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2572A -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2572A
KR20230072572A KR1020210158738A KR20210158738A KR20230072572A KR 20230072572 A KR20230072572 A KR 20230072572A KR 1020210158738 A KR1020210158738 A KR 1020210158738A KR 20210158738 A KR20210158738 A KR 20210158738A KR 20230072572 A KR20230072572 A KR 20230072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ilax
chinensis
lactic acid
acid bacteria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세종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서세종
김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세종, 김상윤 filed Critical 서세종
Priority to KR102021015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2572A/ko
Publication of KR20230072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24Aga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13Acidophil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03
    • A23Y2220/67

Abstract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의 발효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세척한 청미래덩굴에서 물기를 제거하고, 파절기로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 및 뿌리를 파절하여 준비하는 제 1 단계(S 210)와; 파절된 청미래덩굴을 쌍스크류 착즙기에 넣어 착즙을 실행하고, 80 내지 150 메쉬의 필터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얻는 제 2 단계(S 220)와; 상기 필터망에서 얻어진 고형물을 분리하고, 상기 고형물을 70 내지 80℃의 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한 다음, 그 건조물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60 메쉬의 청미래덩굴 분말을 얻는 제 3 단계(S 230)와;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 미생물로서 2종의 유산균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유산균종을 액상의 유산균 배지에 접종시키고, 대수증식기까지 30 내지 37 ℃의 온도에서 36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배양하는 제 4 단계(S 240)와; 상기 제 2 단계(S 220)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90 내지 130℃의 온도에서 30분 ~ 40분간 살균처리를 한 다음, 발효조에 넣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배양한 상기 유산균을 접종하고, 36 시간 내지 76시간 동안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제 5 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Method of producing Smilax china L. fermented broth}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미래덩굴의 추출액을 발효 가공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청미래추출액을 인체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생화학 처리방식으로 재가공한 청미래덩굴의 발효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미래덩굴은 동아시아 지역에서 분포하며, 국내에서는 황해도 이남의 산기슭 양지에 생장하는 덩굴성 낙엽 관목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래덩굴은 줄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고, 잎은 호생하며 광택이 나고, 길이 3∼12 ㎝, 폭 2∼10 ㎝ 정도이고, 형태는 두껍고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5∼7개의 맥, 그물맥이 있다. 뿌리는 굵고 꾸불꾸불 옆으로 뻗으며, 토복령(Smilax china L.)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한약재를 지칭하는 생약이다. 열매는 장과, 둥근 모양, 붉은 색이고, 종자는 5개이며 황갈색이다.
청미래덩굴의 뿌리는 편압되고 고르지 않은 원주형 내지 덩어리형으로 때때로 결절상으로 갈라졌고, 길이 5∼15㎝, 지름 2∼5 ㎝이며, 바깥면은 회색을 띤 황갈색이고 윗면에는 군데군데 줄기의 잔기가 돌출되어 있고, 냄새와 맛이 거의 없으며, 디오신(dioscine), 사포닌, 알칼로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성분이 함유된 청미래 덩굴의 근경을 중국에서는 발계, 한국에서는 토복령이라고 하며, 물을 넣고 달인 액을 관절동통, 근육마비, 설사, 이질, 수종, 임병, 나력, 종독, 치창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청미래덩굴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선행기술로서 청미래덩굴의 뿌리를 용매에 의해 추출하여, 디오신, 사포닌,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얻거나; 에탄올을 이용하여 청미래덩굴로부터 추출물을 얻고, 거기에 누룩, 효모, 물 등을 혼합하여 음료조성물을 얻거나; 청미래덩굴의 잎을 아스퍼질러스 미생물로 발효시켜서 음료용 조성물을 얻는 방식 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 및 뿌리를 전체적으로 활용하면서, 그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인체에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재 가공하는 방식으로 개선된 기술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종래의 선행기술로서는 아래와 같은 사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허 제10-147990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허 제10-193048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허 제10-142548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허 제10-052184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허 제10-049827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허 제10-129220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8535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75762호.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미래덩굴의 추출액을 발효 가공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활용할 수 있고, 특히 청미래추출액을 인체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생화학 처리방식으로 재가공한 청미래덩굴의 발효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종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그대로 활용하지 아니하고, 청미래추출물의 유효성분들이 인체에 더욱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생화학 처리방식으로 재가공한 청미래덩굴의 발효액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청미래 덩굴은 우리나라 산야지에 분포하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 널리 분포하며, 백합과(Liliaceae)의 덩굴성 낙엽관목으로서, 명감나무 또는 망개나무라고 불리며, 그 뿌리는 생약으로 알려진 토복령(土茯令)이 있다.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세척한 청미래덩굴에서 물기를 제거하고, 파절기로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 및 뿌리를 파절하여 준비하는 제 1 단계(S 210)와; 파절된 청미래덩굴을 쌍스크류 착즙기에 넣어 착즙을 실행하고, 80 내지 150 메쉬의 필터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얻는 제 2 단계(S 220)와; 상기 필터망에서 얻어진 고형물을 분리하고, 상기 고형물을 70 내지 80℃의 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한 다음, 그 건조물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60 메쉬의 청미래덩굴 분말을 얻는 제 3 단계(S 230)와;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 미생물로서 2종의 유산균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유산균종을 액상의 유산균 배지에 접종시키고, 대수증식기까지 30 내지 37 ℃의 온도에서 36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배양하는 제 4 단계(S 240)와; 상기 제 2 단계(S 220)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90 내지 130℃의 온도에서 30분 ~ 40분간 살균처리를 한 다음, 발효조에 넣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배양한 상기 유산균을 접종하고, 36 시간 내지 76시간 동안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제 5 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분말을 빵이나 떡 등에 식품 부재료로 첨가함으로써, 이를 섭취할 경우, 장내 미생물의 생식에 도움을 주어, 장내 밸런스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변비의 치료 내지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효한 청미래덩굴의 착즙액을 그대로 섭취하지 않고, 인체의 장내 세균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청미래덩굴의 발효액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래의 청미래덩굴의 착즙액의 유효 성분을 상실하거나 훼손하지 않으며, 오히려 유산균에 의한 발효 제품을 얻을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청미래덩굴의 유효성분들을 인체에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의 착즙액을 획득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착즙을 행하고 남겨진 고형물에 의한 청미래덩굴의 분말을 얻을 수 있고, 그 분말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한 전체적인 블록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서로 다른 크기로 분쇄된 고형물의 형상에 관한 사진,
도 2d는 분쇄된 고형물을 비닐지로 포장한 상태의 사진자료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을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세척한 청미래덩굴에서 물기를 제거하고, 파절기로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 및 뿌리를 파절하여 준비하는 제 1 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S 210)는 청미래덩굴를 채취하여 사용한다.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은 백합과의 덩굴성 관목으로 그 뿌리를 토복령이라고 한다. 애순과 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한방에서 약제로 사용한다. 뿌리에는 ㄷ디오스제닌(osgenin)과 디오스제닌 골격으로 구성된 다종의 스테로이드 사포닌을 주로 함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밝혀진 토복령의 주요 생리활성을 보면 성장호르몬 분비촉진, 혈관질환의 예방, 뇌신경 보호 또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 천연보존제로서의 효능 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래덩굴은 그 뿌리인 토복령을 한약재로 사용할 정도로 인체에 유용한 각종 물질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청미래덩굴 뿌리는 일반 한약재와 같이 음용할 경우에 한약재를 3~4시간동안 달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뿐 아니라 입에 매우 쓰기 때문에 평소 생활과정에서 손쉽게 음용하기가 곤란하고, 또 독성으로 인하여 장복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음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개발한 음료조성물이 소개되기도 하였으나, 다른 물질과의 혼합으로 인하여 청미래덩굴의 유효성분의 농도가 낮아져서 그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의 뿌리와 줄기와 잎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그 추출물을 발효가공처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제 1 단계(S 210)는 청미래덩굴을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세척한 청미래덩굴에서 물기를 제거한다. 채취된 청미래덩굴은 줄기와 잎과 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선행기술들은 대부분 뿌리(토복령)를 채취하여 그 뿌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채취된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과 뿌리는 물로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사용된다. 이는 본 발명이 청미래덩굴 자체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명백하게 밝히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단계(S 210)는 물기가 제거된 청미래덩굴을 파절기로 파절하여 준비한다. 파절기에 의해 파절된 청미래덩굴은 줄기와 잎과 뿌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다음 단계에서 착즙할 경우 모든 성분들이 좀더 효율적으로 착즙액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절된 청미래덩굴을 쌍스크류 착즙기에 넣어 착즙을 실행하고, 80 내지 150 메쉬의 필터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얻는 제 2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단계(S 220)는 파절된 청미래덩굴을 쌍스크류 착즙기에 넣어 착즙을 실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청미래덩굴의 착즙액과 청미래덩굴에서 발생된 고형물이 혼합되어 존재하게 된다. 그 혼합물에서 청미래덩굴의 착즙액과 그 고형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기 위하여, 필터망을 사용한다. 필터망은 80 메쉬 내지 150 메쉬 정도가 바람직하다. 필터망의 투과구멍이 80 메쉬 이하일 경우에는 착즙액에 고형물의 분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150 메쉬 이상일 경우에는 착즙의 효율이 떨어지고 그 이상의 착즙액을 분리하여 얻을 실익이 별로 없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필터망에서 얻어진 고형물을 분리하고, 상기 고형물을 70 내지 80℃의 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한 다음, 그 건조물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60 메쉬의 청미래덩굴 분말을 얻는 제 3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3 단계(S 230)는 상기 필터망에서 여과된 착즙액을 얻고, 그 이후 상기 필터망에 남겨진 고형물을 별도로 분리하고, 분리된 고형물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건조시킨다. 건조 조건은 상기 고형물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대략 12시간 정도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방식은 건조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기에서 12시간 정도 건조한 다음, 그 건조물을 분쇄기에 넣어서 분쇄하여 분말을 얻는다. 분쇄기에서는 상기 건조물을 대략 60 메쉬 정도로 분쇄하여 청미래덩굴 분말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미래덩굴 분말은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과 뿌리를 형성하고 있던 식물조직들에 관한 것이므로, 미량의 청미래덩굴의 유효성분들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성 셀룰로오스 성분이 주를 이루고 있다. 상기 청미래덩굴 분말은 거의 완전하게 건조되어 있고, 또한 미세하게 분쇄되어 있으므로, 마치 밀가루와 같은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상기 청미래덩굴 분말은 쌀, 밀가루, 면, 빵, 또는 떡피 등에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 미생물을 선택하고, 선택된 미생물을 배양하는 제 4 단계(S 2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4 단계(S 240)는 먼저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 미생물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미생물 군 중에서 특별히 인체의 장내에서 발효작용을 수행하는 락토바실러스 유산균종을 선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유산균종 중에서도 특별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또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젖산균으로 막대기 모양의 간균이고 그람양성이다. 크기는 0.7~1.0 x 3.0~8.0 μm으로 생육 적정 온도는 29-33℃이며 약간의 호기성을 띠고 있다.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은 아라비노오스(arabinose), 글루코오스(glucose), 과당(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엿당(maltose), 수크로오스(sucrose), 덱스트란(dextran), 라피노오스(raffinose) 및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을 발효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은 주로 우유, 치즈, 버터, 케피어(kefir), 발효된 소시지, 발효된 감자, 곡물, 빵의 산성 반죽(dough), 피클이나 김치와 같은 침채류 및 토마토 등에서 분리될 수 있고, 자연계에서 가장 분포가 넓은 젖산균 중의 하나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은 특히 우리 나라 김치의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젖산균으로 식염 내성은 약 5.5%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는 자연계에서 가장 많이 분포가 되어 있는 유산균 중 하나로서, 우유의 pH 조절이나 발효가 될 때 생성되는 유독한 물질 등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등의 내산성과 내담즙성이 강하며, 푸자리움(Fusarium), 슈도모나스(Pseudomona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산화 및 항염증, 동맥경화예방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는 유산균의 일종으로서, 이러한 락토바실러스 유산균들은 사람의 장, 김치와 치즈 같은 전통발효식품 및 모유, 우유 등에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인체의 소화계에 공생하면서 섬유질 및 복합 단백질을 분해하여 중요한 영양성분으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장내 pH를 산성으로 유지시켜 대장균이나 크로스트리디움과 같은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설사와 변비를 개선하는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청미래덩굴의 발효를 위한 용도로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선행기술들에 의할 경우,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거나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로 등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이고, 청미래덩굴의 발효를 위한 용도로서는 전혀 사용된 사실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제 4 단계(S 240)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액상의 유산균 배지에 접종시키고, 30℃ 내지 37 ℃의 온도에서 36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배양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는 한국종균협회로부터 분양을 받아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고, 균주의 역가 상승을 위해 변이물질(NTG)을 사용하여 변이주를 만들고, 역가가 가장 높은 균주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국종균협회로부터 분양받은 미생물을 액상의 유산균 배지에 접종시키고, 배양 온도를 30℃ 내지 37 ℃의 온도 범위에서 36 시간 내지 72시간 정도 배양 과정을 거친다. 일반적으로 배양 온도가 낮을수록 배양시간이 길어지는 반면에, 배양 온도가 높을수록 배양시간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90 내지 130℃의 온도에서 30분 ~ 40분간 살균처리를 한 다음, 발효조에 넣고, 상기 유산균을 접종하고, 36시간 내지 76시간 동안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제 5 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5 단계(S 250)는 상기 제 2 단계(S 220)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30분간 살균처리를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미리 살균처리하는 것은 착즙 과정에서 혹시라도 다른 미생물 또는 세균에 의해 오염되었을 경우, 오염된 미생물 또는 세균을 사멸시키고, 순수한 착즙액을 얻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은 90 ℃ 내지 13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략 30분 내지 40분 정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5 단계(S 250)는 열처리 과정을 거쳐서 살균처리된 착즙액을 발효조에 넣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배양한 상기 유산균을 접종한다. 상기 유산균은 위에서 언급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의미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또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는 상기 살균처리된 착즙액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접종할 수도 있고, 이들을 동일한 착즙액에 대하여 동시에 접종할 수도 있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과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각각 별도로 접종시키는 경우, 예컨대, 제1 청미래덩굴 착즙액에 대하여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을 접종하고, 제2 청미래덩굴 착즙액에 대하여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접종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과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동시에 접종하는 경우, 예컨대 제1 청미래덩굴 착즙액에 대하여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과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순차적으로 접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5 단계(S 250)는 청미래덩굴 착즙액에 상기 유산균이 접종되어지면, 발효조를 25℃ 내지 35℃의 온도로 조절된 발효 환경으로 옮기고, 그곳에서 36 시간 내지 76시간 동안 발효과정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제반과정을 거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발효된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얻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한 청미래덩굴 발효 착즙액은 약간 미갈색상을 띠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맛은 약간 산미가 있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유산 발효를 진행하였으나, 유산균의 분비물은 거의 냄새가 없었으며, 청미래덩굴 액의 향이 짙게 나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얻게 된 상기 청미래덩굴 발효 착즙액은 상기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이므로, 인체의 장내 미생물의 활성에 도움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청미래덩굴 착즙액에 포함된 각종 성분들이 장에서 쉽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청미래덩굴 착즙액의 흡수 효율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유산균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을 사용하였을 경우, 항산화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반면에,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사용하였을 경우 중금속 배출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 단계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분말을 빵이나 떡 등에 식품 부재료로 첨가함으로써, 이를 섭취할 경우, 장내 미생물의 생식에 도움을 주어, 장내 밸런스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변비의 치료 내지 예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실시예 1 >>
청미래덩굴을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파절기에 집어넣고,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 및 뿌리를 파절하여 10 kg을 준비하였다. 파절된 청미래덩굴을 쌍스크류 착즙기에 넣어 착즙을 실행하고, 100 메쉬의 필터망을 이용하여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얻었다. 이때,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은 청색의 색상을 띠고 있었고, 진한 청미래덩굴의 향을 내품었다.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별도의 전용 용기에 집어 넣고, 0 ~ 5℃의 냉동장치에 냉장 보관하였다.
한편, 상기 필터망에서 남겨진 고형물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별도의 포장용기에 담아 두었다.
이때, 첨부된 도 2a 내지 도 2c는 서로 다른 크기로 분쇄하여 얻은 상기 고형물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2d는 비닐 포장을 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 실시예 2 >>
한국종균협회로부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유산균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유산균을 분양 받고, 이들을 계대 배양하였다.
계대 배양시 사용된 고체 배지는 한천을 첨가한 후 냉각하여 굳힌 것으로, 이스트 농축분말 2.5g, 펩톤 5g, 덱스트로스 1g, L-시스테인 0.1g, 트윈-80 1g, 한천 15g을 증류수 1000ml에 녹이고, pH는 6.8 내지 7.0으로 조정한 다음, 121℃에서 15분간 멸균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유산균 균체를 무균적으로 옮겨 35 ℃ ~ 37 ℃의 온도로 조정된 환경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 실시예 3 >>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착즙액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계대 배양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유산균을 접종하고, 이를 발효시켰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95 ℃에서 30분간 살균한 후, 살균된 착즙액 1,000 ml에 대해 상기 실시예 3에서 배양하여 얻은 유산균 균액 1%를 접종하여, 35 ℃ ~ 37 ℃의 온도에서 72시간 내지 75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청미래덩굴을 채취하여, 물로 세척하고, 세척한 청미래덩굴에서 물기를 제거하고, 파절기로 청미래덩굴의 줄기와 잎 및 뿌리를 파절하여 준비하는 제 1 단계(S 210)와;
    파절된 청미래덩굴을 쌍스크류 착즙기에 넣어 착즙을 실행하고, 80 내지 150 메쉬의 필터망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얻는 제 2 단계(S 220)와;
    상기 필터망에서 얻어진 고형물을 분리하고, 상기 고형물을 70 내지 80℃의 건조기에서 12시간 건조한 다음, 그 건조물을 분쇄기에서 분쇄하여 60 메쉬의 청미래덩굴 분말을 얻는 제 3 단계(S 230)와;
    상기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발효시키기 위한 발효 미생물로서 2종의 유산균종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유산균종을 액상의 유산균 배지에 접종시키고, 대수증식기까지 30 내지 37 ℃의 온도에서 36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배양하는 제 4 단계(S 240)와;
    상기 제 2 단계(S 220)에서 얻은 청미래덩굴 착즙액을 90 내지 130℃의 온도에서 30분 ~ 40분간 살균처리를 한 다음, 발효조에 넣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배양한 상기 유산균의 균체를 접종하고, 36 시간 내지 76시간 동안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제 5 단계(S 25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 240)는,
    상기 2종의 유산균종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유산균 또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유산균을 사용하고,
    증류수 1000 ml에 대하여 이스트 농축분말 2.5g, 펩톤 5g, 덱스트로스 1g, L-시스테인 0.1g, 트윈-80 1g, 그리고 한천 15g을 녹이고, pH는 6.8 내지 7.0으로 조정한 다음,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여 한천배지를 만들고,
    상기 유산균의 균체를 상기 한천배지에 무균적으로 옮겨 대수증식기까지 30 내지 37 ℃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0210158738A 2021-11-17 2021-11-17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KR20230072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38A KR20230072572A (ko) 2021-11-17 2021-11-17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8738A KR20230072572A (ko) 2021-11-17 2021-11-17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572A true KR20230072572A (ko) 2023-05-25

Family

ID=86542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8738A KR20230072572A (ko) 2021-11-17 2021-11-17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2572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277B1 (ko) 2004-07-28 2005-07-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디오신을 포함하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 식품 또는 특수 영양식품.
KR100521845B1 (ko) 2002-02-23 2005-10-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디오신을 함유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
KR20110085356A (ko) 2010-01-20 2011-07-27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생태과학원) 두릅나무, 음나무 또는 산양삼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2203B1 (ko) 2012-03-12 2013-08-07 김민재 청미래덩굴 발효소스의 제조방법
KR101425486B1 (ko) 2012-09-26 2014-08-2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479902B1 (ko) 2013-06-17 2015-01-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효성분 함량이 증대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해독용 음료 조성물
KR20210075762A (ko) 2019-12-13 2021-06-23 문경호 청미래덩굴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845B1 (ko) 2002-02-23 2005-10-17 한국 한의학 연구원 디오신을 함유한 성장호르몬 분비촉진제
KR100498277B1 (ko) 2004-07-28 2005-07-0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디오신을 포함하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성장호르몬분비촉진용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 식품 또는 특수 영양식품.
KR20110085356A (ko) 2010-01-20 2011-07-27 경상북도(관련부서:경상북도산림생태과학원) 두릅나무, 음나무 또는 산양삼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 음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2203B1 (ko) 2012-03-12 2013-08-07 김민재 청미래덩굴 발효소스의 제조방법
KR101425486B1 (ko) 2012-09-26 2014-08-2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30483B1 (ko) 2012-09-26 2018-12-20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 청미래덩굴 잎 및 이의 추출물
KR101479902B1 (ko) 2013-06-17 2015-01-0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유효성분 함량이 증대된 청미래덩굴 뿌리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해독용 음료 조성물
KR20210075762A (ko) 2019-12-13 2021-06-23 문경호 청미래덩굴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920B1 (ko) 발효 커피
KR101780176B1 (ko) 유산균 증식촉진제
KR101799424B1 (ko) 황기 발효산물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311303B1 (ko) 양념육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육 소스
CN110731436A (zh) 一种黑老虎醋酸饮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0002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버섯의 재배방법
KR101909423B1 (ko)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JP2002065206A (ja) 免疫賦活食品
KR101919476B1 (ko)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조미료 제조방법
KR101836377B1 (ko) 아로니아분말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002337B1 (ko) 홍삼액이 함유된 검은콩 청국장 제조방법
KR100630337B1 (ko) 손바닥 선인장 열매 발효분말 및 발효유의 제조방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3618B1 (ko)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21101643A4 (en) A kind of natto compound garlic spicy sauce and its preparation method
KR20230072572A (ko) 청미래덩굴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JP5220075B2 (ja) 高圧熱水抽出アッケシソウ粉末および味噌の製造方法
CN112522053A (zh) 一种针叶樱桃果酒的制备方法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KR20170108430A (ko)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101540069B1 (ko) 천문동발효진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893975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유기셀레늄 함유 쌀의 제조 방법
JPH10120589A (ja) 抗菌剤及び抗菌性食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