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32B1 -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32B1
KR910000132B1 KR1019860004998A KR860004998A KR910000132B1 KR 910000132 B1 KR910000132 B1 KR 910000132B1 KR 1019860004998 A KR1019860004998 A KR 1019860004998A KR 860004998 A KR860004998 A KR 860004998A KR 910000132 B1 KR910000132 B1 KR 910000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liding door
dog
photoelectric switches
photoelectric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624A (ko
Inventor
타카오 이시다
유키오 요시다
겐죠오 오오노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05Y2400/328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of the line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34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 E05Y2400/338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pulse generators of the linea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245Discrimination of dir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242Door, panel, window operation, opening, clos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50Machine tool, machine tool null till machine tool work handling
    • G05B2219/50024Go to reference, switches and dog to decelerate and to detect orig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제1도는 장착된 상태의 도그, 개방방향센서 및 폐쇄방향센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감속시작 위치 검출 회로의 회로도.
제4도는 감속시작 위치에 있는 미닫이문의 정면도.
제5도는 제3도의 회로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
제6도는 정지위치 검출회로의 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회로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
제8도는 정지위치에 있는 미닫이문의 정면도.
제9도는 속도 검출회로의 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의 회로에 대한 동작 타이밍도.
제11a도 및 제11b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 장치의 정면도.
제12a도 제12b도는 제11a도 및 제11b도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동차 2 : 종동차
3 : 벨트 4 : 미닫이문
5 : 문틀 6 : 수평부재
7 : 개방방향센서 8 : 폐쇄방향센서
9 : 도그(dog) 10 : 제1광원
11 : 제2광원 12 : 제1광트랜지스터
13 : 제2광트랜지스터 14 : 제1광전스위치
15 : 제2광원스위치 16 : 제3광원
17 : 제4광원 18 : 제3광트랜지스터
19 : 제4광트랜지스터 20 : 제3광전스위치
21 : 제4광전스위치 22 : 본체
23 : 노치(notch) 24 : 구멍
25,26 : 수직 기둥 35 : 플립-플롭
40 : 기준펄스발생기 41 : 계수기
42 : 래치회로 43 : 연산장치
70,80 : 자장센서스위치 90 : 투명판
91 : 반사 또는 불투명 테이프 92 : 자성판
본 발명은 자동도어 장치에서 문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즉, 문의 개폐가 저속으로 작동개시되는 감속시작위치, 문이 정지되는 정지위치 및 문의이동속도 등과 같은 도어이동 데이터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자동도어 장치에서는 자석과 리드(lead) 스위치가 조합된 유형의 센서들을 문과 문틀에 각각 설치하여 이들 센서를 이용해서 감속시작위치와 정지위치를 검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종래 자동도어 장치로는 문의 이동속도, 특히 감속지역내에서의 이동속도와, 문이 감속지역내에서 인체와 충돌하는 상태를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도어 장치에 있어서 종전 기술의 결점을 제거한 개선된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는 개방 및 폐쇄방향으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미닫이문이 제공된 문틀, 문틀의 수평부재상에 설치된 개방방향센서 및 폐쇄방향센서, 예정된 수평 길이를 가지고 미닫이문에 설치된 도그로 구성되고, 다수의 작동부들이 상기 도그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개방방향센서 및 폐쇄방향센서들을 온·오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의 전술한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미닫이문이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이동될 때, 개방방향센서 또는 폐쇄방향센서가 도그의 여러 작동부들에 의해 각각 반복적으로 온·오프되고 이에 따라 전기 신호들이 발생되어 감속시작위치, 정지위치 및 문의 이동속도 등과 같은 도어이동 데이터가 검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도어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 벨트(3)는 모터(M)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원동차(1)와 종동차(2)에 감겨 있고, 미닫이문(4)은 이 벨트(3)에 연결되어 모터(M)에 의해 문틀(5)내에서 개방 및 폐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있다. 전술한 원동차(1), 종동차(2) 및 벨트(3)는 문틀(5)을 구성하는 중간틀이나 이 중간틀상에 탑재된 엔진 케이스 등의 수평부재(6)상에 설치되고 또한 이 수평부재(6)이 양측상에는 개방방향 및 폐쇄방향에 개방방향센서(7) 및 폐쇄방향센서(8)가 설치되어 있으며, 미닫이문(4)이 상단에는 도그(9)가 배치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방향센서(7)는 제1 및 제2광전스위치(14),(15)로 구성되고, 상기 제1광전스위치(14)는 제1광원(10) 및 제1광트랜지스터(12)로 구성되고, 상기 제2광전스위치(15)는 제2광원(11) 및 제2광트랜지스터(13)로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폐쇄방향센서(8)는 제3 및 제4광전스위치(20),(21)로 구성되고, 상기 제3광전스위치(20)는 제3광원(16) 및 제3광트랜지스터(18)로 구성되고, 상기 제4광전스위치(21)는 제4광원(17) 및 제4광트랜지스터(19)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광원(10),(11)은 미닫이문(4)의 한쪽에서 수직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수평부재(6)상에 설치되는 반면, 제1 및 제2광트랜지스터(12),(13)은 미닫이문(4)의 반대쪽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광원(10),(11)과 마주보는 형태로 수평부재(6)상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3 및 제4광원(16),(17)은 미닫이문(4)의 한쪽에서 각기 제1 및 제2광원(10),(11)으로부터 문의 개폐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수직방향으로는 서로 간격을 두고 수평부재(6)상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3 및 제4광트랜지스터(18),(19)는 미닫이문(4)의 반대쪽에서 수직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각기 제3 및 제4광원(16),(17)과 마주보는 형태로 수평부재(6)이 다른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그(9)는 얇고 긴 평판형의 본체(22)이 상부 양쪽에 노치(23),(24)를 각각 형성하고 그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들(24)을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이다. 양 끝에 존재하는 구멍들(24),(24)은 해당 노치들(23),(23)에 대해 약간 안쪽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된다. 구멍들(24),(24) 각각의 외측면은 해당 노치들(23),(23) 각각의 측면과 일치한다. 도그(9)는, 노치들(23),(23)이 각기 제1 및 제3광전스위치(14),(20)에 대해 수평으로 대향 배치되고 양 끝에 있는 구멍들(24),(24)이 각기 제2 및 제4광전스위치(15),(21)에 대해 수평으로 대향 배치되게끔 미닫이문(4)이 상단에 고정된다. 광전스위치들(14),(15),(20) 및 (21)은 각각, 수평 방향에 대하여 적절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미닫이문(4)이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그 한쪽 끝이 문틀(5)의 수직기둥(25)에 부딪쳐서 개방행정(stroke)의 종료에 이르면, 개방방향센서(7)의 제1광전스위치(14)은 온 상태가 되도록 도그(9)의 다른쪽 노치(23)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센서의 제2광전스위치(15)는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도그 본체(22)에 의해 차폐되고, 또한 미닫이문(4)이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그 다른쪽 끝이(5)의 다른편에 있는 수직 기둥(26)에 부딪쳐서 폐쇄 행정의 종료에 이르면, 폐쇄방향센서(8)의 제3광전스위치(20)는 온 상태가 되도록 도그(9)의 한쪽 노치(23)에 위치되는 한편, 상기 센서의 제4광전스위치(21)는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도그 본체(22)에 의해 차폐된다.
도그(9)의 본체(22) 길이믐 미닫이문(4)의 감속 상태에서의 이동거리와 거의 비슷하게 선정된다.
도이어동 데이터 검출장치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미닫이문(4)이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광전스위치(15) 또는 제4광전스위치(21)가 제1광전스위치(14) 또는 제3광전스위치(20)보다 먼저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도그(9)의 본체(22)에 의해 차폐된 다음 미닫이문(4)이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면, 제1광전스위치(14) 또는 제3광전스위치(20)도 오프상태가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도그(9)의 본체(22)에 의해 차폐된다.
미닫이문(4)이 계속 이동하면 제2광전스위치(15) 또는 제4광전스위치는 반복하여 온·오프되고, 미닫이문(4)이 개방 또는 폐쇄 행정 종료부터 도그(9)의 길이만큼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개방 또는 폐쇄 행정 종료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되었을 때, 한쌍의 광전스위치는 도그(9)로부터 벗어나 있으므로 온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도그(9)의 노치(23)와 대항 배치된 나머지 쌍의 광전스위치들 중 하나는 도그(9)의 구멍들(24)에 의해 짧은 시간동안 반복하여 온·오프될 다른 하나의 광전스위치에 비하여 약간 늦게 오프상태가 된다. 또한, 미닫이문(4)이 개방 또는 폐쇄 행정 종료에 도달되었을 때, 제1광전스위치(14) 또는 제3광전스위치(20)가 먼저 온 상태가 되고 다음에 제2광전스위치(15) 또는 제4광전스위치(21)가 오프 상태로 된다.
이제, 전술한 도그(9), 개방방향센서(7) 및 폐쇄방향센서(8)를 이용해서 여러 도어이동 데이터를 검출하는 동작의 일예를 설명한다.
처음에, 미닫이문(4)이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감속시작위치와 감속지역을 검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제1광전스위치(14) 또는 제3광전스위치(20) 또는 제2광전스위치(15) 또는 제4광전스위치(21) 각각을 제3도의 난드(NAND) 게이트(30)의 입력에 연결하고 그 출력신호(A)에 따라 감속 출발위치와 감속 지역을 검출하는 것 뿐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닫이문(4)이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미닫이문(4)의 무게에 따라 사전 설정된 감속시작위치(a)에 도달하면, 제4광전스위치(21)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도그(9)의 본체(22)에 의해 차폐되는 한편, 도그(9)의 노치(23)에 일치되도록 배치된 제3광전스위치(20)는 제5도와 같이 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난드 게이트(30)는 신호(A)를 출력시킨다. 미닫이문(4)이 계속해서 이동하면, 제3광전스위치(20)는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도그(9)의 본체(22)에 의해 차폐되어 계속 오프 상태가 유지되는 반면, 제4광전스위치(21)는 구멍(24)에 의해 반복하여 온·오프 상태로 전환되므로 난드 게이트(30)는 신호(A)를 계속해서 출력시킨다.
미닫이문(4)이 문틀(5)의 다른 편에 있는 수직 기둥(26)에 부딪쳐서 폐쇄행정의 종료위치(b)에 이르면, 제3광전스위치(21)는 온 상태가 되도록 도그(9)의 다른 편에 있는 노치(23)와 일렬로 배치되는 반면 제4광전위치(21)는 오프 상태가 되도록 도그(9)의 본체(22)에 의해 차폐되므로, 난드 게이트(30)의 출력신호(A)는 나지 않게 된다.
도이이동 검출장치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감속시작위치(a)는 출력신호(A)가 발생되었다는 사실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 즉, 출력신호(A)가 발생되면, 미닫이문(4)이 감속지역에 위치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닫이문(4)은 난드 게이트(30)에 의해 송신된 신호(A)에 응답하여 모터(M)에 감속명령신호를 송신함으로써 감속 상태로 이동될 수 있으며, 미닫이문(4)이 감속지역에서 인체에 충돌한 경우에는 NAND게이트(30)의 신호(A)가 계속 출력되는 동안 미닫이문(4)이 정지되었다는 사실을 검출함으로써 그 충돌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 정지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광전스위치(20)의 출력을 제1앤드(AND), 게이트(31), 제1NOT 게이트(32) 및 제2앤드게이트(33)에 연결하고, 제4광전스위치(21)의 출력을 제1앤드 게이트(31) 및 제2NOT 게이트(34)에 연결하고, 제1앤드 게이트(31)의 출력을 플립-플롭(35)의 R 단자에, 제1 및 제2NOT 게이트(32),(34)의 출력들을 각갈 플립-플롭(35)의 CL 단자 및 S단자에, 제2NOT 게이트(34)의 출력을 제2앤드 게이트(33)에, 제2앤드게이트(33)의 출력 및 플립-플롭(35)의
Figure kpo00001
출력 단자를 각각 제3앤드 게이트(36)의 입력에 하나씩 연결하여 제3앤드 게이트(36)로부터의 출력신신호(B) 발생에 따라 정지위치를 검출하는 것 뿐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그(9)가 제3 및 제4광전스위치(20),(21)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이 두 스위치는 제7도와 같이 온 상태로 되고, 플립-플롭(35)의 R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있고 S 단자 및 CL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없으므로, Q 단자에서는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반면
Figure kpo00002
단자에서는 출력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나, 제2앤드 게이트(33)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제3앤드 게이트(36)도 출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편, 미닫이문(4)이 감속시작위치(a)에도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3광전스위치(20)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4광전스위치(21)는 오프 상태가 되므로, 플립-플롭(35)의 R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없고 S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있게 된다. 그래서
Figure kpo00003
단자에서는 출력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2앤드 게이트(33)가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더라도 제3앤드 게이트(36)는 출력신호(B)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미닫이문(4)이 폐쇄방향으로 계속 전진하면, 제3광전스위치(20)는 오프 상태가 되고 제4광전스위치(21)는 온 상태가 되므로 플립-플롭(35)의 R 단자 및 S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없고 CL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는 있게 된다. 그래서
Figure kpo00004
단자에서는 출력신호가 발생된다. 그러나, 제2앤드 게이트(33)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제3앤드 게이트(36)는 출력신호(B)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음에, 제4광전스위치(21)가 반복하여, 온·오프 상태로 되는 동안 계속해서 CL 단자에 신호가 입력되어
Figure kpo00005
단자로부터 계속해서 출력신호가 발생되고,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닫이문(4)이 정지위치(b)에 도달하면, 제3광전스위치(20)는 온 상태로 되고 제4광전스위치(21)는 오프 상태로 되므로 제2앤드 게이트(33)는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제3앤드 게이트(36)가 출력신호(B)를 발생시킨다.
도어이동 검출장치의 동작이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제3앤드 게이트(36)로부터의 출력신호(B)에 응답하면, 미닫이문(4)의 정지위치 도착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지명령 신호를 모터(M)에 송신하므로써 미닫이문(4)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감속지역내에서 미닫이문(4)이 이동하는 속도를 검출하고자할 경우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광전스위치(21)의 출력신호가 기준펄스발생기(40)에 입력된 다음 래치회로(42)에 입력되므로 계수기(41)가 제4광전스위치(21)에 의해 발생되는 온 신호에 의해 리세트되고,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광전스위치(21)로부터 오픈 신호가 출력되는 기간동안 발생되는 기준펄스 갯수 N이 계수된 후 래치회로(42)에서 래치되고, 이와 같이 래치된 기준펄스의 갯수 N이 연산장치(43)에 전송되므로 이로 인해 미닫이문(4)의 속도(V)가 검출된다.
여기에서, 속도(V)를 계산하는 공식은
Figure kpo00006
이며 K는 상수이다.
다시 말해서, 미닫이문(4)의 속도가 빨라지면, 제4광전스위치(21)의 오프 시간은 짧아지고, 반면에 속도가 느려지면, 오프 시간은 길어지게 되어 미닫이문(4)이 속도는 제4광전스위치(21)의 오프 시간중에 발생되는 기준펄스의 갯수를 계수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미닫이문(4)이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이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것은 해당 센서를 사용해서 모터(M)의 회전방향을 검출하여 미닫이문(4)이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는지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결정하는 것 뿐이다. 그러나, 제11a도 및 제11b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미닫이문(4)이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지 폐쇄방향으로 이동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개방방향센서(7)의 제2광전스위치(15)이 폐쇄방향센서(8)의 제4광전스위치(21)를 각각 제1 및 제3광전스위치(14),(20)에 대해 노치(23)의 측방폭보다 짧은 간격으로 거리를 두고 배치하는 것이다.
제11a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예를 들어 미닫이문(4)이 개방행정종료로부터 그 폐쇄이동을 시작하는 경우, 도그(9)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제1 및 제2광원스위치(14),(15)의 온-오프 타이밍은 제12a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A점에서 노치(23)에 의해 온 상태를 유지하던 제1광전스위치(14)는 B점에서 오프 상태로 된 다음 도그 본체(22)에 의해 오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그 본체(22)에 의해 오프 상태를 유지해 오던 제2광전스위치(15)는 C점에서 도그(9)의 하단에 형성된 구멍(24)에 의해 온 상태로 된 다음 각 구멍이 폭과 각 구멍간의 간격에 의한 주기로 반복하여 온·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더욱이, 제12a도는 미닫이문(4)이 폐쇄 이동중에 있을 때 제3 및 제4광전스위치(20),(21)은 온-오프 타이밍을 나타낸다. 더욱이 미닫이문(4)이 완전 개방위치에 접근하여 있거나 개방이동 중에 있는 경우, 제1광전스위치(14) 또는 제3광전스위치(20)의 온-오프 타이밍은 제12a도의 C점으로부터 A점을 향해 반전된다.
다음에 제11b도에 제11b도에서 미닫이문(4)이 폐쇄행정 종료로부터 그 개방이동을 시작하는 경우, 제3 및 제4광전스위치(20),(21)이 온-오프 타이밍은 제12b도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제4광전스위치(21)는 A점에서 도그(9)의 다른쪽 하단에 형성된 구멍(24n)에 의해 온 상태로 된 다음, 각 구멍의 폭과 구멍들간의 간격에 의한 주기로 반복하여, 온·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다른 노치(23)에 의해 온 상태를 유지해오던 제3광전스위치(20)는 B점에서 오프 상태로 된 다음 도그의 본체(22)에 의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12b도는 미닫이문(4)이 개방이동 중에 있을 때 제1 및 제2광전스위치(14),(15)의 온-오프 타이밍도 나타낸다. 한편, 미닫이문(4)이 완전 폐쇄위치에 접근하여 있거나 폐쇄이동 중에 있는 경우, 제2광전스위치(15) 또는 제4광전스위치(21)의 온-오프 타이밍은 제12b도의 G점으로부터 A점을 향해 반전된다.
물론 제12a도에 나타낸 제2 및 제4광전스위치(15),(21)의 온-오프 타이밍의 위상은 제12b도에 나타낸 이 두 스위치의 온-오프 타이밍 유상과 약간 다르다. 이러한 타이밍의 위상 차이에 의해서 미닫이문(4)이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지 폐쇄방햐으로 이동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2a도 및 제12b도의 점선은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다른 장치에 의해 얻어진, 제2 및 제4광전스위치(15),(21)의 온-오프 타이밍을 나타낸 것인데, 제1도의 장치가 이 장치와 다른 점은 제2 및 제4광전스위치(15),(21)의 위치가 제1 및 제3광전스위치(14)(20)의 위치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2 및 제4광전스위치(15),(21)의 온-오프 타이밍에는 위상 이탈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제11a도, 제11b도, 제12a도 및 제12b도에서 알수 있듯이, 제2광전스위치(15) 또는 제4광전스위치(21)를 오프 상태로 만들려면, 미닫이문(4)의 개방행정종료(OSE)가 A점의 약간 전방에서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그 폐쇄행정종료(CSE)는 A점으로부터 다소 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그(9)이 본체(22)에 노치(23)와 구멍(24)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본체를 투명판(90)으로 하고 그 표면에 반사 또는 불투명 테이프(91)를 붙이거나 도그(9)의 본체(22)에 툽니형 노치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그 본체(9)를 다수의 자화부분들을 포함한 자성판(92)으로 하는 한편, 개방방향센서(7) 및 폐쇄방향센서(8)를 각각 한쌍의 자장센서 스위치(70) 및 (80)으로 만들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도그(9)에는 종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센서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다수의 작동부들을 만들어 놓기만 하면 된다.

Claims (5)

  1. 미닫이문의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설치된 문틀, 상기 문틀의 수평 부재에 장착된 개방방향센서 및 폐쇄방향센서, 소정의 수평 길이를 가지고 상기 미닫이문에 장착된 도그로 구성되고, 상기 도그에 다수의 작동부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개방방향센서와 폐쇄방향센서들을 온·오프하도록된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방방향센서(7)는 제1 및 제2광원들(10,11)과, 제1 및 제2광트랜지스터들(12,13)로 구성된 제1 및 제2광전스위치(14,15)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광원들(10,11)은 수직 방향에서는 서로 간격을 구고 배치되며 상기 도그(9)에 형성된 작동부들중 하나(23,24)에 대해서는 마주보는 형태를 취해 상기 미닫이문(4)의 한쪽 수평 부재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광트랜지스터들(12,13)은 수직 방향에서는 서로 간격을 독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광원(10,11)에 대해서는 마주보는 형태를 취해 상기 미닫이문(4)의 반대쪽 수평 부재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폐쇄방향센서(8)는 상기 제1 및 제2광전스위치(14,15)로부터 상기 미닫이문의 개방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제3 및 제4광원들(16,17)과 제3 및 제4광트랜지스터들(18,19)로 구성된 제3 및 제4광전스위치들(20,21)을 구비하며, 상기 제3 및 제4광원들(16,17)은 수직 방향에서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도그(9)에 형성된 작동부들중 나머지 하나(23,24)에 대해서는 마주보는 형태를 취해 상기 미닫이문(4)의 한쪽 수평 부재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광트랜지스터들(18,19)은 수직 방향에서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3 및 제4광원(16,17)에 대해서는 마주보는 형태를 취해 상기 미닫이문(4)의 반대쪽 수평 부재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9)는 상기 미닫이문(4)의 윗쪽으로 돌출된 긴 평판형 본체(22)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개방방향 및 폐쇄방향센서들(7,8)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상기 긴 평판형 본체(22)의 양끝 상부에 형성된 2개의 노치(23)와, 상기 제1 및 제3광전스위치들(14,20)을 온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긴 평판형 본체(22)의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똑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개구(24)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및 제4광전스위치들(15,21)을 온 시킬 수 있도록 상기 양 끝에 존재하는 각 개구의 외측단과 해당 노치(23)의 수직단이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4광전스위치들(15,21)이 상기 제1 및 제3광전스위치들(14,20)로부터 상기 노치(3)의 수평폭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3광전스위치들(14,20)에 대해 수직 방향의 이격 관계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미닫이문(4)의 이동방향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는 상기 미닫이문(4)의 윗쪽으로 돌출한 광투과성 물질의 평판형 본체(90)로 구성되고, 작동부는 상기 개방 및 폐쇄방향센서들(7,8)을 오프시킬 수있도록 상기 평판형 본체(90)의 적소에 부착된 불투명 테이프(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의 총 수평 길이는 감속상태에서의 상기 미닫이문의 이동거리와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KR1019860004998A 1985-06-24 1986-06-23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KR910000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35933A JPS61294080A (ja) 1985-06-24 1985-06-24 自動ドアの扉移動デ−タ検出装置
JP135933 1985-06-24
JP135,933 1985-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624A KR870000624A (ko) 1987-02-19
KR910000132B1 true KR910000132B1 (ko) 1991-01-21

Family

ID=1516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998A KR910000132B1 (ko) 1985-06-24 1986-06-23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694607A (ko)
JP (1) JPS61294080A (ko)
KR (1) KR910000132B1 (ko)
DE (1) DE3620996A1 (ko)
FR (1) FR2587402A1 (ko)
GB (1) GB2177792B (ko)
HK (1) HK29592A (ko)
MY (1) MY101677A (ko)
SG (1) SG31892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928B1 (ko) * 2019-04-04 2019-09-17 (주)다스 게이트밸브용 개폐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01245A1 (de) * 1987-02-12 1988-08-25 Hoermann Kg Antrieb Steuertec Gesteuerter antrieb fuer ein torblatt oder dergleichen
US4941320A (en) * 1988-06-17 1990-07-17 Asi Technologies, Inc. Industrial hydraulic door operator
DE3823164A1 (de) * 1988-07-08 1990-01-11 Geze Gmbh & Co Automatischer antrieb fuer eine tuer- oder fensteranlage
JPH0810856Y2 (ja) * 1989-03-31 1996-03-29 三星電子株式会社 家電機器のドアーオープン装置
US4922168A (en) * 1989-05-01 1990-05-01 Genie Manufacturing, Inc. Universal door safety system
DE19639501B4 (de) * 1996-09-26 2005-07-07 Geze Gmbh Antriebsvorrichtung für Flügel von Türen oder Fenstern
US5881844A (en) * 1996-11-07 1999-03-16 Otis Elevator Company Secondary positioning system for elevator car doors
US7098917B2 (en) * 2002-07-22 2006-08-29 Kurzweil Cyberart Technologies, Inc. Generating visual art
FR2930351B1 (fr) * 2008-04-16 2011-05-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esure par emission d'ondes de la position d'une porte coulissante de vehicule automobile
ES2312301A1 (es) * 2008-10-09 2009-02-16 Oscar Torrabias Cantal Dispositivo motorizado para puertas correderas.
US20150163411A1 (en) * 2013-12-11 2015-06-11 Echostar Technologies, Llc Home Monitoring and Control
US9900177B2 (en) 2013-12-11 2018-02-2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intaining up-to-date home automation models
US9769522B2 (en) 2013-12-16 2017-09-1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location specific operations
WO2015121256A1 (en) * 2014-02-12 2015-08-20 Assa Abloy Entrance Systems Ab Fast roll-up door comprising a curtain speed detection device
JP6187690B2 (ja) * 2014-06-11 2017-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ドアの制御装置
US9989507B2 (en) 2014-09-25 2018-06-05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US9511259B2 (en) 2014-10-30 2016-12-06 Echostar Uk Holdings Limited Fitness overlay and incorporat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83011B2 (en) 2014-10-30 2018-05-29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apping and facilitating evacuation routes in emergency situations
US9967614B2 (en) 2014-12-29 2018-05-0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Alert suspension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4847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weather detection
US9946857B2 (en) 2015-05-12 2018-04-17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stricted access for home automation system
US9960980B2 (en) 2015-08-21 2018-05-0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Location monitor and device cloning
US9996066B2 (en) 2015-11-25 2018-06-1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VAC health monitoring using a television receiver
US10101717B2 (en) 2015-12-15 2018-10-16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Home automation 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s
US10091017B2 (en) 2015-12-30 2018-10-02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Personalized home automation control based on individualized profiling
US10073428B2 (en) 2015-12-31 2018-09-1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characteristics
US10060644B2 (en) 2015-12-31 2018-08-28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 of home automation activity based on user preferences
US9882736B2 (en) 2016-06-09 2018-01-30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sound generation for a home automation system
US10294600B2 (en) 2016-08-05 2019-05-21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te detection of washer/dryer operation/fault condition
US10049515B2 (en) 2016-08-24 2018-08-14 Echostar Technologies International Corporation Trusted use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for home automation systems
CN113116202A (zh) * 2021-04-30 2021-07-16 浙江小趣智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纸巾切割机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50232A (en) * 1967-08-18 1969-06-17 Montgomery Elevator Co Elevator door control
NL143012B (nl) * 1971-08-11 1974-08-15 Jan Jacob Gerard Markus Inrichting voor het openen respectievelijk sluiten van een langs een wand verplaatsbare schuifdeur.
US4009476A (en) * 1975-06-27 1977-02-22 Solfan Security Systems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door operation
US4029176A (en) * 1975-10-06 1977-06-14 Mills Gerald W Doorway safety device
US4296570A (en) * 1979-09-07 1981-10-27 Arthur Smith Industries, Inc. Hydraulic door operator
US4330960A (en) * 1979-12-18 1982-05-25 Dorma-Baubeschlag Gmbh & Co. Kg. Closing arrangement for sliding doors and the like
DE3111711C2 (de) * 1981-03-25 1985-09-19 Gebr. Bode & Co, 3500 Kassel Einklemmsicherungseinrichtung für automatisch betätigbare Türen oder Fenster, insbesondere an Fahrzeugen
JPS58110778A (ja) * 1981-12-23 1983-07-0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開閉扉の制御装置
NL8105876A (nl) * 1981-12-28 1983-07-18 Jan Jacob Gerard Markus Inrichting voor het bedienen van een schuifde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928B1 (ko) * 2019-04-04 2019-09-17 (주)다스 게이트밸브용 개폐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1677A (en) 1991-12-31
US4694607A (en) 1987-09-22
GB2177792A (en) 1987-01-28
FR2587402A1 (fr) 1987-03-20
HK29592A (en) 1992-05-01
KR870000624A (ko) 1987-02-19
GB8615352D0 (en) 1986-07-30
SG31892G (en) 1992-05-15
JPH0585711B2 (ko) 1993-12-08
FR2587402B1 (ko) 1995-05-05
DE3620996A1 (de) 1987-01-02
GB2177792B (en) 1989-07-12
DE3620996C2 (ko) 1989-06-29
JPS61294080A (ja) 1986-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132B1 (ko) 자동도어 장치의 도어이동 데이터 검출장치
KR900008989B1 (ko) 자동도어 장치용 개폐 제어장치
US4429264A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electrically operated gates
KR910021335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제어장치
KR920000608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KR890013300A (ko) 자동식 문 자물쇠 장치
US5233292A (en) Speed detector device for elevator
FR2457524B1 (fr) Portier a carte codee pour ouverture selective de porte
JP3674355B2 (ja) 自動ドアの開閉制御方法
KR910001457B1 (ko) 전원스위치 온 작동시의 자동문장치의 제어방법
US6430872B1 (en) Position and speed determination for moving glass panel
KR840002135A (ko) 레코드 플레이어
JP2001032625A (ja) 自動ドアの安全装置
JP3237257B2 (ja) 自動ドアの位置検出装置
JPH03155809A (ja) カーテンの開閉モータ駆動回路
SU859796A1 (ru) Реверсивный дискретный датчик перемещени
SU13889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чета движущихс изделий
JPS6225834B2 (ko)
SU4806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перемещени длинномерных материалов
JPH0322469Y2 (ko)
JPS56125985A (en) Motor decelerating control system for driving scanner
SU1305841A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влени дребезга
JP2005076319A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
SU4528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граммного управлени координатографом
SE9102721L (sv) Anordning vid elektriskt drivna skjutport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