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027B1 - 기계적 표면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기계적 표면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027B1
KR840001027B1 KR1019800004297A KR800004297A KR840001027B1 KR 840001027 B1 KR840001027 B1 KR 840001027B1 KR 1019800004297 A KR1019800004297 A KR 1019800004297A KR 800004297 A KR800004297 A KR 800004297A KR 840001027 B1 KR840001027 B1 KR 84000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abrics
present
treated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4490A (ko
Inventor
케이 에프 옷토오 울프강
Original Assignee
미리켄 리서어치 코오포레이션
포을 브이 마이틴 쥬니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켄 리서어치 코오포레이션, 포을 브이 마이틴 쥬니어 filed Critical 미리켄 리서어치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3000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4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2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19/223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of paper or similar sheet material, e.g. perforating, cutting by means of a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2059/027Grinding; Poli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8Surface characteri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Surface property or characteristic of web, sheet or b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8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3114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trand material is other than circu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기계적 표면 가공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정을 실시하기 위해 고안된 바람직한 장치.
제2-5도는 샌딩장치와 가공될 직물 사이에서 단속적인 기계적 밀착을 얻는 여러가지 장치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개략도.
제6-52도는 각 시료를 100배 또는 350배율로 확대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임.
본 발명은, 개량된표면 유연성과 바람직한 직물 촉감을 갖는 직물제품을 만들기 위해서 기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직물을 표면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드러운 표면 감촉과 같이 직물에 여러가지 효과를 부여하고, 커보(cover)를 생성시키거나, 필라멘트실로 부터 만들어지는 직물에 방적한것 같은 촉감을 부여하기 위해 직물을 기계적으로 표면 가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기계적 표면 가공 기술은 내핑(napping) 및 샌딩(sanding)기술을 포함하며, 선정된 작동 매개변수 및 사용된 특정기술은, 가공될 섬유의 성질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효과에 의해서 결정된다. 본 기술에서 버핑(buffing) 또는 에머라이징(emerizing)으로 여러가지로 불리우는 직물의 샌딩은 연마제 즉, 정당한 정도의 섬도 또는 조도를 갖는 연마지(sanding paper)로 덮인 신속회전 실린더 위로 직물을 통과시킴으로써 공지 방법에 따라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작동조건에 따라 일정기간동안 직물표면과 접촉되는 샌딩입자는 직물의 표면섬유를 연마하고, 내핑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는 것보다 일반적으로 더 짧은 커보를 발생시킨다.
샌딩 형태으 표면가공 작업에 있어서, 연마면과 받침장치 사이에 직물두께보다 약간 작은 예정 간격을 설정하거나 장력이 걸리게 하여 직물을 연마표면 위로 강제로도입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계적 가공 기술에 의하어 얻어진 직물표면은 냅(nap)이나 파일(pile) 높이가 바람직하게 균일한 생성물을 얻기 위해 샌딩 또는 다른 처리후 진단되어야 한다 알려진 기계적 표면 가공기술을 이용하여 처리되는 직물에 관해서 직물의 모양이나 촉감을 많이 변경시킨다 해도 상당량의 직물 강도가 빈번히 감소된다.
또한, 방직된 폴리에스테르-면직물 또는 방직된 모든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같이 매우 견고한 직물을 표면 가공 처리하기가 바람직한 경우에는 특히, 샌딩후, 직물의 팽팽한 경사단부로 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줄무늬진 표면이 생겨난다. 더구나 실제적인 문제로서 직물에서 이러한 팽팽한 경사단부들을 피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더우기, 수많은 직물에 있어서 밀집되고 균일한 직물표현 변형을 얻기란 어렵다. 특히 폴리에스테르같이 비교적 강한 섬유로부터 만들어지는 섬유에 있어서, 얻어진 커버는 때때로 얇고, 비균일하며 거칠어서, 직물제품은 미모를 해치게 되며, 제품의 촉감 특성을 거의 아무런 이익도 없는 것이다.
또한, 기게적 표면 가공 기술은, 직물 표면 냅이나 파일의 길이을 바람직한 정도보다 더길게 하여 냅이나 파일의 길이가 전단에 의하여 감소되고, 이것은 소위 "빈약한" 커버로 알려진 부적당한 야으이 커버를 직물제품에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으 표면 가공 기술을 이용하여 결함이 거의 없는 양질의 균일한 제품을 만들기는 매우 어렵다. 더우기, 몇몇 직물, 특히 예를들면, 매우 가벼운 직물은 종래기술을 이용해서는 전혀 표면가공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은 팽팽한 경사단부들이 있는 직물에서도 종래 방법보다도 더 균일한 표면 가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즉, 줄무늬 형성이 최소화되거나 완전히 방지된다. 본 공저은 쉽게 조절될 수 있으며, 가공 특성이 조작 매개변수를 변경시킴으로써 예상대로 조절될 수 있다. 표면이 매우 부드러운 감촉을 갖는 특성을 갖거나 또는 원한다면, 조밀하나 매우 짧은 커버를 갖을지라도, 조작 조건과 직물 기질에 다라 마무리된 표면은 극히 적게 파괴된 섬유를 가질 수 있다.
기질특성과 선정된 조작 매개변수에 따라서, 처리된 직물의 표면 촉감은 스웨드 가죽이나 면같이 되고 또는 모방같은 바람직한 감촉을 가질 수 있다.
기틸특성과 선정된 조작 매개변수에 따라서, 처리된직물의 표면 촉감은 스웨드 가죽이나 면같이 되고 또는 모방같은 바람직한 감촉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결과가 서로 다른 것은 단순히 기질 형태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고 조작매개변수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할때 동잃나 직물 기질형에서도자주 일어날 수 있다. 직물 그 자체가 더 많은 드레이프(drape)를 성장시키게 되거나, 또는 바람직하하면, 직물 드레이프와 크리스프네스(crispness)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차적으로 직물표면 가공, 즉 표면 감촉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가공매개변수들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며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직물의 촉감 및 모양은 종래 방법에 의해서 얻어지는 직물 촉감 및 모양과 상당히 다르다.
또한, 종래방법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전혀 표면 가공할 수 없는 직물은 본 방법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쉽고 편리하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들면, 몇몇 져어지(jersey) 편직물과 같은 어떤 가벼운 직물은 샌드될 수 없거나 또는 적어도 종래방법대로 편리하게 샌드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런한 직물들이 보통 샌딩에 피룡한 인장력하에서 상단히 추소되고 게다기 샌딩을 감싸는 경향이 잇기 대문이다. 그런, 본 발명의 공정에서는 표면 가공 조건을 더 잘 조절할 수 있고 매우 가벼운 져어지 편직물도 표면 가공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보통직물의 결함은 가장자리가 타이트하게 자진다는 것(tight selvedge)이다. 이러한 결함 때문에 종래에는 샌댕이 거의 불가능 하였지만, 본 발며의 공정에 따라서 이러한 직물을 숩게 가공될 수 있으며, 소위 "타이트 셀비즈"에서 야기되는 역효과가 거의 완전히 없어진다. 엠보스드(embossde)직물도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표면 가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공정은 양각된 부분과 안된 부분 모두에서 개량된 촉감과 모양을 갖는 제품을 제공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광택 또는 플라스틱 모양이 양각된 부분에서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직물과 같은 합성필라멘트 직물은 방적 직물의 바람직한 촉감과 모양 특성을 많이 얻을 수 있고, 또한 굶기가 더 작은 데니어 섬유로 부터 만들어지는 직물과 보통 관련되는 바람직한 표면 감촉을 얻을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직물은 접착성이 촉진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그 직물은 처리되지 않은 물질보다 폴리우레탄 박막 물질과 같은 다른 물질에 더 잘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직물이 단일 평면에 놓여 있도록 상기 직물을 공급원으로 부터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 직물폭을 가로질로 연마수단으로 상기 직물으 연차 인접한 부분들에 단속적인 기계적 밀착을 가하여 상기 직물과 상기 연마수단 사이의 실질적인 지속적 집촉을 방지하고, 상기 기계적 밀착이 일정한힘과 빈도에서 상기 직물의 표면 특성을 사실상 균일하게 할 만큼 충분하게 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 섬유직물을 기계적으로 표면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만들어지고 다수으 섬유 부분으 포함한 몸체부분을 갖는 섬유물질은 그 섬유의 적어도 20 중량%, 그리고 바람직하게 적오ㄷ 45 중량%가 합성섬유,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또는 나일론 섬유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섬유이다. 섬유물질의 나머지 부분은 완전 합성섬유가 아니라면, 천연 섬유로 만들어 질수 있으며 몇개의 비섬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물질내의섬유는 곡률을 가지며 볼록면과 오목면을 가질 수 있도록 배열된다. 노출된 물질의 섬유의 볼록면, 즉 물질표면 근처에 있으며 다른 섬유로 덮이지 않은 볼록면들에는 사실상 홈이 생기고, 그곳으로 부터 연장되어 있는 박막층 모양의 일반적으로 짧고 다고 두꺼운 돌출분분들이 다수 함유되어 있다. 이 돌출부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꽤잘ㅂ으며, 예를들면, 0.05mm이하, 바람직하게 돌출부의 기부로부터 약 0.03mm이하로 평균하여 결정되며, 여기서 돌출부는 섬유의 주몸체 부분과 돌출부 첨다에 붙는다.
설명한 바와 같이, 섬유 물질의 노출된 블록면의변형 정도는 섬유기질 조절물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의 변경은 중요하며, 광범위한 직물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아주 독특하며, 하기 실시예에서도 분명히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기술을 이용하여 표면 가공되는 똑같은 조성물 및 구조의 표본이나 처리되지 않은 기준표본에 대하여 변형한 후 직물 기질을 비교함으로써 쉽게 확인된다는 것이 아주 명백하다.
돌출부의 모양은 일반적으로 박막형태로기술된다. 이러한 특성은, 각 돌출부가 정확하게 확인가능하며 재생성 가능한 모양을 갖고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박막층"이라는 말은 얇고 평편한 부품을 지칭하는 통상적인 의리모 사용된다. (1955년판, 웨브스터의 대학생용 사전 제7판 참조) 더우기 각 돌출부는 다소 불균일한 모양일 수 있고, 어떤 것은 단면치수에 비하여 더 길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균하여 돌출부는 진짜"원섬유"로 특징지을 수 있는 대략 원형 단면치수 보다도 오히려 짧고 평편하다.
섬유 물질 자체의 표면 또는 표면 근처에서 섬유의 단면 크기는 종종 본 발며의 기계적 표면 처리의 결과로서 왜곡될 수 있는 한편, 표면이 아닌 곳에서의 섬유 크기는 변형되지 않고 남아잇다는 것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품에서 특별히 발견도니다. 이것은 성질상 열가소성인 합성섬유의 소위 "스미어링(smearing)"으로서 직무시료가 얇고 단단한 직물인 경우에 발견되었다. 본 발명자가 그러한 스미어링(되묻음)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의 기구를 확인하지 못했을지라도, 이 스미어링은 열가소성 변혀의 결과일지도 모른다. 더우기 섬유물질의 표면 또는 표면 근처에서 각 합성섬유는 기계적 표면 가공의 결과로서 실제로 다소 평탄해진다. 예를들면 각 직물의 단면 모양이 기계적 표면처리전에 사실상 원형이라면, 기계적 표면 가공후 단면 크기는 다소 난형체(卵形體)로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단면 모양이 다수의 둥근 돌출부라면, 표면 근처 또는 표면에서 섬유에 대한 이 모양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이 발견된 스미어링 효과와 섬유물질의 표면 근처 또는 표면에서 각 섬유의 단면 크기의 뒤틀림은 본 발명의 섬유 물질의 표면 특성을 유리하게 한다.
첨부도면 특히 제1도 참고하여볼 때, 처리될 직물 10은 조절된 장력하에서 지물 공급롤 1로부터 풀려안내롤 2와 3으로 도입된다. 안내를 2와 3은 고정되거나 무부하롤이 될 수 있고, 이 롤들은 직물의 방향을 위치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직물의 연속적인 경로가 거의 수직 방향으로 될 수 있는 동시에 직물이 하단 안내판 4a와 함께 전체폭에 걸쳐 접촉을 유지한다. 직물 경로는 안내판 세트의 상부 안내판 4b위에 걸처 신장하여 직물안정봉 5a와 5b사이로 직물 안내판 세트 6a와 6b위를 거쳐 안내롤 7과 8로 통과하는데, 롤 7과 8은 직물이 감기는 직물 권추롤 9로 이동하는 직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안내판 세트 4a 및 4b, 6a 및 6b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모두 조절될 수 있다. 안내판 세튼 4a 및 4b, 6a 및 6b 으 구성은 다양하고 예시된 바와 같은 안내판 또는 실제적인 채널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판 4a 및 4b, 6a 및 6b사이에서 직물은 마모를 11 및 11a와 대응 플랩(flap)룰 12 및 12a사이로 통과한다. 마모롤은 연마지와 같 적당한 마모물질의 입자 크기는 하기에서 더 설명하겠지만 원하는 효과에 따라 다양하다. 안내판 4a 및 4b, 6a 및 6b는 직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플랩롤 12와 12a의 작용에 의하여 샌딩롤 위로 밀착되지 않으면 샌딩롤 11과 11a와 접촉하지 않는다.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롤 12위의 플랩 13a, 13b, 13c 및 13d와 롤 12a위의 플랩 13e, 13f, 13g 및 13h는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롤 12 및 12a에 부착되어 있다. 이플랩들은 플랩롤 위에 단순히 볼트로 조여줌으로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롤이 작동하지 않고 있을때 플랩평면은 롤들에대해 반드시 접선을 이룬다. 이러한 실시에서, 플랩 롤이 급속히 회전할 때, 원심력으로 인하여 플랩은 롤로부터 사실 상방사상으로 신장한다. 또한 플랩은, 롤이 작동하지 않고 있는 동안, 즉, 원심력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플랩롤로 부터 방사사으로 신장하도로 설치될 수 있다. 플랩은 네오플렌 고무, 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나일론등과 같은 적당한 강화 또는 비강화 물질 또는 강철 및 다른 박막물질과 ,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과 가용성을 갖는 조성물로 다양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플랩롤은 구동 샤프트 24와 풀리 15 및 15a 17 및 17a 벨트 16 및 16a와 샤프트 18 및 18a를 거쳐 모타 14에 의해서 구동된다. 샌딩롤 11 및 11a는 구동 샤프트25, 풀리20 및 20a, 22 및 22a, 벨트 21 및 21a와 샤프트 23 및 23a를 거쳐 모타 19에 의해서 구동된다.
작동할 때 샌딩롤 11과 11a가 회전함으로서 플랩롤 12와 12a도 회전한다. 플랩롤 12 및 12a와 각각 샌딩롤 11 및 11a사이의 거리는 조절되어 있어 직물 10이 없이 플랩의 예정된 깊이로 샌딩롤 11 및 11a에 밀착을 가할 수 있다. 기계가 작동하면서 직물 10과 함게 섞일 때, 플랩 13a-h는 급속히 회전한느 롤 12와 12a로부터 원심력에 의해 사실상 방사상으로 신장되고, 샌딩롤 11과 11a위로 상당한 힘으로 직물을 단속적으로 밀착시킨다.
바람직한 효과에 따라서, 샌딩롤 11 및 11a와 플랩롤 12 및 12a는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독자적으로 회전될 수 잇다. 샌딩롤과 플랩롤 모두의 회전속도는, 하기 설명하는 바와같이 바람직한 효과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제2도에서는, 샌딩롤 11과 플랩 13a, 13b, 13c 및 13d를 갖는 플랩롭 12와 직물 안내판 4a 및 4b로 구성된 처리 부분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 개략도에서, 직물 10이 플랩 13c에 의해서 샌딩롤 11의 마모덮개 위로 밀착되고 있는 것을 나타나개 있다. 제1도에서는, 제2도에서와 똑같은 형태인 두 개의 처리 부분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장치는 한 부분 또는 두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3, 4 또는 그 이상의 부분이 직물의 한 면 또는 양면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우기, 처리부분은 모두가 제1도에서 예시된대로 똑같은 형태일 필요는 없고, 하기 설명되는 제3, 4도에서와 같이 동일 장치에서라도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비록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있을 수 있다고 할지라도 제3, 4 및 5도는 직물이 급속회전하는 연마 장치위로 밀착하게 하는 장치를 마련한 다른 처리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3도에서 직물 10은, 직물로 하여금 롤에 충격을 가하고 샌딩롤을 깨끗이하게 하는 사각 봉 30과 같이 급속회전하는 비-원형 봉에 의하여 연마제로 덮힌 롤 11위로 밀착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롤 11은 롤의 연마제 사이에 놓이게 도는 압축성 발포체로 덮히기 때문에 연마 장치위에 직물 10을 밀착시키는 것이 부드럽게 되고 마모수단과 밀착수단 사이에서 직물 재밍(jamming)을 방지한다. 혹은, 비-원형 봉 30은 똑같은 목적으로 압축성 발포제로 덮힐 수 있다. 또한, 밀착수단 30은 연마수단 11과 밀착수단 사이의 최근 접점 위나 아래에 배치되어야 제3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에서 특히 유리하다. 밀착수단의 이러한 배열은, 밀착수단이 진동봉 또는 회전 편심롤 등이 다른 실시예에서 뿐만 아니라 제2, 4 및 5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도 유리하다.
제4도는, 단속적인 공기흐름 40이 노즐 42로부터 방출되어 10직물으로 하여금 샌딩롤 11의 표면에 단속적으로 밀착되게 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고 있다.
제5도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직물 10은, 직물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무부하롤 50위로 지난 다음 간격롤 51, 52, 53, 54 및 55위로 통과한다. 간격유지롤은, 예시된 플랩에 의해서 밀착이 되지 않을 경우, 10과 샌딩 표면 사이에서 접촉을 방지하도록 고안되었다.그러므로, 작동시 플랩롤 62, 63, 64와 65는 플랩 66a-d, 67-d, 68a-d와 69a-d로써 11b의 연마제 피복된 표면위에 직물 10을 밀착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여러가지 직무을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직물의 예로서는 방직, 편직, 비장직 직물 뿐만 아니라 피복도니 직물등과 같은 것이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어떤 필름을 유리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중합체, 종이 및 가죽과 같은 막 형태의 천연 생성물도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편직물의 예로는 이중 편직물, 져어지, 트리콧(tricots), 경사직물, 씨편지(**)등 이있다. 방직된 직물은 평직, 능직물 돈느 다른 잘 알려진 구조일 수 잇다. 이러한 직물들은 방적 또는 필라멘트사로 제조될 수 있거나 같은 직물에서 두가지 형태의 실을 사용하여 만들수도 있다. 바람직한 직물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나일론 섬유 아크릴 섬유, 셀룰로오스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천연섬유 등과의 혼합물과 같은 합성섬유로 부터 만들어지는 것일지라도, 양모, 실크, 면, 아마와 같은 천연섬유로 부터 만들어지는 직물로 또한 처리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함유하는 직물에 대한 직물의 표면 특성이 특히 진전되었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는 직물은 일반적으로 종래방법에 ㄸ라 처리된 직물보다 표면가공이 더 균일 한 특징을 갖는다. 본 공정을 이용하여 맨눈으로도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직물표면에의 가공을 할 수 있거나 맨눈으로는 분명하지 않지만 촉감으로는 분명한 가공처리를 할 수 있다. 그 직물은 일반적으로 더 부드러운 촉감으 가지며 그 직물의 굽힘률은 감소될 수 있다.
편직된 플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직물과 같은 직물은 본 발명에 다 처리될때 폭 방향으로 수축되어 직물무개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더우기, 직물이 본래 폭과 단위면적당 본래 무게로 다시 펼쳐진다면, 그 직물은 더촘촘하고 더 좋은 촉감을 갖는 특징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직물은 플라스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감촉을 잃을 수 있으며, 이러한 직물의 촉감은 모방이나 면같은 천연섬유로 부터 만들어지는 직물과 더 비슷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2중 편직물과 같은 제품은, 어떤 경우에, 종래의 샌딩 또는 내핑 기술에 의해 실제로 얻어질 수 없는 커버의 밀도, 균일성 및 짧은 것으로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공정에서는 너무 늘어나고 무게가 너무 가벼워서 종래의 샌딩 기수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가공디ㅗㄹ 수 없는 직물을 처리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은 종종 직물을 샌딩장치에 접촉시키는 장력에 의존하다.ㄴ
받침면과 샌딩 표면 사이에서 직물을 압축함으로서 접촉이 달성되는 경우에, 직물로 하여금 샌딩롤에 붙잡히거나 그 주위에 말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장련이 필요하다. 샌딩롤과의 단속적인 접촉 때문에 그리고 직물안내판을 적절한 사용 때문에, 본 발명에 따라서 매우 적은 장령으로도 충분하며 그래서 경량 저어지 편직물과 같은 매우 가벼운 직물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량 저어지 편직물과 같은 매우 가벼운 직물을 가공할 수 잇다. 이러한 경량 저어지는 매우 쉽게 늘어나고 장련하에서 오무라들며 가장자리가 장력하에서 말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가공기술에서는 가벼운 저어지에 대해서 매우 심각한 문제점이 되었다.
ㄸ한 종래 샌딩 기술에서 가벼운 직물 처리의 균일성과 정도를 거의 조절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서는 그것이 가능하다.
감촉이 부드러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실, 즉, 150/34데니어 굵기의 실로 구성된 것과 같은 이중 편직물에 본 발명의 공정을 이용함으로써 특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보통, 종래의 샌딩기술에서는 바람직하고, 부드럽고, 일정한 표면 가공을 하기 위하여, 이런 형태의 직물은 보다 값비싼 실, 예를들면, 150/50데니어 또는 심지어 150/68데니어 실로 구성된다. 그러나, 150/34데니어 실로 구성된 직물은 , 종래 방법대로 샌드될 때, 감촉이 거칠고 표면이 불균일하게 가고오딘다. 그러나, 150/34데니어의 감촉이 좋은 폴리에스테르실로 부터 만들어지는 직무이 본 발며의 공정을 거치면, 150/50데니어의 감촉이 부드러운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실로 부터 만들어지는 보다 비싼 직물의 종래 샌딩에 의해서 얻어지는 표면 가공과, 촉감 및 모양에 있어서 거의 같은 직물에 대하여 방적-형태의 가공 마무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보다 무거운 직물은, 일바적으로 직물 크리스프네스를 유지하기 위해 150/50데니어 필라멘트 실로 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에, 동등한 가공처리를 얻는 150/34필라멘트의 부드러운 폴리에스테르 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보다 가벼운 직물의 사용을 허용한다.
그러나, 본 발며의 공정은 섬유물질 그 자체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면, 투명한 필름에 본공정을 적용하면 반투명 필름 부여하는 무광택 처리가 된다. 처리하기에 충분한 강도의 종이에 본공정을 적용하면 종이 표면을 부드럽게 된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서, 직물의 연차 인접한 부분은 직물 전폭에 걸쳤 연마장치에 단속적으로 밀착된다.
직물은 보통 직물의 개방된 너비로 연장되며 경사 혹은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직물과 연마장치 사이에서의 지속적인 접촉을 피하고, 기계적 밀착은 직물의 표면 특성을 사실상 균일하게 변형시키는데 충분한 힘과 빈도로 한다. 본 기술에 숙달되 ㄴ사람들은 분며이ㅎ 알 수 있듯이, 표면 특성 변형 정도, 얻어진 특별효과와 이러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잇는 속도는 처리되는 직무의 성질고 본 공에서 사용되는 기계의 작동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본 공정에서 사용된 장치의작동 매개변수, 즉, 밀착력 및 밀착회수, 마조제의 입자크기와 기타 변수는 광범위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샌딩 장치에 대한 직물의 선형속도는, 이용 가능한 처리부분의 수, 직물의 형태 및 요구되는 처리의 특성 및 강도에 따라 약 1야아드부터 약 200야아드, 바람직하게(5-100야아드)까지 변한다.
연마수단이 연마지일 경우에, 연마지의 입자는약 15-약 600의 입자크기, 바람직하게는 약 80-400, 즉 약 180-약 320이 적당하도록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다단계 처리단계를 갖는 기계에서 다른 크기의 입자들이 특별 효과를 얻기 위해서 서로 다른 순서로서 서로 다른 생딩롤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물 표면을 연속 처리할 때 연속적으로 더 미세한 입자에 의해서 수비게 변형시키기 위하여 상당히 거칠은 입자로 먼저 직물을 예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특히 정교하고 미세한 표면 가공이 요구되고 처리효과가 주로 직물표면에 국한될 경우에 보다 미세한 입자의 연마지를 사용하는것이 미세한 데니어 섬유 똔느 필라멘트로 부터 만들어지는 가벼운 직물에 대하여 특별히 바람직하며 다른 직물에 대해서도 또한 바람직하ㄷ.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 처리의 상대적인 강도는 연마제의 입자 뿌반 아니라 연마장치에 미는 직물의 밀착력에 따라 다르다. 이것은 반대로 플돌을 피하지 않는 정도와 플랩롤의 회전속도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입자이 절단 날은, 모든 샌딩 입는 아닐지라도 거의가 섬유물질의 표면을 마모하거 전달 시킬만큼의 상당한 힘으로 직무의 섬유에 밀착되기 때문에, 표준 센딩에서 사용되는 것보다 더 입자의 연마지로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서 상당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알아냈다. 미세한 입자로상당한 효과를 얻고, 더 미세한 그리트(grit)의 더많은 동시 절단 입자가 단위면적당 염마지의 표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단위표면적당 영향을 받는 섬유수는 보통 샌딩조작에 더 거칠은 입자물질로 얻어지는 것보다 결과적으로 더 맣아서(수배가량) 그 결과 얻어지는 표면 가공은 더 일정하고 미세하며 밀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된 직물은 종종 전단시킬 필요가 없는데 그 이유는 형성된 각 섬유의 끝이 종래의 샌딩기술에 의해서 형성도니 생성물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길이가 매우짧고 일정하기 때문이다.
직물에 대한 샌딩 장치의 표면속도는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으며, 약 10-8000ft/min(약 500-2500ft/min가 바람직함)이다. 장치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샌딩롤은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므며, 플랩롤의 회전 방향은 생딩롤의 방향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 반대방향일 수 있다.
예를들면, 샌딩롤과 플랩롤이 모두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매우 가볍고 펼쳐진 직물은 샌딩롤에 의해서 물리거나 그 주위에 감기는 경향이 적다.
직물이 연만장치 위에 밀착하게 되는 힘은 플랩롤의 회전속도, 플랩의 길이 또는 견고성, 플랩롤의 직경뿐만아니라 플랩물질의 밀도 및 기타 변수들이 함수이지만, 일반적으로 플랩롤은 약 100-약 8,000rpm바람직하게 약 500-약 6000 즉, 약 1000-약 4,000rpm으로 회전한다.
본 발며에 따라 처리되는 직물은 여러가지연차 처리작동을 받을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의 생성물에 대하여 특히 적당한 후처리는 빗질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직물은 비교적 완화한 처리조건, 즉, 연마수단으로서 비교적 미세한 입자의 연마지를 사용하거나, 또는 연마수단위로 직물을 비교적 낮게 밀착시키거나 비교적 더 낮은 빈도의 밀착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표면 가공처리될 수 있어서 직물의 강도는 다른 방법에 의한 것보다 덜 감소된다. 이때 놋쇠 또는 강철 솔같은 금속솔이나 나일론 솔을 이용하여 직물을 힘차게 빗질하므로서, 직물의 표면의 변형이 바람직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라고 생각되는 것을 기술하여 예시했다. 그러나, 첨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며의 보다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을 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중편직물 1/150/50Monsanto형의 100%감촉이 좋은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실로 부터 제조했다.
직물을 정련하고 엷은 청색으로 분사 염색하고 절단한 다음 열로 고정시켜 조절시료를 얻었다. 표면처리된 무게는 야아드당 13-3/4내지 14-1/4온스, 폭은 60내지 62인치이다. 뮬렌 파열강도(Mullen Burst Strength)(ASTM No.D-231(1975)는ㅈ 257lb이다. 제 6도와 7도는 각각 100배 및 350배로 찍은 섭유의 주사전자 현미경(SEPM)사진이다.
상기실의 별도 쌤플이 편직되어 그 결과 생성된 2중편직물은 정련, 분사 염색에 의해서 엷은 청색 및 절단. 처리되었다. 절단후, 그러나 열고정 처리전에 본 발명의 생성물을 만들기 위해서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직물을 기계적으로 표면가공했다. 제8도와 9도는 각각 100배 350배로 쌤플을 찌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처리매개 벼수는 하기표에 나타냈다. 처리후, 뮬렌 파열상도는 235lb이다.
상기 직물의 또다른 쌤플은 짙은 감색으로 착색되고 기계적 표면 가공대신 본 발명에 따라 열고정전에 게스너(Gassner)샌드처리될지라도, 상기 쌤플은 본 발명에 다른 쌤플에 대하여 상기 방법과 사실상 똑같은 방법으로 처리되었다. 처리후 게스너-샌드처리된 생성물에 대한 뮬렌 파열강도는 230lb이었다. 게스너-샌드처리된 생성물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을 제10도와 11도에서 각각 100배 350배로 나타냈다.
본 말명에 따라 처리된 직물은 매우 호화스럽고, 따뜻하며 부드러운 표면 초감과 매우 짧고, 조밀한 커버를 갖고 잇다. 커버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직물이 구조가 충분히 볼수 있도록 제조되므로 맨누으로도 쉽게 커버를 볼 수 잇다. 기계적 표면 가공을 하지 않은 기준 직물은 대조적으로 깨끗한 표면을 가지며 커버를 갖고 있지 안흐며 전형적으로 단단하고, 플라스틱 같이 다소믹그러운 모양과감촉이 부드러운 폴리에스테르 2중편직물의 촉감을 갖고 잇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의 촉감과 모양은 미세한 양털실로 부터 제조되는 직물과 비슷하다. 게스너샌딩 방법에 의하여 종전대로 표면 가공된 쌤플은 털실로 만들어진 직물과 유사하며 특히, 촉감의 부드러움, 커버의 조밀도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의 바람직한 특성보다 좋지못했다. 긴ㅌ준 샘플,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가 종전방법대로 샌드된 쌤플의 100배 및 350배로 확대된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에서는 본 발명의 직물의 섭유가 어느정도 현전하게 변조된다. 게스너-샌드된 쌤플은 각 섭유의 표면 특성이 매우 조금 개조되고 절단 및 파열된 섬유의 수가 상당히 많다.
[실시에 2]
1/150/34형의 100%숭고 가공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사용하여 실시예 1을 반복했다. 기준(처리되지않은) 쌤플, 게스너-샌드된 쌤플과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츨을 제조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게스너-샌드된 쌤플은 처리되지 않ㅇ느 기준 쌤플과 현저한 차이점이 없으며 그 생성물은, 150/34숭고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실이 비교적 거칠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유리한 가공이 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이와 똑같은 직물은 기준 쌤플에 비해서 당상히 증진된 표면 촉감과 따뜻하고양털같은 촉감을 갖는다. 이 쌤플은 보다 값비싼 150/50숭고가공 폴리에스테르 사로보터 시실예 1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게스너-샌드된 샘플보다 사실상 더 좋다. 처리된 기준쌤플에 대한 뮬렌 파열 강도는 게스너 샌딩 후의 220lb와 본 발명에 따라 표면 가공후의 240lb와 비교되는285lb이었다. 이와같이, 본 발며의 공정에 따라 표면 개조는 중요한 동시에 게스너-샌딩보다 강도 손실이 더 적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직물은 염색된 실과 폴리에스테르 2중 편직물이었다. 사용된 실은 1/150/34의 숭고가공된 100%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이였다. 긴 쌤플은 면직물을 스펀징(sponing), 절단 및 드라이크리닝(drycleaning)함으로서 제조되었다. 가공처리된 무게는 야아다등 12.4온스이었고, 폭은 64인치, 뮬렌 파열강도는 215lb이었다. 본 발명의 샘플은 표에 나타낸대로 처리되었다. 뮬렌 파열 강도는 120lb이었다. 표면 가공후에 직물을 가열고정시키고, 전단시킨 다음 다시 가열고정시키고 증융했다. 처리된 무게는 야아드당 116.6온스이고 폭은 60인치 이었다.
같은천의 쌤플을,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표면 처리대신에 직물이 1차 가열고정 조작후에 내핑된 다음 전단되고 다시 가열고정되어 증융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방법과 똑같이 처리되었다. 처리된 무게는 야아드당 11.70온스, 폭은 59-1/4인인치이었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된 직물은, 처리되지 않은 기준 쌤플의 전형적인 단단하고, 매끄러우며, 플라스틱 같은 촉감과 비교되는 매우 부드러우며, 무명같은 표면 촉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직물에의 커버가 비교적 짧기 때문에, 직물형태의 투명도는 색 대비가 매우 조금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현저하리 만큼 불ㅌ명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직물 구조는 아직 알 수 있었다.
같은 기준 직무로 부터 만들어지는 내핑된 직물은 훨씬 더거치고 더 건조된 약간 양털 같은 촉감을 갖고 있다.
표면위의 색조아 직물의 구조모양은 내핑에 의하여 매우 불투명해진다. 제12, 13 및 14도는 기준 쌤플을 각각 35배, 100배, 350배 확대한 주사전자 현미경이다.
제15, 16 및 17도는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된 2중 편직사 염색 생성물을 각각 35배, 100배, 350배로 확대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제18, 19 및 20도는 내핑된 쌤플을 각각 35배, 100배, 350배 확대한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들을 비교해보면 본 발며의 공정에 따라 처리된 쌤플의 표면 또는 표면 근처에서의 섬유는 박막층 형태의 돌출봐 홈의 형성 뿐만 아니라 매우 소량의 절단 섬유에 의하여 매우 개조되었다.
상당수의 절단 섬유가 있을지라도 내핑된 쌤플읜 대조적으로 거의 또는 오나전 섬유 표면 개조가 일어나지 않는다.
내팽된 쌤플은 직물에 사실상 평평한 켜버를 형성하는 표면위에서 방향이 일정치 않은 섬유의 층을 갖는 것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실구조는 사실상 흐트러졌고 본래 구조가 불투명해 졌따.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된 쌤플에 대해서, 원사구조는 사실상 변화되지 않고 방향이 임의로 흩어져 있는 급히 적은 섬율르 직물표면에서 볼 수 있다.
[실시예 4]
100%아크릴 2중편직물의 특성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전후로 비교되엇다. 본발명에 따른 기게적 표면 가공에 대한 처리 조건은 표에 나타나 있다. 모양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부터 만들어지는 직물에 대한 경우 보다는 약간 덜 플라스틱같을 지라도, 기준쌤플은 합성 직물에서 전형적인 약간플라스틱 같은 촉감을 갖는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은 보다 자연스럽고, 양털 같은 촉감과 부드러운 표면 촉감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제21도와 22도에서 각각 100, 350배율로 나타내고 본 발명에 따른 직ㅁㄹ의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의실현으로 섬유표며느이 박막층형 돌출부 뿐만 아니라 섬유표면의 홈이 형성됨을 나타낸다. 제23 및 24도에서 각각 100 및 350배율로 나타낸 기준 쌤플을 비교해보면 특성이 같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필라멘트 경사와 방적이사로 부터 만들어지는 100%폴리에스테르 방직물을 이용하한 본 발명의 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특성들을 비교하였다 출발직물은 2/150/34 Danbury-242T Dacron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경사(제조번호841)로 부터 방직된다. 위사는 방적된 12/1T-350 Trevira폴리에스테르 실이었다. 기준쌤플을 Mezzera처리와 짙은 갈색으로 분사 염색하여 제조하였고 가열고정, 전단 및 증융에 의하여 처리했다.
처리된 폭은 59.4인치(변내에서)이고 무게는 야아드당 11.5온스이었다. Scott Grab 인장실험(ASTM 번호 D-1682(1975)에 의해서 측정된 경도는 경사에 대해서 263lb위사에 대해서는 156lb이었다.
조절쌤플에 대한 상기 연속 처리는 Mezzera처리 전에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에 의해서 개조되었고 공정에서 나머지 단계는 조절쌤플에 대해 상기한 단계와 같다. 처리된 무게와 폭은 기준 쌤플과 같았다. 기계적 표면처리 조건은 아래표에 나타나 있다. 처리후 Scott Grab 인장(SGT력은 경사에 대하여 205lb, 위사에 대해서는 47lb이었다.
Mezzera처리후와 분사염색전에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표면처리가 실시되는 것외에는 상기 공정을 반복 했는데 기타 처리단계는 순서가 같다. 처리된 무게와 폭도 같다. 경사에 대한 SGT강도는 246lb이었고 위사에 대해서는 75lb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표면처리가 분사염색후와 가열고정전에 실시되는 것외에는 상기 공정을 반복하였고 기타 처리공정도 같다. 처리도니 무게와 직물폭도 똑같았다.
가열고정전 및 염색후에 본 발명이 따른 기계적 표면처리 대신에 직물 쌤플을 상기 공정의 이 단계에서 게스너 샌드한 것외에는 상기후자의 과정을 계속하엿다. 처리된 무게와 폭은 같고 정사에 대한 SGT값은 259lb이엇고 위사에 대해서는 93lb이었다.
분산염색후와 가열고정전에 직물을 내핑하는 것외에 상기 과정을 반복하였다. 처리된 직물의 무게와 폭은 같았다. 경사에 대한 SGT값은 246lb이었고 위사에 대해서는 147lb이었다.
염색전에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의 실험으로 양털 같은 촉감을 얻었다. 직물을 염색한후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표면처리를 하면 무명같은 촉감을 갖는 직물이 된다.
그러므로, 처리단계를 적절히 변형시키면 똑같은 출발물질로 부터 근본적으로 다른 두 개의 생성물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속 공정에 따라서 본 공정에 따라처리된 쌤플은 일반적으로 매우 매력적이고, 부드러우며 산뜻한 양털 또는 무명같은 촉감을 갖는 동시에 어떠한 ㅍ면처리를 하지 않는 직물은 전형적으로 폴리에스테르직물의 단단하고, 거칠은 촉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 표면감촉의 호화스러움 또는 부드러움 촉감을 얻지 않았을 지라도 종래장치, 즉 게스너 샌더로 샌딩하면 조절쌤프르이 촉감을 약간 증진시킨다. 내핑된 쌤플은 종전의 샌딩에 비교해 볼 때 비교적 유연한 표면감을 가지나 염색전에표면처리를 하는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산뜻하거나 부드러운 표면가공을 얻지 못했다. 또한, 내핑을 하자면 직물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소위 "모우(毛羽)"가 많고 일정하지 않으며 더 긴 커버가 생긴다는 사실을 주목할 만하다. 전단후 일지라도 본발명에 으해서 얻어진 표면가공은 종래 기술에 의해서 얻어진 표면 가공보다도 더 일정하며 더 매력저이다.
제25도와 26도는 각각 100 및 350배율로 확대한 기준쌤플의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이다. 제27도와 28도는 100및 350배율의 게스너 샌드된 쌤플이며 제29도와 30도는 내핑된 다음 100배 및 350배로 증융된 쌤플이다.
제31도와 32도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나타낼 필요가 없다.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염색전이든 염색후이든간에 본 발명에 처리된 직물쌤플은 직물표면으로 부터의 박막층 돌출부뿐만 아니라 상당량이 흠이 발생하였다. 섬유의 플라스틱 같은 변형이 없이 섬유 표면 개조가 한정되었다. 상당량의 절단된 섬유가 존재할지라도, 내피응ㄹ 하면 섬유 표면 개조가 덜 이루어지며 중합섬유의 플라스틱 변형이 없게 된다.
[실시예 6]
저어지 편직물을 본 발명에따 기계적 표면가공하고 가공되지 않은 기준 쌤플과 비교하였다. 기준 쌤플은 100% Dacron폴리에스테를 T-561/70 34실로 부터 제조되었다. 쌤플은 Mezzera처리, 엷은 초록색 63인치이었다. 물렌 파열 강도는 130lb이었다.
본 발명에 딸느 가열 고정후 직물을 처리하여 상기 공정을 개량하였다. 공정과 조건은 표에 나타나있다
처리후 뮬렌 파열강도는 123lb이었다.
표면가공된 쌤플을 관찰하여 볼 때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은 부드럽고 따듯하며 호화로운 촉감을 갖고 있는 반면 처리되지 않은 기준 쌤플은 폴리에스테르 직물에서 전형적인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다라 처리된 쌤플은 방적사로 부터 만들어지는 직물에 비할 수 있는 촉감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7]
63/35폴리에스테르 무명 혼바으이 쌤플을 본 발명에 따라서 처리한 다음 기준 샘플과 비교하였다. 위사 및 경사는 모두 65% 폴리에스테르, 35% 무명이었다. 직물을 털태우기 처리 및 머어서 라이징(mercerizing)하여 기준쌤플을 제조하였다. 가공처리된 무게는 4.86온스/yd2이고 폭은 60.3인치이었다. 별도으 직물 쌤플을 기준 쌤플과 똑같은 방법으로 처리했고 본 발명에 따른 처리에 의하여 연속 가공하였다. 처리조건은 표에 나타나있다. 목적을 비교하기 위해서 또 다른 쌤플을 털태우기, 머어서라이징 및 개스너 샌딩에 의해서 상기대로처리한 다음 천을 레인지 염색, 표면 가공 및 산포라이징 가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돈 쌤플과 기준 쌤플과의 현저한 차이로 본 발명의 쌤플은, 직물의 바삭바삭한 정도에 있어 어떠한 손실도 없이, 기준 쌤플보다 사실상 더 부드럽고 더 산뜻적 무명모양의 표면 촉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의샌딩에 의한 똑같은 종류의 직물을 비교샌딩하여 촉감과 다른 특성의 경우에 있어서직물이 별로 유리하지 못한 효과를 제공했다.
제33도와 34도는 100배 및 350배율로 확대된 기준 쌤플의 주사 전자현미경사진이다. 제35도 36도는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되고 100배 및 350배율로 확대된 쌤플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제37도와 38도는 100배 및 350배로 확대한 게스너샌드된 쌤플의 수자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주사 전자 현미경사진 실험으로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된 쌤플은 직물 표면 또는 표면 근처에 박막층 형태의 돌출부를 갖고 있다는것을 알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중 심한 열가소성 변형, 흠과 몇개의 절단 섬유가 있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열가소성 변형과 관련하여 실이 직물표면에서 즉시 평평하게 되었다.
게스너 샌드된 쌤플으 주사 전자 현비경사진을 관찰해보면, 임의로 방향을 이룬 섬유와 몇몇 전달된 섬유가 직물표면에 존재할지라도본 공정은 섬유표면의 매우 적은 개조를 가져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방적경사와 필라멘트 위사를 갖는 80/20으로 폴리에스테르와 무명이 방직된 쌤플을 본공정에 따라 처리하였고 기준 샘플과 비교하였다. 경사는 폴리에스테르 65%, 무명실35%이었다. 위사는 숭고가공된 폴리에스테르 필리멘트실 100%이었다.
기준샘플을 가열고정, 털태우기가공 및 머어서라이징 단계에 의해서 처리하였다. 가공된 무게는 4.94온스/yd2이고 가공된 폭은 60.2인치이었다. 경사의 SGT강도는 133lb이었고 위사에 대해서는 131lb이었다.
똑같은 방법으로 처리되 상기 직물의 샘플을 본 발며의 공정에 따른 기계적 표면처리에 의해서 가공하였다. 가공된 무게와 폭은 기준 샘플에어솨 같다. 처리조건은 첨부된 표에 나타나있다. 그결과 생성된 SGT강도는 경사에 대하여 122lb위사에 대해서는 101lb이었다.
폴리에스테르 65%, 무명이 35%인 방적경사와 숭고가공된 100%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를 갖는 유사한 직물을 가열고정, 수증기처리, 머어서라이징 및 레인지 염색에 의하여 처리하여 탠(tan)직물을 얻었다. 직물은 종전대로 게스너 샌드하고 가공 및 샌드포라이즈 하였다. 무게는 5.35온스/yd2이고 가공된 폭은 60.5인치이었다. 경사에대한 SGT강도는 207lb이었고 위사에 대해서는 181lb이었다. 처리전에 직물의 인장강도 특성을 알 수 없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샘플과 기준샘플의 현저한 차이로직물의 표면 모양은 크게 변하지 않은 동시에 따라 처리된 직물의 표면감촉은 처리되지 않은 조절샘플의 단단한 표면 촉감에 비교되리만큼 사실상 연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잇다. 기준샘플과 비교되는 처리된 샘플의 직물의 바삭바삭하는 정도가 사실상 유지되었다.유사한 직물은 게스너 샌딩처리할때 변혀이 거의 또는 완전 유리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제39도와 40도는 100배 및 350배로 확대한 기준 샘플의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이다. 제41도와 42도는 기준샘플에서와 똑같은 방법으로 처리되고 본 발명에 따라 표면가공된 샘플을 100배 및 350배로 확대한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이다. 제43도와 44도는 게스너 샌드처리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샘플의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이다.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의 시험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가공된 샘플에 있어서 극소수의 섬유가 절단된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오히려 섬유의 본 공정에서 상당히 병경되었다. 약간의 박막층 형태의 돌출부가 생성되었고 특히 홈이 많았다. 폴리에스테르 섬유중 약간의 플라스틱 변형이 형성되었다. 또한 실표면이 플랫트닝 되었다. 게스너 샌드 가공된 샘플에 관해서는 약간의 직물 절단을 제외하고는 직물의 섬유에 관한 효과가 거의 없다.
[실시에 9]
80/20폴리에스테르/무명 혼방 직물을 레인지 염색전에 표에 나타낸 처리조건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되었다. 레인지 염색후,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된 직물의 특징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이 샘플을 나일론 솔 또는 강철 솔로 연속적으로빗질하였으며 어떠한 강도손실도 없이 본래의 유익한 효과가 다시 생기고 사실상 크게 촉진되었다. 사실상, 샘플을 염샌한후 본 발명에 따라 기계적으로 표면가공한 경우에, 나이론이나강철솔로 빗질하면 크게 강도 손실이 일어나지 않고, 직물표면의 유연하고, 산뜻하며 우아한 감촉을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나일론 솔로 염색한후 본 발명에 따라 기계적 표면 가공하지 않은 유사한 쌤플을 단순히 빗질하였고 별도의 쌤플을 같은 조건하에서 강철 솔로 빗질하였으나 쌤플에 유리한 효과를 가져오지 못했다.
[실시에 10]
100%필라멘트의 엠소스트 방직 폴리에스테르린넨 직물을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하였으며 그 특징은 처리도지 않는 기준 쌤플과 비슷하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은 무명 자카아드 다마스크원직무의 모양을 닮았으며 지굴의 움푹학 양각된 부분이 유리하게 영향을 받는다. 대조적으로 조절되지 않은 기준 쌤플은 유리같은 광채와 고가의 자카이드 방직 다마스크 직물의 미묘하고 섬세한 아주 다른 모양을 갖고 있다.
[실시예 11]
이 실시예에서는 본 발며의 공정을 100%나일론의 방직되지 않고 점으로 결합된 직물에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기준쌤플을 제조하였고 별도 쌤플을 본 발명에 따란 연속적으로 가공하였다. 처리조건을 표에 나타나 있다.
방직되지 않은 나일론 직물은, 본 발며으이 공정에 따라 처리될때, 매끄럽고 "유리"같은 출발물질보다 굉장히 유연하고 부드러운 표면촉감을 갖는다. 직물표면에 천연섬유로부터 만들어진 물질의 표면 촉감을 부여하는 조밀학 다소 더 긴 커버를 만들었다. 직물의 처리때문에 강도손실이 거의 없었다. 각각 100배및 350배율로 확대한 제45도와 4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처리된 쌤플의 주사전자 현매경 사진과 각각 100배 및 350배율로 확대한 제47도와 48도 나타낸 기준쌤플의 주사전자 현미경 사진과 각각 100배 및 350배율로 확대한 제47도와 48도 나타낸 기준쌤플의 주사 전자 현미경사진을 비교해 보면, 섬유표면위의 박막층형의 돌출부와 섬유면의 홈과 눈에 보이는 절단된 섬유가 상당히 많이 생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에 13]
표면에 응고형 피복물을 함유하는 내핑된 기본직물로 기준직물을 만들었다. 별도의 직물 쌤플을 표에 나타낸 처리조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가공했다. 직물을 관찰해보면, 본래의 기준 직물은 유연하지만 끈적끈적표면 촉감을 갖고 있는 동시에 공정에 따라 처리된 직물은 균일하고 더 유연하지만 전체적으로 끈적끈적하지 않는 표면 촉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처리된 쌤플의 모양은 본래의 쌤플보다 더 부드럽고 더 균일했다. 350배율로 확대한 제49도에 나타낸 주사전자 현미경사진을 참고로 해보면, 처리되지 않은 기준샘플의 표면에 응고된 중합체가 많이 축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350배율로 확대한 제5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처리되 쌤플에는 소량의 중합체 피복물이 아직도 존재하며 상당량의 축적물이 사실상 제거되었거나 파열되었다. 더우기, 본 바령에 따라 처리된 쌤플에는 소량의 중합체 피복물이 아직도 존재하며 상당량의 축적물이 사실상 제거되었거나 파열되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쌤플에는 전형적인 박막층형의 돌출부와 섬유표면에의 흠이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에 따라 2mm두께의 폴리에틸렌 막물질을 기계적 표면 처리하였다. 처리조건은 첨부된 표에 나타나 있다.
기계적 표면가공된 막물질을 관찰해볼때, 기계적 표면 가공을 하면 사실상 투명한 필름 물질(긴준샘플)이 우유빛이며, 매끄럽지 않은 표면의 반투명 필름물질로 전환된다. 제51도(기준샘플)과 제52(처리되 쌤플)에 나타낸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을 보면 처리된 쌤플을 긁히고, 줄무늬이며, 박막층혀의 돌출부와 플라스틱 같이 변형되는 표면을 갖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나일론 필름을 기계적 표면가공하고 처리되지 않은 나일론 필름과 비교할때 아주 유사한 효과를 얻었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필름쌤플을 기계적 표면 가공하였을때 사실상 똑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15]
이 실시예에서, 단단한 종이(희고 가벼운 카드모양)를 본 발명에 따라 기계적 표면 처리하였다. 이 종이의 두께는 11-12mm이었다. 처리후 생성물을 관찰해볼때, 종이를 기게적 표면처리하면 처리되지 않은 기준쌤플과 비슷한 광택이 없고 매끄럽지 않은 표면을 갖게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직물처리 매개변수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주) *는 전체 직물폭을 기초로한 총 인장력을 뜻한다.
** "전방향"은 롤이 직물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뜻하며, "역방향"은 롤이 직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뜻한다.
***는 정상위치의 직물과 직물이 밀착되지 않을 때의 연마롤 사이의 거리 및 간견을 뜻한다.
****는 직물이 존재하지 않을때 플랩이 연마롤로 침투하는 이론적인 깊이임.

Claims (1)

  1. 직물이 단일 평면에 놓이도록 공급원으로 부터 상기 직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상기직물의 순차 인접한 부분들이 적어도 하나의 회전 마모롤에 의해 상기 직물으 폭을 가로질러 단속적인 기계적 밀착을받게 하여 상기 직물과 상기회전롤 사이에 사실상의 지속적인 접촉을 회피하고, 상기 단속적인 기계적 밀착이 상기 직물의 이면측 근처에서 마모롤에 평행하게 직물 폭을 가로질러 배치된 단속적인 밀착수단에 의해 일어나게하여 상기 마모롤에 의해 상기 단속적인 기계적 밀착에 노출된 섬유성분 부분들에 사실상 흠이 남겨지고 그로 부터 신장한 다수의 일반적으로 짧고, 다소 두꺼운 박층형 돌출부들이 마련되게 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섬유성분이 있는 섬유직물의 촉감특성의 사살상 균일한 변형을 기계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계적 표면 가공방법.
KR1019800004297A 1979-11-09 1980-11-08 기계적 표면 가공방법 KR840001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2815 1979-11-09
US06/092,815 US4316928A (en) 1979-11-09 1979-11-09 Mechanically surface finished textile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4490A KR830004490A (ko) 1983-07-13
KR840001027B1 true KR840001027B1 (ko) 1984-07-20

Family

ID=2223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4297A KR840001027B1 (ko) 1979-11-09 1980-11-08 기계적 표면 가공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4316928A (ko)
JP (1) JPS5943581B2 (ko)
KR (1) KR840001027B1 (ko)
AT (1) AT371154B (ko)
AU (1) AU519798B2 (ko)
BE (1) BE886075A (ko)
CA (1) CA1153192A (ko)
CH (1) CH647284A5 (ko)
DE (1) DE3041966C2 (ko)
DK (1) DK157496C (ko)
ES (2) ES496641A0 (ko)
FR (2) FR2469489B1 (ko)
GB (1) GB2063322B (ko)
HK (2) HK80084A (ko)
IE (1) IE50911B1 (ko)
IT (1) IT1147021B (ko)
LU (1) LU82918A1 (ko)
MX (1) MX155380A (ko)
NL (1) NL180030C (ko)
NZ (1) NZ195422A (ko)
PT (1) PT71975B (ko)
SE (1) SE451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2065A (en) * 1979-11-09 1985-04-23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chanical surface finishing apparatus for textile fabric
US4468844A (en) * 1979-11-09 1984-09-04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chanical surface finishing process for textile fabric
FR2628762A1 (fr) * 1988-03-18 1989-09-22 Saligny Claude Procede d'obtention de motifs suivant un dessin predetermine a la surface d'articles textiles ou materiaux similaires et installation pour sa mise en oeuvre
FR2656343B1 (fr) * 1989-12-22 1992-07-24 Chomarat & Cie Procede pour la realisation d'une armature textile de renforcement pour materiaux composites a base de resines et nouveau type d'armature.
US5109630A (en) * 1990-01-08 1992-05-0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achine and method to enhance fabric
US5058329A (en) * 1990-01-08 1991-10-22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achine and method to enhance fabric
DE4135855A1 (de) * 1991-10-31 1993-05-06 Gebrueder Sucker + Franz Mueller Gmbh & Co, 4050 Moenchengladbach, De Tambour-schmirgelmaschine
US5416958A (en) * 1992-01-21 1995-05-23 Basf Corporation Easy nap textile fabric and process for making
US5414913A (en) * 1992-05-12 1995-05-16 Wetmore Associates Ultraviolet protective fabric
US5392499A (en) * 1993-04-15 1995-02-28 Sperotto Rimar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treatment of wet fabric webs in a finishing machine
JP2914166B2 (ja) * 1994-03-16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研磨布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研磨装置
US6605332B2 (en) * 1997-07-29 2003-08-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itary polymer substrate having napped surface of frayed end microfibers
US6823900B2 (en) * 2001-08-17 2004-11-30 Tietex International, Ltd. Fabric having a decorative textured surface
US7055227B2 (en) * 2002-11-26 2006-06-06 Milliken & Company Process for face finishing fabrics and fabrics having good strength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US20050186873A1 (en) * 2004-02-24 2005-08-25 Milliken & Company Treated textile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a textile substrate
US7194789B2 (en) * 2003-12-23 2007-03-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raded nonwoven composite fabrics
US7213309B2 (en) * 2004-02-24 2007-05-08 Yunzhang Wang Treated textile substrate and method for making a textile substrate
EP1925702B1 (en) * 2005-09-01 2010-10-06 as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fleece having front and back faces made of different fibers
US7603755B2 (en) * 2006-08-29 2009-10-20 Northeast Textiles, Inc. Method of producing a twill weave fabric with a satin face
IN2014MU00808A (ko) * 2014-03-11 2015-09-25 Welspun India Ltd
ITUB20152274A1 (it) * 2015-07-17 2017-01-17 Ribbontex Srl Uninominale Processo di produzione di un nastro e nastro cosi' ottenuto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747A (en) * 1888-12-18 Pouncing or finishing of felt or other like articles
US702116A (en) * 1902-01-16 1902-06-10 Paul Spindler Fabric-scouring attachment for looms.
US1453742A (en) * 1922-08-28 1923-05-01 Fletcher W Browning Abrading machine
US1573845A (en) * 1924-09-08 1926-02-23 Arthur C Mason Fabric-rubbing machine
GB612427A (en) 1945-11-28 1948-11-12 Tomlinsons Rochdal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loth-raising and like rollers
US2566075A (en) * 1948-05-22 1951-08-28 Bleachers Ass Ltd Fabric finishing apparatus
US2754565A (en) * 1951-06-12 1956-07-17 Parks & Woolson Machine Co Burling machine and method
US2720064A (en) * 1954-04-07 1955-10-11 Michael C Klug Abrasive wheels
DE952616C (de) * 1954-09-24 1956-11-22 Kleinewefers Soehne J Breitwaschmaschine
US2970362A (en) * 1956-06-12 1961-02-07 Union Carbide Corp Method of treating pile fabrics
CH368759A (fr) 1960-07-05 1962-12-29 Velcro Sa Soulie Procédé de traitement d'un tissu épinglé-bouclé, pour en épanouir les boucles, et tissu épinglé-bouclé obtenu selon ce procédé
GB941679A (en) * 1961-06-09 1963-11-13 Scragg & Sons Improvements in artificial textile filaments
US3180785A (en) * 1962-03-21 1965-04-27 Kendall & Co Synthetic fibers with increased surface friction
NL129486C (ko) * 1965-08-17
GB1171170A (en) 1966-01-24 1969-11-19 United Merchants & Mfg Production of Textured and Multi-Toned Effects on Textile Fabrics
GB1154829A (en) 1967-04-18 1969-06-11 Norton Co Pattern Sueding of Fabric
US3523346A (en) * 1967-12-07 1970-08-11 Canton Textile Mills Method for modifying the surface texturing of fabrics
US3553801A (en) * 1968-02-19 1971-01-12 Hadley Co Inc Fabric treating apparatus
US3645049A (en) * 1968-10-21 1972-02-29 Minnesota Mining & Mfg Wide flap wheel
US3640101A (en) * 1969-04-11 1972-02-08 Riggs & Lombard Inc Continuous open width washer
US3600861A (en) * 1969-10-30 1971-08-24 Norton Co Abrasive wheels
US3706167A (en) * 1970-10-13 1972-12-19 Schaffner Mfg Co Inc Finishing apparatus
US3795498A (en) * 1972-05-03 1974-03-05 Merit Abrasive Prod Inc Method of making an abrasive wheel
US3890119A (en) * 1972-06-05 1975-06-17 Schaffner Mfg Co Inc Flap wheel finishing device
BE795833A (fr) * 1972-06-12 1973-06-18 Benzaquen Sa Ind Procede pour conditionner des toiles et machin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3872630A (en) * 1972-12-26 1975-03-25 Frank F Ali Sanding and buffing wheel
US4165556A (en) * 1974-02-08 1979-08-28 Kaneb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uede-like artificial leathers
DE2537151C3 (de) 1975-08-21 1978-10-12 Schumag Gmbh, 5100 Aa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leifen von langgestreckten, zylindrischen Werkstücken im Durchlauf
FR2341680A1 (fr) * 1976-02-17 1977-09-16 Aurelle & Cie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e tissus imitant les velours faconnes et nouveaux produits obtenus
DE2633416A1 (de) * 1976-07-24 1978-01-26 Sistig Kg Leo Klopfverfahren, insbesondere fuer polwar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sowie verwendung der vorrichtung in einer schermaschine
IT1115725B (it) * 1977-07-13 1986-02-03 Cami Centro Accessori Macchine Garzatrice per tessuti in genere
FR2408002A1 (fr) * 1977-11-02 1979-06-01 Togonal Frederic Procede de traitement d'un tissu de fibres synthetiques pour lui donner l'aspect de la flanelle, et tissu presentant cet aspect
IT1092020B (it) * 1978-01-23 1985-07-06 Barzaghi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finitura superficiale di tessuti e simi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483476B1 (ko) 1984-07-06
GB2063322A (en) 1981-06-03
ES8202883A1 (es) 1982-03-01
IT8050106A0 (it) 1980-11-07
AU6381580A (en) 1981-05-14
NL180030C (nl) 1986-12-16
FR2469489A1 (fr) 1981-05-22
DK157496C (da) 1990-06-05
FR2483476A1 (fr) 1981-12-04
ES496641A0 (es) 1982-03-01
JPS5943581B2 (ja) 1984-10-23
CA1153192A (en) 1983-09-06
DE3041966A1 (de) 1981-06-04
SE8007779L (sv) 1981-05-10
FR2469489B1 (fr) 1986-01-31
BE886075A (fr) 1981-05-07
NZ195422A (en) 1983-12-16
CH647284A5 (fr) 1985-01-15
AT371154B (de) 1983-06-10
PT71975A (en) 1980-11-01
KR830004490A (ko) 1983-07-13
PT71975B (en) 1981-10-15
HK80084A (en) 1984-10-26
DE3041966C2 (de) 1985-10-10
ES261771Y (es) 1982-12-01
JPS56123469A (en) 1981-09-28
LU82918A1 (fr) 1981-06-04
DK475580A (da) 1981-05-10
NL8006032A (nl) 1981-06-01
AU519798B2 (en) 1981-12-24
US4316928A (en) 1982-02-23
HK30985A (en) 1985-04-26
GB2063322B (en) 1984-05-31
ES261771U (es) 1982-05-16
ATA548680A (de) 1982-10-15
IT1147021B (it) 1986-11-19
NL180030B (nl) 1986-07-16
SE451022B (sv) 1987-08-24
IE50911B1 (en) 1986-08-20
IE802318L (en) 1981-05-09
MX155380A (es) 1988-02-26
DK157496B (da) 199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40001027B1 (ko) 기계적 표면 가공방법
US4512065A (en) Mechanical surface finishing apparatus for textile fabric
US4211806A (en) Treated fabric structure
US4468844A (en) Mechanical surface finishing process for textile fabric
US3523346A (en) Method for modifying the surface texturing of fabrics
CN110998007B (zh) 抗起球布料及其制造方法
US5109630A (en) Machine and method to enhance fabric
EP0953674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ubuck-type artificial leather
EP02523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ifying fabrics to produce varied effects
CN113802260A (zh) 一种超细旦经编桃皮绒面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5058329A (en) Machine and method to enhance fabric
US4055693A (en) Leatherlike fabrics
CA1156028A (en) Mechanical surface finishing apparatus, process and product
JPH0797764A (ja) 起毛織物の製造法
JPH11256484A (ja) 光沢のある植毛シートの製造方法
JPH083862A (ja) 布帛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H06220769A (ja) フィブリル化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41665B2 (ja) 布帛の擦過処理方法および擦過処理装置
JPS6111333B2 (ko)
JPH0235056B2 (ko)
JPH07119028A (ja) 抗ピリング性スパン布帛
JPH09111586A (ja) 微細な毛羽を有する伸縮性編織物
JPH0995859A (ja) ポリエステルスパン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139841A (ja) 抗ピル性合成繊維布帛およびその製造法
JPH06287861A (ja) 布帛の起毛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