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2587B1 - 자석이 부착된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 - Google Patents

자석이 부착된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2587B1
KR910002587B1 KR1019870003620A KR870003620A KR910002587B1 KR 910002587 B1 KR910002587 B1 KR 910002587B1 KR 1019870003620 A KR1019870003620 A KR 1019870003620A KR 870003620 A KR870003620 A KR 870003620A KR 910002587 B1 KR910002587 B1 KR 910002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web
panel
formwork
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266A (ko
Inventor
레임클러 허버트
레지나 브로스트 바바라
Original Assignee
죠세프 마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세프 마이어 filed Critical 죠세프 마이어
Publication of KR87001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2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석이 부착된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
제1도는 2개의 형판넬이 연결된 상태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한쪽 판넬의 가장자리에는 자석이설치되어 있고, 양쪽판넬이 서로 삽입 돌기와 홈에 의해 결합연결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2도는 연결용 자석이 한쪽판넬의 끝에 설치된 웨브의 돌출부속에 삽입되어 양쪽판넬이 서로 연결되어있는 실시예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내고,
제3도는 연결된 2개의 판넬배면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중 한쪽의 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웨브에 자석을 삽입시키기 위한 요홈이 일정간격을 두고 판넬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내며,
제4도는 제3도에 따라 형판넬을 연결시키는 부분과 자석을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판넬 2 : 선단부
3 : 자석 4 : 웨브
5 : 요홈부 6 : 크립
7 : 웨브
본 발명은 선단을 서로 졀합시키도록 되어 있는 형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판넬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키거나 형판넬을 다른 부분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장치를 갖춘 결합할 수 있는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 구조는 예컨데, 독일 특허 제2137305호로 공지된 것이 있는바, 상기 특허의 거푸집 구조는 연결시켜야 할 형판넬의 웨브에 고정보울트가 관통되게 되는 구멍과 같이 키이홈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독일 특허 제2203999호에 개재된 것은 형판넬의 선단에 고정보울트로서 부착시키도록된 수단이 갖추어져있고 이는 또 다른 형판넬등에 연결시키기 위한 체결장치가 갖추어져 있으며, 또한 독일 특허 제2201050호에는 형판넬의 콘크리트에 접하지 않는 쪽의 면에 사각형의 각목을 체결시키기 위한 클램핑수단이 공지되어있는 바, 이 클램핑 수단은 종래의 방축띠장으로 된 클램프를 제거하는 대신에 보울트에 의해 형판넬의 웨브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결속되게 되는 인장띠와 같은 고정부재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들은 형판넬을 상호 튼튼하게 연결시키는 하지만 종방향으로의 연결은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형판넬이 상호 연결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의해 상기 판넬의 면이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거푸집 구조는 보울트를 사용하여 체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형판넬을 정확하게 베열시키고 또 다른 거푸집 부품과의 배열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 작동유극이 거의 없어서 지형적인 조건이 좋지 아니한 곳에서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고, 형판넬의 선단과 웨브가 약간 뒤틀리게 되면 연장을 사용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이에 따라 거푸집 구조를 똑바로 잡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뿐 아니라 조립하는 데에도 상당히 힘이 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형판넬을 재빨리 연결시킬 수 있고, 또 형판넬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키거나다른 부분에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결장치를 갖춘 거푸집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체결장치의 일부분으로서 자석을 이용하고 있는바, 자석은 서로 대향하는 접촉면을 단지 접촉만 시켜주면 서로를 결속시켜주는 힘이 발생되기 때문에 종래의 보울트를 끼워놓은 다음 조이도록 된 기계적인 체결장치에서 야기되던 문제점을 배제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거푸집 구조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형판넬을 용이하게 결속 지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측면에 결속용 자석이 설치된 지지부재로서 콘크리트속에 파묻히게 되는 구조부재를 강철로된 거푸집 구조에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 독일 특허공개 제2323797호로 공지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단지 일시적으로 거푸집 구조속에 고정되어 있을 뿐 거푸집구조 자체에 속해 있지 않은 상기 구조부재는 결국 콘크리트속에 파묻히게 되어 나중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로서 남게되고, 또 상기 구조부재는 거푸집 구조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에 연결시키기 위한 체결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것이다.
상기 형판넬의 연결단의 단면을 서로 끼워 결합시키도록 하므로서 콘크리트의 접촉면에 대해 종방항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할 수가 있고, 이와 같이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은 연결단의 결합단면에 의해 흡수되어지는 한편 상기 자석은 연결단을 서로 결속 지지하여 주게 된다.
상기한 바의 연결단의 결합단면은 예컨데, 돌출삽입부와 홈이 서로 결합되게 하는 형태로 할수 있으며, 이와 같은 단면의 형태는 연결단의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시킬 수도 있고, 서로 관련되는 부분만큼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자석에 의한 연결을 돕기 위해 기계적으로 고정된 보강재를 설치할 수도 있는바, 이러한 보강재는 거푸집 구조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 필요하고, 또 개개의 형판넬이 자력으로 연결됨에 따라 가해지는 인력을 흡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강재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거푸집 구조를 튼튼하게 하는 이외에 기타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하게 되는데 연결된 형판넬을 자력으로 지지하는 힘을 돕고 보강재의 방향을 따라 가해지고 상기 자석에 의해 지지력보다 큰 하중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자석은 형판넬의 연결단에 분리가능하도록 삽입되게 되는데 자석이 삽입되는 부분을 한쪽의 형판넬에만 형성시키는 것이 아니라, 연결되는 반대쪽의 형판넬에도 형성시키므로서 양쪽에 설치된 자석에 의해 자력이 배가되어 결속지지력이 휠씬 커지게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형판넬에 연결되게 되는 형판넬에 자성의 금속판이나 웨브(여기서 웨브가 더 바람직함)를 설치할 수도 있는바, 이 경우에 각각의 자석에 의한 결속력이 약해지기는 하지만 이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자석을 한쪽의 형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웨브에 삽입시킬 수가 있고 특히 이러한 방법은 보강재를 부가적으로 설치해야 할 거푸집 구조에 적절하다.
여러가지 다른 변형의 실시예로서 형판넬의 웨브 그 자체를 바로 자석으로 하고, 여기에 연결되게 되는 이웃하는 형판넬의 웨브를 자성이 있는 재료로 하던지 또는 극성이 서로 다른 막대자석의 형태로 할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웨브의 단면형태를 적절하게 하므로서 결합지지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면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자성웨브를 갖춘 형판넬을 만들기도 쉽고 또 웨브의 자석을 설치할 부분에 자석이 충분하게 파묻힐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 요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함으로서 이웃하는 형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웨브를 직선형으로 부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되어지는 자석은 형판넬의 웨브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속에 분리가능하도록 설치시키는 것이 좋은데, 이때의 자석결합수단은 클립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자석을 콘크리트면에 직접 접하지 않는 형판넬의 뒷쪽면에 삽입 또는 설치할 수도 있는 바,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다른 부가적인 부품들을 고정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석에 의한 체결장치 이외에 자성의 웨브와 판넬의 뒷쪽부분에 기계적인 체결장치와 같이 구멍과 단면이 후크형으로 된 웨브롤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기계적인 체결과 자석에 의한 체결을 병합하여 이용하자는 것이고, 자석에 의한 체결은 조립이 빠르고 간단하며 임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하며 기계적인 방법에 의한 체결은 자석에 의한 지지력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비례적으로 커야할 필요가 없이 하중에 따른 지지력을 보상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한 바의 모든 실시예의 거푸집 구조에는 자석에 의한 결속 및 지지력이 갖추어져 있는 바, 필요한 경우에는 연결부의 단면의 결합과 보강재등에 의해 임의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기계적인 체결장치에 의해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거푸집 구조는 어떠한 상황하에서도 쉽게 조립할 수도 있고, 기계적인 체결장치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별도의 체결위치에 사용하고 이는 추가적인 비용의 부담이 소요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고도로 개발된 자석을 이용하므로서 거푸집을 간단하고 재빠르게 조립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구조는 개개의 형판넬(1)이 선단부(2)에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하므로 콘크리트의 구조물에 직접 접하게 되는 연속적인 면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의 3가지 실시예가 제1도에서부터 제4도에까지 나타내어져 있는바, 형판넬(1)의 선단부(2)를 연결시키는 결속장치는 자석(3)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에는 형판넬(1)의 연결 선단부(2)가 서로 끼워 맞추어져 거푸집에 대해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의 연결선단부(2)의 단면은 돌출삽입부와 요홈이 서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2)에는 자석(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 삽입부와 요홈은 형판넬 가장자리의 전체길이에 걸쳐 형성시킬 수도 있고 일부분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제1도에는 얇은 형판넬(1) 내부에 자석(3)과 돌출삽입부 및 요홈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나, 제2도는 콘크리트에 접하지 않는 형판넬(1)의 뒷면쪽으로 웨브(4)가 돌출되어 여기에 양쪽 형판넬을 연결시키기 위한 자석(3)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웨브(4)가 부가적인 체결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 웨브(4)의 형상은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할수 있지만 형판넬(1)의 표면에 대한 종방향으로도 체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도는 자석(3)을 지지하는 웨브(4)에 자석(3)이 설치되게 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것으로서 여기서의 요홈의 깊이는 자석(3)이 완전하게 파묻힐 수 있는 정도로 하고 이렇게 함으로써 이웃하는 형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웨브를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의 판넬로 할 수가 있게 된다.
제3도의 자석(3)이 설치되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제4도는 자석(3)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서 자석(3)은 크립(6)에 의해 웨브(4)의 요홈부(5)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러한 크립(6)과 이에 의한 연결상태는 제4도에서 자세히 도시되어져 있다.
상기한 바의 모든 경우에 자석에 의한 연결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계적으로 결속되는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는바, 이때의 보강재는 거푸집 구조를 튼튼하게 하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공통적인 사항은 자석(3)을 갖추고 있는 형판넬에 연결되게 되는 이웃하는 형판넬에는 자석이 설치되는 부분에 자성판이나 웨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성이 있는 웨브(4)를 설치해 놓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자석(3)을 한쪽의 형판넬(1)속에 삽입시키고 이웃하는 형판넬에도 막대자석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바와 다른 실시예로서 한쪽 형판넬(1)의 웨브(4) 그 자체를 자석으로 함으로서 이웃하는 형판넬의 웨브를 여기에 연결시킬 수가 있는바, 이때의 이웃하는 웨브는 자성이 있는 물질로 만들던지 극성이 다른 자석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제3도에는 형판넬(1)의 뒷면에 부가적인 웨브(7)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때의 웨브(7)는 형판넬(1)의 지지면을 적당하게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고, 또 콘크리트에 접하지 않는 뒷면에 자석을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자석에 의한 자력을 이용함으로서 다른 부가적인 부품을 고정연결시킬 수가 있다. 이때의 부가적인 부품은 사각형의 각봉이나 브래킷트 및 지지구 등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에 의한 결속력 이외에 더욱더 결속력이 필요하게 되면 웨브(4)와 형판넬(1)의 뒷면에 구멍을 뚫거나 단면이 후크형으로 된 웨브 또는 기타 다른 기계적인 체결장치를 사용하여 큰 하중을 지탱할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의 모든 경우에의 거푸집 구조는 재빨리 조립하여 세울수가 있는데 이는 각각의 판넬을 서로 접촉시키기만 하면 자석에 의해 서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에는 자력과 하중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충분하지만, 하중이 자력을 능가하게 되는 경우에는 보강재나 클립 또는 보울트 유니온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계적 수단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나, 이들은 단지 상기 자력을 뒷받침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순수하게 기계적인 연결만 하는 경우보다 기계적인 연결수단이 적게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보강재가 필요한 경우일지라도 형판넬을 서로 지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수단의 설치에 부가적인 비용이 소요되지않게 되는데, 이는 자력이 충분하고 또 상기 자력을 초과하는 하중은 보강재에 의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12)

  1. 선단부(2)를 서로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형판넬(1)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판넬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연결시키거나 거푸집의 또다른 부분에 연결시킬 수 있게 체결장치를 구성하고 그 체결장치중 적어도 일부를 자석(3)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판넬(1)을 결합시키는 선단부(2)의 단면이 형판넬(1)의 종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서로 끼워맞춰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3. 제2항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는 선단부(2)의 단면이 돌출삽입부와 요홈의 결합으코 이루어지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4. 제1항에 있어서, 자석(3)에 의한 결속력을 돕기위해 보강재로 된 기계적인 체결장치가 갖추어져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자석(3)이 서로 부합하는 형판넬의 선단부에 분리할 수 있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6. 제5항에 있어서, 자석(3)이 한쪽 판넬에 삽입설치되고 이와 이웃하는 형판넬에는 반대방향으로된 막대자석이 삽입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7. 제5항에 있어서, 자석(3)이 설치되어 있는 형판넬에 부착되는 이웃하는 형판넬에는 상기 자석이 설치되어 있는 곳과 부합하는 곳에 자성의 금속판이나 웨브(4)등이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8. 제7항에 있어서, 한쪽 형판넬(1)의 그 자체가 자석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웃하는 형판넬의 자성의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반대극성을 가진 자석봉으로된 웨브가 상기 자석형태로 된 웨브에 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을 수용하는 웨브(4)에는 자석(3)이 설치될 장소에 요홈부(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5)의 깊이는 자석이 완전하게 파묻힐 정도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형판넬에 설치되어 있는 웨브가 직선형태로 부착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0. 제9항에 있어서, 자석(3)이 크립(6)등에 의하여 형판넬의 웨브(4)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5)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1. 제10항에 있어서, 자석(3)이 콘크리트벽에 접하지 않는 뒷면에 삽입 또는 부착설치되어서 기타 다른 부가적인 부품들을 상기 자석에 의한 자력으로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12. 제10항에 있어서, 자석(3)에 의한 체결장치 이외에 웨브(4)와 형판넬(1)의 뒷면에 기계적인 체결장치와 같은 구멍 또는 단면이 후크형인 웨브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KR1019870003620A 1986-04-16 1987-04-15 자석이 부착된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 KR9100025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63612742 DE3612742A1 (de) 1986-04-16 1986-04-16 Schalung mit zusammenfuegbaren schaltafeln
DEP3612742.6 1986-04-16
DE3612742.6 1986-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266A KR870010266A (ko) 1987-11-30
KR910002587B1 true KR910002587B1 (ko) 1991-04-27

Family

ID=629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620A KR910002587B1 (ko) 1986-04-16 1987-04-15 자석이 부착된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768748A (ko)
EP (1) EP0241720B1 (ko)
JP (1) JPS62244959A (ko)
KR (1) KR910002587B1 (ko)
AT (1) ATE56070T1 (ko)
AU (1) AU598242B2 (ko)
CA (1) CA1282978C (ko)
DE (2) DE3612742A1 (ko)
DK (1) DK200587A (ko)
EG (1) EG18028A (ko)
ES (1) ES2016813B3 (ko)
FI (1) FI871671A (ko)
IL (1) IL82196A0 (ko)
MY (1) MY100501A (ko)
NO (1) NO166011C (ko)
PT (1) PT84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24872C1 (de) * 1987-07-28 1988-10-27 Maier Josef Befestigungsklammer zum Verbinden der Randstege von Schaltafeln
US6056526A (en) * 1994-11-30 2000-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ing tool for sealant material
US6110402A (en) * 1998-02-25 2000-08-29 Press Seal Gasket Corporation Magnetically attached hole form
US6553724B1 (en) * 2000-05-05 2003-04-29 Robert A. Bigler Panel and trade show booth made therefrom
FI5309U1 (fi) * 2002-02-04 2002-04-04 Addtek Res & Dev Oy Ab Valumuotin laitojen kiinnitysjärjestely
US7690158B2 (en) * 2003-10-09 2010-04-06 Angeles Corporation Sight and sound barrier
US20060248825A1 (en) * 2005-04-09 2006-11-09 Robert Garringer Panelized Log Home Construction
FI20050583A (fi) * 2005-06-01 2006-12-02 Elematic Oy Ab Laitajärjestelmä valumuottiin
FI125405B (fi) * 2008-04-29 2015-09-30 Elematic Oyj Valumuotin laitarakenne
KR200450237Y1 (ko) 2008-05-07 2010-09-1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동바리 수직 검측기
DE102009046689A1 (de) * 2009-11-13 2011-05-19 Peri Gmbh Schalungselement
FI20105685A (fi) * 2010-06-15 2011-12-16 Elematic Group Oy Valumuotin laitayksikkö sekä laitayksikön irrotusyksikkö
CN104278833B (zh) * 2014-10-29 2016-07-06 潘庆功 一种建筑模板体系
WO2021046036A1 (en) * 2019-09-04 2021-03-11 Illumina, Inc. Enclosures and corresponding magnetic joints
NL2024325B1 (en) 2019-09-04 2021-04-13 Illumina Inc Enclosures and corresponding magnetic joints
CN111424977A (zh) * 2020-03-02 2020-07-17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安装结构
CN113086927A (zh) * 2021-06-07 2021-07-09 江苏尚纯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单次灌装多桶型称重装置
CN113356067B (zh) * 2021-06-21 2022-11-15 重庆市江津钢模有限责任公司 一种支撑性好的路桥钢模结构
CN115450253A (zh) * 2022-09-08 2022-12-09 北京市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采用电磁锁固和导磁对拉固定技术的混凝土模板
KR102618793B1 (ko) * 2022-12-01 2023-12-27 유병문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00543A (en) * 1946-03-21 1948-04-12 Herbert Charles Huis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orms for use as shuttering in constructional work in concrete
DE836854C (de) * 1950-09-21 1952-04-17 Ludwig Jubitz Dipl Ing Hoelzerne Schaltafeln
US2845685A (en) * 1956-08-30 1958-08-05 Einar C Lovgren Concrete wall form joint
FR2092889B2 (ko) * 1970-06-29 1976-07-23 Wamant Serge
DE2137505C3 (de) * 1971-07-27 1980-11-20 Josef 7611 Steinach Maier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aneinander grenzenden Schaltafeln
DE2203999C3 (de) * 1972-01-28 1980-06-12 Josef 7611 Steinach Maier Abschlußvorrichtung für die Rander von Schaltafeln o.dgl
SU476991A1 (ru) * 1972-03-20 1975-07-15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ый институт типового и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го проектирования жилища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агнитного креплени бортов к поддону формы при изготовлени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изделий
DE2323797A1 (de) * 1973-05-11 1974-11-28 Bernt Von Zur Dr Muehlen Halteelement zum anbringen von einzubetonierenden bauteilen an stahlschalungen
FR2538049B1 (fr) * 1982-12-17 1986-04-25 Sauveplane Francois Dispositif pour assembler, de maniere amovible, un element avec un autre dont l'un au moins est partiellement metallique
FR2552145B1 (fr) * 1983-09-15 1986-05-23 Quille Entreprise Dispositif de maintien d'un element de reservation ou d'arret de coulage sur un element de coffrage metall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82978C (en) 1991-04-16
ATE56070T1 (de) 1990-09-15
PT84632B (pt) 1989-11-30
FI871671A (fi) 1987-10-17
JPS62244959A (ja) 1987-10-26
DE3612742A1 (de) 1987-11-05
NO871613D0 (no) 1987-04-15
AU598242B2 (en) 1990-06-21
DE3764513D1 (de) 1990-10-04
US4768748A (en) 1988-09-06
PT84632A (de) 1987-05-01
NO166011C (no) 1991-05-15
EP0241720A2 (de) 1987-10-21
MY100501A (en) 1990-10-30
EP0241720B1 (de) 1990-08-29
DK200587D0 (da) 1987-04-15
DK200587A (da) 1987-10-17
ES2016813B3 (es) 1990-12-01
NO166011B (no) 1991-02-04
EG18028A (en) 1991-11-30
FI871671A0 (fi) 1987-04-15
IL82196A0 (en) 1987-10-30
EP0241720A3 (en) 1988-09-07
AU7051387A (en) 1987-10-22
DE3612742C2 (ko) 1988-02-25
NO871613L (no) 1987-10-19
KR870010266A (ko) 198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2587B1 (ko) 자석이 부착된 판넬로 이루어진 거푸집
SK11582002A3 (sk) Upínacie zariadenie
SK64196A3 (en) Shuttering panel with edge struts made from a flat extruded section
ATE38259T1 (de) Verbindungs- und druckverteilungselement fuer betonbauteile.
US4189890A (en) Panel joint
KR20040081683A (ko) 긴장력을 이용한 형강 부착용 클램프
JPH0748875Y2 (ja) 鋼製足場板の接続構造
KR101983102B1 (ko) 패널 고정 어셈블리
KR20130087953A (ko) 장선 및 멍에부재가 일체화된 보강패널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조립체
KR200171041Y1 (ko) 건축공사용 지지봉의 결합장치
JPH0316995Y2 (ko)
JPS6114489Y2 (ko)
KR200163883Y1 (ko) 방음벽판 체결구
JP3870383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形成用型枠の組立構造
JP3557971B2 (ja) ケーブルラックのセパレータ連結構造
JPH05132912A (ja) 中空板材の留付工法
JP3548859B2 (ja) 屋根材取付装置
JPH065446Y2 (ja) コンクリート製の床パネルの梁への取付構造
JPH0240192Y2 (ko)
JP4082838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接続装置
JPH0625533Y2 (ja) 玄関ポーチの構造
JP2992019B1 (ja) 仮囲いパネルの取付構造
KR940021863A (ko) 건축용 미장타일 부착방법
SU979731A1 (ru) Крепежный элемент
KR200143604Y1 (ko) 꺽임천정용 바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4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