다. 스프링(76)(제10도)에 의하여 하측에 부세되어 있는 센서하우징(80)의 맞붙임부재(78)는 화이트롤러(120)에도 맞붙여져 있다.
백색 가이드판(110)은 돌부(118)를 코일스프링(114)의 탄력으로 센서하우징(80)의 제2의 지지부(84)의 맞붙임부재(78)에 제14도의 도시와 같이 압착하므로서 이들의 접측선에 급지롤러(68)에 의하여 원고 삽입구(24)에서 송입돼온 원고의 사행을 방지함과 함께 원고와 제2의 지지부(84)상의 이미지 센서(62)와의 간격을 일정거리로 유지한다.
화이트롤러(120)의 롤러축(122)에는 본체 프레임(46)의 측벽(94)에서 돌출되어 있는 일단부에 자유회전 드라이브기어(124)와 조합된 일방향 클러치(126) 및 다이렉트 드라이브기어(128)가 착설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된 인자 유닛(54)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멀헤드(130), 헤드 지지부재(132), 판스프링(134), 헤드 압판(136), 스페이서(138)등으로 되었고 헤드 압판(136)의 양측부에 설치된 핀(139)을 개재하여 본체 프레임(46)에 지지되어 있다. 서멀헤드(130)는 헤드 지지부재(132)를 통하여 헤드 압판(136)에 요동자재하게 유지되어 있고, 헤드 압판(136)에 판스프링(134)이 고정되어 있다. 판스프링(134)에는 돌기부(14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이 돌기부(140)는 서멀헤드(130) 배면에 접촉하므로서 서멀헤드(130)를 본체 프레임(46)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는 풀라텐롤러(142) (제9도)에 압접되어 있다. 또 헤드 압판(136)의 배면에 스페이서(138)가 고정되고, 이 스페이서(138)는 헤드 압판(136)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요설부(144)를 플라텐롤러(142)의 풀라덴축(146)(제9도)에 걸어맞추고 있다. 풀라텐롤러(142)의 풀라 텐축(146)의 일단부에는 본체 프레임(46)의 일방의 측벽(94)의 외측에서 풀라텐기어(148)와 조합된 일방향 클러치(150)가 착설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구동기구 유닛(56)은 제12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닛 착설판(152), 펄스모터(154), 톱니바퀴열(156), 솔레 노이드(158)등으로 되었고, 펄스코터(154)의 출력축에서 구동력이 톱니바퀴열을 개재하여 급지롤러 구동기어(74)(제10도참조), 화이트롤러(120)를 위한 자유회전 드라이브기어(124)(제9도참조) 및 풀라텐기기어(145)(제9도 참조)에 전달된다. 또 톱니바퀴열(156)중에서 화이트롤러축(122)을 위한 자유회전 드라이브기어(124)에 이맞물림 하고있는 최종 톱니바퀴 중심축에는 유성기어 지지부재(160)가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고, 유성기어 지지부재(160)에 지지되어 있는 유성기어(162)는 상기 최종기어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최종 톱니바퀴상을 급지롤러 구동기어(74) 또는 화이트롤러(120)를 위한 다이렉트 드라이브기어(128)에 이맞물림은 위치에로 유성기어(162)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스톱퍼(164)도 또한 유닛 착설판(152)에 착설되어 있다. 스톱퍼(164)는 솔레노이드(128)에 의하여 구동되며, 팩시밀리장치에 정지모드가 설정된 때에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162)가 급지롤러 구동기어(74)와 화이트롤러(120)를 위한 다이렉트 드라이브기어(128)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유성기어 지지부재 (160)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본체 프레임(46)의 타측축벽(94)에는, 제9도 및 제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46)의 양측벽(94)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는 각형 샤프트(169)에 착설되어 있는 헤드 릴리이스 레버(166)가 배치되어 있다. 헤드 릴리이스 레버(166)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형 샤프트(168)에 고정되어 있는 헤드 압상부재(170)가 인자 유닛을 조작하여 서멀헤드(130)를 풀라텐롤러 (142)에 대하여 접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풀라텐롤러(142)에 대응한 상부 커버부재(12)의 부분에는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 배출구(172)가 형성되어 있고, 기록지 배출구(172)의 길이방향 연부에 연하여 컷터(174)가 설치되어 있다. 기록지(40)가 컷터(174)에 의하여 절단된 때에 발생하는 절작설을 수집하기 위한 집진케이스(176)가 서멀헤드(130)와는 반대측에서 풀라텐롤러(142)에 연하여 설치되어 있다. 집진케이스(176)의 하면에는 풀라텐롤러(142)에 있어서의 기록지(40)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기록지 검출세나서(178)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되어 있다. 제9도에 있어서, 참조부호(180)는 원고 센서유닛(52)과 화이트롤러(120) 및 백색 가이드(110) 과의 사이에 원고 막힘이 생긴때에 원고 판독 센서유닛(52)를 스프링(76)(제10도)의 부세력에 항거하여 상방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센서유닛 압상부재를 표시하고 있고, 182, 184는 원고 안내벽(48)의 상단부와 하단부와에 있어서, 즉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지롤러(68)의 직전과 화이트롤러(120)의 직전과에 있어서 원고의 유무를 검출하는 원호 검출센서를 도시하고 있고, 185, 186은 본건 커버(10)의 원고 배출구(26) 및 기록지 배출구(172)에 있어서 원고 및 기록지의 제전을 실시하는 재전 브러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송신한 경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림위치에 배치된 개체(28)의 이면에 원고(200)를 재치하여 원고(200)의 하단을 원고 삽입구(24)에 삽입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조작파넬(2O)상의 스타트 키(22a)(제7도)가 송신모드 설정을 위하여 눌러지면, 펄스모터(154)가 제16도에 실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방향에 출력축을 회전시켜, 이 결과로서 톱니바퀴열(156)내의 최종 톱니바퀴가 실선 화살표를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최종 톱니바퀴 회전은 관성력에 의하여 최종 톱니바퀴상을 공전한 유성콥니바퀴에 위하여 급지롤러 구동기(74)로 전달됨과 함께 자유호전 드라이브기어(124)로 전달되고 이것에 의하여 급지롤러(68)는 반시계 회전방향에 회전하고, 화이트롤러(120)는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원고 삽입구(424)내의 원고(200)는 급지롤러(68)에 의하여 일매씩 원고 판독 센서유닛(52)에 이송되어, 화이트롤러(120)에 의하여 이미지 센서(62)의 하측을 주행된 후에 원고 배출구(26)에서 제13도 화살표 도시와 같이 배출된다. 송신모드가 팩시밀리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사이에 펄스모터(154)의 출력측의 회전력은 톱니바퀴열(156)을 개재하여 풀라텐기어(148)에도 전달되어 있지만, 일방향 클러치(150)(제9도)가 상기 회전력을 플라텐축(146)에 전달하지 않으므로 플라텐롤러(142)는 회전하지 않는다.
팩시밀리장치에 수신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펄스모터(154)가 출력측을 제16도에 파선 화살표로 표시한 시계 회전방향에 회전시킨다. 이 결과 톱니바퀴열(156)은 플라텐기어(148)를 파선 화살표로 표시한 반시계 회전방향에 회전시켜, 일방향 클러치(150) (제9도)는 플라텐롤러(142)를 반시계 회전방향에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기록지(40)는 플라텐롤러(142)의 회전에 의하여 인자 유닛(54)의 서멀헤드(130)상을 주형된후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지 배출구(172)에서 배출된다. 기록지(40)가 서멀헤드(130)와 플라텐롤러(142)와의 사이를 통과할 경우에 서멀헤드(130)는 기록지(40)에 인자를 한다. 이때에 톱니바퀴열(156)의 최종 톱니바퀴는 제16도에 점선 화살표로 도시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화이트롤러(120)를 위한 자유회전 드라이브기어(124)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자유회전 드라이브기어(124)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은 일방향 클러치(126)(제9도)가 화이트롤러축(120) (재9도)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수신시 모드 설정시에 화이트롤러(120)(제9도)는 회전하지 않는다. 관성력에 의하여 톱니바퀴(156)의 최종 톱니바퀴상을 시계 회전방향에 공전하도록 부세되어 있는 유선기어(16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톱퍼(164)가 유성기어 지지부재(160)에 걸어맞추고 있음에 의하여, 급지롤러 구동기어(74) 및 화이트롤러(120)를 위한 다이렉트 드라이브기어(128)의 사이에서 이들의 기어에서 이간된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급지롤러(68)에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또 화이트롤러(120)에도 다이렉트 드라이브기어(128)를 개재하여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다음에, 팩시밀리장치에 있어서 원고 삽입구(24)내에 삽입된 원고를 감열기록지(40)로 카피할 경우는 원고를 원고 삽입구(14)에 삽입한 후 조작파넬(20)(제7도)의 카피모드 전환키(22e)를 압압하여 팩시밀리장치에 카피모드를 설정한다. 그후 스타트키(22a)를 누르면, 우선 최초에 펄스모터(154)는 제16도에 실선 화살표로 도시한 반시계 회전방향에 출력축을 회전시키고, 이 결과 급지롤러(68)가 원고 삽입구(24) (제2도)내의 원고를 원고 판독센서유닛(52)에 향하여 급지하도록 톱니바퀴열(156) 및 유성 톱니바퀴(162)에 의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원고의 선단이 화이트롤러(120)와 맞붙음부재(78)와의 사이, 즉 이미지 센서(62)의 직전에 도달하면, 펄스모터(154)는 출력축의 회전을 일단 정지시킨다.
다음은 펄스코터(154)는 파선 화살표로 도시한 시계 회전방향에 출력축을 회전시킨다. 이 결과 풀라텐롤러(142)는 기록지(40)를 인자 유닛(54)의 서멀헤드(130)상에서 주행시키도록 반시계 회전방향에 회전한다.
카피모드가 설정된 때에는 유성기어 지지부재(160)와 스톱퍼(164)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도록 솔레노이드(158)가 작동한다. 이 결과, 유성기어(162)는 톱니바퀴열(156)중의 최종 톱니바퀴의 제16도중의 점선 화살표는 도시한 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생긴 관성력에 의하여 상기 최종 톱니바퀴상을 시계 회전방향에 공전하여 화아트 롤러(120)를 위한 다이렉트 드라이브기어(128)에 맞물러 화이트롤러(120)를 시계 회전방향에 회전시킨다. 따라서, 원고는 화이트롤러(120)의 상기 회전에 의하여 원고 판독 센서유닛(52)의 하측을 통과하여 원고상의 이미지가 판독되어, 판독된 이미지는 인자 유닛(54)에 있어서의 감열기록지(40)상에 인자(카피)된다.

Claims (6)

  1. 원고 삽입구(24)와 원고 배출구(26)를 가진 본체 커버(10)와; 본체 커버(10)내에 설치되고, 원고 삽입구(24)에 삽입된 원고를 원고 배출구(26)로 보내는 급지롤러(68)와; 본체 커버(10)내에 설치되고, 급지롤러(68)에 의해 본체버커(10)의 원고 삽입구에서 원고 배출구(26)로 보내지는 원고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원고에서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상기 원고를 판독하는 이미지 센서유닛(52)를 구비하며, 이미지 센서유닛(52)이 본체 커버(10)와는 별체의 센서하우징(80)을 포함하고 있고, 센서하우징(80)에 급지롤러(6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급지롤러 지지부(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판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유닛(52)는 원고에 대하여 섭접하므로서 상기 원고를 판독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구조(62,64,66)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센서하우징(80)은 상기 본체 커버(10)내에서 상기 원고 삽입구(24)에서 상기 원고 배출구(26)로 보내지는 원고에 밀착형 이미지 센서구조(62,64,66)를 미끄럼접합시키는 미끄럼접합위치(제13도,제14도,제15도)와 원고에서 밀착형 이미지 센서구조(62,64,66)를 이간시킨 이간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자재하게 되도록 상기 본체 커버(10)에 지지된 원고 판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80)의 회동중심은 상기 급지롤러(68)의 회동중심과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원고 판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80)은 상기 센서하우징(8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급지롤러(68)의 회전중심축(1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미끄럼접합 위치(제13도,제14도,제15도)와 상기 이간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동하는 원고 판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하우징(80)은 합성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서하우징(80)은 자신의 회동 중심축을 따라 방향에서 상호 이간된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커버(10)내에서 상기 원고 삽입구(14)에서 상기 원고 배출구(26)로 보내지는 원고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외 보강리브(88)를 보유한 원고 판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강리브(88)는, 상기 센서하우징(80)이 배치되었을때 상기 본체 커버(10)내에서 상기 원고 삽입구(24)에서 상기 원고 배출구(26)로 보내지는 원고에 미끄럼접합하여 상기 원고의 이동을 안내하는 원고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원고 판독장치.
KR1019880007723A 1987-07-02 1988-06-25 원고 판독장치 KR920003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5872 1987-07-02
JP62-165872 1987-07-02
JP62165872A JPS6410775A (en) 1987-07-02 1987-07-02 Original rea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196A KR890003196A (ko) 1989-04-13
KR920003160B1 true KR920003160B1 (ko) 1992-04-20

Family

ID=1582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723A KR920003160B1 (ko) 1987-07-02 1988-06-25 원고 판독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35619A (ko)
EP (1) EP0297566B1 (ko)
JP (1) JPS6410775A (ko)
KR (1) KR920003160B1 (ko)
DE (1) DE388915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509A (en) * 1988-03-11 1994-01-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Multi-color facsimile apparatus having different data preparation and transmission modes and data preparations and transmission method practiced by the apparatus
FR2656181B3 (fr) * 1989-12-14 1991-12-06 Sagem Appareil de bureau pour analyser des documents, a support rabattant.
JPH03192044A (ja) * 1989-12-18 1991-08-21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画像通信装置
KR910019383A (ko) * 1990-04-12 1991-11-30 고바야시 쥰 원고판독장치
EP0453184B1 (en) * 1990-04-18 1995-06-07 Kabushiki Kaisha TEC Original reading apparatus
EP0460659B1 (en) * 1990-06-07 1996-03-13 Canon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JPH057278A (ja) * 1990-11-14 1993-01-14 Canon Inc 原稿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情報処理装置
US5353360A (en) * 1990-11-16 1994-10-04 Kabushiki Kaisha Toshiba Compact optical character read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pivoting parts
JP3073045B2 (ja) * 1991-04-26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原稿画像読取装置
US5448374A (en) * 1992-01-14 1995-09-05 Canon Kabushiki Kaisha Facsimile apparatus and roll-like sheet holder
JP3133806B2 (ja) * 1992-01-14 2001-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超小型ファクシミリ装置の機能拡張装置
US5379121A (en) * 1992-01-14 1995-01-03 Canon Kabushiki Kaisha Portable facsimile apparatus
EP0606628B1 (en) * 1992-12-22 2000-04-05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discharge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guide apparatus and a recording and read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713106B2 (ja) * 1993-06-30 1998-02-16 日本原子力研究所 ゴム体の性状変化の検出方法
KR0184964B1 (ko) * 1995-12-31 1999-05-01 유기범 팩시밀리의 콘택트 이미지센서 장착구조
US6040919A (en) * 1996-09-17 2000-03-21 Canon Kabushiki Kaisha Reading-recording apparatus having a lid member which serves as a paper guide
US6059281A (en) * 1996-10-03 2000-05-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US5973799A (en) * 1997-07-30 1999-10-26 Cyberscan Technology, Inc. ID card image reader
US7161716B1 (en) * 1999-09-06 2007-01-09 Canon Kabsu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3832815B2 (ja) * 2001-01-16 2006-10-11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7354625B2 (ja) * 2019-07-08 2023-10-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読取機能付き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4986A (ko) * 1963-06-24
JPS5896453A (ja) * 1981-12-03 1983-06-08 Fujitsu Ltd 画像情報読取装置のシエ−デイング補正構造
JPS59138164A (ja) * 1983-01-28 1984-08-08 Nec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US4707747A (en) * 1984-07-13 1987-11-17 Rockwell Iii Marshall A Hand held scanning input device and system
US4729036A (en) * 1984-12-04 1988-03-01 Canon Kabushiki Kaisha Original reading apparatus and original reading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S622535A (ja) * 1985-06-28 1987-01-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ビ−ム露光装置
JPS62102658A (ja) * 1985-10-29 1987-05-13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S62254563A (ja) * 1986-04-26 1987-11-06 Nec Corp フアクシミリ装置
US4707618A (en) * 1986-06-02 1987-11-17 Haas Richard M Switch protection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196A (ko) 1989-04-13
EP0297566B1 (en) 1994-04-20
EP0297566A3 (en) 1990-01-10
JPS6410775A (en) 1989-01-13
EP0297566A2 (en) 1989-01-04
US4835619A (en) 1989-05-30
DE3889154T2 (de) 1994-08-04
DE3889154D1 (de) 199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160B1 (ko) 원고 판독장치
CN100471683C (zh) 成像装置
JP2690659B2 (ja) ラベルプリンタ
JPH04351159A (ja) 記録装置
JP3711677B2 (ja) プリンタ
JPH0990801A (ja) 定着装置における駆動装置
JPH0691594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4350042A (ja) 原稿搬送装置
JPH09234922A (ja) 小型プリンタ
JPH0535943Y2 (ko)
JPH068725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46321A (ja) プリンタ
JPH0392374A (ja) 熱印字式印刷装置を具備する画像処理機
JPH0420303B2 (ko)
JP2004009625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ヘッドのリリース検出機構
JP2555587B2 (ja) 原稿読取り装置
JP2730027B2 (ja) 画像処理装置
JPS6210666A (ja) 両面複写装置
JP3792573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611216B2 (ja) プリンタ装置
KR940005696Y1 (ko) 복사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JPH089085Y2 (ja) ファクシミリ
JP2000141816A (ja) 印字ヘッドの支持機構
JPH01236126A (ja) 自動原稿搬送装置
JP200602728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