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044B1 - 폴로우트 트랩 - Google Patents

폴로우트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044B1
KR101315044B1 KR1020100113558A KR20100113558A KR101315044B1 KR 101315044 B1 KR101315044 B1 KR 101315044B1 KR 1020100113558 A KR1020100113558 A KR 1020100113558A KR 20100113558 A KR20100113558 A KR 20100113558A KR 101315044 B1 KR101315044 B1 KR 101315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ifice
liquid
float
strainer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094A (ko
Inventor
이원호
Original Assignee
이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호 filed Critical 이원호
Priority to KR102010011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2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with valves controlled by flo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2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preventing water-hammer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T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 F16T1/00Steam traps or like apparatus for draining-off liquids from enclosures predominantly containing gases or vapours, e.g. gas lines, steam lines, containers
    • F16T1/38Component part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발생하는 에어 배출이 용이하며 각 계절에 따라 응축수 양에 따라 배출용량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교체가 용이한 플로우트 트랩은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밸브에 있어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있고 중심부 상부에는 개방되며 상기 중심부의 내측에는 기체와 액체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를 나누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격벽이 형성하며 상기 격벽의 하단에는 중심부 외주에 두개의 노즐통공이 형성하되 하나는 큰 내경을 지니고 다른 하나는 작은 내경으로 구비된 오리피스가 설치하며 상기 오리피스의 노즐통공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관형의 스트레이너가 설치하되 상기 오리피스의 노즐통공 중 큰 내경의 노즐통공과 결합되는 스트레이너에는 액체에 의해 상승되는 플로우트가 내설되며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부와 격벽의 상부를 연결체결되고 중심부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오리피스가 항상 오픈된 상태로 최초운전시 에어 배출이 용이하여 운전시 발생되는 워터헤머를 방지할 수 있어 배관을 보호할 수 있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 및 오리피스의 교환이 용이하여 계절에 따른 응축수 양의 변동에 따라 적절히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설계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로우트 트랩 {Float trep}
본 발명은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발생하는 에어 배출이 용이하며 각 계절에 따라 응축수 양에 따라 배출용량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교체가 용이한 플로우트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우트 트랩은 열원을 스팀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기, 반응기, 제지용 건조기 석유화학업종의 트레이싱 배관, 병원의 살균기. 열병 발전기의 배관망등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배관설비 가동중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데 사용된다.
압축공기배관계에 발생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에어트랩, 수배관계에 혼재하는 공기를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배기밸브 등의 기체와 액체가 혼재하는 계로부터 기체 또는 액체의 한쪽을 자동적으로 배출하는데 사용하는 밸브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트랩에 관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플로우트 트랩은 한국 특허 출원번호 1983 - 4775 호와 같이 밸브케이싱부재(10),(11)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프레스성형하여 제작한다. 형상은 상호 대칭을 이룬다. 45도의 경사면을 이루는 거의 평저(平底)의 컵 현상이다.
밸브케이싱 부재(10),(11)의 저면부에 입구부재(12) 출구부재(13)를 용접한다(번호 16,17의 장소). 입구부재(12)와 출구부재(13)는 제1도에 있어서 밸브케이생의 상부에 편재되는 위치에 장착한다.
입구(24)와 출구(25)에는 배관용의 나사를 형성한다.
입구측 밸브케이싱 부재(10)의 내측에 거의 반구각(半求殼)형상의 스트레이너(28)를 수개소에서 스폿트용접하여 장착한다. 스크리인(28)은 소공을 한쪽면에 천설한 스테인레스강 박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한다.
격벽부재(20)는 스테인레스강 박판을 거의 반구각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한다. 개구단부는 원통형이고 그 직경은 밸브케이싱(11),(12)의 개구단부와 동일하다.
격벽부재(20)의 하부에 밸브구(27)를 형성한 밸브자리부재(21)를 용접한다(번호 22의 장소). 밸브자리부재(21)에는 플로우트가이드부재(15)를 장착한다. 플로우트가이드 부재(15)는 밸브구(27)의 축에서 하기 플로우트(14)의 반경의 길이 떨어진 이 축에 평행을 이루는 2개의 다리가 있다. U자형 바이메탈(29)을 그 일단을 밸브자리부재(21)와 격벽부재(20)의 사이에 끼워서 장착한다. 격벽부재(20)의 원통상단부의 양측에 밸브케이싱부재(10),(11)를 용접하고(번호 18,19의 곳),격벽부재(20)와 축구측의 밸브케이싱부재(11)사이에 통로(23)를, 격벽부재(20)와 입구측의 밸브케이싱부재(10) 사이에 밸브실(26)을 형성한다.
참조번호(14)는 밸브실(26)에 자유상태로 수용된 구형플로우트이고, 스테인레스강 박판으로 중공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플로우트 트랩은 초기발생하는 에어를 배출함에 있어서, 바이메탈을 사용하고 있으나 바이메탈을 정확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바이메탈의 특성상 일정한 온도를 만족하지 못하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최초 운전시 에어를 배출해야되는데 바로 배출되지 하지 못하고, 각 계절에 따라 응축수 양에 따라 배출용량의 변경이 불가능 하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초기발생하는 에어 배출이 용이하며 각 계절에 따라 응축수 양에 따라 배출용량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교체가 용이한 플로우트 트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있고 중심부 상부에는 개방되며 상기 중심부의 내측에는 기체와 액체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를 나누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격벽이 형성하며 상기 격벽의 하단에는 중심부 외주에 두개의 노즐통공이 형성하되 하나는 큰 내경을 지니고 다른 하나는 작은 내경으로 구비된 오리피스가 설치하며 상기 오리피스의 노즐통공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관형의 스트레이너가 설치하되 상기 오리피스의 노즐통공 중 큰 내경의 노즐통공과 결합되는 스트레이너에는 액체에 의해 상승되는 플로우트가 내설되며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부와 격벽의 상부와 연결체결되고 중심부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트 트랩은 오리피스가 항상 오픈된 상태로 최초운전시 에어 배출이 용이하여 운전시 발생되는 워터헤머를 방지할 수 있어 배관을 보호할 수 있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 및 오리피스의 교환이 용이하여 계절에 따른 응축수 양의 변동에 따라 적절히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설계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로우트 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플로우트 트랩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발명의 플로우트 트랩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a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나타낸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
도 4c는 본 발명의 응축수가 발생되는 구간을 나타낸 실시예.
도 5a,5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나타내 사용실시예.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른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플로우트 트랩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발명의 플로우트 트랩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나타내 다른 실시예이며, 도4c는 본 발명의 응축수가 발생되는 구간을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5a,5b는 본 발명의 오리피스를 나타내 사용실시예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로우트 트랩은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트랩에 있어서, 입구(11)와 출구(12)를 가지고 있고 중심부 상부에는 개방되며 상기 중심부의 내측에는 기체와 액체가 유입되는 공간부(13)가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3)에는 기체와 액체가 충돌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격벽(15)이 형성하며 상기 격벽(15)의 하단에는 중심부 외주에 두개의 노즐통공(22a, 22b)이 형성하되 하나는 큰 내경을 지니고 다른 하나는 작은 내경으로 구비된 오리피스(20)가 설치하며 상기 오리피스(20)의 노즐통공(22a,22b)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관형의 스트레이너(30a,30b)가 설치하되 상기 오리피스(20)의 노즐통공(22a,22b) 중 큰 내경의 노즐통공(22a)과 결합되는 스트레이너(30a)에는 액체에 의해 상승되는 플로우트(40)가 내설되며 상기 스트레이너(30a,30b)의 상부와 격벽(15)의 상부를 연결체결되고 중심부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공간부(13)는 "U"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3)에 형성된 격벽(15)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여 하단에 공간부(13-1)와 일측면에는 배출통로(13-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단의 공간부(13-1)에는 액체가 유입되고 배출통로(13-2)는 기체가 이동되어 출구(12)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격벽(15)의 하단과 대응되는 공간부(13)의 벽체에는 기체의 압출을 높이는 오리피스(20)가 일체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오리피스(20)의 중심부 외주에는 도 4a에 도시된 봐 같이 두개의 노즐통공(22a,22b)이 형성하는데 상기 두개의 노즐통공(22a,22b)은 하나는 내경이 작게 형성되고 하나는 작은 내경 보다 큰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오리피스(20)가 공간부(13) 벽체와 격벽(13)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13) 벽체 하단과 격벽(15) 하단에 나사부(16)가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오리피스(20)의 외주면에는 결합나사부(24)가 형성되며 중심부 상측면에는 육각너트(26)가 형성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리피스(20)가 탈부착이 가능하여 계절에 따라 응축수의 변화에 대해 적절히 대응함과 오리피스(20)가 파손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오리피스(20)의 노즐통공(22a,22b)) 중 큰 내경을 갖는 노즐통공(22a)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내지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연결되는 스트레이너(30a) 및 플로우트(40) 또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50)는 스트레이너(30a,30b)의 상부와 격벽(15)의 상부에 연결체결되어 더욱더 스트레이너(30a,30b)와 격벽(15)을 고정함과 동시에 중심부 상부를 덮어 밀폐하며, 더욱더 밀폐를 높이기 위해 결합되는 부분에 고무실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플로우트 트랩(1)은 작동실시예는 도 5a,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트랩에 있어서, 입구(11)와 출구(12)를 가지고 있고 중심부 상부에는 개방되며 상기 중심부의 내측에는 기체와 액체가 유입되는 공간부(13)가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3)에는 기체와 액체가 충돌되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격벽(15)이 형성하며 상기 격벽(15)의 하단에는 중심부 외주에 두개의 노즐통공(22a, 22b)이 형성하되 하나는 큰 내경을 지니고 다른 하나는 작은 내경으로 구비된 오리피스(20)가 설치하며 상기 오리피스(20)의 노즐통공(22a,22b)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관형의 스트레이너(30a,30b)가 설치하되 상기 오리피스(20)의 노즐통공(22a,22b) 중 큰 내경의 노즐통공(22a)과 결합되는 스트레이너(30a)에는 액체에 의해 상승되는 플로우트(40)가 내설되며 상기 스트레이너(30a,30b)의 상부와 격벽(15)의 상부를 연결체결되고 중심부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상기 입구(11)와 출구(12)는 배관에 연결시키 후 운전시 초기에 발생되는 에어는 입구(11)을 통해 공간부(13)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에어는 스트레이너(30a,30b)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거된 액체와 기체는 작은 내경인 노즐통공(22b)을 통해 압출되어 액체는 하단 공간부(13-1)에 유입되고 하단 공간부(13-1)을 지나 배출통로(13-2)을 통해출구(1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운전초기에 발생되는 에어는 바로 출구(12)로 배출되고 점차적인 유입되는 응축수는 노즐통공(22b)으로 배출하기 시작된다. 이와 같이 응축수가 계속적으로 유입하여 노즐통공(22b)의 최소의 양보다 많을 경우 응축수가 적층되며 이때 노즐통공(22a)를 막고 있는 플로우트(40)는 스트레이너(30a)에 내설되어 있어 응축수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며서 노즐통공(22a)이 오픈되어 응축수를 배출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트 트랩은 오리피스가 항상 오픈된 상태로 최초운전시 에어 배출이 용이하여 운전시 발생되는 워터헤머를 방지할 수 있어 배관을 보호할 수 있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트레이너 및 오리피스의 교환이 용이하여 계절에 따른 응축수 양의 변동에 따라 적절히 교체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설계시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플로우트 트랩
11 : 입구
12 : 출구 13 ,13-1: 공간부
13-2 : 배출통로 15 : 격벽
20 : 오리피스 22a,22b : 노즐통공
30a,30b : 스트레이너
40 : 플로우트
50 : 덮개

Claims (3)

  1.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를 이용하는 플로우트 밸브에 있어서,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있고 중심부 상부에는 개방되며 상기 중심부의 내측에는 기체와 액체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를 나누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격벽이 형성하며 상기 격벽의 하단에는 중심부 외주에 두개의 노즐통공이 형성하되 하나는 큰 내경을 지니고 다른 하나는 작은 내경으로 구비된 오리피스가 설치하며 상기 오리피스의 노즐통공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관형의 스트레이너가 설치하되 상기 오리피스의 노즐통공 중 큰 내경의 노즐통공과 결합되는 스트레이너에는 액체에 의해 상승되는 플로우트가 내설되며 상기 스트레이너의 상부와 격벽의 상부를 연결체결되고 중심부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우트 트랩.





  2. 삭제
  3. 삭제
KR1020100113558A 2010-11-15 2010-11-15 폴로우트 트랩 KR10131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58A KR101315044B1 (ko) 2010-11-15 2010-11-15 폴로우트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558A KR101315044B1 (ko) 2010-11-15 2010-11-15 폴로우트 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094A KR20120052094A (ko) 2012-05-23
KR101315044B1 true KR101315044B1 (ko) 2013-10-08

Family

ID=4626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558A KR101315044B1 (ko) 2010-11-15 2010-11-15 폴로우트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92A (ja) * 1995-06-15 1997-01-07 Tlv Co Ltd バイパス弁付フリ―フロ―ト式スチ―ムトラップ
KR20080076148A (ko) * 2007-02-15 2008-08-20 주순규 스팀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92A (ja) * 1995-06-15 1997-01-07 Tlv Co Ltd バイパス弁付フリ―フロ―ト式スチ―ムトラップ
KR20080076148A (ko) * 2007-02-15 2008-08-20 주순규 스팀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094A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605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KR101818356B1 (ko) 오리피스 스팀트랩 장치
KR20170064222A (ko) 벨로우즈형 스팀 트랩
KR101891578B1 (ko) 콘 구조의 하이브리드 스팀트랩
KR20200087392A (ko) 벤츄리 노즐 핸들제어형 스팀트랩
KR101910552B1 (ko) 오리피스형 디스크스팀트랩
KR200425999Y1 (ko) 다기능 에어벤트
KR101315044B1 (ko) 폴로우트 트랩
FI76634B (fi) Reduceringsventil foersedd med en aonga-vaetska-separator.
JP5431082B2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101876200B1 (ko) 가스보일러용 배기가스 차단장치
KR850000834B1 (ko) 플로우트 밸브
KR20170116731A (ko) 노즐 교체형 스팀트랩
KR102098903B1 (ko) 스팀트랩
KR100597660B1 (ko) 악취의 누출방지를 위한 하수파이프의 연결구조
US3059666A (en) Air filter
KR101402159B1 (ko)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증기 트랩
JPH0418015Y2 (ko)
KR100762914B1 (ko) 다기능 에어벤트
KR200450641Y1 (ko) 기수 분리기
KR20180000484A (ko) 오리피스형 버켓스팀트랩
US11391413B2 (en) Steam trap
JP5607489B2 (ja) フロート式スチームトラップ
KR20090112246A (ko) 기수 분리기
US20060180203A1 (en) Thermodynamic steam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