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9503A - 파이프 묶음 포장기 - Google Patents

파이프 묶음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9503A
KR20230109503A KR1020220005539A KR20220005539A KR20230109503A KR 20230109503 A KR20230109503 A KR 20230109503A KR 1020220005539 A KR1020220005539 A KR 1020220005539A KR 20220005539 A KR20220005539 A KR 20220005539A KR 20230109503 A KR20230109503 A KR 20230109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pipe
polygonal
gripping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3963B1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102022000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963B1/ko
Publication of KR20230109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9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10Bundling rods, sticks, or like elongat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3Load ori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원형이나 각 파이프를 그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적층에 용이한 다각형 묶음다발 형상으로 묶어서 포장하도록 한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제품완성수단과; 카운트수단과; 투입수단과; 포장수단으로 구성한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수단은, 적어도 4쌍 이상의 공압실린더에 장착되어서, 순차로 나누어 어긋나게 파지하였다 다시 놓아 주는 반복 동작으로, 다수의 파이프제품을 추스려 다각형묶음다발을 형성하도록 파지핑거를 구성한 파지수단과; 파지핑거가 잡아서 구성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후단을 파지하도록, 푸시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장착되며, 다각형묶음다발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한 글러브와; 상기 푸시실린더가 전,후로 이송하도록 구성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이송동작을 가이드하는 엘엠가이드로 구성하여 상기 파지수단에서 형성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파이프제품을 밴드포장기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이송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파이프제품을 다각형묶음다발 형성하는 파지수단이 파지된 상태에서 밴드로묶어서 포장하는 밴드포장기로 파이프 묶음 포장기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묶음 포장기{Pipe Bundl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형이나 각 파이프를 그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적층에 용이한 다각형 묶음다발 형상으로 묶어서 포장하도록 한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를 제조한 다음 제품으로 출시하기 위해서는, 파이프를 소정개수로 모아서 다발로 만 든 후, 이를 포장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때, 파이프를 포장하는 세부적인 공정이 각각 별도로 분리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이들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자동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마지막 공정으로 다수의 파이프를 다발로 포장하게되는데, 이때 파이프 다발을 적층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각형묶음 다발을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인바, 지금까지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대한 특허문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출원 제10-2003-0071346호(2003.10.14)는 낱개의 파이프를 단속적으로 반복해서 공급하면서 각각의 파이프에 비닐 관으로 씌우고, 비닐관 의 일측은 완전하게 실링(sealing)하며, 타측은 공기유통공을 형성한 상태로 모아서 실링시켜 포장하도록 하는 파이프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닐관을 릴 형태로 감겨져 풀리면서 연속 공급하면서 비닐관 릴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비닐관 공급부와, 상기 풀려진 비닐관에 공기를 불어 넣어 관(管)형태로 부풀리도록 하 는 비닐관 대기부와, 부풀려진 상태의 비닐관의 단부를 붙잡은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비닐관 이동 수단과, 상기 비닐관 대기부의 일측에 장착하여 비닐관을 중앙으로 모아 실링함과 동시에 자르도록 하는 비닐관 커팅수단과, 상기 비닐관 대기부와 동일한 중심 위치에 파이프를 공급하도록 하는 파이프 공급수단 과, 상기 공급한 파이프를 지탱하도록 하는 파이프 받침수단과, 상기 공급한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억류시 키고 파이프의 내경에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하는 파이프 억류수단과, 상기 파이프에 씌워진 비닐관을 모아 공기구멍을 형성하도록 실링을 실시하는 비닐관 수축수단 및 포장된 파이프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5-0035175호(2005.04.27)는 스텐레스판이나 강판 또는 일반 철판을 원형으로 말아서 파이프를 형성하고 그 외부에 합 성수지를 코팅한 다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일 측에는 땅속을 파고들기에 용이하도록 끝이 뾰족한 팁을 결합하고 타 측은 지주대를 박을 때 타격하여도 지주대가 손상되지 않도록 헤드를 결합함에 있어서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한 농작물지주대 자동생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재공급단계를 수행하는 소재공급기와, 파이프성형단계를 수행하는 파이프성형기와, 피복코팅단계를 수행하 는 피복코팅기와, 코팅된 피복을 1차로 냉각하는 1차 냉각단계를 수행하는 1차 냉각시스템과 홈 형성단계를 수행하는 너어링기와 홈이 형성된 피복을 2차로 완전히 냉각하여 굳히는 2차 냉각단계를 수행하는 2차 냉각시스템과 절단단계를 수행하는 절단기가 연속 반복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일선상에 설비된 지주대성형시스템과, 정렬공급단계를 수행하는 정렬공급시스템과 팁과 헤드결합단계를 수행하는 팁, 헤드결합시스템과 불량을 선별하는 검수시스템과 집합단계를 수행하는 집합시스템을 일체로 구성한 팁과 헤드결합기와, 완성된 제품을 끈으로 묶어서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수행하는 포장기로 구성하여서 일정한 폭으로 형 성되어 감겨진 롤 상의 철판으로 된 소재를 공급하는 소재공급단계와, 공급된 소재를 말아서 파이프를 성 형하는 파이프성형단계와, 성형된 파이프의 외주 면에 합성수지로 된 피복을 코팅하는 피복코팅단계와, 코 팅된 피복을 1차 냉각하는 1차 냉각단계와, 파이프 외주 면에 코팅한 피복에 다수의 가로로 된 홈을 형성 하는 홈 형성단계와, 홈이 형성된 피복을 2차로 냉각하여 굳혀주는 2차 냉각단계와, 상기한 시스템에서 이 어진 상태로 길게 연속하여 형성되는 지주대 몸체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와, 절단된 지주대 몸체를 정렬하여 한 개씩 순차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정렬공급단계와, 한 개씩 순차로 공급되는 지주대 몸 체의 일 측 단에는 별도로 형성한 땅속을 파고드는 팁을 결합하고 다른 측 단에는 별도로 형성한 헤드를 결합하는 팁과 헤드결합단계와, 팁과 헤드의 결합상태를 검사하여 불량을 선별하는 검수단계와, 팁과 헤드 가 결합된 지주대를 카운트하여 설정한 량을 반복적으로 모아서 하나의 묶음으로 하는 집합단계와, 집합된 지주대 묶음을 이송하여 끈으로 묶는 포장단계를 순차로 실시하여 농작물지주대를 자동으로 생산하도록 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6-0026686호(2006.03.23)는 포크타입 파이프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파이프를 적재하여 회동운동 및 수평이동이 가 능하며, 상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포크; 상기 이송부의 후단에 상하운동 가 능하도록 설치되며, 그 안착면에 적층되는 파이프 다발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부에 제1,2 지지암이 장착 된 리프트 포켓; 상기 리프트 포켓이 하측으로 내려온 경우, 상기 리프트 포켓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평행 하도록 위치하기 위해 수평이동 가능하며, 상기 리프트 포켓이 파이프 다발 양측을 지지하도록 상측으로 회동하는 제3,4 지지암이 상부에 설치된 운송기; 및 상기 운송기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 다발을 상기 파이 프의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한다. 특허출원 제10-2006-0026687호(2006.03.23)는 마그네트타입 파이프 자동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 후단의 상측에 위치하며, 수직운동 및 수평운동 가능한 마그네트가 설치되어, 파이프를 부착시켜 이송시키는 마그네트부; 상기 마그네트부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 프가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양측에 한 쌍의 지지암이 장착된 포켓부; 및 상기 포켓부와 평행하도록 나란하 게 설치되어 상기 포켓부에 안착된 파이프 다발을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한다. 특허출원 제10-2007-0028020호(2007.03.22)는 농작물 지주대를 생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주대인 파이프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파이프공급 단계를 수행하는 파이프공급장치와, 상기 파이프공급장치에서 자동으로 공급된 파이프를 정렬하는 파이프정렬단계를 수행하는 파이프정렬장치와, 상기 파이프정렬장치에서 공급된 파이프를 한 개씩 차례로 이송하는 이송단계를 수행하는 켄베이어이송장치와, 상기 켄베이어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의 상단에 캡을 결합하는 캡결합단계를 수행하고, 결합상태를 마감하는 캡압착단계를 수행하는 캡결합장치와, 상기 켄베이어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파이프를 땅에 꽂을 수 있도록 하단을 팁으로 프 레스 성형하는 팁성형단계를 수행하는 팁성형기와, 상기 캡결합장치와 팁성형기에 의해 완성된 제품을 모으는 집합단계를 수행하고, 모인 지주대를 끈으로 묶어서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수행하는 포장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농작물지주대 자동생산장치를 제공한다. 특허출원 제10-2017-0073774호(2017.06.13)는 복수개의 지관을 복수층으로 가배열시키는 지관가배열프레임; 상기 가배열프레임에서 복수층으로 가배열된 복수개의 상기 지관을 묶기위해 정배열시키는 지관정배열프레임; 및 상기 지관가배열프레임에 가배열된 복수개의 지관을 상기 지관 배열프레임으로 이동시켜주는 푸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지관 가배열 프레임은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지관이 그 상단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배열 도입체와, 상기 가배열 도입체를 따라 이동된 상기 각 지관 중 적어도 일부가 낙하되어 상기 가배열 도입체의 하부 공간에 서 상기 가배열 도입체의 상단을 따라 이동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그 상단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배열 역방향 안내체와, 상기 가배열 역방향 안내체를 따라 이동된 상기 각 지관 중 적어도 일부가 낙하되어 상기 가배열 역방향 안내체 의 하부 공간에서 상기 가배열 역방향 안내체의 상단을 따라 이동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그 상단을 따라 순차 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배열 베이스와, 상기 가배열 역방향 안내체를 따라 이동되어 낙하되는 상기 지관을 상기 가배열 베이스 쪽으로 안내하되 상기 가배열 역방향 안내체 쪽에서 상기 가배열 베이스 쪽으로 하향될수록 상기 가배열 베이스를 따라 상기 지관이 이동되는 방향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베이스 연장 경사면체를 포함하는 지관 묶음용 배열유닛이다. 특허출원 제10-2019-0012731호(2019.01.31)는 설치면과 평행한 설치프레임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설치면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 복수의 파이프가 적재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설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는 로딩트레이와, 일측이 상기 설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딩트레이에 적재된 상기 파이프를 하나씩 상기 메인프레임 방향으로 이송하는 로딩컨베이어를 구비한 로딩모듈; 일측이 상기 로딩컨베이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서브프레임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서브프레임 방향으로 이송하는 하부이송모듈; 상기 하부이송모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이송모듈에 의해 이송되는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각각 포장 하는 패킹모듈; 상기 하부이송모듈의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미리 설정된 대기 위치 및 포장 위치에 각각 정지시키는 복수의 스토퍼; 상기 하부 이송 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포장 위치에 정지된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상기 패킹 모듈로 상승시키는 복수의 승강부를 구비한 승강 모듈;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패킹 모듈에서 포장된 상기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를 이송하는 상부이송모듈; 상기 메인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킹 모듈에서 포장된 복수의 상기 파이프를 적재하는 폭 조절부와, 상기 폭 조절부를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바인딩 이동부와, 적재된 복수의 상기 파이프의 양단을 각각 묶는 제1 바인더 및 제2 바인더를 구비한 숏 바인딩 모듈; 및 상기 숏 바인딩 모듈에서 양단이 묶여 단 묶음된 상기 파이프를 복수 개 적재해 열 단위로 상기 파이프의 양단 을 묶는 롱 바인딩 모듈; 을 포함하는 파이프 자동 포장 장치. 특허출원 제10-2020-0017716호(2020.02.13)는 다수의 봉부재를 갖춘 제품으로 포장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수집대, 결속대, 포장대를 컨베이어로 연결한 본체; 상기 수집대에 인접하게 복수의 공급대를 연결하고, 각각의 배출슈트 상으로 연속 인출하는 인출수단; 상기 수집대와 인출수단 사이에 설치되고, 각각의 봉부재를 수집대에 설정된 수량으로 송출하는 정렬수단; 상기 결속대에 결속기를 갖추고, 봉부재를 설정 된 수량으로 묶는 결속수단; 및 상기 봉부재와 관련된 일련의 공정을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파이프포장기는 다각형의 묶음다발로 포장함에 있어서, 정확하게 파지하여 모양을 잡는 구성이 아니고 담아서 추스리는 방식을 선택 함으로써, 파이프간의 간극이 크게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자동 밴드포장기를 사용하여 밴드포장 시 밴드포장 후 묶음의 형상이 원하는 각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흐트러지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밴드포장기로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각형 파이프나 작물지지대 처럼 단부에 캡을 씌운 파이프를 밴드포장 시는 밴드포장 후 이송시 밴드포장 묶음이 흐트러지는 문제로 자동화를 실현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각형으로 밴드포장 하고자 하는 파이프를 원하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한 다수의 핸드클램프가 파이프를 수차려 잡았다 놓았다를 반복하여 다각형묶음다발을 형성한 파이프간의 간극을 최소화 한다음, 다각형묶음다발의 형상을 흐트리지 않는 상태에서 밴드포장을 하도록 하여 파이프의 외주면의 모양에 구애됨이 없이 밴드포장 후 구성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유지하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발기에서 외주면의 모양이 다양하게 인발된 파이프를 사용에 따른 각기 다른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한 파이프를 가공하여 농작물지줏대나 기타 용도에 맞는 제품으로 완성하는 제품완성수단과; 상기 제품완성수단에서 완성된 파이프제품을 포장하고자하는 수량만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과; 상기 카운트수단에서 카운트된 파이프제품을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투입수단에서 투입된 파이프제품을 다각형묶음다발로 묶어서 포장하는 포장수단으로 구성한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수단은, 적어도 4쌍 이상의 공압실린더에 장착되어서, 순차로 나누어 어긋나게 파지하였다 다시 놓아 주는 반복 동작으로, 다수의 파이프제품을 추스려 다각형묶음다발을 형성하도록 파지핑거를 구성한 파지수단과;
파지핑거가 잡아서 구성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후단을 파지하도록, 푸시실린더의 로드선단에 장착되며, 다각형묶음다발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한 글러브와; 상기 푸시실린더가 전,후로 이송하도록 구성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의 이송동작을 가이드하는 엘엠가이드로 구성하여 상기 파지수단에서 형성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파이프제품을 밴드포장기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서 이송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파이프제품을 다각형묶음다발 형성하는 파지수단이 파지된 상태에서 밴드로묶어서 포장하는 밴드포장기로 파이프 묶음 포장기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핑거는 파지시 다각형 묶음다발의 외곽과 일치하도록 내각을 구성하며, 그 중 전방으로부터 첫번째 파지핑거를 포함한 홀수번째 파지핑거의 내면에 포장하고자 하는 파이프가 안착하는 캐치홈을 형성 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핑거는, 글러브의 접근이 감지되면 공압실린더가 동작되어 이격되도록 구성하되, 첫번째 파지핑거를 제외한 나머지 파지핑거는 모두가 동시에 이격동작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파이프를 원하는 다각형을 이루도록 밴드포장 함에 있어서, 다수의 핸드클램프가 파이프를 수차려 잡았다 놓았다를 반복하여서 파이프간의 간극을 최소화 하도록 다각형묶음다발을 형성함으로써, 파이프의 외주면 모양에 구애됨이 없이 밴드포장 후 구성한 각형의 묶음의 형상이 흐트러지지 않고 유지되어 유통에 편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 신규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을실시하는 전체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포장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포장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캐치홈을 형성한 클램프의 벌어진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캐치홈을 형성한 클램프의 클램핑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15b, 15d 클램프의 벌어진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15b, 15d 클램프의 클램핑상태 예시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발기에서 외주면의 모양이 다양하게 인발된 파이프를 사용에 따른 각기 다른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한 파이프를 가공하여 농작물지줏대나 기타 용도에 맞는 제품으로 완성하는 제품완성수단(A)과;
상기 제품완성수단(A)에서 완성된 파이프제품(50)을 포장하고자하는 수량만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B)과;
상기 카운트수단에서 카운트된 파이프제품(50)을 투입하는 투입수단(C)과;
상기 투입수단(C)에서 투입된 파이프제품(50)을 다각형묶음다발로 묶어서 포장하는 포장수단(D)으로 구성한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수단(D)은, 투입된 다수의 파이프제품(51)을 추스려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는 다각형묶음다발 형성하는 파지수단(10)과;
상기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는 파지수단(10)에서 형성한 다각형묶음다발(50)의 파이프제품(51)을 밴드포장기(30)로 이송하는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에서 이송한 다각형묶음다발(50)의 파이프제품(51)을 다각형묶음다발(50)로 형성하는 파지수단(10)이 파지된 상태에서 밴드로묶어서 포장하는 밴드포장기(30)로 파이프 묶음 포장기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는 파지수단(10)은, 적어도 4쌍 이상의 공압실린더(11)에 장착되어서, 순차로 나누어 어긋나게 파지하였다 다시 놓아 주는 반복 동작으로, 다수의 파이프제품(50)을 추스려 다각형묶음다발을 형성하도록 파지핑거(15)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20)은, 파지핑거(15)가 잡아서 구성한 다각형묶음다발의 후단을 파지하도록, 푸시실린더(22)의 로드선단에 장착되며, 다각형묶음다발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한 글러브(21)와; 상기 푸시실린더(22)가 전,후로 이송하도록 구성하는 트레이(23)와; 상기 트레이(23)의 이송동작을 가이드하는 엘엠가이드(24)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파지핑거(15)는 파지시 다각형묶음다발(50)의 외곽과 일치하도록 내각을 구성하며, 그 중 전방으로부터 첫번째 파지핑거(15a)를 포함한 홀수번째 파지핑거(15c)(15e)의 내면에 포장하고자 하는 파이프가 안착하는 캐치홈(16)을 형성 하며, 글러브(21)의 접근이 감지되면 공압실린더(11)가 동작되어 이격되도록 구성하되, 첫번째 파지핑거(15a)를 제외한 나머지 파지핑거(15b)(15c)(15d)(15e)는 모두가 동시에 이격동작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발기에서 원형파이프나 각형파이프로 인발되어 공급된 파이프를 제품완성수단(A)에서 사용에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일단에는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팁을 결합하고 다른측 단에는 캡을 씌워서 농작물 지줏대를 완성하거나 기타 용도에 맞는 제품으로 완성한다.
상기 제품완성수단(A)에서 완성된 파이프제품(51)을 카운트수단(B)에서 포장하고자하는 수량만큼 카운트하여 투입수단(C)을 이용하여 포장수단(D)으로 투입한다.
이때 투입되는 파이프제품(51)은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는데 알맞은 숫자로 설정하는데 본 발명에서 실시하는 직경 15~16mm의 파이프는 50개가 한 묶음이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포장수단(D)으로 투입된 파이프제품(51)이 파지수단(10)의 파지핑거(15) 사이에 위치하면 먼저 캐치홈(16)을 형성하지 않은 파지핑거(15b)(15d)가 공압실린더(11)의 동작으로 파이프제품(50)을 파지하여 1차로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파지핑거(15b)(15d)가 이완됨과 동시에 파지핑거(15a)(15c)(15e)가 파지하면서 추스려 파이프제품(51)이 각자의 자리를 찾아가도록 한다.
상기한 동작을 적어도 2번 이상을 반복 실시하여 파이프제품(51)간의 간극이 최소화 되어 완전한 다각형묶음다발(50)로 형성되면, 이송수단(20)의 트레이(23)가 엘엠가이드(24)를 타고 이송하여 푸시실린더(22)의 로드선단에 장착한 글러브(21)가 전진하면서 다각형묶음다발의 후단에 결합되어 다각형묶음다발이 흐트러지지 않게 파지한다.
이때의 상기 글러브(21) 다각형묶음다발(50)의 외형과 일치하는 다각형 수납홈을 형성한다.
이때 파이프제품(51)으로 형성한 다각형묶음다발(50)과 마지막으로 잡고있는 파지핑거(15)사이에는 플러스 공차가 있어 다각형묶음다발(50)은 그 형상을 흐트리지 않은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전 후 미끄러져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글러브(21)가 다각형묶음다발(50)의 후단을 감싸서 파지한 상태에서 트레이(23)를 이송하여 글러브(21)가 전진하면. 전방으로 밀려서 돌출된 다각형묶음다발의 선단측이 밴드포장기(30)에 위치하면 밴드포장기(30)가 다각형묶음다발의 선단측을 묶어서 포장한다.
이와 같이 다각형묶음다발의 선단을 묶어서 포장한 상태에서 트레이(23)를 이송하여 글러브(21)가 전진하면, 글러브(21)가 파지핑거(15e)에 근접함을 인식한 센서에 의하여, 최선단에서 다각형묶음다발(50)을 잡고 있는 파지핑거(15a)를 제외한 파지핑거(15)는 공압실린더(11)의 동작으로 벌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트레이(23)를 이송하여 글러브(21)가 전진하여서 다각형묶음다발(50)의 중간이 밴드포장기(30)에 위치하면 밴드포장기(30)가 다각형묶음다발(50)의 중간을 묶어서 포장하고, 다시 트레이(23)를 이송하여 글러브(21)가 전진하여 파지핑거(15a)에 근접하면 이를 인식한 센서에 의하여, 최선단에서 다각형묶음다발(50)을 잡고 있는 파지핑거(15a)가 공압실린더(11)의 동작으로 벌어지면 푸시실린더(22)가 동작하여 다각형묶음다발(50)을 밀어내서 후단측이 밴드포장기(30)에 위치하면, 밴드포장기(30)가 다각형묶음다발(50)의 후단측을 묶어서 포장한다.
이와 같이 다각형묶음다발(50)의 밴드포장이 완성되면 푸시실린더(22)가 동작하여 글러브(21)가 후퇴하고, 다음으로 트레이(23)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다음작업을 준비하면 제품완성수단(A)에서 완성된 파이프제품(51)을 카운트수단(B)에서 포장하고자하는 수량만큼 카운트하여 투입준비를 하고 있던 투입수단(C)이 파이프제품(51)을 포장수단(D)으로 투입하여 연속 반복적으로 밴드포장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
10: 파지수단 11: 공압실린더 15: 파지핑거
16: 캐치홈
20: 이송수단 21: 글러브 22: 푸시실린더
23: 트레이 24: 엘엠가이드
30: 밴드포장기 50: 다각형묶음다발 51: 파이프제품
A: 제품완성수단 B: 카운트수단 C: 투입수단
D: 포장수단

Claims (4)

  1. 인발기에서 외주면의 모양이 다양하게 인발된 파이프를 사용에 따른 각기 다른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한 파이프를 가공하여 농작물지줏대나 기타 용도에 맞는 제품으로 완성하는 제품완성수단(A)과;
    상기 제품완성수단에서 완성된 파이프제품(51)을 포장하고자하는 수량만큼 카운트하는 카운트수단(B)과;
    상기 카운트수단(B)에서 카운트된 파이프제품(51)을 투입하는 (C)과;
    상기 투입수단(C)에서 투입된 파이프제품(51)을 다각형묶음다발(50)로 묶어서 포장하는 포장수단(D)으로 구성한 파이프 묶음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수단(D)은, 투입된 다수의 파이프제품(51)을 추스려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는 파지수단(10)과;
    상기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는 파지수단(10)에서 형성한 다각형묶음다발(50)의 파이프제품(51)을 밴드포장기(30)로 이송하는 이송수단(20)과;
    상기 이송수단(20)에서 이송한 다각형묶음다발(50)의 파이프제품(51)을 다각형묶음다발(50)로 형성하는 파지수단(10)이 파지한 상태에서 밴드로 묶어서 포장하는 밴드포장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파이프 묶음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는 파지수단(10)은, 적어도 4쌍 이상의 공압실린더(11)에 장착되어서, 순차로 나누어 어긋나게 파지하였다 다시 놓아 주는 반복 동작으로, 다수의 파이프제품(51)을 추스려 다각형묶음다발(50)을 형성하도록 파지핑거(15)를 구성한 것과;
    상기 이송수단(20)은, 파지핑거(15)가 잡아서 구성한 다각형묶음다발(50)의 후단을 파지하도록, 푸시실린더(22)의 로드선단에 장착되며, 다각형묶음다발(50)과 동일한 각으로 형성한 글러브(21)와; 상기 푸시실린더(22)가 전,후로 이송하도록 구성하는 트레이(23)와; 상기 트레이(23)의 이송동작을 가이드하는 엘엠가이드(24)로 구성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하는 파이프 묶음 포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핑거(15)는 파지시 다각형묶음다발(50)의 외곽과 일치하도록 내각을 구성하며, 그 중 전방으로부터 첫번째 파지핑거(15a)를 포함한 홀수번째 파지핑거(15c)(15e)의 내면에 포장하고자 하는 파이프가 안착하는 캐치홈(16)을 형성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파이프 묶음 포장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핑거(15)는, 글러브(21)의 접근이 감지되면 공압실린더(11)가 동작되어 이격되도록 구성하되, 첫번째 파지핑거(15a)를 제외한 나머지 파지핑거(15b)(15c)(15d)(15e)는 모두가 동시에 이격동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파이프 묶음 포장기.
KR1020220005539A 2022-01-13 2022-01-13 파이프 묶음 포장기 KR102653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539A KR102653963B1 (ko) 2022-01-13 2022-01-13 파이프 묶음 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539A KR102653963B1 (ko) 2022-01-13 2022-01-13 파이프 묶음 포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503A true KR20230109503A (ko) 2023-07-20
KR102653963B1 KR102653963B1 (ko) 2024-04-01

Family

ID=8742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5539A KR102653963B1 (ko) 2022-01-13 2022-01-13 파이프 묶음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96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175A (ko) 2001-10-31 2005-04-15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수직형 소자용 배면 오믹 콘택의 저온 형성 방법
KR20060026687A (ko) 2004-09-21 2006-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프레임의 휨방지구조를 갖는 소형스피커
KR20060026686A (ko)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아모텍 바리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28020A (ko) 2005-08-30 2007-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용 샤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KR20170073774A (ko) 2015-12-18 2017-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2444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냉간 인발 봉 포장 방법
KR20190012731A (ko)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모노리스 광촉매를 이용한 n-치환 말레이미드의 제조방법
KR20200017716A (ko) 2018-08-09 2020-02-19 유상길 반도체 배관라인 접속밸브용 락디바이스
KR102098091B1 (ko) * 2019-09-26 2020-04-07 티앤아이(주)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KR20210103226A (ko) * 2020-02-13 2021-08-23 (주)두리씨오 파이프 다발 밴드 결속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5175A (ko) 2001-10-31 2005-04-15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수직형 소자용 배면 오믹 콘택의 저온 형성 방법
KR20060026687A (ko) 2004-09-21 2006-03-24 삼성전기주식회사 프레임의 휨방지구조를 갖는 소형스피커
KR20060026686A (ko)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아모텍 바리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28020A (ko) 2005-08-30 2007-03-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용 샤시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KR20170073774A (ko) 2015-12-18 2017-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32444A (ko) * 2016-09-22 2018-03-30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냉간 인발 봉 포장 방법
KR20190012731A (ko) 2017-07-28 2019-02-11 주식회사 모노리스 광촉매를 이용한 n-치환 말레이미드의 제조방법
KR20200017716A (ko) 2018-08-09 2020-02-19 유상길 반도체 배관라인 접속밸브용 락디바이스
KR102098091B1 (ko) * 2019-09-26 2020-04-07 티앤아이(주)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KR20210103226A (ko) * 2020-02-13 2021-08-23 (주)두리씨오 파이프 다발 밴드 결속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출원 제10-2003-0071346호(2003.10.14)는 낱개의 파이프를 단속적으로 반복해서 공급하면서 각각의 파이프에 비닐 관으로 씌우고, 비닐관 의 일측은 완전하게 실링(sealing)하며, 타측은 공기유통공을 형성한 상태로 모아서 실링시켜 포장하도록 하는 파이프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닐관을 릴 형태로 감겨져 풀리면서 연속 공급하면서 비닐관 릴을 상승시키도록 하는 비닐관 공급부와, 상기 풀려진 비닐관에 공기를 불어 넣어 관(管)형태로 부풀리도록 하 는 비닐관 대기부와, 부풀려진 상태의 비닐관의 단부를 붙잡은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비닐관 이동 수단과, 상기 비닐관 대기부의 일측에 장착하여 비닐관을 중앙으로 모아 실링함과 동시에 자르도록 하는 비닐관 커팅수단과, 상기 비닐관 대기부와 동일한 중심 위치에 파이프를 공급하도록 하는 파이프 공급수단 과, 상기 공급한 파이프를 지탱하도록 하는 파이프 받침수단과, 상기 공급한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억류시 키고 파이프의 내경에 공기를 불어 넣어 주도록 하는 파이프 억류수단과, 상기 파이프에 씌워진 비닐관을 모아 공기구멍을 형성하도록 실링을 실시하는 비닐관 수축수단 및 포장된 파이프를 배출하는 배출수단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파이프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963B1 (ko) 2024-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7011B2 (en) Palletizer puller bar
US7506486B2 (en) Modular packaging system
US6513303B2 (en) Method and unit for banding groups of bank notes
CA2189093C (en) Method and machine for packaging cans or tubes
CN106477099A (zh) 线型管材包装机
US91267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apping a foil around a stack of objects
EP3647211A1 (en) Automatic bag filling machine with several filling stations
CN1173457A (zh) 用来形成和转送有序的多叠片材尤其是纸币的设备
JPH10211905A (ja) シート、特には紙幣、を束にする機械及び方法
KR102267387B1 (ko) 냉간 인발 봉 포장 방법
KR20060035589A (ko) 용기의 자동포장방법
KR20210104634A (ko) 코일와이어의 자동절단묶음장치
KR20230109503A (ko) 파이프 묶음 포장기
CN112644758A (zh) 成捆塑料袋橡皮筋自动捆扎设备
CN109890707B (zh) 用于将产品包装在预制包装中的设备和方法
US96437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acking tubes or cans
CN216902519U (zh) 一种线圈入壳设备
CN112896593B (zh) 一种全开式烟包的包装工艺
KR20050110421A (ko) 수축튜브 자동 절단기
AU673751B2 (en) The packaging of articles
CN110997176A (zh) 制造丝网的设备和方法
US4703608A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CN109319197A (zh) 一种纱线筒生产包装工艺
CN112135778B (zh) 用于制造组合托盘负载的机器
CN114872961B (zh) 多型号膜卷混合包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