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4919B1 - 전기 절연재료 - Google Patents

전기 절연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4919B1
KR910004919B1 KR1019860009583A KR860009583A KR910004919B1 KR 910004919 B1 KR910004919 B1 KR 910004919B1 KR 1019860009583 A KR1019860009583 A KR 1019860009583A KR 860009583 A KR860009583 A KR 860009583A KR 910004919 B1 KR910004919 B1 KR 910004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thylene naphthalate
measured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413A (ko
Inventor
세이지 사까모또
요시노리 사또
Original Assignee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야 다다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미야 다다시 filed Critical 다이아호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4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1Polyesters
    • H01B3/422Linear saturated 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H01B3/423Linear aromatic polyes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절연재료
본 발명은 내열성, 기계적 특성, 필름 평탄도, 취급용이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전기 절연재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표면에서의 중심선 평균조도(roughness) 0.008 내지 0.08㎛ 및 용융상태에서의 저항 5×107내지 5×1012Ω·㎝을 갖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전기 절연재료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우수한 내열성,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가공성 때문에 재료로서 지금까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분류 E : 연속허용온도 12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소형화되면서도 높은 성능을 갖는 최근의 전기 및 전자 장비에 사용되는 경우에, 내열성에 있어 불만족스러웠다. 따라서, 내열성이 우수한 새로운 전기 절연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전기 절연재료의 용도에 태양은 다음과 같다.
(1)전기 절연부품은 전기 절연재료에 접착되는 전기 절연지(예, 크라프트지) 등과 전기 절연재료를 포함한다.
전기 절연부품은 전기 장비의 절연부품, 특히 무거운 전자장치의 모우터, 변압기 등의 절연부품으로서 사용된다. 즉, 전기 절연부품은 전기 모우터와 발전기의 슬롯 절연, 충절연 및 코일단부 절연의 절연부품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전기 절연부품은 코일과 코일의 절연, 터언(turn)과 터언의 절연 및 변압기의 도선과 같은 고장력 회로의 절연부품으로 사용된다.
(2)전선은 도체 및 그위에 피복된 전기 절연재료로 되어 있다. 전기 절연재료는 도체 및 케이블을 절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전기 절연재료는 전선의 1차 피복재료 또는 2차 피복재료로서 사용된다.
(3)가요성 인쇄 회로판은 전기 절연재표에 접착된 구리 박막(foil) 또는 리본형 구리코어와 전기재료를 포함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판은 종래의 견고한 인쇄판에 대한 전자회로(예, 곡선회로, 절첩식회로)의 자유도가 우수하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는 비교적 값비싼 전기 절연재료(유별 F : 연속허용온도 155℃)이다. 그의 특성은 일본특허 공고 제53-35280호(1978) 및 제54-1920호(1979) ;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제48-43198호(1973), 제48-43200호(1973), 제48-53299호(1973), 제49-132600호, 제49-32200호(1974) 및 제50-133279호(1975)에 기재되어 있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내열성,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근본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종래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필름두께가 감소될 때 취급용이성 및 필름 평탄도가 나빠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적 특성, 특히 고온(예, 120℃)에서의 체적저항이 나쁘다. 현재까지는, 이들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별다른 노력이 없었다. 그러므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이들 특성이 개선된다면 양호한 전기 절연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특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본 발명자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를 한 결과,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특정범위의 표면조도와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특정범위의 저항을 갖는 경우 필름 평탄도, 취급용이성 및 전기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표면에서 측정된 중심선 평균조도 0.008-0.08㎛ 및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저항 5×10-5×10Ω·cm을 갖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으로된 전기 절연재료를 재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구성단위체로서 에틸렌-2,6-니프탈레이트로 구성된 중합체와 또한 소량(예, 10몰%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5몰%이하)의 제3성분으로 개질된 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중합체를 나타낸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촉매존재하에 적절한 조건하에서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관능유도체(예, 디메틸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레이트)와 에틸렌 글리콜을 중축합시킴으로써 통상 제조된다. 제 3성분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 나프탈렌-2,7-디카르복실산과 같은 디카르복실산과 그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 p-히드록시벤조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그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 ; 그리고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및 헥사메틸렌 글리콜과 같은 2가 알콜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서는 0.40이상의 고유점도(양호하기로는 0.45 내지 0.90)로 나타내지는 적당한 중합도를 갖는 중합체가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중합도가 너무 낮은 경우 기계적 특성이 나쁘기 때문이다.(고유점도 측정법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팁(tip) 또는 필름 1g을 페놀/1,1,2,2-테트라클로로에탄(중량비 50/50) 용액 100ml에 가한후, 그 혼합물을 140℃에서 30분동안 가열한 다음,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팁 또는 필름을 용해시킨후 고유점도를 30.0℃에서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다음 방법에서 전기 절연재료로서 필름으로 제조된다.
먼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압출기에 의해 280℃ 내지 320℃에서 시이트로 압출한다. 압출된 시이트를 80℃이하로 냉각하여 무정형이 되도록 한다. 냉각된 시이트를 면적 연신비(area draw ratio) 4에서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신시킨다. 마지막으로 2축 연신 필름을 120℃ 내지 250℃에서 열처리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전기 절연용 2축 연신 폴로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5×107내지 5×1012Ω·㎝의 저항을 가져야한다.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평탄도가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 특히 유전강도의 변동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경우에 평탄도는 정전 냉각법에 의해 개선될 수 있음을 알아냈다. 이 방법에 따라서, 용융된 중합체 시이트가 정전기로 하전되어 시이트는 정전력에 의해 회전 냉각 드럼쪽으로 강하게 끌린다. 이 방법은 용융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저항이 낮은 경우에 유효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정전법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대해서도 유효한지의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바람직한 작동범위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보고되지 않았다.
한편, 우수한 내열성은 전기 절연재료로서 유용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특징중 하나이며, 내열성은 고온(예, 120℃)에서의 체적 저항이란 용어로 표시된다.
본 발명자들은 고온에서의 체적 저항이 중합체가 용융상태에 있을 때 측정된 저항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아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평탄도와 고온에서의 체적저항 모두는 중합체가 용융상태에 있을 때 측정된 저항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따라,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저항은 5×107내지 5×1010Ω·㎝(바람직하기로는 1×108내지 5×1010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6×108내지 5×1010Ω·㎝)이어야 한다.
정전 냉각법이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고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평탄도가 우수할지라도, 저항이 5×107Ω·㎝이하이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전기 절연재료에 나쁜 낮은 체적 저항을 갖는다. 한편, 저항이 5×1010Ω·㎝보다 크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고온에서의 체적 저항이 크게 증가되지만 정적 냉각법은 효과적으로 이용되지 못하며 그에 의해 얻어진 필름의 평탄도는 나쁘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저항은 다음 방법으로 조절될 수 있다. 저항을 감소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가용성 금속 성분과 혼합되어야 한다. 이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용 촉매로서 사용된 금속 원소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후 필요한 경우 첨가될 금속 원소에 소량(예, 등몰량이하)의 인화합물을 가함으로써 달성된다.
한편,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용해되는 금속 원소의 함량을 줄여야 한다. 이는, 금속 화합물이 다량 사용되는 경우에 금속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불용성인 카르복실레이트, 포스페이트 및 포스파이트 같은 금속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용해된 금속 화합물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목적은 에스테르 교환 촉매로서 사용되는 칼슘 및 망간과 같은 금속 원소에 대해서 등몰량 이상의 인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특정 범위의 저항을 갖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 압출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저항을 미리 조절할 필요가 있다. 무정형 시이트를 제조하는데 있어 정전 냉각법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의해 얻어진 2축 연신 필름은 평탄도가 우수하고 전기적 특성, 특히 고온에서의 체적 저항이 개선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표면에서 측정된 중심선 평균조도 0.008-0.08㎛를 가져야 한다.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한다.
지금까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화학적 구로조부터 유래된 기계적 및 열적 특성에의 큰 관심사는 대조적으로 그의 취급 용이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취급 용이성은 전기 절연재료 실제적 사용에 중요하다. 이러한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본 발명자들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취급 용이성, 예를들면 필름과 필름의 블로킹 침필름 안내소자와의 마찰에 대해 조사한 결과 취급 용이성이 중심선 평균조도[Ra(㎛)]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Ra의 양호한 범위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 즉 필름두께[T(㎛)]는 더 작아지고 그 결과 조도가 더 커야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 따라, 중심선 평균조도[Ra(㎛)]는 0.008내지 0.08㎛, 바람직하기로는 0.02 내지 0.06㎛이어야 한다. 바람직한 값은 중심선 평균조도 Ra(㎛) 및 필름두께 T(㎛)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음식을 만족하는 값이다.
Figure kpo00001
더욱 바람직한 값은 Ra(㎛)와 T(㎛)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음식을 만족하는 값이다.
Figure kpo00002
Ra(㎛)이 값이 0.008㎛ 보다 적으면, 그 필름은 필름과 필름의 접착이 심해지며 필름 안내소자등과의 마찰이 심해진다. 한편, Ra(㎛)의 값이 0.08㎛ 보다 크면, 취급 용이성이 일정 수준에서 증가되지 않으며 필름은 과대한 표면조도 때문에 전기적 특성, 특히 유전강도가 나쁘다.
그외에, 본 발명에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300㎛(바람직하기로는 30 내지 250㎛,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50 내지 200㎛)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이 필름두께와의 관계에 의해서 한정되는 특정범위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가져야할 필요가 있다. 상기에서 한정된 표면조도는 미세한 불활성 화합물 입자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혼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는 소위 입자 분리법, 바람직하기로는 소위 입자 부가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입자 분리법에 따라, 인화합물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대한 반응 시스템에 가해진다. 인화합물은 에스테르 교환 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후에 반응 시스템에 용해된 금속 화합물과 반응함으로써 미립자를 분리해낸다. 이 방법은 공업적으로 적합하고 간단하지만, 필름의 적당한 표면조도와 중합체의 적당한 저항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분리된 입자가 용융된 상태에서 중합체의 저항을 변경시키기 때문이다. 다시말해서 필름의 필요한 표면조도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외에, 분리시킬 입자의 양은 제한된다.
한편, 입자부가법에 따라, 불활성 미립자는 폴리에스테르 생성부터 필름 압출까지의 어느 단계에서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에 가해진다. 불활성 미립자의 예로는 카올린, 활석, 탄산 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 바륨, 황산칼슘, 황산바륨, 인산리튬, 인산칼슘, 인산 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규소 및 산화티탄과 같은 금속 화합물과 가아본 블랙이 있다. 이들 불활성 화합물의 형태는 구형 또는 덩어리 형태로 될 수 있다. 이들은 경도, 비중 및 색상에 특히 제한을 받지 않는다. 불황성 화합물은 평균 입경 0.1 내지 10㎛, 바람직하기로는 0.3 내지 3㎛(동일 체적구와 동일한 직경)을 가져야 한다. 불활성 화합물은 0.01 내지 1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0.8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필름에 가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절연재료는 절연부품으로서 다음 태양으로 사용된다.
전기 절연부품은 본 발명의 전기 절연재료 및 이에 접착된 크라프트지등과 같은 전기 절연지를 포함한다.
전선은 도체와 그위에 피복된 본 발명의 전기 절연재료를 포함한다.
가요성 인쇄 회로판은 본 발명의 전기 절연재료와 그위에 접착된 구리 박막 또는 리본형 구리 코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보다 기계적 및 열적특성이 우수하다.
그외에,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지금까지 인식되지 못했던 몇가지 특성에 있어 우수하다. 즉, 얇은 필름의 경우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취급 용이성, 고온에서의 전기특성 및 필름 평탄도가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두께 50㎛에서 측정된 유전 파괴강도 11.0KV이상과 체적 저항 5×1014Ω·㎝ 이상의 매우 양호한 전기 절연재료이다. 이는 공업적 가치가 매우 큰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물리적 성질은 다음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중심선 평균조도[Ra(㎛)] 고사까 겐뀨쇼 캄퍼니, 리미티드(Kosaka Kenkysho Co., Ltd.)의 제품인 표면조도 시험기(SE-3FK)에 의해 다음 방법으로 측정, 참고길이 L(2.5cm)와 동일한 윤곽-굴곡부(porfile curve part)가 쌤플 필름의 윤곽 굴곡으로부터 중심선 방향으로 시료로 취해지고 조도곡선은 함수 Y=f(x)로 나타내지는 것을 고려하여 Ra는 하기식으로 주어진 값(㎛)이다. 여기서, x축은 쌤플 윤곽-굴곡부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Y-축은 세로방향(세로 확장 방향)을 나타낸다 :
Figure kpo00003
80㎛의 절단치에서 30mg의 하중하에 2㎛의 팁 반경을 갖는 바늘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Ra는 10회 측정치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지며, 가로 및 세로방향에서 각각 5번씩 측정한다.
취급용이성 : 필름 제조단계 및 그 다음의 필름 취급단계에서 권취작업의 용이성에 따라 다음 3등급으로 구분한다.
A : 필름은 부드럽게 감겨질 수 있고 불편없이 다음 단계로 통과될 수 있다.
B : 필름은 다음 단계로 권취 및 통과될 수 있지만, A의 경우보다 덜 부드럽다.
C : 필름은 권취단계에서 주름이 잡히며 그결과 얻어진 로울은 그 모서리가 울퉁불퉁하다. 필름은 그 다음 단계를 부드럽게 통과하지 않고 라인을 종종 멈춘다.
용융상태에서의 저항 : "Brit. J. Appl. Phys., Vol. 17, pp1149-1154(1966)"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 중합체 시료를 295℃에서 용융시키고 DC전압(1000V)을 이용한 후 즉시 측정을 실시한다.
필름평탄도 : 세로방향에서 매 1000m 간격의 10지점과 가로방향에서 매 10cm 간격의 10지점에서 필름두께의 100회 측정치를 평균하여 얻어짐.
필름두께 : 안리쯔 덴시 캄퍼니, 리미티드(Anritsu Denshi Co., Ltd)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미터로 측정. 두께를 측정할 지점의 근처로부터 필름의 조각을 취하여 서로 쌓는다. 10개 축적된 필름에 대한 평균치는 단일 필름의 두께로 전환된다. 필름의 두께 불균일도는 다음식으로 나타내진다 :
Figure kpo00004
상기에서, Xmax는 측정된 값의 최대치이고, Xmin은 측정된 값의 최소치이며,
Figure kpo00005
는 측정된 값의 산술평균치이다. 두께 불균일도는 가능한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파괴강도 : JIS C2318-1966(AC 단기상승법 : Short-time rise method)에 따라 측정.
체적 저항 : 진동 커패시터형 테스터에 의해 JIS C2318-1966에 따라 120℃에서 측정.
[실시예 1]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제조
디메틸 나프탈렌-2,6-디카르복실레이트(100)부 및 에틸렌 글리콜(60부)를 초산칼슘 1수화물(0.1부) 존재하에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켰다. 반응을 180℃에서 시작하고 반응온도를 점차적으로 상승시킴으로써 메탄올이 증류되었다. 4시간후 반응온도는 230℃에 달했으며 에스테르 교환반응은 거의 종료되었다.
인산(0.04부), 평균입경 0.8㎛를 갖는 카올린(0.30부) 및 삼산화 안티몬(0.04부)을 첨가한후 중축합반응을 보통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온도를 서서히 상승시킴에 따라 압력을 상압으로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시켰다. 2시간후 온도는 290℃에 달했으며 압력은 0.3mmHg까지 감소되었다. 반응개시 4시간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가압질소에 의해 배출되었다.
이와같이 얻어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는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저항 1.2×108Ω·㎝ 및 고유점도 0.63을 갖는다. 현미경 관찰결과 카올린 입자는 중합체에 매우 균일하게 분산되었다.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정전냉각법에 의해 295℃에서 압출하여 무정형 시이트로 만들었다. 시이트의 이동방향과 수직으로 회전드럼 위에 놓여있는 텅스텐 와이어(직경 0.1mm)의 양극에 DC 9KV의 전압을 가함으로써 정전기를 하전시켰다. 회전드럼을 30m/min의 선속도로 주행시켰다. 그결과 얻어진 무정형 필름은 세로방향으로 3.4배 및 가로방향으로 3.7배 연신시켜 50㎛ 두께의 2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두께 불균일도는 0.15정도로서 만족스럽게 적었다. 얻어진 필름의 중심선 평균조도는 0.015㎛이었고 부드러웠으며 취급용이성이 좋았다.
표 1은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여기서 전기 절연재료로서 필름의 유용성을 입증한다.
[실시예 2 및 그리고 비교예 1-4]
인산 및 무기 화합물이 에스테르 교환반응 종료후 첨가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에서와 똑같은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제조하였다. 그결과 얻어진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를 실시예 1에서와 똑같은 방법에 의해 2축 연신 필름으로 만들었다. 필름의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및 3에서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시료 모두는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적절한 저항을 갖고, 그로부터 제조된 2축 연신 필름은 적절한 중심선 평균조도를 가졌다. 실시예 2 및 3에서 얻어진 2축 연신 필름은 취급용이성, 필름평탄도 및 전기 절연재료로서 사용되는 전기적 특성이 좋았다.
이와는 달리, 비교예 1의 중합체는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적합한 저항을 가졌지만,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중심선 평균 높이가 너무 낮았으며, 그 이유는 중합체가 필름에 적합한 표면조도를 부여하는 불활성 미립자와 혼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필름과 필름이 심하게 달라붙고 필름 안내소자와 마찰이 심했다. 이는 실제로 사용할 수 없었다.
비교예 2에서의 중합체는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너무 낮은 저항과 고온에서 극히 낮은 체적 저항을 갖는다. 역으로, 비교예 3에서의 중합체는 정전냉각법이 효과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높은 저항을 갖는다. 결국, 그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평탄도가 나쁘기 때문에 종종 낮은 유전파괴 전압을 발생시킨다.
비교예 4에서의 필름은 극히 높은 중심선 평균조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필름은 전기 절연재료로서 사용되지 않는 낮은 유전 파괴전압을 갖는다.
Figure kpo00006
[실시예 4]
각각 5㎛, 10㎛ 및 100㎛의 두께를 갖는 3종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실시예 1에서와 똑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그들 모두는 0.015㎛의 중심선 평균조도를 가졌다. 이들 필름과 실시예1에서의 두께 50㎛의 필름에 대한 취급용이성에 대해 검사하고, 그 차이점을 주목하였다. 두께 50㎛의 필름과 100㎛의 필름은 필름과 필름이 달라붙지 않고 취급용이성에 있어 만족스러웠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두께 5㎛의 필름과 10㎛의 필름은 필름과 필름이 심하게 달라붙었고 취급과정에서 안내소자와 심한 마찰을 보였다. 이는 필름의 중심선 평균조도 Ra(㎛)와 필름두께 T(㎛) 사이의 관계를 만족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3)

  1. 필름 표면에서 측정된 중심선 평균조도 0.008 내지 0.08㎛ 및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저항 5×107내지 5×1010Ω·cm를 갖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전기 절연재료와 이 전기 절연재료에 접착된 전기 절연지로 이루어진 전기 절연부품.
  2. 필름 표면에서 측정된 중심선 평균조도 0.008 내지 0.08㎛ 및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저항 5×107내지 5×1010Ω·cm를 갖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전기 절연재료와 이 전기 절연재료가 피복된 도체로 이루어진 전선.
  3. 필름 표면에서 측정된 중심선 평균조도 0.008 내지 0.08㎛ 및 용융상태에서 측정된 저항 5×107내지 5×1010Ω·cm를 갖는 2축 연신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전기 절연재료와 이 전기 절연재료에 접착된 구리 박막 또는 리본형 구리 코어로 이루어진 가요성 인쇄회로판.
KR1019860009583A 1985-11-13 1986-11-13 전기 절연재료 KR910004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54315 1985-11-13
JP254315 1985-11-13
JP25431585A JPH0762964B2 (ja) 1985-11-13 1985-11-13 電気絶縁材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413A KR870005413A (ko) 1987-06-08
KR910004919B1 true KR910004919B1 (ko) 1991-07-18

Family

ID=17263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583A KR910004919B1 (ko) 1985-11-13 1986-11-13 전기 절연재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29915A (ko)
EP (1) EP0226038A3 (ko)
JP (1) JPH0762964B2 (ko)
KR (1) KR9100049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013A (ja) * 1985-12-09 1987-06-19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トフイルム
US4990400A (en) * 1987-02-12 1991-02-05 Diafoil Company, Limited Polyester films, magnetic recording media and film capacitors produced therefrom
JPH0824008B2 (ja) * 1989-11-09 1996-03-06 帝人株式会社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用絶縁フイルム
DE69332795T2 (de) * 1992-04-16 2004-02-12 Teijin Ltd. Biaxial orientierte polyesterfolie
US5731071A (en) * 1992-04-16 1998-03-24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JPH0592916U (ja) * 1992-05-22 1993-12-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US5294695A (en) * 1993-03-15 1994-03-15 Skc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polyethylene naphthalate
JP2006349627A (ja) * 2005-06-20 2006-12-28 Yokohama Rubber Co Ltd:The ワイヤ位置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EP2495275A4 (en) * 2009-10-28 2016-06-2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BI-ORIENTED FILM FOR ELECTRICAL INSULATION, AND CAPACITOR IN THE FORM OF FILM MANUFACTURED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3200B2 (ko) * 1971-10-02 1976-11-19
US3875119A (en) * 1970-12-22 1975-04-01 Hiroshi Aoki Product and process of producing biaxially oriented insulating film of polyethylene-2,6-naphthalate
JPS5414320B2 (ko) * 1972-07-25 1979-06-06
JPS49132600A (ko) * 1973-04-06 1974-12-19
JPS5650693B2 (ko) * 1973-04-19 1981-12-01
US4198458A (en) * 1973-05-11 1980-04-15 Teijin Limited Laminate polyester films
JPS541920A (en) * 1977-06-07 1979-01-09 Kubota Ltd Building material
JPS57165252A (en) * 1981-04-06 1982-10-12 Fuji Photo Film Co Ltd Antistatic plastic film
JPS5935921A (ja) * 1982-08-23 1984-02-27 Diafoil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の製造方法
US4539389A (en) * 1983-03-30 1985-09-03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6038A2 (en) 1987-06-24
KR870005413A (ko) 1987-06-08
EP0226038A3 (en) 1988-08-03
JPS62115609A (ja) 1987-05-27
US4729915A (en) 1988-03-08
JPH0762964B2 (ja) 199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910B2 (ja) 電気絶縁用二軸配向フィルム
KR910004919B1 (ko) 전기 절연재료
US7022407B2 (en) Polyester film for capacitors
US6432509B1 (en) Composite film for capaci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se film therefor
JP3278943B2 (ja) ポリエステルおよびフィルム
JP3693457B2 (ja) コンデンサー用フィルム
JP4086598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47551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47550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693456B2 (ja) コンデンサー用フィルム
JP3847552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101390B2 (ja) コンデンサ用フィルム
JP2001089582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770420B2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42877B1 (ko) 콘덴서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235156B1 (ko) 콘덴서용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4351341B2 (ja) コンデンサ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9990038506A (ko) 콘덴서용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04315410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030050789A (ko) 콘덴서용 이축배양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8510A (ko) 콘덴서용 이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JPH10163064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11349707A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H1064750A (ja) フイルムコンデンサ
JPH0747652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