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177B1 - 기중 기용 지지 추진장치 - Google Patents

기중 기용 지지 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177B1
KR880000177B1 KR1019840003626A KR840003626A KR880000177B1 KR 880000177 B1 KR880000177 B1 KR 880000177B1 KR 1019840003626 A KR1019840003626 A KR 1019840003626A KR 840003626 A KR840003626 A KR 840003626A KR 880000177 B1 KR880000177 B1 KR 88000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nd beam
crane
beams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1119A (ko
Inventor
고진스키 도론
Original Assignee
고진스키 도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진스키 도론 filed Critical 고진스키 도론
Publication of KR85000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중 기용 지지 추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중기의 도시적인 사시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제1도에 도시된 엔드비임(END BEAM)의 각 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활주 지지체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엔드 비임의 장착구조에 대한 각기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7(a)도 내지 제7(d)도는 비선형 트랙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각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8(a)도 내지 제8(d)도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의 힘 및 휨을 단계별로 도시하는 분석도.
제9(a)도 및 제9(b)도는 기중기 장착구성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엔드 비임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1(a)도는 기중기간의 하중전달에 유용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측면도.
제12(a)도는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2(b)도는 제12(a)도의 측면도.
제13(a)도는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3(b)도는 제13(a)도의 측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용 구동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6(a)도 및 제16(b)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에 대한 전력 공급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활주지지체 B : 앤드비임
C : 거어더 D : 호이스트
E : 기둥 2 : 베이스바아
K : 랙 L : 피니언
M : 기어모터
본 발명은 모든 종류의 기중기에 사용할 수 있는 기중기용 지지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다리형 기중기, 갠트리 기중기 및 그와 유사한 장치는 레일이 설치된 트랙상의 고정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는데, 레일은 항상 강철 또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는 비임 또는 트러스상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하중을 지탱할 수 있도록 트랙을 따라 배치 고정된 일련의 지지체 (이 지지체는 기둥, 루프 트러스, 천정, 또는 기초바닥에 의해 제공됨)에 지지되는 것으로 고정경로를 따라 크레인을 안내하도록 작용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종 비임자체를 레일로서 작용하도록 설계하여 레일의 필요성을 배제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역으로 레일을 지지비임의 작용까지도 겸임하게 설치하여 비임의 필요성을 배제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즉, 요약컨대 가중기는 필수적으로 휘일 상에 지지되어 트랙을 따라 레일상을 주행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현가형 등등)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레일식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담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1. 비임과 레일의 설비가 대형의 보사이에서 하중을 지탱할 수 있기에 적합한 크기를 가져야 하고, 그 때문에 특히 트랙이 길 경유 비임, 레일, 기초 바닥의 제작 및 설치비용이 기중기 자체에 드는 비용보다도 더 크게 된다는 점.
2. 비임과 레일의 설비가 다른 가동설비의 자유주행을 방해하는 방해물로 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경우 (갠트리 기중기의 경우와 같이)에 있어서는 레일을 교차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을 주행시키거나 걸어서 다니기가 어럽게 될 수도 있고, 또한 천정식의 기증기의 경우와 같이 기둥에 장착한 경우에는 비임이 빌딩의 상부공간을 가로질러 배치되게 되고, 그 때문에 교차수송이 방해되거나 저지된다는 점. 또한, 비임의 부근, 또는 그 아래에서의 설비 및 하물의 수송이 보다 어려워진다는 점.
3. 트랙과 거어더간의 하물이동을 위한 높이가 충분치 않기 때문에 옥내간의 하물수송 또는 크레인간의 하물수송이 어렵고 비록 이러한 문제점을 현가형의(즉 매달린형의)기중기에 의해 해소 시킬 수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기중기를 사용함으로 인해 또다른 문제점 (즉, 유효사용 높이의 손실 및 천정의 하중부가 등등)이 발생한다는 점.
4. 비임과 레일이 존재하는 만큼 공간이용에 문제점이 있게 되어 건축적인 면에서 방해를 초래한다는 점.
5. 트랙이 빌딩의 외부로 돌출하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경우 빌딩의 공벽에 기중기를 통과시키도록 개방 및 폐쇄 가능한 출입구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비임과 레일구조의 설계가 상당히 복잡하게 되고 비용 또한 증가된다는 점 (일단 비임과 레일을 생략할 수 있으면 이러한 목적에 사용하는 간단한 출입구를 설계하는 것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6. 갠트지 또는 반 갠트지 기중기의 경우와 같이 바닥을 따라 주행하는 기중기의 경우, 트랙이 매끈하게 되어 있어야만 하고, 그 때문에 비임 또는 기초바닥을 준비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는 점.
7. 기중기가 원형경로 (일예로 원자로 설비의 경우),또는 만곡된 경로를 따라 주행해야하는 경우, 원형의 또는 만곡된비임 및 레일을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든다는 점이 단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장치 및 방법에서 당면하고 있던 모든 문제점을 해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임과 레일설비를 배제시켜서 되는 가동 기중기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임과 레일설비가 기중기 지지구조에 일체로 형성되고 적어도 두개의 간격진 일련의 감마지지체 상에서 주행하도록된 엔드 비임으로 대치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거어더에 장착된 호이스트와 양단에서 거어더를 지지하는 한쌍의 엔드비임과 예정된 트랙을 따라 호이스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트랙을 따라 주행 하도록 된 기중기에 있어서, 상기 트랙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트랙을 형성하는 불연속적인 일련인 고정, 활주지지체 상에서 엔드비임을 주행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지치 추진장치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또, 활주지지체는 트랙을 따라 균등한 거리를 두고 배치하고, 엔드비임의 길이는 인접한 지지체간의 거리의 적어도 두배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엔드 비임에 고착됨과 동시에 그를 따라 연장되는 피동부재와, 이 피동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활주지지체에 하나걸러 마다 결합되는 구동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장치는 엔드 비임에 부착되는 일련의 휘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휘일은 아이들러와 구동기어 모터 사이에서 상기 비임에 의해 지지된 엔들리스 전동체인에 맞물려 있는 스프로켓 기어와 결합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트랙을 따라 일련의 비임과 레일을 설치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간격을 둔 두 평행선상에 불연속적으로 활주 지지체(A)를 배치하고 그 활주 지지체(A)를 따라 두개의 엔드비임(B), 더 자세히는 거어더(C) 및 호이스트(D)를 탑재한 엔드비임을 이동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지지체(A)들간의 길이방향 간격(a)은 상황에 따라 기술적, 경제적, 건축적 및 설계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는데 일예로 옥내형의 천장기중기의 경우 지지체(A)는 빌딩을 지지하는 기둥(E)의 상부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는 기둥에 의해 기중기 레일용 비임을 지지케 하는 기존의 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일례로, 갠트리 기중기에 있어서는 지지체(A)는 바닥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기둥이 없으므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접촉 평면을 보유하는 엔드비임(B)은 그 길이가 트랙의 두 인접지역 지지체(A)간의 최대전장, 즉 2a보다 다소 길게 되어 있고, 따라서 호이스트(D)의 거어더(C)가 띄엄띄엄 떨어진 지지체(A) 트랙을 따라 지지체위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중에 엔드비임은 항상 적어도 2개 필요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의 지지체(A)위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제2(a)도 내지 제2(c)도에서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각각의 엔드비임(B)에는 기중기의 활주이동(혹은 구름 이동)의 원활을 꾀하기 위하여 베이스바아(2)가 제공되기도 하는데, 상기 바아(2)는 비임(B)의 바닥에 부착됨과 동시에 그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테이퍼면(6), (8)을 가진 닙(4)을 형성하고 있다.
이 닙(4)은 정열된 지지체(A)에 대해 베이스바아가 연속하여 통과하게 될때에 이들의 충돌을 방지하게 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거어더(C)의 휨 및 항상변화하는 응력조건뿐만 아니라 수직 및 수평평면 상에서 정렬에 관계하는 작고 우연한 불규칙적 변화에 관계없이 지지체(A)에 대한 바아(2)의 유연한 결합을 보장해 주도록 작용한다.
물론 베이스바아(2)는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생략하고 있다.
제3(a)도 내지 제3(c)도에는 활주 또는 마찰이 없는 지지체(A)에 대한 각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3(a)도에 있어서는 기둥(E)의 상부에 엔드비임(B) 또는 베이스바아(2)의 바닥 및 측부에 대한 활주면을 형성하는 라이닝판(10)이나 더욱, 엔드비임의 유연한 활주이동을 조장할 수 있도록 자유회전 가능한 로울러 무한궤도형드라이브 (도시안됨)등이 설치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로울러 또는 무한궤도형드라이브의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라이닝판이나 무한궤도형 드라이브는 엔드빔의 저부평면 또는 베이스바와 접촉되어 이들의 원활한 동작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엔드비임이 기중(E)을 거쳐 이동할 때 측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한쌍의 안내브래킷(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브래킷은 엔드 비임 또는 베이스 바아의 측면에 접촉된다.
제3(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체는 엔드빔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로울러(18)가 판(14)위에 구성된 한쌍의 브래킷(16)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로울러(18)의 플랜지부(20)는 그 사이에서의 엔드비임의 적합한 선행주행을 보장하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엔드비임의 선형 주행을 위한 또다른 제3(c)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유회전 가능한 로울러(24)가 장착된 브래킷(16') 그리고 수직으로 장착되고 자유회전 가능한 안내로울러(26)를 구비하고 있는 판(22)이 제공되고 있다.
제4도 내지 제6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한 각기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제4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련의 외팔보식 쇼율더(F)(제1도에 되시된 수직기둥(E) 대신에)에 의하여 지지체(A)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은 옥내형의 천정 기중기에 가장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5도에는 현수형 기중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지지체(A)는 제5도의 좌.우측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물의 천정프레임에 연결된 즉 매달린 단일 또는 이중의 콘소울(G)에 설치되게 되고, 거어더(C)는 엔드비임(B)의 상측에서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엔드비임(B)에매달려서 지지되게 되어 있다.(제1도와 비교)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5도의 경우와 장착형태를 달리하는 것으로 그에 있어서는 지지체를 보유하는 콘소울(G')이 역 T자형 비임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제7(a)도 내지 제7(d)도는 일예로 원형 또는 만족된 형의 비선형 트랙에 본발명은 적용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원형트랙의 경우에는 (원자로 설비에 있어서와 같이)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중앙지지체, 즉 피벗(A')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7(b)도에는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두개의 엔드비임(B)을 가지고 잇는 기중기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엔드비임(B)은 중앙피벗(A')없이 지지체(A')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7(c)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선상을 따라 지지체(A)가 배치되고, 또한 두개의 호형 엔드비임이 동심적으로 베치되게 되어 있는데, 이 경우 필요하다면 내측 또는 외측의 트랙이 어느 것도 연속된 레일(기존의 형태와 같이)로서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활주점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제7(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막곡된 형상의 트랙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유사한 구성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원직적으로 본 발명을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기중기의 거어더(C)의 구조는 기중기의 형태가 단일거어더를 구비하고 있는것, 복수의 거어더를 구비하고 있는것, 또는 그의 다른 형태의 것이든 기존의 구조와 동일하게 되는 반면 에드비임(B)의 설계상에는 수정이 가해져야만 하는데 이점에 대하여는 제8(a)도 내지 제8(d)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엔드비임(B)이 한번에 많아야 3개의 점, 즉 지지체(A)상에 지지되는 것으로 하겠으나, 지지체간의 간격을 감소시키거나 아니면 비임의 길이를 증가시켜 엔드비임을 3개보다 많은 갯수의 지지체상에 지지 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우기, 지지체간의 거리(a)는 항상 기중기의 안전지지를 보장하도록 엔드비임의 길이를 지지체 양측의 두 인접지역의 최대 전장보다 길게하는 한도내에서 변경시킬 수 있다.
제8(a)도에는 엔드 비임(B)세개의 지지체 (A1), (A2), (A3)상에 지지되어 있고, 거어더(C)가 그 엔드 비임(B)위에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8(b)도에는 엔드 비임(B)이 제8a도의 상태에서 이동하여 두 지지체(A2), (A3)상에 지지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상태에서 엔드 비임은 비임이 두개의 지지점에 의해 지지되는 일반적인 경우에 관례적으로 갖게되는 전하중, 응력 및 휨을 가지어야만 한다.
제8(c)도에는 엔드비임(B)이 제8(b)도의 상태에서 이동하여 제3 지지체 (A4)에 도달하기 직전, 즉 2에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상태에서 모든 방향으로의 비임(B)의 휨은 베이스 바아(2)(제2도)가 제공되든지 안되든지간에 자유단(BF)이 지지체(4A)상에 유연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한도는 제한되어야만 한다.
상기 상태에서 주 비임(C)의 하중으로 인한 엔드 비임의 "자연적"인 수직휨은 제8(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약간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음), 엔드 비임의 전방측 자유단부(BF)를 들어올리게 되어 유용하게 작용하게 된다.
비임(B)의 단부와 지지체(A4)간의 방해없는 접촉을 더욱 조장시킬 수 있도록, 보조기구(도시안됨)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상기 보조기구는 엔드 비임의 단부(BF)가 지지체(A3)를통과하여 다음 지지체(A4)에 도달할때 엔드비임 또는 그의 단부(BF)의 위치 및 형태를 변경시키도록 작용한 것이다.
또한, 엔드비임을 픽업 시킬 수 있도록 지지체를 이동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엔드비임 또는 지지체에 스프링, 충격흡수기, 슬라이더, 로울러, 휘일과 같은 안내수단을 설치하여 각각의 엔드비임이 그에 대응하는 지지체에 점차로 그리고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게 보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문제점의 또다른 해결책으로는 엔드비임을 강성의 단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개의 부분으로 구성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일예로 비임의 각부분 사이에 하나이상의 조인트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외팔보식으로 또는 두림에 의해 지지되는 일시적인 상태중에 최대의 평형과 안전을 제공하여 기중기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으로는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즉,
1. 엔드비임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하여, 엔드비임이 두지점상에 지지됐을때 비임의 초과 중량이 외팔보 부분의 중량 및 동적힘과 평행을 이루게 하는것.
2. 고정 또는 가동의 평형추 장치를 설치하는 것.
3. 가이드 또는 브레이스를 사용하여, 지지체로 부터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비임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것.
일예로,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기중기에 두개의 거어더(C1), (C2)를 제8(c)도에 있어서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하중의 일부가 지지체(A3)보다 높은 위치에서 그리고 지지체의 수직 상방으로 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작용하게 되어 기중기의 전복의 위험이 크게 된다.
이러한 위험은 엔드비임(B)의 길이를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일의 거어드를 설치한 경우보다 길게하면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하중(또는 무게중심)이 지짙체(A3)를 거쳐 그를 벗어나기 전에 엔드비임이 이미 제9(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지지체(A4)에 의해 지지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하중을 더 많은 갯수의 지지체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제10(a)도 내지 제10(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비임의 길이를 보다 길게 하거나 아나면 엔드비임을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비임부(G1), (G2)로 분할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는것은 다수의 거어더를 구비한 기중기 또는 폭이 넓은 기중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엔드비임(B)을 구성하는 각가의 "비임부"(G)는 인접하는 두 지지체(A)간의 거리(a)보다 긴 길이를 가져야만 한다. 그 외의 모든 점에서 엔드비임(B)의 구조 및 형태는 비임 및 외팔보에 대하여 모든 방향으로의 휨을 제한시킨 상태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정적 및 동적 하중 및 힘을 지탱할 수 있게 적용할 수 있는 공학적인 고려사항에 따라 적합하게 설계되고 계산되어져야만 한다.
이하, 제11(a)도 및 제11(b)도를 참조하여 하중을 하나의 기중기로 부터 다른 기중기로 또는 한옥내에서 다른 옥내로 이동시킬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 방법 및 수단에 관하여 설명한다.
빌딩과 나란히 연장되는 레일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일측의 기중기는 다리(J1)와 지면 높이의 엔드비임(B2) (제11(a)도에서의 좌측)에 지지시킨 반갠트리 기중기로 하고, 타측의 기중기는 다리(J2)와 중간 높이의 엔드비임(B3) (제11(a)도에서의 우측)에 지지시킨 특수한 다리형 기중기로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거어더(C1), (C2)는 다리(J1), (J2)사이로 (또는 다리의 곁을 따라)돌출하도록 연장되며, 하중을 받고 있는 호이스트(D)를 용이하게 엔드비임(B3)위에서 또는 필요하다면 연결부재(H)의 중간에서 일측으로 부터 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도록 일렬로 배치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은 다른 비현수성의 천정기중기에 대하여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고, 또한 레일을 구비한 기존의 기중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나, 이 경우에는 낮게 위치된 트랙의 비임 및 레일에 의해 옥내에서의 또는 옥내간의 기중기의 이동이 방해될 수도 있다. (특히, 기중기가 옥내 사이에 위치된 문을 통과하는 경우).
기중기를 견인하는데 있어서는, 두말할 나위도 없이 기존의 와이어, 케이블등의 견인장치를 본 발명의 목적에 적용할 수 있는데, 그러나 "레일이 없는"특징을 갖춘 신규의 장치를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문에서는 여러 다른 추진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12(a)도 및 제12(b)도에는 비임(B)중 적어도 하나에 톱니가 형성된 랙(또는 전동체인의 직선부)(K)이 부착된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지지체(A)의 선상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즉 제2지지체 마다 피니언(또는 스프로켓 휘일)(L)(제12(b)도)이 랙(K)과 결합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피니언은 기어모터(M)과 같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양방향으로 모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M)의 회전력은 피니언, 랙을 거쳐 엔드비임을 이동시킨다.
엔드비임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적합한 감마수단을 거쳐(A)상에서 활주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엔드비임이 이동할때 랙의 끝에서 피니언이 이탈되기 전에 랙의 앞에서 새로운 피니언을 접속 시키기 위하여 랙의 길이는 두개의 종동 피니언간의 거리보다 약간 길게 되어야만 한다.
제13(a)도 및 제13(b)도에는 제2기둥(E)마다 장착되고 트랙을 따라 이격 배치된 일련의 선형모터(N)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엔드비임(B)을 따라서는 레일(P)이 장착되어 상기 선형모터의 피동부재(아마튜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이외의 구조는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동장치는 각각의 기둥(E)의 상부에 직립배치된 일련의 지지휘일(Q)을 구비하고 있는데, 모든 휘일(Q)을 동일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엔드빔의 안정된 이동속도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체에는 잭킹장치(R)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잭킹장치는 유압피스톤(도시된 바와 같은), 너트 및 나사장치, 레버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잭킹장치(R)에는 로울러(S)가 설치되어, 잭킹장치 상에서의 비임(B)의 활주 이동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잭킹 장치가 일단 비임(B)을 들어올려 구등휘일(Q)로 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기중기의 이동은 정지되고, 다시 기중기를 구동휘일에 접촉시키게 되면 기중기의 이동은 속행되는 것이다. 이때의 기중기의 이동속도 및 방향은 기중기 조작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구동휘일은 그룹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한꺼번에 모두가 항상 구동하게 되지는 않는 것이다.
제15도에는 체인형구동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에 있어서는 아이들러(U罕)에 의지되고 기어모터(U)에 의해 구동되는 엔드레스 체인(T)이 한번에 적어도 세개의 스프로켓(V)과 결합되게 되며, 상기 스프로켓은 동축적으로 배치된 지지휘일(W)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지지휘일(W)상에 지지된 엔드비임(B)은 엔드레스 체인(T)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의 천정형 체인 컨베이어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것이나, 본 발명의 특정조건에 부합시킬 수 있도록 개조되어 있다.
끝으로, 제16(a)도 및 제16(b)도에는 신규의 "레일이 없는"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장치의 적합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버스바아(BUSBAR)에 의한 전역공급장치는 기술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것으로 버스바아(Y)(폐쇄형 또는 개방형)는 엔드비임에 고정되어 있고 버스바아내부의 가이드 브러쉬에 접전장치(도시안됨)를 구비한 트롤리(X)가 접촉되어 이동되는 버스바아에 전력을 공급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트롤리에 접속된 리드선은 버스바아에 메달려 끌려 다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기중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에 의해 긴 트랙을 따라 지지체(A)에 다수의 집전장치(X)를 배치하고 엔드바에 장착된 버스바 내부의 브러쉬를 정위치에 고정된 트리롤리에 접속시켜 엔드바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경우 버스바아(Y)의 길이는 두 집전 장치간의 거리 (즉, 경우에 따라 거리 또는 2a)보다 더 길게 되는 것이며, 트롤러(X)는 버스바아 내부의 브러쉬에서 미끄러지면서 전기적인 접속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버스바아 트랙의 단부에는 집전장치를 활주 이동중에 버스바아와 안전하게 접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슬라이더 또는 그외의 다른 장치가 설치되게 되는데, 이에 관련하여 고정된 버스바아의 부분상에서 주행하는 집전장치를 갖는 트롤리가 모노레일 및 그외의 다른 식의 장치에서 공지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역의 구성을 기중기에 적용시키는 것은 신규한 것으로 다음과 갖은 잇점, 즉 전체라인을 기중기의 지지체 사이의 레일로 사용할 필요성을 배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이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은 "레일이 없는"장치의 다른 특성과 조화되게 된다는 잇점을 제공해 준다.
공기압식 구동장치에 잇어서는 버스바아를 내장하도록 하는 구성의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의 것도 물론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추진장치에 관해 설명한 것은 단지 임의로 선택한 것일뿐이고, 그외의 다른 장치 및 방법, 즉 와이어 로프 또는 체인 견인장치, 푸시풀식 실린더 및 피스톤 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엔드 비임상의 적당한 지점에 무한궤도의 구동기를 설치하거나 각각의 지지체에 구동모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명의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간격을 띄운 활주 지지체를 트랙을 따라 배치하였고 이러한 활주지지체는 때때로 기둥에 장착되며 활주지지체 위에서 주행되는 엔드비임의 길이를 한때 인접한 3개의 지지체에 걸칠 수 있게 하였고, 앤드 비임은 활주지지체와 미끄럼 접촉을 위한 평면을 보유하고 앤드 비임에 톱니를 가지는 랙을 피동 부재로 부착하며 이러한 피동 부재는 기둥 또는 활주지지체에 부착시킨 기어 모터의 피니언과 작동적으로 연결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기용 지지 추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앤드비임에 지지체와의 접속부재인 베이스 바아를 부착하며, 베이스 바아의 양단에 비임의 양단으로 돌출된 안내 데이퍼 면을 갖는 닙을 형성시킨 기중기용 지지 추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활주지지체는 앤드비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판위에 횐전가능한 로울러로 구성시킨 수단의 기중기용 지지 추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로서 앤드비임은 아이들러에 의지되어 있으면서 기어모터로 구동되는 앤드레스 체인을 구동부재로서 보유하고, 상기한 앤드레스 체인은 휘일에 고정된 스프로켓에 접속되어 앤드비임을 구동하게 되어 있는 기중기용 지지 추진 장치.
KR1019840003626A 1983-07-15 1984-06-25 기중 기용 지지 추진장치 KR880000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69240 1983-07-15
IL69240A IL69240A (en) 1983-07-15 1983-07-15 Propulsion means for hoist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119A KR850001119A (ko) 1985-03-16
KR880000177B1 true KR880000177B1 (ko) 1988-03-12

Family

ID=1105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626A KR880000177B1 (ko) 1983-07-15 1984-06-25 기중 기용 지지 추진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4561551A (ko)
EP (1) EP0131767B1 (ko)
JP (1) JPH06638B2 (ko)
KR (1) KR880000177B1 (ko)
AT (1) ATE23843T1 (ko)
AU (1) AU566692B2 (ko)
BR (1) BR8403421A (ko)
CA (1) CA1236144A (ko)
DE (1) DE3461454D1 (ko)
ES (1) ES533795A0 (ko)
GR (1) GR82140B (ko)
IL (1) IL69240A (ko)
MX (1) MX160453A (ko)
ZA (1) ZA845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0995A (ja) * 1985-11-29 1987-06-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ビン建屋
JPS6314961A (ja) * 1986-07-07 1988-01-22 日高機材株式会社 建設現場における機材の水平移動装置
US5030055A (en) * 1989-05-22 1991-07-09 Millard Manufacturing Corp. Physically integrated manufacturing and materials handling system
US6009994A (en) * 1996-12-30 2000-01-04 Jervis B. Webb Company Modular conveyor system
BRPI0702849A (pt) * 2006-03-23 2008-04-01 Clipper Windpower Technology nacela de turbina de vento com guindaste de serviço integral para acessar os componentes da turbina
US8070000B2 (en) * 2009-10-23 2011-12-06 Vestas Wind Systems A/S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wind turbines
MX340079B (es) * 2011-04-01 2016-06-24 Foster Wheeler Corp Metodo y sistema para levantar y manipular una carga.
US20130302133A1 (en) * 2012-05-14 2013-11-14 Ftsi, Llc Lifting device
CN103663132A (zh) * 2012-09-18 2014-03-26 颜可仁 双船门式起重设备
JP6063322B2 (ja) * 2013-03-28 2017-01-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配管の支持装置および配管の支持方法
CN105384065B (zh) * 2015-12-18 2018-02-09 天津胜富辉嘉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天车的横移装置
TWI632104B (zh) * 2017-08-31 2018-08-11 潤弘精密工程事業股份有限公司 用於廠房內固定天車軌道之裝置及使用該裝置之載物系統
CN108128698B (zh) * 2017-12-21 2020-08-28 合肥市春华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桥式起重机桥架
NO344889B1 (en) * 2018-06-06 2020-06-15 Autostore Tech As A service vehicle,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ing such a service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CN115092826B (zh) * 2022-07-09 2023-03-24 山东天源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组件的龙门吊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61A (en) * 1891-07-21 Sylvania
US1745045A (en) * 1926-08-14 1930-01-28 Robert T Romine Portable crane
DE653770C (de) * 1933-02-24 1937-12-02 Demag Akt Ges Verladebruecke, deren Brueckentraeger laengs verschieblich auf zwei senkrecht zur Brueckenlaengsachse verfahrbaren Brueckenstuetzen gelagert ist
US2353437A (en) * 1943-01-23 1944-07-11 Whiting Corp Electric traveling hoist
US2453401A (en) * 1945-09-25 1948-11-09 Hiram O Beeching Live jump roll
US2524189A (en) * 1946-06-10 1950-10-03 Murray G Clay Hook structure
DE953006C (de) * 1952-02-10 1956-11-22 Schlosser & Co G M B H Laufkran mit neigbarer, quer zur Foerderrichtung angeordneter Laufschiene zum Abnehmen des Foerdergutes von Seilfoerderanlagen
US3153391A (en) * 1959-09-23 1964-10-20 Cleveland Crane Eng Overhead carrier-type material handling system
US3650215A (en) * 1970-05-18 1972-03-21 Behring Corp Movable crosstrack for bridge crane
US3853209A (en) * 1970-12-18 1974-12-10 Chicago Bridge & Iron Co Traveling bridge with power-cable reel rotated in response to bridge movement, sliplessly and with uniform tension
DE2130171A1 (de) * 1971-06-18 1973-01-04 Demag Ag Kran-kopftraeger mit lager fuer die laufraeder
FR2263176A1 (en) * 1974-03-05 1975-10-03 Francaise Convoyeurs Sa Overhead conveyor for individual loads - has rollers, some motor driven, on overhead supports to carry loads
US4181231A (en) * 1977-08-22 1980-01-01 Paceco Division of Fruehauf Corporation Polar wye crane
US4336889A (en) * 1980-10-27 1982-06-29 Fmc Corporation Ring supported truck crane and method of setting 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160453A (es) 1990-03-02
US4561551A (en) 1985-12-31
IL69240A0 (en) 1983-11-30
IL69240A (en) 1986-08-31
GR82140B (ko) 1984-12-13
EP0131767B1 (en) 1986-11-26
ATE23843T1 (de) 1986-12-15
BR8403421A (pt) 1985-06-25
DE3461454D1 (en) 1987-01-15
JPS6040397A (ja) 1985-03-02
CA1236144A (en) 1988-05-03
ES8504614A1 (es) 1985-05-01
EP0131767A2 (en) 1985-01-23
JPH06638B2 (ja) 1994-01-05
ZA845048B (en) 1985-02-27
AU566692B2 (en) 1987-10-29
KR850001119A (ko) 1985-03-16
AU2942384A (en) 1985-01-17
ES533795A0 (es) 1985-05-01
EP0131767A3 (en) 198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177B1 (ko) 기중 기용 지지 추진장치
CN101559905A (zh) 一种缆载吊机
US5476156A (en) Rail assembly for a stationary inclined elevator
JP4264470B2 (ja) 橋桁部材の架設方法および架設装置
CN113202020A (zh) 一种适用于箱型拱肋检查的拱肋检修车
CN108842612B (zh) 桥梁作业平台车
CN113123231A (zh) 一种回转升降式桥梁检查车
CN110040638B (zh) 一种安装悬索桥劲性梁的缆载吊机装置及安装方法
US3650215A (en) Movable crosstrack for bridge crane
US2663435A (en) Car parking system and structure
CN113235460B (zh) 用于桥梁悬臂拼装的预制节段荡移法
CN209636634U (zh) 一种可调节的桥梁桥底检查车
CN2388169Y (zh) 环形无轨起重机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CN109397251B (zh) 一种悬挂式机械臂移动系统及过跨的方法
CN2191853Y (zh) 无轨起重机
CN113697666B (zh) 一种可实现轨道式桅杆起重机变轨的方法
RU2774693C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онсольный кран
CN215405581U (zh) 一种适用于箱型拱肋检查的拱肋检修车
SU1066111A1 (ru) Поточна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 лини сборки и монтажа мостовых кранов
SU1523531A1 (ru) Мостовой кран
RU62919U1 (ru) Мостовой кран опорны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ругового действия
JP2005206355A (ja) ケーブルクレーン
CN207330170U (zh) 一种起重设备的可移动支撑装置
CN115627690A (zh) 一种桥梁梁底检查车轨道及附属件安装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