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684B1 -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684B1
KR910007684B1 KR1019880011135A KR880011135A KR910007684B1 KR 910007684 B1 KR910007684 B1 KR 910007684B1 KR 1019880011135 A KR1019880011135 A KR 1019880011135A KR 880011135 A KR880011135 A KR 880011135A KR 910007684 B1 KR910007684 B1 KR 91000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ime
thermal head
image data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051A (ko
Inventor
노부히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90006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25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 H04N1/40031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for a plurality of reproducing elements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68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 H04N1/4015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of the reproducing hea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동일한 화상데이터가 2라인씩 반복해서 기록되는 동작모우드에서 감열기록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
제2도는 써멀헤드발열체가 복수라인분 연결되어 발열구동되는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제3도는 써멀헤드의 온도추이에 대한 기록펄스의 펄수폭 설정예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기록제어장치의 1실시예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써멀헤드의 내부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6도 및 제8도는 각각 제4도에 나타낸 펄스발생기에서 발생된 펄스에 따라 발열체에 공급되는 기록에너지의 변화상태를 나타낸 타이밍챠트.
제7도 및 제9도는 각각 제4도에 나타낸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써멀헤드발열체가 복수라인분 연결되어 발열구동되는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온도변화를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써멀헤드부 11 : 발열체어레이,
12 : 온도센서 13 : 시프트레지스터,
14 : 앤드게이트어레이 15 : 구동어레이,
20 : A/D변환기 30 : 기록제어부,
40 : 화상데이터전송용 클럭발생기 50 : 카운터,
60 : 펄스폭 메모리 70 : 펄스발생기
[적용분야]
본 발명은 팩시밀리등에 기록장치로 이용되는 감열기록장치의 감열기록상태를 제어하는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를 부주사방향으로 복수라인씩 반복기록해서 필요한 화상을 얻는 감열기록장치에 적합한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예컨대, 팩시밀리의 기록장치로 이용되는 감열기록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노말모드(normal mode)"라고 불리우는 어떤 특정동작모우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라인(통상 2라인)씩의 반복기록이 실행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예컨대 발연체크기가 부주사방향으로 7.7라인/mm 의 피치로 기록시킬 수 있는 크기의 써멀헤드를 사용해서 3.85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게 보내져 오는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이러한 동자가모우드를 일반적으로 "노말모우드"라 칭한다)에는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화상데이터를 2라인씩 기록함으로써 기록피치를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제1도에 사선으로 나타낸 부분은 흑화소, 즉 써멀헤드의 발열체가 발열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제1도에서 Δt1은 해당 써멀헤드가 1라인을 기록하는데에 필요한 기록시간을, Δt2는 같은 써멀헤드가 2라인을 기록하는데에 필요한 기록시간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통상 양 기록시간 Δt1 및 Δt2간에는
ΔT1=Δt2/2‥‥‥‥‥‥‥‥‥‥‥‥‥‥‥‥‥‥‥‥‥(1)
인 관계가 유지된다.
그런데 써멀헤드는 일반적으로 그 종류라던지 형식등에 따라 발열체의 온동상승 및 하강속도가 결정되므로, 어느 하나의 발열체가 연속적으로 발열구동되는 경우에 그 온도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예컨대 제2a도에 나타낸 상태로 변한다. 따라서 상기 써멀헤드가 예컨대 1라인을 5msec(Δt1=5msec)로 기록하는 써멀헤드라고 한다면, 7.7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게 보내져 오는 화상데이터에 있어서는 이를 1라인/ 5msec의 속도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이와같은 동작모우드는 상기 "노말모우드"에 대해 "파인모우드"라 통칭된다), 상기와 같이 3.85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게 보내져 오는 화상데이터에 있어서는, 이를 2라인씩 기록할 필요가 있음에 따라 화상데이터 1라인분의 기록에 10msec(Δt2=10msec)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즉, 7.7라인/mm에 대해 3.85라인/mm로 된 2배로 거칠은 피치에 대응되게 보내져 오는 화상데이터에 대해서는 화상데이터로서의 1라인분의 기록시간을 5msec로 하여(실제의 기록속도는 2라인/msec로 된다), 상대적인 기록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지만 다음의 이유로 실제로는 그 실현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즉, 일반적으로 발열체에 공급되어지는 기록에너지는 E〔mJ/dot〕는
Figure kpo00001
‥‥‥‥‥‥‥‥‥‥‥‥‥‥‥‥‥‥‥‥‥‥‥‥‥(2)
로 표시되는 바, 여기서는 V는 발열체에 인가되는 인가전압(헤드인가전압), R은 발열체의 저항, Δr는 발열체의 능동시간(구동시간; 기록펄스의 펄스폭)을 각각 나타낸 것으로, 통상 상기 Δr는 기록에너지(E)를 제어하기 위한 파라메터로 이용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써멀헤드내의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써멀헤드전체, 특히 발열체기판의 온도상승을 검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록펄스의 펄스폭(Δr)을 제어하는 것이 통례로 되어 있다. 제3도는 이러한 써멀헤드의 온도에 대한 기록펄스의 펄스폭 설정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기록에너지(E)에 관한 상기한 상태의 제어에 있어서는 전술한 것처럼 7.7라인/mm의 피치로 1라인을 5msec로 기록할 수 있는 써멀헤드를 이용하여 3.85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게 보내져 오는 화상데이터를 2라인씩 기록하는 경우에, 화상데이터로서의 1라인분의 기록시간을 5msec로 즉Δt2=5msec로 설정하면, 실제로 기록되는 라인의 1라인분의 기록시간 Δt1은 2.5msec로 설정할 수 없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앞의 제2a도에 대해 제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열체의 냉각시간이 충분치 않아 급속히 축열이 이루어지고, 그 때문에 소위 꼬리가 끌리는 현상이 생겨서 기록화질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상기한 것과 같은 기판온도검출에 기초하는 기록에너지제어에서 도저히 회피할 수 없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위 "노말모우드"에 있어서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복수라인씩 기록해 가는 경우에 상대적인 기록시간을 확실히 단축할 수 있고, 또 기록시에 안정된 화질을 보증할 수 있는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화상데이터에 관한 써멀헤드의 복수라인분씩의 능동시(발열체의 발열구동시), 그 각 능동시간을 후방의 라인에 대해 순차 짧은 시간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작용]
상기 구성에 따르면, 어떤 화상데이터에 있어서 최초 1라인째의 기록시에 비해 2라인째 이후의 기록시에는 그 기록에너지가 저절로 순차 낮은 에너지로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태양으로 기록시간의 단축을 도모한 경우, 써멀헤드 발열체에 과잉축열이 생기지 않게 되어, 소위 꼬리가 끌리는 현상이 없는 적정한 상태에서 기록동작이 유지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2라인째 이후의 기록시에는 그 기록에너지가 상기 1라인째의 기록시에 비해 작아져도, 발열체자체의 축열을 보조받아 기록에 필요한 적정발색온도(適正發色溫度)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열기록지에 직접 가열기록하는 방식이나 잉크리본 등을 이용하여 보통지에 가열전사하는 방식 등, 어떠한 방식의 감열기록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6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열기록제어장치의 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장치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써멀헤드부(10)와, 이 써멀헤드부 (10)에 내장된 온도센서의 출력(아날로그신호)을 예컨대 8비트로 이루어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이하 A/D변환기라 칭함)(20), 외부에서 가해지는 모우드지정신호(상기한 "노말모우드"와 "파인모우드"중 어느 한 모우드를 선택지정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당해 실시예장치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기록제어부 (30), 이 기록제어부(30)의 제어에 의거하여 화상데이터를 상기 써멀헤드부(10)로 전송하기 위한 클럭을 발생시키는 화상데이터 전송용 클럭발생기(40), 상기 기록제어부 (30)로 부터의 라인마다의 기록개시타이밍에 동기하여 발생되는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계수동작을 수행하는 카운터(50), 상기 (2)에서 Δr의 값으로서 각각 다른 다수의 값을 테이블 형태로 간직하고 상기 카운터(50)의 계수출력과 상기 A/D변환기(20)의 A/D변환출력을 어드레스데이터로 받아들여 상기 테이블 중에서 이들 어드레스데이터에 의해 그때마다 지정되는 값을 펄스폭 정보로서 독출하는 펄스폭 메모리(60), 및 상기 기록제어부(30)로부터 라인마다의 기록개시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펄스폭 메모리(60)로부터 독출되는 펄스폭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를 발생시켜서 이들을 상기 써멀헤드부(10)의 이네이블신호로서 그 EN단자에 인가하는 펄스발생기 (7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는 각 회로의 동작을 순서에 따라 각각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5도를 참조하여 상기 써멀헤드부(10)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써멀헤드부(10)는,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에 대응되게 도시되지 않는 기록부의 주주사방향으로 라인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열체로 이루어진 발열체어레이(11)와, 이 발열체어레이(11)와 함께 써멀헤드기판에 배치되어 그 기판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2), 상기 화상데이터전송용 클럭발생기(40)에서 발생되는 클럭(화상데이터전송용 클럭)(CK)에 의거하여 직렬입력되는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D)를 차례로 시프트시켜서 일시 저장함과 더불어 그 저장된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를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출력하는 시프트레지스터(13), 병렬출력되는 상기 화상데이터의 각각과 상기 펄스발생기(70)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이네이블신호 EN)와의 앤드조건에 따라 논리레벨이 "1"레벨인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앤드게이트어레이(14), 이 앤드게이트어레이(14)의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발열체어레이(11)중 해당되는 발열체를 발열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어레이(15)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써멀헤드부(10)에 의하면, 상기 스프트레지스터(13)에 시프트될 때마다 저장되는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중 논리레벨이 "1"인 데이터(이 데이터가 "흑화소"에 해당되는 화상데이터로 된다)에 대응되는 발열체만이 상기 펄스발생기(70)에서 펄스신호(이네이블신호 EN)가 발생될 때마다 그 펄스폭의 기간(이네이블기간)만큼 발열구동되게 된다.
제4도에 나타낸 각 블록에 있어서 기록제어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우드지정신호에 의한 모우드지정상태에 기초하여 당해 실시예장치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그 최초의 제어동작으로서 기록제어부(30)는 먼저 단자(T-ST)에서 화상데이터전송용 클럭발생기(40)로 전송개시신호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화상데이터전송용 클럭발생기(40)가 동기되어 소정의 클럭신호를 1라인분 상기 써멀헤드부(10)의 단자(CK)에 인가한다. 이 써멀헤드부(10)에서는 상기한 시프트레지스터(13)가 상기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단자(D)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를 1라인씩 거둬 들인다.
이처럼 써멀헤드부(10; 정확하게는 이곳에 내장된 시프트레지스터 13)에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가 거둬들여지면, 기록제어부(30)는 다음에 상기 모우드지정신호의 내용을 감안하여, 그 내용이 상기 "파인모우드"에 대응되게 1라인분의 기록을 지정한 경우와 상기 "노말모우드"에 대응되게 복수라인(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라인을 상정(想定)한다)씩의 기록을 지정한 경우에 각각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제어를 실행한다.
1)파인모우드
기록제어부(30)은 단자(W-ST)에 펄스발생기(70)에 대한 기록의 개시, 즉 써멀헤드부(10)의 구동을 촉구하는 기록개시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펄스발생기(70)에서는 펄스폭 메모리(60)로부터 주어지는 여기에서는 예컨대 8비트로 이루어진 상기 펄스폭정보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되는 특정펄스폭의 기록펄스(이네이블신호)를 형성하여 그 기록펄스를 써멀헤드부(10)의 이네이블단자 (EN)(상기 앤드게이트어레이 14의 한쪽 입력단)에 인가한다.
이 동작모우드에 있어서는 카운터(50)의 2비트로 이루어진 계수출력이 〔0 0〕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펄스메모리(60)는 A/D변환기(20)에서 출력되는 온도데이터 (8비트)에만 기초하여 상기 펄스폭정보를 독출하도록 동작한다.
이렇게 하여 기록펄스(이네이블신호)를 인가받은 써멀헤드부(10)가 그 펄스폭의 기간동안, 상기 내장된 발열체어레이(11)중 해당되는 ("흑화소"를 나타내는 화상데이터에 대응되는)발열체로 전류를 흘려주어 이를 발열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 기록펄스의 펄스폭이 상기(2)식에서 Δr의 값으로서 각 발열체에 공급하는 기록에너지(E)를 결정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1라인분의 기록이 종료되면 기록제어부(30)는 도시되지 않은 기록부를 1라인분 부주사시킴과 더불어 화상데이터전송용 클럭발생기(40)에 대해 다시 전송개시신호를 인가하여 다음의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를 써멀헤드부(10)에 전송시킨다. 이상의 제어동작이 되풀이되어 실행된다.
2)노말모우드
기록제어부(30)는 상기 기록개시신호의 송출에 앞서 단자(K)로부터 카운터 (50)에 대해 계수펄스를 1발송하고 그후 단자(W-ST)로부터 펄스발생기(70)에 대해 상기 기록개시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카운터(50)는 2비트로 이루어진 계수값을 〔0 0〕에서〔0 1〕로 카운트업하고, 또한 펄스폭메모리(60)는 A/D변환기(20)로부터 출력되는 온도데이터(8비트)와 상기 카운터(50)의 계수출력〔0 1〕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하는 펄스폭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따라서 펄스발생기(70)는 상기 기록개시신호를 받아들임에 따라 상기 펄스폭메모리(60)에서 독출되는 펄스폭정보에 기초하여 소정펄스폭의 기록펄스(이네이블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기록펄스를 써멀헤드부(10)의 이네이블단자(EN)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써멀헤드부(10)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로펄스의 펄스폭 기간동안 해당 발열체를 발열구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1라인분의 기록이 종료되면, 기록제어부(30)는 또한 도시되지 않은 기록부를 부주사시킴과 더불어 써멀헤드부(10)(시프트레지스터 13)에 저장되어 있는 화상데이터를 그대로 놓아둔 채 단자(K)에서 카운터(50)에 대해 다시 계수펄스를 1발 송출하고, 또한 이에 잇달아 단자(W-ST)에서 펄스발생기(70)에 대해 마찬가지로 기록개시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카운터(50)의 2비트로 이루어진 계수값이 앞의 〔0 1〕에서〔1 0〕으로 다시 카운트업되고 펄스폭메모리(60)는 A/D변환기(20)에서 출력되는 온도데이터(8비트)와 그 카운터(50)의 새로운 계수출력〔1 0〕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되는 펄스폭정보를 독출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펄스폭 메모리(60)에 격납되어 있는 펄스폭정보는 먼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A/D변환기(20)의 출력인 온도데이터가 큰 값을 나타내면 나타낼수록 작은 펄스폭을 나타냄과 더불어 상기 카운터(50)에서 인가된 계수출력에 관해서 제1라인째에 대응되는 계수치〔0 1〕때보다도 제2라인째에 대응되는 계수치〔1 0〕인 쪽이 작은 펄스폭을 나타내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는 바, 상기 계수치〔0 1〕에 대응되는 펄스폭정보를 Δr, 또한 상기 계수치〔1 0〕에 대응되는 펄스폭정보를 Δr'로 할 때 최소한도
Δr>Δr'
의 관계가 항상 만족된다.
따라서, 상기 기록개시신호의 송출에 따라 펄스발생기(70)가 상기 독출되는 펄스폭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펄스폭의 기록펄스를 형성시켜서 써멀헤드부(10)에 인가하는 것과 상기 기록펄스를 받아들인 써멀헤드부(10)가 그 기록펄스의 펄스폭의 기간동안에만 해당되는 발열체를 발열구동시키는 것은 상기 제1라인째의 기록시와 동일하지만, 그 제2라인째의 기록시 발열체에 공급되는 기록에너지는 상기 제1라인째의 기록시에 비해서 확실하게 감소되게 된다.
기록제어부(30)는 이렇게 해서 제2라인째의 기록이 종료된 경우에,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기록부를 1라인분 부주사시킴과 더불어 단자(C)를 통하여 카운터(50)에 리세트신호를 송출하여 그 계수치를 〔0 0〕으로 초기화하고, 또 화상데이터전송용 클럭발생기(40)애 대해 상기 전송개시신호를 인가하여 다음의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를 써멀헤드부(10)에 전송한다. "노말모우드"에 있어서는 이상의 제어동작이 반복실행된다.
제6도는 상기와 같이 된 "노말모우드"에서 1라인마다의 기록에너지(E)의 변화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상기 제6도에 있어서는 도시된 장방형의 펄스파형으로 둘러쌓인 각 면적부분(V2/R)×Δr1, (V2/R)×Δr1', (V/R)×Δr2, (V2/R)×Δr2'…이 각1라인의 기록에 있어서 발열체에 공급되는 기록에너지(E)를 나타낸다.
또한 이 제6도에 있어서 Δr1,Δr1',Δr2,Δr2'는 각각
○Δr1…써멀헤드부(10)에 저장되는 제1화상데이터에 대해, 그 제1라인째의 기록시에 펄스폭메모리(60)에서 독출되는 펄스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펄스폭
○Δr1'…상기 제1화상데이터에 대해, 그 제2라인째의 기록시에 펄스폭메모리 (60)에서 독출되는 펄스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펄스폭
○Δr2…써멀헤드부(10)에 저장되는 제2화상데이터에 대해, 그 제1라인째의 기록시에 펄스폭메모리(60)에서 독출되는 펄스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펄스폭
○Δr2'…상기 제2화상데이터에 대해, 그 제2라인째의 기록시에 펄스폭메모리 (60)에서 독출되는 펄스폭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펄스폭
을 나타낸다. 이들 펄스폭 Δr1,Δr1',Δr2,Δr2', 의 관계는 상기한 바와 같이 Δr1≥Δr2, Δr1>Δr1', Δr2>Δr2'로 설정된다.
또한, 제7도는 마찬가지로 상기 "노말모우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발열체를 연속구동시킬 때의 경시저인 온도변화를 예시한 것으로, 여기서는 제6도에 도시한 기록에너지(E)의 변화에 대응되는 동 발열체의 온도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7도를 앞서 제2b도와 대비해 볼 때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장치에 의하면, 동일 화상데이터에 관해서 이것을 고속으로(단시간에)2라인에 기록할 경우에 있어서도 각 라인의 기록종료시마다 발열체온도를 확실하게 발색온도 미만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은 7.7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게 전송되는 화상데이터를 1라인/5ms의 기록속도로 기록하는 써멀헤드를 이용하는 경우, 3.85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게 전송되는 화상데이터에 관해서는 이것을 2라인/5ms의 기록속도로 "꼬리가 끌리는 현상"등이 없이 항상 양호한 화질로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록속도의 변경은 상기 기록제어부(30)가 상기 모우드지정신호의 지정내용에 따라서 적당하게 수행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발열체어레이(11; 제5도 참조)가 하나의 그룹으로 되어 하나의 이네이블신호(EN; 기록펄스)를 인가함에 따라 그중 해당되는 ("흑화소"를 나타내는 화상데이터에 대응되는)발열체가 일괄적으로 발열구동되는 형태의 써멀헤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다른 예로는 동 발열체어레이 (11)가 미리 다수의 그룹으로 그룹분리되어, 이들 분리된 그룹이 각각 별도의 이네이블신호(기록펄스)에 따라 구동될 수 있는 써멀헤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즉, 이 경우 상기 펄스발생기(70)로부터 상기 그룹수에 따른 다수의 기록펄스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동 펄스발생기(70)를 상기 그룹수에 따라 증설하면 된다.
또한, 동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펄스발생기(70)에 기록라인과 써멀헤드온도에 따른 펄스폭정보를 공급해주는 수단으로 예컨대 ROM등으로 이루어진 펄스폭 메모리(60)를 채용하였지만, 동 수단으로서는 그밖에 상기 카운터(50)에 의한 계수출력과 상기 A/D변환기(20)에 의한 온도데이터에 대한 A/D변환출력에 기초해서 상기 상태에서의 펄스폭정보와 동등한 정보를 그때마다 연산출력하게 되는 적당한 연산회로등이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카운터(50)의 용량(계수출력의 비트수) 및 상기 카운터(50)를 이용한 기록라인의 지시태양(계수태양)도 상술한 실시예의 태양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말모우드"동작에 있어서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각 라인의 기록개시시에 카운터(50)의 계수값을 〔0 0〕에서 〔0 1〕 또는 〔0 1〕에서 〔1 0〕으로 카운트업시켜 이 카운터업된 계수값〔0 1〕또는 〔1 0〕에 따라서 그때 써멀헤드부(10)로 인가하는 기록펄스의 펄스폭을 결정하였지만, 이 수시적인 펄스폭을 결정하기 위한 계수값이 반드시 카운트업후의 값〔0 1〕또는 〔1 0〕일 필요는 없다. 오히려 카운트업전의 값〔0 0〕또는 〔0 1〕을 이용해서 미리 펄스폭정보를 펄스발생기에 공급해 주도록 하는 편이 장치전체의 타이밍상 보다 쉽고, 계수상으로도 용이하게 된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말모우드"로서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2라인씩 반복해서 기록하는 경우에 관해서 상술하였지만, 이와 다른 예를들면 15.4라인/mm의 피치로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써멀헤드를 이용해서 3.85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게 전송되는 화상데이터를 4라인씩 반복해서 기록하는 등 일반적으로는 M라인/mm의 피치로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써멀헤드를 이용해서 (M/n)라인/ mm의 피치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터를 n라인씩 반복해서 기록하는 경우에 본 발명은 유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4라인씩 반복해서 기록하는 경우에 관해서 발열체에 공급되는 기록에너지의 변화상태 및 동 발열체의 경시적인 온도변화상태는 각각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것과 같다.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말모우드에서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복수라인씩 기록하는 경우 종래에 비해 보다 빠른 속도로 기록할 수 있고, 더욱이 안정된 화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기록면의 부주사방향으로 M라인/mm의 피치로 화상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써멀헤드(10)를 이용해서 (M/n)라인/mm의 피치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터를 기록하되 각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에 대해 상기 써멀헤드(10)를 n회씩 능동상태로 하여 동일한 화상데이터를 n라인씩 기록해 감으로써 기록피치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는 감열기록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써멀헤드(10)가 상기 n회씩 능동상태로 될 때 해당 회차가 커지면 커질수록 짧은 시간으로 각 능동시간을 제어하도록 된 감열기록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써멀헤드(10)의 축열량에 따라서 보정되는 능동시간을 더 보정한 시간으로 상기 각 능동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제어방법.
  3.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에 대응되게 기록면의 주주사방향에 라인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써멀헤드발열체(11)를 갖추어서 구성된 써멀헤드(10)와, 화상데이터의 1라인분을 저장하여 이것을 병렬로 출력하는 레지스터수단(13), 카운터수단(50), 1라인마다의 기록면 부주사에 대응되게 상기 카운터수단(50)을 카운트업시키는 제1제어수단 (30), 상기 써멀헤드발열체(11)의 1라인 기록마다의 능동시간을 규정함에 있어 상기 카운터수단(50)의 그 당시 계수값에 기초해서 그 계수값이 큰 값으로 되어 있으면 있을수록 짧은 시간으로 규정하는 능동시간규정수단(60), 이렇게 규정된 능동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정보를 1라인마다의 기록면 부주사에 대응되게 발생시키는 시간정보발생수단 (70), 상기 써멀헤드발열체(11)중 상기 병렬출력되는 화상데이터의 내용에 대응되어 구동대상으로 되는 발열체를 상기 시간정보가 발생될 때마다 동 시간정보에 의해 규정된 시간만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4,15) 및, 소정의 복수라인의 부주사가 종료될 때마다 상기 카운터수단(50)을 리셋트시킴과 동시에 상기 레지스터수단(13)에 저장되는 1라인분의 화상데이터를 갱신시키는 제2제어수단(30,40)을 구비하여 구성된 감열기록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써멀헤드발열체(11)에 그 발열체(11)의 온도를 검출하여 축열정보로 출력하는 축열정보발생수단(12,20)이 설치되고, 상기 능동시간규정수단 (60)이 상기 카운터수단(50)의 계수값과 상기축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계수값이 크면 클수록 짧은 시간으로, 또 상기 축열정보의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짧은 시간으로 상기 능동시간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기록제어장치
KR1019880011135A 1987-09-01 1988-08-31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10007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218467 1987-09-01
JP21846787A JP2575728B2 (ja) 1987-09-01 1987-09-01 感熱記録制御装置
JP63-66520 1988-03-18
JP63-66522 1988-03-18
JP63-66517 1988-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051A KR890006051A (ko) 1989-05-18
KR910007684B1 true KR910007684B1 (ko) 1991-09-30

Family

ID=1672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135A KR910007684B1 (ko) 1987-09-01 1988-08-31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28110A (ko)
EP (1) EP0307138B1 (ko)
JP (1) JP2575728B2 (ko)
KR (1) KR910007684B1 (ko)
DE (1) DE38785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030B2 (ja) * 1988-12-09 1997-02-19 松下電送株式会社 記録時間制御装置
US5216445A (en) * 1989-01-11 1993-06-01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ing plural dots to form each recording unit
US5105348A (en) * 1989-08-17 1992-04-14 Sharp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facsimile apparatus using standard or fine modes
JP2612616B2 (ja) * 1989-08-31 1997-05-2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におけるサーマルヘッドの駆動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0437236B1 (en) * 1990-01-09 1996-09-04 Seiko Instruments Inc. Gradation control circuit of line thermal printer
FR2666470A1 (fr) * 1990-09-05 1992-03-06 Sagem Telecopieur a controle de vitesse d'i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809A (en) * 1975-11-20 1976-10-05 Michael L. Dertouzos Parallel thermal printer
JPS5784879A (en) * 1980-11-17 1982-05-27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ntrolling circuit for heat-sensitive type line printer
US4376942A (en) * 1980-12-01 1983-03-15 Cubic Western Data Thermal printing system
DE3113293A1 (de) * 1981-04-02 1982-10-21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Faksimile-schreibeinrichtung
JPS5811184A (ja) * 1981-07-15 1983-01-21 Sony Corp 感熱ヘツド駆動方式
US4491853A (en) * 1981-10-19 1985-01-0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rrangement
JPS58161465A (ja) * 1982-03-17 1983-09-26 Sanyo Electric Co Ltd 記録制御方式
JPS59162066A (ja) * 1983-03-07 1984-09-12 Hitachi Ltd 感熱プリント方法及び感熱プリンタ
JPS61173963A (ja) * 1985-01-29 1986-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感熱プリンタ
JPH0630891B2 (ja) * 1985-03-30 1994-04-27 株式会社東芝 サ−マルヘツド駆動回路
JPS62187053A (ja) * 1986-02-14 1987-08-15 Tdk Corp サ−マルヘツド駆動装置
FR2596226B1 (fr) * 1986-03-19 1988-12-02 Vignon Bernard Procede de reproduction d'une image a partir de la numerisation de cette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461270A (en) 1989-03-08
KR890006051A (ko) 1989-05-18
DE3878511T2 (de) 1993-06-03
EP0307138B1 (en) 1993-02-17
DE3878511D1 (de) 1993-03-25
EP0307138A1 (en) 1989-03-15
JP2575728B2 (ja) 1997-01-29
US4928110A (en) 199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684B1 (ko) 감열기록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2619890B2 (ja) 熱転写プリンタ用ヘッド駆動装置
US5012258A (en) Density controlled thermal print head
JP2902813B2 (ja) 熱記録方法及び装置
JPH0790642B2 (ja) サ−マルプリンタ
US4894712A (en) Density gradation control type thermal printer
JPH0369714B2 (ko)
JP3020732B2 (ja) サーマルプリント方法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H0659739B2 (ja) 熱転写型印刷装置
JPS6115469A (ja) サ−マル記録装置
JPS6284671A (ja) ビデオプリンタ
JPH0236958A (ja) 多階調熱記録における通電制御方法
JPS58151774A (ja) 階調記録装置
JPH0790648B2 (ja) 熱転写印字装置
JP2605934B2 (ja) 熱記録装置
JP3017881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S58158275A (ja) 感熱記録装置
JP2594260B2 (ja) 感熱記録装置
JPS6345069A (ja) 感熱記録装置
JP2606852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熱制御装置
JPH0370632B2 (ko)
JP2001180030A (ja) サーマルヘッド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H0752435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駆動方法
JPH0825299B2 (ja) 感熱記録装置
JPH0542706A (ja) 多階調熱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