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932Y1 - 차대 격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대 격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932Y1
KR910007932Y1 KR2019870008353U KR870008353U KR910007932Y1 KR 910007932 Y1 KR910007932 Y1 KR 910007932Y1 KR 2019870008353 U KR2019870008353 U KR 2019870008353U KR 870008353 U KR870008353 U KR 870008353U KR 910007932 Y1 KR910007932 Y1 KR 910007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hassis
vertical direction
suppor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583U (ko
Inventor
가즈마사 오오구라
가즈오 사이또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아까즈 노부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610671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3195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56156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62410U/ja
Priority claimed from JP1649908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71359U/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아까즈 노부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65G1/12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the circuit being confined in a vertic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대 격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차대격납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난 차대격납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난 차대격납장치의 횡단면도.
제4도는 승강기구를 나타내는 선도.
제5도 a∼g는 트레일러 차대를 격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선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측면도.
제8도는 제7도와 유사하며, 작동바가 아래로 이동되어 핀이 기둥안으로 후퇴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조물 2, 208 : 팰리트
3 : 지지부재 5 : 가이드부재
6 : 훅 8 : 승강기
9, 9a, 204, 204-1, 204-2, 204-3, 204-4, 205-5, 206-6 : 활차
10, 207, 207-1, 207-2, 207-3 : 와이어
11 : 승강빔 14, 115 : 구동장치
15, 113 : 스프로켓 16 : 체인
101 : 기둥 102 : 작동바
103 : 팰리트지지핀 105 : 경사슬로트
110 : 승강/구동기구 111 : 평기어
112 : 기어 114 : 엔드리스체인
202 : 프레임어셈블리 205 : 유압실린더
206 : 포오크형 단부 209 : 축
본 고안은 트레일러 차대와 같은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구에서는, 수많은 대형콘테이너가 하역된다. 하역된 이들 대형 콘테이너들은 트랙터에 연결된 트레일러차 대위에 놓인다. 콘레이너가 트랙터에 의해 소정의 운반된 후, 포오크리프트 트럭을 사용하여 임시저장소에 콘테이너를 쌓아 올린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쌓아 올리는 트레일러차대의 대수가 한정되므로, 많은 공간이 소비된다. 특히, 항구도시에서는, 다량의 콘테이너를 쌓아올리기 위해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안의 목적은 트레일러차대와 같은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 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공간을 절약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레일러 차대와 같은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쉽고 빠른 팰리트적재를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트레일러 차대와 같은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보관 및 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구조물과 팰리트지지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이 팰리트지지기구는, 승강/회전기구를 개재하여 구조물에 매달려 있는 길이가 긴 복수의 가이드부재와, 팰리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훅과, 훅에 직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훅에 의해 지지된 팰리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진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재로 이루어져 있는,트레일러차대와 같은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팰리트를 승강하여, 차대를 수직공간에 격납하므로서 한 사이클의 작동이 달성된다.
복수의 팰리트를 사용하여 격납을 빠르고 쉽게함으로써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한 사이클의 작동은 지지부재의 내향운동, 길이가 긴 가이드부재와 훅의 하향운동 및 회전운동, 지지부재의 외향운동, 긴가이드부재와 훅의 상향운동으로 이루어진다. 역사이클동안의 작동은 팰리트와 같이 차대를 순차로 하강하여 구조물밖으로 차대를 반출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물과 팰리트지지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이 팰래트지지기구는, 복수의 기둥과, 복수의 기둥을 따라서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의 경사슬로트를 가지는 작동바와, 각 컬럼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바의 경사슬로트에 개재하여 각 기둥으로부터 전진하거나 상기 기둥안으로 후퇴하도록 안내되는 복수의 팰리트지지핀과, 복수의 작동바를 작동하도록 접속된 승강/구동기구로 이루어져 있는, 트레일러차대와 같은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장치를 제공 한다.
팰리트 지지핀의 측면운동은 작동바와 작동바에 형성된 경사슬룻 개재하여 원활하고 확실하게 달성한다. 또한, 상기 배열은 팰리트를 확실하게 지지하므로써, 장치의 작동능력을 개선하다.
또한, 본 고안은, 프레임 어셈블리와, 프레임어셈블리내에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팰리트를 이동시키는 단일 구동장치와, 상기 프레임어셈블리의 네개의 코너상에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상기 팰리트를 승강 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와이어 또는 체인을 안내하는 복수의 활차와, 상기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율 구비하여, 트레일러차대와 같은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구동장치의 작동에 의해서 복수의 와이어 또는 체인을 동시에 이동하여 팰리트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단 하나의 구동장치만 사용되어도 보관과 점검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이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되는 설명으로 명백해진다.
제1도∼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구조물(1)과 팰리트 지지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이 팰리트 지지기구는 승강/회전 기구를 개재하여 구조물(1)에 매달려 있는 길이가 긴 복수의 가이드부재(5)와, 팰리트(2)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부재(5)에 부착되어 있는 훅(6)과, 상기 훅(6)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훅(6)에 의해 지지된 팰리트(2)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진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회전기구에 대해서 각각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승강기구는 구조물(1)의 하부양쪽에 배치된 유압실린더와 같은 승강기(8)와, 승강기(8)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활차(9a),활차(9a)와 복수의 활차(9)의 둘레를 부세하여 통과하는 와이어(10)와, 와이어(10)의 양쪽끝을 고정시킨 승강빔(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빔(11)은 구조물(1)의 상부 근처에 매달려 있다.
회전기구는, 승강빔(11)의 네코너에 각각 설치된 네개의 스프로켓(15)과, 스프로켓(15) 둘레에 물려있는 체인(16)과, 체인(16)을 통하여 스프로켓(15)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4)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부재(5)는, 승강빔(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스프로켓(15)에 고정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각각의 팰리트(2)는, 팰리트의 코너에서 가이드부재(5)와 훅(6)이 삽입할 수 있는 4개의 수용부재(13)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회전기구에 의하여 가이드부재(5)가 90°회전될 경우, 훅(6)을, 팰리트(2)를 지지하기 위해 수용부재(13)의 아랫면과 결합되도록, 회전시킨다.
팰리트지지기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지지부재(3)는, 길이가 긴 4개의 지지 부재(2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고, 훅(6)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다.
길이가 긴 지지부재(20)를 회전수단(21)에 의해 90°회전할 경우, 지지부재 (3)를 팰리트(2)의 4개의 코너아래로 회전시킨다.
제2도와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장치(12)는 구조물(1)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부재(3)의 최상단으로 팰리트(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구조물(1)의 하부에 놓여진 팰리트(2)는 승강장치(12)에 의해 올린다음, 팰리트(12)를 지지하기 위하여 길이가 긴 지지부재(20)를 회전수단(21)에 의해 팰리트(2)의 코너아래로 회전 시킨다.
승강기(8)를 길이 L 만큼 작동하여 활차(9a)를 승강시킴으로써, 승강빔(11)은 가이드 부재(5)와 최하단 훅(6)이 수용부재(13)안으로 삽입되도록 낮추어진다. 다음에, 스프로켓(15)중 하나를 구동장치(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함으로써 다른 스프로켓(15)과 체인(16)을 회전시킨다. 스프로켓과 체인을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부재(5)와 훅(6)을 회전하게 하여 훅(6)을 수용부재(13)에 결합하게 한다. 이와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트레일러차대를 제5도 a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팰리트(2)위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길이가 긴 지지부재(20)는 제5도 b에 나타난 바와같이 팰리트(2)로부터 지지부재(3)가 후퇴하도록 회전된다. 승강기(8)는 길이 L 만큼 활차(9)가 낮아지도록 다시 작동함으로써 가이드부재(5)와, 팰리트(2) 및 트레일러차대를 제5도 c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승강시킨다. 제5도 d와 e에 나타난 바와같이, 승강 장치(12)는 팰리트(2)가 더 올라가도록 작동한 다음, 가이드부재(5)를 팰리트의 하부에서 팰리트(2)로 삽입시키고, 상기 구동장치(14)를 가지는 회전기구에 의해서 훅(6)을 회전시켜 팰리트(2)를 지지한 상태로 접속한 다음, 회전수단(21)에 의하여 길이가 긴 지지부재(20)를 회전시켜 팰리트(2)를 지지하도록 팰리트(2)의 아래로 지지부재(3) 회전시킨다. 다음에, 제5도 f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구동장치(14)를 가지는 회전기구에 의해서 훅(6)을 회전시켜 팰리트(2)를 지지한 상태를 해제시키고 지지부재(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접속된다. 제5도 g에 나타난 바와같이, 저단 팰리트(2)상에 트레일러 차대(a)를 배치한 다음, 저단 팰리트(2)와 트레일러 차대(a)는 최저단 훅(6)에 의해 지지되어 올라간다.
상기 사이클 동안의 작동하에서는, 다수의 트레일러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구조물(1)에 격납한다. 필요할 경우,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빈콘테이너를 차대위에 적재할 수 있다.
역사이클 동안의 작동은 팰리트와 같이 트레일러 차대(a)를 하강하여 구조물(1)밖으로 트레일러 차대를 반출시킨다.
제6도∼제8도는 상기한 복수의 차대격납장치에 이용되는 팰리트 지지기구에 관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제9도는 상기한 복수의 차대격납장치에 이용되는 특정의 구동장치에 관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서로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을 설명하지 않는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101)은, 복수의 팰리트 지지핀(103)을 안내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보스(106)를 가지는 4개이상의 기둥(제1도에서 제5도까지 나타난 제1실시예에서 길이가 긴 지지부재(20)에 대응함)을 나타낸다.
작동부(102)는 각각의 기둥(101)을 따라 인접하여 연장되어있고, 기둥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각각의 작동부(102)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복수의 경사슬롯(105)을 가지고 있으며, 팰리트지지핀(103)의 베이스단에 고정된 핀(107)을 느슨하게 끼워있다.
상기와 같이 배열한 상태에서, 작동바(102)를 수직으로 이동할 경우 핀(107)이 경사슬로트(105)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팰리트 지지핀(103)이,제7도 및 제8도에 상세하게 나타난 바와같이 기둥(101)으로부터 전진하거나 상기 기둥안으로 후퇴한다. 작동부(102)는 아래 상세하게 설명되는 승강/구동기구(110)에 작동하도록 접속 되어 있다.
승강/구동기구(110)는, 작동바(102)의 상단부에 설치된 평기어(111)와, 평기어에 맞물리는 기어(112)와, 각각의 기어(112)에 동측으로 배열된 스프로켓(113)과, 스프로켓(113)를 부세하여 통과하는 엔드리스 체인(114)과, 엔드리스체인(114)에 각각 구비된 구동장치(115)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112)와 스프로켓(113)은 소정의 알맞는 수단으로 기동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배열하여, 체인(114)을 구동장치(115)에 의하여 화살표시의 양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작동바(102)를 스프로켓(113), 기어(112) 및 평기어(111)을 통하여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작동할 경우, 구동장치(115)에 의하여 먼저 화살표시의 양방향으로 체인(14)을 회전시킨다. 이와같이 회전 함으로써 스프로켓(113)과 기어(112)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평기어(111)와 기어(112)가 맞물려 결합하여 작동바(102)를 올리거나 내린다. 작동바(102)의 상하향 운동에 의해, 팰리트지지핀(103)은 기동(120)의 보스(106)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경사슬로트(105)을 통하여 측면의 안쪽으로 또는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특히, 작동바를 올릴 경우, 팰리트 지지핀(103)은 제7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팰리트지지핀 위에 있는 팰리트를 지지하도록 기둥으로부터 전진한다. 작동바(102)를 내릴 경우, 팰리트 지지핀(103)은 제8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기둥(101)안으로 후퇴한다. 이상태에서는, 팰리트는 격납고에서 수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팰리트지지핀(103)은 기둥(101)의 보스(106)에 의해 안내되고, 고정핀(107)은, 경사 슬롯(105)에 의해 안내되어 작동바(102)와 동시에 이동하므로써, 유연하게 팰리트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9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아래 설명한다.
(201)은 적재된 트레일러 차대를 나타낸다. (202)는 복수의 브래키트(203)를 4개의 코너위에 설치하는 프레임 어셈블리(202)(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난 구조물(1)에 대응함)를 나타낸다. 각 브래키트(203)는 활차(20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단일 구동장치는 프레임 어셈블리(202)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압 실린더(205), 포오크형단부(206) 및 측(209)으로 구성되어 있다. 와이어(207)의 한쪽 끝은 축(209)에 부착 되고, 와이어 (207)의 다른쪽 끝은 팰리트(208)에 부착된다. (편의상 하나의 팰리트만 제9도에 나타나있다. )
각 와이어(207), (207-1), (207-2) 및 (207-3)의 한쪽 끝은, 팰리트(208)의 4개로 코너에 각각 부착된다. 와이어 (207), (207-1), (207-2) 및 (207-3)의 다른쪽 끝은, 브래키트(203)에 의해 지지되는 활차(204)를 통하여 포오크형 단부(206)의 축(209)에 부착된다.
와이어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 하게 아래 설명한다.
와이어(207)의 한쪽 끝은 팰리트구멍(208a)에 부착되고, 와이어의 다른쪽 끝은 활차(204)를 통하여 축(209)에 부착된다.
와이어 (207-1)의 한쪽 끝은 팰리트구멍(208b)에 부착되고, 와이어의 다른쪽 끝은 활차(204-1), (204-2)를 통하여 축(209)에 부착된다.
와이어(207-2)의 한쪽끝은 팰리트구멍(208c)에 부착되고, 와이어의 다른쪽 끝은, 활차(204-3), (204-4)를 통하여 축(209)에 부착된다.
와이어(207-3)의 한쪽 끝은 팰리트구멍(208d)에 부착되고, 와이어의 다른쪽 끝은, 활차(204-5), (204-6)을 통하여 축(209)에 부착된다.
제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상기 활차(204-2), (204-4), (204-6)는 유압실린더(205)와 포오크형단부(206)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부하는, 포오크형단부(206)를 경유하여 단일유압실린더(205)에 의해 지지되는 4개의 와이어에 동일하게 걸리고, 또한 복수의 와이어(207), (207-1), (207-2) 및 (207-3)를 단일유압실린더(205)의 작용에 의해 팰리트(208)를 올리기 위하여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된 등록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3)

  1. 구조물(1)과, 팰리트지지기구(5),(6),(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팰리트지지기구는, 승강/회전 기구(8)(9a)(9)(10)(11), (15)(16)(14)를 개재하여 구조물(1)에 매달려 있는 길이가 긴 복수의 가이드 부재(5)와, 팰리트(2)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 방향의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부재(5)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훅(6)과, 상기 훅에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훅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리트(2)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진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부재(3)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차대격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구조물(1)과, 팰리트지지지기구(101), (102), (103), (110)로 되어 있고, 상기 팰리트지지 기구는, 복수의 기둥(101)과, 복수의 기둥(101)을 따라서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복수의 경사슬로트(105)를 가지는 복수의 작동부(102)와, 각 기둥(101)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바(102)의 경사슬로트(105)에 개재하여 각 기둥(101)으로부터 전진하거나 상기 각 기둥으로부터 후퇴하도록 안내되는 복수의 팰리트 지지핀(103)과, 상기 복수의 작동바(103)를 작동하도록 접속된 승강/구동 기구(110), (111)(112)(113)(114)(115)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차대격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어셈블리(202)와, 프레임어셈블리내에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팰리트(208)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205), (206), (209)와, 상기 프레임어세블리(202)의 네개의 코너상에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팰리트(28)를 승강 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와이어(207), (207-1), (207-2), (207-3) 또는 체인을 안내하는 복수의 활차(204), (204-1), (204-2), (204-3), (204-4), (204-5), (204-6)와, 상기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차대를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격납하는 차대격납장치.
KR2019870008353U 1986-07-14 1987-05-28 차대 격납장치 KR9100079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106712U JPH0431954Y2 (ko) 1986-07-14 1986-07-14
JP86-106712 1986-07-14
JP86-156156 1986-10-14
JP15615686U JPS6362410U (ko) 1986-10-14 1986-10-14
JP16499086U JPS6371359U (ko) 1986-10-29 1986-10-29
JP86-164990 1986-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583U KR880002583U (ko) 1988-04-09
KR910007932Y1 true KR910007932Y1 (ko) 1991-10-10

Family

ID=2731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353U KR910007932Y1 (ko) 1986-07-14 1987-05-28 차대 격납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26384A (ko)
KR (1) KR910007932Y1 (ko)
GB (1) GB2192623B (ko)
HK (1) HK8691A (ko)
SG (1) SG100390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17766B (it) * 1988-06-02 1990-03-30 Meschi Ind Grafica Carrello automatico di servizio per muovere o trasportare pacchi di materiale in fogli e suo metodo di funzionamento
US4952118A (en) * 1988-09-08 1990-08-28 Rnmac Services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storage of wheeled trailer frames in horizontal stacks
US5035562A (en) * 1990-01-09 1991-07-30 Park Plus Corporation Tri-level vehicular parking apparatus
US5145304A (en) * 1990-11-14 1992-09-08 Park Plus Corporation Height adjustable vehicle parking apparatus
US5425442A (en) * 1993-01-13 1995-06-20 Howard M. Lawn Drive system for a vertical storage conveyor
US5374149A (en) * 1993-01-13 1994-12-20 Computower Technologies, Corp. Vertical storage conveyor with symmetrical motor drive system
DE4338717A1 (de) * 1993-11-12 1995-05-18 Siemag Transplan Gmbh Automatische Park- und Lager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5551831A (en) * 1995-03-29 1996-09-03 Chassis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ing a cargo container chassis for storage
TW406161B (en) * 1997-09-19 2000-09-21 Miyoshi Iron Works Co Ltd Parking device
US6241048B1 (en) * 1999-11-16 2001-06-05 Joseph John Heilmann Storage platform and lift apparatus
US6726438B2 (en) * 2001-08-23 2004-04-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hassis stacking
US20050207103A1 (en) * 2004-03-19 2005-09-22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bulk shipping density of partially assembled computer chassis
CN100528636C (zh) * 2004-04-06 2009-08-19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运输半挂车底盘的集装箱的装载方法
DE102005023088B3 (de) * 2005-05-13 2006-06-22 Grammer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derung eines Fahrzeugsitzes mittels Zusatzvolumina
US20070009337A1 (en) * 2005-06-24 2007-01-11 Mohammed Mahmood Composite dunnage bar system
US20070264097A1 (en) * 2006-05-11 2007-11-15 Progressive Rail Systems and methods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freight and dunnage on railcars
US20080206025A1 (en) * 2007-02-23 2008-08-28 Aaron Berger Garage for multi-level parking of cars
US8075237B2 (en) * 2008-11-12 2011-12-13 Pflow Industries, Inc. Multi-level vehicle lift
US9574363B1 (en) 2011-07-01 2017-02-21 Mi-Jack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chassis
US9505555B2 (en) 2011-07-01 2016-11-29 Mi-Jack Products, Inc. Chassis stacker
US9266674B2 (en) 2013-04-22 2016-02-23 Vidir Machine Inc Vertical stora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7146A (en) * 1940-10-22 1941-06-24 Baldwin Delavan Munson Vessel for the transport of vehicles
US2247144A (en) * 1941-04-04 1941-06-24 Baldwin Delavan Munson Vessel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US2687222A (en) * 1951-02-19 1954-08-24 August W Wahler Structure for parking automobiles
US2864515A (en) * 1954-04-19 1958-12-16 John R Mckinley Automobile parking apparatus
FR1371832A (fr) * 1963-06-14 1964-09-11 Motobecane Ateliers Garage à étages multiples, pour véhicules automobiles
US3236577A (en) * 1963-07-22 1966-02-22 Sperry Rand Corp Article carrying conveyor driven equipment
US3294260A (en) * 1964-09-11 1966-12-27 John W Erangos Storage system
US3490610A (en) * 1965-09-20 1970-01-20 Standard Alliance Ind Automatic frame stacking device
SU540779A1 (ru) * 1972-04-24 1976-12-30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N3 Министерства Автомоби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сср Конвейер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перегруз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JPS5935806B2 (ja) * 1980-07-11 1984-08-30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物品の積み重ね方法および装置
US4549663A (en) * 1983-02-16 1985-10-29 Scott S. Corbett, Jr. Storage system for trailer frames
US4611962A (en) * 1984-03-22 1986-09-16 Braly John L Container chassis bundling system
US4650381A (en) * 1985-07-30 1987-03-17 Durkin Robert O Trailer chassis assembly for holding stacked chassis
JPS62130908A (ja) * 1985-11-29 1987-06-13 Mitsubishi Heavy Ind Ltd 車台格納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00390G (en) 1991-02-14
US4826384A (en) 1989-05-02
GB2192623A (en) 1988-01-20
GB2192623B (en) 1990-08-01
HK8691A (en) 1991-02-01
GB8709282D0 (en) 1987-05-20
KR880002583U (ko) 198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932Y1 (ko) 차대 격납장치
US5611422A (en) Materials carrying apparatus
US4274789A (en)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pallets from vans
KR20020082171A (ko) 겐트리크레인
JP4727069B2 (ja) 自動倉庫及びその移載装置
GB1573571A (en) Three-dimensional automatic warehouse equipment
JPH0810568Y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2597305B2 (ja) 立体格納庫およびその立体格納庫における昇降装置
JP2906310B2 (ja) 多段式回転棚用荷の移載機
US3494488A (en) Overhead crane and article handling storage system
JPH0776404A (ja) コンテナ格納庫及びこれに用いるコンテナ移載装置
JPH0818648B2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の一時保管・搬入設備
JPH07269149A (ja) 上部乗込み型垂直循環式駐車装置
JP2782304B2 (ja) バケット移載方法
JP2649183B2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KR910007448Y1 (ko) 선박운송된 콘테이너의 적재및 반출장치
JP2996790B2 (ja) 格納装置
JPH03172207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0348678B1 (ko) 물품 자동 이송장치 및 방법
JPH10278881A (ja) 舟艇搬送用のリフタと、それを使用する立体駐艇装置
SU308932A1 (ru) Стеллаж для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хранения и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выдачи грузов
JPH1018634A (ja) コンテナ用シャーシ貯蔵装置
JP2019218820A (ja) ユニット式格納設備
JPH04238971A (ja) 立体式格納装置
JP2004083196A (ja) 棚受出退式ドライブイン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