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291B1 -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 Google Patents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291B1
KR890005291B1 KR1019850007239A KR850007239A KR890005291B1 KR 890005291 B1 KR890005291 B1 KR 890005291B1 KR 1019850007239 A KR1019850007239 A KR 1019850007239A KR 850007239 A KR850007239 A KR 850007239A KR 890005291 B1 KR890005291 B1 KR 890005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minated
adhesive layer
deposit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572A (ko
Inventor
다다시 마쓰구찌
노보루 마쓰구찌
Original Assignee
다이마쓰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신까와 야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206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835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2854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44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2854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8698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673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26782A/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마쓰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신까와 야스오 filed Critical 다이마쓰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31D1/021Making adhesive label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e.g. provided on carrie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1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 G09F3/0292Labels or tickets undergoing a change under particular conditions, e.g. heat, radiation, passage of time tamper indicatin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6Fraud or tamper detec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제1도는 본 발명의 1구현예를 구성하는 라벨(label)의 횡단면도.
제2도는 상기 구현에의 파단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사용된 1예의 적층재 제조장치를 나타내는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사용된 1예의 적층재 제조방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구현예의 사용된 다른 예로서의 적층재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7도는 1예의 적층재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별개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한 구현에의 응용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별개의 구현예에 사용된 1예의 기재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기재(230)를 사용하므로써, 접착증(214)과 박리제층(212)를 또한 적층시키는 1예의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13도는 제2층(216)을 적층시키고 제9도에 도시한 제1층(220)과 박리제층(222)의 2중층 제조를 사용하면서, 기재(230)를 제조하는 1예의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14도는 단 하나의 별개의 구현예의 횡단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1구현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구현예의 응용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구현에서 사용된 기재를 제조하는 다른예의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
제18도는 별개의 구현예의 횡단면도.
제19(a)도 제19(b)도 및 제19(c)도는 상기 구현예의 응용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 : 라벨(label) 12 : 보호지(release sheet)
14,18 : 접착층 16 : 제2층
20 : 제1층 22 : 접착력 감소층
24 : 인쇄층
본 발명은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에 관해, 상세하게는 가령, 포장물의 개방부에 부착된 가격표찰이나 라벨과 같은 것으로서 이용되는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번 부착시킨 가격표찰이나 라벨등과 같은 것을 떼었다가 재부착시키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 표찰의 기초표면재상에 재봉침선이나 절단부를 적절하게 형성시켜 놓음으로써 가령, 상점에서 원래의 표찰을 떼어내고, 그 재봉침선이나 절단부에 의해서 표찰이 떨어지도록 하여 다른것으로 교체해 놓으려고 할경우, 그러한 행위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도록 하게 한 것은 공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상점의 진열대에 전시된 상품의 포장지의 입구에 밀봉상태를 표시하는 스티커(sticker)는 아무도 모르게 감쪽같이 떼었다가 다시 붙여 놓을 수 있기 때문에 겉으로 보아서는 포장지를 개봉해서 그속에 이 물질을 넣었는지를 분간해 내기가 어렵다. 따라서, 포장지의 내용물에 손을 댈, 예컨대 독성물을 접어넣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한번 접착시킨 후에 떼어낸 적이 있는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스티커가 나오게 되었다. 이러한 스티커의 배면측의 일부는 표면에 진공금속층이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층과 필름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금속층의 일부는 실리콘층을 사이에 두고서 필름과 간접적으로 붙어 있다. 아울러, 그 금속층의 표면에는 압력에 민감한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보호지가 덮혀 있다. 이러한 스티커는 그 보호지를 떼어낸 다음에 포장지의 입구에 대하여, 그 접착층의 노출면을 눌러서 붙이는 것이다. 따라서,이러한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포장지에서 스티커를 떼어낼 경우에는 실리콘층을 사이에 두고서 간접적으로 필름에 붙어있는 금속층이 접착제에 의해서 그 포장지에 붙어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포장지의 입구를 완전히 열기 위해서는 그 남아있는 금속층을 찢어내야 하기 때문에 포장지를 개봉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티커는 금속 피막을 입혀놓는 필름 재료로서 폴리에스터와 같은 것만을 사용해야 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짐은 물론, 그 표면과 실리콘층상에 금속을 증착시켜 높아야 하기 때문에 기타의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아울러, 필름을 떼어낼 경우에는 포장지의 부착면 일부에 남아있게 되는 접착층의 점착면에 먼지가 들러붙게 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야기된다는 결점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한번 접착시킨 후에는 떼었다가 다시 사용할 수 없으며, 증착 공정이 필요없는 부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부착물은 접착층, 손가락으로 절제되거나 떼어낼 수 있는, 상기 접착층의 일면에 적층시킨 제 2 적층에 적층시킨 접착층 및 이 접착층에 일시적으로 적으로 적층되어 부착된 제 1 적층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적층을 제 1 적층상에 피복등에 의해서 적층시켜 놓는 것이기 때문에 공지 기술에서와 같은 증착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아울러, 제2 및 제 1적층은 서로 일시적으로 붙어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포장지의 입구에서 그 부착물을 떼어내고자할 경우에는 제 1적층이 제 2 적층에서 떨어져서 재부착시킬 수가 없게 되므로 부착물을 떼어냈다는 사실을 금방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제 2 적층을 찢어낸 다음에는 원상태로 복구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제 2 적층을 떼어낸 사실이 들어나게 된다. 따라서, 부착물을 떼어낸 사실을 겉으로 보아서 금방 알 수 있게 됨은 물론, 지금까지 사용해온 중착공정이 필요없는 부착물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첨부한 도면을 예로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1구현예를 구성하는 라벨의 횡단면도이다.
라벨(10)은 보호지(12)위에 임시적으로 부착되고, 아울러 연속적으로 적층된 접착증(14), 제2층(16), 접착증(18) 및 제 1 층(20)으로 형성되는데, 접착층(14)이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접착력 감소층(22)은 상기 접착층(14)부분에 적층되며, 인쇄층(24)은 제1층(20)위에 형성된다. 접착층(14)은 라벨(10)에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가령 압력감응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 피복되는 한편, 제 2 층(16)의 1의 주표면상에 형성되며, 그 표면위에 보호지(12)가 접착층(14)를 보호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접착된다. 염화비닐 및 아크릴의 공중합수지와 충전색소(예컨대, 티타늄 화이트 및 탄산칼슘)를 혼합하므로써 만들어진 취성막으로 대표되는 합성수지나 알루미늄박과 같은, 손으로 쉽게 부서지는 취성을 가지는 판이, 제 2 층(16)으로서 주어질 수 있다.
이 가운데, 라벨(10)이 만곡부상에 구부러져서 부착되는 경우, 접착층(18)의 접착력에 대해 원래의 상태로 회복되는 제 1 층(20)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비교적 유연성을 가지는 것이 적당하다. 제1층(20)은 제2층(16)을 절제 및 뜯김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며, 또한 접착층(18)을 통해 제2층(16)상에 임시적으로 접착된다.
한편, 제1층(20)으로서, 예컨대 비교적 경도를 가지며, 또한 열 또는 종이 및 합성종이에 의해 수축이 어려운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막이 차후 설명되겠지만, 라벨이 뜯겨졌을때 제1층(20)의 표면측으로부터 분리된 흔적을 볼 수 있도록 투명물질 또는 반투명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며, 따라서 제2층(16)의 일부가 고착되어 있는 물질에 잔존해 있고, 또한 일부가 그곳으로부터 떼어지고 또한 제1층(20)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어서, 더욱 라벨의 사용 목적에 따를 수 있다. 접착층(18)은 어떤 상태로 일시적으로 제1층(20)과 제2층(16)을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재부착이 불가능하고, 또한 예컨대 파라핀 및 왁스와 같은 파라핀제로 구성되어 제1, 2층(20 및 16)사이에 형성된다. 한편, 접착층(18)에 의해 제1 및 제2층(20 및 16)간의 접착력은 접착층(14)보다 더 약하다. 접착층(14)을 형성하는 접착제와 같은 압력감응 접착제를 비활성화 시키기 위해, 접착력 감소층(22)이 상기 접착층(14)의 표면상에 니스를 칠하는 형식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접착층(14)의 접착력은 접착력 감소층(22)이 형성되고 안된 부분 사이에는 상당히 차이가 나며, 차후 설명하겠지만, 접착층(14)의 부분중, 위에 부착되어 접촉되어 있는 물질에 라벨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손으로 제1층(20)이 떼어질때 조차 접착력이 강해서 쉽게 뜯겨지지 않으며, 접착력 감소층(22)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라벨이 고착되어진 물질로부터 비교적 쉽게 뜯겨질 수 있는 방도로 형성되는 것이다. 접착력 감소층(22)은 상기 언급한 니스등과 같은 것으로 피복하는 형식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적절한데, 합성 수지, UV잉크 및 산화중합식 잉크 등과 같은 잉크류, 가루, 녹말, 활석 등과 같은 접착제를 비활성화시키는 기타 식물성 및 광물성 파우더를 피복시키는 형식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접착력 감소층(22)이 가령, "개봉상태"로서의 그림 및 문자의 도안선을 인쇄, 피복하는 형식에 의해, 제1층(20)이 뜯겨지고 또한 제2층(20)이 뜯겨질때, 상기 언급된 "재봉상태"의 문자와 같은 형태가 다음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방도로 형성된다면, 이것을 라벨(10)을 사용하는목적에 더욱 부합하게 된다.
한편, 라벨(10)은, 접착력 감소층(22)의 위치에서의 접착층(14)의 접착력을 a, 제2층(16)을 뜯는데 필요한 힘을 b, 접착층(18)에서의 제1층(20)으로부터 제2층(16)을 뜯는데 필요한 힘을 c, 접착력 감소층(22)의 위치 외측의 접착층(14)의 접착력을 d, 접착층(14)으로부터 보호지(12)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e로 나타낼때, 공식 a<e<c, b<(c
Figure kpo00001
b 또는 c
Figure kpo00002
b)를 만족시킨다. 라벨(10)의 적용을 위해, 보호지(12)가 우선적으로 제거되어져야 하며, 라벨은 가격표찰로서, 제19(a)도 제19(b)도 및제19 (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크 포장물의 개방부에 부착되어진다.
이와같은 라벨(10)로 부착된 포장물의 개방부를 개봉하기 위해, 라벨(10)은 봉합부를 개방하기전 제거되어져야만 한다.
이 경우 제1층(20)은 접착층(18)에 의해 일시적으로 제2층(16)에 부착되고, 제2층(16)은 접착층(14)의해 피부착물(A)에 확고하게 부착되며, 또한 접착력 감소층(22)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언급된 접착층(14)이 그대로 부착되어 있는 곳에 비해 접착이 약하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벨(10)을 뜯어내려 할때, 접착력 감소층(22)부분의 제2층(16)과, 감소층(22)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점착층(14)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과의 접촉면에서는, 접착력 감소층(22) 부분의 제2층(16)이 피부착물(A)로부터 떼어지고, 아울러 접착층(14)부분의 제2층(16)으로부터 떼어져서 피부착물(A)로부터 분리된다.
다음, 제2층(16)위에 접착력 감소층(2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그 위에 피부착물(A)에 남게 된다. 따라서, 한번 제거된 제1층(20)은 결코 접착층(18)에 재부착될 수 없으며, 원상태로 복귀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제2층(16)이 접착 감소층(22)이 형성되어 있고,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곳의 접촉면에서 찢겨지기 때문이며, 따라서 개봉된 상태는 첫 눈에 명백해진다.
한편, 구현예에서, 라벨(10)이 비록 케이크 포장물에 적용되었지만, 의약포장물, 봉투, 가방등의 봉합부 및 가격을 나타내는 가격 표찰과 같은 기타 봉합부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설명에서, 최적의 예가 각 경우에서 열거되며, 박판(sheet), 막 및 이와 동등한 것은 전체적으로 "박판" 또는 "막"으로 표현된다. 게다가 또, "박판"은 단지 판형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로울형식(웨브)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현예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언급한다면, 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1예의 부착물질의 제조방법에 입각해서 이루어졌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된 적층체(30)를 제조하기 위한 1예의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적층제(30)는 제1층(20)에 접착층(18)고 제2층(16)을 순서대로 적층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장치(100)는 로울에서 박리된 제1층(20)을 형성하는 제1층 물질(20a)지지용 지지로올러(102)를 포함한다. 지지로울러(102)에 의해 지지된 제1층 물질(20a)은 일단이 펼쳐져서 일시 접착제 피복장치(coater)에 인도된다.
일시 접착제 피복장치(104)는 제1층 물질(20a)위 일면에 가령, 왁스, 파라핀 등과같은 일시 접착제(18a)를 2중 피복시키는 것으로, 2개의 로울러(106a 및 106b)와 팬(108)을 포함한다. 일시 접착제(18a)로 피복된 제1층 물질(20a)은 제2층(16)을 형성하는 부서지기 쉬운 물질(16a)을 적층시키기 위해 다음의 적충장치(110)에 보내진다. 적층장치(110)는 알루미늄박과 같은 취약물질(16a)로 감겨진 로울을 장착하기 위한 기구(112)를 포함한다. 적층장치(100)에서, 일시 점착제(18a)로 피복된 제1층 물질(20a)이 로울러(114a) 및 (114b)사이에서 취성물질(16a)로 압착, 적층되며 연속해서 배치된 냉각기(116)로 안내된다. 즉, 감겨진 취성물질(16a)은 일단이 펼쳐져서 그곳의 맞은편에 서로 배치된 로울러(114a)와 (114b)사이로 인도된다. 이때, 로울러(114a)와 (114b)사이에서, 일시 접착제(18a)로 피복된 제1층 물질(20)이 도입되어서, 이 물질(18a)이 제1층 물질(20)과 취성물질(16a)사이에 끼워져서 적층된다. 냉각기(116)에서, 적층제(30)의 일시 접착제(18a)는 냉각되어 고체화되고, 따라서 접착층(18)으로서 형성된다. 적층제(30)의 로울은 제4도에 도시한 적층장치(12)로 보내진다.
제4도에 나타낸 적층장치(120)는 적층제(30)의 로울을 부착하기 위한 기구(122)를 포함하며, 로울 부착기구(122)로부터 당겨진 적층체(30)는 접착제 피복장치(124)에 이송된다. 접착층(14)를 형성하는 접착체(14a)로써, 고온 용융식 압력 감응제 등과 같은 압력 감응제가 이용된다. 적층제(30)의 제2층(16)의 표면상에 그와같은 접착제를 피복시킬때, 가령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는 바로서 접착제를 피복시키는 피복장치(124)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용될 수 있다. 접착제(14a)로 2중 피복된 적층체(30)는 냉공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건조기(126)에 인도되어서, 접착제(14a)가 건조되어 접착층(14)이 형성된다. 그와같은 방도로 접착층(14)으로 형성된 적층체(30)는 접착력 감소층(22)을 형성시키기 위해 다음의 2중 피복장치(128)로 안내된다.
이 2중 피복장치(128)에서, 니스와 같은 접착층(14)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접착력 감소층(22a)이 상기한 언급한 접착층(14)의 표면에 인쇄된 형태로 된다.
2중 피복장치(128)는 가령, 옵셋 인쇄기와 같은 공지의 인쇄기로 구성되어서 적층제(30)의 전달 라인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가령, "개봉 상태"와 같은 도안선으로 인쇄된 접착력 감소층(22) 형태가 접착층(14)상에 형성된다.
접착력 감소층(22)으로 형성된 적층제(30)는 보호지(12)를 위한 적층장치(130)로 연속적으로 인도된다.
보호지를 위한 적층장치(130)는 2개의 로울러(132a)와 (132b)를 포함하여서, 보호지(12)가 그 표면에 보호제층(12a)을 형성하고, 또한 접착층(14) 측면의 적층제(30)의 표면이 적층되어서 권양 오쿨러(winding roller)에 감긴다.
제5도에 도시한 적층장치(140)는 제4도에 도시한 적층장치(120)와 다른 것으로 적충물질을 사용하므로써 부착물질을 형성하기 위해, 접착층(14)상에 보호지(14)상에 보호지(12)를 일시적으로 부착하므로써 마련되며, 이 장치(120)는 적층제(30)의 표면에 접착제(14a)를 피복하므로써 형성된다. 적층장치(140)는 감겨진 적층물질을 설치하는 장치(142)를 구성하며, 이 감겨진 적층물질은 제1층(20), 접착층(18) 및 제2층(16)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키므로써 형성된 적층제(30)의 제2층(16)의 주표면에 적층된 접착층(14), 및 이 접착층(14)의 주표면에 일시적으로 부착한 보호지(12)를 포함한다.
로울부착장치(142)로부터 잡아 당겨진 적층물질은 제1층(20), 접착층(18), 제2층(16) 및 접착층(14)의 적층물질(32)를 접착층(14)상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보호지(12)와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장치(114)로 인도된다. 분리장치(144)는 적층물질(32)과 보호지(12)를 분리시키는 로울러를 포함하며, 그곳에서 보호지(12)로부터 분리되어 제1층(20), 접착층(18), 제2층(16) 및 접착층(14)으로 형성된 적층물질(32)은 접착력 감소물질(22a)의 2중 피복장치(146)에 인도된다.
공지의 인쇄기계 또는 피복장치로 구성된 접착력 감소물질 피복장치(146)는 가령, 접착층(14)의 일부분에 "개봉 상태"와 같은 적절한 문자 및 화상의 인쇄선을 2중 피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접착력 감소물질 피복장치(146)에서 적절한 형태로 2중 피복된 적층물질(32)이 건조기(148)로 인도된다.
건조기(148)는 UV형 잉크가 접착력 감소물질 피복장치(146)에서 2중 피복될때는 자외선 조사 기구들을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분리장치(144)에 의해 분리된 보호지(12)와 적층물질(32)을 재부착시키기 위해, 접착력 감소물질(22a)를 건조기 (148)로 건조한 다음, 적층물질(32)은 로울러 (150a)와 (150b)를 포함하는 재부착 장치(152)에 안내된다.
재 부착 장치(152)에 의해, 보호지에 의해 재부착되고, 또한 제1층(20), 접착층(18), 제2층(16) 및 위에 접착력 감소층(22)로 형성된 접착층(14)으로 형성된 적층물질(32)은 권양 로울러(154)에 의해 감겨진다.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적층장치를 대신하는 별개의 적층장치(160)를 예시하고 있다. 적층장치(160)는 감겨진 보호지(12)를 설치하기 위한 로울 설치 기구(162)를 포함한다.
보호지(12)의 로울 설치기구(162)로부터 잡아 당겨진 보호지(12)는 제6도의 하부의 보호제층(12a)의 표면을 면함에 따라 접착력 감소물질(22a)의 피복장치로서의 접착력 감소물질 피복장치(164)에 인도되어, 접착력 감소물질로서의 니스가 2중 피복된다. 접착력 감소물질 피복장치(164) 내에서 적절한 형태로 형성된 도안선으로 2중 피복된 보호지(12)는 계속해서 접착제 피복장치(166)에 안내된다.
접착제 피복장치(166)는 보호지(12)의 박리제층(12a)의 표면에 접착제(14a)를 피복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곳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주 로울러(168a) 및 로울러(168b)를 포함한다. 주로울러(168a)는 그 하부의 팬(170)에 유지된 접착제(14a) 속에 담겨 있으며, 또한 접착제(14a)는 주로울러(168a)에 의해 주로울러(168a)와 로울러(168b) 사이에 유지된, 보호지(12)의 박리제층(12a)의 표면상에 피복된다.
다음, 접착제(14a)로 피복된 보호지(12)는 가령, 히터를 포함하는 건조기(172)에 안내된다.
건조기(172)에서, 보호지(12)상에 2중 피복된 접착제(14a)는 접착층(14)으로써 건조되어 형성되며, 접착층(14)과 보호지(12)의 적층체는 적층장치(174)에 인도되어, 제1층(20), 점착층(18) 및 제2층(16)에 의해 별개적으로 마련되어 형성된 적층체(30)로 적층된다.
적층체(30)의 적층장치(174)는 감겨진 적층체(30)를 설치하기 위한 기구를 포함한다. 로울 설치기구(176)로부터 펼쳐진 적층체(30)는 2개의 로울러(178a) 및 (178b) 사이에 인도되며, 또한 상기 언급된 보호지(12)상에 형성된 접착층(14)과 제2층(16)의 표면들은 2개의 로울러(178a)와 (178b)에 의해 서로 압착되어 그 상태로 권양 로울러(179)상에 감긴다.
적층장치에 의해 제조된 부착 물질중, 박리제층(12a)의 표면상에 2중 피복된 접착력 감소층(22)은 초기에는 박리제층(12a)의 표면에 있으나, 가령 보호지(12)가 응용에 대해서 접착층(14)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적층체(30)로 적층되어진 다음에는 보호지(12)의 박리체층(12a)의 분리성질로 인해, 접착력 감소층(22)은 접착층(14)의 접착력에 의해 접착층(14)의 표면상에 이동되어 전위된다.
그와같이 형성된 부착물질로부터 라벨을 제조하기 위해, 부착물질이 인쇄기계등을 포함하는 라벨 제조용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7도는 1예의 라벨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에시도이다. 그와같은 라벨 제조장치(180)는 접착층(14)의 표면에 보호지(12)를 적충시키므로써 형성된 압연 적층체(30)를 걸치기 위한 지지기구(182)를 구성한다.
보호지(12)와 적층체(30)로 구성되고 지지기구(182)로부터 잡아당겨진 적층물질은 인쇄장치(184)로 안내된다.
인쇄장치(184)는 가령, 옵셋 인쇄기와 같은 공지의 인쇄기계로 구성된다. 다음, 인쇄장치(184)로써 가령, 상표와 같은 도안선이 제1층(20)에 인쇄된다. 그와 같은 방도로 해서 인쇄층(24)으로 형성된 적층물질은 절단장치(186)에 인도된다. 절단장치(186)는 소위 절단날을 가지는 다이 절단기를 포함하여서 적당한 형태의 절단체가제1층(20), 접착층(18), 제2층(16), 접착층(14) 및 인쇄층(24)으로 만들어져 형성된다.
한편, 절단정치는 절삭부를 가진 로울러, 즉 다이로울러 사용하는 형식으로도 가능하다.
절단부를 가진 적층물질은 로울러(188a) 및 (188b)에 의해 불필요부와 라벨(10) (필요부)로 나누어져서, 불필요부는 변로울러(selvage roller) (190)에 의해 로울상태로 감기며, 라벨 (10) (필요부)은 보호지(12)상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는 바로서 권양 로울러(192)에 의해 로울상태로 감긴다. 한편, 절단장치(186)와 권양 로울러(192) 대신에, 절단날을 가지는 절단성형 장차도 이용될 수도 있다. 절단날은 개별의 라벨(10)로 분리하기 위해 제1층(10), 접착층(18), 제2층(16) 및 접착층(14) 상에 절단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설명을 더욱 상세하게 하면 다음과 같다. (1)제1층으로서, 대략 50μ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스터막이 사용되며, 그 위에는 Nihon Seiro사의 왁스가 일시의 접착층을 형성하는 왁스제로서 접착층을 형성시키기위해 피복된다.
다음, 제2층을 형성하는 7μ 두께의 알루미늄박이 상기 언급한 용융왁스를 건조시켜 굳게하기 이해 일시의 접착층상에 적층된다.
부가적으로, 알루미늄박의 표면상에 Toyo Ink Mfg 사이의 아크릴 접착제(BPS-512)가 접착층(14)을 형성하기 위해 5-50μ 두께의 건조막에 피복된다. 다음, Toyo Ink Mfg사의 니스가 100-0.5μ 두께로 일부 피복된다. 그런 다음, Shikoku Paper사의 분리판지가 접착층(14)의 표면에 취해진다. 이때, 접착력 감소층의 위치에서의 접착층의 접착력(a)은 약 1g, 제2층을 뜯어내는데 요하는 힘은 약 200g, 접착층으로 부터 제2층을 분리시키는데 요하는 힘(c)은 약 400g, 접착력 감소층의 외측위치의 접착층의 접착력(d)은 약 2000g, 그리고 접착층으로 부터 보호지를 분리시키는데 요하는 힘은 약 20g이다.
압력 감응 부착판으로서의 부착판이 라벨내에 만들어져서 피부착물 (종이상자등 상에 부착된다. 이때 피부착물에의 접착력(d)은 약 2000g이다. 피 부착물로부터 부착 라벨을 강제적을 떼어내려 할때, 접착력 감소층 위치의 제2층은 접착력 감소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제2층과 접촉하여 떼어내어지며, 또한 제1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터막과 함께 피부착물로부터 떨어진다. (2) 제1층으로서, 약 50μ 두께의 나일론막이 이용되며, 그위에는 일시의 접착층을 형성하는 왁스제로서, Nihon Seiro사의 왁스가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해 피복된다.
다음, 7μ 두께로서 제2층을 형성하는 Niho Carbide사의 연질막이 상기 언급한 용융 왁스를 건조시켜 굳게하기 위해 접착층에 피복된다.
부가로, 연질막 표면상에, Toyo Ink Mfg사의 아크릴 접착제(BPS-5127)가 접착층(14)을 형성하기 위해 5-50μ 두께의 건조막에 피복된다. 다음, Toka Shikiso 사의 UV 잉크가 접착력 감소층을 형성하기 위해 100∼0.5μ 두께로 피복된다.
그런다음, Shikoku Paper사의 분리판지가 접착층(14)의 표면에 취해진다. 이때, 접착력 감소층 부분의 접착층의 접착력(a)은 약 2g, 제2층을 떠내는데 요하는 힘(b)은 약 50g, 접착층으로부터 제2층을 분리시키는데 요하는 힘(c)은 약 100g, 접착력 감소층의 외측부분의 접착층의 접착력(d)은 약 1500g, 그리고 접착층으로부터 보호지를 분리시키는데 요하는 힘(e)은 약 15g이다.
압력 감응 부착판으로서 마련된 부착판이 라벨편 속에 넣어져서 피부착물(상자, 등)에 부착된다. 이때 피부착물에의 접착력은 100g이다. 피부착물로부터 부착된 라벨을 강제적으로 떼어내려할때, 접착력 감소층 부분에서의 제2층은 접착력 감소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제2층과 접합하여 떼어지며 제1층을 형성하는 나일론막과 함게 피부착물로 부터 떨어진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 구현예에서의 라벨(210)은 보호지(212)상에, 접착층(214), 제2층(216), 접착층(218)이 일시적으로 부착되고, 계속하여 박리제층(222) 및 제1층 (220)이 적층되고, 또한 인쇄층(224)이제1층(220)상에 형성된다.
접착층(214)은 라벨(210)에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함이며, 가령 압력 감응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로 이루어지며, 또한 보호지(212)와 제2층(216)사이에 형형된다.
제2층(216)은 은, 금 파우더 또는 카본블랙 및 기타 합성수지로서의 색소를 혼합, 피복하므로써 마련된 알루미늄박 또는 수지막등에 의해 형성된다. 제2층(216)은 가령, 포장물의 개방부를 봉하고, 또한 밀봉부가 개봉될때, 절단 및 떼어냄에 의해 개봉상태로 되게 하는 것이다.
접착층(218)은 제2층(216)을 제1층과 부착시키고, 또한 가령 EVA, PVA, 염화비닐,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의 2중 액체 반응 공중합체 수지를 박리제층(222)이 형성된 표면상에 피복하므로써 형성된다. 한편, 다른예의 접착층(218)으로서 폴리에스터계, 폴리우레탄계등과 열경화 접착제로 피복된 접착층이 경우에 따라 주어질 수 있다.
박리제층(222)은 접착층(218)과 제1층(220) 이 재부착이 불가능한 상태로 쉽게 분리될 수 있게끔 형성되고, 가령 실리콘수지, 플루오로수지, 왁스등과 같은 박리재로 피복되며, 또한 접착층(218)과 제1층(220) 사이에 형성된다. 박리제층(222)은 제1층(220)의 표면의 일부에 형성되고, 박리제층(222)이 절제된 부분에는 가령, "개봉상태"와 같은 도안선을 피복한다.
제1층(220)은 절단 및 떼어짐으로부터 접착층(218)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됨과 아울러, 박리제층(222)을 거쳐 접착층(218)에 일시적으로 부착되며, 또한 박리제층(222)이 형성된 곳에서 접착층(218)에 긴밀하게 부착된다. 한편 1에의 제1층(220)으로서, 비교적 경도를 가지며, 열에 의해 수축되지 않는, 가령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막과 같은 물질, 또는 종이 또는 합성종이가 주어지나, 라벨이 봉합부에 구부러져 부착되었을때, 제1층에 의해 분리되어지지 않게끔 비교적 유연성을 가지며, 접착층(218)의 접착력에 대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물질이 적당하다.
박리제층(212)은 접착층(214)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가령, 종이 및 합성수지판과 같은 박리제층을 포함하며, 또한 종이등과 같은 기재의 표면에 가령 실리콘등과 같은 박리제를 이중 피복시키므로써 형성된 박리제층(212a)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벨(210)은 각각의 분리후에 요한 힘이 공식 d<a<c<b를 만족하게끔 구성되는데, 이때 a는 박리제층(222)의 접착층(218)으로 부터 제1층(220)을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 b는 피부착물에 부착된 접착층(214)의 접착력, c는 제2층(216)을 떼어내는데 요하는 힘, d는 접착층(214)으로 부터 보호지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나타낸다. 제1층(220) 및 접착층(218) 등으로 형성된 라벨(210)로 부착된 포장물의 개방부를 개방 시키기 위해, 위에 취해진 라벨(210)은 봉합부를 개방시키기 위해 제거되어야만 한다. 이경우, 제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제1층(220)이 박리제층(222)을 통해 접착층(218)상에 일시적으로 미약하게 부착되어 있고, 제2층(216)이 접착층(214)에 의해 포장물의 개방부에 확고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제층(222)의 부분에서 라벨(210)을 떼어내려 했을대, 단지 제1층(220)만이 떼어질 수 있으며, 제2층(216)은 접착층(214)와 함께 봉합부상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남는다. 다음, 제9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박리제층(222)이 절제된 부분에서는 제2층(216)이 접착층(218)에 의해 부착되어서 비교적 취약한 제2층(216)은 박리제층(222)이 형성되고 안된 사이의 접촉면에서 뜯겨져, 제1층(220)과 함께 접착층으로 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1층(220)이 한번 제거되어진 경우, 접착층(218)상에 제1층(220)을 재부착시킴을 물론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서, 개봉된 상태를 한눈에 알 수 있다. 포장물의 개방부를 완전하게 개방하기 위해, 뜯겨지지 않은 채로 남은 접착층(218)은 봉합부로 부터 절단 또는 뜯겨지거나 또는 분리 되어야만 된다.
제10도 및 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현에서 사용된 기재 제조용 장치의 예를 나타낸는 예시도이다. 기재(230)는 제1층(220) 상에 박리제층(222)과 접착층(218)을 순서대로 적층시키므로써 형성된다. 장치(300)는 제1층(220)을 형성하는 압연 막물질(22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로울러(302)를 구성한다.
지지로울러(302)에 의해 지지된 막물질(22a)은 일단에 펼쳐진 상태로 해서 박리제 피복장치(304)에 안내된다.
박리제 피복장치(304)는 막물질(220a)의 양면상에 가령, 실리콘 수지, 풀루오로수지등과 같은 박리제(222a)를 2중 피복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로울러(304a) 및 (304b)를 포함한다. 로울러(304a)는 그 하부의 팬(304)에 유지된 박리제(222a)속에 담겨있다. 따라서, 로울러(304a) 및 (304b)를 회전시키므로써, 박리제(222a)는 사이에 안내된 막물질(220a)의 표면상에 피복된다. 힌편, 박리제 피복장치(304)로서, 그라비야로울러 피복장치(photogravure roller coarter) 또는 리버어스 로울러 피복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옵셋 인쇄기나 스크린 인쇄기와 같은 공지의 인쇄장치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
다음, 박리제(222a)로 2중 피복된 막물질(220a)는 가령, 히터를 포함하는 건조기(306)에 도입된다. 건조기(306)에서, 막물질(220a)상에 2중 피복된 박리제(222a)는 박리제층(222)로서 건조되어 성형된다. 그와같이 박리제층(222)으로 형성된 막물질(220a)은 와인더(308)로 안내된다. 로울로 압연된 막물질(220a)은 제1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제2층(216)이 별도의 적층장치(310)에 설치된다.
적층장치(310)은 압연막(216a)을 설치하는 기구를 구성하며, 제2층(216)을 형성하고 로울로부터 잡아당겨진 알루미늄박(216a)은 2개의 로울러 및 접착층(218)을 형성하는 수지나 접착제(218a)를 담고 있는 팬을 포함하는 피복장치(316)에 인도되는데, 이때 이 접착층(218)은 2개의 로울러(312) 및 (314) 사이에 안내된 다음 2개의 로울러의 회전에 의해 피복되며, 이에 의해 알루미늄박(216a) 이, 분리적으로 안내된 제1층(220)의 박리제층(222) 상에, 그 표면상의 접착층(218a)에 의해 적층되고 부착되어서 접착장치(319)에 도입된다. 접착장치(319)로서, PVA 계, 비닐아세테이트계, 아크릴계등 또한 염화비닐, 비닐아세테이트, 우레탄, 아크릴등으로 구성된 솔벨트형 수지와 같은 수용성수지로 구성되는 접착제가 접착제(218)로서 사용되는 경우, 건조기가 이용되고, 또한 고무계 및 EVA계의 고용해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 냉각기가 이용된다.
이와같은 방도로 형성된 기재(230)는 적당한 인쇄장치에서 인쇄층(224)을 갖추어서 권양 로울러(304)에 의해 로울상태로 감겨 유지된다.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기재(230)를 사용하므로써, 접착층(214)와 보호지(212)를 또한 적층시키는 1예의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장치(350)은 접착제 피복(352)를 구성한다. 접착제 피복장치(352)는 보호지(212) 상에 접착제(214a)를 피복시키는 것으로 그곳에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2개의 주 로울러(354)와 로울러(356)를 포함한다. 주 로울러(354)는 그 하부의 팬(358)에 담겨있는 접착제(214)속에 묻혀지며, 접착제(214a)는 주 로울러(354)에 의해, 그 사이에 유지된 보호지(212)의 보호제층(212a)의 표면에 피복된다.
다음, 접착제(214a)로 2중 피복된 보호지(212)는 가령, 히터를 포함하는 건조기(322)에 도입된다. 건조기(322)에서, 보호지(212) 상에 2중 피복된 접착제(214a)는 접착층(214)으로서 건조, 성형된다. 그와같이 접착층(214)으로서 형성된 보호지(212)는 기재(230)의 적층장치(360)에 도입된다.
적층장치(360)는 보호지(212)와 접착층(214)의 적층체(232)의 접착층(214)상에 기재(230)를 적층시키기 위한 것으로 펼쳐진 기재(23)를 지지하는 지지 로울러(362)를 포함한다. 감겨진 상태로 유지된 기재(23)는 일단이 펼쳐져서 로울러(364)와 (365)사이에 안내된다. 이때 접착제로 피복된 적층제(232)는 로울러(364)와 (365) 사이에 안내되어, 접착층(214)을 샌드위치하는 기재(230)와 보호지(212)는 적층된다. 이와같은 방도로 보호지(212)와 접착층(214)에 적층체(232)로 적층된 기재는 권양 로울러(368)에 도입된다.
다음, 접착층(214)에 의해 적층된 보호지(212)와 함게 기재(230)는 가령, 제7도에 도시한 라벨제 작용장치로 인도되어 앞서 언급한 구현예와 동일하게 라벨로 만들게 된다.
이하, 구현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제1층으로서, 약 50μ의 두께를 가지는 폴리에스터 막이 사용되며, 그위에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박리제로서 사용된 Toray Industries 사의 실리콘 수지가 일부 비피복 부분으로 남아 있도록 하기 위해 경화제와 함께 피복되며, 또한 일부 박리제층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기에서 말려진다. 다음, 접착층을 형성하는 우레탄 수지가 제1층과 박리제층상에 약 5∼50μ의 두께로 피복된다. 또한, 알루미늄박이 우레탄 수지를 건조하고 굳게 하기 위해 용융 우레탄 수지 표면상에 적층된다. 이대 박리제층으로부터 우레탄수지를 떼어내는 데 필요한 힘을 50g이다. 한편, Toyo Ink Mfg 사의 아클릴접착젭(BPS-5127)가 Shikoku Paper 사의 보호지상에 보호간을 형성하기 위해 5∼50μ의 건조막 두께로 피복되며, 이 보호지는 다음 상기 언급한 2중층 제조품과 함께 부착된다. 이때 제2층을 떼는데 요하는 힘(c)은 100g, 접착제로부터 분리지를 떼내는 데 요하는 힘(d)은 10g이다.
이러한 방도로 마련된 압력감응 스티커(sticker)는 라벨로 만들어져서 피부착물(종이상자, 플라스틱 및 유리병)에 부착된다. 이때 피부착물에의 접착력(b)은 1,500g이다. 부착된 라벨은 강제적으로 떼내려할때, 제1층의 막은 박리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 알루미늄박과 함께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피복지가 제1층으로 사용되고 또한 다음의 표-1EVA 수지가 제1층 표면에 피복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도로 제조된 라벨에 의해 동일한 경과가 얻어진다.
[표 -1]
Figure kpo00003
주의 :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수지 대신에 SIS, SBS, 폴리이소부틸렌 및 폴리부텐을 사용하는 할 수 있다.
(2) 제1층으로서, 약 70μ두께를 가지는 나일론 막이 사용되며,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박리제로서 왁스가 피복되어 건조된다. 다음, 접착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터계 접착제등이 왁스에 약 5∼50μ의 두께로 피복된다. 또한 알루미늄박이 폴리에스터계 접착제를 건조하여 굳이버리게 하기위해 용융된 접착제층상에 적층된다. 이때 왁스 표면으로부터 접착제를 떼어내는데 요하는 힘(a)은 50g이다. 그와같은 방도로해서 형성된 나일론막과 제2층의 2중층 제조물, 및 부착제를 분리지에 5∼50μ의 두께의 건조막으로 피복하므로써 형성된 보호지는 서로부착된다. 이때 분리지를 부착제로부터 분리 시키는데 요하는 힘은 10g이다. 그렇게 형성된 압력 감용 스티커가 라벨로 만들어진 피부착물(종이상자, 플라스틱 및 유리병)상에 부착된다. 이때 피부착물에의 접착력(b)은 1500g이다. 부착된 라벨을 강제적으로 분리시키려 할때, 제1층의 막은 박리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곳에서, 알루미늄과 함께 떼어진다.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한 기재 제조장치에 대용되는 한 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제11도에 도시한 장치와 다른 이 장치에서는, 제1층(220)상의 박리제층(222)과 부착층(218)상에 알루미늄박(216a)을 적층시키는 적층장치(310) 대신에, 부착층(218)을 형성하는 수지를 피복시키는 피복장치(316') 및 알루미늄박 대신에 금 및 은 파우더러 혼합한 합성수지를 피복시키는 적층장치(310')가 배치된다.
피복장치(316')는 2개의 로울러(312)와 (314)를 포함한다. 로울러(312')는 그 하부의 팬에 있는 우레탄수지나 EVA수지와 같은 수지(218a)속에 담겨 있다. 따라서, 2개의 포울러(312')와 (314')를 회전시키므로써 사이에 안내된 막(220)의 박리제층(222)상에 수지(218a)가 2중 피복된다. 다음, 수지(218a)로 피복된 막(220)은 나아가 건조기(320)로 안내되어서, 건조되어 굳어진다. 이에 의해 제1층(220)상의 박리제층(222)에는 수지(218a)가 피복되면서 접착층(218)이 형성되어 다음의 제2층의 적층장치(310')로 보내진다. 적층장치(310')는 가령, 옵셋 인쇄기와 같은 공지의 인쇄기계나 피복기로 구성되어 기재(230)의 전달 라인중에 배치된다. 다음 적층장치(310')에 의해 금 및 은 파우더로 혼합된 수지가 접착층(218)상에 피복되고, 제2층(216)이 형성된다.
제14도는 별도의 구현예의 횡단면도이다.
라벨(210')이 알루미늄박, 또는 제2층(216)을 형성하는 수지막의 표면상에 도안선층(223)을 적절히 인쇄 성형시키므로써 형성되도록하여, 제1층이 떼어졌을때, 도안선층(223)이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안선(223)이 우선 제2층(216)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적층되고, 제2층의 경우 알루미늄박으로 형성된다. 제2층(216)이 수지를 피복하므로써 형성되어질때, 인쇄성형은 수지막이 형성된 다음 만들어진다.
한편, 수지막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써 안에 혼합용 금속 파우더로 구성되고, 또한 비교적 미소한 힘을 제공하므로써 절제 및 떼어지도록 형성된 합성수지가 선택될 수 있고 제2층(216)을 형성하기 위해 피복된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한 별도의 구현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이 구현예의 라벨(410)은 보호지(412)상에 일시적으로 부착되고, 접착층(414), 제3층(428), 제2층(416), 접착층(418), 박리제층(422) 및 제1층(420)이 계속하여 적층된다. 제1층(420)의 표면상에 인쇄층(426)이 형성된다.
이 구현예에서는 제8도에 도시한 앞서 언급한 구현예와 다르며, 제3층(428)이 제2층(416)과 접착층(412)사이에 개재된다.
노출로부터 접착층(414)을 보호하는 제3층(428)은 제2층(416)이 차후 기술되는 바와같이 떼어졌을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으로 피복하므로서 형성된다.
한편,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라벨(410)은 분리된 갑부에 요하는 힘이 d<a<c<b식을 만족시킨다. 이때 a는 박리제층(422)에 있는 부착층(418)으로부터 제1층(420)을 분리시키는데 요하는 힘, b는 피부착물과 접착층(414)의 접착력, c는 제2층(416)을 떼는데 요하는 힘, d는 접착층(414)으로부터 보호지(412)를 분리시키는데 요하는 힘이다.
박리제층(422)은 앞서 언급한 제10도에 도시한 장치에 의해 형성되며, 압연된 막물질(420a)이 제17도에 도시한 제2층(416)의 별도의 적층장치(510)상에 놓여진다.
적층장치(510)는 압연막(420a)을 설치하는 기구를 구성한다. 제2층(416)을 형성하고 별도의 로울로부터 잡아당겨진 알루미늄박(416a)은 접착층(418)을 형성하는 접착제(418a)나 수지를 담고 있는 팬과 2개의 로울러를 포함하는 피복장치(516)에 안내되어 2개의 로울러의 회전에 의해 수지나 접착제로 피복된다. 그 다음, 이것은 2개의 로울러(512)와 (514) 사이에 인도되어서, 그 표면상에 접착층(418a)에 의해, 분리되어 안내된 제1층(420)의 박리제층(422)의 표면상에 적층, 부착되어서 접착장치(519)에 인도된다.
다음, 기재(430)는 다음의 제3층의 적층장치(530)에 공급된다. 적층장치(530)에 공급된다. 적층장치(530)는 가령, 옵셋 인쇄기와 같은 공지의 인쇄기계로 구성된다. 적층장치(530)에 의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의 합성수지가 제3층(428)을 형성하기 위해 제2층의 표면에 피복된다.
그와 같은 방도로 제2층(416)과 제3층(428)으로 형성된 기재(430)는 권양 로울러(540)에 의해 로울상태로 감아 놓는다.
제17도에 도시한 기재(430)는 앞서 언급한 제8도의 구현예에서 기술한 동일 방법으로 2층을 적층시키는 장치(이를테면, 제12도의 장치)에 의해 접착층(414)과 보호지(412)로 아울러 적층된다.
여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1) 제1층으로서, 약50μ 두께의 폴리에스터막이 사용되며, 그 위에는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박리제로서 사용된 Toray Industries 사의 실리콘수지가 일부 비피 복부분을 남겨두게끔 경화제와 함께 피복되어 부분적으로 박리제층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기에서 구워말린다. 다음, 접착층을 형성하는 우레탄수지가 박리제층상에 약 5∼50μ의 두께로 피복된다. 아울러, 알루미늄박이 우레탄수지를 건조시켜 굳게하기 위해 용융된 우레탄수지 표면상에 적층된다. 다음, 앞서 언급한 표-1의 EVA 수지가 알루미늄박 위에 피복된다. 이때 박리제층으로부터 우레탄수지를 떼어내는데 필요한 힘은 50g이다. 한편, Toyo Ink Mfg 사의 아크릴 접착제(BPS-5127)가 Shikoku Paper 사의 분리지상에 보호지를 형성하기 위해 5∼50μ의 건조된 막두께로 피복된다. 이 보호지는 앞서 언급한 2중층 제조물과 함께 부착된다. 이때, 제2층을 떼어내는데 요하는 힘(c)은 100g, 접착제로부터 보호지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d)은 10g이다. 이와같은 방도로 마련된 압력 감용 스티커는 라벨으로 만들어져서 피부착물(종이상자, 플라스틱 및 유리병)에 부착된다. 이때 피부착물에의 접착력(b)은 1500g이다. 부착된 라벨을 강제적으로 떼어내려할때, 제1층 막은 박리제층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부분의 알루미늄박과 함께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된다.
(2) 제1층으로서, 약 70μ의 두께를 가지는 나일론막이 사용되며, 그위에는 박리제층을 형성하는 박리제로서 사용된 왁스가 일부 비피복부를 남게 하기위해 피복되어서, 부분적으로 박리제층을 형성하기 위해 건조기에서 구워진다. 다음 접착층을 형성하는 폴리에스터계 접착제가 박리제층 상에 약 5∼50μ의 두께로 피복된다. 아울러 알루미늄박이 접착제 수지를 건조하여 굳게하기 위해 용융된 접착제 표면에 적층된다. 다음 EVA 수지가 알루미늄박에 피복된다. 이때 왁스층으로부터 접착제를 떼어내는데 요하는 힘은 50g이다. 한편 접착제가 보호지를 형성하기 위해 보호지 위에 5∼50μ의 건조된 막두께로 피복되며, 이 보호지는 앞서 언급한 2중층 제조물과 함께 부착된다. 이때 접착제로부터 보호지를 분리시키는데 필요한 힘(d)은 10g이다. 그와같은 방도로 마련된 압력 감응 스티커는 라벨로 되어 피부착물(종이상자, 플라스틱 및 유리병)상에 부착된다. 이때 피부착물에의 접착력(b)은 1500g이다. 부착된 라벨을 강제적으로 떼어내려할때 제1층의 막은 박리제층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부분의 알루미늄박과 함게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8도는 별도의 구현예의 횡단면도이다.
이 구현예에서 적당한 도안선층(423)이 제2층을 형성하는 수지막이나 알루미늄박의 표면상에 인쇄, 형성되어 제1층(420)이 떼어졌을때 도안선층(423)이 눈에 보이게 된다. 제 2 층(416)이 알루미늄박으로 형성된 경우, 도안선층(423)이 우선 제 2 층(416)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적층된다. 제2층(416)이 수지를 피복하므로써 형성되는 경우, 인쇄성형은 수지막이 형성된 후 만들어진다. 게다가 도 제3층(428)의 반대측상에 적당한 도안선층(425)가 역시 인쇄 형성되어, 제2층(416)이 제3층(428)으로부터 떼어내어 졌을때, 제3층이 육안으로 보이게 된다. 도안선층(425)는 제3층(428)을 형성한 다음 인쇄 성형된다.
한편 도안선층(423)과 (425)는 경우에따라 적당한 피복기로 피복물질을 피복시키므로써, 채색된다. 또한 고정문자나 무늬는 제1층(420)이 떼어졌을때 2종류의 도안선층(423) 및 (425)를 결합시키므로써 형성될 수 있다.
수지막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로써, 안에 혼합용융 금속 파우더로 이루어지고, 또한 비교적 미소한 힘을 제공하므로써 절제 및 떼어지게끔 형성된 합성수지가 제2층(416)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되어서 피복될 수 있다.
한편, 제2층(416)이 제3층(428)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되지 않을때, 제3층(428)을 형성하는 합성수지를 피복, 적층하기전에 실리콘수지와 같은 박리제가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층(416)이 적층되어 형성된 다음 주표면상에 피복될 수 있다.

Claims (34)

  1. 보호지, 이 보호지의 1주표면위에 적층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위에 적층되고 또한 손가락으로 절제나 떼어낼 수 있는 제2층, 상기 제2층위에 적층된 접착층 및 이 접착층을 일시적으로 적층하여 부착시킨 제1층으로 구성된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2.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제1층, 제2층, 제1,2층을 일시적으로 부착시키는 접착층, 상기 제2층의 1주표면 위에 적층된 접착층 및 접착제의 접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층위에 있는 접착충의 1주표면의 일부분에 적층된 접착력 감소층으로 구성되고, 또한 접착력 감소층의 위치에서 접착층의 접착력을 a, 제2층을 떼어내는데 요하는 힘을 b, 접착층에서의 제1층으로부터 제2층을 떼어내는데 요하는 힘을 c, 접착력 감소층의 외부 위치에 있는 접착층의 접착력을 d라 할때,a<c, b<d식을 만족시키는 부착물.
  3.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제1층, 제1층의 1주표면위에 적층된 접착층, 접착층 제1층이 바로 접하게끔 부분적으로 절제된 바로서 제1층과 상기 접착층 사이에 적층된 박리제층 및 상기 접착층에 의해 제1층위에 적층, 부착되어, 상기 박리제층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곳에서는 접착층에 의해 제1층위에 접착되어진 상태로 떼어질 수 있게끔 형성된 제2층으로 구성된 부착물.
  4.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제1층, 제1층의 1주표면위에 적층된 접착층, 제1층이 접착층과 바로 접하게끔 부분적으로 절제된 바로서 제1층과 접착층 사이에 적층된 박리제층, 상기 접착층에 의해 제1층상에 적층, 부착된 제2층 및 제2층의 주표면위에 적층되어 상기 박리제층이 형성되어있지 않은 곳에서 접착층에 의해 제1층위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로 떼어질 수 있게끔 형성된 제2층으로 구성된 부착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이 합성막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이 폴리에스터막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이 종이로 이루어진 부착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이 그 주표면위에 인쇄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부착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적층 알루미늄박에 의해 형성된 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이 금속 파우더로 혼합된 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13.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2층의 1주표면위에 인쇄층을 형성하여 구성된 부착물.
  14.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채색된 제2층의 1주표면상에 하나의 층이 형성되어 구성된 부착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이 채색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16.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이 취성 합성수지막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17.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위에 적층된 상기 접착층이 왁스로 피복된 부착물.
  18.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위에 적층된 상기 접착층이 파라핀으로 피복된 1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19.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위에 적층된 상기 접착층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우레탄수지로 피복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EVA 수지로 피복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22. 제1항에 있어서, 제2층위에 적층된 상기 접착층이 접착제로 피복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우레탄계 접착제로 피복된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이 폴리에스터계 접착제를 피복하므로써 이루어진 부착물.
  25. 제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층이 실리콘수지로 피복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제층이 도안선을 형성하는 부착물.
  2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이 합성수지로 피복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28. 제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3층의 1주표면위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구성된 부착물.
  2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층이 채색된 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부착물.
  30. 제2항에 있어서, 접착력 감소층이 왁스를 피복시키므로써 형성된 부착물.
  31. 제2항에 있어서, 접착력 감소층이 합성수지를 피복시키므로써 형성된 부착물.
  32. 제2항에 있어서, 접착력 감소층이 파우더를 피복시키므로써 형성된부착물.
  33. 제2항에 있어서, 접착력 감소층이 제2층위에 적층된 접착층의 1주표면을 피복시키는 형식에 의해 형성된 부착물.
  34. 제2항에 있어서, 제2층위에 적층된 상기 접착층이 보호지의 1주표면상에서 보호지와 일시적으로 부착된 부착물.
KR1019850007239A 1984-10-01 1985-09-30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KR890005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6768 1984-10-01
JP206768/1984 1984-10-01
JP59206768A JPS6183578A (ja) 1984-10-01 1984-10-01 貼り替え防止用ラベル
JP28542 1985-02-15
JP60028542A JPH0664413B2 (ja) 1985-02-15 1985-02-15 再使用防止型ラベル
JP60028543A JPS61186985A (ja) 1985-02-15 1985-02-15 再使用防止型ラベル
JP028542/1985 1985-02-15
JP028543/1985 1985-02-15
JP28543 1985-02-15
JP60067381A JPS61226782A (ja) 1985-03-29 1985-03-29 易破壊性貼着材
JP67381 1985-03-29
JP067381/1985 1985-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572A KR860003572A (ko) 1986-05-26
KR890005291B1 true KR890005291B1 (ko) 1989-12-20

Family

ID=2745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239A KR890005291B1 (ko) 1984-10-01 1985-09-30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4763931A (ko)
KR (1) KR890005291B1 (ko)
CN (1) CN85107355A (ko)
BE (1) BE903343A (ko)
CA (1) CA1267829A (ko)
DE (1) DE3534557A1 (ko)
FR (1) FR2597405A1 (ko)
GB (1) GB2167008B (ko)
NL (1) NL85026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16342D0 (en) * 1987-07-10 1987-08-19 Modern Labelling Methods Ltd Tamper-proof labels
US5011190A (en) * 1987-09-18 1991-04-30 Daimatsu Kagaku Kogyo Co., Ltd. Temporarily sticking material
US5294470A (en) * 1988-05-13 1994-03-15 Ewan Frederick R Tamper indicating containers and seals
US4998666A (en) * 1988-05-13 1991-03-12 Frederick R. Ewan Tamper indicating containers and seals
US4872705A (en) * 1988-08-08 1989-10-10 Charles Jones Confidential post card
US5153042A (en) * 1989-05-16 1992-10-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mper-indicating labelstock
ES2038469T3 (es) 1989-07-19 1993-07-16 Landis & Gyr Business Support Ag Dispositivo para adherir laminas adhesivas en caliente.
US5582887A (en) * 1989-08-17 1996-12-10 The Kendall Company Tamper-evident tape having discontinuous barrier layer
GB2235176A (en) * 1989-08-21 1991-02-27 Osaka Sealing Label Print Method of producing a continuum of labels
GB2239231B (en) * 1989-11-25 1994-08-24 Ko Pack Method and machine for integrated label making and product thereof
DK0430567T3 (da) * 1989-11-25 1995-04-10 Ko Pack Europ Ltd Fremgangsmåde til integreret fremstilling af etiketter
US5135262A (en) * 1990-06-20 1992-08-04 Alcan International Limited Method of making color change devices activatable by bending and product thereof
US5042842A (en) * 1990-06-26 1991-08-27 Avery International Corporation High security label
US5165725A (en) * 1991-01-25 1992-11-24 Gollon Peter J Two-panel tamper-indicating tag
US5219194A (en) * 1992-02-28 1993-06-15 Viking Corporation Security seal
US5358281A (en) * 1993-02-10 1994-10-25 Moore Business Forms, Inc. Security pressure sensitive label
CA2134521A1 (en) * 1993-11-02 1995-05-03 Raymond R. Gosselin Tamper-indicating label
WO1995029475A1 (en) * 1994-04-22 1995-11-02 Aquasol Limited Security label
CA2194454A1 (en) * 1994-07-08 1996-01-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ransparent multilayer film and its use for protection of data on documents as well as a tamper-proof label
US5631068A (en) * 1994-08-02 1997-05-20 Trigon Packaging Corporation Self-containing tamper evident tape and label
CA2196606C (en) * 1994-08-02 2004-06-01 Christopher A. Smith Tamper evident seal and tape
US5464254A (en) * 1994-08-29 1995-11-07 Moore Business Forms, Inc. Fishing license protector
US5683774A (en) * 1994-12-09 1997-11-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e, tamper resistant security laminate
US5510171A (en) * 1995-01-19 1996-04-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urable security laminate with hologram
US6613410B1 (en) 1999-09-23 2003-09-02 National Label Company Extended wrap label
US20070065619A1 (en) * 2003-08-05 2007-03-22 Sellars Neil G Reactive labe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70148393A1 (en) * 2003-08-05 2007-06-28 Sellars Neil G Reactive label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274236B1 (en) * 1995-06-12 2001-08-14 National Label Company Label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0505513A (ja) * 1996-03-13 2000-05-09 フォト、ウエ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熱活性化トランスファーの布への適用
US6875487B1 (en) 1999-08-13 2005-04-05 Foto-Wear, Inc. Heat-setting label sheet
US6786994B2 (en) 1996-11-04 2004-09-07 Foto-Wear, Inc. Heat-setting label sheet
CA2381545A1 (en) * 1999-08-13 2001-02-22 Foto-Wear, Inc. Printable heat-setting label sheet
US6537634B2 (en) 1999-12-29 2003-03-25 Tesa Ag Adhesive security tape for detecting unauthorized broaching of a package
DE10022002A1 (de) * 1999-12-29 2001-07-12 Beiersdorf Ag Sicherheitsklebeband zum Nachweis des unbefugten Öffnens einer Verpackung
FR2823310B1 (fr) * 2001-04-05 2004-05-14 Arjo Wiggins Sa Document autocollant incorporant un dispositif d'identification radiofrequence
FR2825821B1 (fr) * 2001-06-11 2003-08-22 Arjo Wiggins Sa Article de securite adhesif non reutilisable et detectable a distance
JP2004012552A (ja) * 2002-06-03 2004-01-15 Lintec Corp 自己接着性開封表示機能付き管理タグ及びその使用方法
US7673909B2 (en) * 2003-06-03 2010-03-09 L'oreal Dual-adhesive label for applying to an article, particularly an item of cosmetic product packaging
US20060182955A1 (en) * 2005-02-17 2006-08-17 Sellars Neil G Counterfeit and tamper evidence security label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GB2440124B (en) * 2006-07-07 2010-06-16 Paul Jacques Adhesive fastening tape
DE102008033323A1 (de) * 2008-07-16 2010-01-21 Tesa Se Sicherheitsetikett
DE102009041545A1 (de) * 2009-09-15 2011-03-24 Schreiner Group Gmbh & Co. Kg Mehrlagiges Etikett zur fälschungssicheren Kennzeichnung eines Gegenstandes
FR2955092B1 (fr) * 2010-01-13 2013-07-05 Bel Fromageries Boite de conditionnement a ouverture amelioree
WO2012048178A1 (en) * 2010-10-09 2012-04-12 Quality Assured Enterprises, Inc. Packaging component for testing effect of cosmetic
CN102248731B (zh) * 2011-05-11 2014-10-29 深圳市摩码科技有限公司 一种易碎纸的制备方法及装置
JP6173769B2 (ja) * 2013-05-17 2017-08-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6711832B2 (ja) * 2015-08-04 2020-06-17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易剥離性積層ラベ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方法、易剥離性積層ラベル付被着体、並びに開封済判定方法
KR102048422B1 (ko) * 2018-04-25 2019-11-25 노예솔 부품점검 및 관리용 식별표시 폴리머 라벨 및 그를 이용한 식별표시방법
US20220411149A1 (en) * 2021-06-25 2022-12-29 Apple Inc. Packaging with tamper-evident seal
CN113861861B (zh) * 2021-11-10 2022-04-01 宁波申山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双面胶带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1427A (en) * 1962-04-10 1965-12-07 Trig A Tape Corp Self-destroying label
DE1594197A1 (de) * 1965-07-14 1971-02-11 Compac Corp Durch Druck anklebbares,mehrlagiges Verbundgebilde aus Papier und Polymerfilm
CH516203A (fr) * 1969-11-03 1971-11-30 Rene Durand Jean Etiquette à couches multiples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3854581A (en) * 1972-04-10 1974-12-17 Monarch Marking Systems Inc Pressure-sensitive material and supporting material combination
US3925584A (en) * 1972-08-24 1975-12-09 Daiichi Seiyaku Co Adhesive seal and tape for sealing
DE2239652C3 (de) * 1972-08-29 1980-10-02 Daiichi Seiyaku Co. Ltd., Tokio Klebzettel oder Klebband für Verpackungszwecke
GB1473491A (en) * 1974-04-04 1977-05-11 Sterling Labelling Systems Ltd Self-adhesive label
JPS5273698A (en) * 1975-12-15 1977-06-20 Tokyo Electric Co Ltd Method for preventing exchange of price labels
DE2613131C2 (de) * 1976-03-27 1984-05-17 Karl Dr. 2320 Plön Schröder Folienkennzeichen für Kraftfahrzeuge
US4082873A (en) * 1976-11-02 1978-04-04 Monarch Marking Systems, Inc. Switch-proof label
US4121003A (en) * 1977-04-22 1978-10-17 Monarch Marking Systems, Inc. Tamper indicating labels
US4345393A (en) * 1977-09-26 1982-08-24 General Foods Corporation Peelable on-package coupon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4184701A (en) * 1978-02-10 1980-01-22 Monarch Marking Systems, Inc. Tamper proof label
GB1562680A (en) * 1978-03-23 1980-03-12 Link Stick Ltd Doublesided self-adhesive sheet
US4230753A (en) * 1978-07-07 1980-10-28 Stauffer Chemical Company Pressure sensitive composite article
US4526405A (en) * 1982-12-17 1985-07-02 Graphic Resources, Inc. Label structure
DE3431239A1 (de) * 1984-01-25 1985-07-25 Zweckform Werk Gmbh, 8150 Holzkirchen Sicherheitsetikett zum nachweis des unbefugten oeffnens einer verpackung
GB2154506B (en) * 1984-02-20 1988-02-24 David John Instance Labels and manufacture thereof
US4608288A (en) * 1984-08-21 1986-08-26 Joachim Dudzik Tamper proof label or seal
JPH05273698A (ja) * 1992-03-27 1993-10-22 Mitsubishi Paper Mills Ltd 写真用支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67829A (en) 1990-04-17
KR860003572A (ko) 1986-05-26
GB2167008B (en) 1988-11-16
GB2167008A (en) 1986-05-21
GB8524031D0 (en) 1985-11-06
BE903343A (fr) 1986-01-16
US4826213A (en) 1989-05-02
US4763931A (en) 1988-08-16
NL8502671A (nl) 1986-05-01
DE3534557A1 (de) 1986-04-17
FR2597405A1 (fr) 1987-10-23
CN85107355A (zh) 198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291B1 (ko)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KR890005290B1 (ko) 재부착 방지용 부착물
US4746556A (en) Easily breakable sticking material
JP3690673B2 (ja) 改ざん防止ラベル及び改ざん防止ラベルの製造方法
CN113557200A (zh) 具有掩蔽元件的可再密封标签和具有可再密封标签的包装膜
JP2000155527A (ja) 開封確認用ラベル
JP2584432B2 (ja) 貼り替え防止用ラベルの製法
AU643471B2 (en) Novel tamper evident closure
JPH0664413B2 (ja) 再使用防止型ラベル
JPS61226783A (ja) 易破壊性貼着材
JPH0516593B2 (ko)
JPH0580676B2 (ko)
JPS6183577A (ja) 貼り替え防止用ラベルの製法
JPS6183578A (ja) 貼り替え防止用ラベル
JPH0430618Y2 (ko)
JPS61186983A (ja) 再使用防止型ラベルの製法
JPH0464070B2 (ko)
JPS61186985A (ja) 再使用防止型ラベル
JPH0464071B2 (ko)
JPH0734145B2 (ja) 表示用ラベル
JPS61226785A (ja) 易破壊性貼着材
JPH0549115B2 (ko)
JPH0550750B2 (ko)
JPH02197887A (ja) 貼り替え防止用ラベル
JPH0670735B2 (ja) 再使用防止型ラベル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