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543B1 -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543B1
KR920001543B1 KR1019890002540A KR890002540A KR920001543B1 KR 920001543 B1 KR920001543 B1 KR 920001543B1 KR 1019890002540 A KR1019890002540 A KR 1019890002540A KR 890002540 A KR890002540 A KR 890002540A KR 920001543 B1 KR920001543 B1 KR 92000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modulation
detection
modulat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911A (ko
Inventor
구니요시 마루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046077A external-priority patent/JP27360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79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72642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1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통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전화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변조기(103)의 블럭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무선 전화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블럭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무선전화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테나 101 : 안테나 결합기
102 : 복조기 103,403 : 변조기
104 : 전력증폭기 105 : 음성합성장치
106 : 오디오회로 107 : 리시버
109,409 : 무선제어기 110 : 오디오 회로제어기
111 : 제어신호처리기 112 : 오실레이터
113 : 전원 114,115 : 스위치
116 : 온/오프스위치 117 : 전력제어기
118 : 키이패드유닛 119 : 디지탈 인터페이스
120 : RAM 121 : ROM
122,422 : CPU 201 : 저역필터
202 : 가산기 203 : 전압제어오실레이터
204 : 1/N 분주기 205 : 위상검출기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화기, 휴대용 전화기, 코들리스(cordless)전화기 등과 같은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이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다양한 종류의 무선전화기가 개발되었었다.
이들중 하나가 자동차용 무선 전화기로서 언급된다.
자동차, 기차, 배, 비행기등에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무선 전화기는 수화기 및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전화기 유닛과 안테나를 가진 트랜시버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유닛들은 분리되어 있으며, 신호선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트랜시버는 차량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받는다. 다른 종류의 무선전화기는 휴대용 전화기로서 언급될수 있다. 휴대용 전화기는 운반가능형과 휴대용의 2그룹으로 나눌수 있다.
운반가능형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는, 트랜시버가 전화기 유닛의 본체내에 결합되고, 안테나가 본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가는 곳은 어디서나 운반가능형 전화기를 운반할 수 있다.
휴대형의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는, 모든 구성부품들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자동차 유닛들과 같이, 이들 무선 전화기들은 배터리로 부터 전원을 받는다.
상술한 종류의 무선 전화기와는 다른, 또다른 종류의 무선 전화기, 즉 코들리스 전화기기가 있다.
코들리스 전화기는 하나 이상의 랜드 라인에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베이스 유닛과 하나 이상의 휴대유닛을 가진다.
휴대유닛은 베이스 유닛으로 무선 채널을 설정하여 다른 전화장치와 통화한다.
휴대유닛 역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또는 차량내에 설치되는 배터리가 한정된 전력용량을 가지므로 무선 전화기에서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기술의 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송신부가 실제 신호를 전송하든 하지않든 주 전원 스위치가 켜진 후에는 수신부와 송신부 둘다가 전력을 받는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된다.
대부분의 무선 전화 시스템은 변조부와 전력 증폭부를 포함한다.
송신을 원할때만 이들부분에 전력이 공급되어 전력을 소비하도록 한다면 시스템에는 불리한 효과가 나타난다.
키이가 적정 주파수로 로딩되기전에 변조기가 원하는 신호들을 변조하면, 원치않는 무선파 또는 스퓨리어스 복사가 만들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전원을 보존할 수 있는 개선된 무선 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신이 이루어지기전에 변조부와 전력 증폭부에 전력을 분리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에너지 보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신호가 송신될때까지 변조기가 작동되지 않는 개선된 무선 통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조기가 온되어 있는 동안 원치않는 무선파 또는 스퓨리어스 복사를 복사하지 않는 개선된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들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변조수단을 포함하는 송신수단, 장치가 송신해야 하는 정보 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장치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수단,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전원스위치, 및 검출수단에 결합되어, 변조수단을 제외하는 적어도 장치의 약간의 부에 전원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 수단을 제어하고, 정보 신호가 검출될때 변조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되어야 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신호원, 인가된 신호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수단, 신호원에서 제공하는 신호를 변조수단에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하여 신호원과 변조수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위칭 수단, 장치 사용자가 작동가능한 전원 스위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요청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 장치의 각 구성 부품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수단 및, 검출수단에 연결되고, 송신요청이 검출될때만 변조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스위치의 작동에 따라서 변조수단을 제외한 적어도 약간의 구성부품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전원수단을 제어하고, 송신요청이 검출된 후에만 신호원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변조수단에 인가하기 위하여 스위칭수단을 또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해 해결된다.
신호송신 요청이 검출된 후에만 송신부에 포함되는 변조기에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송신 요청에 응답하여 전원이 변조기에 연결된다.
신호송신요청은, 예로서 통화를 시작하기위한 사용자의 요청, 걸려온 전화에의 응답요청 및 셀룰러 시스템(cellular system)내의 기지국으로의 식별신호 전송요청을 포함한다.
또한, 변조기의 출력이 적정 주파수로 록킹되었을때만 또는 변조기가 전력을 수신한 후에 소정의 시간 주기가 지났을때만 원하는 신호가 변조기가 인가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 장치는 주파수 록킹이 되기전에 원하는 신호가 변조기에 인가되며 발생하는 원치않는 무선파 또는 스퓨리어스 복사를 방지할수 있다.
그결과,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력이 변조기에 공급되는 시간을 제한하므로써 배터리 전력을 보전한다.
또한, 록킹된 후까지 증폭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력이 보존된다.
또한 전력증폭기가 지체되어 작동하므로 록킹되기전에 스퓨리어스 복사가 전송되지 못하게 한다.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무선 전화장치 또는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데이타 송신장치에도 적용될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회로 블럭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휴대용 무선 전화기는 안테나(100), 안테나 결합기(101), 복조기(102), 변조기(103), 전력증폭기(104), 음성합성장치(105), 오디오회로(106), 리시버(라우드스피커/이어폰)(107), 마이크로폰(108), 무선제어기(109), 록킹검출기(301), 오디오회로제어기(110), 제어신호처리기(111), 오실레이터(112), 전원(113), 스위치(114)(115), 온/오프 스위치(116), 전력제어기(117), 키이패드유닛(118), 디지탈 인터페이스(119), RAM(120), ROM(121), 및 CPU(122)으로 이루어진다.
안테나(100)는 안테나결합기(101)를 거쳐서 복조기(10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복조기(102)의 출력은 오디오회로(106)를 거쳐서 스피커(107)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마이크로폰(108)은 오디오회로(106)를 거쳐서 변조기(103)의 입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변조기(103)의 출력은 전력증폭기(104)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전력증폭기(104)의 출력은 안테나결합기(101)를 거쳐서 안테나(100)에 접속된다.
음성합성장치(105)는 복조기(102) 및 변조기(103)에 접속되어 있다.
무선제어기(109)는 음성합성장치(105), 변조기(103), 전력증폭기(104), 록킹검출기(301)에 접속되어 있다.
오디오회로제어기(110)는 오디오회로(106)에 접속되어 오디오회로(106)를 제어한다.
제어신호처리기(111)는 오디오회로(106)를 거쳐서 변조기(103)의 입력 단자 또는 복조기(102)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오실레이터(112)는 각부에 접속되어 소정주파수의 신호를 공급한다.
전원(113)은 각부에 접속됨과 동시에 스위치(114)(115)를 거쳐서 변조기(103) 및 전력증폭기(104)에 접속되어 있다.
전력제어기(117)는 스위치(114)(115)에 접속되어 스위치(114)(115)를 제어한다.
키이패드유닛(118)은 디지탈 인터페이스(119)에 접속되어 있다.
CPU(122), ROM(121), RAM(120), 디지탈 인터페이스(119), 오실레이터(112), 제어신호처리기(111), 오디오회로제어기(110), 무선제어기(109) 및 전력제어기(117)는 버스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100)에 수신된 신호는 안테나 결합기(101)를 경유하여 복조기(102)에 인가된다.
복조기(102)는 신호를 복조하여, 복조된 신호를 오디오회로(106)에 출력한다. 오디오회로(106)에서, 복조기(102)의 출력은 오디오회로제어기(110)의 제어하에서 리시버(스피커)(107) 또는 제어신호처리기(111)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마이크로폰(108)으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 처리기(111)로 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는 오디오회로(106)를 통해서 변조기(103)에 인가된다.
제어신호는, 예로서, 셀룰러 시스템내의 기지국에 원격유닛을 식별시켜 주는 신호를 포함한다.
변조기는 신호를 변조하여 전력증폭기(104)로 변조된 신호를 출력한다.
전력증폭기(104)는 변조기(103)로부터 온 신호를 증폭한다.
전력증폭기(104)의 증폭은 예로서 8단계로 변화가능하다.
증폭된 신호는 안테나 결합기(101)를 통해 안테나(100)로 전송된다.
음성합성장치(105)는 복조기(102)내의 복조와, 변조기(103)내의 변조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가진 신호를 복조기(102)와 변조기(103)에 제공한다.
무선제어기(109)는 음성합성장치(105), 변조기(103) 및 전력증폭기(104)를 제어한다.
무선제어기(109)는 음성합성장치(105)내에 이용할수 있는 주파수를 표시하는 신호를 공급하므로서 음성합성장치(105)를 제어하고, 변조기(103)에 여러가지 변조율을 표시하는 신호를 보내므로써 변조기(103)를 제어하며 증폭 레벨을 표시하는 신호를 보내므로써 전력증폭기(104)를 제어한다.
또한, 무선제어기(109)는 전력증폭기(104)로부터 출력전력 검출신호를 수신하여 CPU(122)에 공급한다.
무선제어기(109)의 제어신호는 CPU(122)로 부터의 지시 신호에 따라서 공급된다.
오디오회로(106)에서, 복조기(102)의 출력은 선택적으로 리시버(107)에 연결된다.
또한 제어신호처리기(111), 마이크로폰(108) 또는 제어신호처리기(111)는 오디오회로제어기(110)의 제어하에서 변조기(103)입력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라우드스피커/이어폰(107)의 오디오회로제어기(110)의 제어하에서 링거톤(ringer tone)을 생성하기 위하여 오실레이터(112)에 연결될때까지 신호가 변조기(103)에 공급될수 없다.
제어신호처리기(111)는 수신된 동기화 신호와의 비트 및 프레임 동기화를 얻고, 수신된 제어신호들내의 수신된 전화번호를 검출한다.
또한, 제어신호처리기(111)는 송신용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회로(106)를 경유하여 변조기(103)에 공급한다.
오실레이터(112)는 CPU(122)에 클럭신호를 공급하고, 적당하게 주파수 분할된 타이밍 펄스를 필요로하는 장치의 각부에 공급하기 위하여 클럭신호를 분주한다.
스위치(116)의 폐쇄에 따라서, 전원(113)으로부터 장치의 각부에 전력이 공급된다.
전력제어기(117)의 제어하에서, 스위치(114)는 전원(113)으로부터 변조기(103)로의 전력통로를 차단하고 스위치(115)는 전원(113)으로부터 전력증폭기(104)로의 전력통로를 차단한다.
키이패드 유닛으로 부터의 입력은 디지탈 인터페이스(119)를 경유하여 CPU(122)로 보내진다.
RAM(120)은 CPU(122)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동안 필요로 하는 여러가지 데이타를 저장한다.
ROM(121)은 CPU(122)의 작동에 필요한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변조기(103)의 블럭도이다.
음성합성장치(105)의 출력 및 1/N 분주기(204)의 출력은 위상 검출기(205)에 접속되고, 위상검출기(205)의 출력은 저역필터(201)에 접속된다.
저역필터(201)의 출력 및 오디오회로(206)에서의 입력은 가산기(202)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202)의 출력은 전압제어 오실레이터(203)에 접속된다.
전압제어 오실레이터(203)의 출력은 전력증폭기(104)에 접속됨과 동시에 1/N 분주기(204)에 접속되어 있다.
위상 검출기(205)는 록킹 검출기(301)에 접속되어 있다.
오디오회로(106)로 부터 변조되어야 하는 송신신호는 가산기(202)에서 저역필터(201)의 출력과 가산되어 전압제어 오실레이터(203)에 인가된다.
전압제어 오실레이터(203)는 인가된 신호에 따라서 발전하며 변조된 신호를 전력증폭기(104)에 제공한다.
또한 전압제어 오실레이터(203)의 출력은 1/N 주파수 분주기(204)에 의해 분주된 후에 위상 검출기(205)에 피드백 신호로서 공급된다.
위상 검출기(205)는 오실레이터(112)에 의해 제공되는 오실레이터 신호와 피드백신호를 비교하고 신호를 저역필터(201)에 인가한다.
제1도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작동을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3도에 있어서, 온/오프스위치(116)가 폐쇄 되면(단계 301), 초기 상태에서 스위치(114)(115)가 개방되어 있다는 가정하에서 전원(113)으로 부터 변조기(103)와 전력 증폭기(104)를 제외한 장치의 각부에 전력이 공급된다.
다음에 CPU(122)가 ROM(122)으로부터 소정의 프로그램들을 로드한다.
그결과, CPU(122)는 복조기(102)의 출력이 제어신호처리기(111)에 연결되고, 마이크로폰이나 제어신호처리기(111)이 변조기(103)에 연결되지 않도록 오디오회로제어기(100)를 경유하여 오디오회로(106)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안테나(100)와 안테나 결합기(101)를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는 복조기(102)에 의해 복조되어 오디오회로(106)를 경유하여 제어신호 처리기(111)에 인가된다.
제어신호처리기(111)는 수신된 신호와의 비트 및 프레임 동기화를 얻고 걸려온 전화가 수신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걸려온 통화 신호가 수신되어 있는 경우, 제어신호처리기(111)는 검출신호를 CPU(122)로 보낸다.
CPU(122)는 제어신호 처리기(111)로 부터의 검출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단계 302).
또한, CPU(122)는 통화시작을 알리는 요청의 검출을 기다리거나 또는 제어신호(예로서, 식별신호)를 기다린다.(단계 303).
통화시작은 키이패드 유닛(118)상에서 요청되어지며 디지탈 인터페이스(119)를 경유하여 CPU(122)로 보내진다.
식별신호와 같은 제어신호가 종래의 알려진 방법으로 기지국으로 빈번히 보내진다.
이들 신호에 사용되는 타이밍은 CPU(122)에서 생성된다.
CPU(122)가 제어신호처리기(111)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용 요청을 검출한 경우, CPU(122)는 스위치(114)를 폐쇄하기 위하여 전력 제어기(117)를 제어한다.
따라서, 전원(113)으로부터 변조기(103)에 전력이 공급된다.(단계 304).
무선제어기(109)는 CPU(122)의 제어하에서 변조율신호를 변조기(103)로, 변조 주파수를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음성합성장치로 보낸다.
음성합성장치(105)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와 무선제어기(109)에 의해 제공되는 변조율 신호에 응답하여, 변조기(103)는 변조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변조기(103)내의 PLL(phase lock loop)회로(205)가 주파수로 록킹된다.(단계 305).
록킹검출기(301)는 변조주파수가 록킹되었는지를 검출한다.
변조주파수가 록킹되면, 록킹검출기(301)는 무선제어기(109)를 경유하여 CPU(122)로 록킹신호를 보낸다.
그결과, CPU(122)는 스위치(115)를 폐쇄하기 위하여 전력제어기(117)를 제어한다.
따라서, 전원(113)으로부터 전력증폭기(104)에 전력이 공급된다.(단계 306).
CPU(122)는 오디오회로제어기(110)를 제어하고, 차례로 오디오회로제어기(110)는 처리기(111)를 변조기(103)의 입력에 연결하든가 또는 마이크로폰(108)을 변조기(103)의 입력에 연결하기 위하여 오디오회로(106)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정보신호를 변조기(103)에 연결하기 위하여 송신라인이 형성된다.(단계 307).
그런후에, 제어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전송된다.(단계 308).
CPU(122)가 송신이 끝났는지를 결정하고, 그렇게 되었으면 오디오회로(106)가 제어신호처리기(111)이든가 또는 마이크로폰(108)으로부터 변조기(103)의 입력이 분리되도록 신호들이 오디오회로제어기(110)에 공급된다.
따라서, 송신라인이 차단된다.(단계 310).
이어서, 스위치(114)(115)가 개방되도록 CPU(122)가 전력제어기(109)를 제어한다.
그에 의해서, 변조기(103)와 전력증폭기(104)로의 전력이 끊기고(단계 311) 장치의 작동이 단계 302로 돌아온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이 구체적 실시예의 회로는 앞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록킹 검출기(301)를 제거한 것과 일치한다.
각각의 구성부품 또는 부는 변조기(403)의 록킹이 검출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의,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록킹을 나타내는 검출신호는 무선제어기(409)로 전송되지 않고 CPU(422)의 작동은 제1도에 도시된 CPU(122)의 작동과는 약간 다르다.
즉, 록킹을 일으키게 하는데는 소정의 시간 주기가 선택된다.
그 주기가 지난후에는, 회로는 앞의 구체적 실시예에 기술된 것과 같이 수행한다.
본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작동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제3도의 단계들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들은 제3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제5도에 있어서, 변조기(403)에 전력이 공급된 후에(즉, 스위치(114)가 작동된 후에), CPU(422)는 그 내부 타이머를 셋팅하고, 오실레이터(112)로 부터 제공되는 펄스에 따라서 카운트한다.(단계 501). 그런후에 CPU(422)는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주기를 카운트 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502).
소정의 시간 주기는 변조기(403)가 변조 주파수로 록킹되는데 충분하다.
시간 주기가 끝난후에는, 전력 증폭기(104)에 전력이 공급된다(즉 스위치(115)가 작동된다).
그런후의 장치의 작동은 제3도에 기재된 단계들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상술한 구체적 실시예들에 따라서, 배터리 전력이 유지되는 동안 장치는 스퓨리어스 복사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변조기(103) 또는 (403)가 록킹될때까지, 또는 변조기(103) 또는 (403)가 전력을 공급받기 시작하는 시간부터 소정의 시간주기가 지날때까지 전력증폭기(104)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이다.
온/오프 스위치(116)가 폐쇄된 후에 전력증폭기(104)로 항상 전력이 공급될지라도, 스퓨리어스 복사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변조기(103) 또는 (403)가 록킹될때까지 또는 변조기(103) 또는 (403)로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주기가 지날때까지 송신되어야 할 신호가 변조기(103) 또는 (403)에 인가되지 않기 때문이다.

Claims (9)

  1. 정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를 송신하기위한 변조수단(103,104; 403,104)을 갖는 송신수단과, 상기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정보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22; 422)과, 상기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113)과, 상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16)와, 상기 검출수단(122; 422)에 결합되고, 상기 정보신호가 검출될때 상기 변조수단(103,104; 403,10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의 작동에 따라서 변조수단(103,104; 403,104)을 제외한 적어도 상기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수단(113)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7,122; 117,4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122; 422)은 통화시작을 요청하는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걸려온 통화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102)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검출수단(122; 422)은 상기 걸려온 통화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4. 정보신호를 송신하기위한 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전송되어야 하는 신호를 인가하는 신호원(108,111)과 상기 인가된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수단(103,403)과, 상기 신호원(108,111)에 의해 상기 변조수단(103,403)에 제공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인가하기 위해 상기 신호원과 변조수단에 각각 결합되는 스위칭수단(106)과,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하게 되는 전원스위치(116)와, 상기 신호를 송신하도록 요청을 검출하는 검출수단(122; 422)과, 상기 장치의 각 구성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113)과, 상기 검출수단에 결합되고, 송신 요청이 검출될때만 변조수단(103; 40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116)의 작동에 따라서 상기 변조수단을 제외한 적어도 상기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수단(113)을 제어하고, 송신요청이 검출된 후에만, 상기 신호원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변조수단(103; 403)에 인가하기 위하여, 스위칭 수단(106)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17,122; 117,4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수단(103; 403)이 록킹된것을 검출하여 록킹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변조수단(102; 403)에 결합되는 록킹검출수단(301)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17,122; 117,422)은 상기 록킹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원(108,111)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가 상기 변조수단에 인가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106)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17,112; 117,422)은 상기 전원수단에 의해 전력이 상기 변조수단에 공급되기 시작한 시간부터 소정의 시간 주기가 지났을때 상기 신호원(108,111)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가 상기 변조수단(103; 403)에 인가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106)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7. 정보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회로부를 포함하는 무선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신호를 송신하는 증폭수단 및 변조수단(103,104; 403,104)을 갖는 송신수단과, 상기 장치에 의해 송신되어야 하는 정보신호가 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122; 422)과, 상기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수단(113)과, 상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116)와, 상기 검출수단(122; 422)에 결합되고, 상기 정보신호가 검출된 후에 상기 변조수단 및 증폭수단(103,104; 403,10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스위치의 작동에 따라서 변조수단 및 증폭수단을 제외한 적어도 상기 각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전원수단(113)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22,117; 422,1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수단이 록킹된 것을 검출하여 록킹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변조수단에 결합되는 록킹 검출수단(301)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22,117; 422,117)은 상기 정보신호를 검출한 후 즉시 변조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록킹검출신호에 따라서 상기 증폭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122,117; 422,117)은 변조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시작한 시간부터 소정의 시간주기가 지났을때 상기 증폭수단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장치.
KR1019890002540A 1988-02-29 1989-02-28 무선통신장치 KR920001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46077 1988-02-29
JP63-46077 1988-02-29
JP63046077A JP2736067B2 (ja) 1988-02-29 1988-02-29 無線電話装置
JP?63-79324 1988-03-31
JP63-79324 1988-03-31
JP63079324A JP2726428B2 (ja) 1988-03-31 1988-03-31 無線電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911A KR890013911A (ko) 1989-09-26
KR920001543B1 true KR920001543B1 (ko) 1992-02-18

Family

ID=2638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2540A KR920001543B1 (ko) 1988-02-29 1989-02-28 무선통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33111A (ko)
EP (1) EP0331434B1 (ko)
KR (1) KR920001543B1 (ko)
CA (1) CA1301253C (ko)
DE (1) DE6892499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3020A (en) * 1988-06-14 1993-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DE69031004T2 (de) * 1989-04-02 1997-10-30 Sony Corp Funkübertragungsgerät
JPH05130158A (ja) * 1991-11-08 1993-05-25 Sony Corp 送受信装置
US5438703A (en) * 1991-11-18 1995-08-01 Motorola, Inc. Radio with reduced frequency pull
JPH05183468A (ja) * 1991-12-27 1993-07-23 Sony Corp 送受信装置
FI93159C (fi) * 1992-09-23 1995-02-27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radiopuhelimen radiotaajuusvahvistimen ohjaamiseksi ja menetelmän mukainen ohjausjärjestelmä
US5457814A (en) * 1993-10-02 1995-10-10 Nokia Mobile Phones Ltd. Power boost system for cellular telephone
US5809067A (en) * 1993-10-28 1998-09-15 Motorola, Inc.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s modem and method of use therein
US6026119A (en) * 1994-06-15 2000-02-15 Motorola, Inc. Wireless packet data communications modem and method of use therein
JPH088778A (ja) * 1994-06-21 1996-01-12 Funai Denki Kenkyusho:Kk 無線通信装置
USH1560H (en) * 1994-09-06 1996-07-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Crash site locator beacon
WO1996038960A1 (en) * 1995-05-31 1996-12-05 Sierra Wireless, Inc.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s system using modulator subsystem prekeying
JP3279957B2 (ja) * 1997-05-23 2002-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無線装置
EP0905915A3 (en) * 1997-09-29 2002-11-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xternal adapter for portable cellular phone
JPH11274946A (ja) * 1998-03-20 1999-10-08 Mitsumi Electric Co Ltd 送信回路
JP4423157B2 (ja) * 2004-10-06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力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60188070A1 (en) * 2005-02-23 2006-08-24 Razzano Michael R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28602A (ko) * 1962-02-21
US3962553A (en) * 1973-03-29 1976-06-08 Motorola, Inc. Portable telephone system having a battery saver feature
US4161695A (en) * 1976-05-14 1979-07-17 Cybernet Electronic Corpor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circuit for a transceiver
US4731814A (en) * 1986-02-21 1988-03-15 AT&T Information Systems Inc.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Computer-controlled cordless telephone
JPH0626320B2 (ja) * 1986-04-09 1994-04-0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受信装置
JPH0732366B2 (ja) * 1987-02-06 1995-04-1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信機
JP2805767B2 (ja) * 1988-09-26 1998-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送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24993D1 (de) 1996-01-18
CA1301253C (en) 1992-05-19
EP0331434B1 (en) 1995-12-06
EP0331434A2 (en) 1989-09-06
DE68924993T2 (de) 1996-05-30
KR890013911A (ko) 1989-09-26
US5033111A (en) 1991-07-16
EP0331434A3 (en) 199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543B1 (ko) 무선통신장치
US52030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KR19990038605A (ko) 분리 가능한 이동통신 전화기 장치 및 통화방법
JP3395319B2 (ja) 時分割送受信方式の送受信装置
JP2655548B2 (ja) 移動無線装置
JP2637624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送受信制御回路
KR100284534B1 (ko)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JPH02241235A (ja) 無線電話装置
KR19990073626A (ko) 에프엠라디오로 수신 가능한 휴대폰 장치
JP2726428B2 (ja) 無線電話装置
KR100189638B1 (ko) 무선전화기의 dtmf를 이용한 데이타통신 방법
JP2001127866A (ja) 通信端末
JPH08195791A (ja) 携帯用通信機
KR200249758Y1 (ko) 핸드폰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JPH0851660A (ja) 無線通信装置
JP3051042B2 (ja) 携帯無線装置の置忘れ防止方法及び置忘れ防止機能付携帯無線装置
JPH05227132A (ja) 無線通信装置
KR950009563B1 (ko) 고정시킨 상태에서 통화가능한 셀룰라폰
KR100217737B1 (ko) 다이얼음을 검출하여 통화로를 구성하는 방법
JPH0227646Y2 (ko)
JPH043732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送信電力制御回路
JP3155439B2 (ja) 携帯無線装置の置忘れ防止方法
JPH08293813A (ja) 電圧制御回路
JPS5937743A (ja) 無線電話機
KR940003840B1 (ko) 정전시 무선전화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