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28B1 - 심전계(electrocardiograph) - Google Patents

심전계(electrocardiograp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28B1
KR910000428B1 KR1019890003278A KR890003278A KR910000428B1 KR 910000428 B1 KR910000428 B1 KR 910000428B1 KR 1019890003278 A KR1019890003278 A KR 1019890003278A KR 890003278 A KR890003278 A KR 890003278A KR 910000428 B1 KR910000428 B1 KR 91000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signal
electrocardiogram
signal
data
electrocardio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062A (ko
Inventor
다까시 수주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쓰지 하루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3Record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심전계(ELECTROCARDIOGRAPH)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심전계의 전체구조를 표시하는 블록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표시한 심전계의 작동순서를 표시하는 플로우챠트.
제3도에서 제5도까지는 기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설명도.
제6도는 이상 유무의 결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 심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센서 2 : 증폭기회로
3 : A/D 컨버터 5 : 제어회로
6 : 외부입력장치 7 : 판단회로
본 발명은 심전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심전계에 관한 것이다. 심전계로서는, 홀터(holter) 심전계가 잘 알려져 있다. 홀터 심전계는 아날로그 테이프(analog tape)의 기록 심전도 데이터와 최대로 24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생체에서 검출되는 심전신호를 감시하도록 고안되었다. 심전 데이터가 요구되는 환자는 협심증 쇠약(angina pectoris decubitus)으로 고생하는 환자일 것이고, 그것은 예를 들면 일주일 한번 심장발작을 일으키기 쉬운 환자이다. 이 병으로 고생하는 환자는 때때로 심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되고, 그러므로 홀터 심전계로, 많은 기록테이프의 롤(roll)이 사용시간을 위해 기억되어야하는 동안 매일 기록테이프의 롤이 보충되어야 한다. 홀터 심전계 외에 다른 간편한 심전계는 환자가 심장발작의 경우에 그것을 작동할 때 심전 데이터를 제공할 때 심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역시 잘 알려져 있다.
이 알려진 간편한 심전계가 심장발작의 발생시에 유용한 심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그것은 예를 들면 수면시에 심장발작의 발생을 표시하지 않는 불규칙한 심전 데이터는 제공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행기술 심전계가 본래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량하였으며 그리고 어려움 없이 확실한 심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개량된 심전계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에서 심전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로 구성되는 심전계, 검출장치에서 심전신호를 기억하는 기록장치, 그 기록장치에 기억된 심전 데이터의 오래된 것을 계속적으로 지우는 것에 관해 그리고 심전 데이터의 형성을 위한 기억장치에 새로운 심전신호를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것과 같은 그러한 방법으로 기록제어 작동을 실행할 수 있는 기록제어장치, 그리고 그 기록장치에 심전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해 지령하는 지령신호를 가진 심전 데이터에 응답으로 작동할 수 있는 지령장치를 보유하는 심전 데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심전 데이터는 기록제어장치에 의해 기록장치에서 시간경과를 미리 결정된 양에 기억되고 그리고 최신자료가 되고, 그리고 그 기록장치의 심전 데이터는 보유지령장치에서 발행되는 보유지령에 의해 보유될 수가 있다.
[실시예]
우선 제1도를 인용하여, 참조번호 1은 센서(sensor)(검출장치)를 표시하고, 참조번호 2는 증폭기회로를 표시하고, 참조번호 3은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A/D컨버터)를 표시하고, 참조번호 4는 기록장치(기억장치)를 표시하고, 그리고 참조번호 5는 제어회로(기록제어장치, 보유지령장치를)를 표시한다.
생체와 접촉하여 유지되는 센서(1)에서 제공된 심전신호는 증폭기회로(2)에 의해 증폭되고 그리고나서 제어회로(5)에서 공급된 A/D변환지령에 응답으로 A/D변환을 실행하는 A/D컨버터(3)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리고 디지털 신호는 때때로 기록장치(4)에 기억된다.
기록장치(4)에 있어서 제어회로(5)에서 공급된 기록제어 신호에 의해 새로운 디지털 심전신호가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심전 데이터를 형성하도록 기억되고, 그리고 그 기억된 심전 데이터는, 심전 데이터의 미리 결정된 양이 연속적으로 기억되고 최신 데이터가 되는 동안 오래된 것부터 차례로 지워진다. 참조번호 6은 키보드(keybord)와 같은 그러한 외부 입력장치를 표시하고 그리고 참조번호 7은 판단회로를 표시한다.
출발신호와 첫째 보유지령 신호는, 후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외부입력장치(6)에 제어회로(5)에 입력함으로서 공급되고, 그리고 그 판단회로(7)는 기록장치(4)에 기억되고 둘째 보유지령 신호(불규칙신호)를 불규칙의 경우의 제어회로(5)에 발생하는 새로운 디지털 심전신호에서 불규칙의 유무를 결정한다. 판단회로(7)에 의해 실행되는 불규칙의 유무의 결정은 예를 들면 얻은 심전신호가 제6도에 표시한 것과 같은 그러한 파형을 표시한다고 추정할 때, 만약 심박동비율(1/R1~R2시간)이 분당 50~100의 범위내에 있으면, 불규칙의 부재가 결정될 수가 있으나 그러나 만약 그 심박동 비율이 상기 범위밖에 있으면, 서맥(bradycardia)(徐脈) 또는 빈맥(tachycardia)(瀕脈)과 같은 그러한 불규칙의 존재가 결정될 수가 있다.
위에서 인용한 첫째와 둘째 보유지령 신호는 본 발명의 심전 데이터 보유지령 신호이고 그리고 제어회로(5)를 통하여 기록장치(4)에 적용되고, 그리고 기록장치(4)는 둘째 유지지령 신호에 응답으로 갱신된 내용과 첫째 보유지령 신호에 응답으로 기억되고 최신 데이터가 된 모든 기억된 내용을 보유하기 위해 적용된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은 제어회로(5)의 작동의 연속을 표시하는 제2도의 플로우챠트에 관해 설명된다. 전력원 스윗치가 턴온, 또는 어떤 다른 이유일 때 작동이 개시하고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존재 또는 부재와 그리고 둘째 보유지령 신호의 그것을 결정하기 위해 스텝 S1과 스텝 S2에서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첫째와 둘째는 보유지령 신호들의 하나도 존재하지 않으면, A/D변환지령 신호와 기억제어 신호는 스텝(S3)에서 A/D 컨버터(3)에서 공급된 디지털 심전 신호를 기억장치(4)에 연속적으로 순차적으로 기억하게 할 때, 각각 제어회로(3)에서 공급된 디지털 심전 신호를 기억장치(4)에 연속적으로 순차적으로 기억하게 할 때, 각각 제어회로(5)에서 A/D 컨버터(3)와 기록장치(4)에 공급된다.
개시 시간에서는 기록장치(4)는 아무것도 기억하지 않고 모두 크리어상태에 있고, 스텝(2, 3)을 경유하여 스텝(S1)에서 스텝 S1후반까지 각시간 흐름은 반복되고, 거기의 기억양은 증가된다.
제3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기억영역이 체워진후, 가장 오래된 데이터부분(Dn)은 새로운 디지털 신호(Do)가 적용되는 매시간에 지워지고, 그것은 기억된 심전 데이터가 시간의 진행으로 스텝(S3)에서 최신정보자료가 된다. 위에서 인용한 첫째 보유지령 신호는, 둘째 보유지령 신호가 심전신호에서 불규칙의 발생이 있는 경우에 판단회로(7)에서 적용되는데 반해, 외부입력장치(6)를 조종함으로서 심장발작에서 고생하는 환자가 그것에 입력할 때 적용된다.
만약 스텝(S1)에서 결정의 결과가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존재를 표시하며, 첫째 보유지령신호의 생성 뒤에 통과한 시간의 길이는 스텝(S4)에서 계산된다. 계산된 시간길이는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생성후 즉시 미리 조종된 값을 아직은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갱신과 기록작용은 스텝(S3)에서 그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스텝(S5)에서 실행되고 그리고나서 프로그램 흐름은 스탭(S4)에 되돌아온다.
스텝(S5)에서의 갱신과 기록작용은 계산된 시간 길이가 미리 조종된 값을 초과하기전 반복되고, 그후, 그것은 미리 조종된 시간길이의 경과후 프로그램 흐름이 그때 기억된 심전 (D1~Dn)의 전체가 보유지령이 제어회로(5)에서 출력될 때 계속적으로 종단하는 작동으로 개입중단된 최신자료로서 보유되는 스텝(S6)으로 나아간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텝(S1)에서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생성후에, 스텝(S5)에서의 갱신과 기록작용이 미리 조종된 시간이 경과하기전 복수회로로 반복되기 때문에,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생성시에 이용할 수 있는 심전 신호는 보유된 심전 데이터의 중간장소를 차지하고, 그것은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출력이 기록장치(4)에 보유되기 전,후의 그러한 부분을 포함하는 심전 데이터이다.
스텝(S7)에서 출력된 유지신호는 임의로 사용되는 보유일람(8)의 경고신호로서 사용되고, 그리고 만약 사용되면 그 보유알람(8)은, 보유작동이 실시간에 외부에서 확인될 수 있는 제공하는 표시장치, 경고음을 생성할 수 있는 경고링(ring)이 된다. 스텝(S2)에서의 결정결과가 불규칙이 심전 신호에서 발견되고 그리고 둘째 보유지령 신호가 생성된 것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결정은 스텝(S5)을 경유스텝(S4)에서 스텝(S4)에 돌아 반복되는 흐름에 유사한 방법으로,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실재 또는 부재를 결정하기 위하여 스텝(S8)에서 이루어지고 프로그램 흐름은 중간장소에 보유된 불규칙 심전신호로 제4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기억된 심전 데이터의 후반(데이터 Dm+1에서 Dn까지)의 스텝(S11)에서 보유알람에 의해 따르는 스텝(S10)을 경유 스텝(S9)까지 돌아 반복된다. 그후, 보유신호는 스텝(S7)에서 그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스텝(S12)에서 출력된다.
스텝(S8)에서 프로그램 흐름은 스텝(S4)에 나아가고 그리고 스텝(S2)(S10)중 어느하나에서 스텝(S8)까지 흐름은, 둘째 보유지령 신호의 존재가 일단 결정된 후에, 우선순의가 첫째 보유지령 신호의 존재 경우에 첫째 보유지령 신호에 관하여 대응하는 작동에 제공될 수가 있다. 스텝(S12)에서 보유지령이 생성후, 결정은 첫째 또는 둘째 보유지령 신호의 존재 또는 부재를 결정하기위해 스텝(S13)에서 이루어진다.
제5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첫째와 둘째 보유지령 신호 둘다의 부재의 경우에는, 심전 데이터의 잔여전반(데이터D0에서 Dm까지)의 갱신과 기록작용은 스텝(S14)에서 실행된다. 만약 보유지령의 존재가 스텝(S13)에서 발견되면, 프로그램 흐름은 스텝(S4)으로 나아가고, 그리고 그 경우에는 스텝(S6)에서의 유지작동은 심전 데이터의 전반과 후반의 둘다가 기록장치(4)에 보유될 수가 있으므로 데이터의 전반에서 실행된다. 그렇게 얻은 보유데이터는 디스플레이의 효능을 완수한 조작에 응답으로, 그것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심전계로서 직접된 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될 수가 있다.
앞의 실시예에 있어 기록장치(4)에서 분할할 수 있는 기억영역의 수 2개로서 표시되었지만, 그러나 첫째 또는 둘째 보유지령 신호에서 생기는 보유회수는 복수의 보유데이터가 작동의 각 사이클을 위하여 얻게되므로서 증가될 수 있도록 2개보다 더 큰 수로 증가할 수가 있다.
역시, 기록장치(4)는 그렇게 구성되어서 검출시간, 열비율 추세, ST추세, 기타등등과 같은 그러한 심전데이터의 진단을 위해 필요한 약간의 다른 데이터도 동시에 기록될 수가 있다.
역시 본 발명의 앞의 실시예에 있어, 보유작동이 첫째 또는 둘째 보유지령 신호에 의해 실행될 수가 있게 조정되어 있다. 그러나 둘째 보유지령 신호에 대응하는 보유지령 신호에만 의지하여 실행되는 보유작동을 만드는 것은 가능하고,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는 보유 데이터는 데이터가 심장발작의 발생경유에 얻을 수 있는 동안 심장발작이 발생하지 않을 때 환자에 의해 눌러지는 말소키(cancel key)를 눌르므로서 말소될 수 있게 조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구성되어서, 그것은 심전 데이터가 보유지령장치에서 발생된 보유지령에 응답으로 보유되고 그리고 시간의 경과로 기록장치에 갱신되고 기억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심전계는 필요한 심전 데이터가 한정된 기억용량의 테두리 범위내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데에 유효적이다.

Claims (3)

  1. 생체에서 심전신호를 검출하는 검출장치 ; 그 검출장치에서 심전신호를 기억하는 장치 ; 그 기록장치에 기억되는 심전 데이터의 오래된 것을 계속적으로 지우고 그리고 심전 데이터의 형성을 의한 기록장치에 새로운 심전신호를 연속적이고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그러한 방법으로 기록제어작동을 실행할 수 있는 기록제어장치 ; 그리고 그 기록장치에서 심전을 보유하기 위해 지령하는 심전 데이터 보유지령 신호에 응답으로 실시 가능한 심전 데이터 보유지령장치로 구성되는 심전계.
  2. 제1항에 있어서, 심전 데이터 보유지령 신호는 검출된 심전신호에서 불규칙의 존재의 경우에 안쪽에서 제공된 둘째 보유지령 신호 및/또는 심장발작 발생의 경우에 바깥쪽에서 제공되는 첫째 보유지령 신호로 구성되는 심전계.
  3. 제1항에 있어서, 심전 데이터 보유지령 신호는 검출된 심전신호에서 불규칙의 존재의 경우에 안쪽에서 제공되는 둘째 보유지령 신호 및/또는 심장발작 발생의 경우에 바깥쪽에서 제공되는 첫째 보유지령 신호로 구성되고, 그리고 첫째와 둘째 보유지령 신호에 의한 것에 앞서 실행되는 심전계.
KR1019890003278A 1988-03-17 1989-03-16 심전계(electrocardiograph) KR910000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65246A JPH0779807B2 (ja) 1988-03-17 1988-03-17 心電計
JP63-65246 1988-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062A KR890014062A (ko) 1989-10-21
KR910000428B1 true KR910000428B1 (ko) 1991-01-25

Family

ID=1328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278A KR910000428B1 (ko) 1988-03-17 1989-03-16 심전계(electrocardiograph)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66157A (ko)
EP (1) EP0333125B1 (ko)
JP (1) JPH0779807B2 (ko)
KR (1) KR910000428B1 (ko)
DE (1) DE6892292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6734A (ja) * 1990-04-02 1991-12-17 Sharp Corp 携帯型心電計
KR100429822B1 (ko) * 1996-02-27 200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환자의생리학적인신호를감시하는장치
US5908392A (en) * 1996-03-13 1999-06-01 Paceset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storing medical data in response to a programmable trigger
DE19749768A1 (de) 1997-11-11 1999-05-12 Fachhochschule Offenburg Pflaster mit Datenaufzeichnungsfunktion zur Erfassung und Speicherung von Elektrokardiogramm-Signalen
GB2443885A (en) * 2006-11-18 2008-05-21 Yuk-Ki Wong A device for predicting a myocardial infarction or other co- morbid diseas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5455A (en) * 1969-08-08 1974-09-10 Corometrics Medical Syst Inc System for simultaneously displaying representation of a plurality of waveforms in time occurring relation
DE2704256A1 (de) * 1977-02-02 1978-08-03 Bahram Dr Med Bahrami Herzanfall-diagnostikgeraet
US4183354A (en) * 1977-07-18 1980-01-15 Cardiodyne, Inc.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ic recorder
GB2034046B (en) * 1978-09-18 1982-12-22 Bennish A Cardiac arrhythmia detector and recorder
US4457315A (en) * 1978-09-18 1984-07-03 Arvin Bennish Cardiac arrhythmia detection and recording
JPS59222129A (ja) * 1983-06-02 1984-12-13 株式会社アドバンス 長時間心電図記録方式
JPS6145733A (ja) * 1984-08-09 1986-03-05 株式会社 建部青州堂 携帯用心電図記憶装置
JPS6156633A (ja) * 1984-08-27 1986-03-22 オムロン株式会社 心電異常検出装置
US4754762A (en) * 1985-08-13 1988-07-05 Stuchl Ronald J EKG monitoring system
JPS62120836A (ja) * 1985-11-20 1987-06-02 赤井電機株式会社 心電図再生装置
JPS63294834A (ja) * 1987-05-28 1988-12-01 Emikon:Kk 心電波形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66157A (en) 1990-10-30
DE68922926T2 (de) 1996-02-22
EP0333125A1 (en) 1989-09-20
KR890014062A (ko) 1989-10-21
DE68922926D1 (de) 1995-07-13
EP0333125B1 (en) 1995-06-07
JPH0779807B2 (ja) 1995-08-30
JPH01238829A (ja) 198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6249A (en) Automatic high speed Holter scanning system
JP3154425B2 (ja) 心電図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US5520191A (en) Myocardial ischemia and infarction analysis and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JPH06319711A (ja) 携帯型心電計
JPH03159636A (ja) 心臓モニタ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691815B2 (ja) 携帯型心電計
KR910000428B1 (ko) 심전계(electrocardiograph)
Pepine et al. Sudden death during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JP2789274B2 (ja) 携帯型心電計
Ginsburg et al. Long-term transtelephonic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in the detection and evaluation of variant angina
Dodds et al. Detection of perioperative myocardial ischemia using Holter monitoring with real-time ST segment analysis
JP2000279385A (ja) 携帯型心電計
Eriksson et al. Vectorcardiographic monitoring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chronic bundle branch block
JPH01170440A (ja) 心電情報出力装置
JPH03286734A (ja) 携帯型心電計
JPH04352939A (ja) 携帯型心電計
JP2745257B2 (ja) 携帯型心電計
JP2700725B2 (ja) 携帯型心電計
Gionfriddo et al.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y
JPH05154117A (ja) 携帯型心電計
JPH05123302A (ja) 携帯型心電計
JPH0230686B2 (ko)
JPH04300522A (ja) 携帯型心電計
Arnim et al. Continuous bed-side monitoring of the ECG for detection of silent myocardial ischaemia
JPH04367649A (ja) 携帯型心電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