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856B1 - 자동피복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피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856B1
KR900000856B1 KR1019840000420A KR840000420A KR900000856B1 KR 900000856 B1 KR900000856 B1 KR 900000856B1 KR 1019840000420 A KR1019840000420 A KR 1019840000420A KR 840000420 A KR840000420 A KR 840000420A KR 900000856 B1 KR900000856 B1 KR 90000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vacuum
panel
ro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504A (ko
Inventor
엘.가버 죤
Original Assignee
다이나켐 코오포레이숀
제이.알.스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나켐 코오포레이숀, 제이.알.스탠리 filed Critical 다이나켐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40007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2Laminating of sheets, panels or inserts, e.g. stiffeners, by wrapping in at least one outer layer, or inserting into a preformed p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both discrete and continuous layers
    • B32B37/22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32B37/226Laminating sheets, panels or inserts between two continuous plast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5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using vacu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16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G03F7/161Coating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using a previously coated surface, e.g. by stamping or by transfer lami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25Printed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8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bending, drawing or stretch forming sheet to assume shape of configured lamina while in contact therewith
    • Y10T156/103Encasing or enveloping the configured lamin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51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f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22Severing before bonding or assembling of parts
    • Y10T156/1339Delivering cut part in sequence to serially conveyed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12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ork
    • Y10T156/1741Progressive continuous bonding press [e.g., roll coup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44Means bringing discrete articles into assembled relationship
    • Y10T156/1776Means separating articles from bulk source
    • Y10T156/1778Stacked sheet source
    • Y10T156/1783Translating pick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피복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피복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자동피복장치에 대한 개략도.
제3도는 회로기판이 피복니프의 상부에 위치한 진공흡착 컵상에 지지되고, 회로기판이송기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상작동위치로부터 후퇴한 모양을 회로기판 이송기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회로기판이송기가 하부 위치에 있고 피복니프에 회로기판이 끼워진 모양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회로기판이송기의 구동기구에 대한 사시도.
제6도는 자동피복장치의 우측후미에 위치한 피복로울 주구동기구의 케이블 클러치구동기구에 대한 사시도.
제7도는 진공식 회로기판흡착컵과 지지아암에 대한 사시도.
제8도는 회로기판로드파일 이송기와 건조필름인장봉과 진공흡착컵을 제거한 상태의 자동피복장치를 좌측 상단에서본 사시도.
제9도는 회로기판 로드라일 이송기와 회로기판이송기를 제거한 상태의 자동피복장치를 좌측에서 본 사시도.
제10도는 필름이 판넬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는 필름제어기구에 대한 개략도.
제11도 내지 제16도는 피복로울과 함께 사용되는 가압기구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가압 기구가 "OFF"위치와 "ON"위치에 있는 모양을 도시한 것이고, 제13도 및 제14도는 자동피복장치의 전방에 조립된 가압기구용 베어링을 도시한 것이며, 제15도 및 제16도는 자동피복장치의 후방에 조립된 가압기구용 베어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7도는 피복스테이션을 좌측상단에서 본 사시도.
제18도 내지 제22도는 건조필름 파지절단봉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3도는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자동피복장치를 좌측에서본 사시도로서, 필름이송봉과 연결된 진공호스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진공호스릴과 필름루우프댄서 컨트롤 기구를 도시한 도면.
제24도는 컨트롤판넬(제어버튼이 배열된 판)과, 좌측필름 길이 조절기구에 대한 정면도.
제25도는 우측필름길이 조절기구에 대한 정면도.
제26도는 피복니프를 통과하여 딜리버리 베트러그(Delivery Belt Lug)의 윗면까지 내려온 회로기판과, 피복이 완료된 후 딜리버리 스택(Delivery Stack)에 기대어 쌓인 회로기판에 대한 사시도.
제27도는 딜리버리스택을 제거한 상태의 자동피복장치를 우측 하단에서 본 사시도로서, 제26도에서와 같은 위치에 있는 피복된 회로기판과, 피복이 완료된 회로기판이 한곳으로 이동하여 쌓이는 것을 돕는 딜리버리벨트를 도시한 도면.
제28도는 자동피복장치 제어용 전기부품과, 단절스위치와, 제9도에서처럼 피복장치의 좌측후미와 우측후미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공통격판에 대한 사시도.
제29도는 기계작동식 진동 및 공기압장치가 내설된 캐비넷 하우징의 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의 자동피복장치에 대한 사시도.
제30도는 로드파일 이송유닛을 제거한 상태의 자동피복장치를 좌측상단에서 본 사시도로서, 두께가 0.007 정도되는 매우 얇은 회로기판을 이송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된 회로기판이송기를 도시한 도면.
제31도 및 제32도는 각각 제30도의 회로기판흡착판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이고, 제33도는 그 흡착판에 대한 정면도이다.
제34도는 진공식 절단봉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제34a도는 좌측필름 길이 조절기구에 대한 상세도.
제35도는 절단봉 조립체를 제34도의 35-35선을 따라 절단한 모양을 도시한 횡단면도.
제36도는 CRT 그래픽 디스플레이유닛(단말장치)에 대한 정면도.
제37도 내지 제42도는 자동피복장치의 작동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43도 내지 제47도는 자동피복장치의 진공시스템에 대한 개략선도.
제48도 및 제49도는 솔레노이드 작동식 진공밸브 작동기구에 대한 개략선도.
제50도 및 제51도는 자동피복장치용 제어 및 구동기구에 대한 전기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피복장치 12 : CRT디스플레이유닛
14 : 회로기판 픽업유닛 16 : 회로기판 로드파일 이송유닛
18 : 필름공급로울 20 : 필름테이크업로울
24 : 필름절단칼 26 : 가열피복로울
28 : 진공식필름이송봉 40 : 필름루우프댄서 컨트롤기구
42 : 컨트롤 판넬 44 : 회로기판 스택커
46 : 진공식 필름인장봉 48 : 공기배출구
49 : 공기배출도관 50 : 딜리버리벨트
52 : 광저항성 건조필름 54 : 안내로울
본 발명은 전자상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회로기판이나 판넬등의 표면에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피복하는 필름 피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판넬의 양면에 자동적으로 필름을 피복하는 가열로울식 자동피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쇄회로기판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하여 광저항성 건조필름이 개발되어 왔고, 그러한 필름의 피복된 회로기판은 오늘날 전자산업분야에서 대단히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광저항성 건조필름의 대표적인 예로는 마이클 엔.지라노씨 등의 "중합결합재를 함유한 광중합성 조성물"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특허를 허여받아서 다이나켐 코오포레이숀사에 그 권리를 양도한 미합중국 특허 제 3,887,450호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오염이 되기 쉽고 점성이 강하며 유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비록 점성은 강할지라도 박리가 쉽게 되기 때문에 피복대상물의 보호나 취급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로울에 말아서 사용할 수가 있다. 대개의 경우 광저항성 필름의 두께는 1.0, 1.5, 2.0, 3.0mils정도가 적합하고, 그 폭은 10"-20"(25.4cm-60.96cm) 정도의 것이 많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것과 같은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인쇄회로 기판의 표면에 피복하는데 사용되는 피복장치 역시 여러형태의 것이 제안되어 본 기술분야에서 계속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종래의 피복창치로는 다이나켐 코오포레이숀사에서 생상하여 "120", "300", "310"이라는 모델명으로 시판하고 있는 수동식 피복장치가 있는데, 이들 피복장치는 한번에 한개씩의 회로기판을 피복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복장치는 폴리에틸렌 커버필름을 공급하는 두개의 광저항성 건조필름 공급로울과, 그 필름을 피복할 회로기판의 양면에 배열하는 두개의 테이크업 로울과, 각각의 공급로울로부터 건조필름을 견인하여 회로기판의 적소에 배치하는 견인로울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피복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번에 한개씩의 회로기판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피복해야하는 점외에도, 피복이 완료된 회로기판의 끝면을 다듬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필름이 손실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필름이 손실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필름과 회로기판이 견이로울사이로 들어갈때에 필름의 선단을 회로기판의 선단에 정확하게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에 필름의 선단을 회로기판의 선단보다 앞으로 나오게 하여 중첩시켜야하고, 또한 회로기판의 후단에서도 필름을 정확한 길이로 절단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회로기판의 길이보다 길게 잘라서 피복한다음 다시 그 끝면을 다듬어야하는데 연유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형태의 광저항성 건조필름 피복장치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대두되는 또다른 문제점은 정전기의 발생으로 인하여 주름이 없이 필름을 피복하기가 곤란하고, 가열피복로울 및 필름절단용 가열장치에서 발생하는 연기 때문에 회로기판에 피복할 필름이 오염된다는 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필름피복장치외에도, 축전지판에 축전지분리재를 외피형태로 피복하여 그 가장자리를 자동적으로 밀봉하는 축전지분리재 피복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피복장치의 일례로는 윌리암 에취.스톨리씨 등이 특허를 허여받은 미합중국 특허 제 4,080,727호를 들 수 있는데, 이 특허의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이 "축전지분리외피용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여러종류가 있지만, 대개의 경우 분리재에는 그 표면이 축전지판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의 리브(rib)구조체를 부착시켜야하며, 산(酸)이나 이온등이 외피를 통하여 축전지판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다공성분리재로 외피를 만들어야한다.
상기 특허의 축전지분리재 피복장치에 있어서는, 피복할 축전지판보다 넓은 폭을 갖은 분리재를 이송로울러에 의해 폴딩 스테이션(folding station : 분리재를 반으로 접은곳)으로 수직이동한 다음 절단칼을 사용하여 그 분리재를 축전지판의 두배의 길이로 절단해서 새김눈이 형성된 접는선을 따라 반으로 접어놓고, 그 사이에는 폴딩스테이션으로 이송되어온 축전지판을 접는선까지 끼워넣는다. 이어서 축전지판이 끼워진 분리재를 리프팅장치로 들어올려 분리재가 겹쳐진 부분에 용융상태의 접착제를 바른다음, 로울러로 압착하여 그 가장자리를 밀봉하고 나서 최종적인 마무리 작업을 하여 밀봉된 가장자리를 다듬게된다. 이와 같이 피복된 축전지판은 컨베이어에 의해 리시빙 플랫포옴(receiving platform)상으로 운반되게 되고, 그곳까지 운반된 피복축전지판은 기계장치나 손으로 리시빙 플랫포옴을 아래로 기울이므로써 외부로 배출된다.
기타 축전지판용 분리재 피복장치에 관한 특허의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 3,373,082호와 제 4,026,000호가 있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2,373,082호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는, 축전지판에 알맞게 미리 잘라서 주름을 잡는 유리섬유 매트를 스택(stack)에 차례로 쌓아놓고 날카로운 돌출부를 갖는 집게와 연동기구을 사용하여 수평위치에서 측단가이드사이로 하나씩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이송된 매트의 이송이 완료되면 후속 매트가 측단가이드 사이로 전진하면서 앞서 이송된 매트를 정지부재를 향해 밀게되고, 그 결과 최초로 이송된 매트의 주름선이 판재의 중앙에 형성된 슬롯과 정렬된다. 이어서 축전지판이 판재의 슬롯을 통하여 수직하게 메트위로 공급되어 그 매트를 누르게되고, 그에따라 매트가 반으로 접히면서 축전지판의 양면을 덮게된다. 그리하여 상기 축전지판과 그 축전지판을 덮고 있는 매트는 벨트에 의해 하방으로 이송되게 되고, 그 이송과정중에 상기 매트는 축전지판과 견고하게 접착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매트가 피복된 상기 축전지판은 벨트에서 이탈되면서 활강로를 미끄러져 컨베이어로 배출된다. 상기 특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울에 유리섬유재를 감아놓고, 그 유리섬유재를 날카로운 돌출부를 갖는 집계를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피복스테이션으로 이송시킨 다음, 축전지판의 크기에 상당하는 부분을 절단하여 하나의 매트를 만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합중국 특허 제 4,026,000호의 축전지판 피복장치 역시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2,373,082호의 대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각개의 분리판재를 장방형 통로를 통하여 공급하며 극 분리판재가 정지점에 이르게 되면 분리판재의 중간부분이 접혀지게 되고, 축전지판 공급기로부터 이송되어온 축전지판은 분리판재의 접는선까지 밀려가서 그 분리판재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판재에 둘러싸인 축전지판은 이송로울러에 의해 초음파 밀봉장치로 이송되어 그것에서 가장자리부분이 완전히 밀봉된다.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종래피복장치의 또다른 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 2537874호의 판지피복장치를 들 수 있다. 이 판지피복장치는 수직으로 쌓여있는 판지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래크와, 그 이송래크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판지에 접착제를 바르는 접착제도포로울러와, 접착제도포로울러의 하부에서 티슈페이퍼를 지지하는 슬롯이 형성된 수평판재로 구성된다. 작동에 있어서는 상기 판지가 슬롯을 통하여 하방으로 이동해서 티슈페이퍼의 중앙선부분을 밀게되고, 그에따라 티슈페이퍼가 반으로 졉혀서 판지의 양면을 덮는다.
존 디.콘티씨가 특허를 허여받은 미합중국 특허 제3,284,982호의 종이상자용 테이프접착장치에 있어서는, 푸쉬 바(push bar)에 의해서 전진되는 종이상자의 선단이 로울로부터 무한궤도 벨트사이로 공급되는 테이프선단의 하향연장부와 접하게되고, 그 테이프의 선단은 죠오에 의해서 견인되어 종이상자의 통로를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되어있다. 종이상자가 횡방향으로 놓여있는 테이프의 상면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테이프는 죠오에 의해서 당겨져서 그 종이상자의 하면에 가열접착된다. 종이상자가 계속해서 전진함에 따라 상기 테이프는 상방으로 견인되면서 종이상자의 전면과 상면을 밀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테이프는 종이상자의 후면보다 다소 길게 절단됨과 아울러 푸쉬바에 의한 종이상자의 이송이 중단되게 된다. 그리하여 수직으로 왕복운동하는 견인판이 종이상자의 후면주위에 위치한 상기 테이프를 견인해서 종이상자의 후면과 그에 인접한 푸쉬바의 요입부사이에 절단된 테이프의 끝단을 끼워넣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의 장치를 사용하여 축전지판을 봉합하거나 판지를 피복하는데 있어서는 몇가지 장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오염되기 쉽고 대단히 유연한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오염되지 않은 상태하에서 주름의 잡히지 않게 하여 회로기판등의 판넬에 효과적으로 피복하는 자동피복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열거하면, 우선 끝면다듬질 작업을 할 때에 필름등이 불필요하게 손실된다는 점과, 판넬이 수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판넬을 다루기가 곤란하다는 점과, 정전기의 영향으로 인해 주름이 없이 필름을 피복하기가 어렵다는 점, 그리고 열선필름절단기와 가열피복로울의 사용시에 발생하는 연기로 인하여 필름이 오염되는점 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회로기판 또는 판넬의 크기이와 정확히 일치하게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절단할 수 있는 개선된 캘리브레이션시스템(calibration system)을 자동피복장치에 설치함으로써 끝면 다듬질 작업의 필요성을 없애고 필름의 손실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피복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제시하는 음극선관(CRT)디스플레이를 가지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개선된 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크기가 다른 각종 판넬의 길이에 맞게 필름의 길이를 간단하고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필름길이 조정기구가 설치된 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피복할 회로 기판의 적재가 용이하고 피복작업이 간단하며 조작자의 도움없이도 피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자동피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발명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개의 회로기판에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자동적으로 피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피복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자동피복장치의 작동에 있어서는, 먼저 필름이 테이크업 로울러에 감겨있는 폴리에틸렌커버와 함께 폴딩스테이션으로 인입된 다음, 피복할 회로기판의 크기에 맞도록 정확하게 절단된다. 이어서 인입된 필름의 상부에 위치한 스택으로부터 회로기판이 하향이동되어 필름의 중심선과 접합하는 동시에 그 필름을 아랫방향으로 밀게되고, 그에따라 필름과 회로기판이 피복니프와 가열피복로울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회로기판의 양면에 필름이 피복된다. 그리고 피복과정중의 필름은 적외선 램프에 의해서 가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필름이 견인되기전의 필름이송과정에서는 체인에 의해 구동되는 진공식 필름이송봉이 필름의 선단방향(도면에 도시한 피복장치에서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절단칼과 같은 위치에 오게 되고, 그 위치에서 진공식 필름이송봉의 진공구멍에는 필름의 선단이 흡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의 선단을 파지한 진공식 필름이송봉은 그 필름을 폴딩스테이션을 지나 역방향으로 견인하여 필름길이조정장치에 의해 사전설정된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나서 이송이 완료된 필름은 절단칼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택에 쌓여있는 회로기판 또는 판넬과 판넬로드파일 이송기가 수직축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10°의 경사를 이루도록 했기때문에 픽업수단에 의해 판넬이 픽업될때 까지는 모든 판넬이 제위치에 있게된다. 또한 필름도 상기와 같은 각도로 경사져있기 때문에 하향이동되는 판넬은 필름과 거의 직각으로 만나게 된다.
판넬픽업수단은 일련의 공기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식 판넬이송봉과 그 끝단에 부착된 진공컵으로 구성되며, 상기 진공식판넬이송봉은 판넬이 쌓여 있는 스택으로 접근하여 판넬을 픽업한 다음, 그것을 가열로울의 중앙상단으로 직립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구동수단은 판넬을 필름위로 하강시켜 그 필름이 판넬의 양면에 덮이도록 해서 필름이 덮인 판넬을 가열로울 사이로 집입시키다. 이어서 가열로울사이를 통과하면서 피복이된 판넬은 하방으로 이동되어 판넬스택커에 쌓이게 된다.
이때 판넬에 피복된 필름은 판넬의 길이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절단된 것이기 때문에 판넬의 가장자리부분에서 필름이 겹쳐지는 일이없다. 따라서 끝면다듬질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가열로울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 이외에도 필름을 이송하고, 각개의 판넬을 픽업하며, 각개의 판넬에 알맞는 크기로 필름을 절단하고, 픽업된 판넬을 필름위로 하강시켜서 필름을 피복한후 가열로울을 통해 판넬스택커로 배출하는등 피복장치 각부의 연속적 작동을 제어하다. 그리고 CRT 디스플레이는 판넬의 수나 가열로울의 온도뿐만 아니라 기타 피복장치의 작동에 따른 제반정보를 조작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구실을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자동피복장치(10)는 디스플레이 유닛(12)과, 판넬픽업유닛(14)과 판넬로드파일 이송유닛(16)과, 광저항성 건조필름 공급로울(18)과, 폴리에틸렌 필름 테이크업로울(20)과, 피복스테이션(22)과, 필름절단칼(24)과, 한쌍의 가열피복로울(26)과, 진공식 필름이송봉(28)과, 진공식 좌측필름길이 조정봉(30)과, 좌측필름길이 조정손잡이(32)와, 진공식 우측필름길이 조정봉(34)과, 우측필름길이 조정손잡이(36)와, 적외선 램프(38)와 플름루우프댄서 조절로울(40)과, 제어판(42)과, 판넬적하기(44)와, 진공필름인장봉(46)과, 공기배출구(48)와, 공기배출도관(49)과, 딜리버벨트(50)로 구성된다.
제2도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름공급로울(18)에서 풀려난 광저항성 건조필름(52)은 가이드로울(54)을 지나 하방으로 견인되게되는데, 가이드로울(54)에서는 상기전고필름 표면으로부터 폴리에틸렌커버(56)가 분리되어 우측상단에 위치한 테이크업로울(20)에 감진다. 계속해서 커버가 벗겨진 상기 광저항성 건조필름은 하방으로 이송되어 댄서조절로울(40)을 경유하게 되고, 그 댄서조절로울(40)에서 부터는 상방으로 이송되어 제2의 가이드로울(58)을 지나 진공식 좌측필름길이 조정봉(32)을 향해 전진하게 된다. 진공식 좌측필름길이 조정봉까지 이송된 상기 건조필름 피복스테이션(22)을 통해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있는 위치까지 이동되고 나서 절단칼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절단된 다음, 판넬 또는 회로기판의 표면에 피복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박판금속이나 기타 적당한 재료로 만든 하우징(60)내에 자동피복장치(10)가 내설되고, 그 자동피복장치에 10"×10"(25.4cm×25.4cm) 내지 24"×24"(60.96cm×60.96cm)의 크기로된 판넬(62)의 수용되게 된다. 이때 작동피복장치에 공급되는 판넬의 재질은 대개 구리로 되어있다.
판넬로드 파일 이송유닛(16)은 평면(66)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역 ㄴ자형부재(6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판넬로드파일 이송유닛에는 폭이치수가 서로다른 각종 판넬(62)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제3도 및 제4도에서 도시한것과 같은 횡방향 이동식 안내부재(68)가 부착된다. 상기 역 ㄴ자형 부재(64)는 피복할 판넬(62)을 지지하는 보강판(70)으로 구성되는데, 그 보강판(70)은 수직방향으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10°정도 경사져 있기 때문에 픽업유닛(14)에 의해서 판넬이 픽업될때까지는 그 판넬이 원래의 적재상태로 있게된다.
일단 하나의 판넬의 판넬픽업유닛(14)에 의해서 픽업되면, 역 ㄴ자형 부재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다음 차례의 판넬(62)을 픽업위치로 전진시킨다. 상기 역 ㄴ자형 부재를 이동시키는 수단은 제5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잭과 피니온을 갖는 구동유닛(72)으로 구성되는데, 피복장치(10)의 뒷부분에도 그와동일한 구동유닛이 설치되어 역 ㄴ자형 부재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구동유닛(72)을 각 판넬의 전진위치를 탐지하여 제6도에 도시한것과 같은 스위치(76)를 작동시키는 판넬위치탐지기(74)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피복장치에는 구동유닛(72)을 역 ㄴ자형 부재에서 이탈시키는 레버(76)도 설치된다.
제7도에 도시한 직업유닛(14)은 상하로 배열되어 공기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일련의 횡단봉(80,82,84)으로 구성되며, 그 횡단봉의 양단에는 각각 한 개씩의 진공컵(흡착컵)이 배열된다. 각개의 횡단봉(80,82,84)은 수직부내(86)상에 적절하게 장착되고, 그 수직부재(86)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공기작동식 판넬이송기부재(88)에 부착된다. 따라서 각각의 횡단봉에 부착된 진공컵(78)은 판넬로드파닐이송유닛(16)에 쌓여있는 판넬(62)의 표면을 흡착하여 그 하단부를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것과 같은 피복니프(90)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판넬픽업과 정중에는 판넬위치탐지기(74)가 작동하여 구동유닛(72)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판넬이송부재(92)에 부착된 수직부재(86)는 그 판넬이송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픽업된 판넬을 피복니프(90)를 통하여 피복로울(26)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한 판넬이송부재작동기구는 회전식 강철드럼(75)과, 케이블(77)과, "입출양용(piggy back)"으로 연결된 2개의 공기압 실린더(79,81)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77)은 공기압 실린더(79)에서 인출되어 강철드림(75)에 한바퀴 감긴다음, 제1아이들러폴리(77a)를 돌아 판넬이송부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제2아이들러폴리(도시하지않음)를 지나게 되며, 그 끝은 판넬이송부재(92)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제2 아이들러 폴리를 90°의 각도로 감싸게 되고, 그 아이들러 폴리로부터 수직면과 반시계방향을 10°정도 경사지게 이탈되기 때문에 판넬이송부재(92)의 운동방향, 즉 판넬(62)이 피복니프(90)사이로 하강되는 방향과 케이블의 이동방향은 일치하게 된다.
강철드림(75)과 피복로울(26)은 제6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모터(85)를 동력원으로 하는 체인구동기구(83)에 의해 구동되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한다. 그런데 케이블(77)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청드럼둘레에 감겨있기 때문에 공기압실린더(79,81)가 작동을 하게되면 그 케이블은 상기 강청드럼둘레에 견고하게 조여지면서 견인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77)은 강철드럼(75)에 의해 당겨져서 그 끝에 연결된 판넬이송부재(92)를 하강시킨다. 그 결과 판넬(62)의 필름(52)과 함께 하강하여 피복니프(90) 및 피복로울(26)을 통과하게 된다. 그런데 스프링기능을 하는 공기압실린더는 판넬이송부재를 상방을 이동시키려는 힘을 계속적으로 가하고 있기 때문에 판넬의 이송을 끝낸 판넬이송부재(92)는 제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초기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8도 판넬로드파일 이송유닛(16)을 제거한 상태의 피복장치(10)를 우측상단에서본 사시도로서, 피복로울(26)을 명확히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수직부재(86)와 연결된 판넬이송부재(88)와 일련의 횡단봉(88,82,84)과, 그 횡단봉상에 정착된 진공컵(78)을 제거한 상태에서 필름인장봉(46)과 건조필름(52)을 도시했다.
제9도는 필름공급로울(18)과, 가이드로울(54,58)과, 폴리에틸렌 필름 테이크업 로울(20)과, 댄서로울(40)과, 필름길이 조정 손잡이(32,34)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0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복장치(1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는 수직부재(86)가 하강하는 동안에 필름과 판넬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기 위하여 필름과 피복로울의 외측에 해당되는 필름인장봉(46) 사이에 체인(94)을 연결했다. 이때 필름인장봉은 적절한 스프링수단(96,98)에 의해 견인되어 최대로 늘어난 위치에 있게 되며, 각각의 체인은 중심링크(100)로 구성되게 된다.
제8도에 도시한 판넬이송부재(92)에 한쌍의 크로스바(102,104)가 장착되고, 그 크로스바에는 각각 갈고리부재(forked member)가 매달리게 되는데, 상기 갈고리부재(106,108)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개의 판넬(2)이 필름(52)과 함께 피복니프(90) 및 피복로울(26)을 통과함에 따라 체인(94)과 연결된 중심링크(100)와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필름인장봉(46)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96,98)에 의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견인되어 최대로 늘어난 위치에 있게 된다. 그러나 일단 갈고리부재(106,108)가 중심링크(100)와 맞물려 하강운동을 파면 필름인장봉(46)은 스프링력을 상쇄시키고 서로 접근하여 필름(52)을 파지하게 된다. 따라서 판넬이 필름과 어긋나는 일이 없고 사전에 전달된 필름(52)은 접는선을 따라 정확하게 반으로 접혀 판넬(62)의 양면에 덮이는 것이다.
제11도 내지 제16도는 피복로울이동장치(11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피복로울이동장치는 피복로울의 축이 평면상에서 상하로 이동되지않도록 피복로울을 서로 접근시켜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개의 판넬에 건조필름(52)을 가압피복할 수 있도록 하고 피복장치(1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때에는 피복로울을 후퇴시켜 그 사이의 압력을 완화시키는 구실을 하게 된다. 따라서 피복로울(26)중의 하나는 양단이 편심된 측상에 장착되고, 그 축의 양단은 베어링 카트리지에 내설된 2단절삭베어링(double cut bearing)에 조립된다. 즉,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복장치(10)의 앞부분에 위치한 원판형부재와 그 뒷부분에 위치한 직사각형(118)에는 각각 하나씩의 2단절식베어링(112,116)이 조립된다. 그리고, 2단절식베어링(112,116)에는 동심축 및 편심축의 끝단을 지지하는 구멍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가공된다. 다시말해서 한 베어링(112)에 형성된 구멍(120,122)은 피복장치의 앞부분에 위치한 축의 끝단을 지지하게 되고, 다른 하나의 베어링(116)에 형성된 구멍(124,126)은 피복장치의 뒷부분에 위치한 축의 끝단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11도 및 제12도에서는 피복로울측의 편심단을 기호128로서 표시했다. 편심된 끝단을 갖는 피볼로울측은 제1링크(132)와, 제2링크(134)와 제3링크(136)로 구성되는 링크기구(130)에 의해 회전된다. 제1링크(132)의 일단은 피복로울측의 편심단(128)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그 타단을 제2링크(134)의 일단에 핀(138)으로 피봇된다. 그리고 제2링크(134)의 타단은 핀(140)에 의해 제3링크(136)의 일단에 피봇되게 되는데, 그 핀(140)에는 작동부재로서의 기능을 하는 설정된 손잡이가 부착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3링크(136)의 타단은 또다른 핀(142)에 의해 피복장치(10)의 원판형부재(144)에 피봇된다. 그런데 상기 제3링크(136)는 손가락으로 돌리도록 되어있는 휘일 및 나사(141)로 구성되기 때문에 나사를 돌려서 제3링크(136)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피복로울(26)사이의 압력을 완화시킬 수가 있다. 제11도는 링크기구(110)가 "OFF"위치에 있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 상태에서는 두개의 피복로울이 서로 떨어져서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반면, 제 12도는 상기 링크기구(100)가 "ON"위치에 있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 상태에서는 피복로울이 서로 접근하여 그 사이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두개의 피복로울 사이를 통과하는 건조필름(52)이 판넬(62)의 양단에 압착되게 된다.
원판형부재(114,144)는 피복장치(10)전면의 지지프레임(60)에 적절하게 고정되며, 직사각형부재(118)는 제6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복장치 후면의 지지프레임(60)에 고정된다.
제17도는 진공식 필름이송봉(28)에 의해 파지된 필름(52)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필름의 바로 위에서 피복장치(10)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필름절단봉(30)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필름절단봉(30)은 제3개의 분리진공봉으로 되어있으며, 각각의 분리진공봉은 제17도 및 제37도 내지 제4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일련의 진공구멍(146,148,150)으로 구성된다. 진공구멍은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의 하면에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제17도에서는 그 구멍을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제37도 내지 제42도에 도시한 진공식 필름이송봉(34)에도 역시 일련의 진공구멍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기 3개의 진공구멍(146,148,150)을 각각 "제1진공봉", "제2진공봉", "제3진공봉"이라 하고, 하부에 위치한 진공식 필름이송봉(34)을 "제4진공봉", 그리고 상부에 위치한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을 "제5진공봉"이라 하겠다.
제18도 내지 제22도는 필름절단봉(30)의 기본구조체(152)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18도는 평면도로서 일련의 진공구멍(146,148,150)과 연결된 다수의 통로(도면에서는 편의상 모든 통로를 참조번호 154로 나타냄)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18도에서는 다수의 진공밸브 구멍으 도시했다.
제19도 내지 제21도는 제18도를 각각 19-19선과, 20-20선과, 21-21선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제22도는 필름절단봉(30)의 기본구조체용 덮개판(158)에 대한 정평면도로서, 일련의 진공구멍(146,148,150)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은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제2도에 도시한 피복스테이션(22)의 가장좌측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즉, 진공식 필름이송봉이 가장좌측의 위치에 있을때에는, 진공식 필름이송봉의 하부에 형성된 진공구멍이 필름(52)을 흡착하여 그 필름을 필름길이 조정기구(30,34)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절단칼의 진공봉(146,148,150)에 형성된 진공구멍은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로 있게 된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피복장치(10)를 좌측에서 본 사시도로서, 진공식 필름이송봉(28)과 연결된 진공호오스(12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호오스릴(162)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제23도에는 필름루우프 댄서 제어기(40)과, 진공호오스릴(160)을 구동하는 체인을 도시했다. 이 체인(164)은 호오스릴(160)에 확고하게 고정된 스프라킷휘일과, 공전스프라킷휘일(168,170)과 맞물려서 회전하게 되는데, 상부로 올라간 체인은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의 구동축상에 정착된 구동스프라킷을 돌아 다시 하부로 내려오도록 되어있다. 상기 구동측은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163)과 클러치(165)를 통하여 직류서어보모터(323)에 의해서 회전된다. 그리고 제29도에 도시한 다른 하나의 모터(330)는 폴리에틸렌커버(56) 테이크업로울축(20)을 구동한다.
필름이송봉(28)로 역시 체인에 의해 구동되어 가장좌측위치로부터 피복스테이션(22)을 통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진공구멍은 작동상태에 있게 되며 진공호오스(162)는 상기 진공식 필름이송봉의 이동에 저장이 되지않도록 진공호오스릴(160)로부터 풀리게 된다. 반대로,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피복스테이션(22)의좌측으로 귀환할때에는 상기 진공호오스(162)가 진공호오스릴(160)에 다시 감긴다.
제1도 및 제2도의 설명에서도 언급했던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피복장치에 있어서는 건조필름이 피복스테이션(22)을 통하여 이동하는 통로가 상방으로 10°정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통로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수직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10°정도 경사진 판넬로드파일이송기(16)로부터 피복로울(26)을 통해 하방으로 공급되는 판넬(62)이 필름과 직각으로 만나게 하기 위함이다.
피복스테이션에는 진공식 필름이송봉(28)에 의해 피복스테이션(22)을 통하여 우측으로 견인되는 건조필름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손잡이(32,36)와 눈금자(172,174)로 구성되 좌측필름길이 조정기구 및 우측필름길이 조정기구(제24도, 제25도)를 설치했다. 상기 촤측손잡이(32)는 눈금자(172)의 슬롯(176)을 통하여 연장되어 피니온과 연결된 축(173)에 고정되며, 상기 우측손잡이(36)도 역시 상기 좌측손잡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되어 진공식 필름이송봉(34)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즉 잠김특성을 갖는 상기 두개의 손잡이(32,36)를 사용함으로써 피복스테이션(22)으로 견인되는 건조필름(52)의 길이를 정확히 조정하여 피복니프(90)에 의해 판넬(62)의 양면에 피복할 수 있는 것이다.
제24도는 피복장치(10)용 제어판넬(42)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 제어판넬은 이송사이클과 필름사이클 및 피복사이클을 제어하는 푸쉬버튼 및 선택스위치와,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푸쉬버트과, 자동사이클을 제어함과 동시에 작동상의 장애를 해소하는 리세트 스위치와, 적외선 램프를 제어하는 선택스위치와, 판넬의 공급 및 판넬로드파일의 이송을 제어하는 선택스위치와, 피복로울(26)을 제어하는 3개의 푸쉬버튼으로 구성된다.
제26도는 본발명의 자동피복장치(10)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로서 피복니프를 통과하여 딜리버리벨트러그(lug)의 윗면까지 하강된 판넬과, 피복이 완료된후 판넬적하기(panel stacker)에 기대어 쌓인 판넬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7도는 판넬적하기(44)를 제거한 상태의 자동피복장치를 우측하단에서 본 사시도로서, 제26도에서와 같은 위치에 있는 피복된 판넬(62)과, 그 판넬의 적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 딜리버리벨트(184)을 도시한 도면이다.
피복스테이션(22)에는 그 피복스테이션을 통하여 견인된후 절단칼에 의해 절단된 건조필름(5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2개의 플라스틱 편(186,188)을 부착했다. 이들중 한 개의 플라스틱편(188)은 진공식 좌측필름길이 조정봉(30)과 가열로울(26)사이에 설치되고, 다른 한 개의 플라스틱편(186)은 진공식 우축필름길이 조정봉(34)과 가열로울(26) 사이에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각 플라스틱편의 양단은 적절한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필름(52)이 피복로울(26)사이에서 반으로 접혀서 판넬의 양면에 피복될 때, 그 필름의 끝단이 적외선 램프(38)위로 내려오는 것이 방지된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자동피복장치(10)를 좌측후미에서 본 사시도로서, 피복장치의 제어에 필요한 모든 전기부품과, 하우징(60)에 내설된 주단절스위치(190)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제29도는 하우징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진공 및 공기압식 자동장치의 대부준을 도시했다. 하우징후미의 전체적인 모양은 제28도와 제29도를 병렬로 놓고 보면 알 수 있는데, 그럴경우에는 그들사이에 공통격판(192)이 위치하게 된다.
제28도에 도시한 전기제어부품은 주제어기(194)와, 단일모터진공펌프제어기(196)와, 히이터(198)와, 전외선램프제어기(200)와, #2CR 컨트롤릴레이(202)와, #3CR 컨트롤릴레이(204)와, 직류모터제어기(206)와, PLC마이크로프로세서(208)와, 5볼트의 직류전원(210)과, OP CON 포토픽업 증폭기(212)와, OMAGA 199 디지털 온도계(214)와, 1 컨트롤 트랜스포머(216)와, 3-11개의 퓨우즈(218)와 9CR, 10CR 및 CRI 컨트롤릴레이(220)와, 직류모터제어유닛(222)과 #4CR 제어릴레이(224)와, #5CR 제어릴레이(226)와, #1, #2, #3 전위차계(228)와, 6CR 컨트롤릴레이(230)와, #7CR 컨트롤릴레이(232)와, #11CR 컨트롤릴레이(23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중 하나는 제2도에서처럼 피복로울의 표면과 인접한 곳에 적절하게 고정된 버튼형 열전대에 의해 작동되는 OMEGA 199 디지털온도계(214)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이 온도계(214)는 피복로울(26)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적외선 램프제어기(200)는 열전대(236)의 작동에 대응하여 전회선램프(38)를 점등시킨채로 유지함으로써 피복로울의 온도를 250°정도로 지속시킨다. 이때 열전대에 의해 온도가 측정되는 로울은 하나이지만 두개의 로울은 서로 구름접촉을 하기 때문에 그 두로울 표면의 온도는 실질적으로 같아지게 된다.
제30도는 로드파일이송유닛(16)을 제거한 상태의 자동피복장치(10)를 좌측상단에서 본 사시도로서, 두께가 0.007"정도되는 매우 얇은 판넬을 이송하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박판부착기(238)를 설치한 판넬픽업유닛(14)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1도 내지 제33도는 제30도의 박판부착(238)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 제31도는 그 평면도이고 제32도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제33도는 픽업될 얇은 판넬(62)과 접하게 되는 박판부착기(238)의 파상면(240)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와 같이 박판부착기의 표면을 파상(波狀)을 만들면 픽업될 판넬이 확고하고 부착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복니프(90)로 하강하는 판넬이 안정된다.
제34도는 공기압실린더(246)에 의해 작동되는 진공식 필름절단봉 조립체(244)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 필름 절단봉조립체(244)는 비임(250)상에서 절단칼(특히 레이저칼날)과 함께 필름(52)의 횡방향으로 미끄럼 왕복운동을 하도록 되어있는 절단칼 캐리어(248)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35도는 제34도의 35-35선을 따라 절단한 횡단면도이다. 상기 절단칼 캐리어(248)는 피복장치(1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위치한 다수의 풀리(256,258,260,262)에 의해 안내도는 케이블(254)과 연결되게 되며, 그 케이블(254)은 실린더(246)와 랙 및 피니온 조립체에 의해서 이동된다. 이때 랙(268)과 피니온(266)은 실린더(246)의 이동봉(270)끝단에 연결된다. 제34도에서는 실린더(246)의 이동봉(270)이 실린더로부터 완전히 배출된 모양을 도시했는데, 이때에는 절단칼(252)이 장착된 절단칼 캐리어(248)가 피복장치(10)의 후면에서 초기위치에 있게 된다.
제25도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단칼 캐리어(248)는 피봇아암(274)으로 구성되며, 그 아암에는 절단칼(252)이 장착되어 스프링(278)에 의해 하향의 편향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아암을 캐리어에 피봇시키고 스프링(278)을 설치하는 목적은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상기 피봇아암(274)를 밀고 제2도에서와 같이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6도는 CRT 디스플레이유닛(12)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 CRT 디스플레이유닛(12)에는 프로그래밍과 고장탐지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Allen Bradley T-3 Industrial Terminal이 설치된다.
제37도 내지 제42도는 필름(52)을 자동적으로 이송해서 그것을 소정의 길이로 정확하게 절단하고, 피복할 판넬(62)을 픽업하여 절단된 필름과 함께 피복로울(26)을 통과시켜서 양면을 피복한 다음에 판넬적하기(44)로 낙하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피복장치의 연속된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자동피복장치의 연속작동을 설명하는데 있어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그 작동단계를 6개의 상태로 세분하여 설명하겠다.
제1상태 : 이상태에서는 제3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피복로울(26)의 우측상단(#1)에 위치하게 되고 판넬픽업유닛(14)의 진공컵(78)이 판넬(62)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있게되며, 필름절단칼(24)과 필름인장봉(46)은 각각 후퇴된 비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제2상태 : 제38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피복스테이션(22)을 경유하여 가장 좌측위치(#2)로 이동하여 필름(52)을 픽업하고, 판넬픽업유닛(14)의 진공컵(78)은 판넬(62)로 접근하여 그 표면을 흡착하게 되고, 필름인장봉(46)은 각각 후퇴된 비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제3상태 :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은 제39도에서와 같이 피복스테이션(22)을 통하여 우측위치(#3)로 필름(52)을 견인하고, 판넬픽업유닛(14)은 스택에서 하나의 판넬(62)을 픽업하여 그것을 우측의 피복니프(90)위로 이동시키며, 필름인장봉(46)은 작동을 시작하여 필름(52)의 하면을 견인한다.
제4상태 : 필름절단칼(24)는 제40도에서와 같이 필름(52)과 절단접촉을 하여 진공식 필름파지봉(30)의 절단슬롯(272)에 위치한 필름을 횡방향으로 절단하고, 필름인장봉(46)은 절단작업이 진행되는 도중 계속적인 인장위치에 있게 된다.
제5상태 : 판넬픽업유닛(14)은 제41도에서와 같이 픽업된 판넬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그 하단이 필름(52)의 상면과 접하도록 하고, 절단칼(24)은 비작동위치에 있게 되며,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은 피복스테이션의 가장 우측위치로 이동된 필름(52)의 끝단을 놓고 상기 #1 위치, 즉 피복로울(26)의 우측 상단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피복스테이션으로 이송된 필름의 가장우측단은 진공식 필름이송파지봉(34)에 의해 파지되고 가장좌측단은 다른 하나의 진공식 필름이송파지봉(30)에 에 의해 파지된다.
제6상태 : 이 상태에서는 두개의 필름이송파지봉(30,32)이 비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제4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넬픽업유닛(14)은 픽업된 판넬을 피복니프(90)와 피복로울(26)을 통하여 하방을 이동시키는 한편, 필름(52)을 하방으로 견인하여 판넬(52)의 양면으로 접는다. 피복로울(26)은 적외선램프(38)에 의해 가열되어 판넬의 양면으로 접힌 필름을 가열 압착한다. 이와 같이, 피복이 완료된 판넬(62)은 제26도 및 제2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스택킹 유닛(stacking unit)으로 운반되고, 픽업유닛(14)이 판넬을 상기 스택킹 유닛에 놓고 원래의 상부위치로 귀한하게 되면 본 발명의 피복장치(10)는 다시 제1의 상태로 돌아가서 다음의 판넬을 피복한다.
제43도 내지 47도는 피복장치(10)의 진공시스템(280)과 그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3도 내지 제47도는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파이프의 연결이 상이하다는 점외에는 서로 같은 도면이다.
상기 각각의 도면은 진공펌프(282)와, 진공탱크(284)와, 진공작동식 스위치(296)로 이루어 지며, 상기진공탱크는 다수의 진공밸브(286,288,290,292,294)와 파이프로 연결된다. 진공탱크(284)에는 두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데, 그중 한 개의 구멍은 제1첵밸브(298)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의 첵벨브(300)와 연결됨으로써 판넬이나 필름이송과정중에 기능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진공압력이 강하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진공펌프(282)에 도면에서와 같은 머플러(302)가 연결되고, 진공펌프(282)의 분기점과 상기 첵밸브(298,300)에는 제3의 첵밸브(304)와 레귤레이터(305)가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진공밸브(286,288,290,294)는 제48도 및 제2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두 위치사이에서 작동하게 되며, 적절한 신축성 파이츠에 의해서 판넬이송기와, 필름이송봉과 필름파지봉과 필름인장봉에 연결된다. 다시말해서 제1진공밸브(286)는 제2진공밸브(288)와, 진공식 필름절단봉(148)과, 진공식 필름이송봉(28)에 파이프로 연결되고, 제2진공밸브(288)는 필름절단봉(148)과 진공식 좌측필름파지봉(150) 및 우측필름파지봉(34)에 연결되며, 제3진공밸브(290)는 좌측 및 우측필름인장봉(46)가 연결되고, 제34진공밸브(292)는 판넬 이송유닛(14)가 진공스위치(296)에 연결된다. 그리고 마지막 제4진공밸브(294)는 진공실 필름파지봉(146) 하나에만 연결된다.
진공시스템(280)의 제1작동상태를 도시한 제43도에 있어서는, 진공밸브(286)의 스풀이 좌측의 제1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진공식 필름절단봉(148)은 진공식 필름파지봉(146)과 함께 작동을 하게 되고, 다른 진공봉(28,150,34)과, 픽업유닛(14)과 우측 인장봉(46)은 비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은 제37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피복로울(26)의 우측에 위치한다.
제44도는 진공시스템(280)의 제2작동상태와 제3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작동상태에 있어서는 진공밸브(286,292)의 스풀이 우측의 제2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진공식 필름절단봉(148) 및 진공식 필름파지봉(146)이 비작동위치에 있게되고,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작동위치에 있게 된다. 또한 판넬이송기(14)와 진공스위치(296)도 작동하여 판넬을 픽업하게 되고,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은 필름파지절단봉(148)과 인접한 필름픽업위치한다.
제44도에 도시한 제3작동상태에서는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점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은 가장 우측위치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는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이 우측 필름파지봉(34)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판넬(62)은 판넬이송기(14)에 의해서 픽업되어 제3도 및 제39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피복니프(90)의 상부로 하향이송된다.
제45도는 진공시스템(280)의 제4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 작동상태에서는 제1 진공밸브(286)의 스풀이 좌측의 제1위치로 이동하고, 제3 및 제4진공밸브(290,292)의 스풀이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진공식 필름절단봉(148)은 작동위치에 있게 되고, 필름(52)는 진공식 필름이송봉(28)으로부터 진공식 필름파지봉(150,34)으로 전달되며, 필름인장봉(46)이 작동하여 필름에 장력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식 필름파지절단봉(150)이 작동하여 필름(52)을 파지함에 따라 필름절단칼(24)이 필름(52)을 절단한다.
제46도에 도시한 진공시스템(280)의 제5작동상태에 있어서는, 필림인장봉(46)이 작동하고 진공스위치(296) 및 필름파지절단봉(148)이 작동됨에 따라 판넬이송사이클이 시작되어 판넬이송부재(92) 및 아암(80,82,84)에 의해 판넬이 하방으로 이송되는 한편, 진공식 필름이송봉(28)은 필름을 피복로울(26)의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제47도에 도시한 진공시스템(280)의 제6작동상태에 있어서는 판넬이송기(14)와 진공스위치(296)가 작동을 중지하고, 필름파지절단봉(148)과 필름이송봉(28)은 계속적으로 작동을 하여 제37도에 도시한 피복로울의 우측에 있게 되고, 필름인장봉(46)도 작동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판넬이송기(14)의 진공압력이 없어지면서 픽업된 판넬(62)이 피복니프(90)와 피복로올(26)을 통하여 필름(52)과 함께 하방으로 이송되게 되고 그에따라 판넬의 양면에는 필름이 견고하게 압착 피복된다.
진공시스템(280)의 진공밸브(286,288,290,292,294)스풀을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48도 및 제49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솔레이노이드 작동시 공기작동기(306)를 본 발명의 피복장치(10)에 설치했다. 이 작동기(306)는 미끄럼부재(308)로 구성되며, 그 미끄럼부재는 제4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솔레이노드(310)에 의해 작동되는 초기위치에서 적절한 공기압력공급원으로부터 공기압이 공급되어 실린더 작동기(314)내의 피스톤(31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공기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실린더 작동기의 로드(326)는 진공밸브(286)의 스풀에 연결되어 그 스풀을 좌측의 제1위치로 이동시킨다.
제49도는 작동기(306)의 미끄럼부재(308)가 솔레이노이드(310)의 작동으로 인하여 제2위치로 이동된 모양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 경우에는 공기압력공급통로가 형성되어서 실린더 작동기(314)의 피스톤(312)이 우측으로 이동되고, 그에따라 진공밸브(286)의 스풀이 우측의 제2위치로 이동한다.
제50도 및 제51도는 피복장치의 전기배선도로서, 제51도는 제50도와 연결된 도면이다. 제50도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전기회로에는 240볼트의 교류전류가 주 단절스위치(190)를 통하여 공급된다. 상기 주 단절스위치(190)에는 변압기(216)의 1차 회선이 퓨우즈에 의해 연결됨과 동시에 진공펌프 모터(318) 및 적외선램프(38)가 모터시동접속기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때 적외선 램프에는 실리콘 제어정류기(200)가 부착된다.
변압기(216)의 2차회선 단자중 한쪽단자는 접지전선(322)에 연결되고, 다른쪽 단자는 지하에 매설된 전선(324,326)에 연결된다. 두 전선 322와 324사이에는 주제어기와, 안전릴레이 및 인터록릴레이와, 램프가 설치되어 진공식 필름이송봉(28)과 필름공급로울과 판넬이송기(14) 제어장치와 진공펌프(282)와 적외선램프(38)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두 전선 322와 326사이에는 직류 주구동모터(326)용 직류모터제어유닛(222)과 필름 이송봉(28)의 구동모터(328)용 직류모터제어유닛(206)이 설치되고, 또한 필름공급로울 구동용 교류모터(330)와 이송기파일 승강용 교류모터(332) 및 송풍모터(334)가 결선된다.
그리고 상기 두선 322와 324사이에는 제51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필름픽업유닛(336)과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기(PLC-2) 유닛(208)과, 직류 5볼트전원(210)과 디지털 온도계(214)가 설치되는데, 상기 직류 5볼트 전원(210)은 Dual Hex Inverter(338)를 작동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제50도 및 제51도에 도시된 우선 322와 324의 사이에는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기(PLC)(210)의 입력과 출력이 33개 정도 연결되는데, 입력은 "1"로 시작되는 5자리숫자로 표시했고 출력은 "0"으로 시작되는 5자리 숫자로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프로그램가능제어기(마이크로프로세서 208)에 있어서는 피복장치(10)의 작동을 순서대로 시간에 맞게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타이머와 카운터를 설치했다.
1024 자동피복장치
Figure kpo00003
프로그램가능제어기(208)용 그래픽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GRAPHIC PROGRAM]
MS, 1
[MAIN PROGRAM]
MS, 1 RETURN
CTRL L CTRL P4G
CTRL P4C CTRL P2T
CTRL P20; 2A
ASTRO/CIRCUITS/1024/AUTO/LAMINATOR/UNIT/#1/
CTRL P36; 5A
CTRL P 5G CTRL POT
F SHIFT K SHIFT K K
CTRL P 36; 6A
F SHIFT K SHIFT K K T F
CTRL P 36; 7A
F SHIFT K SHIFT K K SPACE F
CTRL P 36; 8A
F SHIFT K SHIFT K K T F
CTRL P 36; 9A
F SHIFT K SHIFT K K
CTRL P 36; 10A
SHIFT L SHIFT L SHIFT L SPACE SPACE II
CTRL P 19; 11A
ZZ SPACE SHIFT L SPACE SHIFT L SPACE SHIFT L SSLSSL(19 TIMES)
SPACE ZZ
CTRL P38; 12A
RT RT SPACE
CTRL P4G
CTRL P2T ROLL STACE TEMP,
CTRL P5G
CTRL POT
CTRL P40; 14A SHIFT K SPACE SPACE SPACE SPACE SS
CTRL P40; 15A SHIFT K SPACE SPACE SPACE SS
CTRL P40; 16A SHIFT K SPACE SPACE SS
CTRL P40; 17A SHIFT K SPACE SS
CTRL P40; 18A SHIFT K SS SPACE CTRL P4G
CTRL P2T BOARD SPACE COUNT.
CTRL P5G
CTRL POT
CTRL P40; 19A SHIFT L SHIFT L SHIFT L
ESC
[GRAPHIC PROGRAM]
MS, 2
[DIGITAL THERMOMETER
AND BOARD COUNT]
MS, 2 RETURN
CTRL P4C
CTRL P2T
CTRL P55; 12A
*112*
CTRL P59; 18A
*36*
[GRAPHIC PROGRAM]
MS, 3
[DRIVE INTERLOCK]
MS, 3 RETURN
CTRL P4G
CTRL L
CTRL P30; 12A
CTRL P2; 3; 4T
INTERLOCK
ESC
[GRAPHIC PROGRAM]
MS, 4
[FEEDER EMPTY]
MS, 4 RETURN
CTRL P4G
CTRL P42; 74
CTRL P2; 3T
EMPTY
CTRL POT
ESC
[GRAPHIC PROGRAM]
MS, 5
[AUTO ON]
MS, 5 RETURN
CTRL P4G
CTRL P43; 7A
CTRL P2; 4T
SPACE
AUTO ON
SPACE
ESC
[GRAPHIC PROGRAM]
MS, 6
[UNWIND AND PILE FEED OFF
FILM FEED BAR JOG MODE]
MS, 6 RETURN
CTRL P4G
CTRL P10; 6A
CTRL P2; 4T
UNWIND & PILE FEED OFF
CTRL P10; 7A
FILM FEED BAR JOG MODE
ESC
자동피복장치(10)용 소프트프로그램의 사다리선도는 다음과 같다.
MPS>P
LADDER DIAGRAM DUMP 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저항성 건조필름을 피복스테이션으로 견인하여 판넬의 크기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절단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회로기판이나 판넬의 표면에 자동적으로 피복하고, 그 필름에서 벗겨낸 폴리에틸렌 보호커버는 테이크업로울에 감도록된 광저항성 건조필름 피복장치를 제공하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피복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위의 판넬스택내에 쌓여있는 각각의 판넬이 판넬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되어 필림의 횡방향 중앙선상으로 하강된 다음 피복니프와 피복로울을 통과하므로써 피복이 완료된다. 이때 피복로울의 온도는 프로그램가능 제어기(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정확히 제어된다. 물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피복장치 각부의 연속작동을 제어하는 기능도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배선 및 프로그램에 대한 사다리선도는 입력, 메모리출력, 타이머, 그리고 카운터의 리스트와 함께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상의 설명을 요약해 볼 때,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판넬 적재함에 쌓인 판넬이 픽업수단에 의해 픽업될때까지는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도록 판넬적재함을 수직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10°정도 경사지게 설치함과 아울러 픽업수단에 의해 필름위로 하강되는 판넬이 필름과 거의 직각으로 만날 수 있도록 필름을 상기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한점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은 판넬이 하강하는 동안 필름의 판넬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제어하도록 되어있는 점과, 판넬의 크기에 따라 피복스테이션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은 이송, 피복 그리고 적하가 완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점과, 적외선램프 및 고상온도제어기가 외부가열식 피복로울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있고, 작동조건을 분석하여 안전을 도모하는 CRT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피복장치가 외피로 둘러쌓이므로써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에서 여과되고, 신속히 절환을 할 수 있고, 단일 광저항성 건조필름로울(1000피트 길이의 필름을 100회감을수 있음)만으로 작동되는 점등이다.

Claims (20)

  1. 지지프레임수단에 피복스테이션이 형성되고 그 피복스테이션의 중앙에는 피복니프가 설치되며,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상기 피복니프의 피복스테이션에서 서스펜딩하는 수단이 부착되고, 판낼적재함을 상향으로 세우는 판넬지지면을 갖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되, 상기 지지면은 판넬이 안정되게 제 위치에 머물러있도록 수직방향을부터 약간 경사를 이루게되며, 상기 피복니프상으로 판넬을 픽업하여 하강시키는 픽업수단이 설치되고,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각의 판넬을 필름과 함께 상기 피복니프로 이동시키는 수단이 설치되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필름의 지지방향을 상기 판넬지지면의 경사각도에 상응하는 양만큼 상방으로 경사지게함으로써 하방으로 이동하는 판넬이 필름과 거의 직각으로 만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지지면이 수직방향과 이루는 경사각과 상기 필름의 지지방향이 수평방향과 이루는 경사각이 약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수단이 진공컵을 갖는 다수의 픽업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되, 그 픽업봉은 픽업위치와 후퇴위치사이에서 작동하게 되며, 상기 진공컵은 상기 픽업봉이 작동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판넬을 픽업하여 지지하고, 상기 픽업수단에는 판넬이 안정되게 흡착될 수 있도록 파상면이 가공된 판넬부착기가 추가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니프의 하부에는 한쌍의 가열피복로울과 판넬적하수단일 설치됨으로써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각의 판넬이 상기 니프 및 상기 피복로울을 통과하면서 반으로 접힌 필름에 의해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피복로울표면을 가열하는 적외선 램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로울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응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되, 그 온도감응수단은 상기 피복로울표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수단을 제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수단이 열전대이며, 온도감응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수단은 고상 전기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속 판넬들을 이동시키는 수단이 각각의 판넬들을 상기 이송적하수단 아래로 하강시키는 제1이송벨트 수단과 관련 이송벨트 러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로울이 필름의 지지방향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한 두개의 평행축에 지지되고, 그 두개의 평행축중 하나의 일단은 동심이고 타단은 편심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축의 종방향에는 축회전 수단이 설치되고, 그 양단에는 이중절개부를 갖는 타원형 베어링이 지지되어 있으되, 그 베어링의 제1절개부는 상기축의 동심단을 수직으로 지지하고, 제2절개부는 상기축의 편심단을 수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축회전 수단에 의해 상기 하나의 축이 회전되면 그 축이 다른 하나의 축과 상대적인 운동을 하게 되어 피복로울 사이에 압력을 가하고 그에따라 피복로울 사이를 통과하는 필름이 판넬의 양면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스테이션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각의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지지하는 상기 수단이 필름공급원으로부터 피복스테이션으로 필름을 견인하는 수단과, 피복할 판넬의 크기에 맞게 필름을 절단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스테이션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각각의 광저항성 건조필름을 지지하는 상기 수단이 필름이 절단되는 동안 필름에 장력을 가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장력수단이 필름의 하부에서 필름과 횡방향으로 배열된 일련의 인장봉과, 중심링크를 갖는 체인수단과, 제1스프링 수단과 제2스프링 수단과, 갈고리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되, 상기 인장봉은 상기 체인수단에 의해 연장된 위치에 있는 다른 인장봉과 연결되고, 상기 1스프링 수단은 상기 인장봉중의 하나를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한쪽으로 이동시키려는 힘을 가하고, 상기 제2스프링 수단은 상기 인장봉중 다른 하나를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하단부로 이동시키려는 힘을 가하며, 상기 갈고리 수단은 상기 픽업수단과 연결되어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판넬이 하강해서 필름과 함께 상기 피복니프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체인수단의 중앙 링크와 맞물려 작동함으로써 상기 인장봉을 서로 필름양면으로 접근시켜 그 필름에 장력을 가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스테이션이 제1끝단과 제2끝단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필름견인 수단은 필름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진공식 필름이송봉으로 구성되며, 진공구멍을 갖는 상기 진공식 필름이송봉은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중간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여 필름의 선단읠 픽업한 다음, 그 필름을 피복스테이션을 통하여 상기 제2위치로 견인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일단에는 제1진공봉과, 제2진공봉과, 제3진공봉이 설치되고, 그 타단에는 제4진공봉이 설치되며, 상기 필름견인수단은 필름의 횡방향으로 설치된 제5진공봉으로 구성되며, 상기 5개의 진공봉에는 진공구멍이 형성되어서 필름을 흡착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공봉과, 제2진공봉과, 제3진공봉은 동일한 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피복니프에 대하여 이 부재와 상기 제4진공봉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조정수단 및 제2조정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수단이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제1단부와 닙사이에 위치하는 제1플라스틱 박판재와,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제2단부와 닙사이에 위치하는 제2플라스틱 박판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2플라스틱 박판재는 필름이 피복스테이션을 통해 인출될때 상기 필름의 하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판넬을 연속적으로 픽업하여 파지하는 픽업수단이 각각의 진공컵이 설치되어 있고 판넬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픽업위치와 후퇴위치간을 이동하면서 상기 픽업위치에 있을 때 진공컵에 의해 판넬을 파지하도록 되어 있는 다수의 진공봉을 가지고 있고, 진공발생수단, 다수의 진공밸브, 그리고 상기 진공 발생수단에 각각의 진공봉의 진공구멍을 연결시켜주며 선택적인 작동을 위해 내부에 진공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제1파이프 수단과, 상기 진공발생수단에 각각의 진공봉의 진공컵을 연결시켜주며 선택적인 작동을 위해 내부에 진공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제2파이프 수단과, 상기 진공밸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파이프 수단중 하나가 진공소멸됨에 의해 다른 하나가 진공소멸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2파이프 수단 사이에 체크밸브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제1단부에 절단연부와 필름파지 진공봉을 가지는 필름파지 절단봉이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판넬을 연속적으로 픽업하여 파지하는 상기 픽업수단이 각각 진공컵이 설치되어 있고 판넬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픽업위치와 후퇴위치간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봉을 가지고 있고, 상기 필름절단수단은 필름에 대해 횡방향으로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간을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절단칼로 구성되어 있고, 필름에 장력을 가하는 수단은 상기 피복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작동위치와 비작동위치간을 이동하는 다수의 인장봉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장봉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복로울쌍의 각축부상에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고, 제1작동상태에서는 상기 필름이송 진공봉이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중간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픽업수단의 진공컵은 판넬로부터 후퇴한 위치에 그리고 필름절단수단과 인장봉은 각각 비작동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제2작동상태에서는 상기 필름이송 진공봉은 필름의 선단부를 픽업하도록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제1단부까지 이동한 상태에 있게 되며 픽업수단의 진공컵은 전진하여 인접한 판넬의 대향면과 접촉한 상태에 있는 반면 상기 인장봉은 여전히 비작동위치에 있게 되며, 제3작동상태에서는 상기 필름이송 진공봉은 피복스테이션을 통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제2단부까지 필름을 인출해내게 되며 상기 픽업수단은 판넬을 픽업하여 상기 피복닙위로 이동시키고 상기 인장봉은 필름에 장력을 가하도록 작동위치로 이동한 상태에 있게 되며, 제4작용상태에는 상기 절단칼이 이동하여 필름을 절단할 수 있게끔 상기 필름과 접촉하게 되고 그 뒤에 필름파지 절단봉의 절단여부를 따라 필름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필름을 절단하게 되고 그러한 절단시 상기 인장봉은 작동위치에 계속 유지되게 되며, 제5작동상태에서는 상기 필름픽업수단이 작동하여 판넬의 하단부를 필름의 상면과 접촉되게끔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절단칼은 비작동위치로 이동된 상태에 있게되며, 필름이송 진공봉은 필름의 단부를 놓음과 동시에 상기 피복스테이션의 중간위치로 이동하게되며, 제6작동상태에서는 상기 픽업수단이 작동하여 판넬 하단부를 상기 피복닙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시키게하며 필름을 상기 피복로울을 통해 하측으로 인출하여 판넬의 양측부와 접촉하게끔 감아 돌리고 그에 의해 피복된 판넬을 판넬적재수단으로 이송시키며 그뒤에 상기 픽업수단이 상측위치로 복귀하여 제1작동상태로 복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프로그램 가능한 제어기를 사용하여 상기 각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자동반복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소프트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피복장치.
KR1019840000420A 1983-01-28 1984-01-28 자동피복장치 KR900000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61802 1983-01-28
US06/461,806 US4464221A (en) 1983-01-28 1983-01-28 Automatic lamin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504A KR840007504A (ko) 1984-12-07
KR900000856B1 true KR900000856B1 (ko) 1990-02-17

Family

ID=23833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420A KR900000856B1 (ko) 1983-01-28 1984-01-28 자동피복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464221A (ko)
EP (1) EP0117078A3 (ko)
JP (1) JPS59143640A (ko)
KR (1) KR900000856B1 (ko)
AU (1) AU565305B2 (ko)
BR (1) BR8400364A (ko)
CA (1) CA1216219A (ko)
DE (1) DE117078T1 (ko)
DK (1) DK36284A (ko)
ES (1) ES8502309A1 (ko)
IL (1) IL70264A (ko)
IN (1) IN160549B (ko)
NO (1) NO834543L (ko)
NZ (1) NZ206282A (ko)
PT (1) PT78010B (ko)
ZA (1) ZA8386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0429A1 (de) * 1984-06-01 1985-12-05 ELTI Apparatebau und Elektronik GmbH, 6106 Erzhausen Verfahren zum laminieren eines films unter druck und waerme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591406A (en) * 1985-01-25 1986-05-27 Dynachem Corporation Automatic laminator with integrated printer buffer/interface
DE3510852A1 (de) * 1985-03-26 1986-10-09 ELTI Apparatebau und Elektronik GmbH, 6106 Erzhausen Greifereinrichtung in einer laminiervorrichtung
DE3684351D1 (de) * 1985-04-18 1992-04-23 Nec Corp Programmierbarer festwertspeicher mit reduzierter programmierspeisespannung.
DK8689A (da) * 1988-01-11 1989-07-12 Thiokol Morton Inc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placering af polymere materialer paa trykte kredsloebskort
JPH0218030A (ja) * 1988-07-07 1990-01-22 Somar Corp 薄膜張付装置用薄膜供給部材
US4976817A (en) * 1988-12-09 1990-12-11 Morton International, Inc. Wet lamination process and apparatus
DE3936908A1 (de) * 1989-11-08 1991-05-16 Anger Electronic Gmbh Kaschiermaschine zum ein- oder beidseitigen kaschieren von platten mit einer schutzfolie
NL8902818A (nl) * 1989-11-15 1991-06-03 Nedap Nv Geautomatiseerd afrekensysteem.
JPH0374940U (ko) * 1989-11-28 1991-07-26
JP2637261B2 (ja) * 1990-05-22 1997-08-06 ソマール株式会社 ラミネータ
JPH04226351A (ja) * 1990-06-27 1992-08-17 Somar Corp ラミネータの自動制御方法
US5106450A (en) * 1990-12-20 1992-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y film resist transport and lamination system for semiconductor wafers
JPH05154918A (ja) * 1991-12-03 1993-06-22 Hakutou Kk 基板にフィルムをラミネートする方法およびラミネータ
DE4216691A1 (de) * 1992-05-20 1993-11-25 Dieffenbacher Gmbh Maschf Vorrichtung zum Belegen von Platten
NL1000123C2 (nl) * 1995-04-11 1996-10-14 Sallmetall Bv Inrichting voor het aan elkaar hechten van ten minste twee lagen.
JP4404282B2 (ja) * 1999-03-19 2010-0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ホログラム撮影用乾板の作製方法及び作製装置
DE10004486B4 (de) * 2000-02-02 2005-12-01 Friedrich Von Rohrscheidt Kartuschenlaminator
US7361249B2 (en) * 2002-12-05 2008-04-22 Multimedia Games, Inc. Apparatus for applying a removable cover to a ticket substrate
US7338572B2 (en) * 2004-11-01 2008-03-04 Esselte Corpor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297984B2 (en) 2006-10-31 2022-04-12 Gpcp Ip Holdings Llc Automatic napkin dispenser
FR2907654B1 (fr) * 2006-10-31 2010-01-29 Georgia Pacific France Procede, dispositif de fabrication et rouleaux associes formes de feuilles a decoupes et predecoupes alternees
CN104553233B (zh) * 2014-12-25 2017-03-29 深圳市联得自动化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贴合装置和贴合方法
CN109335801B (zh) * 2018-09-29 2023-10-13 湖北平安电工实业有限公司 一种云母纸、玻纤布码摞装置
CN110861389A (zh) * 2019-12-31 2020-03-06 艾德曼金属材料(江阴)有限公司 一种基于气缸控制的轻质材料自动压合装置
CN111922933B (zh) * 2020-07-10 2021-10-15 山东科技大学 一种保护膜贴敷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1939A (en) * 1931-08-22 1933-08-08 Parker Alexander Machine for fastening together folded sheets of paper with adhesive material
US2373082A (en) * 1942-06-18 1945-04-03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Apparatus for applying mats to battery plates
US2537874A (en) * 1946-12-18 1951-01-09 Aquilla John Machine for producing display cards
US3284982A (en) * 1963-08-28 1966-11-15 Fmc Corp Banding apparatus
US3658629A (en) * 1970-02-27 1972-04-25 Ibm Photopolymer resist sheet laminator
US3887450A (en) * 1971-02-04 1975-06-03 Dynachem Corp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ic binding agents
IT1018761B (it) * 1974-08-01 1977-10-20 Electric Power Storage Ltd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manicotti per piastre di batterie elettriche
US4026000A (en) * 1976-07-15 1977-05-31 Globe-Union Inc. Apparatus for producing enveloped battery plates
US4080732A (en) * 1977-02-24 1978-03-28 General Battery Corporation Enveloper for wrapping the plates of an automotive storage battery
US4080727A (en) * 1977-04-18 1978-03-28 Tiegel Manufacturing Company Battery plate envelope machine and method of making battery plate envelopes
US4214936A (en) * 1978-10-24 1980-07-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amination process
GB2095171A (en) * 1981-02-27 1982-09-29 Ushio Electric Inc Apparatus for heat-laminating a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70264A0 (en) 1984-02-29
AU2185783A (en) 1984-08-02
ES528740A0 (es) 1984-12-16
KR840007504A (ko) 1984-12-07
IL70264A (en) 1991-09-16
PT78010A (en) 1984-02-01
CA1216219A (en) 1987-01-06
EP0117078A2 (en) 1984-08-29
IN160549B (ko) 1987-07-18
NZ206282A (en) 1986-05-09
AU565305B2 (en) 1987-09-10
ZA838638B (en) 1984-07-25
EP0117078A3 (en) 1987-07-29
PT78010B (en) 1986-04-18
DE117078T1 (de) 1986-08-14
DK36284D0 (da) 1984-01-26
JPS59143640A (ja) 1984-08-17
BR8400364A (pt) 1984-09-04
DK36284A (da) 1984-07-29
NO834543L (no) 1984-07-30
US4464221A (en) 1984-08-07
ES8502309A1 (es) 198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0856B1 (ko) 자동피복장치
WO1993024288A1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adhesive sheet-like material
JP3027742B2 (ja) 積層板特に工業用積層板を製造する装置
CA2056082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cutting to shape of sheets of plastic material
US20040011172A1 (en) Stacking machine and method
KR200241567Y1 (ko) 자동합지장치
KR200201124Y1 (ko) 원단포장기의 원단 외부포장장치
KR100562995B1 (ko) 라미네이터
EP0781721B1 (en) Machine for laying out laminar products
EP03528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environmentally sensitive materials
JPH06211411A (ja) テープ貼り機
JP2001515446A (ja) 物品をブリスターパックなどに包装する機械に熱成形材料のフィルムを供給する装置
JP2628431B2 (ja) 裁断機への反物類供給装置
CN215625609U (zh) 一种柔性线路板铜卷自动连接装置
JPH0295644A (ja) ウエブの供給装置
WO2022023970A1 (en) Machine for wrapping already formed boxes with a covering sheet
JP2887017B2 (ja) 連続搬送装置
JPH0487796A (ja) 側面包装紙切断加工装置及び測面包装紙準備装置
KR940006341Y1 (ko) 원단자동포장기
JPH0295658A (ja) ウエブの不良部処理装置
CN115231369A (zh) 一种布匹放卷、切割和叠放一体机构及方法
JP2023021009A (ja) 薄膜材料を延伸装置に自動的に搬送する供給装置、薄膜材料処理装置及び薄膜材料処理法
JP3010024B2 (ja) 包装装置
JP3083604B2 (ja) カートンブランクのハンドリング方法並びに該方法に使用するカートンブランクの巻取装置及び巻出装置
JPS63247249A (ja) 敷物自動巻取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