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980A -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980A
KR890008980A KR870012279A KR870012279A KR890008980A KR 890008980 A KR890008980 A KR 890008980A KR 870012279 A KR870012279 A KR 870012279A KR 870012279 A KR870012279 A KR 870012279A KR 890008980 A KR890008980 A KR 890008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ubstrate
forming
connection
reg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70012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353B1 (ko
Inventor
민성기
강창원
조욱래
윤종밀
최석기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반도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870012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353B1/ko
Priority to US07/265,420 priority patent/US4912055A/en
Priority to JP63276321A priority patent/JPH0638473B2/ja
Publication of KR890008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980A/ko
Priority to US07/498,590 priority patent/US51737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48Combination of bipolar and 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49Bipolar and MOS technolog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0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only semiconductor components of a single k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최종의 완성된 단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능동소자 부분의 최종 단면도.

Claims (8)

  1. 제1도전형의 실리콘 기판상에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이 하기의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a) 상기 기판상의 소정 부분에 제1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제1기판영역과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제3 및 제4기판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제2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고 상기 이온 주입된 영역을 활성화하는 공정. b) 상기 기판상에 상기 소자들간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각 소자 형성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상기 영역들 상이에 형성하는 소자분리 산화막층과 소자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전형의 채널 스토퍼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기판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층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제1 및 제2기판 영역의 게이트 산화막 상부에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으로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기판 전면에 마스킹을 위한 질화막층을 형성하고 제3 및 제4기판 영역의 소정 부위의 질화막층을 제거하는 공정. (f) 상기 제3 및 제4기판영역에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비활성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기위하여 소정 영역의 산화막층을 에칭한후 제1 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g) 상기 질화막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3 및 제4기판영역에 산화막층을 형성하는 공정. (h) 상기 제3 및 제4기판영역에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활성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i) 제2모오스 트랜지스터의 저농도 드레인 및 소오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j) 상기 기판전면에 산화막층을 형성하고 별도의 마스크 없이 산화막층을 에칭하여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측벽에 산화막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공정. (k) 제1기판영역의 제1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기판 접속영역과 제3 및 제4기판영역의 콜렉터 접속영역와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영역와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고농도 드레인 및 소오스 영역과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속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l) 제1기판영역의 제1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소오스 영역과 제2기판영역의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기판 접속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m) 상기 기판 전면에 산화막층을 형성하고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창을 형성하는 공정. (n) 상기 제3기판 영역 상부에 제2다결정 실리콘으로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부를 형성하는 공정. (o)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영역,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과,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기판 접속 영역과의 접속을 위한 창들을 형성하는 공정. (p) 상기 창들을 통해 도체층에 접속하는 공정. (q) 보호층을 상기 기판 전면에 도포하고 도선 용접을 위한 패드를 노출하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들과 같이 캐패시터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상기 영역을 사이에 소자분리 산화막층과 소자 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전형의 채널 스토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b)공정후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개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c)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하부 전극상에 산화막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d)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유전체층상에 캐패시터 상부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o)공정에서 각 영역의 접속창 형성과 동시에 캐패이터 영역의 접속창을 형성하고, 상기 (p)공정시 상기 캐패시터 전극 접속창을 통해 도체층에 접속하며, 상기 (q)공정시 보호막층을 도포하고 도선 용접을 위한 패드를 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b)공정에서 상기 각소자 영역들과 같이 저항 영역의 기판 접속 부위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사이 영역들 사이에 소자 분리 산화막층과 소자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전형의 채널 스토퍼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k)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의 이온 주입과 동시에 상기 저항의 기판 접속 영역 하부에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M)공정에서 상기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 영역 형성을 위해 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저항영역의 버팅콘택부의 접속창을 형성하고, 상기 (n)공정에서 상기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 에미터 접속부 형성과 동시에 저항영역의 고저항 부위와 버팅 콘택 부위와 저저항 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n)공정후 상기 저항영역의 버팅 코택부와 저저항부에 제2도 저형의 이온 주입을 하고, 상기 (o)공정에서 각 영역의 접속창 형성과 동시에 저항 영역의 접속창을 형성하며, 상기 (p)공정시 상기 저항 영역의 접속창을 통해 도체층을 접속하고, 상기 (q)공정시 보호막층을 도포하고 도선용 칩을 위한 패드를 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들과 같이 캐패시터 영역과 저항 영역의 기판 접속 부위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상기 영역들 사이에 소자분리 산화막층과 소자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전형의 채널 스토퍼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b)공정후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c)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하부 전극상에 산화막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d)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스지스터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유전체층상에 캐패시터 상부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k)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의 이온 주입과 동시에 상기 저항의 기판 접속 영역의 하부에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n)공정에서 상기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 영역 형성을 위해 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저항 영역의 버팅 콘택부의 접속창을 형성하며, 상기 (n)고정에서 상기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 에미터 접속부 형성과 동시에 저항 영역의 고저항 부위와 버팅콘택부와 저저항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n)공정후 상기 저항영역의 버팅 콘택부와 저저항부에 제2도 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며, 상기 (o)공정에서 각 영역의 접속창 형성과 동시에 캐패시터 영역의 접속창과 저항 영역의 접속창을 형성하고, 상기(p)공정시 상기 캐패시터 접속창과 저항영역의 접속창을 통해 도체층에 접속하며 상기 (q)공정시 보호막층을 도포하고 도선용접을 위한 패드를 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도전형의 실리콘 기판상에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와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이 하기의 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a) 상기 기판상의 소정 부분에 제1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제1기판영역과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제3 및 제4기판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제2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고 상기 이온 주입된 영역을 활성화하는 공정. (b) 상기 기판상에 상기 소자들간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각 소자 형성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상기 영역들 사이에 형성하는 소자분리 산화막층과 소자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 전형의 채널 스토퍼 영역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기판 상부에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층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제1 및 제2기판 영역의 게이트 산화막 상부에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으로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공정. (e)기판 영역의 소정 부위의 질화막층을 제거하는 공정. (f) 상기 제3 및 제4기판영역에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비활성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정 영역의 산화막층을 에칭한 후 제1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g) 상기 질화막층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제3 및 제4기판영역에 산화막층을 형성하는 공정. (h) 상기 제3 및 제4기판영역에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활성 베이스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i) 제1기판영역의 제1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기판접속영역과 제3 및 제4기판영역의 콜렉터 접속영역과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영역과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소오스 영역과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속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j) 제1기판영역의 제1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및 소오스 영역과 제2기판 영역의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기판접속영역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는 공정. (k) 상기 기판 전면에 산화막층을 형성하고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창을 형성하는 공정. (I) 상기 제3기판 영역 상부에 제2다결정 실리콘으로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부를 형성하는 공정. (m)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오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제1 및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영역, 베이스 영역 및 콜렉터 영역과,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기판 접속 영역과의 접속을 위한 창들을 형성하는 공정. (n) 상기 창들을 통해 도체층에 접속하는 공정. (o) 보호막층을 상기 기판 전면에 도포하고 도선 용접을 위한 패드를 노출하는 공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들과 같이 캐패시터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상기 영역들 사이에 소자분리 산화막층과 소자 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전형의 채널 스토퍼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b)공정후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캐패시터의 하부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c)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데이트 산화막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하부 전극상에 산화막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d)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 게이트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유전체층상에 캐패시터 상부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m)공정에서 각 영역의 접속창 형성과 동시에 캐패시터 영역의 접속창을 형성하고, 상기 (n)공정시 상기 캐패시터 전극 접속창을 통해 도체층에 접속하며, 상기 (o)공정시 보호막층을 도포하고 도선 용접을 위한 패드를 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공정에서 상기 각소자 영역들과 같이 저항 영역의 기판 접속 부위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사이 영역들 사이에 소자 분리 산화막층과 소자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전형의 채널 스토퍼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i)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의 이온 주입과 동시에 상기 저항의 기판 접속 영역 하부에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k)공정에서 상기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 영역 형성을 위해 창을 형성함과 동시에 저항영역의 버팅콘택부의 접속창을 형성하고, 상기 (I)공정에서 상기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 에미터 접속부 형성과 동시에 저항영역의 고저항 부위와 버팅 콘택 부위와 저저항 부위를 형성하며, 상기 (I)공정후 상기 저항영역의 버팅 콘택부와 저저항부에 제2도전형의 이온 투입을 하고, 상기 (m)공정에서 각 영역의 접속창 형성과 동시에 저항 영역의 접속창을 형성하며, 상기 (n)공정시 상기 저항 영역의 접속창을 통해 도체층에 접속하고, 상기 (o)공정시 보호막층을 도포하고 도선용 칩을 위한 패드를 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들과 같이 캐패시터 영역과 저항 영역의 기판 접속 부위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소정의 상기 영역들 사이에 소자분리 산화막층과 소자분리 산화막층 하부에 제1도전형 채널 스토퍼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b)공정후 상기 캐패시터 영역에 캐패시터의 하부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c)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산화막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하부 전극상에 산화막 윤전체층을 형성하고, 상기 (d)공정에서 상기 제1 및 제2모오스 전계효가 트랜지스터의 형성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 유전체증상에 캐패시터 상부 전극을 형성하며, 상기 (i)공정에서 상기 각 소자 영역의 이온 주입과 동시에 상기 저항의 기판 접속 영역 하부에 이온 주입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k)공정에서 사이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속 영역 형성을 위해 창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저항 영역의 버팅 콘택부의 접속창을 형성하며, 상기 (1)공정에서 상기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다결정 실리콘 에미터 접속부 형성과 동시에 저항 영역의 고저항 부위아 버팅콘택부와 저저항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1)공정후 상기 저항영역의 버팅 콘택부와 저저항부에 제2도전형의 이온 주입을 하며, 상기 (m)공정에서 각 영역의 접속창 형성과 동시에 캐패시터 영역의 접속창과 저항 영역의 접속창을 형성하고, 상기 (n)공정시 상기 캐패시터 접속창과 저항영역의 접속창을 통해 도체층에 접속하며 상기 (o)공정시 보호막층을 도포하고 도선 용접을 위한 패드를 노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70012279A 1987-11-03 1987-11-03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900005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279A KR900005353B1 (ko) 1987-11-03 1987-11-03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US07/265,420 US4912055A (en) 1987-11-03 1988-10-31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JP63276321A JPH0638473B2 (ja) 1987-11-03 1988-11-02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07/498,590 US5173760A (en) 1987-11-03 1990-03-26 BiCMOS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279A KR900005353B1 (ko) 1987-11-03 1987-11-03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980A true KR890008980A (ko) 1989-07-13
KR900005353B1 KR900005353B1 (ko) 1990-07-27

Family

ID=19265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279A KR900005353B1 (ko) 1987-11-03 1987-11-03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12055A (ko)
JP (1) JPH0638473B2 (ko)
KR (1) KR900005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82857A (ja) * 1988-05-10 1989-11-14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477467A (en) * 1989-07-17 1995-12-19 Motorola, Inc. Shrinkable BiCMOS circuit layout
US5348896A (en) * 1992-11-27 1994-09-20 Winbond Electronic Corp. Method for fabricating a BiCMOS device
WO1994016461A1 (en) * 1993-01-04 1994-07-21 Vlsi Technology, Inc. Cmos locos isolation for self-aligned npn bjt in a bicmos process
US5888861A (en) * 1997-06-06 1999-03-3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BiCMOS integrated circuit fully integrated within a CMOS process flow
KR100258203B1 (ko) 1997-12-29 2000-06-01 김영환 아날로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3395A (en) * 1979-02-15 1983-09-1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nolithic integration of logic, control and high voltage interface circuitry
EP0080523B1 (de) * 1981-11-28 1986-10-01 Deutsche ITT Industries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onolithisch integrierten Schaltung mit mindestens einem Paar von komplementären Feldeffekttransistoren und mindestens einem Bipolartransistor
JPS58225663A (ja) * 1982-06-23 1983-12-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637125A (en) * 1983-09-22 1987-01-20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for making a semiconductor integrated device including bipolar transistor and CMOS transistor
JPS6080267A (ja) * 1983-10-07 1985-05-08 Toshiba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S61236153A (ja) * 1985-04-12 1986-10-21 Hitachi Ltd 半導体装置
US4760033A (en) * 1986-04-08 1988-07-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omplementary MOS field effect transistors in VLSI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12055A (en) 1990-03-27
KR900005353B1 (ko) 1990-07-27
JPH021159A (ja) 1990-01-05
JPH0638473B2 (ja) 1994-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6512A (en) Integrated circuit manufacturing method
KR970703616A (ko)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bicmos circuit)
KR890013796A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030584A (en) Method for fabricating MOS semiconductor device operable in a high voltage range using polysilicon outdiffusion
KR930001484A (ko) Dmos 트랜지스터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950025920A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US4280271A (en) Three level interconnect process for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US4517731A (en) Double polysilicon process for fabricating CMOS integrated circuits
KR890008980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960009168A (ko) Mos 구조 및 cmos 구조를 가진 반도체 장치 제조 방법
KR890005817A (ko) 반도체 바이씨 모오스 장치의 제조방법
KR880006792A (ko) 반도체 바이 씨 모오스장치의 제조방법
KR940008730B1 (ko) 반도체장치
KR940016938A (ko) 모스(mo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428891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950015643A (ko) 트랜지스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950021134A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JPS5919586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0140959B1 (ko) Mosfet 제조방법
JPS622705B2 (ko)
JP263309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60012262B1 (ko) 모스(mos)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257709B1 (ko) 에스.오.아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940010387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890016684A (ko) 바이씨모오스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