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721B1 - 표면에 심관(芯管) 고정용 로울러(spool fixing roller)를 설치한 권축(券軸) - Google Patents

표면에 심관(芯管) 고정용 로울러(spool fixing roller)를 설치한 권축(券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721B1
KR870001721B1 KR8203229A KR820003229A KR870001721B1 KR 870001721 B1 KR870001721 B1 KR 870001721B1 KR 8203229 A KR8203229 A KR 8203229A KR 820003229 A KR820003229 A KR 820003229A KR 870001721 B1 KR870001721 B1 KR 870001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
recess
roller
shaf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425A (ko
Inventor
오까 히로시 가다
Original Assignee
오까 히로시 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6113619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70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61206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222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6161975A external-priority patent/JPS5863643A/ja
Application filed by 오까 히로시 가다 filed Critical 오까 히로시 가다
Publication of KR84000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6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relative rotation around the supporting spindle or core axis
    • B65H75/247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expansion caused by relative rotation around the supporting spindle or core axis using rollers or rods moving relative to a wedge or cam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Web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표면에 심관(芯管) 고정용 로울러(spool fixing roller)를 설치한 권축(券軸)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권축의 2실시예의 전체설명도로, 양자는 로울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각리세스(recess)에 부착한 로울러지지체가 서로 다르다.
제3도는 권축주면을 횡방향으로 절단시켜 형성된 리세스의 1실예의 평면도.
제4도는 리세스를 가진 권축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도, 제4도의 리세스에 설치한 로울러지지프레임의 1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3도, 제4도의 권축에 제5도의 로울러지지프레임을 설치하고 로울러를 수용하여 심관을 권축의 외주에 알맞게 설정시킨 상태의 부분단면도.
제7도와 제8도는 2종류의 로울러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평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단면도.
제11도는 그 로울러지지프레임의 저면도(bottom view).
제12도와 제13도는 각각 제11도의 XII-XII선과 XIII-XIII선 단면도.
제14도와 제15도는 각각 제9도의 튜브형상로울러(tubular roller)와 유동축바(free cylindrical bar)의 설명도.
제16도는 튜브형상 로울러의 작용설명단면도.
제17도는 그 튜브형상로울러의 부분 종단면도.
제18도와 제19도는 로울러의 다른 2실시예 설명도.
제20도와 제21도는 각각 튜브형상로울러의 구속수단(restraining means)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2실시예의 평면도.
제22(a)도-제26(a)도는 각각 리세스의 실시예의 측면도.
제22(b)도-제26(b)도는 각각 상기 제22(a)도-제26(a)도의 실시예의 평면도.
제27도는 다각형 바로 형성한 권축의 1실시예의 단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실시예의 전체 설명도.
제29(a)도, 제29(b)도, 제29(c)도는 각각 심관지지구(spool supportinng device)를 갖춘 권축에 본 발명을 응용한 실시예의 설명도.
제30도는 상기 심관지지구의 1실시예의 평면도.
제31도는 상기 심관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종단면도.
제32도는 제31의 횡단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을 심관 어댑터(edge adapter far spool)에 응용한 1실시예의 단면도.
제34도는 심관을 권축에 대하여 어느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그 심관을 권축에 고정(lock)시킬 수 있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평면도.
제35도는 제34도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36도는 제34도의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37도, 제38도, 제39도는 리세스가 완전한 평면이 아닌 경우 각각 본 발명의 다른 3실시예의 횡단면도.
제40도와 제41도는 로울러지지프레임을 사용하지 아니한 타입의 리세스의 실시에를 각각 나타낸 횡단면도.
제42도와 제43도는 측벽과 횡방향요홈을 가진 동일타입의 리세스를 각각 나타낸 종단면도.
제44도와 제45도는 동일타입의 리세스의 1실시에로서 횡방향절단을 그 절단 전체 길이의 중간에서 중지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횡단면도와 평면도.
제46도는 권축외주가 칼라(collar)군으로 구성된 복합 권축(composite winding shaft)을 나타낸 단면도.
제47도와 제48도는 상기 복합권축의 일부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
제49도와 제50도는 상기 칼라의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횡단면도.
제51도와 제52도는 복합권축의 요부를 각각 나타낸 횡단면도 및 평면도.
제53도는 다른 모델의 복합권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권축(winding shaft) 1' : 복합권축
1a : 다각형바(polygonal bar) 1b : 심관지지구(spool supporting device)
1c : 심관어댑터(spool adapter) 2, 2' : 리세스(recess)
3, 3a, 3b, 3c : 로울러지지프레임(supporting frame)
4 : 소형로울러(smaller rollers : rolling bars)
5 : 나사구멍
6 : 창구멍(window hole) 6a : 좌우측벽
6b : 전측변 6c : 후측변
7 : 영구자석 8 : 돌기
9 : 가는축(slender axle) 9a, 9b : 축
10, 10' : 코일스프링 11 : 횡방향요홈(lateral grooves)
13 : 부분원통(surface segment) 31a : 창없는 부분원통
14 : 절결부(out portion) 15 : 플랜지
16 : 내측로울러(inner rollers)
17 : 원통형 지지바스킷(cylindrical supporting basket)
18 : 고정구멍(fixing hole) 19,24 : 요홈(groove)
20 : 강제볼(steel ball) 21 : 고정핀
22 : 소켓 23,23a : 나사
25 : 칼라(collar) 25a : 마찰바퀴
26 : 고무호스(rubber hose) 27 : 마찰러그(fricting lug)
28 : 정지핀(stop pin) 29 : 양측벽
30 : 암나사 31 : 가압스프링
S' : 축헤드(shaft head) S : 구동축
C : 심관(spool)
본 발명은 시이트재 스트립(strip)의 권축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히 말하면 표면에 심관고정용 로울러를 설치한 권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권축(卷軸)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리세스(recess)를 형성하고, 그 리세스에 소형로울러를 설치하여 소형로울러가 리세스내에서 롤링(rolling)하면서 그 리세스에서 이탈하지 않게 구성하고, 권축의 외주면에 시이트권취용 심관을 끼워 약간 회전시킬경우, 소형로울러가 심관과 권축사이의 간극에서 끼워지게 이동되어 양자를 고정시킴을 요지로 하는 권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권축에 심관을 끼워 고정하고, 그 상면에 시이트(sheet)를 권취할때, 축과 심관(芯官)이 함께 회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권축에 축 방향으로 블레이드(blades)를 착설하여 심관을 삽입과 인출할 수 있게하고, 회전은 축과 함께 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은 심관내면을 손상시키며, 심관의 정착과 발취가 원활하지 못한 결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권축에 블레이드를 부착하는 대신 권축내부에서 다수의 마찰러그(lug)가 공기압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돌출되어 심관(spool)내면을 압압하여 마찰구동(frictional drive)을 하는 방식이 널리 채택되었다.
"에어. 샤프트(air shaft)"라고 부르는 본 방식은 블레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반면, 상기 마찰러그를 권축내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압출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로 되어 제조할때 비용이 고가이며, 고장을 발생하는 요인이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종래에는 권축의 길이 전체에 걸쳐 1개의 리세스를 형성하고, 심관을 끼운 다음 리세스에 길이가 긴 바(bar)를 끼우며, 또 그 긴바를 미리 리세스내에 넣어 탈락하지 않게 하는 개량형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권축과 심관의 간극에 1개의 긴 바(long bar)를 넣는 것으로 되어 그 권축과 심관은 같은 축으로 유지될 수 없으며 심관은 그 국소(局所)를 변형시킨다.
종래의 장치에서 권축이 회전하면 심관은 편심회전하므로 최근의 고속화된 권취작업에서는 치명적인 결점이 되었다.
더우기, 쐐기(wedge)로서 둥근바(round bar)를 삽입할 경우, 둥근바가 길어 심관내면과의 접촉압이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지 못하여 일측 단부만이 심관내면에 침식되고, 타측은 고정작용(locking action)을 하지 못한다.
또한, 긴 리세스에 짧은 로울러를 삽입하면 로울러가 삽입되지 않은 리세스상의 심관주벽은 시이트권취압에 의하여 다소 요입되는 (recessed) 경향이 발생되어 정밀권취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이 방식은 현재 일반적으로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각종 심관고정(locking) 방식의 권축에서 발생하는 결점이 없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심관에 상처가 생기지 않으며, 심관의 국소변형(local deformation)이 없고 심관의 편심회전이 없는 간단하고 저렴한 권축(winding shaft)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축외주에 시이트권취용 심관을 축단에서 삽입하고 약간 회동시키면 권축표면상에서 다수의 소형로울러의 이동에 의하여 심관이 편심되지 않도록 여러 위치에 분산된 압력으로 권축에 고정되어 역방향으로 약간 되돌리면 풀어지는 권축 또는 외주가 칼라군(群)(group of collors)으로 구성된 복합권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권축외주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요홈을 형성한 평평한 리세스에 설치한 소형로울러가 회전이동이 가능하고 심관을 외삽(外揷)하지 않을때에도 탈락이 되지 아니하는 권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하나의 목적은 권축의 기계가공을 최소로 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권축표면의 리세스에 설치한 소형로울러가 회전이동을 할 수 있고, 탈락이 되지 않도록한 가장 실질적이며 유효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각형바(polygonal bar)의 각면에 소형로울러와 그 구속수단(restraining me-ans)을 부착함으로써 심관내주면에 적합하고 심관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권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개의 긴 권축이 아닌 심관의 내부를 국부적으로 지지하는 심관지지구의 표면에 리세스를 형성하고 소형로울러를 설치하여 이것을 구속(拘束)한 특수권축(special winding shaft) 또는 심관 어댑터(spool adapter)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권축의 평평한 리세스 중앙에 설치한 소형로울러가 심관과 권축의 상대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고정작용(locking action)을 하는 권축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 설명의 목적을 달성한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면 시이트권축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설치한 리세스로서 이것은 권축주면을 주어진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삭한 평단면이며, 상기 권축의 축심에 평행한 자세로 상기 리세스상에서 회전이동할 수 있는 로울링바(rolling bar)로서 이것은 권축외주면에서 가장 깊은 위치에 있을때에도 그 일부가 약간 권축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그 위치에서 회전이동을 할수록 보다 크게 외측으로 돌출하는 굵기(thickness)를 가지며, 상기 로울링바를 상기 리세스상에서 로울링할 수 있고 탈락할 수 없게 구속하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 표면에 심관고정로울러를 설치한 권축이다.
상기 로울링바는 권축외주면에 등(等) 간경으로 분포되어 있어 심관은 항상 권축과 동심으로(concentri-cally) 수속된다.
상기 로울링바는 비교적 짧아 일단만이 심관에 접촉하여 앞으로 전진(轉進)함이 없이 항상 평행이동한다.
상기 리세스는 권축외주면을 주어진 폭으로 횡방향으로 절단을 하여 평탄하게 할 뿐이어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축 방향에서 짧고 상기 로울링바가 들어있지 않은 부분은 다른 부재로 채우게 되므로 심관주벽이 시이트권축 압력에 의하여 변형될 열려가 없다. 더우기 소형로울러를 특히 로울링바로 호칭하는 것은 둥근바(round bar)의 로울러에 한정하지 않고 돌기바, 다각형바, 튜브(tubes)도 포함되기 때문에 아래에서는 소형로울러로 부를 경우에도 상기 로울링바를 의미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권축(1)에 심관(spool) C를 끼우고 그 외주면에 시이트를 감거나 또는 감은 시이트롤을 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권축(1)은 길이방향에서 등간격으로 3개의 위치를 가져, 각각의 위치의 원주방향에도 등간격으로 3개의 평탄한 리세스(2)를 횡성하고(제4도 참조), 각 리세스(2)에 적합한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각각 고정하며 소형로울러(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도의 실시예는 형식적으로는 제1도의 실시예에 속한다.
그것은 로울러지지프레임(3)이 제1도의 로울러지지프레임(3)에서와 같이 프레임형이 아닌 좌우 한쌍의 대향프레임으로 된점만이 다른예로 나타낸 것이다. 그 대향면에는 제7도, 제8도,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로울러(4), 구속용횡방향요홈(11)을 형성하여 소형로울러(4)의 탈락을 방지한다.
제1도의 리세스(2)의 평면도는 제3도로, 단면도는 제4도에 확대하여 나타낸다.
여기에 설치한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평면도를 제5도에 나타낸다.
이것을 리세스(2)에 설치하여 소형로울러(4)를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창(개구부)에 가진 사용상태의 단면도를 제6도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부분을 리세스(2), 소형로울러(로울링바)(4) 및 로울러 구속수단(roller retain-ing mean)이다.
리세스(2)는 시이트의 권축(1)의 외주면상에서 주면방향에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그것은 둥근바인 권축의 주면을 주어진 폭으로 횡방향 절단하여 된 평탄면이다.
이 횡방향절단은 절삭블레이드(cutting blade)를 권축의 일측에서 반대측까지 횡단하지만 중간에서 절삭을 중지할 수도 있다.
전자의 실시예는 제3도, 제4도에서, 후자의 실시예는 제44도, 제45도에서 나타낸다.
어느 것이나 대형밀링선반(milling lathe)에 각각 120mm, 20mm의 엔드밀(end mills)을 사용하여 축에 직각으로 1행정(one stroke)에 의하여 왼료된다. 종래의 고정식 권축(locking type winding shaft)에 의하여 축의 길이 방향으로 리세스를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면 간단히 그 리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소형로울러(원형바에 한정되지 않고 돌기바, 다각형바, 변형단면바, 외형이 같은 튜브이면 가능)(4)는 권축(1)의 축심에 평행된 자세로 리세스(2)상을 로울링할 수 있는 것으로서, 권축(1)의 주면에서 제일 깊은 위치에 있을때에도 그 일부가 약간 권축(1) 주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그 위치에서 로울링 할수록 보다 크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굵기(thickness)이다.
그 칫수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외경 7mm, 길이 100mm와 길이 50mm의 2종으로 정하였다.
소형로울러의 칫수는 설계자에 의해 선택적이나 굵기와 길이는 위 칫수값에서 크게 증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굵기가 너무 굵으면 편심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고, 길이가 너무 길면 소형로울러가 회전 전진때에 그 권축의 축에 평행이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로울러 구속수단(roller retaining means)은 실시예에 따라 따로 설명하여야 한다.
그러나, 대별하면 로울러의 구속을 위하여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사용하는 것과 사용하지 않고 직접 권축(1)에 고정된 구속부재에 의한 것으로 2분 된다. 우선,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끝으로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사용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면, 제1도의 실시예부터 상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리세스(2)의 양단부는 약간 높은 계단부(step)로 되어 나사구멍(thread hole)(5)을 뚫는다.
이 나사구멍(5)에 의하여 제5도의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나사로 고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상면이 권축(1)의 주면에 일치하도록 되어 있으나, 주면의 내측으로 다소 침강하는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그 로울러지지프레임(3)은 소형로울러(4)를 직진하도록 안내하고 전진(轉進)거리를 규제할 수 있으며, 그 리세스에서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3-6도의 실시예에서 소형로울러(4)의 로울링운동(rolling motion)은 소형로울러(4) 단면이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창구멍(window hole)(6) 좌우측벽(6a)에 의하여 직선으로 안내, 규제되어 전진거리 규제수단으로 그 창구멍(6)의 전후측변(6b),(6c)이 스톱퍼(stoppers)로 작용한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는 소형로울러(4)의 탈락방지 수단으로 창구멍(6)의 후측변(6c)의 영구자석(7)을 매설하고 있으므로, 이것이 실질적인 스톱퍼가 되고 있다.
제6도의 소형로울러(4)는 도면의 실선위치, 즉 리세스(2)의 깊은 위치에서는 심관(spool) C의 내주면에 접촉삽입되면 구속할 정도의 강한 압력은 없다,
권축(1)을 심관 C에 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면 소형로울러(4)가 제6도의 점선표시(4'), 즉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앝은 위치쪽으로 전진하여 로울러클러치와 같이 심관 C는 동일원주상에서 각각 3개의 소형로울러(4)에 의하여 권축(1)에 강력하게 구속된다.
구속압력은 분산되므로 심관 C에 국부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권축(1) 또는 심관 C를 역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면 소형로울러(4)는 즉시 실선위치로 돌아오게 되어 구속을 풀게 된다.
그리고, 이 풀어진 위치의 소형로울러(4)는 영구자석(7)에 의하여 흡착되므로 심관 C를 뽑아낸후에도 권축(1)에서 탈락할 염려가 없다.
상기 실시예는 가장 기본적인 것 중에서 1실시예로의 리세스(2), 로울러지지프레임(3), 소형로울러(4) 및 로울러탈락방지수단은 발명의 요지를 변경함이 없이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리셋,(2)를 후술하는 제22-26도와 같이 변경하거나,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제2도와 같이 한쌍의 대향편(opposed piecs)으로 하거나, 또는 오울러지지프레임(3)의 전측변(6b)을 없이하고, 좌우측벽(6a)와 후측벽(6c)만으로 된
Figure kpo00001
자형으로 프레임으로 하며, 소형로울러(4)의 전면스톱퍼(front stopper)로는 별도로 리세스(2)상에서 정지나사(set screw)설정하는 등 임의의 방법을 채택하여도 된다.
또한, 소형로울러(4)의 탈락방지수단은 자석이 아니고, 소형로울러(4) 의 양단에 돌기(8)를 돌설하여, 이것이 제7도, 제8도에서와 같이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양측벽에 걸려 탈락되지 않게 하거나 제9도, 제10도에서와 같이 소형로울러(4) 를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내측리세스(2)상에서 로울링 할 수 있는 파이프(pipe)로 하며, 상기 돌기(8)대신 튜브형상의 소형로울러(4)의 내에 가는축(slender axle)(9)을 끼워 그 가는축(9)의 양단부를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양측벽 대향방향횡요홈(11)에 끼워 단거리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또 그 권축의 탈락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형로울러(4) 를 코일스프링(10)에 연결하는 것으로도 탈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술한 자석, 소형로울러의 돌기, 가는축 및 코일스프링 등의 탈락방지수단을 알맞게 조합할수도 있다.
제9도, 제10도의 실시예에서 가는축(9)의 외경에 비하여 소형로울러(4) 의 내경이 크므로 제16도, 제17도에 나타낸 소형로울러(4)가 얇은 위치, 즉 도면의 (4')측으로 전진할때 권축(1)의 외주에서의 돌출량이 제5도, 제6도의 실시예보다도 현저하게 크다.
따라서, 권축(1)과 심판(C)의 간극이 큰 경우에도 돌출량부족으로 구속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 잇점이 있다.
제9도, 제10도의 부품인 로울러지지프레임(3b)의 하면을 제11도에, 그리고 제11도의 XⅡ-XⅡ 단면을 제12도, 제11도의 XⅢ-XⅢ 단면을 제13도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미끄럼 방지를 부설한 튜브형상의 소형로울러(4)를 제14도에 그 유동하는 가는축(9)을 제15도에 각각 나타낸다.
제5도와 제11도의 로울러지지프레임(3)과 (3b)를 비교하면 제11도의 것은 창구멍(window hole)(6)의 좌우측벽(6a)의 하측에 횡방향요홈(Iateral grooves)(11)을 구성한 점이 다르다.
이 횡방향요홈(11)에는 그 가는축(9)의 양단이 삽입되어 그 소형로울러(4)의 전진(轉進)과 함께 횡방향요홈(11)내를 이동한다.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권축(1)의 주면에서 돌출되지 않게 매몰볼트(sunk bolt)(12)로 부착하고 있다.
제16도에서는 소형로울러(4)의 흠착용영구자석(7)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영구자석(7)의 흡인력을 제20도, 제21도와 같이 코일스프링(10)의 견인력으로 바꾸거나 또는 양자를 공용(共用)하거나 코일스프링(10)으로 가는축(9) 양단을 당겨도 된다.
요는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평평한 리세스(2)에 부착함으로써 소형로울러(4) 를 필요한 거리만큼 로울링 할 수 있게 하며, 프레임내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부착한 권축외주에 심관 C을 삽입하고, 권축(1)을 권취 또는 풀림(unwinding)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키면 심관 C내면에 접촉한 소형로울러(4)가 마찰에 의하여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얕은 위치로 전진하여 심관 C를 권축(1)에 구속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소형로울러(4)가 로울러지지프레임(3)의 깊은 위치로 이동되어 심관 C를 권축(1)에서 해방할 수 있는 구조가 되게 각 부품칫수를 정하여 조합한다.
제18도, 제19도에서 소형로울러(4)는 제7도, 제8도의 것과 같은 원통형의 것과 제14도와 같은 튜브형상의 중간적타입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8도의 축(9a)은 짧고 가늘어서 소형로울러(4)의 단면 리세스내에서 유동하여 소형로울러(4)의 탈락을 방지한다.
제19도의 축(9b)는 소형로울러(4)의 단면리세스에 자유롭게 이동하는 큰직경부(major diameter portion)와 횡방향요홈(11)내를 이동하는 작은 직경부로 구성된점이 제18도의 것과 다르다.
이 횡방향요홈(11)은 로울러지지프레임(3)이 아닌 직접 리세스측벽에 굴설(dug)한 예이다.
상기 실시예의 리세스(2)는 모두 제22(a),제22(b)도와 같은 구형 평면형상이다.
그러나, 권축(1)주면을 횡방향으로 절삭할때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블레이형상을 변형하면 제23(a), 제23(b)도에서와 같이 비들기 꼬리형상(dovetail)으로 절삭하여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옆에서 삽입하도록 하거나, 제24(a), 제24(b)도와 같이 리세스측벽을 구부러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상측에 삽입하게 하거나, 제25(a), 제25(b)도와 같이 리세스측벽을 구부림과 동시에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삽입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하여 탄성이 풍부한 재료, 예를들면 플라스틱재료된 로울러지지프레임(3)을 약간 구부러 삽입시키거나 제26(a), 제26(b)도와 같이 리세스측벽에 완만한 경사를 부려하여 응력집중(應力集中)을 피하는 등 설계조건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권축주면에 로우러삽입리세스를 형성하여 로울러가 심관내면과 마찰에 의하여 리세스내를 로울링하여 심관을 고정하거나 분리(unlock)하는 간편한 심관의 착탈식 축을 실용화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의 경우 로울러의 제어와 탈락방지를 권축과는 별개부품의 로울러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실시하므로 길이가 긴 축자체의 절삭가공을 최소화한다.
그리고, 로울러 지지프레임은 별도로 제작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좋게 제작되며, 또한 이것을 정밀주조품, 플라스틱제품으로 하여 양산하므로 강제축(steel shaft)과 이종(異種)재료부품의 복합체로 된 새로운 권축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권축의 사용에 의하여 압축공기압에 의한 심관을 축에 고정하는 종래의 권축의 전술한 문제점은 모두 해결되어 심관의 착탈이 용이하며, 구속, 해방은 심관이 축을 약간 상대회전시키면 된다.
권축의 각 위치에서 같은 방향에 등간격으로 3개씩 배치한 로울러의 구속력은 쐐기방식이어서 강력하며, 더우기, 구속시 심관과 권축의 축심은 강제적으로 대략 일치하게 되어 심관에 국부변형을 일으킬 정도의 로울러 압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요부인 리세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축권의 주면을 횡방향으로 절삭하여 제작한다.
그러나, 다각형바(poly goral bar)의 외주평면을 국부적으로 남겨 리세스로 하며, 기타 부분은 부분원통형을 접촉하여 원형단면으로 하여도 결과적으로 같은 형식이 된다.
제28도가 그 실시예로서 제27도에 그 단면을 나타낸다.
그 요부는 다각형바(1a), 이 경우 6각형바로서 이 다각형바(1a)의 외주의 전부 또는 일부 평면에 부착한 부분(단편)원통(surface segment)(13)이며, 그것은 다각형바(1a) 표면을 시이트권취용 심관내주면에 원활하게 접촉하는 원주면으로 변형하는 표면을 가지며 또한 소형로울러(4)의 로울링면이 되는 다각형바(1a) 표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며, 즉, 이 실시예에서는 절결부(cut portion)(14)를 구비하고, 그 절결부(14)의 내측의 다각형바(1a) 외주평면상을 로울링 할 수 있는 소형로울러(4)이며, 그것은 상기 부분원통(13)의 원주면에서 가장 깊은 위치에 있을때에도 그 일부가 근소하게 원주면에서 돌출되며, 그 위치에서 로울링 할수록 보다 크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소형로울러(4)를 상기 절결부(14)내에서 로울링 할 수 있게 그리고 탈락할 수 없게 구속하는 수단을 구성하여 이경우 소형로울러(4)내에 관통된축(9)와 이것을 수용하는 양측방횡방향요홈(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부분원통(13)과 동일칫수로 창형상의 절결부(14)내지 창없는 부분원통(13a)을 1개 건너마다 배치하고 있다.
그 부분원통(13)은 제16도의 로울러지지프레임(3b)과 완전 동일형이어서 설명을 생략한다.
부분원통(13)을 제2도의 대향하는 로울러지지프레임의 형식으로 할 수도 있다 .
다각형바(1a)의 양단은 통상의 권축(1)의 양단과 동일형으로 가공한다.
이 다각형바를 이용한 권축은 둥근바소재에서 리세스(2)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절삭가공이 생략되는 이익이 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심관 C보다 긴 권축(1)의 표면전체에 길이방향에도 등간격으로 심관고정용 로울러를 배치하는 것이 기본적 실시 형태이다.
그러나 심관 C의 양단만을 지지구로 지지하고 시이트를 권취할 경우 또한 심관 C의 양단에 심관어댑터를 삽입하여 이것을 구동축에 의하여 회동할 경우에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제29도-제32도의 심관 C의 심관지지구(supportingdevice)(1b)의 실시예이고, 제33도는 심관어댑터(1c)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심관 C의 내경에 대응하는 플랜지가 없는 심관지지구(1b) 수개를 구동축 S외주에 삽입하면 제29(b)도, 제29(c)도에서와 같이 길이가 짧은 심관, 여러개의 심관을 고정, 구동할 수 있는 경량권축이 되는 것이다.
제29도-제32도의 실시예는 구동축 S에 외삽하고, 시이트권취용 심관 C의 내주를 국부적으로 지지, 구속하는 심관지지구(1b)부설권축으로, 이들의 3가지 요부를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즉, 심관지지구(1b)는 짧은 튜브형상이며, 그 외주상면에 회전방향으로 등간격 배설한 리세스(2)로 그외주면을 필요한 폭으로 횡방향절삭하여 형성한 평탄리세스(flat recess)와, 상기 축심에 평행된 자세로 상기 리세스(2)를 로울링 할 수 있는 소형로울러(4)로서, 그것은 심관지지구(1b) 주면에서 가장 깊은 위치에 있을때에도 그 일부가 약간 주면에서 돌출되어 있어 그 위치에서 로울링 할수록 보다 크게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두께와 상기 소형로울러(4)를 리세스(2)상에서 로울링 할 수 있고, 상기 심관지지구(1b)의 탈락을 할 수 없게 구속하는 수단을 구성하여, 본 실시예의 수단은 튜브형상의 소형로울러(4)에 삽통한 축(9)과 대향되어 있는 횡방향요홈(11)을 보유하는 로울러지지프레임(3b)을 구성한다.
리세스(2)는 부착한 로울러지지프레임(3b)은 제9도의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랙한다.
리세스(2)는 3개의 등간격 위치에서 각각 배설하고 있으므로 구속시 그 심관지지구(1b)의 축과 심관 C의 축이 항상 일치하고 또한 플랜지(15)가 없더라도 심관 C의 횡방향이동을 구속하므로 고속회전을 감내할 수 있는 것이다.
제29(b)도, 제29(c)도의 그 그심관지직(1b)는 심관 C의 길이가 약간 변동되어도 이동되지 않아도 된다. 제29(a)도의 그 심관지지구(1b)는 구동축 S와의 결합을 이완시키고, 그 심관지지구(1b)의 플랜지(15)로서 심관 C단면을 협착하도록 이동 조정한다. 제31도와 제32도는 그 심판지지구(1b)내부의 록기구(locking mechanism)의 1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 심관지지구(1b)의 내주는 파형요철구형판(波形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矩形板)을 둥근형상으로 한 것이다. 각 파형위치에 가느다란 내측로울러(16)를 삽입하고 원통형 지지바스킷(supporting basket)(17)로 지지한다.
그 내측로울러(16)가 그 심관지지구(1b) 내면의 리즈(ridge) 위치에 있을때에는 구동축 S에 쉽게 삽설되어 구동축 S가 회전을 시작하여 내측로울러(16)가 이동되면 그 심관지지구(1b)가 고정(lock)되는 것이다.
제33도의 심관 어댑터(spool adapters)(1c)는 제29a도의 구동축 S에 외삽하고 심관 C의 양단부외주를 지지, 구속하는 심관지지구(1b)의 1종으로 볼 수 있다. 단지, 구동축 S가 심관 C의 양단을 지지하는 축헤드(shaft head) S'로 변경되었으므로 여기서 그 축헤드 S'로 부터 착탈이 용이한 고정구멍(fixing holes)(18)이 구성되어 있다.
이 심관어댑터는 미리 심관단에 알맞게 고정시켜 끼운다.
그 구동하는 헤드에 착탈이 용이하므로 여러가지 크기의 고정구멍(18)을 준비하여 놓으면 여러가지 크기의 심관을 동일하게 구동하는 축헤드 S'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심관어댑터(1c)의 심관 C주내에 삽입되는 부분은 제30도, 제31도의 상기 심관지지구(1b)의 것과 동일하다. 상기 심관어댑터(1c)의 고정구멍(18)은 그 축헤드 S'의 외주에 적합한 내주형상이다.
그 축헤드 S'의 외주 3개의 위치에 있는 요홈(19)내를 로울링 할 수 있는 강제볼(steel ball)(20)이 본발명의 소형로울러(4)와 같은 작용을 하여 축헤드 S'와 심관어댑터(1c)를 고정한다.
더우기, 강제볼(2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홈(19)은 양측상부단을 내측으로 밀어내고 요홈(19)의 얕은 위치에 정지핀(21)을 구성하였다.
제33도의 좌측에 있는 심관어댑터(1c)는 축헤드 S'와 심관 C에 고정되지만 우측의 심관어댑터는 심관 C을 고정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한 양방향고정식 권축을 제34도-제37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주요 구성요부는 리세스(2), 소형로울러(4), 로울러구속수단(roller retaining means)으로 구성한다.
그 리세스(2)는 권축(1)의 외주상에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에 대략 등간간격으로 배설되어 있고, 축주면을 주어진 폭으로 횡방향절삭하여 형성한 평탄면이다. 롤링바(rolling bars)로 구성된 소형로울러(4)는 권축(1)의 축에 평행하는 자세로 리세스(2)상을 로울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권축(1)의 주면에서 가장 깊은 위치에 있을때에도 그 일부가 근소하게 권축(1)의 주면에서 돌출되며, 그 위치에서 로울링 할 수록 보다 크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두께(thichness)를 가진다.
그리고, 소형로울러(4)를 리세스(2)상에서 로울링할 수 있고, 탈락할 수 없게 구속하는 수단으로 권축(1)의 축에 평행하는 리세스(2)의 중심선상에 있는 소형로울러(4)와 리세스(2) 양단의 고정구를 연결하는 코일스프링(10')을 구비하는 점이 본 발명의 권축의 최대의 특징이다.
이 양방향고정방식은 본 발명의 리세스(2)가 종래와 같은 축방향요홈이 아닌 권축(1)의 주면을 필요한 폭으로 횡방향절삭하여 형성한 일평면이라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그 중앙에 소형로울러(4)를 설정하고, 로울러 양단에 소켓(22)을 접촉하고 이들을 양측의 고정한 나사(23)로 적합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소형로울러(4), 소켓(22)을 관통한 코일스프링(10')양단을 리세스(2)상에 고정시켰다.
심관 C와 권축(1)이 어느 방향으로 상대회전하면 소형로울러(4)는 예를들면 쇄선위치로 로울링 하여 고정작용을 하게 된다.
더우기 소켓(22)은 심관 C을 권축(1)에 슬라이딩시킬 경우 튜브형상의 소형로울러(4)가 한쪽방향으로 편재되지 않게 지지하는 것으로 필수구성요소들은 아니다.
제36도의 실시예는 소형로울러(4)가 튜브형상이 아닌 둥근바(round bars)로, 그 소형로울러(4)의 양단에 나사(23a)를 고정하고, 그 나사의 헤드를 로울로 지지프레임(3c)에 연결된 양측코일스프링(10')에 의하여 리세스(2)의 중앙에 보호지지되어 있다. 그 로울러지지프레임(3c)은 나사(23)에 의하여 리세스(2)상에 고정되어 있다.
제37도는 소형로울러(4)를 리세스(2)의 중앙에 유지하기 때문에 그 중앙위치에 얕은 요홈(24)을 형성하여 심관 C를 권축(1)에 슬라이딩할 때 소형로울러(4)가 멋대로 좌우로 이동되어 고정작용을 일으키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더우기, 이 양방향고정방식의 리세스(2)에 한정하지 않고 제38도와 같이 완전 평면이 아닌 약간 중앙이 낮은 리세스로 함으로써 소형로울러(4)의 근소한 로울링(rolling)으로 급속하게 고정작용을 발생시키거나 역으로 제39도와 같이 약간 중앙이 높은 리세스로 함으로써 소형로울러(4)의 로울링에 의한 고정작용발생을 늦어지게 하는 응용방법도 가능한 것이다.
로울러 지지프레임(3), (3a),(3b), (3c)를 사용할 경우나,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소형로울러(4)를 보울링 할 수 있게, 그리고 탈락이 되지 않게 구속하는 수단으로서, 튜브형상의 경우의 축(9), 바(bar)형 로울러의 경우의 양단돌기(8), 그리고 쌍방의 경우의 코일스프링(10),(10')이 유효하다. 그러나, 이것들과 병용하거나 또는 단독 사용하거나 제일 형편이 좋은 것은 영구자석이다.
이것을 소형로울러(4)가 고정작용을 하지 않는 위치에 매설하여 두면 심관 C를 권축(1)에서 벗어날때 소형로울러(4)가 흡착된다.
강제로 분리시키지 않는한 흡착된 소형로울러(4)는 탈락하지 않는다.
제5도, 제6도의 실시예는 영구자석(7)을 단독 사용한 예이고, 제9도, 제30도의 자석(7)은 소형로울러(4)가 고정작용하지 않는 위치로 돌아왔을때 정확하게 축방향에 평행한 자세로 하기 위하여 사용한 예이다.
그 로울러지지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소형로울러(4)를 리세스(2)상에 로울링 할 수 있게, 그리고 탈락이 불가능하게 구속하는 실시예를 제40도-제4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0도는 권축(1)의 외주부를 주어진 폭으로 평평하게 횡방향 절삭하고, 영구저석(7)을 매설하기만한 리세스로서, 소형로울러(4)의 로울링거리는 전후에 입설한 정지핀(28)에 의하여 결정된다.
가장 깊은 위치에서 소형로울러(4)를 정지하는 정지핀(28)은 당연하게 필요하지만 얕은 위치의 정지핀(28)은 소형로울러(4)가 심관 C에 지나치게 침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심관 C를 권축(1)에서 뽑아낼때 반드시 소형로울러(4)는 깊은 위치의 정지핀(28)에 접촉되어 있고 영구자석(7)의 흡착으로 탈락되지 않는다.
제41도는 영구자석(7)을 사용하는 대신에 소형로울러(4)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8)를 돌설하고, 이것을 리세스 양측벽의 횡방향요홈(11)에 넣어 로울링하는 구조이다.
제42도와 제43도는 제41도 구조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설명한 소형로울러의 지지프레임의 횡요홈을 직접 권축(1)의 리세스(2) 측벽에 형성한 것이다. 로울러 양단부의 (8)은 제16도와 제17도의 축(9)의 단부로 대치할 수 있다.
제44도 및 제45도는 권축(1) 외주부를 횡방향절삭시 도중에서 정지시켜 형성된 정지리세스(2')로 한 예이다.
소형로울러(4)의 로울링면은 확보되어있고, 그 리세스의 양측벽(29)이 로울러 안내면이 되어 있다. 로울러의 지지프레임으로 리세스를 커버할 경우에는 리세스가 평탄한 것이 유리하지만 그 지지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이 방식도 무방하다.
또, 이 리세스(2')의 폭을 약간 넓게 하여 여기에 로우럴지지프레임, 특히 제2도의 로울러지지프레임(3a)과 같이 양측으로 분리된 것을 부착하면 제42도, 제43도와 같이 직접 리세스측벽에 횡방향요홈(11)을 형성하는 공작상의 복잡성을 제거시킨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을 복합권축의 외주칼라(collars)에 적용한 실시예를 제46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46도는 복합권축(1')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심관 C를 슬라이딩하는 위치의 외주는 다수의 인접칼라(25)군으로 구성되어, 그 축내부의 공기압에 의하여 전칼라가 평등하게 마찰구동되어 그 구동축 S와 같이 회전한다.
제47도와 제48도는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나. 중공의 구동축 S내에 삽통한 고무호스(26)내의 공기압을 높여주면 마찰러그(lug)(27)가 그 구동축 S의 장방형구멍(ablong hole)에서 외측으로 압출되어 마찰바퀴(frictional wheels)(25a)를 통하여 칼라(25)를 심관 C내면으로 압착한다.
이 상태에서 그 구동축 S를 회전시키면 구동축 S의 통공에 끼워진 마찰러그(27)가 각 칼라(25)를 마찰구동한다.
따라서, 이 권축에 동시에 상이한 길이의 심관 C를 여러개 끼워 시이트를 감을 경우 각각의 심관 C는 길이에 비례한 권취구동력을 받으며, 더우기 그것은 공기압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다.
이 칼라(25)의 외주에는 본 발명의 리세스(2)가 있으며, 그 내부에 소형로울러(4)가 수용되어 있어 고정작용을 하는것이다.
이와 같이 폭은 좁은 칼라(25)에 고정하는 소형로울러(4)의 구속수단은 간소한 것이 사용하기에 좋다.
제49도는 칼라(25) 외주에 형성된 평탄한 리세스(2)를 삭설하고 이 리세스에 영구자석(7)을 매설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50도는 안접하는 칼라(25)가 소형로울러(4)의 횡방향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이용한 예로서 영구자석(7)을 저면과 측벽쌍방에 매설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리세스(2)에 정지핀(28) 1개만을 입설하고, 소형로울러(4)가 주면에서 가장 깊은 위치로 돌아왔을 때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46도와 같은 칼라(25)군을 가진 최고급 복합권축(1')의 다른 실시예를 제51, 제52도에 나타낸다. 칼라(25) 외주의 평탄한 리세스(2)에 로울러지지프레임(3b)을 나사(23) 2개로 고정한 것으로, 이 경우 마찰러그(27)의 소모되기 쉬운 선단에 경질의 강제볼(20)을 고정시켜 놓은 것이다. 1개의 칼라(25)를 3개씩 강제볼(20)로 마찰구동하는 것이다.
제53도에 나타낸 복합건축(1')는 비교적 구식에 속하는 것으로, 공기압을 사용하지 않고 가압스프링(31)을 암나사(30)으로 결착함으로써 그 구동축 S의 회전을 전칼라(25)에 전달하여 각 칼라(25)와 심관 C의 사이에는 제51도, 제52도에서와 동일하게 본 발명의 로울러지지프레임(3b)와 소형로울러(4)(도시생략)로 고정한 것이다.
그 칼라(25)는 제51도, 제52도의 것도 제47도, 제48도의 것도 무방하다.
이 형식은 칼라(25)의 구동토오크가 위치에 따라 변동되는 약점이 있다.
어느 것이나 각 칼라(25)의 외주상,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설한 리세스(2)는 그 칼라 주면을 필요한 폭으로 칼라축선에 직각으로 횡방향절삭한 평탄면이다.
이 평탄면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와 로울링바 및 그 구속수단을 부가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적용한 복합권축이 되어 본 발명의 장점을 겸비한 고급권축이 돤다.
위에서 각종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소형로울러와 그 로울링면은 종래것에 비하여 소폭의 것을 많이 사용한다.
그 로울링면, 즉 리세스는 종래와 같이 회전축에 따르는 절삭이 아닌 횡방향절삭을 한다.
따라서, 절삭량이 적고 가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그 리세스상을 로울링하는 소형로울러를 로울링 할 수 있게 그리고 탈락이 불가능하게 구속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유효한 로울러 구속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로울러지지프레임을 정밀주조 또는 기타 방법으로 양산하고, 권축의 다수의 리세스는 각각 1회의 횡방향절삭으로 완성하고 이들을 소형로울러와 함께 조립하는 양산방식을 채택하면 대단히 높은 능률로 로울러 고정식 권축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을 변형시킴 없이 위 각 실시예를 설계자의 공지기술에 따르는 변형과 응용하는 것을 용이하고,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서 임의로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표면에 심관고정용 로울러를 가진 권축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깊은 부분과 얕은 부분을 가지며 권축의 외주면상에 배설한 여러개의 리세스(recess)와, 위 리세스에 각각 배치되고 권축의 원주방향으로 리세스의 저면상을 로울링(rolling) 할 수 있게 보호지지하며 적어도 그 양단에는 중공부(hollow portion)를 가져 상기 깊은 부분에는 권축주변에서 약간 돌출되어 깊은 부분에서 얕은 부분쪽으로 로울링하면 차차돌출량이 커져 심관을 권축에 고정하는 직경을 가진 소형로울러(roller)와, 위 로울러의 축에 대하여 편심 할 수 있으며, 로울러의 양단중공부에 각각 삽입되고, 적어도 로울러단부에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진 축바(shaft bra)와, 위 로울러를 리세스의 깊은 부분과 얕은 부분 사이를 로울링 할 수 있게 그리고 리세스에서 탈락이 되지 않게 위 로울러의 양단에서 돌출하는 축바로 리세스의 양측벽에 설정된 축바지지수단으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상기 권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바 지지수단은 상기 리세스의 양측벽에 대향하여 형성된 횡방향요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상기 권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은 상기 리세스에 부착시킨 소형로울러지지프레임의 양측벽이며, 횡방향요홈은 상기 소형로울러지지프레임의 양측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권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로울러는 중공바(hollow bar)이며, 상기 축바는 1개의 축바로 그 중공바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중공바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그 중공바를 관통하여 리세스에 보호지지함을 특징으로 한상기 권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로울러는 그 양단이 밀봉된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축바는 그 중공부의 직경보다 작고, 그 중공부의 길이보다 길이가 긴 축바이며 그 축바의 일단은 소형로울러 양단의 중공부에 삽입하고 그 타단을횡방향요홈에 삽입시켜 상기 소형로울러를 리세스로 로울링 할 수 있게 구속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권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로울러는 중공바(hollow bar)이며, 상기 축바는 상기 중공보다 길이를 가진 코일스프링으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권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소형로울러의 양단에서 돌출되어 있는 축바는 소형로울러의 중공부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는 횡방향홈에 삽입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권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은 다각형바(polygonal bar)와, 그 다각형바의 외주평면에 부착한 여러개의 원형아아취 형재로 구성되고, 리세스는 상기원형 아아취형상재에 각형구멍을 뚫어 구성하여 리세스의 저면은 다각형바의 표면으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권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의 외주면은 그 원주에 시이트를 감은 중심구동축에 풀 수 있게 고정한 심관의 내주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축의 외주면으로 구성하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축의 외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상기 권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심관의 양단으로 전진하면서 삽입하여 상기 중심구동축에서 풀 수 있게 공정시킴을 특징으로한 상기 권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축의 외주면은 중심구동축을 마찰회전시킨 여러개의 길이가 짧은 튜브의 외주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의 길이가 짧은 튜브의 외주면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권축.
  12. 표면에 심관고정용 로울러를 가진 권축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깊은 부분과 얕은 부분을 가지며, 권축의 외주면상에 배설한 여러개의 리세스(recess)와, 상기 리세스에 각각 배설되어 권축의 원주방향으로 리세스의 저면상을 로울링(rolling) 할 수 있게 보호지지하며 적어도 그 양단에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깊은 부분에는 권축주면에서 약간 돌출되어 깊은 부분에서 얕은 부분 쪽으로 로울링하면 차차 돌출량이 커져 심관을 권축에 고정하는 직경을 가진 소형로울러와, 상기 소형로울러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할 수 있고, 상기 소형로울러의 양단중공부에 각각 삽입시켜 적어도 소형로울러의 단부에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진축바와, 상기 소형로울러를 리세스의 깊은 부분과 얕은 부분 사이에서 로울링할 수 있고, 리세스에서 탈락할 수 없게 상기 소형로울러의 양단에서 돌출하는 축바로 보호지지하는 리세스의 양측벽에 설치된 축바지지수단과, 상기 소형로울러를 리세스의 깊은 부분에 보호지지하는 수단으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한 상기 권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로울러의 리세스의 깊은 부분에서의 보호지지수단은 리세스를 형성하는 압벽에 설치된 자석수단임을 특징으로 한 상기 권축.
KR8203229A 1981-07-22 1982-07-20 표면에 심관(芯管) 고정용 로울러(spool fixing roller)를 설치한 권축(券軸) KR870001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13619A JPS5817046A (ja) 1981-07-22 1981-07-22 シ−ト巻軸
JP113619 1981-07-22
JP56-113619 1981-07-22
JP56120670A JPS5822246A (ja) 1981-08-03 1981-08-03 シ−ト巻軸
JP56-120670 1981-08-03
JP120670 1981-08-03
JP161975 1981-10-13
JP56161975A JPS5863643A (ja) 1981-10-13 1981-10-13 シ−ト巻軸
JP56-161975 1981-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425A KR840000425A (ko) 1984-02-22
KR870001721B1 true KR870001721B1 (ko) 1987-09-25

Family

ID=2731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229A KR870001721B1 (ko) 1981-07-22 1982-07-20 표면에 심관(芯管) 고정용 로울러(spool fixing roller)를 설치한 권축(券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496114A (ko)
KR (1) KR870001721B1 (ko)
AU (1) AU556601B2 (ko)
BR (1) BR8204257A (ko)
CA (1) CA1190911A (ko)
DE (1) DE3227040A1 (ko)
FI (1) FI72701C (ko)
GB (1) GB2103761B (ko)
IT (1) IT1148375B (ko)
MX (1) MX1555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786A (en) * 1983-03-08 1985-05-14 Lund Arnold M Core chuck
DE3329330C2 (de) * 1983-08-13 1986-10-02 Jagenberg AG, 4000 Düsseldorf Spannvorrichtung für Wickelkerne
US4767077A (en) * 1986-02-03 1988-08-30 Hiroshi Kataoka Support shaft for winding/unwinding sheets
IT1283755B1 (it) * 1995-05-03 1998-04-30 Kampf Gmbh & Co Maschf Albero avvolgitore a frizione, in particolare per macchine per tagliare bobine e macchine avvolgitrici
JP3719334B2 (ja) 1997-10-02 200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巻取り軸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タ
GB9815016D0 (en) * 1998-07-13 1998-09-09 Self Timothy Method and apparatus for rewinding
US6402084B1 (en) * 2000-10-19 2002-06-11 Convertech, Inc. Air differential core winding apparatus
US6513751B2 (en) * 2000-10-19 2003-02-04 Convertech, Inc. Air differential core winding apparatus
EP1787930A1 (en) * 2000-11-20 2007-05-23 FUJIFIL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a photographic film and photographic film manufacturing apparatus
JP3901465B2 (ja) * 2001-03-01 2007-04-04 極東産機株式会社 ラミネート装置
DE502007001959D1 (de) * 2007-02-08 2009-12-24 Jurmet Sp Z O O Spannvorrichtung für eine Rotationsverbindung einer Welle mit einer Hülse mit zylindrischer Innenwandung
ITVI20090194A1 (it) * 2009-07-28 2011-01-29 Svecom Pe S R L Albero per il supporto di bobine
US9073729B2 (en) * 2012-02-08 2015-07-07 Sonoco Development, Inc. Paperboard core spindle support for yarn packages
CN102583096A (zh) * 2012-02-24 2012-07-18 常熟市振宇胶带有限公司 纸管用摩擦式分切收卷装置
EP2819941A1 (en) * 2012-02-27 2015-01-07 I.E.S International Expanding Shafts S.R.L. Expandable shaft for supporting reels and the like
GB2502040B (en) * 2012-03-15 2015-07-01 Ashe Controls Ltd Differential chuck
CN102619903B (zh) * 2012-04-09 2014-05-28 赖建福 双向可控制超越离合器
DE102014002102A1 (de) * 2014-02-15 2015-08-20 Saurer Germany Gmbh & Co. Kg Offenend-Spinnrotor
JP6266808B2 (ja) * 2014-04-22 2018-01-24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の製造で使用される材料を装填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EP2985253B1 (en) * 2014-08-12 2018-12-05 I.E.S International Expanding Shafts S.R.L. Friction ring for friction shafts, particularly for rewinding spools
CN106429638B (zh) * 2016-08-31 2018-04-20 无锡优萌模塑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空气流通功能的塑料线盘
CN113397271B (zh) 2017-05-10 2022-10-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一种鞋类物品
CN107673069A (zh) * 2017-11-08 2018-02-09 平湖迪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带快速上盘装置
EP4127790B1 (en) 2020-05-29 2023-09-20 Nike Innovate C.V.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tructurally-colored articles
IT202000019849A1 (it) * 2020-08-10 2022-02-10 Renova S R L Mandrino di supporto per bobine di materiale avvolgibi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922A (en) * 1903-02-27 1903-07-28 Draper Co Bobbin-retaining means for rotatable spindles.
US1122627A (en) * 1913-04-05 1914-12-29 Samuel Milne Expanding reel bar or core for use in winding and unwinding paper, cloth, and like material.
US1289887A (en) * 1917-11-02 1918-12-31 Walter J Towers Method of making polygonal guides.
GB386435A (en) * 1932-01-08 1933-01-19 Lockheed Hydraulic Brake Comp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ndrels for use in machining and other operations
US2561745A (en) * 1947-06-06 1951-07-24 Western Electric Co Apparatus for locking tubular members on shafts
US2798678A (en) * 1953-12-03 1957-07-09 Columbia Ribbon & Carbon Self-gripping mandrel
DE1803399U (de) * 1959-11-04 1959-12-31 Karl Classen Selbstspannende wickelstange zum auf- bzw. abwickeln von warenbahnen, insbesondere von papierbahnen auf innen glatte wickelhuelsen.
US3007652A (en) * 1959-12-03 1961-11-07 John A Heckman Paper roll mounting mechanism
US3006565A (en) * 1960-06-30 1961-10-31 Eugene V Pelletier Bobbin clutch
US3345006A (en) * 1965-09-02 1967-10-03 Ind Devices Inc Collet assembly
US3403502A (en) * 1966-08-22 1968-10-01 Bruno Giacomo Caminada Automatic centering and centrifugal dragging device of cops for spinning and twisting spindles
US3685757A (en) * 1970-02-24 1972-08-22 Richard M Fedor Gripping shaft
US3606187A (en) * 1970-04-17 1971-09-20 Kenneth H Hahn Clutch for tightening winding tube on windup shaft
GB1464873A (en) * 1973-05-04 1977-02-16 Fords Ltd Device for locking a hollow core to a drive shaft or mandrel
DE2449724A1 (de) * 1974-10-19 1975-11-20 Mfb Neuwerk Mech Fenster Vorrichtung an maschinen zum aufwickeln von bahnen
DE2612375C2 (de) * 1976-03-24 1983-04-14 A. Ahlström Development GmbH, 7315 Weilheim Spannkopf für die die Kernrohre von Wickeln aus Papier, Kunststoffolien oder dergleichen
US4116889A (en) * 1976-08-19 1978-09-26 Allied Chemical Corporation Bipolar membranes and method of making same
IT1077676B (it) * 1977-03-07 1985-05-04 Anic Spa Dispositivo per l'innesto,centraggio e trascinamento dei tubetti sui fusi durante l'operazione di avvolgimento di fili o filati
EP0002429A1 (de) * 1977-12-14 1979-06-27 VOEST-ALPINE Aktiengesellschaft Aufwickelhaspel zum gleichzeitigen Aufwickeln von wenigstens zwei Bandstreifen
JPS57141342A (en) * 1981-02-24 1982-09-01 Kataoka Kikai Seisakusho:Kk Winding device with mechanism to draw out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22588L (fi) 1983-01-23
GB2103761A (en) 1983-02-23
FI822588A0 (fi) 1982-07-21
AU8619882A (en) 1983-01-27
FI72701C (fi) 1987-07-10
DE3227040A1 (de) 1983-02-03
US4496114A (en) 1985-01-29
MX155567A (es) 1988-03-28
BR8204257A (pt) 1983-07-19
CA1190911A (en) 1985-07-23
GB2103761B (en) 1985-07-03
AU556601B2 (en) 1986-11-13
IT8248857A0 (it) 1982-07-20
FI72701B (fi) 1987-03-31
KR840000425A (ko) 1984-02-22
IT1148375B (it) 1986-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721B1 (ko) 표면에 심관(芯管) 고정용 로울러(spool fixing roller)를 설치한 권축(券軸)
JP5700285B2 (ja) 巻取カラー
EP1170124B1 (en) Tensioning device for attaching a cover to a cylinder of a printing press
JPH0350680B2 (ko)
EP0631368B1 (en) Coil winding method and a combination of a coil winding jig and a coil winding machine for carrying out the same
DE2421393A1 (de) Vorrichtung zum festspannen eines hohldornes auf einer antriebswelle
JPH02132043A (ja) シート巻軸
JP4403526B2 (ja) 巻芯支持軸
JP4530319B2 (ja) 巻線装置
JPS6129298B2 (ko)
JP2010053579A (ja) 貫通孔形成器具、外皮材保持部材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貫通孔形成方法
JPS6154699B2 (ko)
JPS6129299B2 (ko)
JPS6241146A (ja) シ−ト巻軸
JPH0347707Y2 (ko)
JPS6124519Y2 (ko)
JP2554803Y2 (ja) シート巻軸
DE10218840A1 (de) Haltevorrichtung für Etikettenrollen
JP2789314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69572Y2 (ja) コイルインサータ
JPS6030255Y2 (ja) テ−プ巻芯保持装置
JPH0615090B2 (ja) ぜんまい製造方法
KR200183075Y1 (ko) 탭ic공급용 릴지지장치
JPH045491Y2 (ko)
JPS59205245A (ja) ねじ装着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