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60B1 - 지폐출납기 - Google Patents

지폐출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60B1
KR910001260B1 KR1019870011897A KR870011897A KR910001260B1 KR 910001260 B1 KR910001260 B1 KR 910001260B1 KR 1019870011897 A KR1019870011897 A KR 1019870011897A KR 870011897 A KR870011897 A KR 870011897A KR 910001260 B1 KR910001260 B1 KR 910001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deposit
route
banknotes
re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543A (ko
Inventor
에이이찌 요시가와
에이사꾸 사노
Original Assignee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이께베 이와오 filed Critical 로우렐 뱅크 머시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6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dropp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2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faulty articles from the main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20Belts
    • B65H2404/26Particular arrangement of belt, or belts
    • B65H2404/261Arrangement of belts, or belt(s) / roller(s) facing each other for forming a transport n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폐출납기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지폐출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입금지폐수납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집적휠 구동기구의 측면도.
제3도는 환류지폐보관부 근방의 측면도.
제4도는 지폐출납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인취구(인취장치)
3 : 셔터 4 : 출납구
4a : 탑재판 4b : 종판
5 : 입금지폐송출기구 6 : 감별 루우트
7 : 감별부 8 : 제1포우크
9 : 공통 루우트 10 : 제2포우크
11 : 집적 루우트 12 : 리젝트루우트
13 : 지폐반송장치 14 : 일시보관용 집적휠
15 : 집적이송기구 16:탑재판
17 : 리젝트구 18 : 입금루우트
18a,18b : 지폐송출벨트 18c : 안내가이드
19 : 제3포우크 20 : 환류지폐용 집적휠
20a : 날개 21 : 환류지폐보관부
21a : 송출구 22 : 입금지폐수납장치
23 : 입금지폐수납용 집적휠 23a : 날개
24 : 입금박스 24a : 상부개구
25 : 환류지폐용 송출장치 26 : 출금 루우트
27 : 출금지폐수납장치(출금박스) 28 : 출금지폐용 송출장치
29 : 제4포우크 30 : 앞문짝
31 : 지지편 32 : 회전축
33 : 브래킷 33a : 상부지지측판
33b : 하부지지측판 33c : 노치
33d : 노치 34:지지핀
35 : 집적검지센서 36 : 손잡이
37 : 집적휠구동기구 38 : 타이밍벨트
39 :회전구동계 40 :구동풀리
41 :중간풀리 42 : 상부풀리
43 : 하부풀리 43a : 지지축
44 : 풀리지지부재 45 : 걸림핀
46 : 스프링 47 : 구동로울러
48 : 누름판 48a : 축
49 : 탑재판 50 : 전면판
51 : 위치결정판 52 : 지폐량검지센서
53 : 누름레버 53a : 축
54 : 도입부 55A, 55B : 반송벨트
56 : 반송벨트
본 발명은 입금지폐의 일부를 출금지폐로서 이용하는 지폐출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체의 앞문짝에 지폐수납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기체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지폐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폐의 출납을 효율좋게 행하기 위하여는 입금지폐의 일부를 출금지폐로서 재 이용하는 소위 순환형의 지폐출납기가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순환형의 지폐출납기로서 예컨대 특개소 58-03939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고, 입금시에는 입금지폐를 판별부(감별 루우트)에 보내서, 이상의 유무를 감별하고, 정상인 지폐를 받아서, 그의 적어도 일부를 출금용 지폐로서, 재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지폐출납기 또는 입금지폐 혹은 출금용 지폐를 수납하는 복수의 박스를, 기체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꺼낼 수 있게 함으로써, 지폐의 취급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지폐에 어떤 장애가 생겼을때의 점검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러나, 지폐수납용 박스를 순차적으로 꺼낼 수 있는 구조이면, 기체의 앞문짝을 열므로써, 꺼낼수 있기 때문에, 깊숙한 곳의 박스에 있어서의 지폐의 취급을 행하는 경우는, 해당되는 박스의 부분까지 꺼내는 것이 필요하고 그때문에 작업 스페이스가 크게 되기 쉽고, 또 해당되는 박스의 앞에 존재하는 다른 박스는 작업의 장애가 되기 쉽다고하는 문제점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유효하게 해결하는 것으로 앞문짝의 개폐조작에 의해 지폐수납소의 개방이나 지폐의 점검, 지폐의 추가 투입등을 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지폐수납소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에 따르면 입금지폐를 감별 루우트에 보내서 감별된 지폐의 일부를 출금용 지폐로서 수납하여 두는 환류지폐보관부를 구비하고 있는 지폐출납기로서, 기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앞문짝을 설치하고, 이 앞문짝에 입금 루우트에서 상부 개구를 경유해서 떨어지는 입금지폐를 받아서 수납하기 위한 입금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내용에 입금지폐를 지폐 감별 루우트로 보내고 출납지폐로 진성권, 또는 위조전으로 감별된 일부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환류지폐보관부를 가진 지폐출납기가, 앞문짝에 입금 루우트에 있어서의 반송로의 선단에 위치해서, 이 반송로에서 송출되는 지폐를 복수의 클릭사이에 끼워서 집적시키는 집적휠과, 이 집적휠로 집적된 지폐를 상부개구를 경유해서 받고 수납하기 위한 입금박스를 나란히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한 내용에 추가하여 입금지폐를 지폐 감별 루우트로 보내고 출납지폐로서 진성권 또는 위조전으로 감별된 일부 지폐를 집적하기 위한 환류지폐보관부를 가진 지폐출납기가, 앞문짝의 내면에 입금지폐를 받아서 수납하기 위한 지폐수납장치를 설치해서 이루어지고, 이 지폐수납장치의 후방에 상기 환류지폐보관부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출납기의 일실시예에서 입금지폐가 감별 루우트에 보내져서, 정상인가 아닌가의 감별이 이루어지고, 진성권으로 감별된 입금지폐의 일부를 출금용지폐로서 환류지폐보관부에 수납하여 둠과 동시에, 다른 정상인 입금지폐를 입금 루우트를 경유해서, 앞문짝의 입금박스의 상부에 반송하고, 떨어뜨김으로서 상부개구에서 입금박스의 속에 수납하고, 또 입금박스를 앞문짝과 같이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입금 루우트와 입금박스와의 사이에 끼워진 집적휠에 의해 입금 루우트에서 송출되는 입금지폐를 집적휠의 날개의 사이에 끼워서 회전하고, 그의 회전 도중에서 긁어내리고, 입금지폐를 집적시킴과 동시에 입금박스의 상부 개구를 경유해서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앞문짝의 개폐에 의해 동시에 지폐수납장치가 개폐됨과 동시에 앞문짝을 열므로써 그의 뒤의 기체내부의 전부가 개방되어서, 내부의 환류지폐보관부의 점검, 지폐의 보충등의 작업을 행할수 있는 상태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과 또다른 유용성은 부수된 도면에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명백하여 질 것이다.
우선, 제4도에 의거해서, 지폐출납기 전체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지폐출납기의 일반적인 구성은 종래의 것과 유사하며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지폐출납기는 1,000원권, 5,000원권, 10,000권의 입금지폐의 모든 형에서의 출금을 위하여 1,000원권만을 환류하며 재사용하는 형태의 것이다.
입금지령이 있었을 경우는 기체(1)에 설치된 인취구(인취장치) (2)의 셔터(3)가 작동해서 출납구(4)를 개방한다.
입금이 있으면 입금지폐용 송출기구(5)에 의해 입금지폐가 감별 루우트에 의해 감별부(7)에 반송된다. 감별된 지폐는 제1포우크(8)에 의해 공통 루우트(9)에 안내된다.
감별부(7)에 있어서 진성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제2포우크(10)에 의해 집적 루우트(11)에 안내되고, 또 위조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리젝트 루우트(12)에 안내된다.
집적 루우트(11)의 지폐는 지폐반송장치(13)에 있어서의 일시 보관용 집적휠(14)에 의해, 집적이송기구(15)의 일부를 이루는 탑재판(16)위에 차례로 집적되고, 또 리젝트 루우트(12)의 지폐는 리젝트구(17)에 보내진다.
탑재판(16)위의 지폐는 출납구(4)의 상방까지 이송된 후, 다시 출납구(4)위에 떨어져, 도시를 생략한 지폐누름장치에 의해 눌려서 적당한 압력을 가한 상태로, 입금지폐용 송출장치(5)에 의해 감별 루우트(6)에 반송된다.
감별부(7)에 있어서 (만원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제1포우크(8)에 의해 입금 루우트(18)에 안내되고, 제3포우크(19)에 의해 환류지폐용 집적휠(20)을 경유해서 환류지폐보관부(21)에 보내진다.
또, (만원권)이외의 지폐는 제3포우크(19)에 의해 입금지폐수납장치(22)에 안내되고, 입금지폐수납용 집적휠(23)에 의해 입금박스(24)에 수납된다.
한편, 출금지령이 있었을 경우는 (만원권)에 대하여는 상기 환류지폐보관부(21)에서 환류지폐용 송출장치(25)에 의해 출금 루우트(26)에 송출되고, (만원권)이외의 지폐(예컨대 천원권)는 미리 출금지폐수납장치(출금박스)(27)에 준비하여 두고, 출금지폐용 송출장치(28)에 의해 출금 루우트(26)에 송출된다.
이들의 출금용 지폐는 그의 도중에 있어서 2중 송출등을 검출하도록 해서 이상이 인정되는 경우는 제4포우크(29), 입금 루우트(18), 제3포우크(19)에 의해 입금지폐수납장치(22)에 있어서의 입금박스(24)에 되돌려지고, 이상이 없을 경우는 제4포우크(29)에서 공통 루우트(9)에 반송되고, 또한 제2포우크(10)에 의해 집적 루우트(11)에 안내되고, 지폐반송장치(13)에 있어서의 일시보관용 집적휠(14)에 의해, 집적이송기구(15)의 탑재판(16)위에 차례로 집적되고, 소요금액의 집적 완료후에 집적이송기구(15)를 작동시켜서 출납구(4)에 떨구고, 셔터(3)를 개방함으로써, 출금지폐의 사용자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지폐출납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입금지폐수납장치(22)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폐(1)의 전부에 내부를 개방하는 앞문짝(30)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앞문짝(30)의 이면에 입금 루우트(18)에 있어서의 반송로의 선단에 있어서의 제3포우크(19)에 의해, 전방으로 나누어진 지폐(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반원권 이외의 지폐))가, 지폐송출벨트(18a)에서 송출된 경우에 그의 선단의 약간 하부위치에서 수취해서 집적시키기 위한 상기 입금지폐용 집적휠(23)과, 이 집적휠(23)에서 집적된 지폐를 수취해서 수납하기 위한 입금박스(24)를 설치해서 이루는 기본 구조이다.
그리고, 입금지폐용 집적휠(23)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문짝(30)의 이면(내면)에 한쌍의 지지편(31)을 내향상태로 또한 일체로 설치하여 두고 이들 지지편(31)사이에, 회전축(32)이 지지되어서 회전 자유롭게 되는 것이고, 후술하는 회전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송출된 지폐가 날개(23a)의 사이에 삽입되고, 지폐는 날개(23a)에 의해 끼워지면서, 제1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시생략의 긁어내림부재에 의해, 지폐를 날개(23a)에서 이탈시켜서 떨구고, 집적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입금박스(24)는 앞문짝(30)의 이면에 있어서의 지지편(31)보다도 하방 위치에 한쌍의 브래킷(33)을 내향상태에 설치하여 두고, 이들 브래킷(33)의 상부지지측판(33a)과 하부지지측판(33b)에 상향의 노치(33c, 33d)가 형성되어서, 이들 노치(33c, 33d)에 입금박스(24)의 좌우 외측부의 2개의 지지핀(34)을 걸어맞춤으로서 붙이고 때기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또, 제1도에 있어서는 부호 24a는 지폐를 투입 낙하시키기 위한 상부개구, 부호 35는 입금박스(24)에 있어서의 지폐량의 상한을 검지하기 위한 집적 검지센서, 36은 손잡이이다.
또한, 제2도는 입금지폐용 집적휠(23)을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집적휠 구동기구(37)를 도시한 것이고, 이 집적휠 구동기구(37)는 모우터등의 구동원이 기체(1)에 고정상태로 설치되어서, 타이밍벨트(38)를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함으로써, 앞문짝(30)을 닫은 상태로, 입금지폐수납용 집적휠(23)을 회전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집적휠 구동기구(37)는 앞문짝(30)을 닫은 상태로의 입금지폐용 집적휠(23)의 측부의 내측근방위치에 나란히 설치되고, 기체(1)의 적당위치에 설치된 모우터등의 회전구동제(39)에 구동풀리(40)가 연결되어서, 복수의 중간풀리 (41), 상부풀리(42), 하부풀리(43)에 감겨진 상기 타이밍벨트(34)가 주행시켜짐과 동시에 양풀리(42, 43)가 풀리지지부재(44)에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풀리지지부재(44)가, 하부풀리(43)의 지지측(43a)에 의해 기체(1)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풀리지지부재(44)의 근방에는 기체(1)에 일체의 걸림핀(45)이 설치되고, 이 걸림핀(45)과 풀리지지부재(44) (도시예에서는 상부풀리(42)의 축)의 사이에 스프링(46)이 걸려서 탄성력에 의해 상부풀리(42)를 전방, 다시말해, 타이밍벨트(38)를 입금지폐수납용 집적차(23)에 있어서의 회전축(32)과 일체 회전하는 구동로울러(47)에 긴밀하게 접촉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타이밍벨트(38)에 장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타이밍벨트(38)의 구동력이 회전축(32)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서, 제3도에 의거하여, 상기 환류지폐용 집적휠(20)와 환류지폐용 보관부(21)와, 이들의 근방에 설치되는 기기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환류지폐용 집적휠(20)는 입금 루우트(18)에 있어서의 반송로의 선단에 있어서의 제3포우크(19)에 의해, 하방으로 나누어진 지폐(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만원권)가 지폐송출벨트(18b)에 의해 반송로에서 송출된 경우에, 그의 하방 위치에서 받아서 집적되는 것이고, 도시생략의 기동원에 의해 제3도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송출된 지폐가 날개(20a)의 사이에 삽입되어 지폐를 날개(20a)에 의해 끼우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이하에 기술하는 환류지폐보관부(21)의 누름판(긁어내림판을 겸용하고 있다)(48)을 이용해서 지폐를 날개(20a)에서 이탈시켜서 떨어지고, 환류지폐보관부(21)에 집적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 환류지폐용 보관부(21)는 상기 입금지폐수납(22)의 내방위치에 병렬상태에 설치되는 것이고, 지폐수납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기체(1)의 후단측에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면 상태의 탑재판(49)과 기체(1)의 전측에 위치해서 도시생략의 개폐 문짝을 구비하고 있는 전면판(50)과, 상기 누름판(48)을 위치결정해서 지지하기 위한 위치결정판(51)에 의해 구성되고, 탑재판(49)의 후단(제3도에서 우단)에는 보관하고 있는 지폐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구(21a)가 열려져 있다.
상기 탑재판(49)에서 약간 상방으로 떨어진 위치에는 누름판(48) 뜨는 위치결정판(51)에 단부를 맞닿게해서 중적상태로 되어 있는 지폐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지폐량 검지센서(52)가 설치된다.
이 지폐량 검지센서(52)는 탑재판(49)에 중적상태로 되어 있는 지폐가 일정 매수 이하로 된것을 검출했을 때에, 배부에 위치하고 있는 누름 레버(53)를 도시생략의 구동기구에 의해 축(53a)을 회동중심으로해서 전방으로 회동시켜, 제3도의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탑재판(49)으로 향해서 지폐의 상면을 누르는 것이고, 축(48a)을 회전 중심으로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이다.
또, 탑재판(49)의 위에 충분한 양의 지폐가 중적상태로 보관되어 있는 경우는 지폐의 자중에 의해 의해 부의 지폐가 탑재판(49)에 눌린상태로 되기때문에 통상의 상태로는 누름판(48)이 제3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후퇴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기타의 구성기기등에 대하여 보충 설명한다.
상기 인치구장치(2)는 셔터(3)에 대하여 하방구배로 경사된 탑재판(4a)과, 종판(4b)에 의해 상기 출납구(4)가 구성되어서, 탑재판(4a)상에 얹어진 집적지폐의 단부를 종판(4b)에 의해 나열되도록 되어 있고, 이들 탑재판(4a)과 종판(4b)과의 사이에는 지폐를 송출하는 개구(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별 루우트(6)는 입금지폐용 송출기구(5)의 후방에 1매씩 거두어들여진 지폐를 수취하고 반송하는 도입부(54)를 통해서 연설되어 있고, 지폐를 1매씩 반송벨트(55A, 55B)에 의해 끼운 상태로 수평으로 반송하면서 감별부(7)에 의해 진위, 액수종류등의 감별, 및 계수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입금 루우트(18)는 감별 루우트(6)를 구성하고 있는 반송벨트(55A, 55B)중의 하측의 반송벨트(55A)와 여기에 대치한 반송벨트(56)에 의해 구성되고, 이들의 사이에 지폐를 끼워서 감별 루우트(6)와는 역방향, 다시 말하여, 전방으로 반송해서, 상술한 제3포우크(19)에 의해, 환류지폐보관부(21) 또는 입금지폐수납장치(22)에 지폐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지폐출납기에 있어서(입금지폐분배처리), (기체내 지폐의 회수처리), (지폐의 장전처리)에 대하여 이하 보충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금지령이 나와서 인취구(2)에 입금지폐가 투입되면, 입금지폐가 감별 루우트(6)에 보내지고, 그의 반송도중에서 감별이 이루어진다.
진성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지폐반송장치(13)에서 집적 이송기구(15)에 인계되어서, 탑재판(16)의 위에 집적된다.
이들 집적지폐에 대해서, 계속 입금가하다는 지령이 나오면 탑재판(16)위의 지폐는 다시 출납구(4)위에 떨어지고, 다시 감별 루우트(6)에 반송되고 (만원권)이외의 지폐가 선별되어서, 제3포우크(19)에 의해 입금지폐수납장치(22)에 안내된다.
즉, (만원권)이외의 정상인 지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금 루우트(18)의 선단에 있어서, 지폐송출벨트(18a)와 안내가이드(18c)에 의해, 입금지폐가 경사진 하방으로 송출되어서 입금지폐용 집적휠(23)의 날개(23a)의 사이에 보내진다. 또, 앞문짝(30)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하는 집적휠구동기구(37)의 타이밍벨트(38)가 구동로울러(47)에 접촉해서 회전구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어, 회전구동계(39)에 의해 입금지폐수납용 집적휠(23)이 회전되면, 날개(23a)에 끼워진 입금지폐가 하방으로 유도되어서, 도시생략의 긁어내림부재에 의해, 입금지폐를 날개(23a)에 이탈시켜서 입금박스(24)의 속에 떨어뜨리고 수납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 (만원권)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출금용 지폐로서 재이용하기 때문에 환류지폐보관부(21)에 수납된다.
입금지폐수납장치(22)에 수납된 (만원권)이외의 지폐의 양은 집적검지센서(35)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집적검지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앞문짝(30)을 열고, 앞문짝(30)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는 입금박스(24)를 꺼낸다.
이 입금박스(24)는 손잡이(36)를 들어올리는 조작을 행하므로써 양 지지판(34)이 노치(33c, 33d)에서 빠져서, 앞문짝(30)에서 분리될수가 있고, 이 분리된 상태에 있어서, 입금지폐를 상부개구(24a)에서 들어내어 회수작업이 실시된다.
한편, 환류지폐보관부(21)의 (만원권), 혹은 출금지폐수납장치(27)의 (천원권)을 지폐출납기 자신의 기능을 이용해서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만원권)의 회수를 행하는 경우이면, 환류지폐보관부(21)의 지폐를 환류지폐용 송출장치(25)에 의해 출금 루우트(26)에 보내고, 제4포우크(29)에 의해 입금 루우트(18)에 인도해서, 제3포우크(19)에 의해 입금지폐수납용 집적휠(23)에 송출하고, 입금박스(24)에 수납한다.
그리고, 앞문짝(30)을 열므로써 입금박스(24)와 같이 회수하는 것이다.
또, 똑같이 (천원권)의 회수작업은 출금지폐용 송출장치(28)에 의해 출금 루우트(26)를 경유해서 (만원권)과 같이, 입금박스(24)에 전부를 수납해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다른 방법에 의해 회수할수도 있다.
요컨대 앞문짝(30)을 열어서, 출금박스(27) 그것을 기체(1)에서 분리하고, 꺼내는 방법이다.
출금용지폐를 기체(1)의 속에 준비하는 경우, (만원권)에 대하여는 인취구(2)에서 상술의 (입금 분배처리)에 준하여, 환류지폐보관부(21)에 보내는 방법을 채용할수 있으나, 앞문짝(30)의 개방에 의해 환류지폐보관부(21)에 직접적으로 장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앞문짝(30)을 열어서 환류지폐보관부(21)의 전방을 개방하고, 전면판(50)의 도시생략의 개폐문짝을 열고, 「만원권」을 투입하는 것이다. 또, 「천원권」에 대하여는 앞문짝(30)을 개방해서 출금지폐수납장치에 장전함으로써 간단하게 출금용 지폐를 준비할수가 있다.
그리고, 적당시기 혹은 상술한(기체내 지폐의 회수처리), (지폐의 장전처리)에 있어서, 앞문짝(30)을 열면, 기체(1)의 내부가 전방에서 향하는 상태로 되고, 다른 개소의 점검등을 실시할수가 있다.
일실시예에 대신해서 다음과 같은 실시예가 있다.
(i) 환류지폐보관부에 보관된 액수종류를 임의로 할것.
(ii) 환류지폐보관부의 수를 복수로 할것.
본 발명에 관한 지폐출납기는 이하와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① 입금지체를 감별 루우트에 보내서, 감별된 지폐의 일부를 출금용 지폐로서 수납하여 두는 환류지폐보관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기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앞문짝에, 입금 루우트에서 상부 개구를 경유해서 떨어지는 입금지폐를 받아서 수납하기 위한 입금박스를 나란히 설치해서 이루는 것이기 때문에 앞문짝을 여는 조작에 의해, 입금지폐수납장치를 전방으로 끌어내서 노출상태로 하고, 그의 점검이나 회수처리등의 지폐의 취급성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② 앞문짝을 열므로써 입금지폐수납장치로 꺼내지기 때문에, 그 후방에 위치하는 환류지폐보관부의 전방공간을 개방해서, 취급성을 높일수가 있음과 동시에 환류지폐보관부에 있어서의 지폐의 점검이나, 지폐의 추가투입등을 용이하게 실시할수가 있다. 또, 기체내부의 전방을 용이하게 개방할수가 있다.
③ 입금 루우트에 있어서의 반송로의 선단에 앞문짝에 지지된 집적휠을 배설해서 집적된 지폐를 입금지폐수납장치에 보내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지폐출납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수가 있다.

Claims (3)

  1. 입금지폐를 감별 루우트에 보내서, 정상으로 감별된 지폐의 일부를 출금용 지폐로서 수납하여 두는 환류지폐보관부를 구비하고 있는 지폐출납기로서 기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앞문짝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앞문짝의 내면에 입금 루우트에서 상부 개구를 경유해서 떨어지는 입금지폐를 받아서 수납하기 위한 입금박스를 나란히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납기.
  2. 입금지폐를 감별 루우트에 보내고, 정상으로 감별된 지폐의 일부를 출금용 지폐로서 수납하여 두는 환류지폐보관부를 구비하고 있는 지폐출납기로서 기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앞문짝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앞문짝의 내면에 입금 루우트에 있어서의 반송로의 선단에 위치해서, 이 반송로에서 송출되는 지폐를 복수의 날개사이에 끼운 상태로 회전시켜서 그의 도중에 긁어내림으로써 집적시키는 집적휠과, 이 집적휠로 집적된 지폐를 상부개구를 경유해서 받고 수납하기 위한 입금박스를 나란히 설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납기 .
  3. 입금지폐를 감별 루우트에 보내고, 정상으로 감별된 지폐의 일부를 출금용 지폐로서 수납하여 두는 환류지폐보관부를 구비하고 있는 지폐출납기로서, 기체의 내부를 개방하는 앞문짝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앞문짝의 내면에 입금 루우트에서 상부 개구를 경유해서 떨어지는 입금지폐를 받아서 수납하기 위한 지폐수납장치를 설치하여 이루고, 이 지폐수납장치의 후방에 상기 환류지폐보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출납기.
KR1019870011897A 1986-10-30 1987-10-26 지폐출납기 KR910001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258956 1986-10-30
JP61258956A JPH0766460B2 (ja) 1986-10-30 1986-10-30 紙幣入出金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543A KR880005543A (ko) 1988-06-29
KR910001260B1 true KR910001260B1 (ko) 1991-02-26

Family

ID=17327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897A KR910001260B1 (ko) 1986-10-30 1987-10-26 지폐출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63038A (ko)
JP (1) JPH0766460B2 (ko)
KR (1) KR910001260B1 (ko)
DE (1) DE3736235A1 (ko)
FR (1) FR2605998A1 (ko)
GB (1) GB21973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6458B2 (ja) * 1986-10-27 1995-07-19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EP0379638B1 (de) * 1989-01-26 1994-11-09 Mars, Incorporated Vorrichtung zur Annahme und Abgabe von Banknoten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JP3710137B2 (ja) * 1992-04-16 2005-10-26 マース,インコーポレィテッド 銀行券読取装置
US5662201A (en) * 1992-04-16 1997-09-02 Mars Incorporated Banknote reader
US5735516A (en) * 1992-05-27 1998-04-07 Mars Incorporated Apparatus for handling sheets
KR950701882A (ko) * 1992-06-01 1995-05-17 다카토시 다케모토 지폐 처리기의 불출 호퍼부 구조(dispensing hopper construction for bank note processing machine)
US6186339B1 (en) * 1999-03-25 2001-02-13 Cashcode Company Combination bill accepting and bill dispensing device
KR100596310B1 (ko) * 2004-02-13 2006-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장치
JP6492907B2 (ja) * 2015-04-10 2019-04-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3896A (en) * 1961-05-01 1963-04-02 Rhodes Inc M H Locking device
JPS5751643A (en) * 1980-09-11 1982-03-26 Laurel Bank Mach Co Ltd Paper money accumulating apparatus
JPS5810265A (ja) * 1981-07-10 1983-01-20 Toshiba Corp 通貨自動取引装置
JPS5839392A (ja) * 1981-09-02 1983-03-08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自動入出金機におけるスタツカ支持装置
JPS5930186A (ja) * 1982-08-06 1984-02-17 インタ−ナシヨナル ビジネス マシ−ンズ コ−ポレ−シヨン 自動預金・支払装置用紙幣収納機構
JPS59205693A (ja) * 1983-05-06 1984-11-21 オムロン株式会社 紙幣処理装置
JPS60100283A (ja) * 1983-11-04 1985-06-04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循環式紙幣入出金機
US4681229A (en) * 1983-12-12 1987-07-21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Note sorting and counting apparatus
US4726474A (en) * 1984-05-08 1988-02-23 Laurel Bank Machines Co., Ltd. Circulating-type bill depositing and disbursing machine
JPS60251487A (ja) * 1984-05-29 1985-12-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入出金口機構
JPH0766458B2 (ja) * 1986-10-27 1995-07-19 ロ−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JPH0659492A (ja) * 1992-08-05 1994-03-04 Brother Ind Ltd マイクロカプセルトナー
JP2811265B2 (ja) * 1992-08-14 1998-10-1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2698296B2 (ja) * 1992-08-28 1998-01-19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処理回路
JPH06118087A (ja) * 1992-10-06 1994-04-28 Hideo Namiki メトミオグロビンの還元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543A (ko) 1988-06-29
FR2605998A1 (fr) 1988-05-06
GB2197300A (en) 1988-05-18
US4863038A (en) 1989-09-05
DE3736235A1 (de) 1988-05-11
JPH0766460B2 (ja) 1995-07-19
GB8725242D0 (en) 1987-12-02
JPS63112324A (ja) 198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582B1 (ko) 지폐수납방출고
KR100323490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수납고
KR910001258B1 (ko) 지폐출납기
KR910001262B1 (ko) 지폐출납기의 지폐수납상자장치
KR910001260B1 (ko) 지폐출납기
JPS6145278B2 (ko)
JP2693749B2 (ja) 自動取引装置
JPS5972590A (ja) 紙葉類の集積・取出し装置
JPH0782570B2 (ja) 紙幣処理機
JP3697116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3499677B2 (ja) 循環式硬貨入出金機
JPH0672590A (ja) 紙幣処理装置
JP4011195B2 (ja) 紙幣入出金機
JPH089819Y2 (ja) 紙幣処理装置
JPH021651Y2 (ko)
KR0175306B1 (ko) 지폐입출금장치
JP2577808B2 (ja)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S60256894A (ja) 自動取引装置
JP2550333Y2 (ja) 紙幣入出金装置
JPH0511236Y2 (ko)
JPS59149563A (ja) 自動取引装置
JPS5946040B2 (ja) 自動預金機
JPS61117687A (ja) 貨幣処理装置
JPH05334518A (ja) 硬貨処理装置
JPH058681U (ja) 紙幣入出金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