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486Y1 -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486Y1
KR910005486Y1 KR2019890000899U KR890000899U KR910005486Y1 KR 910005486 Y1 KR910005486 Y1 KR 910005486Y1 KR 2019890000899 U KR2019890000899 U KR 2019890000899U KR 890000899 U KR890000899 U KR 890000899U KR 910005486 Y1 KR910005486 Y1 KR 910005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ape case
productions
operating
trans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8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940U (ko
Inventor
이경구
Original Assignee
이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구 filed Critical 이경구
Priority to KR20198900008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486Y1/ko
Publication of KR9000149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9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1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magazines or cassettes, e.g. initial loading into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2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rigid discs
    • G11B23/032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rigid discs for disc-packs
    • G11B23/0325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for rigid discs for disc-packs comprising latching or movable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생략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중 이송벨트의 작동장치를 발췌한 상태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이송상태를 평면적으로 예시한 부분도로서 a)는 작업물의 주입상태이고, b)는 작업물의 이송과정을 예시한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안내간
2' : 장홈 3, 4 : 구동로울러
3', 4' : 로울러 5 : 흡착구
6 : 삽입구 7 : 지지봉
8 : 절곡동판 9 : 구동풀리
9' : 피동풀리 10 : 벨트
11 : 구동축
본 고안은 비디오테이프를 삽입보관하는 케이스를 절첩이 용이하도록 절곡홈을 형성하게되는 절곡기에 있어서, 절첩규격에 부합되게 재단된 종이재 및 합성수지재의 작업물을 절곡 위치로 도달시키기 위한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을 선출원고안(출원번호 85-10629)과 같이 적재판에 적재된 작업물을 흡착구가 흡인하여 1장씩 안내간의 홈에 주입 함에따라 상하로 외접된 한쌍의 구동로울러에 의해 안내간의 홈을 따라 일차적으로 이송이되고, 이어서 기체 내면의 안내간 상에서 좌우방향으로 왕복하며 슬라이딩되는 작동구에 의해 절곡용 등판이 작동되는 기판면에 작업물을 도달하게 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이송방법은 이미 기판에 도달되었던 작업물을 이탈시키고 다음 차례의 작업물을 진입되게 하는 작용을 안내간에 진입되어 이송되는 작업물이 서로 진행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기판면 상으로 도달됨에 따라 밀치는 작용으로 절곡작업이 완료된 작업물을 이탈되게 하였다.
그러므로 1㎜내외의 두께를 갖는 강질의 작업물이 연속적으로 기판면에 도달되면서 밀치는 작용을 할 때형으로 단면과 단면이 일치되어야만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고, 만약형이나형으로 어느 한쪽이라도 어긋날 경우에는 작업물의 원활한 이탈과 이송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 아니라, 작업물이 겹치게되어 절곡작업이 부정확하게 형성되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흡착구 및 구동로울러의 작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한 통상의 장치에 이송안내간의 단부와 연접하여 기판상으로 한쌍의 이송벨트를 장착하여 정확한 위치로 작업물을 도달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하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곡동판(8)이 승강작동되는 기판(1)측의 일측으로 장홈(2')이 형성된 안내간(2)을 전후로 대향되게 설치하되 안내간(2)내향부의 전후부위에 로울러(3')(4')와 외접된 구동로울러(3)(4)를 장착하며, 안내간(2)의 일측부위로 흡착구(5)가 착설된 삽입구(6)를 지지봉(7)에 미끄럼 접합한 것에 있어서, 기판(1)면에 전후부위로 구동풀리(9)와 피동풀리(9')를 축설하여 벨트(10)로 연결하고, 구동풀리(9)는 구동축(11)상의 베벨기어로 이맞물림하여 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는 차단구 13은 적재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있어서, 기판(1)면의 전후부위로 장착된 한쌍의 구동풀리(9)는 기계적 작동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1)과 베 기어로 교합할시 제 2 도와 같이 서로 회전방향을 달리하게 교합하고, 구동풀리(9)와 피동풀리(9')에 연결되는 벨트(10)는 기판(1)의 우측으로 장설된 안내간(2)과 동일폭을 유지하게 조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체를 구동시키게 되면 적재판(13)에 적층된 종이재 또는 합성수지재 작업물의 상부면으로 삽입구(6)에 착설된 흡입구(5)가 작동되면서 최상부의 1장을 흡인 인출시키어 지지봉(7) 상에서 슬라이딩되며 제 3a 도와 같이 안내간(2)의 양측장홈(2')에 괘지되게 작업물(14)을 진입시킨다.
상기 작용으로 안내간(2)에 진입이 완료된 작업물(14)은 장홈(2')과 동일 수평면 상에서 로울러(3')(4')로 외접된 구동로울러(3)(4)에 맞물려지며 장홈(2')을 따라 안내간(2)을 통과하여 일차적으로 이송이 되고, 이어서 상기한 구동로울러(3)(4)의 이송력에 의해 기판(1)면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벨트(10)에 작업물(14)이 도달되면, 이의 양측단부가 안내간(2)이 장홈(2')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서로 내향방향으로 회동되는 벨트(10)의 측면과 밀착되며 기판(1)상으로 이송된다.
그러므로 기판(1)상으로 도달되는 작업물(14)은 기판(1)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출몰작동되는 차단구(12)에 제지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하강 작동되는 절곡동판(8)에 의해 작업물(14)의 표면에 절첩홈을 형성하게 되고, 이어서 차단구(12)가 몰입되면 벨트(10)면에 마찰되던 작업물이 기판(1)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새로운 작업물이 진입된다.
이때 작업물(14)의 표면상으로 승강작동되는 절곡동판(8)을 인쇄용 동판으로 교체하여 주게되면, 전기한 이송장치에 의해 기판면으로 도달되는 종이재 및 합성수지재의 작업물에 인쇄를 할 수 있게 되어 절곡 및 인쇄의 두가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정확한 이송을 할수 있게 되어 정확한 절곡작업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 고안은 기판(1)의 일측으로 장홈(2')이 형성된 안내간(2)을 전후로 대향되게 설치하되 안내간(2) 내향부의 전후부위에 구동로울러(3)(4)와 로울러(3')(4')를 외접되게 장악하며, 안내간(2)의 일측단부로 흡착구(5)가 착설된 삽입구(6)를 지지봉(7)에 미끄럼 접합한 것에 있어서, 기판(1)상의 전후부위로 구동풀리(9)와 피동풀리(9')를 축설하여 벨트(10)로 연결하고, 구동풀리(9)는 구동축(11)과 베벨기어로 이맞물림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KR2019890000899U 1989-01-30 1989-01-30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KR910005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899U KR910005486Y1 (ko) 1989-01-30 1989-01-30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899U KR910005486Y1 (ko) 1989-01-30 1989-01-30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940U KR900014940U (ko) 1990-08-02
KR910005486Y1 true KR910005486Y1 (ko) 1991-07-27

Family

ID=1928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899U KR910005486Y1 (ko) 1989-01-30 1989-01-30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4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71B1 (ko) * 2011-12-08 2015-04-10 최제학 기판 이송 가이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771B1 (ko) * 2011-12-08 2015-04-10 최제학 기판 이송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940U (ko) 1990-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262721A (ja) ボード用の整合装置
JPS6351938B2 (ko)
KR910005486Y1 (ko) 테이프 케이스용 절곡기의 작업물 이송장치
US4750254A (en) Continuously operating one-sided formatting and edge shaping machine
JP2006297521A (ja) 板材の溝加工装置
KR970006727B1 (ko) 박판부재 수납장치
JPH0754188Y2 (ja) ダンボール紙自動打抜機におけるキッカー構造
JP2801028B2 (ja) 電子部品実装機における基板の給排出装置
JPS62191344A (ja) 枚葉紙給送装置
CN218841261U (zh) 一种扉页模块以及全自动蝴蝶对裱机
CN217798217U (zh) 钣金折弯机
KR102140413B1 (ko) 합판 시트의 종단 커팅장치
CN209756256U (zh) 一种分纸效果好的分纸机
CN215735643U (zh) 料板旋转对位平台
JPH012966A (ja) 板材搬送装置
KR100279205B1 (ko) 전자부품삽입기의 프린트기판 반입이송장치
JPH0259346A (ja) 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2649449B2 (ja) ワイドベルトサンダー機の加工材供給装置
KR910008091Y1 (ko) 금박인쇄기의 인쇄물 절곡장치
KR910000257Y1 (ko) 리이드 프레임 자동 정렬장치
JP2001347491A (ja) 平盤打抜き機の木型保持機構
JPS6288766A (ja) 連続用紙の先端引出し装置
JP2566912Y2 (ja) シート搬送装置
JPS6228619Y2 (ko)
JP2927744B2 (ja) 紙葉体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