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0896B1 - 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 및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 및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96B1
KR920000896B1 KR1019890018938A KR890018938A KR920000896B1 KR 920000896 B1 KR920000896 B1 KR 920000896B1 KR 1019890018938 A KR1019890018938 A KR 1019890018938A KR 890018938 A KR890018938 A KR 890018938A KR 920000896 B1 KR920000896 B1 KR 920000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eneral formula
weight
phenyl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611A (ko
Inventor
마사토시 교오바라
슈우지 오자와
히데오 야마자키
쓰토무 이시이
마고토 니시다
쥰코 와타나메
나오키 사토오
다모쓰 아사노
Original Assignee
미쓰이도오아쓰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도오아쓰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미쓰이도오아쓰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60Thre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 및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의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 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 및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위치에 페녹시기를 가지는 피리미딘 유도체가 제초활성을 가지는 것을 Agric. Biol.Chem. 30권 9호 896항(1966),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117486/1976, 일본 특허 공보 No.9474/1967,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174059/1987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115870/1988등에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특허공보 및 문헌에 기재된 화합물들은 논 또는 산지에서 사용될 때, 제초활성이 불충분하다거나 또는 주요작물의 내성(tolerance)이 문제가 된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노동 절감을 위해, 근래에는 여러 형태의 제초제를 억제 잡초(control weed)와 배합하여 사용함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산지 경작에서 포아풀과(gramineous)잡초를 억제할 때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세톡시딤(sethoxydim), 플루아지폼(fluazifop)등은 광엽(broad leaf) 잡초용 제초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때, 길항작용(antagonism) 및 제초활성의 현저한 감소라는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제초제들은 포아풀과 잡초 및 광엽잡초를 동시에 억제할 수는 없기 때문에, 1년에 적어도 2회의 경엽처리(foliar application)를 해야 하는데, 이는 잡초를 억제함에 있어서 시간소비 및 많은 비용을 요하고 있음에 틀림없다. 그러한 길항작용은 그 외의 많은 제초제에서도 관찰되는데, 논 경작시, 벤술프론(bensulfuron) 및 티오카보네이트형(thiocarbonate-type) 제초제의 배합사용은 길항작용에 기인하는 제초활성 감소의 예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제초제에 비해 낮은 사용량(applicationarate)으로도 억제 효과가 우세하고 농작물에 해를 끼치지 않는 제초제를 얻을 목적으로, 출현 초기단계부터 성장단계에 이르는 동안 장기간 사용하면서, 페녹시피리미딘 유도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 결과, 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hydroxyiminomethyl)기 또는 페닐기의 2-위치에 치환 또는 무치환 알콕시이미노메틸기를 가지는 신규 2-페녹시피리미딘 유도체가 고도의 선택성(selectivity)을 가지는 제초제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즉, 상기의 화합물들은 논 및 산지 경작시, 광범위한 종류의 잡초에 대해 낮은 사용량으로 제초활성을 가지면서, 주요 작물에는 해를 끼치지 않는 우수한 선택성을 가진다. 또한, 다른 제초제들과 배합하여 사용할 때는 상승적(synergistic) 제초작용을 나타냄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신규 피리미딘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논 경작 및/또는 산지 경작에서 광범위한 종류의 잡초에 대해 낮은 사용량으로 효과적이면서, 주요 작물에는 해를 끼치지 않는 선택성 제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넷째 목적은 피리미딘 유도체와 다른 제초제를 배합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조성물은 상승적 제초작용을 하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그리고 단 한번의 처리후에도 수 개월동안 제초효과가 지속되도록,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초효과를 유의적으로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이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R은 수소 : 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저급알키닐기, 페닐-치환 저급알케닐기, 저급할로알케닐기,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페닐-치환 저급알케닐기 또는 페닐-치환 저급알키닐기 ; 또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기
Figure kpo00002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저급알킬기 또는 저급알콕시기, m 및 n은 개별적으로 0-2, m이 2일 때, 2개의 x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수 있다.
전술한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는 하기의 방법 A 및 B가 있다 :
방법 A :
Figure kpo00003
방법 B :
Figure kpo00004
방법 A에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는 일반식(II)의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하이드와 일반식(III)의 상응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다른 한편, 방법 B는 2단계로 진행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출발물질은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실아민 설페이트 또는 하이드록실아민 옥살레이트 같은 하이드록실아민 염과 반응하여 구조식(IV)로 표시되는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을 생성한다.
그리고 나서, 그 화합물은 일반식(V)로 표시되는 할라이드와 반응하여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를 얻는다. 일반식(III) 및 (V)에서, R은 일반식(I)에 정의된 것과 같다. 일반식(V)에서, Y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택성 제초제는 활성성분으로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 및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i) 하기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05
여기서, R2는 이소프로필기 또는 2-시아노-1-메틸에틸기, R3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이소프로필기, X1은 염소 또는 메틸티오기이고,
ii) 하기 일반식(V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
Figure kpo00006
여기서 R4는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 X2는 3-트리플루오로메틸, 3,4-디클로로기 또는 4-이소프로필기이고,
ii) 하기 일반식(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
Figure kpo00007
여기서 R5는 에틸기, n-프로필기, α, 메틸부틸기 또는 2-메틸펜테닐기, X3은 3,4-디클로로기 또는 3-클로로-4-이소프로필기이고,
iv) 하기 일반식(IX)로 표시되는 화합물들 :
Figure kpo00008
여기서, R6는 수소, 메틸기 또는 에틸기, R7은 메톡시메틸기, 부톡시메틸기, 이소프로필기 또는 2-메톡시-1-메틸에틸기이고, v) 4-아미노-6-tert-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4H)-온, vi) 3-이소프로필-(1H)-2,1,3-벤조티아디아진-4-(3H)-온-2,2-디옥사이드 및 vii) 2-(1-나프탈에닐아미노카보닐)벤조산.
일반식(I)에서 R의 구체예에는 후술되는 것들이 있지만, 물론 후술되는 것들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수소;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및 tert-부틸기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인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부틸기, 사이클로펜틸기 및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사이클로알킬기 ; 2-프로페닐기, 2-메틸-2-프로페닐기, 1-메틸-2-프로페닐기. 2-클로-2-프로페닐기, 3-클로로-2-프로페닐기, 1-클로로-2-프로페닐기, 2,3-디클로로-2-프로페닐기, 3,3-디클로로-2-프로페닐기, 3-브로모-2-프로페닐기, 2-브로모-2-프로페닐기, 2-부테닐기, 3-메틸-2-부테닐기, 1-메틸-2-부테닐기, 2-메틸-2-부테닐기, 1,3-디메틸-2-부테닐, 2,3-디메틸-2-부테닐기, 1,2-디메틸-2-부테닐기, 1-클로로-2-부테닐기, 2-클로로-2-부테닐기, 3-클로로-2-부테닐기, 4-클로로-2-부테닐기, 3-부테닐기, 3-페닐-2-부테닐기, 3-페닐-2-프로페닐기, 2-페닐-2-프로페닐기, 2-페닐-2-부테닐기, 2-펜테닐기 및 2-헥세닐기 등의 알케닐기 ; 2-프로피닐기, 2-부티닐기, 3-페닐-2-프로피닐기, 1-메틸-2-프로피닐기 및 3-부티닐기 등의 알키닐기 ; 벤질기, 2-클로로벤질기, 2,4-디클로로벤질기, 3,4-디클로로벤질기, 4-메틸벤질기, 3-메틸벤질기, 2-플루오로벤질기, 2-브로모벤질기, 2-클로로-4-메틸벤질기, 2-페닐에틸기, 1-메틸-2-페닐에틸기, 1,1-디메틸-2-페닐에틸기, 1-(4-메틸페닐)에틸기, 2-(4-메틸페닐)-에틸기, 2-(4-클로로페닐)에틸기, 1-메틸-1-페닐에틸기, 2-(2,4-디클로로페닐)에틸기, 2-(2-플루오로페닐)에틸기 및 1-페닐에틸기 등의 페닐-치환 알킬기 ; 3-(2-클로로페닐)-2-프로페닐기, 3-(3-클로로페닐)-2-프로페닐기, 3-(4-클로로페닐)-2-프로페닐기, 3-(2,3-디클로로페닐)-2-프로페닐기, 3-(2,4-디클로로페닐)-2-프로페닐기, 3-(3,4-디클로로페닐)-2-프로페닐기, 3-(2-플루오로페닐)-2-프로페닐기, 3-(3-플루오로페닐)-2-프로페닐기, 3-(4-플루오로페닐)-2-프로페닐기, 3-(2,4-디플루오로페닐)-2-프로페닐기, 3-(2-프로모페닐)-2-프로페닐기, 3-(2-요오도페닐)-2-프로페닐기, 3-(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프로페닐기, 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2-프로페닐기, 3-(2-메틸페닐)-2-프로페닐기, 3-(3-메틸페닐)-2-프로페닐기, 3-(2-메틸페닐)-2-프로페닐기, 2-(3-메틸페닐)-2-프로페닐기, 3-(4-메틸페닐)-2-프로페닐기, 3-(4-에틸페닐)-2-프로페닐 및 3-(3-메톡시페닐)-2-프로페닐기 등의 치환 페닐-치환 프로페닐기 ; 및 α-나프틸메틸기가 있다.
방법 A에 나타낸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불활성 용매에서 실시된다. 여기서, “불활성 용매”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콜 등의 알콜을 의미한다.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점(boiling point)까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10-30℃에서 반응시킴이 좋다.
방법 B에서, 첫 번째 단계 반응은 일반적으로 물과 알콜의 혼합용매에서 염기존재하에 실시된다. 게다가 두 번째 단계 반응은 일반적으로 불활성 용매에서 염기존재하에 실시된다.
방법 B에서 나타낸 제조방법에서 염기의 예에는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수소칼륨등의 탄산염류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피리딘 등의 3급 아민류가 있다.
방법 B의 첫 번째 단계반응의 온도 즉, 화합물(II) 및 하이드록실아민염의 반응온도는 0℃에서 용매의 비점까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약 10-60℃에서 반응을 실시함이 좋다.
일반식(V)로 표시되고 방법 B의 두 번째 단계에서 사용되는 할로겐화합물은 일반식(IV)로 표시되는 화합물 즉,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하이드옥심에 대해 1-5mole당량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두번째 단계반응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의 예에는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 염화 메틸렌 및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프란 및 1,4-디옥사인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및 1,3-디메틸-2-이미다졸이논 등의 비프로톤성(aprotic)극성용매 ; 아세토니트릴등의 니트릴계 용매가 있다.
반응온도는 실온에서 용매의 비점까지 가능하고, 약 50℃-120℃가 바람직하다. 반응종료후, 통상의 후처리를 실시하고,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재결정 또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방법 A 및 방법 B의 출발물질 즉,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하이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174059/1987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페닐기의 2-위치에 결합된 포르밀기가 하이드록시이미노메틸기 또는 치환 또는 무치환 알콕시이미노메틸기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제외하면, 상기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174059/1987에 기재된 화합물과 유사한 신규화합물들이다. 하지만, 상술한 변환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논 및 산지용 제초제로서 극도로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즉, 그들은 논 및 산지에서 문제를 야기하는 대부분의 유해잡초에 대해 효과적이고, 대두, 목화, 낙화생 및 사탕무우 등의 광엽작물에 대해 무해하거나 거의 해를 주지 않는다. 하지만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174059/1987에 기재된 화합물들은 이런 작물에 해를 주기 때문에 이용될 수 없었으며, 따라서, 이들 작물들에 대한 선택성들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기술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대두, 목화, 낙화생, 사탕무우 및 담배나무 등의 광엽작물용으로 이용될 수 있고, 사용단계 및 방법에 따라, 옥수수, 벼 및 밀을 포함한 사실상 모든 작물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초제들은 논 또는 산지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사실상 대부분의 유해잡초에 대해 극도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논에서, 그 제초제들은 반야드그래스(brangardgrass), 리어시아 오리조이데스(Leersia oryzoides) 및 콤먼리드(common reed)등의 매우 귀찮은 포아풀과 잡초 ; 옐로우 닛 세쥐(yellow nutsedge), 스몰플라우어 엄브렐러 프랜트(smallflower umbrellaplant), 사이퍼루스 세로이누스(cyperus seroyinus), 불루쉬(bulrush), 스시르푸스 니뽀니쿠스(Scirpus nipponicus), 에레오카리스 쿠로구와이(Eleocharis kurogwai), 슬랜더 스피커루쉬(Slender Spikerush) 및 핌브리스틸리스 미리아세아(Fimbristylis miliacea) 등의 매우 귀찮은 카얏릭사과 잡촉(cyperaceous weed) ; 사지타리아 피그마에아(Sagittaria pygmaea), 화살촉 및 협엽 워터플란타인(arrowhead and narrowleaf waterplantain)등의 귀찮은 화살촉형 잡초(arrowhead weed) ; 모노코리아 바지나리스(Monochoria vaginalis), 투스컵(toothcup) 및 파르스닙(parsnip)등의 광엽잡초에 대해 극도로 우수한 제초효과를 보여준다. 산지에서, 그 제초제들은, 콤먼 취위드(common chickweed), 콤먼 람브스퀴터스(common lambsquarters), 쉬퍼드스퍼스(shepherd′s purse), 레드룻 픽 위드(redroot pigweed), 헴프세스바니아(hemp sesbania), 프리클리 시다(prickly sida), 벨베트리프(velvetleaf), 모닝글로리(morning glories), 콤먼 콕그레바(common cocklebar) 및 콤먼 그라운드셀(common groundsel)등의 광엽잡초 ; 반야드그래스, 그린 폭스테일(green foxtail), 라쥐크랩 그래스(large crabgrass), 구스 그래스(goosegrass), 애누얼 블루그래스(annual bluegrass), 폭스테일 메도우(foxtail meadow), 오트(oat) 윌드 오트(wild oat), 콕 그래스(quackgrass), 도우니 브롬(downy brome), 베르무다 그래스(bermudagrass), 크리핑 벤트그래스(creeping bentgrass), 브룸세쥐(broomsedge), 실키벤트그래스(silky bentgrass), 싱글그래스(singlegrass), 폴 파니컴(fall panicum), 존슨그래스(johnsongrass) 및 새터케인(shattercane) 등의 포아풀과 잡초 ; 라이스 플랫세쥐(rice flatsedge) 및 옐로우/퍼플 닛세쥐(yellow/purple nutsedge)등의 카얏릭 사과 잡초 ; 특히, 존슨그래스, 새터케인 및 오커드그래스(orchardgrass) 등의 다년생 잡초에 대해 우수한 제초효과를 보여준다.
효소 분석결과로부틸,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초제의 표적부위(target site)인 ALS(acetolactate synthase)가 반야그래스, 존슨그래스 및 그린폭스테일 등의 잡초에 대해 높은 억제활성을 부여줌이 발견되었지만, 완두콩, 목화 및 낙화생등의 광엽작물에 대해서는 억제활성이 없다. 이런 결과는 완두콩, 목화, 낙화생등의 광엽작물들이 본 발명에 의한 제초제들에 대해 높은 내성을 가짐을 보여준다. 폿트 실험에서 대두, 목화, 사탕무우, 낙화생, 콤먼 선플라우어(common sunfolwer), 레입(rape) 및 그린스(greens)등의 광엽작물에 대해 무해하거나 해를 끼치더라도 극히 적게 끼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사용방법에 따라, 옥수수, 밀, 벼, 보리 및 사탕수수 설탕등의 포아풀과 작물에 대해 전혀 해를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그들은 목화, 대두 및 낙화생에 대해 해를 주지 않은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족(I)로 표시되는 발명화합물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제초제들은 토양처리, 토양혼층처리(soil incorporation), 경엽산포처리(foliar application) 및 밴드처리(band application)등의 모든 처리방법에 대해 효과적이다.
제초제로서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의 화합물들은 처리될 잡초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것들은 불활성 액체 운반제 또는 고체 운반제와 혼합하여 분제(powder), 입제(granule), 수화분제(wettable powder), 유제 또는 유동성 제제(flowable formulation)등의 흔히 사용되는 제제로 된다. 또한, 제제에 필요하다면, 1종 이상의 보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운반제(carrier)로는 종래의 농약 또는 원예용 농약에서 이용될 수 있는 고체 또는 액체가 이용된다. 이리하여, 운반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고체 운반제의 실례에는, 점토, 활석, 벤토나이트, 탄산칼슘, 규조토 및 백색탄소 등의 무기 분제 ; 대두분말, 전분등의 식물성 분제 ; 석유수지,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등의 고분자 화합물 ; 요소 ; 및 왁스가 있다. 액체 운반제의 실례에는 크실렌, 메틸나프탈렌 및 알킬벤젠 등의 여러 유기용매 ; 식물성 기름 등의 여러기름 및 물이 있다.
농약 또는 원예용 농약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안정제등은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예에서는 공업용 살균제, 방부제등을 첨가하여 사용함으로써 박테리아 및 균을 억제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단독으로 또는 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에틸렌 산화물 또는 프로필렌 산화물을 알킬페놀, 고급알콜, 알킬나프톨, 고급지방산, 지방산에스테르 등에 첨가함으로써 얻은 것들이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실례에는 알킬 설포네이트 염, 알킬 설페이트 에스테르 염,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염, 리그닌 술폰산, 알기닌 산, 폴리비닐 알콜, 껌 아라빅(grum arabic), CMC(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등이 있다.
안정제의 실례로서, 페놀 화합물, 티올 화합물, 고분자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산화방지에 이용될 수 있다. 게다가, 인산염이 pH 조절제로 이용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경(light)안정제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조체에서 일반식(I)의 각 화합물이 함량이 제제에 따라 변하는데, 일반적으로 분제0.05-20wt.%, 수화제1-50wt.%, 및 건조 유동성 제제 1-50wt.%이고, 바람직하게는 분제 0.5-5wt.%, 수화제 10-40wt.%, 입제 0.5-8wt.%, 유제5-20wt.%, 유동성 제제 10-30wt.% 및 건조 유동성 제제 10-40wt.%이다.
보조제의 전체 함량은 0-80wt.%일 수 있다. 운반제의 함량은 활성성분 화합물 및 보조제의 함량을 감함으로써 얻어낸다. 본 발명 화합물이 논 또는 산지에서 사용될 때 사용량은 활성성분의 견지에서, 0.1-10kg/ha, 바람직하게는 0.5-5kg/ha이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제초제들은 다른 제초제 1종 또는 그 이상, 살균제, 살충제 및 식물성장 조절제등의 1종 이상의 농약, 비료 및 토양 개량제와 혼합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광합성-억제 제초제(예컨대, 요소 제초제, 트리아진 제초제, 아닐리드 제초제 또는 벤타존(bentazon)등과 배합될 때, 놀랄 정도로 높은 상승적 제초효과를 보여 주었다.
본 발명 화합물들이 예컨대, 디우론, 트라이진, 프로파닐, 벤타존 등과 함께 이용될때는, 그것을 단독으로 사용할때에 비해, 이외로 우수한 제초 활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낮은 사용량의 근거가 된다. 게다가, 단 1회의 처리에 대해서도 수개월 동안 제초효과가 지속됨이 발견되었다. 일반식[I]의 피리미딘 유도체와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일반식[IV]의 화합물들의 실례에는 2-클로로-4-에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1,3,5-트리아진(아트라진), 2-(2-클로로-4-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6-일 아미노)-2-메틸 프로피온니트릴(시아나진), 2-메틸티오-4-메틸아미노-6-이소프로필아미노-1, 3,5-트리아진(아메트린), 2-메틸티오-4,6-비스(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심아진(simazine)), 2-메톡시-4,6-비스(이소프로필아미노)-1,3,5-트리아진(프로메톤) 및 2-메틸티오-4,6-비스(에틸아미노)-1,3,5-트리아진(시메트린)이 있다.
일반식[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의 실례에는 3-(3,4-디클로페닐)-1,1-디메틸유리아(urea)(디우론(diuron)), 3-(3,4-디클로로페닐)-1-메톡시-1-메틸유리아(리누론(linuron)), 3-(4-이소프로필페닐)-1,1-디메틸유리아(이소프로투론(isoproturon)), 1,1-디메틸-3-(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유리아(플루오메트론(fluometron) 및 3-(4-클로로페닐)-1,1-디메틸유리아(모누론(monuron))가 있다.
일반식[VIII]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의 실례에는 N-(3,4-디클로페닐)프로판아미드(프로파닐(propanil)), N-(3-클로로-4-이소프로필페닐)-2-메틸펜트아미드(MT-5950) 및 3,4-디클로로-2-메틸아크릴아닐라이드(디크릴(dicryl))가 있다.
일반식[IX]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실례에는 2-클로로-N-이소프로필아세트아닐라이드(프로파클오르(propachlor)), N-메톡시메틸-2′,6′-디에틸-2-클로로아세트아닐라이드알라클오르(alachlor)), 2-클로로-2′,6′-디에틸-N-(부톡시메틸)아세트아닐라이드(부타클오르(butachlor)) 및 있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상기 화합물들이 산지 잡초들에 끼치는 영향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들은, 그 화합물들을 단독을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것에 비해, 이외로 높은 상승적 효과를 보여줄 수 있다. 그들의 제초효과는 5-10배 개량되었고, 게다가, 이렇게 개량된 제초효과가 수개월 동안 지속된다. 이외에도, 개선된 효과의 결과로, 본 발명의 조성물들을 대두, 목화, 낙화생, 사탕무우, 옥수수, 벼, 밀등에 해를 주지않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일반식[I]의 화합물들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그 작용이 나타나는데 30-50일이 필요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에 의한 제초 조성물들은 처리후 3-10일 이내에 작용이 나타나서, 농작물 증산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본 발명의 각 제초 조성물의 활성성분의 함량은 억제되는 잡초의 종류, 잡초의 엽기, 혼합성분의 종류 및 다른 조건등에 의해 광범위하게 변한다. 하지만, 다른 화합물들은 일반식[I]의 화합물들의 중량%당, 0.05-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80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일반식([I]로 표시되 혼합물들을 함유하는 제초제들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제초 조성물들은 토양처리, 토양혼층처리, 경엽산포처리 및 밴드처리등의 모든 처리방법에서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각 제초조성물을 사용할 때, 그 활성성분들의 혼합물을 순수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활성성분들은 불활성 액체 운반제 또는 고체 운반제와 혼합하여 분제, 입제, 수화제, 유제 또는 유동제 제제등의 혼히 사용되는 제제로 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제제에 1종 이상의 보조제들일 첨가될 수 있다.
[실시예]
발병에 따른 특정한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예가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비교실시예 1]
2-클로로-4,6-디메톡시피리미딘의 제조
36% 염산용액 1,260ml를 4개의 입구가 있는(four-necked) 5ℓ플라스크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2-아미노-4,6-디메톡시피리미딘 180g(1.16moles)을 작은 조각으로 플라스크에 넣은 후, 반응 혼합물이 시럽형태로 변할 때까지 혼합물을 약 1시간 동안 섞었다. 반응 혼합물은 -15℃로 냉각시킨 후, 강하게 휘저으면서, 159g(2.3moles)의 NaNO2가 들어 있는 수용액 260ml를 약 1시간 동안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한방울씩 첨가가 끝난후, 결과적으로 생긴 혼합물들 -15℃--10℃사이에서 추가적으로 1시간 더 섞어 반응이 완결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5℃에서 유지되는 동안, 30%, NaOH수용액 1.5ℓ를 한방울씩 첨가하여 반응혼합물을 pH 7로 중화시켰다. 감압하에서 여과하여 보라색의 진흙같은 물질을 수집하였다. 목적화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3ℓ를 사용하여 진흙같은 물질로부터 추출하였다. 물로 세척하는 과정과 무수 Na2SO4에 의한 건조, 용매의 제거과정을 통해, 63g의 푸른색을 띤 원 결정(crude crystal)을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방법에 의해 재결정화 함으로써, 60.8g의 하얀색 결정을 얻었다.(수율 : 29.9%)
융점 : 101.5-102.5℃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히드)의 합성
4개의 입구가 있는 500ml 플라스크에 2-클로로-4,6-디메톡시피리미딘 105g(0.6mole), 살리싸이클릭(salicyclic) 알레히드 79.4g(0.65mole), 포타슘 카보네이트 48.3g(0.35mole) 및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450ml를 넣었다. 혼합물을 서서히 가열하면서, 120℃에서 3시간 동안 섞었다.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2ℓ의 물에 부었다. 벤젠에 의한 추출, 물에 의한 세척, 무수 Na2SO4에 의한 건조 및 농축과정을 156g의 목적 생성물을 원유(crudeoil)로서 얻었다. 이것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방법에 의해 정제함으로써, 117.1g의 흰색 결정을 얻었다(수율:75%)
융점 : 76.0-약 76.5℃
[실시예 1]
O-메틸-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화합물 번호 1)의 제조
메탄올 100ml에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히드 5.2g과 메톡시아민 1.0g을 용해시킨다. 그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섞는다. 메탄올을 감압하에서 증류한 다음, 결과적으로 생긴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적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10 : 1)에 의해 정제하여, O-메틸-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하이드 5.7g을 기름물질(oily substance)로 얻었다.
H-NMR spectrum(CDCl3-TMS) δ : 3.42(3H,s), 3.77(3H,s), 5.71(1H,s), 7.0-8.0(4H,m), 8.20(1H,s)
[실시예 2]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benzaldoxime)(화합물 번호 24)의 제조
하이드록실 아민 3.5g을 포타슘카보네이트 3.5g이 포함된 물과 메탄올의 1 : 1 혼합물 용액 100ml에 0℃에서 첨가하였다. 그 용액을 0℃에서 10분간 섞었다. 0℃에서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하이드 13.0g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생긴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섞고, 그러고 나서 60℃로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다음, 물에 붓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제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5 : 1)로 정제하여, 2-(4,6-dimethoxy-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7.7g을 얻었다.
융점 125-128℃
H-NMR Spectrum(CDCl3-TMS) δ : 3.76(6H,s), 5.75(1H,s), 7.1-7.9(4H,m), 8.35(1H,s), 9.30(1H,bs)
[실시예 3]
O-(2,4-디클로로벤질)-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조알독심(화합물 번호 17)의 제조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하이드 5.2g과 2,4-디클로로벤질옥시아민 3.8g을 메탄을 100ml에 용해시켰으며,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동안 섞었다. 메탄올을 감압하에서 증류한 다음, 결과적으로 생긴 잔여물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O-(2,4-디클로로벤질)-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조알독심 8.1g을 얻었다.
융점 108-110.5℃
H-NMR Spectrum(CDCl3-TMS) δ : 3.72(6H,s), 5.15(2H,s), 5.61(1H,s) 6.9-7.5(6H,m), 7.7-7.9(1H,m), 8.18(1H,s)
[실시예 4]
O-(2-프로피닐)-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조알독심(화합물 번호 13)의 제법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조알독심 5.5g과 프로파길 브로마이드(propargyl bromide) 7.1g을 포타슘카보네이트 1.4g이 포함된 N,N-디메틸 포름아마이드 100ml에 용해시켰다. 그리고, 용액을 100℃에서 4시간 동안 섞었다. 반응 혼합물이 냉각된 다음, 물에 부어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재제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10 : 11)로 정제하여 O-(2-프로피닐)-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조알독심 4.8g을 기름 물질로 얻었다.
H-NMR Spectrum(CDCl3-TMS) δ : 2.32(1H,t,J=2.42Hz), 3.75(6H,s), 4.65(2H,d,J=2.4Hz), 5.68(1H,s), 6.9-7, W.4(3H,m), 7.7-8.0(1H,m), 8.20(1H,s).
[실시예 5]
O-(3-클로로신나밀(chlorocinnamyl)-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화합물 번호 26의 제조)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 5.5g과 3-클로로신나밀 브로마이드 4.6g을 무수포타슘카보네이트 2.7g이 포함된 무수(dry) 아세톤 30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교반 및 환류하면서 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 다음, 아세톤을 감압하에서 증류하고,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 200ml에 용해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그리고, 용액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제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4:1)로 정제하여, O-(3-클로로신나밀)-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 5.2g을 반고체물질로 얻었다.
H-NMR Spectrum (CDCl3-TMS) δ:3,77(6H,s), 4.77(2H,d,J=6.0Hz), 5.77(1H,s), 6.35(1H,dt,J=16.0,6.0Hz), 6.56(1H,d,J=16OH), 7.21-7.25(5H,m), 7.35-7.41(2H,m), 7.86-7.90(1H,m), 8.27(1H,s).
[실시예 6]
O-(3-메틸신나밀-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독심(화합물 번호 34)의 제조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조알독심 5.5g과 3-메틸신나밀(methylcinnamyl)브로마이드를 무수포타슘카보네이트 2.7g이 포함된 아세토니트릴 30ml에 용해시켰다. 그리고 용액을 교반 및 환류하면서 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시킨 다음, 감압하에서 아세토니트릴을 증류시키고, 잔여물을 에틸아세테이트 200ml에 용해시켰다.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물로 세척한 후, 유기층을 무수 Na2SO4로 건조시켰다. 그리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재제 : n-헥산 : 에틸아세테이트=4 : 1)로 정제하여 O-(3-메틸신나밀)-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조알독심 5.2g을 결정으로 얻었다.
H-NMR Spectrum(CDCl3-TMS) δ : 2.32(3H,s), 3.76(6H,s), 4.77(2H,d,J=6.0Hz), 5.74(1H,s), 6.33(1H,dt,J=16.0,6.0Hz), 6.59(1H,d,J=16.0Hz), 6.81-7.40(7H,m), 7.87-7.91(1H,m), 8.28(1H,s).
[실시예 7]
O-신나밀-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아미독심(화합물 번호 9)의 제조
1) N-신나밀옥시프탈이미드(N-cinnamyloxphthalimide)의 제조
DMF 200ml에 N-하이드록시프탈이미드(N-hydroxyphthalimide) 41.4g과 포타슘카보네이트 18g을 혼합하였다. 신나밀브로마이드 50g을 첨가하고 120℃에서 5시간 동안 섞었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 500ml에 부었다. 여기서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수집하고 건조시켰으며, 아세톤과 이소프로필에테르의 혼합용매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신나밀옥시프탈이미드 41.9g을 얻었다. 수율 : 59.1%
2) 신나밀옥시아민의 제조
메탄올 600ml에 1)과정에서 얻은 N-신나밀옥시탈이미드 27.9g을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50℃에서 가열한 후, 히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 5g이 포함된 메탄올용액 10ml를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생긴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1시간동안 섞었다. 그 결과, 신나밀옥시아민의 메탄올용액을 얻었다.
3) O-신나밀-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아미독심의 제조
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알데히드를 2)과정에서 제조한 신나밀옥시아민의 메탄올용액에 50℃에서 첨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생긴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환류시키면서 1시간동안 가열하여 반응을 완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킨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하여 제거하고, 결과적으로 생긴 잔여물을 이소프로필에테르 500ml에 용해시켰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여과물의 용매를 증류하였다. 여기서 기름성 원 생성물(oily cradeproduct)을 얻었다. 원생성물을 실리카겔 컬럼(전개제 : n-헥산:에틸아세테이트=10 : 1)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한 후, 이소프로필 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목적생성물 O-신나밀-2-(4,6-디메톡시-2-피리미디닐옥시)벤즈아미독심 25.1g을 얻었다. 수율 : 85.6%, 융점 ; 87-89℃
H-NMR Spectrum(CDCl3-TMS) δ : 3.75(6H,s), 4.75(2H,d,J=5.4Hz), 5.70(1H,s) 6.27(1H,dt,J=15.8,J=5.4Hz), 6.64(1H,d,J=15.8Hz), 7.0-7.5(8H,m), 7.8-8.0(1H,m), 8.23(1H,s).
일반식[I]에 의해 표시되는 본 발명의 피리미딘 유도체의 실시예에 관하여, 융점, 사용한 방법(A 방법 또는 B방법)의 특징 및 이들의 NMR 분광 데이터를 표 1에 요약했다.
[표 1]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제제 예들 및 실험들]
제초제 및 본 발명에 의한 제초 조성물들의 제제 예들 및 제초활성이 후술될 것이다.
[제제 예 1 : (수화분제)]
수화분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9 20중량%, Kao Corporation 제품인 상품명 “Neopelex”라는 소듐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2중량%, Daiichi kogyo Seiyaku Industries, Ltd. 제품인 상품명 “Neugen EA 80” 이라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1중량%, 백색 탄소 5중량% 및 규조토 72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2 : (수화분제)]
수화제는 본 발명의 혼합물 번호 7 20중량%, 소듐 알킬벤젠술포네이트 2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1중량% 및 Zeaklite Kogyo Industries, Ltd. 제품인 상품명 “Zeaklite”라는 실리카 77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3 : (수화분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27 50중량%, 백색탄소 5중량%, 암모늄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술포네이트 6중량%, 소듐 리그린 술포네이트 2중량% 및 규조토 37중량%를 Jet-O-Miser에서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4 : (유동성 제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39 20중량%, 소듐 리그린 술포네이트 2중량%, 크산탄 껌(Xanthan gum) 0.3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1중량%의 혼합물에 물 76.7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모래분쇄기에서 최종 혼합물을 미세하게 분쇄한다.
[제제 예 5 : (유동성 제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44 30중량%와 물 50중량%에 Sanyo-Kokusaku Pulp Co., Ltd. 제품인 상품명 “Sun Ekisu P252”라는 슈돔 리그닌 술포네이트 10중량%가 있는 용액을 습기 분쇄하여 혼합한 후, 물 9.6중량%에 Kelco Corp. 제품인 상품명 “Kelzan S”라는 크산탄 껌 0.2중량%가 들어있는 용액 및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인 상품명 “Deltop”이라는 유기 이오딘 방부제 0.2중량%를 첨가해서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6 : (분제)]
분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9 1중량%, Kao Corporation 제품인 상품명 “Emulgen 910”이라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 에테르 0.5중량% 및 카올리인 점토 98.5%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7 : (분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7 3중량%, 소듐리그닌 술포네이트 3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2중량% 및 점토 92중량%를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8 : (건조 유동성 제제)]
건조 유동성 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28 60중량%(미세하게 분쇄되어 있음), 소듐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 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35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9 : (입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14 1중량%(미세하게 분쇄되어 있음),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상품명 “Sun Ekisu P252” 2중량%, 벤토나이트 70중량% 및 활석 23중량%를 완전히 혼합한다. 적당량의 물을 그 혼합물에 첨가한 후, 소형 주입 성형 기계(small injection molding machine)에 통과시켜 펠릿으로 만든다. 그 펠릿을 30-60℃에서 공기 건조시키고 나서 입제로 부순후, 그 입제들을 이동기계(shifting machine)에 의해 분류하고 0.3-2mm입제들을 모은다.
[제제 예 10 : (입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7 1중량%(미세하게 분쇄됨),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인 상품명 “Gosenol GL-05s”라는 PVA 2중량%, 상기의 상품명 “Sun Ekius P-252” 2중량% 및 점토 95중량%를 완전히 혼합한다. 적당량의 물을 그 혼합물에 첨가한 후, 소형 주입 성형 기계에 통과시켜 펠릿으로 만든다. 펠릿을 60-90℃에서 공기 건조시키고나서 입제로 부순 후, 이동기계에 의해 입제를 분류하여 0.3-1mm 입제를 모은다.
[제제 예 11 : (유제)]
본 발명이 화합물 번호 9 10중량%, Toho Chemical Industries Co., Ltd. 제품인 상품명 “Sorpole 800 A”라는 비이온성/음이온송 계면활성제 혼합물 10중량% 및 O-크실렌 8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12 : (유제)]
본 발명이 화합물 번호 27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클실렌 8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13 : (수화분제)]
수화분제 화합물 번호 9 20중량%, 디우론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상품명 “Neugen EA” 2중량%, 백색탄소 5중량% 및 규조토 61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예 14 : (분제)]
분제는 화합물 번호 7 1중량%, 리누론 1중량%, 상기의 상품명 “Emulgen 910” 0.5중량% 및 카올리인 점토 97.5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15 : (입제)]
화합물 번호 15 5중량%(미세한 분쇄됨), 벤타존 5중량%,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상품명 “Sun Ekisu P252” 2중량%, 벤토나이트 60중량% 및 활석 26중량%를 완전히 혼합한다. 적당량의 물을 그 혼합물에 첨가한 후, 소형 주입 성형 기계에 통과시켜 입제로 만든다. 그 입제들을 30-60℃에서 공기 건조시키고나서 이동기계에 의해 분류하여 0.2-2mm 입제를 모은다.
[제제 예 16 : (유제)]
화합물 번호 9 10중량%, 디우론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크실렌 7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17 : (유동성 제제)]
유동성 제제는 화합물 번호 7 10중량%, 리누론 10중량% 및 물 60중량%에 상기의 상품명 “Sun Ekisu P252” 10중량%가 있는 용액을 습기 분쇄하여 혼합한 후, 물 9.6중량%에 상기의 상품명 “Kelzan S” 0.2중량%가 들어있는 용액 및 상기의 상품명 “Deltop” 0.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18 :(유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9 10중량%, 아트라진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크실렌 8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예 19 : (유제)]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24 10중량%, 시아나진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크실렌 8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20 : (유제)]
화합물 번호 9 10중량%, 알라클오르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크실렌 7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21 : (유제)]
화합물 번호 7 10중량%, 플루오메트론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크실렌 7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22 : (유제)]
화합물 번호 9 10중량%, 나프타람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크실렌 7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23 : (유제)]
화합물 번호 9 10중량%, 리누론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Sorpole 800A” 10중량% 및 O-크실렌 70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유제가 된다.
[제제 예 24 : (수화분제)]
수화분제 화합물 번호 9 20중량%, 리누론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상품명 “Neugen EA” 2중량%, 백색탄소 5중량% 및 규조토 61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25 : (수화분제)]
수화분제 화합물 번호 9 20중량%, 아트라진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상품명 “Neugen EA” 2중량%, 백색탄소 5중량% 및 규조토 61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26 : (수화분제)]
수화분제 화합물 번호 9 20중량%, 메토라클오르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제품명 “Neugen EA” 2중량%, 백색탄소 5중량% 및 규조토 61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27 : (수화분제)]
수화분제 화합물 번호 9 20중량%, 벤타존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제품명 “Neugen EA” 2중량%, 백색탄소 5중량% 및 규조토 61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28 : (분제)]
화합물 번호 7 1중량%, 프로파닐 5중량%, 상기의 상품명 “Emulgen 910” 0.5중량% 카올리인 점토 93.5중량%를 완전히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29: (입제)]
화합물 번호 15 5중량%(미세하게 분쇄되어 있음), 프로파닐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Neopelex” 2중량%, 상기의 상품명 “Sun Ekisu P252” 2중량%, 벤토나이트 55중량% 및 활성 26중량%를 완전히 혼합한다.
적당량의 물을 그 혼합물에 첨가한 후 소형 주입 성형 기계에 통과시켜 입제로 만든다. 입제들을 30-60℃에서 공기 건조시키고나서 이동 기계에 의해 분류하여 0.3-2mm 입제를 모은다.
[제제 예 30 : (유동성 제제)]
유동성 제제는 화합물 번호 7 10중량%, 디우론 10중량% 및 물 60중량%에 상기의 상품명 “Sun Ekisu P252” 10중량%가 들어있는 용액을 습기 분쇄하여 혼합한 후, 물 9.6중량%에 상기의 상품명 “Kelzan S” 0.2중량%가 들어있는 용액 및 상기의 상품명 “Deltop” 0.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31 : (유동성 제제)]
유동성 제제는 화합물 번호 7 10중량%, 아트라진 10중량% 및 물 60중량%에 상기의 상품명 “Sun Ekisu P252” 10중량%가 들어있는 용액을 습기 분쇄하여 혼합한 후, 물 9.6중량%에 상기의 상품명 “Kelzan S” 0.2중량%가 들어있는 용액 및 상기의 상품명 “Deltop” 0.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32 : (유동성 제제)]
유동성 제제는 화합물 번호 7 10중량%, 알라클로오르 10중량% 및 물 60중량%에 상기의 상품명 “Sun Ekisu P252” 10중량% 상기의 상품명 “Kelzan S” 0.2중량%가 들어있는 용액 및 상기의 상품명 “Deltop” 0.2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제 예 33 : (건조 유동성 제제)]
건조 유동성 제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 번호 28 30중량%(미세하게 분쇄되어 있음), 리누론 30중량%, 소듐 알킬 벤젠 술포네이트 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35중량%를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실험 1]
ALS(아세토락테이트 합성 효소)효소 분석
농작물과 잡초 사이에서 효소 준위 선택성을 결정하기 위해, 광엽 작물의 대표로서 완투콩을, 협엽(narrowleaf) 작물의 대표로서 반야드그래스를 이용하여 ALS 효소 분석을 실시했다.
완두콩 및 반야드그래스의 종자를 어두운 곳에서 8-14일 동안 25℃에서 발아시킨 후 아세토락테이트 합성효소(acetolactate synthase)의 특수 정재된 현탁액(현탁액 A)들을 Plant Physiology, 75, 827-831에 기재된 방법에 따른 접종(seedling)에 의해 개별적으로 얻어진다.
실험 튜브에 실험 화합물 0.5mg을 넣고, 200mM K2HPO4용액 0.15ml 및 반응 기질 매질 0.25ml(40mM K2HPO4, 40mM 소듐 피루베이트(sodium pyruvate), 1mM TPP, 1mM MgCl2및 FAD 20mM로 구성)로 제조된 반응용액(용액 B)0.4ml를 첨가한다. 현탁액 A 0.1ml를 용액 B 0.4ml에 첨가한다. 그 혼합물을 30℃의 물 중탕 항온조에서 1시간 동안 진탕한 후, 6N 황산 50ml를 첨가해서 반응을 종결한다.
다음에 반응이 종결된 액체 혼합물을 60℃로 조절된 물 중탕 항온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나서, 0.5% 크레아틴 용액 0.5ml 및 5% 알카리 α-나프톨 용액 0.5ml를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60℃에서 15분동안 보존한다. 그 결과, 실험용액은 분홍색-붉은색으로 전개한다. 상술한 조작을 한 후, 그 실험용액의 525nm에서의 흡광도를 분광 광도계로 측정한다(실험용액의 흡광도 ①)
다른 한편, 용액 B의 일부분(실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지 않음)을 상술한 조작에의해 얻은 용액의 흡광도(대조 흡광도 ②) 및 용액 B의 또 다른 일부분(실험 화합물로서 6N 황산 50μl를 포함)을 상술한 조작에 의해 얻은 용액의 흡광도(종결된 황산의 흡광도 3)가 도시에 측정된다.
각각의 측정값들을 기준으로 하여 각 화합물 1,000 ppm(0.5mg/0.5ml)에 대해 효소분석을 결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4
그런데, 비교 화합물 A 및 B는 하기 화합물을 뜻한다(또한, 이는 실험 2 및 실험 3에 적용된다).
Figure kpo00015
위 두 화합물들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No. 174059/1987에 기재되어 있다.
이 실험 결과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효소 준위에 있어서 반야드그래스 등의 포아풀과 잡초에 대해서는 강한 억제력을 가지지만, 완두콩 등의 광엽작물에 대해서는 전혀 억제력을 갖지 않는다. 즉, 별개의 선택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2]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실험 2]
산지 토양 적용 실험
수지로 만든 1/2500-아르(are) 폿트들을 산지토양으로 채운다. 이들에 대해 거름을 준 후, 대두, 낙화생 및 목화등의 씨를 뿌리고 토양으로 2-3cm 덮는다. 레드룻 픽위드 콤먼람브스쿼터스, 반야드그래스, 그린포스테일, 라쥐 크랩그래스, 폭스테일 메도우 및 존슨그래스 등의 씨를 토양과 균일하게 혼합한다. 그것을 온실에서 발아시킨다. 1일후(잡초들이 출현하기 전), 제제 예 1에 기술된 방법대로 각 실험화합물을 예정량(predetermined amount)사용하여 제조된 수화분제를 물로 희석시키고,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ULV(ultra low volume)분무기를 이용하여 토양 표면위에 10ℓ/아르 씩 고르게 분무한다. 30일 후, 농작물 및 잡촉들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다. 그 결과들을 표 3에 나타냈다. 이 표에서, 각 실험식물의 피해정도 및 각 농작물의 피해 정도는 실험 식물 및 농작물의 공기 건조 무게와 무처리(untreated) 폿트에 있는 상응하는 식물 및 농작물의 공기 건조 무게를 비교함으로서 결정되었으며, 하기의 기준으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18
이 실험 결과들은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토양처리에서 몇몇 광엽 잡초, 다년생 잡초 및 포아풀과 잡초들에 대해 높은 제초효과를 보여주고, 대두, 목화 및 낙화생 등의 광엽 작물에 대해 매우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다.
[표 3]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실험 3]
산지경엽 산포처리 실험
수지로 만든 1/10000-아르 폿트들을 산지 토양으로 채운다. 레드룻 픽위드, 콤먼 람브스쿼터스, 폭스테일 메도우, 존슨그래스, 반야드그래스, 그린 폭스테일, 라쥐 크랩그래스, 대두, 낙화생 및 목화 등의 씨를 개별적으로 뿌리고 온실에서 발아시킨다. 각 식물들이 2-3엽기까지 성장했을 때, 제제예 11에 기술된 방법대로 각 실험 화합물을 예정량 사용하여 제조된 유제를 물을 사용하여 예정된 희석률로 희석시키고나서,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ULV 분무기를 이용하여 각 식물의 잎위에 5ℓ/아르씩 분무한다. 제초제 분무후 제30일이 되는 날에 농작물과 잡초들에 끼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냈으며, 이 표에서 각 실험식물의 피해정도 및 각 농작물의 피해정도를 실험 2와 같은 방법으로 나타냈다.
이 실험 결과들은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몇몇 광엽잡초, 다년생 잡초 및 포아풀과 잡초에 대해 높은 제초효과를 가지면서, 대두, 목화 및 낙화생 등의 광엽 작물에 대해 매우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표 4]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실험 4]
수경조건(submerged condition)하에 토양처리(발아전 처리)
1/5000-아르 와그너(Wagner)폿트들을 토양으로 채운다. 반야드그래스, 모노코리아 바지나리스(Monochoria vaginalis), 블루쉬, 사지타리아 피그마에아, 사이퍼루스 세로이누스 및 테레오카리스 쿠로구와이 등의 종자 또는 튜버(tuber)들을 수경 조건하에서 뿌리거나 또는 심는다. 미리 재배해 둔 벼 접종(2-3엽기) 2쌍을 각 폿트에 옮겨 심고 온실에서 발아시킨다. 각각의 쌍은 2개의 벼 접종으로 구성된다. 1일 후(잡초의 발아전), 제제예 9에 기술된 방법대로 실험 조성물을 에정량 사용해서 제조된 입제로 각 폿트를 처리한다. 30일후, 잡초의 발아상태 및 벼의 해 정도를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요약한다.
표에서, 실험식물의 피해 정도 및 벼의 피해 정도를 실시예 2와 같은 방식대로 나타냈다.
[표 5]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실험 5]
수경조건하에서의 토양처리(발아후처리)
1/5000-아르 와그너 폿트들을 토양으로 채운다. 반야드그래스, 모노코리아 바지나리스, 불루쉬, 사지타리아 피그마에이, 사이퍼루스 세로이누스 및 에레오카리스 쿠로구와이 등의 종자 또는 튜버를 수경조건하에서 뿌리거나 또는 심는다. 이미 재배해 둔 벼 접종(2-3엽기) 2쌍을 각 폿트에 옮겨 심고 온실에서 재배한다. 각 쌍은 2개의 벼 접종으로 구성된다. 반야드그래스가 2엽기로 들어섰을 때, 실시예 9에 기술된 방법대로 실험 조성물을 예정량 사용하여 제조된 입제로 각 폿트를 처리한다. 30일 후, 잡초의 발아 상태 및 벼의 피해정도를 관찰한다. 그 결과를 표 6에 요약했다.
그 표에서, 실험 식물의 피해정도 및 벼의 피해정도를 실시예 2의 방법대로 나타냈다.
[표 6]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실험 6]
페트리 디쉬 실험
여과지를 유리로 제조된 직경 9cm인 페트리 디쉬(Petri dish)에 놓는다. 아세톤에 용해된 화합물 예정량을 첨가한다. 여과지를 공기 건조시켜 아세톤을 제거한다. 협엽 워터플란타인 종자를 여과지위에 놓고 물 10ml를 페트리 디쉬에 부은다. 밝은 방에서 그 종자를 25℃에서 성장하도록 한다. 14일 후, 협엽 워터플란타인의 성장상태가 관찰되었다. 그 결과를 표 7에 요약했다.
그 표에서 실험 식물의 피해정도는 그 식물의 성장상태와 무처리 그룹에 있는 식물의 성장상태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되며, 후기의 기준에 따라 표시한다.
Figure kpo00027
표4에서 표 6까지들은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 화합물이 수경조건하의 토양처리에서 몇몇 광엽잡초, 다년생 잡초 및 포아풀과 잡초에 대해 높은 제초효과를 가지면서, 거의 피해를 주지않은 채, 벼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표 7]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실험 7]
혼합제제를 이용한 산지 경엽 산포처리 실험
수지로 제조된 1/10000-아르 폿트들을 산지 토양으로 채운다. 레드룻 픽위드, 모닝글로리, 존슨그래스, 반야드그래스 및 그린 폭스테일 등의 종자를 뿌리고 온실에서 발아시킨다. 각 식물이 2-3 엽기로 들어섰을 때, 제제 예 16에 기술된 방법대로 다른 종의 실험 화합물 2개를 예정량 사용하여 제조된 유제를 물을 사용하여 예정된 희석률로 희석시킨 후,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ULV 분무기를 이용하여 각 식물의 잎 위에 5ℓ/아르씩 분무한다. 제초제 분무후 제30일째 되는 날에, 잡초에 끼친 영향을 관찰한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냈고, 그 표에서, 각 Ea는 제초제를 혼합했을 때의 제초활성의 사실상의 측정값을 의미한다.
각 Ec는 Collby등 [Colby, S.R., Weed 15, 20-22(1967)]이 제안한 하기의 계산식에 따라 계산된 제초활성의 기대값이다. Ea>Ec는 상승 작용의 존재를, Ea<Ec는 길항작용의 존재를 의미한다.
Figure kpo00030
Ec : 성분 I 및 성분 II가 혼합되었을 때 기대되는 성장억제율(%)
Ex : 성분 I만으로 처리했을 때 기대되는 성장억제율(%)
Ey : 성분 II만으로 처리했을 대 기대되는 성장억제율(%)
[표 8]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Figure kpo00043
Figure kpo00044
[실험 8]
혼합제제를 이용한 사진 경엽 산포처리 실험
수지로 제조된 1/10000-아르 폿트들을 산지 토양으로 채운다. 래드룻 픽위드 및 존스그래스 등의 종자를 개별적으로 뿌리고 온실에서 발아시킨다. 각 식물이 2-3 엽기로 들어섰을 때, 제제 예 16에 기술된 방법대로 2종의 실험 화합물을 예정량 사용하여 농도 기울기(concetration gradient)에 따라 제조된 유제들을 물을 사용하여 예정 희석률로 희석시킨 후,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ULV 분무기를 이용하여 각 식물의 잎 위에 5ℓ/아르씩 분무한다. 제초제 분무 후 제40일 되는 날, 잡초들에 끼치는 영향을 관찰한다.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그 표에서 Ea 및 Ec는 표7에 정의된 바와 같고, Ea>Ec는 상승작용의 존재를, Ea/Ec는 길항 작용의 존재를 의미한다.
표7 및 8에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상승하는 광합성 억제 제초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때, 광엽 잡초 및 포아풀과 잡초에 대한 경엽 산포처리에서 높은 상승적 효과를 나타내고, 그 활성은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약 10배 정도 증가한다. 그것들은 세톡시딤이 보여주는 길항 작용, 블라저(blazer)가 보여주는 길항 작용 및 첨가 작용(additive action)중 어느 현상도 보여주지 않는다.
[표 9]
Figure kpo00045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Figure kpo00048
Figure kpo00049
Figure kpo00050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5
Figure kpo00056
Figure kpo00057
Figure kpo00058
Figure kpo00059
Figure kpo00060
Figure kpo00061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Figure kpo00064
Figure kpo00065
Figure kpo00066
[실험 9]
산지 경엽 산포처리에서 혼합제제의 고속-작용(fast-acting)성질에 관한 실험
수지로 제조된 1/10000-아르 폿트들을 산지 토양으로 채운다. 레드룻 픽위드, 존슨그래스 및 반야드그래스 등의 종자를 개별적으로 뿌리고 온실에서 발아시킨다. 각 식물이 2-3엽기로 들어섰을 때, 제제 예 16에 기술된 방법대로 실험 화합물만을 예정량 사용하여 제조된 유제 및 다른 제초제들과의 혼합물을 예정량 사용하여 제조된 유제를 각각 물에 사용하여 예정 희석률로 희석시킨후, 압력에의해 작동되는 ULV 분무기를 이용하여 각 식물의 잎 위에 5ℓ/아르 씩 분무한다. 제초제 분무후 제7일, 제14일, 제21일 및 제35일 되는날, 잡초들에 끼치는 영향을 관찰했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표 10]
Figure kpo00067
Figure kpo00068
Figure kpo00069
Figure kpo00070
Figure kpo00071
그 표에서, 각 실험 식물들에 대한 피해정도 및 농작물의 피해정도는 실험 2과 같은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의 결과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제초현상이 30-50일 정도후에 나타나지만, 다른 제초제와 배합하여 사용할 때는 7일 후에 제초현상이 나타남을 보여준다.

Claims (8)

  1.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 :
    Figure kpo00072
    여기서, R은 수소 :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저급 할로알케닐기,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또는 페닐-치환 저급 알키닐기 ; 또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기
    Figure kpo00073
    여기서, R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 m 및 n은 개별적으로 0-2 및 m이 2일 때, X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수 있다.
  2. 제1항의 피리미딘 유도체에 있어서, 일반식[I]의 R이 저급 알케닐기인 화합물.
  3. 제1항의 피리미딘 유도체에 있어서, 일반식[I]의 R이 저급 할로알케닐기인 화합물.
  4. 제1항의 피리미딘 유도체에 있어서, 일반식[I]의 R이 치환 또는 무치환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인 화합물.
  5.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
    Figure kpo00074
    여기서, R은 수소 :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저급 할로알케닐기, 사이클로 알킬기, 치환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또는 페닐-치환 저급 알키닐기 ; 또는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것 :
    Figure kpo00075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저급알킬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 m 및 n은 개별적으로 0-2, m이 2일 때, X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수 있으며, 이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76
    과 하기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Figure kpo00077
    여기서 R은 일반식[I]에 정의된 바와 같다.
  6.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 :
    Figure kpo00078
    여기서, R은 수소 :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저급 할로알케닐기,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페닐-치환 저급 알키닐기 ; 또는 하기 일반식[I]으로 표시되는 기 :
    Figure kpo00079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 m 및 n은 개별적으로 0-2 및 m이 2일 때, X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수 있으며, 이 화합물은 하기의 a),b)에 의해 : a) 하기 일반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80
    과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실아민 술포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실아민 옥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하이드록실아민이 반응하여, 하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형성하고 :
    Figure kpo00081
    b)일반식[IV]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일반식[V]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반응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kpo00082
    여기서 R은 일반식([I]에 정의된 바와같고, Y는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7. 활성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를 함유하는 제초제 :
    Figure kpo00083
    여기서, R은 수소 :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저급 할로알케닐기,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또는 페닐-치환 저급 알키닐기 ; 또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것 :
    Figure kpo00084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저급 알킬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 m 및 n은 개별적으로 0-2 및 m이 2일 때, X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수 있다.
  8. 활성성분으로서 하기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 : a)하기일반식[I]로 표시되는 피리미딘 유도체 :
    Figure kpo00085
    여기서, R은 수소 :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키닐기,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저급 할로알케닐기, 사이클로 알킬기, 치환 페닐-치환 저급 알케닐기 또는 페닐-치환 저급 알키닐기 ; 또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것 :
    Figure kpo00086
    여기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콕시기, m 및 n은 개별적으로 0-2 및 m이 2일 때, X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 그리고 b)하기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화물 : b-1)하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87
    여기서 R2는 이소프로필기 또는 2-시아노-1-메틸에틸기, R3은 메틸기, 에틸기 또는 이소프로필기 및 X1은 염소 또는 메틸티오기, b-2)하기일반식[VII]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88
    여기서 R4는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 X2는 3-트리플루오로 메틸기, 3,4-디클로로기 또는 4-이소프로필기, b-3)하기 일반식[VIII]로 표시된 화합물 :
    Figure kpo00089
    여기서 R5는 에틸기, n-프로필기, α-메틸부틸기 또는 2-메틸펜테닐기, X3는 3,4-디클로로기 또는 3-클로로-4-이소프로필기, b-4)하기 일반식[IX]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
    Figure kpo00090
    여기서 R6는 수소 또는 메틸기 또는 에틸기, R7은 메톡시메틸기, 부톡시메틸기, 이소프로필기 또는 2-메톡시-1-메틸에틸기, b-5)4-아미노-6-tert-부틸-3-메틸티오-1,2,4-트리아진-5(4H)-온, b-6)3-이소프로필-1H-2,1,3-벤조티아디아딘-(4)-3H-온-2,2-디옥사이드 및 b-7)2-(1-나프탈에닐아미노카보닐) 벤조산.
KR1019890018938A 1988-12-19 1989-12-19 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 및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의 조성물 KR920000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848488 1988-12-19
JP63-318484 1988-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611A KR900009611A (ko) 1990-07-05
KR920000896B1 true KR920000896B1 (ko) 1992-01-30

Family

ID=1809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938A KR920000896B1 (ko) 1988-12-19 1989-12-19 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 및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의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4986846A (ko)
EP (1) EP0374839A1 (ko)
JP (1) JPH02262565A (ko)
KR (1) KR920000896B1 (ko)
CN (1) CN1043707A (ko)
AR (1) AR246260A1 (ko)
AU (1) AU612294B2 (ko)
BR (1) BR8906576A (ko)
CA (1) CA2005783A1 (ko)
ZA (1) ZA8996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8907484D1 (de) * 1988-06-16 1994-05-26 Basf Ag Salicylsäurederivate und deren Schwefelanaloge.
US5125957A (en) * 1989-11-01 1992-06-30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yrimidine derivatives
PH27460A (en) * 1989-12-28 1993-07-09 Kumiai Chemical Industry Co Pyrimidine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4979982A (en) * 1990-02-02 1990-12-25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Herbicidal cinnamic ester uracils
DE4033808A1 (de) * 1990-04-11 1991-10-17 Bayer Ag Naphthalinderivate
US5298632A (en) * 1990-05-15 1994-03-2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Herbicidal pyrimidine compounds,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use
JPH04235171A (ja) * 1990-07-26 1992-08-24 Sumitomo Chem Co Ltd スルホヒドロキサム酸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US5232897A (en) * 1990-05-15 1993-08-0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Herbicidal pyrimidine compounds,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 of use
DE4037003A1 (de) * 1990-05-30 1991-12-05 Bayer Ag Substituierte azine
AU638840B2 (en) * 1990-07-05 1993-07-0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yrimidine derivative
DE4025338A1 (de) * 1990-08-10 1992-02-13 Bayer Ag Substituierte pyridine
AU635453B2 (en) * 1990-12-17 1993-03-18 Mitsui Toatsu Chemicals Inc. Benzaldehyde acetal compounds,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nd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s
GB9102423D0 (en) * 1991-02-05 1991-03-20 Ciba Geigy Ag Pryimidinyl-and triazinylsalicyl-and-picolinylaldehyde derivatives
DE4211610A1 (de) * 1992-04-07 1993-10-14 Bayer Ag Substituierte Azine
US5541148A (en) * 1992-07-08 1996-07-30 Ciba-Geigy Corporation Selective safened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2-ethoxycarbonyl-3-(4,6-dimethoxypyrimidine-2-yl) oxy-pyridine and an acylsulfamoylphenyl-urea safener
AU4562093A (en) * 1992-07-08 1994-01-31 Ciba-Geigy Ag Selective herbicidal composition
US5494888A (en) * 1993-01-27 1996-02-27 Lucky Ltd. 6-chloro-2-(4,6-dimethoxypyrimidin-2-yl)oxybenzoic acid imino ester derivatives,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a method for their application as herbicides
JPH0753528A (ja) * 1993-08-12 1995-02-28 Nippon Bayeragrochem Kk シアノ含有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除草剤
US5486521A (en) * 1994-03-21 1996-01-23 Uniroyal Chemical Company, Inc. Pyrimidinyl aryl ketone oximes
DE19632424A1 (de) * 1996-08-12 1998-02-19 Hoechst Schering Agrevo Gmbh Synergistische Wirkstoffkombinationen zur Bekämpfung von Schadpflanzen in Nutzpflanzenkulturen
CN1273021C (zh) * 2003-07-04 2006-09-06 浙江化工科技集团有限公司 含丙酯草醚或异丙酯草醚的油菜田除草剂组合物
EP2017264A1 (de) * 2007-07-16 2009-01-21 Bayer Cropscience Ag Substituierte Phenylpropargylverbindung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Herbizide und Pflanzenwachstumsregulatoren
CN105272924B (zh) * 2013-07-22 2016-08-17 金坛市信德农业科技有限公司 具有除草活性的氟嘧啶草醚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188244A (en) * 1977-09-13 1981-04-24 Ici Australia Ltd 2-substituted pyrimidines compositions growth regulating processes
JPS54117486A (en) * 1978-03-03 1979-09-12 Sankyo Co Ltd 2-phenoxypyrimidine derivative
US4347372A (en) * 1978-09-01 1982-08-31 Ciba-Geigy Corporation Benzoxazolyl-glyoxylonitrile-2-oxime ether derivatives
GR77569B (ko) * 1982-09-02 1984-09-24 Ici Australia Ltd
JPS59227866A (ja) * 1983-06-08 1984-12-21 Mitsui Toatsu Chem Inc 2,4−ジアルコキシ−6−ヒドロキシピリミジン類の製造法
EP0223406B1 (en) * 1985-10-15 1990-08-29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Pyrimidine derivatives and herbicidal uses thereof
JPH082883B2 (ja) * 1986-06-06 1996-01-17 クミアイ化学工業株式会社 2−フエノキシピリミジン誘導体および除草剤
DE3854099T2 (de) * 1987-04-14 1996-04-04 Kumiai Chemical Industry Co 2-Phenoxy-pyrimidin-Derivate und herbizide Zusammensetzung.
EP0287079B1 (en) * 1987-04-14 1994-10-12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2-Phenoxypyrimidine derivatives and herbicida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246260A1 (es) 1994-07-29
AU4694189A (en) 1990-06-21
ZA899634B (en) 1990-09-26
KR900009611A (ko) 1990-07-05
JPH02262565A (ja) 1990-10-25
AU612294B2 (en) 1991-07-04
US4986846A (en) 1991-01-22
BR8906576A (pt) 1990-09-04
CA2005783A1 (en) 1990-06-19
US5053070A (en) 1991-10-01
CN1043707A (zh) 1990-07-11
EP0374839A1 (en) 1990-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896B1 (ko) 피리미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 및 다른 활성성분과 함께 그를 함유하는 제초제의 조성물
KR960007527B1 (ko) 피리미딘유도체, 그의 제조공정, 제초방법 및 제초 조성물
HU188525B (en) Herbicidal preparations containing tetrahydrophthalimide derivative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 active substance
RU2669394C2 (ru) Производное замещенного пиразолилпиразол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гербицида
TWI647218B (zh) 經取代之吡唑吡唑衍生物及其作爲除草劑的用途
RU2670439C2 (ru) Производное замещенного пиразолилпиразол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гербицида
CA1225399A (en) Carbamoyltriazoles, and their production and use
CZ279334B6 (cs) Prostředek k potlačování škůdců
KR910001130B1 (ko) 벤조트리아졸의 제조방법
RU2056413C1 (ru) Иминотиазолины,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уничтожения нежелательных сорняков
US4740230A (en) Triazine derivatives, and herbicides containing the derivatives as the effective component
RU2692792C2 (ru) Производное замещенного пиразолилпиразол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гербицида
TWI647217B (zh) 經取代之吡唑吡唑衍生物及其作爲除草劑的用途
CN115363031B (zh) 一种含有Lancotrione-钠盐和敌稗的除草剂组合物
KR940005023B1 (ko) 벤즈알데하이드 아세탈 화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활성성분으로서 이를 포함하는 제초제 조성물
RU2702162C2 (ru) Производное замещенного пиразолилпиразол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гербицида
KR910001439B1 (ko) 2-치환페닐-4,5,6,7-테트라히드로-2h-이소인돌-1,3-디온의 제조방법
CA1317972C (en) 2-nitro-5-(substituted phenoxy) benzohydroximic acid derivatives
KR100545784B1 (ko) 제초활성을 가지는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계화합물
JPH07179420A (ja) 3−ピロリン−2−オン誘導体、およびこれらを含有することを特徴とする除草剤
JPH03193766A (ja) ピリミジン誘導体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除草剤
JP2003048886A (ja) ピリジ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JPH03232881A (ja) ピリジルオキシピリミジン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JPH04342574A (ja) アリールアルデヒドヒドラゾン誘導体とその製造法及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除草剤
HUT70686A (en) Naphtol derivativ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herb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