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916B1 -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916B1
KR880001916B1 KR1019860011466A KR860011466A KR880001916B1 KR 880001916 B1 KR880001916 B1 KR 880001916B1 KR 1019860011466 A KR1019860011466 A KR 1019860011466A KR 860011466 A KR860011466 A KR 860011466A KR 880001916 B1 KR880001916 B1 KR 880001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ile
polyester
yarns
dye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7827A (ko
Inventor
구용화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86001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916B1/ko
Publication of KR88000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9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파일 직물의 용도에 적합하도록 하는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 염색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일 직물용 원사는 주로 아크릴, 모, 면, 나일론 단섬유 등 거의 대부분이 방적사였으며 이중 아크릴, 나일론 등의 방적사를 이용한 파일직물은 인티어리어(Interior)용 소재로서 주로 의자용 커버지, 자동차용 시트 커버지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자동차 산업의 급신장과 함께 이에 따른 내장재에 대한 수요도 점점 늘어나고 있으나 내장재로서 요구되는 엄격한 제반물성(특히 일광견뢰도)을 가지면서 고급스러운 파일직물은 아직 나오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우수한 제반물성 및 일관견뢰도 때문에 자동차용 인티어리어용 소재로서 많이 쓰이고 있으나 고급 소재인 파일직물용으로는 사용이 않되고 있다.
그 이유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섬유의 고유의 성질 즉 플랫(flat)성, 염색성, 촉감 등의 문제 때문에 파일직물용 소재로서는 사용이 부적당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리멘트 소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있는 파일직물을 만들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고유의 우수한 물성 때문에 자동차 내장재로서 필요한 제반물성을 충족하고 파일직물 고유의 우아함, 고급스런 감이 있는 고급 파일직물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역점을 두었다.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파일직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실에 염색을 해야 하는데 필라멘트사는 표면이 매끄러워 염액이 침투될 정도로 부드럽게 감을 수가 없고 염색시 수축이 심하게 일어나 실의 내부까지 골고루 염색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염색할 때에는 필라멘트사를 스트랫치 가공하여 염색을 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스트랫치 가공사로 파일직물을 제직하기 위해서는 제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00-200T/M정도 연사하면서 요구 굵기에 따라 1합 내지 2합 이상으로 합사하게 된다.
이렇게 합사된 실은 염색시 염료가 골고루 침투가 잘되고 균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0.3g/cm3이하의 밀도로 부드럽게 감은 후 고온 고압하에서 치즈 염색기로 염색된다.
이렇게 하여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스트랫이 가공사를 파일직물용 파일사로 사용하고 지(Ground)사는 폴리에스테르/면, 폴리에스테르/레이욘 등의 혼방사를 사용하여 파일직물을 제직한 다음 파일 길이가 2-4mm가 되도록 절단하고 통상의 가공방법으로 파일직물을 후가공처리를 한 다음, 파일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라텍스 등의 수지로 이면 코딩한 다음 마지막으로 열 고정시키면 폴리에스테르 스트랫치사로된 파일직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일직물을 파일사가 스트랫치 가공사로 되어 있어 파일사에 크림프가 들어 있기 때문에 사용시 크림프 끼리 들어 붙는 성질로 인하여 파일사의 압축탄성율과 내마모성이 불량하고, 스트랫치 가공사와 기존 지사인 방작사와의 포합성이 나빠 파일사가 쉽게 빠지는 등 문제가 있어 인티어리어용 소재로서는 사용상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원착사를 이용하여 파일직물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원착사를 요구 굵기에 따라 합사하면서 100-200T/M정도 연사한 다음 파일직물용 파일사로 사용하고 지사는 폴리에스테르/면, 폴리세스테르/레이욘 등 혼방사를 사용하여 파일직물을 제직한 다음 통상의 방법으로 가공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원착사로 된 파일직물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일직물을 파일사가 필라멘트로 되어 있어 평편하기 때문에 파일사의 압축탄성율은 양호하나 역시 필라멘트사와 방적사간에 포합성이 나빠 쉽사리 파일사가 빠지는 등 문제가 있고 내마모성이 불량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고, 특히 사용되는 필라멘트 원착사의 사종이나 색상이 한정되기 때문에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나 패턴을 낼 수가 없어서 인티어리어 소재로서 역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위의 두가지 파일직물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대응책으로서 파일사의 겉모양은 방적사와 유사하면서 표면에는 잔털이 많이 나 있어 방적사와 포합성이 좋고 가공시에는 해모성이 좋아 필라멘트 고유의 평편성이 되살아 나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의 가공방법을 개발하고 또한 염색이 잘되는 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500 데니어 이하의 실을 요구 굵기에 따라 한가닥 내지 그 이상으로 공급하여 일정한 공급 롤러에서 10-15% 정도 오버피드 시키면서 7-10kg/cm2의 압축공기를 취부하는 노즐에 통과시킨 후 다시 -6~-10% 정도의 언더피드(Under Feed)율로서 잡아당기면서 권취 롤러에 감으면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는 포면에 1mm 이상의 루프가 120-220개/m정도이고, 방적사와는 겉모양이 유사하면서 포합성이 좋고 가공시 해모성이 양호한 방적사와 유사한 폴리에스테르 가공사가 만들어진다.
이때 권취 롤러에서 -6~-10% 정도로 잡아 당기면서 권취하지 않으면 루프수가 너무 적거나 너무 과다하여 제직후 가공시 해모성이 불량하여 파일사로서의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가공시의 가공조건과 해모성과는 관계는 표(1)과 같다.
[표 1]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의 가공조건과 해모성과의 관계
Figure kpo00001
이와 같이 만들어진 실을 0.35g/cm3이하의 밀도로 부드럽게 감은 후 다시 100℃이상의 고온 고압하에서 열수 내지는 습열로 10-60분 정도 예비 셋팅하여 0.4 g/cm3이상의 밀도로 수축시켜서 수축율이 28% 이상이 되도록 하고 0.35g/cm3정도의 밀도로 다시 재권취한 다음 통상의 치즈 염색기에서 고온 고압하에서 염색하면 염색후 치즈 밀도가 0.51g/cm3이하, 염색 축율 50% 이하, 염색후와 예비 셋트후의 치즈밀도차가 0.12g/cm3이하로서 균염성이 좋고 염색작업성이 좋은 염색사가 얻어지게 된다.
이때 표(2)의 보기(3)에서와 같이 예비 셋팅시에 100℃ 이하에서 하게 되면 염색후 밀도가 0.55-0.60g/cm3정도, 예비 셋트 축율과 염색축율의 차가 20% 이상으로서 고다한 수축이 한꺼번에 일어나게 되어 균염성이 떨어지고 또한 염색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표(2)의 보기(4)에서와 같이 예비 셋팅은 하지 않고 그대로 염색하게 되면 역시 수축이 과다하여 염료가 치즈 내부까지 침투하지 못하여 균염성이 떨어지고 염색작업성(치즈를 스핀들에서 빼고 끼움)이 저하되어 염색이 불가능하게 된다.
[표 2]
예비 셋팅과 염색성과의 관계
Figure kpo00002
위표에서;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보기 1, 2와 같이 염색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가공사는 균염성이 좋고 염색작업성이 좋으며 또한 가공시 해모성도 좋아 파일직물용 파일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염색가공사를 파일직물용 파일사로 사용하고 폴리에스테르/면, 폴리에스테르/레이욘 혼방사를 지사용 경,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하고 파일길이가 2-5mm가 되도록 절단하고 열판이 부착된 브럿싱기에서 가열하면서 브럿싱하여 가공사 제조시 만들어진 루프를 충분히 해모시킨다.
해모(Brushing)가 충분히 된 파일직물은 파일 높이가 일정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전모하고 다시 파일을 일정한 방향으로 높여주거나, 세우기 위해 폴리싱(Polishing)하며 가공된 파일사가 잘 빠지지 않도록 이면에 라텍스 등으로 이면 코딩한 다음 마지막 열 셋트를 하게 되면 최종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된 선염 파일직물이 얻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파일직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선염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요구에따라 색상을 다양하게 낼 수가 있고 기존의 폴리에스테르 스트랫치 가공사로 된 파일직물보다 파일사의 압축 탄성율이 우수하고 방적사와 유사한 루프가 많이 나와 있던 지사와의 포합성이 좋아 파일사가 잘 빠지지 않으므로 내마모성과 파일 외 인발강도가 우수하고 필라멘트사 고유의 광택이 살아 있어 외관이 우아하여서 자동차용 내장재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150d/48f3가닥을 수분을 부여하고 일정한 공급 롤러에 20%정도 오보피드 시키면서 10kg/cm2압력의 공기로 노즐을 통과시킨 후, 0.35g/cm3이하의 밀도로 부드럽게 감은 다음 120℃에서 10분 동안 열수에서 처리 건조하고 다시 0.35g/cm3이하의 밀도로 재 권취하여 염색한 실을 파일직물용 파일사로 사용하고 다음과 같은 규격으로 제직, 가공하였다.
지 경사 : 폴리에스테르/면(65 : 35) 23'/2 선염사
지 위사 : 폴리에스테르/면(65 : 35) 30'/2 선염사
파일사 밀도 : 46본/인치
지사 밀도 : 46본/인치(경사)×49본/인치(위사)
파일 길이 : 3.5mm
가공 방법 : 브럿싱→전모→폴리싱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150d/48f1가닥을 스트랫치 가공한 후 3합으로 하여 100T/M으로 연사하고 0.3g/cm3의 밀도로 부드럽게 감은 다음 통상의 치즈 염색기에서 염색한 실을 파일직물용 파일사로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규격으로 제직 가공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150d/48f원착사를 3합하여 100T/M으로 연사한 실을 파일직물용 파일사로 사용하고 동일한 제직기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규격으로 제직, 가공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 비교예 2의 파일직물의 물성을 비교하면 표(3)과 같다.
[표 3]
Figure kpo00005
표(3)으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가공사로 만든 파일직물은 종래의 스트랫치 가공사를 이용한 파일직물에 비해 파일사의 인발강도, 내마모성, 압축탄성율이 우수하였다.

Claims (1)

  1.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를 10-15%로 오버피드시키면서 7-10kg/cm2의 압축공기가 취부되는 노즐에 통과시켜 교락처리하고, 다시 -6~10%로 언더피드하면서 권취하여 가공사를 제조한 다음 100℃ 이상의 온도에서 열수 혹은 습열로 10분-60분간 예비 셋팅한 것을 재권(re-winding)하여 고온 고압으로 통상의 치즈염색기에서 염색하는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KR1019860011466A 1986-12-29 1986-12-29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KR880001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466A KR880001916B1 (ko) 1986-12-29 1986-12-29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11466A KR880001916B1 (ko) 1986-12-29 1986-12-29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27A KR880007827A (ko) 1988-08-29
KR880001916B1 true KR880001916B1 (ko) 1988-09-30

Family

ID=19254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466A KR880001916B1 (ko) 1986-12-29 1986-12-29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80001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0419A4 (en) * 2015-07-30 2019-03-13 Mitsukawa&Co.Ltd. BRUSHED CIRCULAR KNIT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7827A (ko) 1988-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8460A (ko) 항필링천 및 그 제조법
KR880001916B1 (ko) 파일직물용 폴리에스테르 가공염색사의 제조방법
US5102735A (en) Latent looped yarn, a fabric made of the sam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atent looped yarn
KR100919467B1 (ko) 데님조 합성섬유 직물
EP1464744A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ilament corduroy fabric
JP2752319B2 (ja) 羊毛/レーヨン混紡織物
JPS6160183B2 (ko)
JP2874283B2 (ja) スパンライク織物の製造方法
JP5183179B2 (ja) 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JPH0313341B2 (ko)
KR100496041B1 (ko) 표면효과가 우수한 스웨드조 직물의 제조방법
JP4530862B2 (ja) 高密度織物の製造方法
KR970008882B1 (ko) 멀티필라멘트와 스펀사로 제직된 고밀도 혼방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S58120834A (ja) 起毛織物の製造方法
CN1536116B (zh) 长纤维灯芯绒织物的制造方法
JP2839294B2 (ja) 複合糸の製造方法
JPS60104543A (ja) 紡績糸様フイラメント糸
JPS5829185Y2 (ja) 杢糸
JP2650304B2 (ja) 特殊風合織物及びその製造法
CN110359161A (zh) 一种羽毛纱及免拉毛牛仔绒底面料
JPH11350295A (ja) 表面ツラのきれいなスパン交織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4660B2 (ko)
JPS62250268A (ja) スパンライク織物の製造方法
JP3401373B2 (ja) カットパイル布帛の製造方法
JPH011817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