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834B1 - 플로우트 밸브 - Google Patents

플로우트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834B1
KR850000834B1 KR1019830004775A KR830004775A KR850000834B1 KR 850000834 B1 KR850000834 B1 KR 850000834B1 KR 1019830004775 A KR1019830004775 A KR 1019830004775A KR 830004775 A KR830004775 A KR 830004775A KR 850000834 B1 KR850000834 B1 KR 850000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at
outlet
casing
valv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518A (ko
Inventor
히데아끼 유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 가이샤 티 엘 브이
후지와라 카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 가이샤 티 엘 브이, 후지와라 카쓰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 가이샤 티 엘 브이
Publication of KR84000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F16K24/046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being a single spherical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931Diverse fluid containing pressure systems
    • Y10T137/3003Fluid separating traps or vents
    • Y10T137/3021Discriminating outlet for liquid
    • Y10T137/304With fluid responsive valve
    • Y10T137/3052Level responsive
    • Y10T137/3068Flo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109Convertible
    • Y10T137/5196Unit orientable in a single location between plural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우트 밸브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평배관용의 플로우트형 스팀 트랩의 단면도.
제2도는 직력배관용의 플로우트형 스팀트랩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스팀트랩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벨브케이싱 (14) : 플로우트
(19) : 격벽부재 (23) : 출구측통로
본 발명은 증기배관계에 발생하는 복수(復水)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스팀트랩, 압축공기배관계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에어트랩, 수배관계에 혼재하는 공기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배기밸브 등의 기체와 액체가 혼재하는 계(系)로부터 기체 또는 액체의 한쪽을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데에 사용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밸브에 관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플로우트 밸브는 기체가 액체의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이용해서 기체를 배출할때는 밸브실의 상부에, 액체를 배출할 경우는 밸브실의 하부에 배치한 밸브구를 액면과 같이 상하동하는 플로우트로 개폐하고, 한쪽의 유체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로우트는 반드시 상하로 변위하고 밸브구는 반드시 밸브실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다. 이로인해 동일 형식의 플로우트 밸브에 대하여 입구와 출구를 케이싱의 상하에 설치한 수직배관용과 좌우에 설치한 수평배관용의 두 종류를 만들어야 했었다.
미국특허 제2550643호 명세서에 기재된 개방 플로우트형 스팀트랩(제3도 참조)은 한 형식의 플로우트 밸브로 수평으로도 수직으로도 배관이 가능한 것이다. 즉 밸브 케이싱(50)의 좌우에 1조의 입구(51)와 출구(52)를, 상하로 또 1조의 입구(53)와 출구(54)를 형성하고, 양쪽의 입구(51),(53)는 밸브실(64)의 우측방과 하방을 잇는 통로(55)로 연결하고 출구(52),(54)는 상방과 우측방을 잇는 통로(56)로 연결했다. 그리고 위의 입구(53)를 블라인드플럭(57)으로, 아래쪽 출구(54)를 블라인드플럭(58)으로 폐쇄하고, 입구(51)에 도입관(59)을, 출구(52)에 도출관(60)을 접속해서 수평배관하고, 이것과 반대로 수직배관한다. 또, 참조번호(61)는 개방 플로우트(62)는 밸브체, (63)은 레버이다.
그러나, 이 경우는 2조의 출입구(51),(52) 또는 (53),(54)의 한쪽의 블라인드 플럭(57),(58)으로 폐쇄한다. 1조는 본래가 여분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배관용에도 수직배관용에도 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1조의 출입구를 가지는 플로우트밸브를 얻는 일이다. 플로우트 밸브에서는 기액(氣液)은 상하로 분리되고, 플로우트는 상하로 운동하므로 이것에 관계되는 내부구조는 밸브케이싱의 수평 또는 수직의 배관위치에 따라 쉽게 변경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기액의 분리와 플로우트의 동작에 관계되는 내부 부품을 출입구를 설치한 밸브 케이싱의 수평 또는 수직의 배관위치에 따라서 쉽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구한 본 발명의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A) 밸브실과 출구의 사이의 밸브구 위치에서 출구위치에 이르는 범위의 격벽을 출입구를 설치한 밸브 케이싱과는 별체의 부재로 밸브케이싱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만들고, (B) 기액의 분리와 플로우트의 동작에 관계되는 부품을 밸브케이싱의 배관 위치에 따라 격벽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도록 한다.
따라서, 밸브케이싱의 배관 위치에 다라 내부부품을 배치한 격벽부재를 1조의 출입구를 가지는 공통의 밸브케이싱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하므로써 수평배관용의 플로우트 밸브 또는 수직 배관용의 플로우트밸브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가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의 밸브케이싱을 수평배관용으로도 수직배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재고코스트의 대폭적인 절감을 할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케이싱은 변경하지 않고, 격벽부재나 내부부품을 변경하여 다른 형식의 플로우트 밸브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의 형식을 넘어서 밸브케이싱의 공통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격벽부재를 밸브 케이싱과는 별체로 했으므로 격벽부재의 가공이나 내부부품의 장착작업이 편리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한 구체적 예를 설명한다(제1도, 제2도 참조). 우선 제1도의 수평배관용의 플로우트형 스팀트랩의 구조를 설명한다. 밸브케이싱부재(10),(11)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성형하여 제작한다. 형상은 상호 대칭을 이룬다. 45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거의 평저(平底)의 컵 현상이다.
밸브케이싱 부재(10),(11)의 저면부에 입구부재(12) 출구부재(13)를 용접한다(번호 16,17의 장소). 입구부재(12)와 출구부재(13)는 제1도에 있어서 밸브케이생의 상부에 편재되는 위치에 장착한다. 입구(24)와 출구(25)에는 배관용의 나사를 형성한다.
입구측 밸브케이싱 부재(10)의 내측에 거의 반구각(半求殼)형상의 스트레이너(28)를 수개소에서 스폿트용접하여 장착한다. 스크리인(28)은 소공을 한쪽면에 천설한 스테인레스강 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한다.
격벽부재(20)는 스테인레스강 박판을 거의 반구각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한다. 개구단부는 원통형이고 그 직경은 밸브케이싱(11),(12)의 개구단부와 동일하다.
격벽부재(20)의 하부에 밸브구(27)를 형성한 밸브자리부재(21)를 용접한다(번호 22의 장소). 밸브자리부재(21)에는 플로우트가이드부재(15)를 장착한다. 플로우트가이드 부재(15)는 밸브구(27)의 축에서 하기 플로우트(14)의 반경의 길이 떨어진 이 축에 평행을 이루는 2개의 다리가 있다. U자형 바이메탈(29)을 그 일단을 밸브자리부재(21)와 격벽부재(20)의 사이에 끼워서 장착한다. 격벽부재(20)의 원통상단부의 양측에 밸브케이싱부재(10),(11)를 용접하고(번호 18,19의 곳), 격벽부재(20)와 축구측의 밸브케이싱부재(11)사이에 통로(23)를, 격벽부재(20)와 입구측의 밸브케이싱부재(10) 사이에 밸브실(26)을 형성한다.
참조번호(14)는 밸브실(26)에 자유상태로 수용된 구형플로우트이고, 스테인레스강 박판으로 중공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스팀트랩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입구(24)는 증기사용기기 등의 배수점에 접속한다. 복수와 증기가 밸브실(26)에 유입하고, 복수가 하부에 증기가 상부로 분리되어 괸다. 플로우트(14)는 수면이 상승되면 부력이 커지므로 부상되어 밸브구(27)를 개방한다. 밸브실(26)의 복수는 밸브구(27)에서 통로(23)를 통과하여 출구(25)로부터 유출한다. 배출에 의하여 수면이 저하되면 그것과 함께 플로우트(14)가 하강하고, 플로우트가이드부재(15)에 올라탄 위치에서 밸브구(27)를 폐쇄하여 증기의 유출을 막는다. 이와 같은 동작을 자동적으로 반복한다.
다음에 수직배관용의 플로우트형 스팀트랩(제2도 참조, 제1도에 대응하는 장소에 제1도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은 제1도의 수평배관용의 트랩에 대하여 밸브자리부재(21)와 플로우트가이드부재(15)와 바이메탈(29)을 밸브자리부재의 축의 주위에 180도 회전시킨 위치로 변경한 것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격벽부재(20)에 대한 내부부품의 배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수직배관용의 플로우트 밸브를 얻는다. 조립순서, 작동은 제1도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제1도와 제2도의 플로우트 밸브는 스팀트랩으로만이 아니고 바이메탈(29)을 제거하는 것만으로 압축공기계통으로부터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에어트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제2도에 도시한 상태를 상하 반대로하면 수배관계통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단 바이메탈(제2도의 참조번호 29)은 필요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입구측 밸브케이싱부재(10)와 출구측 밸브케이싱부재(11)를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했기때문에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된다. 밸브케이싱부재나 격벽부재를 스테인레스강 박판으로 프레스 성형해서 제작했으므로 경량의 밸브가 얻어진다. 양쪽의 밸브 케이싱부재와 격벽부재의 개구단부를 모두 동경의 원통형으로 했기 때문에 접합부분이 원형이 되어 용접이 용이하다.

Claims (2)

  1. 벨브케이싱에 1조에 출입구가 설치되고 밸브 케이싱내에 형성된 밸브실내에 플로우트가 수용되고, 밸브실내의 액위(掖位)에 따라 상하돌하는 플로우트의 작용으로 밸브실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한 밸브구를 개폐하는 플로우트밸브에 있어서, 밸브실과 출구의 사이의 격벽의, 밸브구 위치로부터 출구위치에 이르는 범위를 출입구를 설치한 밸브케이싱과는 별체의 부재로 밸브케이싱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만들어 기액의 분리와 플로우트의 동작에 관계하는 밸브자리부재등의 내부부품을 밸브 케이싱의 배관위치에 따라서 격벽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로우트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케이싱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입구측 부재와 출구측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로우트밸브.
KR1019830004775A 1982-10-08 1983-10-08 플로우트 밸브 KR850000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77766 1982-10-08
JP177766 1982-10-08
JP57177766A JPS5969596A (ja) 1982-10-08 1982-10-08 フロ−ト弁の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518A KR840006518A (ko) 1984-11-30
KR850000834B1 true KR850000834B1 (ko) 1985-06-15

Family

ID=16036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775A KR850000834B1 (ko) 1982-10-08 1983-10-08 플로우트 밸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45397A (ko)
JP (1) JPS5969596A (ko)
KR (1) KR850000834B1 (ko)
AU (1) AU538869B2 (ko)
CA (1) CA1213498A (ko)
DE (1) DE8328892U1 (ko)
FR (1) FR2534347A1 (ko)
GB (1) GB2128716B (ko)
IT (1) IT1167249B (ko)
NL (1) NL1815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3598U (ko) * 1989-01-11 1990-07-25
US5366349B1 (en) * 1993-06-25 1999-10-12 Gestra Inc Automatic liquid pump with vapor flow prevention flow outlet valve
US5938409A (en) * 1996-06-04 1999-08-17 Spirax Sarco, Inc. Gas powered fluid pump with exhaust assist valve
DE10300119B4 (de) * 2003-01-07 2011-08-11 AWH Armaturen-Werk Halle GmbH, 06110 Kondensatableiter
WO2009019711A2 (en) * 2006-04-17 2009-02-12 Spirax Marshall Pvt. Limited Steam trap
KR20160081079A (ko) 2014-12-30 2016-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팀 트랩밸브
KR20160081057A (ko) 2014-12-30 2016-07-0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원형 프리 플로우트를 구비한 스팀 트랩밸브
JP7461623B2 (ja) * 2019-07-30 2024-04-04 株式会社テイエルブイ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20230117230A (ko) * 2020-12-25 2023-08-07 가부시키가이샤 티엘브이 밸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7446B (ko) * 1959-10-22
US1962360A (en) * 1933-07-31 1934-06-12 George J Pflugheber Steam trap for radiators
GB551874A (en) * 1942-06-18 1943-03-12 Barr Thomson & Company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US2550643A (en) * 1948-10-01 1951-04-24 Clark Mfg Company Steam trap
DE976634C (de) * 1953-04-26 1964-01-30 Klein Dampfwasserableiter mit senkrechten oder waagerechten Zu- und Ablaufstutzen
US2954431A (en) * 1957-11-08 1960-09-27 Mackay Radio & Telegraph Co Automatic telegraph message numbering apparatus
GB857061A (en) * 1958-08-13 1960-12-29 Adolf Karel Velan Thermostatic steam trap
DE1212107B (de) * 1958-12-02 1966-03-10 Klein Kondensatableiter
DE1243692B (de) * 1964-07-15 1967-07-06 Klein Schanzlin & Becker Ag Schwimmergesteuerter Kondensatableiter
US3489164A (en) * 1966-11-29 1970-01-13 Katsuji Fujiwara Free float type steam trap
US3489348A (en) * 1967-01-11 1970-01-13 Katsuji Fujiwara Free float steam trap
HU167628B (ko) * 1973-03-06 1975-11-28
IT1096961B (it) * 1978-07-05 1985-08-26 Nuovo Pignone Spa Valvola d'intercettazione perfezionata del tipo a sfera e con corpo esterno saldat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8328892U1 (de) 1984-01-05
JPS5969596A (ja) 1984-04-19
AU538869B2 (en) 1984-08-30
IT1167249B (it) 1987-05-13
FR2534347B1 (ko) 1985-05-03
NL181599C (nl) 1987-09-16
NL181599B (nl) 1987-04-16
JPS6334358B2 (ko) 1988-07-08
GB2128716B (en) 1986-01-29
IT8323149A1 (it) 1985-04-05
KR840006518A (ko) 1984-11-30
FR2534347A1 (fr) 1984-04-13
GB2128716A (en) 1984-05-02
CA1213498A (en) 1986-11-04
AU1835683A (en) 1984-04-12
NL8302868A (nl) 1984-05-01
GB8326818D0 (en) 1983-11-09
US4545397A (en) 1985-10-08
IT8323149A0 (it) 198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81320A (en) Control valve
KR850000834B1 (ko) 플로우트 밸브
FI76634B (fi) Reduceringsventil foersedd med en aonga-vaetska-separator.
JP4409916B2 (ja) 配管ジョイント付スチームトラップ
JPS59209628A (ja) ドレン分離器
JP2007107642A (ja) 配管ジョイント付スチームトラップ
JPH1182885A (ja) フロ―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H0418015Y2 (ko)
JPH0619887Y2 (ja) 空気弁
JPH0544893A (ja) フロ―ト弁
US2658517A (en) Vapor trap
KR200220225Y1 (ko) 유체관용 일체형 급속 공기밸브
JPH10227397A (ja) フロ―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3444566B2 (ja) フロ―ト弁
JP3001921U (ja) 水配管用気水分離器
JPH0637278Y2 (ja) フロート弁の構造
JP4275509B2 (ja) 配管ジョイント付スチームトラップ
JPH07224996A (ja) フロ―ト弁
JPH0623804Y2 (ja) 排気弁
JP2835683B2 (ja) 排気弁
JPH06100317B2 (ja) フロート弁
SU1296787A1 (ru) Вантуз
KR101315044B1 (ko) 폴로우트 트랩
JPH0335361Y2 (ko)
JP2011241855A (ja) 配管ジョイント付スチーム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6

Year of fee payment: 1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