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351Y1 -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 Google Patents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351Y1
KR850001351Y1 KR2019830006363U KR830006363U KR850001351Y1 KR 850001351 Y1 KR850001351 Y1 KR 850001351Y1 KR 2019830006363 U KR2019830006363 U KR 2019830006363U KR 830006363 U KR830006363 U KR 830006363U KR 850001351 Y1 KR850001351 Y1 KR 850001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ackward
gear
state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6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583U (ko
Inventor
아키라 우찌다
Original Assignee
구보다 데쿠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 데쿠오 가부시기 가이샤, 미노 시게가즈 filed Critical 구보다 데쿠오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30006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351Y1/ko
Publication of KR830001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floor mount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도면은 본 고안의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변속구조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도는 콤바인의 측면도.
제2도는 주행조작구조의 측면도.
제3도는 주행조작구조의 정면도.
제4도는 변속기 케이스내의 전개종단 평면도.
제5도는 변환레버 장착부의 측면도.
제6도는 안내틀의 평면도.
본 고안은 전후진 변환이나 전진속도의 복수단의 변속을 원활하고도 양호하게 할 수 있게하는 이동농기의 주행변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진상태에서의 복수단의 변속 및 후진상태로의 변환을 포함하는 주행변속을 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기어물림 변환식의 변속장치를 사용하며 또한 이 기어변속장치에서 하나의 조작구를 후진조작위치나 전진용의 보수의 변속조작위치에 선택적으로 조작되도록 소요의 변속을 하는 수단이 사용되어 있으나 이 경우 소망의 변속을 원활하고도 양호하게 하기 어려운 일이 있었다.
즉, 이동농기에 있어서는 밭등에서의 작업시에 빈번하게 전후진 변환을 하게되는 것이지만 기어는 본래의 성질때문에 물림을 원활하게 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어 전후진 변환을 원활히 하기 어려운 일이있고 또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조작구로 전진의 복수단의 변속과 후진으로의 변환을 하도록 하기위해 전후진 변환시에 하나의 조작구를 큰 범위내에서 그리고 또 복잡한 경로를 지나서 이동조작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작이 번잡화되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또한 이동농기에 있어서는 작업중에는 전진속도의 변속을 그다지 하지않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하나의 조작구를 복잡한 경로를 지나서 이동조작하게 되므로 후진후의 전진속도의 설정이 번잡화될 뿐만 아니라 조작미스를 일으킬 우려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축심방향으로의 상대이동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두개의 클릭클러치(click clutch)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서 전진상태와 후진상태로 변환되고 또한 양클러치가 모두 결합되지 않는 중립정치상태로 변환되는 전후진변환장치와, 상기한 전진상태에서의 주행속도를 복수단으로 변속시키는 전진변속장치를 설치하고 동시에 전후진절환장치를 변환하는 레버와 전진변속장치를 변속조작하는 레버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고 또한 변환조작레버를 전진조작이치, 후진조작위치 및 이들 양위치의 중간인 중립조작위치에 각각 유지시키는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진조작위치, 후진조작위치 및 중립조작위치에 걸쳐서만 이동조작되는 변환조작레버와 전진속도를 변속하는 레버의 조합에 의해 소망의 변속조작을 하게되기 때문에 빈번한 전후진 변환을 상기한 3위치로 조작되는 변환레버만을 사용해서 전후진 변환을 하기 때문에 후진상태로부터 다시 전진상태로 변환된 때에는 주행속도를 변속레버로 설정된 속도로 정확하게 다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클릭클러치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전후진 변환을 하는 것이므로 클릭클러치의 결합 및 상기한 전후진변환이 한층 더 원활하게 된다.
또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한 변환레버를 중립조작 위치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작업도중 기체(機體)를 정지시켜서 모든 작업부의 점검 및 조절등을 해야할 경우에는 이 변환레버를 중립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조작해서 기체를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또다시 작업을 시작하려고 기체를 변진시킬 때에 상기 클릭클러치의 이점을 살려서 원활히 정지상태로부터 전진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고 또 동시에 상기 변속레버에 의해 설정된 속도에 정확하게 다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효과들에 의해 주행변속을 원활하고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참조해 상술한다.
제1도는 콤바인을 도시한 것으로, 그 콤바인은 크로울러(crawler)주행장치(1)와, 탈곡장치(2)등으로 된 기체의 전방부에서 쓰러진 곡식의 줄기를 세운 자세로 일으키는 장치(3)와, 일으킨 곡식의 줄기의 밑부분을 절단하는 수확장치(4)와, 수확한 곡식을 후방부의 탈곡장치(2)쪽으로 이송하는 이송장치(5)등을 구비한 수확부가 장비되어 있다.
상기 크로울러 주행장치(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6)의 출력이 주행용 변속기 케이스(7)에 전달되어서 구동되는 것이고 상기 엔진(6)과 변환기케이스(7)사이에 벨트 긴장식의 주행클러치(8)이 설치되고 동시에 변속기케이스(7)내에는 전후진 변환장치와 전진상태에 있어서의 주행속도를 변속시키는 전진 변속장치가 장비되어 있다.
상기한 주행클러치(8)의 조작구조에 대해서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전동벨트(9)에 접근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긴장풀리(10)를 피봇장착한 요동암(11)이 스프링(12)에 의해 벨트 긴장측으로 탄성의 힘을 가하는 동시에 링크기구(15)를 통해서 기체의 조정석(3)에 배치된 페달(14)와 연동 연결되어 있어, 페달(14)을 발로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주행클러치(8)가 비작동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페달(14)은 클러치 절단조작과 동시에 주향용 제동기구를 제동조작하도록 구성되며, 링크기구(29)를 통해서 브레이크 조작암(28)과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전후진 변환장치 및 전진변속장치에 대해 제4도를 참조해 설명한다.
상기한 주행용 변속기케이스(7)내에는 입력축(16)과, 제1 변속축(17)과, 제2 변속축(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입력측(16)에는 제1 전진기어(16a) 및 제2 전진기어(16b) 그리고 제3 전진기어(16c)를 일체로 형성시킨 다단기어와, 후진기어(16d)가 출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상기한 다단기어와 후진기어(16b)사이에는 가동클러치부재(19)가 스플라인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가동클러치부재(19)의 양측부에는 돌기부(20a),(21a)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한 다단기어와 후진기어(16b)의 측부에 상기한 돌기부(20a),(21a)에 결합가능한 돌기부(20b),(21b)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돌기부(20a),(20b)사이에는 상기한 가동클러치(19)의 축심방향의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두개의 클릭(click)클러치(20) 및 (21)가 제공되게 된다.
상기한 제1 변소축(17)에는 상기한 제1 기어(16a) 및 제2 기어(16b)에 결합가능한 두개의 전동기어(17a),(17b)를 일체로 형성한 미끄럼기어와, 상기 제3 기어(16c)에 결합가능한 미끄럼기거(17c) 및 작은 직경의 제1 보조변속기어(17d)와 큰 직경의 제2 보조변환기어(17e)를 일체로 형성한 미끄럼기어가 스플라인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제2 변속축(18)에는 상기한 후진기어(16d)와 항상 결합되는 전동기어(18a)와, 상기 제1 보조변환기어(17d)와 결합가능한 전동기어(18b)와, 제2 변속기어(17e)와 결합가능한 전동기어(18c) 및 변속기케이스(7)내에 설치된 전동기구에 제2 변속축(18)으로부터의 출력을 전달하는 출력기어(18d)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미끄럼기거(17a),(17b) 및 미끄럼기어(17c)를 미끄럼 이동조작하는 것에 따라 전진상태를 3단으로 변속하고 또 미끄럼기어(17d),(17e)를 미끄럼 이동조작하는 것에 따라 상기 3단 변속상태를 고저 2단으로 변속해서 합계 6단의 변속을 하는 전진변속장치가 구성되며 또 상기 클릭클러치(20),(21)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따라 전진상태와 후진상태로 변환시키거나 양클러치(20),(21)가 모두 결합되지 않는 중립정지상태로 변환시키는 전후진 변환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전진변속장치는 변속기케이스(7)의 상부에 전후 및 횡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변속조작레버인 제1 레버(22)로 조작되는 것이며, 이 레버(22)를 제6도에 도시한 안내틀(23)에 형성된 제1 변속안내홈(23a)을 다라 요동조작시켜서, (F1)위치에 위치시키며 제1 전진상태로 조작되며, 동일하게 제1레버(22)를 각각 (F2),(F3),(F4),(F5),(F6)위치에 위치시키면 각각, 제2,3,4,5,6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전후진 변환장치는 전후 및 횡방향으로 요동가능한 변환조작레버인 제2 레버(24)로 조작되는 것이며 상기한 안내틀(23)에 형성된 제2 변속안내홈(23b)을 따라 제2 레버(24)를 약간 전후방향으로 요동시켜서 전방의 전진조작위치(F)에 위치시키면 전진상태로 조작되며 후방의 후진조작위치(R)에 위치시키면 후진상태로 조작되며 또한 양위치(F),(R)의 중간인 중립위치(N)에 위치시키면 중립정지상태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 레버(24)는 이하에 기술하는 유지기구에 의해 상기한 전진조작위치(F), 상기 후진조작위치(R) 및 중립위치(N)에 각각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버(24)를 평상시 본 기체 좌측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작용과, 레버(24)가 중립위치(N)에서 전방으로 조작되면 이 레버(24)에 전방으로 힘을 가하고 또한 레버(24)가 중립위치(N)에서 후방으로 조작되면 이 레버(24)에 후방으로 힘을 가하는 작용을 발휘하는 스프링(30)이 설치되며, 상기한 안내틀(23)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홈(31)이 형성되어, 레버(24)가 중립위치(N)에 있을 때 그 홈(31)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진조작위치(F)및 후진조작위치(R)에 있어서는 상기한 레버(24)를 스프링(30)의 힘으로 가압함에 따라 제2 변속안내홈(23b)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유지시키도록 구성하고 또 중립위치(N)에 있어서는 레버(24)를 상기함 홈(31)에 삽입하고 또한 상기한 스피링(30)의 힘으로 레버(24)의 이탈을 저지함에 따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면중 부호(25)는 상기한 제2 레버(24)가 전진조작위치(F), 후진조작위치(R) 및 중립위치(N)에 있을 때 후방 또는 전방축으로의 레버(24)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견제판으로서, 상방으로의 요동에 의해 상기한 저지작용을 해제하는 견제해제 자세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고, 또한 이 판(25)에 연설된 조작암(26)이 상기한 주행클러치(8)의 요동암(11)과 로드(27)를 통해서 연결되어, 주행클러치(8)가 작동상태로 될때는 견제작용을 발휘하고 주행클러치(8)가 비작동상태로 될때는 견제해제 자세로 변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클러치(8)가 비작동상태로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후진 변환장치가 변환조작되는 것을 견제, 지지해서 주행클러치(8)을 비작동상태로 조작하지 않고 전후진 변환을 했을 경우에 모든 전동기구에 급격한 부하가 가해지거나, 클릭클러치(20).(21)에 급격한 부하가 가해져 모든 전동기구나 클릭클러치 자체를 손상시켜 버리는 문제나, 작업자가 조작미스를 일으키는 등에 의해 불규칙적인 전진 또는 후진상태가 초래되는 위험을 방지시키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전후진 변환을 하는 레버(24)를 전후로 이동조작하도록 하면 작업자에 있어서 힘을 가하기 쉬운 방향이 전후방이기 때문에 취급하기 쉬워서 좋으나, 횡방향 등으로 이동조작시키도록 해서 실시해도 좋다.
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진 변환레버(24)와 전진변속레버(22)를 근접시켜 병렬로 설치해 두면 주행변속을 위한 조작부가 집중하게 되어 작업자의 취급이 용이하게 될수 있어서 좋으나, 양레버(22)(24)를 이격시키서 설치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후진상태의 변속을 하지 않은 형태의 것을 예시했으나 필요에 따라서 전진변속장치와 동일하게 후진변속장치를 설치해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

  1. 이동농기를 전진·후진·중립의 3상태로 변환시키는 전후진 변환장치와, 전진상태에 있어서의 주행속도를 복수단으로 변속하기 위한 전진변속장치를 구비한 주행변속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전후진 변환장치를 조작하는 레버(24)와, 상기한 전진변속장치를 조작하는 레버(22)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고, 상기의 레버(24)를 전진조작위치(F), 후진조작위치(R) 및 중립위치(N)의 각각의 위치에 유지시키는, 판(25), 조작암(26), 로드(27) 및 스프링(30)으로 구성된 유지기구가 설치되고, 클러치 페달(14)와 상기 유지기구가 연동되고 이 페달을 발로 조작하므로써 이 기구의 유지력이 해제되어서 상기 레버(24)의 위치변환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의 주행변속구조.
KR2019830006363U 1978-08-17 1983-07-19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KR850001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6363U KR850001351Y1 (ko) 1978-08-17 1983-07-19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80002505A KR830000105A (ko) 1978-08-17 1978-08-17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 구조
KR2019830006363U KR850001351Y1 (ko) 1978-08-17 1983-07-19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505A Division KR830000105A (ko) 1978-08-17 1978-08-17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583U KR830001583U (ko) 1983-10-24
KR850001351Y1 true KR850001351Y1 (ko) 1985-07-03

Family

ID=701654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505A KR830000105A (ko) 1978-08-17 1978-08-17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 구조
KR2019830006363U KR850001351Y1 (ko) 1978-08-17 1983-07-19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80002505A KR830000105A (ko) 1978-08-17 1978-08-17 이동농기에 있어서의 주행 변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30000105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105A (ko) 1983-03-25
KR830001583U (ko) 198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20686A (ja) 歩行型作業機
KR850001351Y1 (ko) 이동농기에 있어서 주행변속구조
JPS599936Y2 (ja) 移動農機における走行変速構造
JPS5931469Y2 (ja) 移動農機の走行伝動構造
JPS6028190Y2 (ja) 刈取機における操作装置
JPS5931468Y2 (ja) 移動農機
JPH0322352B2 (ko)
JPS5914260Y2 (ja) 移動農機の変速操作装置
JPH0119620Y2 (ko)
JPS6037622Y2 (ja) 変速操作装置
JPH0122733Y2 (ko)
JPH077653Y2 (ja) 田植機の伝動構造
JPS5839221Y2 (ja) 歩行型耕耘機
JPS626913Y2 (ko)
JPS5821824Y2 (ja) 歩行型移動農機の操作構造
JPH0615303Y2 (ja) 農作業機における変速操作装置
JP2596194Y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2896050B2 (ja)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JPS6244189Y2 (ko)
JPS6232101Y2 (ko)
JPS6222116Y2 (ko)
JPS5845545Y2 (ja) 移動農機
JPS6126679Y2 (ko)
KR920003662Y1 (ko) 보행형 작업기의 전후진 변환 조작구조
JPH0716932Y2 (ja) 走行車輌の無段変速操作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006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