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204B1 -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204B1
KR890001204B1 KR1019850007753A KR850007753A KR890001204B1 KR 890001204 B1 KR890001204 B1 KR 890001204B1 KR 1019850007753 A KR1019850007753 A KR 1019850007753A KR 850007753 A KR850007753 A KR 850007753A KR 890001204 B1 KR890001204 B1 KR 89000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brake
engine speed
reduction ratio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7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3127A (ko
Inventor
야스오 키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시마즈세이사구쇼
요꼬지 세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시마즈세이사구쇼, 요꼬지 세쯔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시마즈세이사구쇼
Publication of KR860003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01Infinitely variable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1Providing engine brak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157Control of braking, e.g. preventing pump over-speeding when motor acts as a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2059/6838Sensing gearing status of hydrostatic transmissions
    • F16H2059/6861Sensing gearing status of hydrostatic transmissions the pressures, e.g. high, low or differential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제1도 a는, 제1, 제2의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도 b는, 제3의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한 시스템 설명도.
제3도는 동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단변속기의 작용 설명도.
제4도는 동 실시예의 제어순서를 표시한 흐름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단변속기 2 : 엔진
3 : 차륜 4 : 엔진속도 검출수단
5 : 운전자 6 : 브레이크 페달
7 : 휘일브레이크 11, 12 : 유압펌프/모우터
15 : 용량조정용 작동기(감속비 조작단) 17 : 엔진속도 검출수단
18 : 마이크로 콤퓨터시스템
본 발명은, 무단변속기를 탑제한 자주식 차량에 호적하게 이용가능한 감속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효율이 높은 유압펌프 모우터의 개발진전에 따라서, 이들 펌프/모우터를 조합해서된 소위 하이드로 스태틱변속기(HST)나 하이드로 메카니칼변속기(HMT)의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일이 가능해졌다. 그 때문에, 이런 종류의 무단변속기를 고효율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등에도 적용할려고 하는 기운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무단변속기를 사용한 자동차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는 주행중에 클러치를 조작하기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속페달을 개방하면 어느정도 타력으로 주행하게 되는 특성이 요구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踏
Figure kpo00002
)조작하면,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감속작용을 얻게되는 것이 좋다. 또한, 휘일브레이크를 사용하면 브레이크슈우의 마모나 발열등을 초래하기 쉽기 때문에, 감속에는 엔진브레이크를 최대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종래의 것은, 상기 무단변속기의 감속비의 제어와는 전혀 독립된 형식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휘일브레이크 계(系)가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엔진브레이크를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조작에 의해 제어할 수가 없어, 상기한 바와같은 운전특성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휘일브레이크 뿐만아니라 엔진브레이크까지도 최대한으로 이용해서 적절한 감속작용을 얻는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종래의 문제를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기재의 발명(이하 “제1의 발명”이라 약칭함)은, 제 1도 a에 표시한 바와같이, 감속비 조작단(端)에 가해지는 조작신호에 대응해서 감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무단변속기(1)를 구비하고, 이 변속기 (1)를 엔진(2)과 구동차륜(3)과의 사이에 장설해서된 차량에 적용되는 감속제어시스템이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게 위해서, 상기 엔진(2)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속도 검출수단(4)과, 운전자(5)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6)이 답입조작된 경우에 그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상기 감속비 조작단에 전달하여 상기 무단변속기의 감속비를 증대시키는 엔진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엔진속도 검출수단(4)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속도가 설정치에 달했을 경우에 차륜제동용이 휘일브레이크(7)를 이 엔진속도가 상기 설정차를 상회하지 않도록 작동시키는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2의 발명”이라 약칭함)은, 상기 제1의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구동차륜(3)으로부터 상기 무단변속기쪽에 작용하는 역토오크의 크기를 검출하는 브레이크토오크 검출수단과, 이 브레이크토오크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토오크치가 미리 설정한 최대허용 토오크치를 상회했을 경우에 그 초과량을 상쇄 하도록 상기 감속비 조작단에 전달되는 신호를 감속비 감소방향으로 보정하는 제어량보정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발명(이하 “제3의 발명”이라 약칭한다)는, 제1도 b에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제1의 발명에서 말하는 엔진브레이크 제어수단에 상당하는 요건으로서, 브레이크 페달(6)이 답입조작된 경우에 그 조작량에 대응한 엔진브레이크용 엔지속도치를 결정하는 엔진속도치 설정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속도가 이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에 합치 또는 접근하도록 감속비를 조절하는 감소비 조정수단을 착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5)가 가속페달을 개방해서 브레이크 페달(6)을 답입조작했을 경우에는, 먼저, 엔진브레이크 제어수단의 작용에 의해 무단변속기의 감속비가 제어되는 엔진브레이크가 걸린다. 그리고, 엔진속도가 설정치에 달하면,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이 작동하고, 휘일브레이크의 병용에 의해 엔진속도가 상기 설정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감속한다.
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이상의 작용에 추가해서, 또 다음과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감속비가 큰 저속운전역에서 브레이크 페달(6)을 답입조작했을 경우에는, 엔진브레이크가 너무 듣게되어 소위 타이러룩을 초래할 염겨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차륜(3)으로부터 상기 무단변속기(1)쪽에 작용하는 역토오크의 크기가 미리 설정한 최대 허용토오크치를 상회했을 경우에는, 제어량보정수단의 작용에 의해 그 초과량을 상쇄하도록 상기 감속비 조작단에 전달되는 신호가 감속비 감소방향으로 보정된다. 그 때문에, 과대한 엔진브레이크가 걸리는 것과 같은 불편이 생기지 않는다.
또, 제3의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조작량에 따라서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가 순차적으로 설정되며, 엔진속도가 그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에 달하도록 무단변속기(1)의 감속비가 감속비 조정수단에 의해 조정된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정도와 엔진브레이크의 듣는 상태를 적절하게 대응시킨 상태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제2도∼제4도)
제2도는 감속비 조작단에 가해지는 조작신호에 대응해서 감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무단변속기(1)를 구비하고, 이 변속기(1)를 엔진(2)과 구동차륜(3)과의 사이에 장설해서된 자동차에, 본 발명에 관한 감속제어시스템을 적용한 경우의 시스템 설명도이다. 무단변속기(1)는, 예를들면, 상기 엔진(2)의 출력축에 접속한 제1의 가변용량형 유압펌프/모우터(11)와, 상기 구동차륜(3)에 접속한 제2의 가변용량성 유압펌프/모우터(12)를 구비해서 된 HST형식의 것으로서, 상기 유압펌프/모우터(11)의 유출입구(11a),(11b)와 상기 유압펌프/모우터(12)의 유출입구(12a)(12b)와는 유관로(13), (14)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유압펌프/모우터(11),(12)는, 예를들면, 레이디얼피스톤형의 것으로서, 도시하지 않는 핀틀의 편심량을 변화시키므로서 그 용량을 무단계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양 유압펌프/모우터(11),(12)의 핀틀의 편심량을 스테핑전동기등의 용량조정용 작동기 (15)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또한, 제3도는, 상기 양 유압펌프/모우터 (11),(12)의 용량의 변화를 시키는 법을 표시한 것이다. 즉, 감속비 무한대의 상태로부터, 이 감속비를 감소시킬려면, 먼저, 유압펌프/모우터(12)의 용량을 최대로 고정한 상태에서부터, 유압펌프/모우터(11)의 용량을 증대시켜 나간다. 그리고, 이 유압펌프/모우터(11)의 용량이 최대로 된 후는, 그 펌프/모우터(11)의 용량을 최대로 고정한 다음에 다른쪽의 유압펌프/모우터(12)의 용량를 감소시켜서 간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작동기(15)가 상기 감속비 조작단에 상당한다. 또, 자동차에는 상기 구동차륜 (3) 및 도시하지 않는 종동차륜에 제동을 걸기위한 휘일브레이크(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휘일브레이크(7)는, 일반적인 유압식의 것이며, 마스터실린터 (16)의 조작자(16a)를 화살표시 ×방향으로 압압하므로서 발생하는 유압에 부세되어서 작동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자동차에, 상기 엔진(2)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엔진속도 검출수단(4)을 착설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브레이크 제어수단 및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으로서의 역활을 담당하는 마이크로 콤퓨터시스템(18)을 탑재하고 있다. 마이크로 콤퓨터시스템(18)은, 중앙연산처리장치(CPU)(21)와, 메모리(22)와, 엔터페이스(2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인터페이스(23)에는, 상기 엔진속도 검출수단(17)으로부터의 신호, 차속검출기(20)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조작량 (L)을 검출하는 전위차계(電位差計)등의 조작량검출기(24)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인터페이스(23)로부터는, 상기 용량조정용 작동기(15)에 향해서 감속비를 증감해야 할 취지의 신호가 출력됨과 동시에, 마스터실린더 부세용의 서어보작동기(25)에 향해서 휘일브레이크를 걸어야 할 취지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실린더(16)의 조작자(16a)의 선단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6)의 압압가능 영역에까지 연출(延出) 시켜놓고 있으며, 이 브레이크 페달(6)에 착설된 압압부 (6a)로 상기 조작자(16a)를 화살표시 ×방향으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상기 서어보작동기(25)가 고장났을 경우등에 대비한 안전대책이다.
또, 마이크로 콤퓨터시스템(18)의 인터페이스(23)에는, 브레이크토오크 검출수단인 압력검출기(26)로부터의 검출신호까지도 입력되도록 되어있으며, 이 마이크로 콤퓨터시스템(18)에 상기 압력검출기(26)에 의해 검출되는 코오크지(T)가 미리 설정한 최대 허용토오크치(Tmax)를 상회했을 경우에 그 초과량을 상쇄하도록 상기 용량조정용 작동기(15)에 전달되는 신호를 감속비 감소방향으로 보정하기 위한 제어량 보정수단으로서의 역활까지도 담당케하고 있다. 압력검출기(26)는, 상기 무단변속기(1)의 엔진브레이크시에 고압이 되는 쪽의 유압회로내, 예를들면, 상기 한쪽의 유관로(13)내의 유압의 크기를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4도는 이 마이크로 콤퓨터시스템(18)에 상기한 엔진브레이크 제어수단,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 및 제어량보정수단으로서의 역활을 담당케하는 부분의 프로그램의 개요를 표시한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 표시된 바와같이, 먼저, 스텝 1에 있어서 엔진속도(S), 차속,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답입조작량(L) 및 엔진 브레이크의 듣는 상태를 표시하는 토오크 검출기(26)로부터의 토오크치(T)를 입력한다. 이어서, 스텝 2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6)이 답입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답입조작된 것을 확인했을 경우에는 스텝 3으로 이행한다. 스텝 3에서는 토오크 검출기(26)에 의해 검출되는 토오크치(T)가 최대허용 토오크치(Tmax)를 상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회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4으로 이행하며 상회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5으로 이행한다. 스텝 4에서는, 차속과, 조작량 검출기(24)에 의해 검출되는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량(L)에서 (T-Tmax)×k을 감해서 이루어지는 보정조작량(La)등에 대응한 감속비를 메모리(22)의 테이블로부터 인출하여, 그 감속비가 되도록 상기 용량조정용 작동기(15)에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k는 제1도 a에 있어서의 부(負)귀환용 앰프(10)의 주증폭률에 상당한다. 한편, 스텝 5에서는, 상기 조작량검출기(24)에 의해 검출되는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량(L)과, 차속에 대응한 감속비를 메모리(22)의 테이블로부터 인출하여, 그 감속비가 되도록 상기 용량조정용 작동기 (15)에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스텝 6에서는, 엔진속도 검출수단(17)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속도(S)가 설정치(Smax)(예를들면, 2500r.p.m.)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S<Smax라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스텝 7로 이행한다. 스텝 7에서는, 서어보작동기 (25)를, 상기 엔진속도(S)가 상기 설정치(Smax)에 수속되도록 작동시키고, 스텝 1으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스텝(2)에서 브레이크 페달(6)이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8으로 이행한다. 스텝 8에서는, 휘일브레이크용 작동기(25)를 브레이크 해제위치에 복귀시키고, 그러한 연후에, 비감속시의 제어로 이행한다. 비감속시의 제어는, 예를들면, 도시하지 않는 가속페달이 답입조작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 가속페달의 답입량과 자동차의 차속을 입력정보로 하여 운전상태를 판단하고, 그 운전상태에 가장 적합한 감속비를 미리 기억시켜 놓은 패턴(연료비를 중시하느냐 운전성을 중시하느냐에 따라서, 이 패턴은 상이한 것이 된다.)에 의거해서 선정하고, 그 선정한 감속비가 되도록 상기 용량조정용 작동기(15)에 신호를 송출한다. 또, 가속페달로 브레이크 페달로 밟지 않했을 경우에는, 엔진속도가 아이드링회전속도로 복귀하도록 감속비를 제어한다. 이러한 비감속시의 제어로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시스템을 이용해서 행해지나,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 흐름도에 표시한 순서는, 자동차가 주행하고 있는 동안 반복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것이면, 다음표에 표시한 바와같은 작동을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이 표에 있어서, E.B.는 엔진 브레이크를 의미하고, W.B.는 회일브레이크를 의미한다.
이 표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가속페달을 답입하여 가속주행을 할 경우에는, 가속페단의 답입량과 차속과의 균형에 의해서 최적한 감속비가 선택되어, 차속 및 엔진속도가 함께 상상해 간다. 또, 가속페달을 적당한 위치에서 유지한 역행운전에서는, 감속비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으며, 차속 및 엔진속도가 대략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또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6)을 함께 개방한 타행운전에서는, 엔진(2)에 구동차륜(3)으로부터의 역토오크가 작용하지 않도록 감속비가 제어되기 때문에, 엔진속도는 아이드링 회전속도(예를들면, 700r.p.m.)로 까지 저하하는 동시에, 차속은 노면저항등에 의해 서서히 저하한다.
한편, 가속페달을 개방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6)을 답입조작하면, 그 답입량(L)에 대응해서 감속비가 증대방향으로 조정되어, 엔진브레이크가 작용해서 차속이 감소된다. 그리고, 엔진속도가 설정치(예를들면, 2500r.p.m)에 대한 상태에서 더욱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조작이 행해지면, 다음에, 서어보작동기(25)가 작동해서 마스터실린더(16)의 조작자(16a)를 화살표시×방향으로 압압하게 되어 휘일브레이크(7)가 듣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 휘일브레이크(7)의 듣는 상태는, 상기 엔진속도(S)가 상기 설정치(Smax)를 상회하지 않도록 조정된다. 즉, 엔진브레이크에 의해 엔진속도가 설정치(Smas)에 까지 달했을 경우에는, 그 엔진브레이크에 더하여 휘일브레이크(7)가 작동하게 되어, 급속한 감속이 행해진다.
또한, 감속비가 비교적 큰 저속운전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6)을 너무 답입하면, 일시적으로 엔진브레이크가 과작용하는 염려가 있으나, 그 경우에는 상기 유관로 (13)내의 유압이 높아져서, 토오크 검출기(26)에 의해, 검출되는 토오크치(T)가 최대허용 토오크치(Tmax)를 상회한다. 그 결과, 제어량 보정수단의 작용에 의해, 그 초과량을 상쇄하도록 상기 용량조정용 작동기(15)에 전달되는 신호가 감속비 감소방향으로 보정되게 되어, 상기 토오크치(T)가 상기 최대허용 토오크치(Tmax)와 대략 동일하게 될때까지 엔진브레이크가 늦추어진다.
따라서, 이와같은 실시예의 것에 있어서는, 고속운전 상태에서부터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조작했을 경우에는, 엔진브레이크와 휘일브레이크가 병용되어, 엔진의 과회전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여 확실한 감속이 행해진다. 한편, 중, 저속운전역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답입조작했을 경우에는, 주로, 엔진브레이크에 의해 감속이 행해진다. 따라서, 어느것이든 간에,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대응해서 엔진브레이크가 유효하게 이용되게 되어, 휘일브레이크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 이와같이 하면, 브레이크 페달을 개방하고 있을 때의 감속비 제어조건을 엔진브레이크를 고려해 넣지않고,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설정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고 타행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등, 운전성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제5)]
본 실시예의 감속제어시스템은, 제2도 표시한 시스템에서, 휘일브레이크(7)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기(25)를 생략한 하아드 구성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18)에, 브레이크 페달(6)이 답입조작되었을 경우에 그 조작량(L)에 대응한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V)를 결정하는 엔진속도치 설정수단으로서의 역활, 및, 상기 검출수단(17)에 의해 검출하는 엔진속도(S)가 이 엔진속도치(V)에 합치 또는 접근하도록 감속비를 조절하는 감속비 조정수단으로서의 역활을 담당하도록 한 것이다.
제5도는, 이와같은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18)에 격납한 프로프램의 개요를 표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11에서, 엔진속도(S)와, 브레이크 페달조작량(L)을 입력한다. 이어서, 스텝12에서, 브레이크 페달(6)이 답입조작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답입조작되었는 것을 확인했을 경우에는 스텝13으로 이행한다. 스텝13에서는,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조작량(L)에 비례한 정(正)의 변수(α)를 아이드링시의 엔진속도(아이들 속도)에 보태므로서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V)를 결정한다. 또한, 변수(α)는, 브레이크 페달의 답입조작량(L)과 차속에 관련시켜서 테이블화해두고, 그 값을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해도 놓으나, 상기와 같이하면, 실시가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스텝14에 있어서, 상기 엔진속도(S)와 상기 엔진속도(V)와의 차가 허용오차치(△S)이내인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차가 허용오차치(△S) 이내의 경우는 스텝 1으로 복귀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15으로 이행한다. 스텝15에서는, 상기(S)와, 상기(V)와의 차의 덜대치가 상기 허용치(△S)이내에 수납되게 되는 방향으로 감속비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취지의 신호를 상기 용량조정용 작동기(15)에 향해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스텝2에서 브레이크 페달(6)이 조작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때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인 비감속시의 제어로 이행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것이면, 브레이크 페달 답입정도에 따라서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V)가 결정되고, 실제의 엔진속도(S)가, 그 엔진속도치(V)에 달하도록 무단변속기(1)의 감속비가 제어된다. 그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정도에 따른 엔진브레이크가 걸리게 되어, 이 엔진브레이크만으로, 차량을 거의 정지상태로까지 감속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2에서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을 생략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이와같은,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을 병용한 것도 제3의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구성이므로,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라서 엔진브레이크를 유효하게 작용시키는 일이 가능하며, 휘일브레이크의 부담을 경감해서 내구성의 저하나 발열등의 불편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페달을 개방하고 있을 때의 감속비 제어조건을 엔진브레이크를 고려에 넣지 않고 설정하는 일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제어조건설정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클러치를 조작하는 일 없이 타행 주행을 가능하게 하는등, 운전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감속비 조작단에 가해지는 조작신호에 대응해서 감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무단변속기를 구비하고, 이 변속기를 엔진과 구동차륜간에 장설해서 된 차량에 적용되는 감속제어시스템으로서,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속도 검출수단,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조작 되었을 경우에 그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상기 감속비 조작단에 전달하여 상기 무단변속기의 감속비를 증가시키는 엔진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엔진속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속도가 설정치에 달했을 경우에 차륜제동용의 휘일브레이크를 그 엔진속도가 상기 설정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작동시키는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2. 감속비 조작단에 가해지는 조작신호에 대응해서 감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무단변속기를 구비하고, 이 변속기를 엔진과 구동차륜간에 장설해서 이루어진 차량에 적용되는 감속제어시스템으로서,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속도 검출수단과, 상기 구동차륜으로부터 상기 무단변속기쪽에 작용하는 역토오크의 크기를 검출하는 브레이크토오크 검출수단과,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조작되었을 경우에 그 조작량에 대응한 신호를 상기 감속비 조작단에 전달하여 상기 무단변속기의 감속비를 증대시키는 엔진브레이크 제어수단과 상기 브레이크토오크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토오크치가 미리 설정한 최대허용 토오크치를 상회했을 경우에 그 초과량을 상쇄하도록 상기·감속비 조작단에 전달되는 신호를 감속비 감소방향으로 보정하는 제어량 보정수단과, 상기 엔진속도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속도가 설정치에 달했을 경우에 차륜제동용의 휘일브레이크를 그 엔진속도가 상기 설정치를 상회하지 않도록 작동시키는 휘일브레이크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3. 감속비 조작단에 가해지는 조작신호에 대응해서 감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무단변속기를 구비하고, 이 변속기를 엔진과 구동차륜간에 장설하여 이루어진 차량에 적용되는 감속제어시스템으로서, 엔진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진속도 검출수단과, 브레이크 페달이 답입조작되었을 경우에 그 조작량에 대응한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를 결정하는 엔진속도치 설정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엔진속도가 이 엔진브레이크용 엔진속도치에 합치 또는 접근하도록 감속비를 조절하는 감속비 조정수단에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KR1019850007753A 1984-10-31 1985-10-21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KR890001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0928 1984-10-31
JP59-230928 1984-10-31
JP59230928A JPS61108019A (ja) 1984-10-31 1984-10-31 車両用減速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3127A KR860003127A (ko) 1986-05-21
KR890001204B1 true KR890001204B1 (ko) 1989-04-27

Family

ID=1691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7753A KR890001204B1 (ko) 1984-10-31 1985-10-21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96380A (ko)
EP (1) EP0180916B1 (ko)
JP (1) JPS61108019A (ko)
KR (1) KR890001204B1 (ko)
CN (1) CN85109561B (ko)
DE (1) DE357357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0708B1 (en) * 1986-12-05 1990-08-29 Eaton Corporation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mt system including manually operated engine compression brake
IT1226705B (it) * 1987-08-14 1991-02-0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Dispositivo per sorvegliare lo stato di comando di una unita' motrice di un autoveicolo.
US5048650A (en) * 1988-07-19 1991-09-17 Nissan Motor Co., Ltd. Engine brake running control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automatic drive range
JPH02104321A (ja) * 1988-10-13 1990-04-17 Hookii:Kk 回転ブラシ
US5161432A (en) * 1990-02-15 1992-11-10 Jatco Corporation Engine brak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power transmission with variabl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shifting operational mode into engine braking range
JP2533400B2 (ja) * 1990-05-28 1996-09-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両前後進切り換え制御方法
US5105923A (en) * 1990-09-27 1992-04-21 Jatco Corporation Engine braking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automatic transmissions
JP2984405B2 (ja) * 1991-03-27 1999-11-29 ジャ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DE4307002B4 (de) * 1993-03-05 2004-09-09 Linde Ag Verfahren zum Abbremsen eines Fahrzeugs mit hydrostatischem Fahrantrieb und dafür vorgesehenes Fahrzeug
GB2303183B (en) * 1993-03-31 1998-01-14 Bosch Gmbh Robert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4330391B4 (de) * 1993-03-31 2008-02-0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zeugs mit kontinuierlich verstellbarem Getriebe
GB2316142B (en) * 1993-03-31 1998-04-01 Bosch Gmbh Robert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4329918A1 (de) * 1993-09-04 1995-03-09 Bosch Gmbh Robert Sicherheitssystem bei Kraftfahrzeugen mit Automatikgetriebe
KR960005404Y1 (ko) * 1993-12-28 1996-06-2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부스터 브레이크의 파이로트 압력을 이용한 인칭시스템
US5586953A (en) * 1994-01-31 1996-12-24 Nissan Motor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in response to a sensed wheel deceleration
US5576962A (en) * 1995-03-16 1996-11-19 Caterpillar In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hydrostatic drive system
JP3905574B2 (ja) * 1996-03-12 2007-04-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動制御装置
JP3358452B2 (ja) * 1996-07-22 2002-12-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ンジンブレーキ制御装置
EP1013497B1 (en) * 1998-12-24 2006-05-10 Eaton Corporation Automated transmission downshift control
US6314801B1 (en) * 1999-05-14 2001-11-13 Luis Alberto Garcia Reggiardo Engine economizing vehicle shifting system and method
JP4147976B2 (ja) * 2002-09-13 2008-09-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複合ブレーキの協調制御装置
US7416265B2 (en) * 2002-11-26 2008-08-26 Caterpillar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varying brake response of a vehicle
JP4543910B2 (ja) * 2004-01-29 2010-09-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輌の減速度制御装置
JP2005255146A (ja) * 2004-02-13 2005-09-22 Toyota Motor Corp 車輌減速制御装置
JP2007118791A (ja) * 2005-10-28 2007-05-17 Advics:Kk 車両用自動制動装置
JP4367519B2 (ja) * 2007-04-26 2009-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ITBO20080577A1 (it) * 2008-09-19 2010-03-20 Cnh Italia Spa Veicolo agricolo a trasmissione variabile continua
JP5332044B2 (ja) * 2010-09-10 2013-11-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エンジンオーバーラン防止制御装置
CN102537312B (zh) * 2011-12-31 2015-04-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变速器车刹车降档控制方法
US10407069B2 (en) * 2017-04-21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gine brak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9363A (en) * 1967-09-05 Hydrostatic transmission control
FR1370742A (fr) * 1963-07-15 1964-08-28 Citroen Sa Andre Perfectionnements aux transmissions hydrauliques auto-freinantes pour véhicules
US3202012A (en) * 1963-10-10 1965-08-24 Ford Motor Co Infinitely variable power transmission control system
US3298174A (en) * 1965-06-11 1967-01-17 Fairchild Hiller Corp Control system for infinitely variable automatic transmission
FR1600304A (ko) * 1968-12-31 1970-07-20
FR2148728A5 (ko) * 1971-07-30 1973-03-23 Peugeot & Renault
IT1057775B (it) * 1976-03-22 1982-03-30 Fiat Spa Procedimento di controllo automatico per veicoli a motore
FR2385902A1 (fr) * 1977-03-31 1978-10-27 Renault Procede de regulation d'un groupe moto-propulseur et dispositif permettant sa mise en oeuvre
EP0008495B1 (en) * 1978-07-26 1982-12-29 International Computers Limited Vehicle propulsion control systems
DE2934269A1 (de) * 1979-08-24 1981-03-26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utomatische regeleinrichtung eines durch eine brennkraftmaschine angetriebenen, stufenlos einstellbaren uebersetzungsgetriebes, insbesondere fuer fahrzeuge
JPS57140536A (en) * 1981-02-24 1982-08-31 Nissan Motor Co Ltd Internal-combustion engine controller
DE3139985A1 (de) * 1981-07-15 1983-02-0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steuern von automatischen getrieben in kraftfahrzeu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573574D1 (en) 1989-11-16
KR860003127A (ko) 1986-05-21
CN85109561B (zh) 1988-09-14
EP0180916A1 (en) 1986-05-14
JPH0569741B2 (ko) 1993-10-01
JPS61108019A (ja) 1986-05-26
CN85109561A (zh) 1986-09-03
EP0180916B1 (en) 1989-10-11
US4696380A (en) 1987-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204B1 (ko) 차량용 감속제어시스템
JP4628309B2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1136310B1 (en) Control method for a coordinated regenerative brake system
US5335750A (en) Dual mode transmission control
US5514050A (e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 vehicle hav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by continuously changing the transmission ratio or detecting if a braking operation is present and continuously adjusting the transmission
US7874153B2 (en) Hydrostatic drive and method of braking a hydrostatic drive
KR100225756B1 (ko) 제동력 제어 장치(Braking Force Control Apparatus)
EP0983894A2 (en) Vehicle speed control using engine and brake systems to achieve target acceleration
CN112977383B (zh) 双助力器解耦式液压制动系统
JPH0427427B2 (ko)
JP4719060B2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S61105230A (ja) 車両用加速制御装置
JPH07144625A (ja) 車両の停車・発進制御装置
US20090259374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transmission ratio
JP4175227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S6218335A (ja) 車両用減速制御システム
WO2021124825A1 (ja) 静油圧無段変速システム
JP2527026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速度比制御装置
JP2953642B2 (ja) 車両回生ブレーキ装置
JP7225187B2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JP3670718B2 (ja) 油圧走行車両の油圧制御装置
JP2882296B2 (ja) 流体式変速機搭載車両の制御装置
JP3069091B1 (ja) 作業車両の走行速度制御装置
CN116588054A (zh) 用于运行机动车的方法、控制设备、机动车
JPH0658181A (ja) ラジアルシリンダ型可変容量ポンプ/モータを備えた産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