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929B1 -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섬유기계 부품 - Google Patents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섬유기계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929B1
KR890001929B1 KR1019860002840A KR860002840A KR890001929B1 KR 890001929 B1 KR890001929 B1 KR 890001929B1 KR 1019860002840 A KR1019860002840 A KR 1019860002840A KR 860002840 A KR860002840 A KR 860002840A KR 890001929 B1 KR890001929 B1 KR 89000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layer
loom
machine part
inclin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311A (ko
Inventor
다가시 이시이
하지메 고하마
히사오 야베
아끼라 야노
신스게 노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야노 고오사구쇼
가부시기가이샤 노도시찌
야노 세이이찌
신스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82057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52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43295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57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87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3443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0085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6076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0085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62960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가부시기가이샤 야노 고오사구쇼, 가부시기가이샤 노도시찌, 야노 세이이찌, 신스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도시바
Publication of KR86000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60Construction or operation of slay
    • D03D49/62Reeds mounted on slay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4Metal 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5/00Needles
    • D05B85/12Coated nee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10T428/24306Diamond or hexago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10T428/24314Slit or elong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36Including interfacial reaction product of adjacent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섬유기계 부품
제 1 도는 직기의 구성을 표시한 개략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면도.
제 3 도는 히일드의 무시도.
제 4 도는 바디의 구성을 표시한 개략도.
제 5 도는 제 4 도의내 A-A선 단면도.
제 6 도는 물분무식 직기의 보조노즐을 표시한 도면.
제 7 도는 제 6 도의 측면도.
제 8 도는 고정리드가이드를 구비한 직기의 구성을 표시한 개략도.
제 9 도는 제 8 도의 측면도.
제10도는 고정리드가이드의 임예시도.
제11도는 2개의 고정리드가이드를 구비한 직기의 구성을 표시한 개략도.
제12도는 고정리드 가이드의 타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가늘고 긴 섬유질체, 예를들면 실다발 또는 실과접촉하는 내마모성표면을 갖는 기계부품, 특히 섬유기계부품에 관한 것이다.
섬유기계, 예컨대 방적기계, 직기, 편기, 편조기, 재봉기등에는 주행하는 실과 접촉하는 많은 부품이 존재한다.
근래 실의 강도 및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와 접촉하는 부품의 마모가 큰 문제로 되어 있다.
이하 그 문제에 대하여 직기를 예로하여 설명하면, 직기는 경사와 위사를 각각 상호 조합하여 천을 짜는 것이고 통상의 직기로서 제 1 도에 표시한 구성을 갖게된다.
제 1 도에 표시한 기계에있어서 경사(a)의 이동방향을 따라 히일드(Heald)(1)및 바디(2)가 설치되었다.
히일드(1)은 복수본의 경사(a)에 각각 대응하여 경사(a)의 이동방향에 수직의 방향으로 복수개 병설되어있다.
히일드(1)은 일반적으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형상및 구조를 갖고있고, 중앙부에 경사를 통하게하기 위한 구명(11)및 양단부에 히일드바(도시없음)를 통하게 하기위한 취부공(12)가 형성되어있다. 다수평행으로 배치된 히일드(1)는, 취부공(12)에 통하여진 히일드바를 통하여 프레임에 취부되고 도시없는 기구에 의한 프레임이 상, 하등 하면서 일체가 되어 이에 따라 경사(a)를 상, 하동시킨다.
바디(2)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다수 예를들면 3000개의 바디날(3)을 소정의 간격으로 빗살과 같이 나란히하여 장방형의 프레임(21)에 고정시켜져 있다.
각 바디날(3) 사이에는 경사(a)가 1본식 통하여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바디(2)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요동시킴으로사 위사(b)를 경사(a)의 이동방향에 밀어끼워서 천의 짜임목을 정리하는 동작을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도시얹는 권출기구에서 공급되는 다수본의 정사(a)는, 권취기구에 의하여 권취되면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도중에 경사(a)는 각 히일드(1)의 구멍(11), 및 바디(2)의 각 바디날 사이에 통해져있다. 그리고 히일드(1)의 상하동에 의하여, 경사(a)는 상하동한다.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1본을 두고 반수식 경사(a1)및 (a2)가 상방 및 하방의 위치에있을때, 그들 사이를 횡입(橫入)장치(4)에서 공급된 위사(b)가 통한후 바디(2)는 경사(a)의 이동방향에 요동하여 위사(b)를 밀어끼운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천(c)을 짜게된다.
위사(b)의 공급은 유체분사식 직기의 경우에는, 직기의 측부에 형성된 메인노즐(4)에서 분사되는 유체젯트에 위사(b)를 태워서 반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유체젯트는, 메인노즐(4)에서 떨어짐에 따라서 압력이 저하하고, 반송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 6 도및 제 7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위사(b)의 반송방향에 소정의 간격에 복수의 보조노즐(31)을 배설하고, 이들 각 보조노즐(31)에서 유체젯트에 의하여 반송되고있는 위사(b)를 향하여 하방에서 압력유체를 분사하여 위사(b)를 향하여 하방에서 압력유체를 분사하여 위사(b)를 지지함으로서, 유체젯트의 반송력을 보충한다.
이상 설명한 직기의 부품인 히일드, 바디, 보조노즐은 통상 탄소강이나 스텐레스강과 같은 철제금속에 의하여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은 각 문제점을 안고있다.
먼저 히일드(1)는 프레임과같이 상하동할때, 히일드(1)의 양단부에 형성된 취부공부(12)와 금속제의 히일드바와 미끄럼 접촉하며 또 중앙부에 형성된 구명(11)의 내면과 종사(a)등이 미끄럼 접촉한다. 때문에 히일드(1)의 취부공(12)은 히일드바와의 마찰에 의하여 심한 마모를 하여 결국은 파손하여 히일드(1)이 히일드바에서 벗어나기도 한다.
또, 히일드의 구명(11)은 이곳을 통하는 경사(a)와의 마찰로 표면에 상처를 입어 이 상처로 인하여 경사(a)에 보푸라기가 발생하여 천의 품의를 저하하게 된다.
또 물 분사식의 직기의 경우에는 위사(b)의 반송에 사용되는 물젯트(천연수)의 비말(飛沫)이 히일드(1)의 표면에 부착하여 물 젯트중에 포함되는 이물이 히일드를 수성하는 금속과 반응하여 히일드 표면에 이물증이 형성한다.
'이 이물층에 의하여 구멍(11)을 통과하는 경사(a)가 보푸라기가 생길뿐 아니라, 이물층의 형성으로 히일드(1)의 살이 두터워짐으로서 인접한 히일드(1)끼리 접촉하여 히일드의 동작을 저해하는 원인이되기도한다.
그림으로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를 대처하기위하여 히일드와 히일드바 및 경사와의 마찰에 의한 히일드의 표면마모를 방지하며 히일드 표면에의 이물층의 형성을 방지하기위하여 히일드 표면에 히일드와는 상이한 제질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있다.
히일드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층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요구가 이루어지고있다. 먼저 히일드바 및 경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에 충분히 견뎌낼수있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이다. 또 이러한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지면서 그 두께도 얇고, 히일드 표면에 진고하게 형성할수있는 것이다. 표면층의 형서에 잇어서는 히일드자체의 성질을 일등화시킴이 없을뿐 아니라, 표면층 형성후의 연마가공동의 마무리 가공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히일드는 대단히 사이즈가 작기때문에 표면층의 마무리 가공이 매우 귀찮기 때문이다.
바디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같다고 할수있고, 경사와의 마찰에 의한 바디날 표면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바디날 표면에 상이한 제질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것도 시도되고 있다.
바디날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층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요구가 이루어지고있다. 먼저 표면층은 경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에 충분히 견딜수 있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이다.또 바디날은 경사의 운동에 추종하는 것이어서 이것의 됨됨에서 벗겨지지않도록 표면층은 바디날 표면에 견고하게 밀착시켜져 있음이 필요하다. 또 바디날간의 간격이 극히 좁음으로 표면층의 두께가 얇은 것이 요망된다.
유체분사식 직기에 사용되는 보조노즐에 대하여도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제 6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조노줄(31)은, 정해진 위치에있어서 정사(a)의 폐구시에는 경사(a)의 아래에 위치하고, 경사(a)는 개구하는데 따라 원호상으로 동작하여 제6도 및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경사(a)사이에 위치하고 위사(b)에 압력유체를 분사한다. 이때 보조노줄(31)과 종사(a)와의 상대운동시에, 노줄(31)이 경사(a)에 걸리면, 경사(a)보푸라기가 발생하여 짜여진 천의 품의를 저하한다. 따라서 보조노줄(31)은경사(a)와 접촉했을때에 경사(a)에 걸리지않고 미끄러지도록 미끄럼 양호한 면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또 보조노줄(31)의 표면은 경사(a)와의 마찰에 의하여 마모함으로 이 마찰에 견딜수있는 내마모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그림으로 최근에는히일드나 바디날과같이 보조노줄에 있어서도 상술한 문제에 대처하여, 보조노줄의 표면이 경사와 접촉한때의 경사의 걸림을 없애고 겸하여 경사와의 마찰에이한 보조노줄의 마모를 방지하기위해 보조노줄의 표면에 상이한 제질의 표면응을 형성하는 것이시도되고있다.
보조노줄 표면에 형성되는 표면층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요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경사와 접촉했을때에, 정이 그 표면을 미끄러지도록 미끄럼성을 가질것 및 경사와의 마모에 충분히 견딜수 있는 내맘모성을 갖는 것이다. 또 보조노줄 표면에견고하게 형성할수있고 그 형성할수있고 그 형성에 있어서는 보조노즐의 재질을 열화 함이없이 또 형성후에 연마가공등의 마무리 가공이 불필요한 것 등이다.
이상 설명한 히일드, 바디날 및 보조노즐 이외에, 직기는 경사나 위사와 미끄럼 접촉하는 많은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부품으로서 텐숀로울러(Tension Roller), 매저링로울러(Majoring, Roller), 얀 훅크(Yarn hook), 니들(Needle)등을 들수 있다. 예를들면 텐숀로울러는, 2장의 디스크 사이에 실을 집어실에 적당한 장력을 주는것이고, 매저링 로울러는 직폭이 맞춘 위사를 저류(貯留)하는 것이며, 얀 혹크는 실을 걸어서 지지 하는 것이며, 니들은 실을 짜가기 위한 침상의 부재이다. 통상 이들 부품은 철재재료로 형성되어있다.
이들 부품은, 그사용에 있어서 다음과같은 문제를 갖고있다. 즉, 이들 부품은 경사 또는 위사의 미끄럼성이 접촉하면서 동작하기 때문에 경사 또는 위사의 미끄럼성이 좋지않으면 실에 보푸라기가 발생하면 짜여진 천의 품의가 손상된다. 따라서 이들 부품에 대하여서는, 실과 미끄럼 접촉했을때 에 실이 걸림이 없이 양호하게 미끄러지도록 미끄럼이 우수한 면임을요구하게된다. 또 부품의 표면은 실과의 미끄럼 접촉으로 마모함으로 이 마모에 대응할 내마모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들 각 부품에 있어서도 상술한 문제에 대처하여 실과의 미끄럼 접촉에있어 실의 보푸라기를 없게하고 천의 품위저하 방지를 위하여 부품의 표면에 부품과는 상이한 제질의 표면층을 형성함을 시도 하고있다.
이들 부품에 형성되는 표면층에 대하여는 다음과 같은 요구가 이루어지고있다. 즉 부품이 실과 접촉할때에 실이 부품표면을 양호하게 미끄럼 평활성 또는 미끄럼성을 갖는 것이다.또 실과의 미끄럼 접촉에 감내할수있는 내마모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부품 표면에 견고하게 형성할수있고 그 형성에 있어서는 부품의 재질을 일등화시킴이 없이 형성후에 연마가공등의 마무리 가공이 필요없는것, 또는 크기형상이 작고,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것이라해도 용이하게 형성할수있는 것 등이다.
이상 설명한 히일드, 바디날, 보조노즐 및 기타의 부품의 표면에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a)경질 크롬도금법, (b)PVD(물리증착)법, (c)용사법 (d)CVD(화학증착)법등이 시도되고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모두 다음과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바디날 표면에의 표면층 형성의 경우를 에로하여 이하 설명한다. (a)경질 크롬도금법에 의하여 형성된 막은 내마모성에 대하여는 좋으나, 내약품성에 약하다는 결정이었다. 경사표면에는, 이들 포합(抱合)력을 높이기 위하여 기름(油)이 도포되어있으나, 이 기름으로 인하여 바디날표면의 막이 침식되는 경우가잇다. (b)PVD법으로서 증착법이있으나, 예컨데 바디날표면에 탄화치탄을 증착한 경우, 형성된 탄화치탄은 바디날과의 밀착성이 불량하고 바디날의 사정에 따라 벗겨지기 쉽다. 또 증착공정에있어서 증착원에 대하여 안쪽이되는 부분에는 막 형성이 어렵고, 따라서 균일한 막을 얻기 힘들다. (C)응사법에 의하여 예 : 탄화텡그스텐막을 바디날표면에 피복한 경우, 막 표면의 인마가공이 필요하다. 그러나 응사법에 의하여 형성된 막은 극히 굳어서 바디날은 매우 가늘기 때문에 그러한 연마 가공은 곤란하다. (d)CVD법에 의하여 예 : 탄화치탄막등을 형성하는 경우, 700-1,200℃의 고온이 필요하나, 이러한 고온하에서는 바디날의 탄성이 저하하고만다.
이상의 (a)-(b)의 방법에의하여 히일드, 보조노즐, 기타의 부품의 표면에 막을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형성된 막은 각각에 요구되는 조건을 만족시킬수가없고 따라서 실용화에 이르지못하고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대단히 얇으면서도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할뿐 아니라 기체와의 밀착성이 양호함과 동시에 기체의 하자없이 용이하게 형성가능한 표면층을 갖는 가늘고 긴 섬유질체와 접촉하는 기계부품을 제공함에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철제금속으로된 기체와 그 표면에 형성된 산화크롬(cr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으로 된가늘고 긴 섬유질체와 접촉할 직기부품을 제공한다. 상기산화크롬(cr2o3)은 크롬화합물의 가일에 의한 변환물질이고, 상기표면층과 기체와의 계면에는 상기 표면층증의 산화크롬과 상기 기체와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중간층이 개제한다.
본 발명의 기계부품은, 가늘고 긴 섬유질체와 접촉하는 여러가지의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히일드, 바디, 보조노즐, 텐손로울러, 매저링로울러, 얀훅크, 니들 및 기타의 안내부재등의 직기부품이다.
본 발명의 기계부품과 접촉하는 가늘고 긴 섬유질체는, 천연섬유, 무기섬유, 합성섬유, 그레스화이버등의 섬유물질로 된 얀, 스트랜드,슬렛드이다.
본 발명의 기계부품의 기본은, 철제금속 예컨대 탄소강, 스텐레스강, 기타 각종의 철제합금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계부품에있어서 기체의 표면에 형성된 표면층은 크롬화합물에서 가일에 의하여 변환된 산화크롬(cr2o3)입자 서로가 견고하게 결합한 치밀한 조직을가지며, 팽활성과 내마모성에 우수한 것이다.즉 이 표면층은 석출(析出)할 cr2o3계 세라믹의 입경이 극히 미세 (1μm이하)하기 때문에 기공이 대체로 없는 치밀하고 팽활한 층이며, 또얇게 형성할수있어 기체의 특성(탄성등)을 유효하게 살릴수가있다. 또 이 표면층은, 정도도 충분하고 빅커스정도(HV)로 500이상의 것을 얻을수있다.또 이표면층은, 기체와의 경계에 기체와 산화크롬과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한 중간층으로 갖고있어서 기체에 대하여 큰 접합강도(500kgf/㎠이상)로 접합하고, 모재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중간층의 두께는 예 : 0.5-3.0μm이다.또 이 표면층은 내식성에 우수함과 동시에, 이물을 배제하는 성질 내약품성에도 우수하다.
표면층에 크롬산화물(cr2o3)을사용하는것은, 정도의 향상과 마찰제수를 저하시키기위해서이다.
이러한 표면층을 갖는 부품은 다음에 설명하는 제도방법에 의하여제조 한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먼저기체의 표면에 도포난 침지등의 수단으로 크롬화합물 용액 예 : CrO3수용액을 부착시킨다. 이어서 Cro3엑을 부착한 기체를 온도 500-600℃(바람직하기는 550℃ 부근)로 소부하여 반응처리를하고, 기체 표면부에 Cr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형성한다.소성온도를 500-600℃로 하는것은 CrO3를 Cr2O3로 변화시키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이부착공정과 소부공정을 조합하여 1사이클 하여 복수 사이클로 반복함으로서 기체 표면에 Cr2O3를 주성분으로 하는 치밀하고 견고한 세라믹 코팅층 즉 표면층을 형성한다. 층 두께는 1-50μ이다.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처리를 반복하는 회수에 의하여 조정한다. 부품의 표면층 두께는 1-10μ이바람직하며,2-6μ이 특히 바람직하다.또 소부온도는 500-600℃임으로 모제를 손상시키지않는다.크롬 화합물로서는 CrO3이외에, 가일에 의하여Cr2O3로 변환하는것이면 이러한 것도 무방하며, 예 : NaCr4, 10H2O, Na2Cr2O7, 2H2O, K2CrO4, K2Cr2O7, (NH4)2Cr2O7을 사용할수가있다. 또 수용액의 형태에 한정하지않고, 용응임의 형태로 사용해도 좋다. 용액의 농도는 10-60%가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크롬화합물 용액의 도포 및 가일에의한 Cr2O3를 주체로 하는 층의 형성전의 기체의 표면에, 미리 Al2O3나 SiO2등의 내마모성 입자를 포함한 크롬합물의 도포 및 가일에 의하여 기공질 세라믹층을 형성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내마모성에 우수한 두터운 표면층의 형성이 가능하게된다. 그러나, 이방법은 바디날이나 보조노즐과같은 얇은 표면층을 필요로하는 부품에 적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크롬화합물 용액중에 내마모성 입자를 넣어서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과, 넣지않고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부품의 용도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내마모성 입자를 넣지않는방법이 치밀하고 얇으며 또 팽활한 표면층을 형성하기쉽고 또 처리온도가 낮음으로 부품의 소공내부에도 표면층을 형성하기 쉽다는 이점이었다.
본 발명은 히일드에 적응한 경우, 히일드의 취부공 내면에 내마모성 표면층이 형성되어있어서 히일드 바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적고, 이때문에 히일드바와의 마찰에 의하여 취부공부가 마모하여 파손 히일드바에서 빗어지는 사례가없다. 또 히일드 중앙부의 실 삽릉공예고는, 이부분을 피복하는 팽활한 표면의 존재로 경사의 보푸라기가 대체로 발생하고 있지 않을 뿐 아니라, 표면층은 경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량이 적다. 또 표면층은 위더젯트에 사용되는 물등에 포함되는 이물과의 반응을 거부하는 성질,즉 내식성등의 성질을 갖고있고 이때문에 이물중에 의하여 경사가 보푸라기가 생기거나, 이물층이 인접한 히일드와의 간극을 메워서 히일드의동작을 저해하는 사례도 없다. 따라서 표면층을 가자는 히일드를 사용함에 따라, 경사의 보푸라기가 대부분 없고 품위있는 천을 얻을수가있다. 그리고 표면층은 히일드의 모제를 일등화시킴이 없이 형성할수 있을뿐 아니라, 형성후에 표면층에 대하여 마무리 가공을 할 필요도 없다. 또 표면층은 모제에 대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벗어지는 사례도 있으므로 히일드를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사용할수가있다. 표민층은 얇은층 두께로 형성할수있어 각 히일드의 간극치수를 감소시켜서 히일드의 동작을 저해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을 바디에 적응한 경우, 즉 바디날 표면에 내마모성 표면층을 형성함으로서 바디날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 경사의 보푸라기가 대부분 발생하지않고 품위있는 천을 얻을수가있다. 또 바디날의 표면층은 경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량이적고, 경사에 부착된 유체로부터의 침식도 되지않는다. 또모제와 표면층과의 밀착성도 좋음으로 바디날이 경사의움직임에 추종하여 표면층이 모제에서 벗겨지는 사례도 없다. 따라서 바디날은 장기간에 걸쳐 양호한 상태로사용할수있을뿐아니라, 바디날의 표면층은 얇게 형성할수있어 각 바디날의 간격치수를 감소시키지도않는다.
본 발명을 보조노즐에 적응한 경우, 보조노즐 표면의 표면층은 팽활성 즉 미끄럼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노줄과 경사등이 접촉해도 경사가 표면층 위를 원할하게 미끄러짐으로 노줄이 경사와 걸리는 사례가 없다. 따라서 경사에 보푸라기가 발생하지않고 천의 품위가 높아 진다. 또 표면층은 내마모성에 우수함으로 경사와의 마찰에서 마모도없다. 또 표면층은 내식성에도 우수함으로 분사유체로서 사용되는 물에 의하여 부식하지도않는다. 그리고 표면층은 노줄의 재질을 저하시키지도 않으며 형성후에도 마무리 가공할 필요도없다. 또 표면층과 기체에 대하여 견고하게 결합하여 벗겨지는 사례도 없으므로서 노줄본체를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사용할수가있다.
본 발명을 기타의 직기부품, 예컨대 텐숀로울러, 매저링로울러, 얀 훅크, 니들등에 적응한 경우에있어서도, 부품표면에 형성된 표면층은 팽활성 즉 미끄럼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부품이나 경사 및 위사와 미끄럼 접하여 동작할때에 표면 층이 실과접촉하면 경사가 표면층의를 미끄러져 실에 보푸라기가 발생하지않아 천의 품의를 높여준다. 또 표면층은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실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없으며, 표면층은 내식성에도 우수함으로 직기에 있어서 위사반송용에 체용되고 있는 워터젯트방식에 사용하는 물에 접촉해도 부식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표면층은 부품의 모제가 고온에도 불구하고 모재의 성질을 일등화하지도 않으며, 형성후에 마무리 가공을 할 필요도없다. 더우기 표면층은 모제에 대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박리 하는일이 없이 부품을 장기적으로 양호하게 사용할수있다.
본 발명은 특히 소공을 갖는 부품예컨데 히일드나 보조노줄에 적응한 경우에 아주 적합하다. 종례의 코팅 방법에서는 소공이 폐쇄하거나, 또는 피막이 벗겨지거나, 특히 보조노줄과같은 긴 소공을 갖는 것에서는 내부에의 코팅이 불가능하였다. 긴 소공이란 예 : 소공의 직경보다도 긴 소공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을 직기의 각종 부품에 적용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이 실시에는 본 발명을 히일드에 적응한 예이다. 길이 302mm, 폭2mm, 두께0.3mm의 스텐레스강제의 표면에 침지법에 따라 Cr2O3의 20%수용액을 부착하고, 그후에 온도 약 550℃에서소부를 하고 이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약 15사이를 반복함으로서 상기소재의 표면에 3μ의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하여 표면층을 갖는 히일드를 제작하고 이 히일드의 취부공에 히일드바를 통하여 틀에 취부하였다. 그리고 이 틀체를 직기에 넣어 사용하였다.
또비교에로서 스텐레스강제를 사용하고, 표면처리를 하지 않고 히일드를 제작하고 이 히일드를 직기에 넣어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본 실시에의 히일드를 사용하며, 종례의 히일드에 비하여 경사의 보푸라기의 발생률이 종례에 히일드가 20%인데 대하여 본 실시에의 히일드는 7%로 각별한 감소를 보여주었고, 직물의 품위도 매우 양호하였다. 본 실시에의 히일드는, 네마모성에 우수하여 최초에 설정한 팽활함을 장기간 유지할수있음과 동시에, 이물의 부착을 방지할수있었다.
본 실시예의 히일드는, 경쾌하게 동작함과 동시에, 히일드바를 통하여 취부공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직기의 고속화가 가능하며 직성 능률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의 히일드에 의하면 종례에 비하여 경사의 권량을 대폭 증대할수있음과 동시에 종례의 끝이동과시키는 것으로부터 가볍게 이어주는 것으로 변경이 가능하게 되어 경사교환의 회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경사교환의 노력을감소할수있다.
또 본실시에의 히일드 표면층은, 모제와의 밀착성이 양호하며 히일드의 운동으로 갈라지거나, 벗겨지거나 하지않았으나,또 이 표면층은 극히 얇기 때문에 모제의 강성을 손상하지 않으며, 직조된 직물의 품의, 미려성이 종례의 것 이상이다.
또 본실시에의 히일드는, 실에 부착되어있는 유제로 부식됨도없고 오히려 유제에 의한 미끄럼 상태를 보다 바람직한 상태로하고있었다.
또 본실시에의 히일드는, 표민층 생성공정에서 고은에서도 바래는 실이 없음으로 모재의 일화는 없었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바디의 바디날에 적응한 예이다. 폭 2mm, 두께 0.4mm의 스텐레스강(SUS 430)관게의 표면에 침지법에 의하여 CrO3의 40% 수용액을 부착하고,그후에 온도 약 500℃로 소부를 하고 이 공정을 1사이클로 하여 약 15사이클 반복함으로서 상기관제의 표면에 두께 약 3μ의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하여 표면층을 갖는 바디를 제작하고, 복수개의 바디날을 바디틀에 끼워 바디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바디를 직기에 조립, 사용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스텐레스강(SUS 430)관제를 사용하고, 표면처리를 하지않고 바디날을 제작하였다. 이바디날을 사용하여 바디를 제작하고 이 바디를 직기에 조립하여 사용, 비교하였다.
본 실시에의 바디를 사용하면 종례에 비하여 경사의 보푸라기의 발생율이 22%에서 7%로 각별한 감소를 보았다. 본 발명의 바디날은 네마모에 우수하며, 최초에 설치한 팽활함을 장기간 유지할수 있어 직물의 품위를 한층높혀 주었다.
본 실시예에의 바디에 의하여 종래에 비하여 경사의 권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종래의 끌어서 통하게하는 것으로부터의 가볍게 이어주는 변경이 가능하게 되며 경사교환의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바디에 의하면, 직기의 고속화가 가능하며 직성능율이 특별히 향상 하였다. 또 본 실시예의 바디에 사용한 바디날의 표면층은 모제와의 밀착성이 양호하며, 실에 의한 바디날의 동작 혹은 전동에 의하여 갈라지거나, 벗겨지는 사태가 없었다.
또 이 표면층은 극히 얇기 때문에 모제의 상태를 손상하지 않아, 직조된 직물의 품위, 미려성이 종래의 것이상이었다. 또 본 발명의 바디의 바디날은 표면층 생성공정에서 고온에 노출되는 사례가 없어서 모제의 일등화가없었다.
또 본 발명의 바디날은, 실에 부착하고 있는 유제에 의하여 부식됨이없이 오히려 유제에 의한 실의 미그럼 상태가 바람직한 상태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조노즐에 적응한 예이다 외경 6mm, 내경 4mm, 길이 50mm으 스텐레스파이프의 표면에 침지법에 의하여 Cr2O3수용액을 부착하고 그후에 온도 약 550℃로 소부를하고 이 공정을 1사이클로하여 약 15사이클 반복함으로서 상기 파이프의 표면에 약 4-5μ의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하여 표면층을갖는 노즐을 제작하여 이것을 직기에 끼워서 사용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스텐레스 강제를 사용하여, 표면처리를 하지않고 보조노즐을 제작하고 이것을 직기에 조립, 사용하였다. 이결과, 본 실시에의 보조노즐을 사용하면, 종래의 보조노즐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경사의 보푸라기 발생율이 19%에서 8%로 감소하고 직포의 품위가 양호하게 되어 효율이 향상되었다.
본 실시예의 보조노즐은 내마모성에 우수하며 최초에 설정한 평활함에 장기간 유지할 수 있었다.
본 실시예의 보조노즐의 표면층은 보조노즐의 운동에 의하여 갈라지거나, 벗겨지는 사례가 없었다.
또 본 실시예의 보조노즐은 표면생성공정에서도 고온에 바래는 사례가 엾으므로 모제의 일화도 없었다.
[실시예 4,5]
먼저 아래 제 1 표에 나타낸 조건으로 표면층을 형성하지 않은것(시험체 No.1), 본 발명에 의하여 표면층을 형성한것(시험체 No.2,3) 및 종래법에 의하여 표면층을 형성한것(시험체 No.4-6)의 바디날을 제작했다. 또 시험체 No.2,3은 실시예 2와 같은 순서로 제작했다.
[제 1 표]
Figure kpo00001
이들 바디날을 구비한 바디를 직기에 끼워, 구동회수 약 800rpm, 구동시간 24시간, 사용원사 메이징 ES150d/f, 실장릭 65-85g 사의 권상속도 약 0.3m/분의 조건에서 직기를 구동하고, 각 시험체와 실과의 미끄럼질에 의한 표면의 상혼발생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 시험체 표면에 있어서의 상혼의 발생상태의 평가는 시각(예컨데, 보푸라기 발생, 사절(●切) 및 품위)및 촉각에 의한 관찰이며, 그 평가 결과를 Wo(상처없음)에서 W5(상처 더욱 심하다)까지의 탱크로 구분하였다. 각 시험체의 평과결과를 아래 제 2 표로 표시한다.
[제 2 표]
Figure kpo00002
이 평과결과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의하여 표면층을 형성한 것이 종례에 의하여 표면층을 형성한 것에 비하여 상혼의 발생이 적은 것을 알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시험체를 사용한 경우와 종래예의 시험체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실의 송상상태를 조사한 결과, 본 실시예의 시험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실의 손상이 대부분 발생하지 않고 실이 유연한 상태로 있었으나, 종례예의 시험체를 사용한 경우에는, 실의 손상이 현저하며, 그후의 실의 보푸라기의 발생, 사절등으로 24시간 시험속행 마저도 불가능하였다.
[실시예 6]
제1도, 제2도에 도시한 직기에 있어서는 히일드(1)의 상하동 및 바디(2)의 요동에 의하여, 경사(a)가 주행방향과 수직의 방향에 변위하는 소위 횡 떨림을 발생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경사(a)의 상호의 간격이 변화하고 경사(a)가 평행하지 않은 상태대로 주행하고, 위사(b)와 함께 직조된다. 이 결과 직조된 직포(c)는 경사(a)의 간격의 부분적으로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한다. 소위 실뭉침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제8도,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히일드(1)과, 바디(2)와의 사이에 고정 리드가이드(6)를 형성함으로서 방지할 수가 있다. 이 고정리드가이드(6)는, 경사(a)(a)…의 및 방향전 길이에 상당한 길이를 갖는 횡장(橫長)의 것으로, 히일드(1)(1)…에 대하여경사 (a)(a)…의 및 방향을 따라 배설되었다. 이 고정 리드가이드(6)는 도시하지 않은 부제에 의하여 그배설위치에 고정설치한다. 또 고정리드가이드(6)는 제10도에서도 표시한 바와같이 횡장이 베이스(7)(7) 복수의 간막이체(8)(8)…을 경사(a)(a)…의 나란히한 방향에 등간격으로 나란히 취부한 것으로서 인접한 각 간막이체(8)(8)의 사이에서 경사(a)(a)…를 삽통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부(9)(9)…가 경사(a)(a)…의 나란히 한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하고 있다. 또 고정리드가이드(6)의 베이스(7)(7) 및 간막이체(8)(8)…은 스텐레스강이나 고속도 강등의 주체로 한 재료를 모제로 하고있다.
이와같이 고정리드가이드(6)를 구비한 직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사공급비구에 공급된 복수분의 경사(a)(a)…는 권력기구(5)에 의하여 귄취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사(a)(a)…는 1분씩 갈라져 각 히일드(1)(1)…의 실 삽통공을 통과, 각 히일드(1)(1)…의 상하동으로 각 각 상측 또 하측으로 변위한다. 이어서 경사 (a)(a)...는,히일드(1)(1)...과 바디(2)와의 사이에 형성된고절리드 가이드(6)에 있어서의 각 안내부(9)(9)...를 통과한다. 이 경우, 경사(a)(a)…는 각 안내부(8)(8)…마다에 복수분으로 갈라져서 통과한다. 또, 경사(a)(a)…는 바디(2)에 있어서의 각 바디날(3)(3)…의 사이를 1분씩 갈라져 통과한다. 위사(b)를 경사 및 방향을 따라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위사(b)를, 바디(2)의 바디날(3)(3)...의 사이를 통과한 각 정사(a)(a)...사이를 통한다. 이후에, 바디(2)는 상,하동하여 경사(a)(a)…으 사이를 통하는 위치(b)를 밑이 채워서 이 동작을 반복하여 천c(직포)를 자고 이 천(c)을 권취하는 기구(5)로 권취한다.
이와같이 이 직기에 있어서는 경사(a)(a)…가 히일드(1)(1)…및 바디(2)를 통과하는 중간에서 고정리드가이드(6)으 안내부(8)(8)…을 통과함으로, 경사(a)(a)…는, 고정리드가이드(6)의 안내부(8)(8)…에 의하여 나란히 한 방향(횡방향)의 변동을 지지하고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즉, 고정리드가이드(6)의 안내부(9)(9)…는 경사(a)(a)…의 가로 흔들림을 지지하고, 경사(a)(a)…를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그럼으로 히일드(1)(1)…으 상하동 및 바디(2)의 요동에 의해서도 (a)(a)…는 고정리드가이드(6)에 의하여 변도을 규제하여 가로 흔들림을 발생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경사(a)(a)....는 일정간격을 유지한 평행한상태로 이동하여 위사(b)와 포함함으로, 실의 꾸김이 없는 고품질의 직포(c)를 짤수가 있다.
또 위터세트실에 있어서의 실시예에서는 메인노즐 즉 횡입장치(4)에 분사된 물으 비맡을 고정리드가이드(6)이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히일드(1)(1)…에 물의 비말이 걸려 히일드(1)(1)…가 부식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히일드(1)(1)…에 대하여 경사 이동방향 앞측에 고정리드가이드(6)을 형성하고 있으나 다시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히일드(1)(1)…에 대하여 경사 이동방향 후측에도 고정리드가이드(6)를 사용하여 보다 확실하게 경사(a)(a)의 가로흔들림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히일드(1)(1)…에 대하여 경사이동 방향을 후측에만 고정리드가이드(6)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경사(a)(a)…으 가로 흔들림을 발생을 방자할 수가 있다. 또 기타의 위치에 형성해도 유효하다. 또 고정리드가이드(6)는, 제12도에 표시한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고정리드가이드(6)를 경사(a)(a)…가 통과할때에, 경사(a)(a)…는 고정리드가이드(6)의 각 부분에 미그럼 접하면, 경사(a)(a)…에 실보푸라기가 발생, 직포에 품질을 손상시킬 수가 있다. 그림으로 고정리드가이드(6)를 상기와 같이 철을같
주체로 한 모제를 형성하고, 이 모제의 표면에, 크롬화합물을 가열에 의하여변환된 산화크롬과의 반응부를 갖는 표면층으로 형성함으로서 경사(a)(a)…의 실보푸라기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표면층은 실시예 1-3에 표시한 순서와 같이하여 형성 가능하다.
이와같이 고정리드가이드(6)에 형성한 표면층은, 표면의 평할성 즉 미끄럼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고정리드가이드(6)가 경사(a)(a)…와 미끄럼 접하여 동작할대에 표면층위를 원만히 미끄럼점으로 실예 보푸라기 발생하지 않고 직포의 품위를 높혀 준다.또 표면층은 내마모성에 우수함으로 실과의 미끄럼점에 의하여 만모가 없을뿐 아니라, 표면층은 내식성에도 우수하여 직기에 있어서 위사반송용에 체용되어있는 예 : 워터젯트 방식에 사용하는 률에 접촉해도 부식하지않으며, 또 표면층느 모제의 성질을 열 화함이 없이 형성할수있고, 형성후에 마무리 가공을 할 필요도없다. 동시에 표면층은모제에 대하여진고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벗겨지는 사례도 없이 고정리드 가이드(6)를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사용할수가있다.

Claims (12)

  1. 철제금속으로 된 기체와, 그표면에 형성된 산화크롬(Cr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층등으로 되고, 상기 산화크롬은 크롬화합물의 가열에 의한변환물질이며, 상기표면층과 기체와의 제면에는상기 표면층중의 산화크롬과 상기 기체와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한 중간층이 존재하고있는 가늘고 긴 섬유질체와 접촉하는 섬유기계부품.
  2. 상기표면층의 두께는 1-50μm인제1항의 기재의 섬유기계부품.
  3. 상기표면층의 두께는 1-10μm인 제1항의 기재의 섬유기계부품.
  4. 상기표면층의 두께는 2-6μm인제1항의 기재의 섬유기계부품.
  5. 상기 크롬화합물은 CrO3인 제1 항의 기재의 섬유기계부품
  6. 상기 섬유기계부품은 소공을 구비한 제1항의 기재의 섬유기계부품.
  7. 직기의 히일드 또는 우체젯트형 직기의 보조노즐인 제 6 항기재의 섬유기계부품.
  8. 직기의 바디날인 제 1 항기재의 섬유기계부품.
  9. 직기의 텐숀로울러, 레저링 로울러, 얀훅크 또는 니들인제 1 항 기재의 섬유기계부품.
  10. 히일드와 바디와를 구비한 직기에있어서, 히일드와 바디와의 사이에 형성되며, 주행하는 경사의 주행방향과는 수직의 방향으로 나란히, 또는 그안을 경사가 통할 복수의 안내부재로 된 고정리드 가이드인 제 1 항 기계의 섬유기계부품.
  11. 상기중간층의 두께는 0.5-3.0μm인제1항의 기계의 섬유기계부품.
  12. 상기중간층은 FeO-Cr2O3와 Cr2O3로 된 제 1 항 기계의 섬유기계부품.
KR1019860002840A 1985-04-17 1986-04-14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섬유기계 부품 KR890001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82057A JP2515281B2 (ja) 1985-04-17 1985-04-17
JP143295 1985-04-17
JP60-82057 1985-04-17
JP187328 1985-06-29
JP60-143295 1985-06-29
JP14329585A JPH0615733B2 (ja) 1985-06-29 1985-06-29 ヘルド
JP60-187328 1985-08-28
JP60187328A JPS6253443A (ja) 1985-08-28 1985-08-28 流体噴射式織機のサブノズル
JP200854 1985-08-28
JP60200854A JPS6260766A (ja) 1985-09-11 1985-09-11 軟質線状体の摺動部に用いる部品
JP60-200855 1985-09-11
JP60-200854 1985-09-11
JP200855 1985-09-11
JP60200855A JPS6262960A (ja) 1985-09-11 1985-09-11 織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311A KR860008311A (ko) 1986-11-14
KR890001929B1 true KR890001929B1 (ko) 1989-05-31

Family

ID=2752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840A KR890001929B1 (ko) 1985-04-17 1986-04-14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섬유기계 부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822662A (ko)
KR (1) KR890001929B1 (ko)
CN (1) CN1033763C (ko)
CH (1) CH671034A5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777B2 (ja) * 1987-11-11 1994-08-24 日本タングステン株式会社 空気噴射式織機用補助ノズルの製造方法
US5511587A (en) * 1990-09-28 1996-04-30 Citizen Watch Co., Ltd. Wear-resistant reed for a high-speed loom
JP2574934Y2 (ja) * 1993-03-02 1998-06-1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編機用部品
WO1995017541A1 (fr) * 1993-12-22 1995-06-29 Citizen Watch Co., Ltd. Dents de peigne pour metier a tisser automatique a grande vitess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4429943C1 (de) * 1994-08-24 1996-02-22 Dornier Gmbh Lindauer Verfahren zur Standzeiterhöhung von Webblattlamellen
WO2005021851A1 (en) * 2003-09-03 2005-03-10 Nv Bekaert Sa Coated rapier
DE102005030632B4 (de) * 2005-07-01 2009-07-30 Groz-Beckert Kg Fadenschonende Weblitze
CN102978806A (zh) * 2012-11-27 2013-03-20 青岛铠硕纺机有限公司 用于喷气织机的后梁结构
PT3483319T (pt) 2017-11-09 2022-02-14 Groz Beckert Kg Ferramenta têxtil com película indicadora
CN109881142B (zh) * 2019-04-16 2021-04-02 德清创智科技股份有限公司 适用于储纬器上绕纱架的陶瓷涂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531A (en) * 1967-06-01 1976-05-11 Kaman Sciences Corporation Chromium oxide densification, bonding, hardening and strengthening of bodies having interconnected porosity
US3985916A (en) * 1970-02-02 1976-10-12 Kaman Sciences Corporation Sealing and densifying chrome plated metal p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86102733A (zh) 1986-12-17
KR860008311A (ko) 1986-11-14
CN1033763C (zh) 1997-01-08
US4822662A (en) 1989-04-18
CH671034A5 (ko) 198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929B1 (ko)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섬유기계 부품
US5511587A (en) Wear-resistant reed for a high-speed loom
KR100795575B1 (ko) 실 처리 노즐
US6045680A (en) Process for making thermally stable metal coated polymeric monofilament or yarn
EP2682507B1 (en) Ring-traveler system of ring spinning machine
US5834065A (en) Composite plated articles having light-emitting properites
JP2953673B2 (ja) 高速織機用おさ
CN1063808C (zh) 针织机的针织用零件
US3226924A (en) Electrolessly plated textile ring traveler
JP2618481B2 (ja) 織物糸の表面にパラフィン油を塗布する塗布装置
JP2005163197A (ja) 金属被覆炭素繊維の製造方法
JP2000515933A (ja) 弾性率の高い経糸で作られる織物の製織を改良する方法
WO1991019031A1 (en) Tool for knitting, weaving, and sewing machines
US552909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arbon fiber woven fabric by water-jet loom
JPH0615733B2 (ja) ヘルド
US5313773A (en) Coatings for spinning applications and rings and travelers coated therewith
JPH01149968A (ja) 繊維摺動部材の製造方法
US7428963B2 (en) Conveyor belt made of para-aramid threads
CN111254529A (zh) 一种细纱机牵伸机构上皮圈
CN113802225B (zh) 一种细纱机纺纱时的纱线上蜡方法
KR20200037225A (ko) 직물 기계 공구 부품 및 직물 공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216074156U (zh) 一种细纱机用纱线上蜡装置
KR200319370Y1 (ko) 정경기용 세라믹 바디
JPH01283380A (ja) 耐摩耗性部材の製造方法
US20010047645A1 (en) Spinning ring having amorphous chromium bearing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