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221B1 -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221B1
KR900008221B1 KR1019870700168A KR870700168A KR900008221B1 KR 900008221 B1 KR900008221 B1 KR 900008221B1 KR 1019870700168 A KR1019870700168 A KR 1019870700168A KR 870700168 A KR870700168 A KR 870700168A KR 900008221 B1 KR900008221 B1 KR 90000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electrode
disconnection
discharge machining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700435A (ko
Inventor
하루키 오바라
토시유키 아소
히로시 키노시타
Original Assignee
화낙크 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낙크 가부시키가이샤, 이나바 세이우에몬 filed Critical 화낙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70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700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와이어형상 또는 벨트형상으로 된 전극(이하, 이것을 와이어전극이라 함)을 사용한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기에 있어서, 가공중에 와이어전극이 단선될시에 공급측의 와이어전극부분을 고정하는 크램프기구와, 이 공급측의 와이어전극부분의 선단이 예정위치로 일치하도록 와이어전극을 이동시키는 와이어이동기구를 구비하고, 공급측의 와이어전극부분의 공작물에로의 삽통을 자동화시켜서 된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기는 이미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일본국특개소 56-3146호). 이 공지의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기는 상술한 크램프기구에 의하여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의 크램프를 확인하여서, 공작물에 형성된 와이어전극 삽통공으로 향하여 이 와이어 단선끝을 모터구동의 전극을 끌어내는 기구로서 파지하면서 되돌려 방전가공영역의 상, 하부에 설치된 상,하 헤드사이에 와이어전극을 뻗도록하여, 이것에 의하여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의 재개를 준비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공지의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기는 와이어커트 방전 가공공정과 더불어 상술한 와이어전극 단선시의 가공재개준비공정도 마이크로 콤퓨터를 이용한 CNC장치(콤퓨터 수치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기에 있어서는 와이어전극과 피가공 공작물와의 사이에 방전작용, 혹은 공작물의 테이퍼구멍 가공시에 있어서의 전극와이어의 경사주행 등에 기인하여 와이어전극의 단선시에는 단선부분에 굴곡부분이나 표면거칠음이 생기기 때문에, 단선후의 와이어전극 끝을 어떠한 수정처리를 시행하지 않고 공작물의 와이어 삽통공에 재송입하면 정확하게 삽통할 수 없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상술한 CNC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와이어전극을 결선처리하여, 가공재개 준비를 하기 위하여서는 와이어전극의 단선부에 발생되어 있는 굴곡부분이나 표면이 거칠어진 부분을 제거하면서 또한 제거된 칩이 공작물상에 떨어져 남게되는 일이 없도록 수정처리를 행항는 것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것으로 자동적인 단선와이어전극의 수리방법과 이것을 위한 수단을 구비한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감안하여, 전극와이어 공급장치에서 송출되는 와이어전극을 방전가공영역의 상,하로 배치되는 와이어가이드가 내장된 상, 하 헤드사이에 가공액 젯트류를 사용하여 뻗도록 설치하고, 가공개시를 자동적으로 준비하도록 된 와이어커트 방전가공법에 있어서, 상기 방전가공영역에서 방전가공중의 와이어전극에 단선이 발생할시에는 이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피가공공작물중에서 인출하여, 상기 방전가공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이간된 소정의 와이어전극 수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단선끝을 절단 수정하고, 다음에 상기 방전가공영역 또는 근방위치까지 상기 와이어전극의 절단수정단을 복귀시켜서 상기 상,하 헤드사이에 다시뻗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트 방전가공방법을 제공하여, 방전가공영역에서 이탈된 위치에서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의 절단수정을 시행하도록 되어서 수정처리의 필요성과 제거칩이 공작물위로 떨어져남게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를 총족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법의 실시를 위하여, X,Y 평면내에서 자동 이송되는 피가공공작물 탑재설치의 워크테이블과, 와이어전극을 상기 피가공공작물과의 방전가공영역을 경유하여 송급하는 와이어공급장치와, 상기 워크테이블의 상,하, 양부에 설치된 와이어가이드를 내장한 상,하 헤드와, 상기 와이어공급장치에서 송급되는 와이어전극을 상,하 양 헤드사이에 가공액의 젯트류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삽통하여 뻗도록 하여 가공개시롤 자동준비시키는 와이어전극의 자동장착기구를 구비하는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장치에 있어서, 방전가공중에 상기 방전가공영역에 발생한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이 방전가공영역에서 되돌림과 더불어, 이 와이어전극 단선끝을 반복하여 송출가능하게 지지하는 전극와이어 이송기구와, 상기 전극와이어의 단선끝을 상기 방전가공영역외에서 검출하는 와이어단 검출수단과, 상기 와이어단 검출수단에 의한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의 검출에 응하여 이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방전가공영역외에서 상대적으로 격리된 소정의 와이어전극 수정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 위치에서 복귀시키는 상대 이동수단과, 상기 와이어전극 수정위치에서 상기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절단 수정하는 커터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가 제공되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태양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장치는 가공장치의 프레임에 모터로 구동되는 와이어전극 공급용의 와이어장치 12를 가지며, 이 와이어 공급장치 12에서 송급되는 와이어전극 14는 가이드로울러 16a Z축 컬럼 18상의 가이드로울러 16b를 통하여 이 Z축 컬럼 18의 하단에 설치된 테이퍼가공용 테이블장치 20에 취부되고, 상가이드가 내장된 상헤드 22에 도달되어 다음에 수평면내의 X,Y축 워크테이블 24에 고정되는 피가공 공작물 W와의 방전가공영역을 영유하여 하가이드를 내장된 하헤드 26으로 삽통되고, 암 28상의 가이드로울러 16c를 경유하여 소정의 와이어회수장치로 회수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피가공 공작물 W를 X,Y축 워크테이블 24의 제어이동에 응하여 와이어전극 14에 대하여 횡이동시키고, 이 사이에 방전가공영역에서 소망의 가공궤적을 통과하는 와이어커트방전가공작용을 진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중에 가공조건의 부적절 등에 의하여 와이어전극 14의 단선이 발생하면, 이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부분의 수정처리를 행하는 수정처리 유닛트 3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수정처리유닛트 30의 구성, 작용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상술한 X, Y축 워크테이블 24는 X축 구동모터 Mx와 Y축 구동모터 My에 의하여 수평면내에서 X, Y양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이 X축 구동모터 Mx와 Y축 구동모터 My는 제4도에 나타낸 CNC장치에 의하여 제어되어 진다. 마찬가지로 테이퍼가공용 테이블장치 20은 U축 구동모터 Mu, V측 구동모터 Mv에 의하여 동일하게 수평면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테이퍼가공용 테이블 20에 취부된 상헤드 22를 통과하는 와이어전극 14에 대하여 피가공용테이블 20에 취부된 상헤드 22를 통과하는 와이어전극 14에 대하여 피가공 공작물 W와의 방전가공영역에서 경사주행로를 부여하여 테이퍼가공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어서, 이러한 U축 구동모터 Mu, V축 구동모터 Mv도 제4도에 나타낸 CNC장치에 의하여 작동제어를 행한다.
또한, 제2도를 참조하면, 상헤드 22와 수정처리 유닛트 30과의 상세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후자의 수정처리 유닛트 30은 제1도에 나타낸 정상상태의 퇴피워치에서 상헤드 22의 바로아래에 위치된 수정처리위치로 회전위치가 결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에 있어서, 상헤드 22는 와이어전극 14가 삽통되는 상가이드 32를 가지며, 또한 이 상가이드 32를 둘러쌓은 상노즐 34를 가지고 있다. 이 상노즐 34에는 가공액포트 36에서 도입되는 가압된 방전가공액의 유로 3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로 38을 흐르는 방전가공액에 의하여 통상의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시에 방전가공작용의 촉진이나 가공칩의 제거 등이 달성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같이 이 방전가공액의 분류를 이용하여 와이어전극 14를 상헤드 22에서 하헤드 26(제1도)으로 향하여 삽입을 뻗도록하는 작용도 행하게 된다. 여기서, 방전가공액의 기계외부에서 가공액포트 36으로의 도입에 대해서는 주지의 수단에 의하여 실행하면 되는 것이어서 여기에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또한, 상헤드 22내에는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은 예컨대 기술한 일본국특개소 56-3146호에 와이어이송기구 9로서 개시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며, 와이어전극 14에 단선이 발생할시, 그 단선끝을 피가공 공작물 W(제1도)에 있어서의 방전가공영역으로 부터 되돌려서 파지(把持)하든지, 수정유닛트 30내에 구비된 후술의 와이어컷터에 대하여 상기의 되돌림 파지위치에서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을 송출하여 단선부분의 절제를 가능하게 하는 작용을 행한다.
그런데, 이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은 통상의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시에는 양로울러 42a, 42b의 후자의 로울러 42b가 전자의 로울러 42a에서 횡방향으로 이간시키는 것에 의하여 진극와이어 14의 일정장력하에 있어서의 자유주행, 즉 상헤드 22에서 헤드 26(제1도)으로 향하는 주행이 허용되어 이 사이에는 피가공 공작물 W와의 방전가공영역에서 방전가공작용을 행하게 된다. 또한, 제1도, 제2도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헤드 22의 근방에는 방전가공전력을 전극와이어 14로 통전하는 통전자나 전극와이어 14의 단선발생을 그 잔력변화를 통하여 검출하는 선단검출기구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하면 되는것이어서, 여기서는 상술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 수정처리 유닛트 30은 상브래키트 44와 하선회브래키트 46을 구비하고, 전자의 상브래키트 44는 Z축 컬럼 18(제1도)에서 횡으로 내뻗은 암 18a에 대하여 상,하로만 이동하고, 또 한편, 후자의 선회브래키트 46은 회전형 에어실린더 48에 의하여 그 출력축 50, 피니온 52, 피동치차 54를 경유하여 회전구동력을 받은 것에 의하여, 회전축 56을 중심으로서 상브래키트 44에 대하여 상헤드 22의 바로아래 위치와 기술한 퇴피위치(제1도에 도시한 상태)와의 사이에서 선회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브래키트 44와 하선회브래키트 46과는 직동에어실린더 58에 의하여 그 피스톤방패를 형성하는 상기 출력축 56과는 서로 일체로되어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하방 이동위치에 있어서 하선회브래키트 46의 상기 선회작용을 행하여 하선회브래키트 46이 퇴피위치로 선회될시, 또한 상방 이동위치로 인상되어서 수정처리 유닛트 30이 통상의 방전가공공작용중에 상헤드 22와 간섭이 일으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선회브래키트 46의 공기실 46a는 수정처리 유닛트 30이 상헤드 22의 바로아래 위치에 있을시,이 공기실 46a로 압력공기를 도입하여 유닛트 30을 상헤드 22의 상노즐 34로 밀착시켜서 가공액 분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선회브래키트 46에는 에어실린더장치 62에서 절단 작용을 행하는 커터 60이 구비되어, 이 커터60은 유닛트 30이 상헤드 22의 바로아래 위치에 있을시, 와이어전극 14의 주행로에 임하여 공구날을 가져서 공구받음대 64와 같이 작동하여 상기 에어실린더장치 62의 작동에 의하여 절단작용을 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선회브래키트 46에는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을 검출하는 선단검출장치 66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선단검출장치 66은 예컨대, 전기적접촉검출방법에 의하여 도전성의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헤드 22의 바로아래 위치해서 와이어전극 14가 와이어이송기구 40에 의하여 공구날부분의 되돌림을 받을시, 이 되돌림로에 임하는 위치에 대항설치되는 한쌍의 도전성의 검출판 68a, 68b와, 이 검출판68a, 68b에 교류전원에서 직류전압을 인가하는 검출전압 인가회로 70a, 70b와, 전극와이어 14의 단선끝이 상기 검출판 68a, 68b에 접촉할시의 전압저하를 검출전압인가회로 70a, 70b를 통하여 검출하는 디텍터 72로 형성되고, 상기 검출판 68a, 68b는 전기전열판에 의하여 주위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하선회브래키트 46에는 또한 젯트노즐 7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젯트노즐 74는 전극와이어 14의 단선끝의 불량부분의 절제가 종료되면서 가공액의 분류를 이용하여 다시 상헤드 22에서 하헤드 26(제1도)으로 향하여 와이어전극 14를 뻗도록 할 때에 이 하헤드 26으로 향하여 와이어전극 14를 유도하는 작용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브래키트 46의 수평단면을 나타낸 제3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커터 60, 단선검출장치 66의 도전성검출판 68a, 68b, 젯트노즐 74의 배치관계와, 하브래키트 46에 형성된 경사벽 76을 가진 와이어전극의 도입포트 78을 나타내고 있다. 즉, 브래키트 46이 회전축 56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헤드 22의 바로아래에 위치할시, 이 헤드 22에서 하헤드 26(제1도)으로 향하여 뻗고있는 와이어전극 14를 경사벽 76에 의하여 크게 열려진 도입포트 78에서 도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을 검출하는 도전성검출판 68a, 68b와 커터 60 및 공구받음대 64는 상, 하로 겹쳐 설치되어 있지만, 젯트노즐 74는 커터 60에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부의 수정처리가 선단검출장치 66과 커터 60에 의하여 종료된 후에 하브래키트 46을 회전에어실린더 48(제2도)로서 다시 선회시킬시, 젯트노즐 74가 수정처리의 완료에 의하여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제2도)에 파지되어 있는 전극끝의 바로아래 꼭맞는 위치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하면, 이 도면은 CNC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이 CNC장치의 기본적 구성자체는 종래부터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CNC장치와 다름이 없다. 즉, CNC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 80과, 이것에 어드레스버스(address bus) 82 및 데이터버스 84를 통하여 접속된 기억수단 86, 테이프리더 88, 수동데이터 입력장치 90, 보간기 92, 데이터추력장치 94, 데이터입력장치 96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보간기 92에는 테이터가공용 테이블의 U축, V축 구동모터 Mu, Mv를 제어하는 U축 서보회로 98, V축 서보회로 100과 워크테이블 24의 X축, Y축 구동모터 Mx, My를 제어하는 X축 서보회로 102, Y축 서보회로 104가 접속되어 있다.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에 있어서의 가공제어데이터는 기록매체, 예컨대 테이프 PT에서 테이프리더 88을 통하여 판독되어 기억수단 86에 미리 기억되어진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보간기 92 및 서보회로 98-104를 통하여 구동모터 Mu-My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일정속도로서 주행하는 와이어전극 14에 대하여, 피가공공작물이 탑재설치된 워크테이블 24, 테이퍼가공용 테이블 20을 작동제어하여서 소망의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사이에 와이어전극 14에 단선고장이 발생한 경우 등을 포함하여 각종의 검출신호가 발생하면, 이러한 검출신호는 데이터입력장치 96에서 CPU 80에서 판독수취되어,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각종의 처리, 예컨대 와이어공급장치 12의 정지나 재개, 수정처리 유닛트 30의 처리위치에로의 선회 및 퇴피위치에로의 선회 등을 지령하는 제어신호가 데이터출력장치 94에서 출력된다. 수동데이터입력장치 90은, 본 발명에 관련에 있어서는 예컨대, 와이어전극 14에 단선부분의 제거처리에 있어서 커터 60을 에어실린더장치 62로서 작동하는 경우에 반복하여 신호를 수동적으로 입력하여 제거량을 임의로 변화시키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기에 있어서의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의 처리를 행하여 가공제개를 준비하기 위한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중에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발생이 검출되면, 이 검출신호는 데이터입력장치 96에서CNC장치에 판독수취된다. 이 결과, CPU 80의 제어에 의거하여 데이터출력장처 94에서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와이어공급장치 12에 의한 와이어전극의 송급이 정지되고, 또한 와이어커트 방전가공공정이 정지된다. 다음에, 피가공 공작물W에서 하헤드 26에 걸쳐서 잔존된 와이어전극의 단선부분이 회수됨과 동시에 상헤드 22는 Z축 컬럼 18에 의하여 소정량만큼 인상되어진다. 또한, 상헤드 22의 소정량의 인상이 적의로 검지되면, 수정처리 유닛트 30이 회전형 에어실린더 48의 작동으로 선회되어서 상헤드 22의 바로 아래위치로 위치가 결정되어진다. 이때, 수정처리 유닛트 30은 그 선단검출장치 66의 검출단 68a,68b와 커터60이 상헤드 22의 바로 아래 위치로 위치되는 제1의 위치까지 선회된다. 이 선회량은 회전형 에어실린더 48자체의 동작량에 의하여 결정되어진다. 다음에,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이 한쌍의 로울러 42a, 42b가 닫쳐져서, 단선된 와이어전극 14의 되돌림이 행해진다.
그리고,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이 선단 검출장치 66에서 검출되면, 되돌림이 정지된다.
여기서,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에서 와이어전극 14가 파지정지된 상태에 달하면,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은 피가공 공작물W의 방전가공영역에서 되돌림이 되어 있어서, 선단검출신호의 입력에 응하여 CPU 80은 보간기 92를 경유하여 X측 서보회로 102, Y축 서보회로 104를 일정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시키고, 워크테이블 24를 상헤드 22 및 수정처리 유닛트 30에 대하여 상대이동을 시키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끝을 방전가공영역밖으로 이행시킨다.
다음에 와이어전극 14의 단선부의 굴곡부분이나 표면이 거칠어진 부분을 가진 불량부분을 제거할 수 있어서, 에어실린더장치 62가 작동되어서 커터 60 및 공구받음대 64에 의하여 단선끝의 절제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필요에 응하여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의 작동에 의하여 와이어전극 14를 선단검출장치 66로 향하여 계속 송출하는 것에 의하여 여러번에 걸쳐서 와이어전극 14의 하단을 절단제거하여 완전하게 불량부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리하여, 와이어전극 14의 불량부분의 제거가 소정회수에 걸쳐서 수행되는 것이 CPU80에 판독 수취되면, 다시 워크테이블 24의 상대이동이 행해져서, 소정의 가공재개위치로 상헤드 22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 위치에 달하면, 수정처리 유닛트 30의 하브래키트 46이 다시 선회되어서 젯트노즐 74의 중심공을 와이어전극 14의 하단위치로 꼭맞는 위치가 결정된다. 즉, 기술한 제2의 위치로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수정처리 유닛트 30은 상헤드 22의 상노즐 34에 밀착되어진다. 다음에 와이어전극 이송기구 40의 한쌍의 로울러 42a, 42b는 서로 떨어져 와이어전극 공급장치 12의 작동이 재개된다. 동시에 상헤드 22에 있어서 가공액의 공급이 재개되고(가공액은 방전가공공정의 정지시에 동시에 정지되어 있다), 이 가공액의 분류를 이용하여 젯트노즐 74의 안내하에 와이어전극 14는 하헤드 26으로 삽통하여 뻗는다. 이 경우에 가공재개위치가 피가공공작물 W상에 있으면, 이 피가공 공작물 W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가공재개공을 통하여 와이어전극 14가 뻗으며, 또한 가공재개위치가 피가공 공작물W의 측부의 외측에 있으면, 상헤드 22에서 하헤드 26으로 향하여 직접적으로 와이어전극 14가 뻗는다.
이와같이 와이어전극 14의 뻗침이 완료하면, 수정처리 유닛트 30은 상헤드 22의 바로아래 위치에서 퇴피위치로 향하여 회전형실린더 48의 작용으로 선회퇴거된다.
다음에, 상헤드 22는 Z축 컬럼 18의 하강에 의하여 방전가공위치까지 다시 하강된다. 다음에, 이미 방전가공에 의하여 피가공 공작물 W내에 개구된 가공경로가 형성되어 있을시에는, 워크테이블 24의 X, Y축 방향의 가공프로그램을 재생시켜서, 이 가공경로를 따라 와이어전극 14와의 사이에 상대이동을 행하여, 와이어전극 14를 단선 발생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렇게하여 단선발생위치까지 방전작용을 행함이 없이 이동시키게 되어 마침내 방전가공이 재개되어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각종의 개조변화시킨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정처리 유닛트를 회전형 에어실린더에 의한 선회구조체로서 형성한 것이지만, 선회동작과 교체하여 모터를 이용한 상하 또는 횡방향에 있어서의 직동구동체로 하여도 되는 것이다.
또한, 선단검출장치는 전기적 접촉검지방법에 관한 것이 아닌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중에 와이어전극의 단선고장이 발생할시에는, 단선끝의 불량부분을 완전하게 절취제거하여 다시 상헤드와 하헤드와의 사이로 와이어전극이 뻗는 전극의 뻗침을 행하게 되므로, 그 뻗침작용의 자동화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상헤드, 하헤드사이에 뻗쳐 설치되어 방전가공재개의 준비를 틀림없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느 동시에 단선끝의 불량부분의 제거, 폐기가 가공영역 밖에서 실시되므로, 제거와이어가 피가공공작물면에 잔존하여, 가공재개후에 그 잔존와이어에 기인하여 다시 단선이 발생할 가능성을 해소시킬 수가 있다. 이상으로부터, 궁극적으로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작용의 CNC제어를 달성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요약서
와이어전극(l4)을 그 공급장치(12)에서 피가공공작물(W)에 대한 방전가공영역으로 이송하고, 상하의 헤드(22, 26) 사이에서 긴장, 주행시켜서, 워크테이블(24)상의 상기 피가공공작물(W)에 방전가공을 시행하여, 방전가공중에 와이어전극의 단선이 적의의 검출기로 검출되면, 상헤드(22)의 근처에서 와이어전극 이송기구(40)에 의하여 되돌려져서 유지되고, 방전가공영역밖에서 와이어전극(14)의 선단끝을 선단검출장치(66)에서 검출하여, 그 검출된 단선끝을 방전가공영억에서 이탈된 위치에 설치된 와이어전극 수정위치에서 커터(60)와 공구받음대(64)에 의하여 절단수정하여, 단선끝을 제거하고, 수정된 와이어전극(14)을 젯트노즐(74)을 사용하여 다시 상하의 헤드(22, 26)사이에 가설하여 방전가공을 재개하도록 된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본 발명은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전가공중에 있어서의 전극 와이어의 단선발생시에 단선끝을 방전가공역에서 이탈된 수정위치에 있어서 수정처리하여서 와이어가이드를 내장한 상,하 헤드사이에 전극와이어를 자동적으로 뻗도록하여, 피가공공작물에 대한 방전가공의 개시준비를 자동적으로 수행토록 된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와이어커트 방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헤드와 수정처리 유닛트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에 따른 수평단면도.
제4도는 상기 방전가공장치의 작동제어에 사용되는 CNC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공장치의 프레임 12 : 와이어공급장치
14 : 와이어전극 16a : 가이드로울러
16b : 가이드로울러 16c : 가이드로울러
18 : Z축컬럼 18a : 암
20 : 테이퍼가공용 테이블장치 22 : 상헤드
24 : X,Y축 워크테이블 26 : 하헤드
28 : 암 30 : 수정처리 유닛트
Mx : X축 구동모터 My : Y축 구동모터
Mu : U축 구동모터 Mv : V축구동모터
W : 피가공공작물 32 : 상가이드
34 : 상노즐 36 : 가공액포트
38 : 유로 40 : 와이어전극이송기구
42a : 로울러 42b : 로울러
44 : 상브래키트 46 : 하선회브래키트
46a : 공기실 48 : 회전형 에어실린더
50 : 출력축 52 : 피니온
54 : 피동치차 56 : 회전축
58 : 작동에어실린더 60 : 컷터
62 : 에어실린더장치 64 : 공구받음대
66 : 선단검출장치 68a : 검출판
68b : 검출판 70a : 검출전압인가회로
70b : 검출전압인가회로 72 : 디텍터
74 : 젯트노즐 76 : 경사벽
78 : 도입포트 80 : 중앙처리장치
82 : 어드레스버스 84 : 데이터버스
86 : 기억수단 88 : 테이프리더
90 : 수동데이터 입력장치 92 : 보간기
94 : 데이터출력장치 96 : 데이터입력장치
98 : U축 서보회로 100 : V축 서보회로
102 : X축 서보회로 104 : Y축 서보회로

Claims (6)

  1. X, Y평면내에서 자동이송되는 피가공공작물의 탑재설치용의 워크테이블과, 와이어전극을 상기 피가공공작물의 방전가공영역을 경유하여 송급하는 와이어공급장치와 상기 워크테이블의 상,하, 양부에 설치되는 와이어가이드릍 내장한 상, 하헤드와, 상기 와이어공급장치에서 송급되는 와이어전극을 상, 하헤드사이에 가공액의 젯트류를 사용하여 자동적 뻗도륵 설치하여 가공개시를 자동준비시키는 전극와이어의 자동뻗침기구와, 와이어전극의 단선검출기구와, 상기 상헤드에 대하여 이탈자재로 걸어 맞춤가능하게 설치되어진 상기 와이어전극의 단선의 수정처리 유닛트를 구비한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헤드에 설치되고, 방전가공중에 상기 방전가공영역에서 발생한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이 방전가공영역에서 되돌림과 더불어 이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반복 송출가능하게 지지하는 와이어전극 이송기구와, 상기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상기 방전가공영역밖에서 검출하도록 설치된 선단검출수단과, 상기 선단검출수단에 의한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의 검출에 응하여 이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방전가공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격리된 소정의 와이어전극 수정위치로 이동시키고, 또한 이 와이어전극 수정위치에서 복귀시키는 상대이동수단과, 상기 와이어전극 수정위치에서 상기 와이어전극의 단선끝을 절제수정하는 커터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수단에 의하여 절제수정된 상기 와이어전극을 상기 가공액의 젯트류에 의하여 상기 상헤드에서 상기 하헤드로 항하여 이송안내하는 젯트노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이동수단은 상기 피가공공작물의 탑재설치용의 워크테이블을 상기 상헤드에 대하여 X, Y평면내에서 이동시키는 X, Y이동기구에 의하여 겸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검출수단은 도전성의 와이어전극과 전기적접촉의 존부에 의하여 변화하는 전기적신호를 발생하는 한쌍의 선단검출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수단은 에어실린더로서 작동되는 하나의 커터와, 이 커터의 공구날을 수용하는 공구받음대를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처리 유닛트가 상기 선단검출수단과 상기 커터수단을 구비하고, 방전가공영역에 대하여 접근과 후퇴의 양이동이 가능한 하나의 가동 유닛트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KR1019870700168A 1985-07-04 1986-07-04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KR900008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45691 1985-07-04
JP60145691A JPS629827A (ja) 1985-07-04 1985-07-04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方法と装置
PCT/JP1986/000344 WO1987000103A1 (en) 1985-07-04 1986-07-04 Wire cut electric spark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700435A KR870700435A (ko) 1987-12-29
KR900008221B1 true KR900008221B1 (ko) 1990-11-06

Family

ID=1539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168A KR900008221B1 (ko) 1985-07-04 1986-07-04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16636A (ko)
EP (1) EP0229188A4 (ko)
JP (1) JPS629827A (ko)
KR (1) KR900008221B1 (ko)
WO (1) WO1987000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614A (ja) * 1986-08-30 1988-03-18 Fanuc Ltd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
US4980531A (en) * 1987-10-12 1990-12-25 Charmilles Technologies S.A. Prehesive device for the electrode wire of an EDM cutting machine
JPH01115520A (ja) * 1987-10-27 1989-05-08 Fanuc Ltd ワイヤ自動結線終了検出方式
JPH01140924A (ja) * 1987-11-26 1989-06-02 Fanuc Ltd 自動ワイヤ結線方法
JP2637454B2 (ja) * 1988-02-10 1997-08-06 株式会社アマダ ワイヤ放電加工機のワイヤ切断方法
JP2573514B2 (ja) * 1988-05-11 1997-01-2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断線位置検出装置
JPH02100828A (ja) * 1988-10-08 1990-04-12 Fanuc Ltd 自動ワイヤ結線不良検出方式
JP3084879B2 (ja) * 1992-01-27 2000-09-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
US5523545A (en) * 1995-02-16 1996-06-04 Ona Electro-Erosion, S.A. Device for detecting successful threading on electrical discharge machines
ES2141640B1 (es) * 1996-05-17 2000-11-01 Ona Electro Erosion Procedimiento y dispositivo de corte y enhebrado automatico para maquina de electroerosion.
JP5088975B2 (ja) * 2010-10-19 2012-12-05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4938137B1 (ja) * 2011-03-03 2012-05-23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被加工物の上面検出機能を有する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CN107073614B (zh) * 2015-10-30 2019-01-04 三菱电机株式会社 线放电加工机、线放电加工机的控制装置的控制方法及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9248A (en) * 1963-09-27 1966-08-30 All State Welding Alloys Co In Apparatus for processing welding wire
DE2755777C2 (de) * 1977-12-14 1983-12-0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Schnittstellen-Wechsel bei der elektroerosiven Bearbeitung mit draht- oder bandförmiger Elektrode
JPS5927298B2 (ja) * 1979-06-15 1984-07-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JPS5610130A (en) * 1979-07-06 1981-02-02 Teijin Ltd Anthracene derivative and luminous composition
JPS5682133A (en) * 1979-12-04 1981-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c wire feeder for wire cut type electric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device
JPS5682134A (en) * 1979-12-07 1981-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Wire cutting apparatus for wire cut typ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device
FR2478512B1 (ko) * 1980-03-24 1985-03-22 Charmilles Sa Ateliers
JPS6052893B2 (ja) * 1980-06-30 1985-11-21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
JPS5859734A (ja) * 1981-10-02 1983-04-08 Fanuc Ltd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機
JPS58202724A (ja) * 1982-05-06 1983-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におけるワイヤ自動供給装置
DE3317826C2 (de) * 1982-05-19 1994-04-07 Amada Co Schneiddraht-Funkenerosions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16636A (en) 1989-03-28
WO1987000103A1 (en) 1987-01-15
JPH0520213B2 (ko) 1993-03-18
EP0229188A4 (en) 1988-11-02
EP0229188A1 (en) 1987-07-22
JPS629827A (ja) 1987-01-17
KR870700435A (ko) 198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221B1 (ko) 와이어커트형 방전가공장치
EP0286684B1 (en)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S61260932A (ja) 加工スリツト内に電極線を再度通すための手法とその応用装置
JPS5927298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EP0356520B1 (en) Automatic wire connecting method
JP2756488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方法及び装置
JP3623363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送り装置
JP4342737B2 (ja) ワイヤ放電加工時の短絡回避方法
JP2732293B2 (ja) 細穴放電加工方法
JPS6331333B2 (ko)
JPS5973232A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
EP1393844A2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2762086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による細穴放電加工方法
JP2684392B2 (ja) ワイヤ電極供給確認方法
JP3420833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中子処理装置
JPH07299660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用ノズル装置
JP2566764B2 (ja)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用自動通線装置
JPS6214369B2 (ko)
JPS6219973B2 (ko)
JP2681809B2 (ja) ワイヤ放電加工用制御装置
JPS6359810B2 (ko)
JPH04289026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短絡解除方法
JP2000343255A (ja) レーザ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86428A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断線修復方法
JP2000094225A (ja) ワイヤ放電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