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620B1 -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620B1
KR890003620B1 KR1019860010427A KR860010427A KR890003620B1 KR 890003620 B1 KR890003620 B1 KR 890003620B1 KR 1019860010427 A KR1019860010427 A KR 1019860010427A KR 860010427 A KR860010427 A KR 860010427A KR 890003620 B1 KR890003620 B1 KR 890003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ub
bracket
spoke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860A (ko
Inventor
히데노리 구라다
요시노리 아끼야마
Original Assignee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구메 유다까 filed Critical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83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조립상태에 있는 제1도에 도시한 코어구조의 부분단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동작을 설명하기위한 제1도에 도시한 코어구조의 부분단면도.
제6도는 종래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의 부분분해도.
제7도는 조립상태에 있는 제6도에 도시한 코어구조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샤프트 3 : 너트
4 : 핸들코어 5 : 허브코어
7 : 스포크코어 9 : 허브브래킷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휘일에 관한것으로, 특히 스티어링휘일의 보강용 코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휘일코어구조의 일예로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것과 같은것이있다. 이 코어구조를 스티어링샤프트(101)의 일단에 삽입되어 너트(103)에 의해 고정된 금속제 허브코어(105)와, 이 허브코어(105)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05a)와, 플랜지(105a)의 이면측에 이산화탄소용접(A)에 의해 고착된 금속제 스포크코어(107)와, 플랜지(105a)의 표면측에 프로젝션용접(B)에 의해 고착된 금속제허브브래킷(109)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코어구조에 의하면, 스포크코어(107), 용접부(A) 및 허브코어(105)를 통하여 스티어링샤프트(101)로 토오크를 전달할수 있고, 또 허브브랫킷(109)은 혼스프링, 패드등을 허브코어(105)상에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차량의 주행진동등에 의하여 스포크코어(107)와 허브코어(105)간의 이산화탄소용접 A부 및 허브코어(105)와 허브브래킷(109)간의 프로젝션용접 B부가 파손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기 때문에 상기 이산화탄소용접 A와 프로젝션 B를 확실히 행할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산화탄소용접 A 및 프로젝션용접 B를 매우조심스럽게 오랜시간에 걸쳐서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결과 작업능률이 저하하여 제조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프로젝션용접 A를 견거하게하기 위하여 허브코어(105)에 플랜지를 형성시켜야하고, 이로인해 허브코어(105)의 중량의 무거워져서 차량의 연료소모량에 약영향을 미칠뿐만아니라 스티어링휘일의 진동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샤프트의 일단에 착설되는 허브코어과, 원형핸들코어와, 이 핸들코어와 허브코어를 연결하는 스포크코오와, 허브코어의 축방향단부에 착설되는 허브브래킷으로 구성된 신규의 스티어링휘일 코어구조가 제공된다.
허브코어는 그 단면형상이 다각형으로 되어있고,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쌍의 외주면을 가짐과 동시에 그 축방향 단부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포크코어는 허브코어의 외주면과 계합하여 당해 허브코어를 체결하는 U-형부와, 스티어링샤프트의 중앙부의 축방향 양단에서 기립해있는 한쌍의 기립주와, 이 기립부와 핸들코어사이에 뻗어있는 한쌍의 반경방향부로 구성된다.
허브브래킷은 단편으로 되어있으며, 허브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부착되어서 허브브래킷과 허부코어간의 상대적인 회전을방지할 수 있도록 허부코어의 절결부에 계합되는 핑거를 가진 베이스부와, 스포크코어의 기립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기립수단과, 스포크코어가 스티어링샤프트의 축방향운동을 통하여 허브브래킷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소하는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포크코어와 허브코어간의 용접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스티이링휘일로부터 스티어링샤프트로 토오크를 전달할수 있는 신규의 차량용 스티어링 휘일코어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것에 비하여 허브브래킷과 허브코어간의 용접공정을 간략화할수 있는 상술한 특성을 가진 신규의 스티어링휘일 코어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작업시간을 단축시켜서 저렴한 제조가격으로 생산이 가능한 상술한 특징으로 가진 신규의 스티어링휘일코어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중량이 가볍고, 차량의 연료소모량을 개선할수 있으며, 종래기술에서 문제로 되었던 스티어링샤프트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상술한 특징을 가진 신규의 스트어링휘일코어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티어링휘일코어구조는 스티어링샤프트(1)의 일단에 삽입되어 너트(3)에 의해 고정된 허브코어(5)와, 원형핸들코어(4)와, 이 원형핸들코어(4)와 허브코어(5)사이에서 프로젝션용접 B에 의해 허브코어(5)에 접합된 스포크코어(7)와, 프로젝션 용접 B에 의해 허브코어(5)의 축방향 일단에 고정된 허브브래킷(9)으로 구성된다.
특히, 허브코어(5)는 그 단면형상이 다각형, 예를들면 육각형인것으로, 그 외주면이 확대단부(5b)를 가지는 계단으로 되어 있고, 당해확대단부(5b)의 대향단부에는 외주절결부(5c)가 형성되어 있다.
스포크코어(7)에는 단편금속편으로 된것으로,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허브코어(5)의 한쌍의 평행한 외주면(5a)(5a)에 당접하여 당해허브코어(5)를 견고히 고정하는 U-형중앙부(7a)와, 이 중앙부(7a)의 축방향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즉 스티어링샤프트(1)의 축방향으로 기접하는 한쌍의 기립부(7b)(7b)와, 이 기립부(7b)(7b)와 핸들코어(4)사이에 뻗어있는 한쌍의 반경방향부(7c)(7c)로 구성된다. 반경반향부(7c)(7c)는 중앙부(7a)가 놓여있는 평면으로부터 기립부(7b)의 길이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옵세트된 평면상에 놓여있다. 스포크코어(7)는 사각형단면을 가진 중앙부(7a)를 제외하고는 원형단면을 가진다.
허브브래킷(9)은 단편금속판으로 성형한 것으로, 상술한 허브코어(5)의 축방향일단에 부착되어서 당해허브코어(5)의 외주절결부(5)와 당접하는 핑거(9a)가 형성된대략 사각형의 평탄한 기부(9g)와, 이 기부(9g)의 공통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즉 스티어링샤프트(1)의 축방향으로 기립하여 그것의 각 세로단부에 인접해서 위치하는 한쌍의 기립부(9c)(9c)와, 이 기립부(9c)(9c)로부터 기부(9g)와 동일한 방향으로 그것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어있는 한쌍의 세장형나팔접촉부(9d)와, 기부(g)와 동일평면상에 놓이도록 기부(9g)의 세로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세장형 헤브커버장착부(9e)로 구성된다. 허브브래킷(9)의 기립부(9c)(9c)는 스포크코어(7)의 기립부(7b)(7b)에 근접해서 위치하여 스포크코어(7)의 기접부(7b)(7b)가 기부(9g)를 지나서 돌출할수 있도록 상술한기부(9g)의 단부에 노치부를 형성시키는 한편 스포크코어(7)의 기립부가 수용될 공간을 제공한다.
나팔접촉부(9d)(9d)와 허브커버장착부(9e)(9e)는 그들사이에 스포크코어(7)의 반경방향부(7c)(7c)를 파지하여 스포크코어(7)의 운동을 허브브래킷(9)으로부터 이탈해서 떨어지는 방향으로만 한정한다. 또, 허브브래킷(9)은 복수의 나팔스프링장착부(9f)를 가진다.
조립시에 있어서, 스포크코어(7)는 프로젝션용접 B에 의해 허브코어(5)에 고정되므로써 스포크코어(7)의 중앙부(7a)가 허브코어(5)의 평행대향면(5a)(5a)과 접촉하여 그것을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체결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허브브래킷(9)은 프로젝션용접 B에 의해 허브코어(5)에 고정되므로써 그 핑거(9a)가 허부코어(5)의 외주절결부(5c)에 계합하여 스포크코어(7)의 기립부(7b)(7b)를 공간(9b)(9b)내에 수용하는 한편 반경방향부(7c)(7c)를 나팔접촉부(9d)(9d)와 허브커버장착부(9e)(9e)사이에 유지시킨다. 핸들코어(4)는 원형단면의 금속봉으로 제작하여 종래의 용접방법에 의해 스포크코어(7)의 축방향양단에 고정된다.
작동에 있어서, 허브코어(5)와 스포크코어(7)간의 프로젝션용접 B에 의한 용접부가 파손될 경우에는, 스티어링샤프트(1)의 축을 중심으로한 허브코어(5)와 스포크코어(7)간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방지되고, 이때 스포크코어(7)의 U-형중앙부(7a)는 허브코어(5)의 평행대향면과 당접하여 그것을 제3도에 도시한 것과같이 견고히 파지하게되므로 스티어링휘일로부터 스티어링샤프트(1)로서 토오크전달이 유지된다. 더우기, 스포크코어(7)의 기립부(7b)(7b)는 허브브래킷(5)의 기립부(9c)(9c)에 근접해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것과 계합하고있기 때문에, 스티어링샤프트(1)를 중심으로한 스포트코어(7)와 허브코어(5)간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은 더욱 방지된다. 한편, 스포크코어(7)는, 허브코어(5)의 확대단부와 허브브래킷(9)의 기부(9g)사이에 협지됨과 동시에, 나팔접촉부(9d)(9d)와 허브커버장착부(9e)(9e)사이의 반경방향부(7c)(7c)에 제2도에 도시한 것과같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스티어링샤프트(1)의 축방향운동에 의해 허브코어(5) 및 허브브래킷(9)으로부터 이탈된 염려가 전혀없다.
프로젝션용접 B에 의한 허브코어(5)와 허브브래킷(9)사이의 용접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허브브래킷(9)은 핑거(9a)에서 허브코어(5)의 외주절결부(5c)에 계합되어있기 때문에 그것이허브코어(5)에 대하여 스티어링샤프트(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은 방지된다. 또, 허브브래킷(9)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너트(3)에 의해 스티어링샤프트(1)에 고정되므로, 그것이 스티어링샤프트(1)의 축방향운동에 의하여 허브코어(5)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방지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모든 용접부가 파손된 경우에도 스티어링휘일로부터 스티어링샤프트의 토오크전달이 가능하고, 이 때문에, 스포크코어(7) 및 허브브래킷(9)과 허브코어(5)간의 용접공정을 간략화할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단축할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가격의 저감을 도모할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허브코어(5)는 일체형플랜지를 필요로 하지않기 때문에, 허브코어(5)의 제조공정으로 간략화할수 있음과 동시에, 허브코어(5)의 중량도 경감할수 있고, 그 결과 연료소모량을 개선할수 있을뿐만아니라 스티어링샤프트(1)의 진동을 방지할수 있다.

Claims (8)

  1. 스티어링샤프트의 일단에 착설되는 것으로 그 단면형상이 한쌍의 직경방향 대향외주면을 가지도록 다각형으로 되어있고 그 축방향단부에는 외주절결부가 형성된 허부코어와 : 원형핸들코어와 : 상기 핸들코어와 상기 허브코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허브코어의 외주면에 계합하여 당해 허브코어를 파지하는 U형중앙부, 스티어링샤프트의 U형중앙부의 각 축방향단부에서 기립하는 한쌍의 기립부, 및 상기 기립부와 상기 핸들코어 사이에 뻗어있는 한쌍의 반경방향부를 가진 스포크코어와 : 상기 허브코어의 축방향단부에 착설되는 것으로, 단편부재로 되어있고, 상기 허브코어의 축방향단부에서 당해 허브코어의 외주절결부에 계합하여 허브브래킷과 상기 허브코어간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방지하도록 핑거가 형성된 기부, 상기 스포크코어의 기립부가 수용될 공간을 구획하는 기립수단, 및 상기 스포크코어가 스티어링샤프트의 축방향운동에 의해 허브브래킷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수단으로 구성된 허브브래킷을 구비하여서된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트코어는 상기 중앙부에서 프로젝션용접에 의해 상기 허브코어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허브브래킷은 상기 기부에서 프로젝션용접에 의해 상기 허브코어의 축방향 단부에 고정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코어의 외주면은 서로 평행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브래킷의 기부는 상기 허브브래킷과 상기 허브코어를 상기 너트로 스티어링샤프트에 고정하므로써 상기 허브코어의 축방향단부와 너트사이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크코어는 사각형단면을 가진 상기 중앙부를 제외하면 거의 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단편금속봉으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코어는 그 외주면에 계단부를 가공하여 상기 외주절결부를 가진 상기 단부에 대향하는 확대단부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써, 상기 스포크코어의 중앙부를 상기 허브코어의 확대 단부와 상기 허브브래킷사이에 협지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브래킷은 단편금속판으로 되어있고, 그 기부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탄한면을 가지며, 상기 기립수단은 상기 기부의 공통단부로부터 연장되어서 그 단부에 상기 스포크코어의 기립부가 상기 기부를 지나서 돌출하기 위한 노치부를 제공하는 한쌍의 기립부로 구성되고, 상기 허브브래킷의 기립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세로방향단부에 근접해서 위치하고, 상기 스톱포수단은 상기 허브브래킷의 기립부로부터 상기 기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그것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쌍의 세장형 나팔기립부와, 상기 기부와 동일한 평면상에 높이도록 상기 기부의각 세로방향단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나팔접촉부와의 사이에 상기 스포크코어의 반경방향부를 협지하는 한쌍의 세장형 허브커버장착부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의 코어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브래킷의 기립부는 상기 스포크코어의 기립부에 근접하여 위치에서 스티어링샤프트를 축으로한 상기 스포크코어와 상기 허브코어간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방지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KR1019860010427A 1985-12-09 1986-12-06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KR890003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74999 1985-12-09
JP60274999A JPS62134370A (ja) 1985-12-09 1985-12-09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芯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860A KR870005860A (ko) 1987-07-07
KR890003620B1 true KR890003620B1 (ko) 1989-09-28

Family

ID=17549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427A KR890003620B1 (ko) 1985-12-09 1986-12-06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59231A (ko)
JP (1) JPS62134370A (ko)
KR (1) KR8900036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598A (en) * 1986-11-05 1989-04-1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teering wheel core material
US5544545A (en) * 1994-02-22 1996-08-13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teering wheel with tapered hub sleeve
CN112208620A (zh) * 2020-10-15 2021-01-12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转向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0265A (en) * 1929-04-10 1932-03-22 Taylor Shantz Company Moving picture reel construction
FR985008A (fr) * 1949-02-15 1951-07-13 Perfectionnements aux volants de direction
FR1151080A (fr) * 1956-05-30 1958-01-23 Armature métallique pour volants de direction en matière plastique et à bras unique et volant en comportant application
GB1449463A (en) * 1973-02-21 1976-09-15 Creators Ltd Steering wheels for vehicles
US4018537A (en) * 1975-05-15 1977-04-19 Whitey Research Tool Co. Operating handle
JPS5844507B2 (ja) * 1978-12-20 1983-10-04 豊田合成株式会社 ハンドル芯金
FR2446211A1 (fr) * 1979-01-12 1980-08-08 Reydel Anc Ets Volant de direction pour vehicules
JPS5929566A (ja) * 1982-08-12 1984-02-16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59100056A (ja) * 1982-11-30 1984-06-09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59100055A (ja) * 1982-11-30 1984-06-09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59102657A (ja) * 1982-12-01 1984-06-13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59120565A (ja) * 1982-12-27 1984-07-12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芯材
JPS59184059A (ja) * 1983-03-31 1984-10-19 Nhk Spring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芯金
JPS59192668A (ja) * 1983-04-16 1984-11-01 Tokyo Seat Kk 車輌用ハンドル
JPS6020456U (ja) * 1983-07-20 1985-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ネルギ−吸収ステアリングホイ−ル
DE3400609A1 (de) * 1983-08-06 1985-02-14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Anordnung zur befestigung der lenkradnabe auf einer lenksaeule
JPS6089072U (ja) * 1983-11-25 1985-06-18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ル
US4606240A (en) * 1984-06-11 1986-08-19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JPS6164581A (ja) * 1984-09-06 1986-04-02 Toyota Motor Corp 繊維強化樹脂製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61181772A (ja) * 1984-10-09 1986-08-14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ル芯金
ES284488Y (es) * 1985-02-08 1986-05-01 Gras Tous Luis Armadura de seguridad aligerada perfeccionada para volantes de direcc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34370A (ja) 1987-06-17
US4759231A (en) 1988-07-26
KR870005860A (ko) 198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7211A1 (en) Flexible plate for transmitting torque
KR940004235A (ko) 풀리 결합장치
JPH0556405B2 (ko)
KR890003620B1 (ko) 스티어링휘일의 코어구조
KR960034787A (ko) 코일 스프링과 댐퍼장치
JPS6212345A (ja) 電動機取り付け集合体及び取り付け方法
JP3160165B2 (ja) 車両用ドライブプレート
EP0082997A1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combination switch unit to a steering column
US20050257943A1 (en) Handle joined of two sections for a hand held engine powered tool
JPH0768982B2 (ja) クラッチカバー及び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JPH0819956B2 (ja) クラツチデイスク
US4586397A (en) Steering wheel device
WO1989010503A1 (en) Damper disc
JP2005516833A (ja)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ウインドゥワイパ装置
KR20000064855A (ko) 자동차용 드라이브 플레이트
JPS6343863A (ja) 車両ステアリングコラムにおいてトルクを取上げる連結組立体
JPH0652088B2 (ja) クラツチデイスク
JP2021166451A (ja) 回転電機および車両の車輪操舵システム
JPH03194239A (ja) トーショナルダンパー
JPH09240307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軸変位吸収型ドライブプレート装置
JP2536891B2 (ja) 電磁弁
JPS6236682Y2 (ko)
KR830002950Y1 (ko) 승용차용 스포크(Spoke)
JPH11303940A (ja) 捩り振動低減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JPH02237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