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3618B1 -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3618B1
KR102173618B1 KR1020200064690A KR20200064690A KR102173618B1 KR 102173618 B1 KR102173618 B1 KR 102173618B1 KR 1020200064690 A KR1020200064690 A KR 1020200064690A KR 20200064690 A KR20200064690 A KR 20200064690A KR 102173618 B1 KR102173618 B1 KR 102173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nail
extract
aron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걸
이정상
Original Assignee
하태걸
이정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걸, 이정상 filed Critical 하태걸
Priority to KR1020200064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4Anthocyan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 500중량부 내지 10000중량부; 갈랑가 추출물 2000중량부 내지 5000중량부; 달팽이 30000 중량부 내지 50000중량부, 쑥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양파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구기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홍화씨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토사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오가피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동충하초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석창포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강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우슬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두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갈근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삼채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뽕잎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감초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모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솔잎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황기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당귀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건강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를 포함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of snail mucus comprising fermented extracts from aronia with high content of seleniu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고, 셀레늄 함량이 증가되며, 식감 및 풍미가 향상되며 아로니아가 포함하고 있는 영양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달팽이에 포함된 영양성분의 효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라고 불리는 아로니아(Aronia)는 장미목 장미과 아로니아속에 해당하는 관목과 그 열매의 총칭으로, 섭취했을 경우 심장에 좋다고 하여 하트베리라고도 불린다. 안토시아닌은 아로니아에 가장 풍부한 폴리페놀성 항산화 화합물 중 하나로, 최근 아로니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함량이 현재의 베리류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아로니아가 각광받는 건강식품이 되었다.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플라보노이드계 색소군으로, 꽃이나 과실 등에 포함되어 있는 색소 배당체이다. 태양의 강한 자외선이나 곤충, 박테리아, 균류 등의 외부 요인들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사람의 경우에는 안토시아닌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완화할 수 있고,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항산화 활성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항균성, 항염증 활성, 노화 방지 등의 약리학적 활성도 가지고 있다.
식용달팽이(Fruticiola sieboldiana)는 유폐복족류로 나선형의 외각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도처에서 고급 식품원료로서 뿐만 아니라 황산콘드로이틴이 함유되어 있으며 강장 및 강정식으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식용달팽이에 들어있는 황산 콘드로이친은 D-glucurunic acid, N-acetyl-Dglucosamine, 그리고 sulfate가 등량의 몰수로 구성되어 있는 다당류이며, 동물 등의 세포간 조직, 연골조직 및 신경조직 등에 존재하며, 대부분은 다른 glycosaminoglycan과 함께 단백질에 공유 결합하여 proteoglycan으로 존재하는 것이며, 식용달팽이의 점질 다당체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황산 콘드로이친은 인체 조직중의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피부나 내장 등에 윤기를 주게 된다. 나이가 들면 세포의 노화가 일어나 세포의 위축, 수분감소, 불필요한 물질의 침착, 색소과립의 침착, 칼슘의 침착현상이 일어나는데 이는 조직중의 황산 콘드로이친이 감소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황산 콘드로이친을 충분히 공급해 주면 세포가 젊어지고 노화방지, 강장, 강정효과가 생기게 된다.
또한, 식용달팽이는 지방성분이 적고 칼슘이 풍부한 고단백질 스테미너 식품으로서, 종래에도 이를 주재로하는 스테미너 식품 및 엑기스 음료가 개발되어 이를 복용함으로써 숙변제거, 변비해소는 물론 생체 세포 활성화 물질인 콘드로이친 함유로 인해 노약자의 영양공급, 관절 연골 재생, 유액 강화, 원기회복에도 효과가 커서 건강식품이나 건강음료로 널리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달팽이를 주재료로 제조한 음료는 달팽이 특유의 비릿하고 미끌거리며 느끼한 맛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거부감이 많아서 꾸준히 음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4-0023389호 (1994.11.17)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방법으로 제조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셀레늄 함량이 증가되고, 달팽이의 유효성분이 보다 활성화되도록 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로니아의 떫은 맛을 제거하고 항산화 기능성, 면역 및 성장촉진의 효과를 갖는 아로니아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아로니아 추출물 500중량부 내지 10000중량부; 갈랑가 추출물 2000중량부 내지 5000중량부; 달팽이 30000 중량부 내지 50000중량부, 쑥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양파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구기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홍화씨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토사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오가피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동충하초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석창포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강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우슬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두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갈근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삼채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뽕잎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감초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모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솔잎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황기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당귀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건강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를 포함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 및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1.5배 내지 2.5배의 물;을 포함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0.15mg/100mL 내지 0.35mg/100mL의 셀레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0.01mg/g 내지 0.05mg/g의 안토시아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아로니아를 마쇄(磨碎)한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에 증류수를 3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질하고, 15brix 내지 18brix가 되도록 설탕을 첨가하여 초기 당도를 조절하고, 효모 5%(v/v)를 접종하여 25℃ 항온 배양기에서 7일간 알코올 발효하여 제조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갈랑가를 압착기로 착즙하고 여과하여 갈랑가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갈랑가 착즙액을 9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고, 가열이 완료된 갈랑가 착즙액을 농도가 9.5brix 내지 10.5brix가 되도록 45℃에서 농축하고, 잔탄검(xanthan gum) 1wt%를 첨가한 후 블렌더(waring blender)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5분 동안 균질화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고, 상기 페이스트는 수분함량은 89.2wt%이고, 조지방 함량은 0.7w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발효숙성 생강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원료 생강(Zingiber offcinale Roscoe)을 수세한 후 껍질을 제거한 후, 80℃ 및 85% 조건의 항온 항습기에서 10일간 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생강을 마쇄한 후 상기 생강 100g에 대하여 500mL 증류수와 1g의 스타터(Starter)균주를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숙성된 생강으로 제조하고, 상기 발효숙성된 생강을 동결건조기(Ilshin Biobase, Dongducheon, Korea)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인 발효숙성 생강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은 달팽이 발효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은, 세척한 달팽이를 분쇄한 다음 초음파 추출하여 300nm 내지 600nm 범위의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고,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유산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달팽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이고, 상기 유산균은 1010CFU/ml ~ 1011CFU/ml로 농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 상기 물 및 상기 갈랑가 추출물을 혼합한 후 온도가 80℃ 내지 90℃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아로니아 추출물 600중량부, 달팽이 40000중량부, 갈랑가 3000중량부, 쑥 600중량부, 양파 600중량부, 구기자 600중량부, 홍화씨 600중량부, 토사자 600중량부, 오가피 600중량부, 동충하초 600 중량부, 석창포 600 중량부, 강황 600 중량부, 우슬 600 중량부, 두충 600 중량부, 갈근 600 중량부, 삼채 600 중량부, 뽕잎 600 중량부, 감초 600 중량부, 계피 600 중량부, 진피 600 중량부, 모과 600 중량부, 솔잎 600 중량부, 황기 600 중량부, 당귀 600 중량부, 건강 6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아로니아 추출물 500중량부 내지 10000중량부 및 갈랑가 추출물 2000중량부 내지 5000중량부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달팽이 30000 중량부 내지 50000중량부, 쑥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양파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구기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홍화씨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토사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오가피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동충하초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석창포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강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우슬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두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갈근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삼채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뽕잎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감초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모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솔잎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황기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당귀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건강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를 포함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 준비단계;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 중에 물, 상기 갈랑가 추출물을 추출기에 넣고 진액을 추출하는 진액 추출단계; 및 상기 진액의 온도를 80℃ 내지 90℃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첨가하는 아로니아 첨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1.5배 내지 2.5배로 첨가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0.15mg/100mL 내지 0.35mg/100mL의 셀레늄을 포함하고,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0.01mg/g 내지 0.05mg/g의 안토시아닌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달팽이를 전처리하고, 상기 솔잎을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달팽이와 전처리된 솔잎, 쑥, 양파, 구기자, 홍화씨, 토사자, 오가피, 동충하초, 석창포, 강황, 우슬, 두충, 갈근, 삼채, 뽕잎, 감초, 계피, 진피, 모과, 황기, 당귀, 건강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서 달팽이 약재 혼합물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를 전처리하는 것은, 살아있는 달팽이에게 독소가 배출되도록 48시간 동안 물만 제공하고, 달팽이 30마리당 5wt% 내지 6wt%의 소금물과 5wt% 내지 6wt%의 식초물을 첨가하여 상기 달팽이를 30초 동안 담갔다가 꺼낸 후 상온에 유지시키는 작업을 5회 동안 반복하고, 상기 달팽이를 여과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에 달팽이 발효분말을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은, 세척한 달팽이를 분쇄한 다음 초음파 추출하여 300nm 내지 600nm 범위의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고,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유산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달팽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이고, 상기 유산균은 1010CFU/ml ~ 1011CFU/ml로 농축하여 사용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잎을 전처리하는 것은, 원료 솔잎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20mm 내지 30mm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솔잎 1kg에 대하여 50wt%의 설탕용액 2L 중에 상온에서 1일동안 상온에이징시키고, 상온에이징이 완료 후 35℃에서 7일간 유지시켜 발효 및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용액으로 준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아로니아를 마쇄(磨碎)한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에 증류수를 3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질하고, 15brix 내지 18brix가 되도록 설탕을 첨가하여 초기 당도를 조절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5%(v/v)를 접종하여 25℃ 항온 배양기(BF-150IN, BioFree, Seoul, Korea)에서 7일간 알코올 발효하여 제조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갈랑가를 압착기로 착즙하고 여과하여 갈랑가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갈랑가 착즙액을 9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고, 가열이 완료된 갈랑가 착즙액을 농도가 9.5brix 내지 10.5brix가 되도록 45℃에서 농축하고, 잔탄검(xanthan gum) 1wt%를 첨가한 후 블렌더(waring blender)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5분 동안 균질화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고, 상기 페이스트는 수분함량은 89.2wt%이고, 조지방 함량은 0.7wt%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한 방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셀레늄 함량이 증가되고, 아로니아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아로니아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보다 향상되어 항산화 효과가 증진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로니아 추출물을 더 첨가함으로써 달팽이 진액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활성을 향상시키고, 풍미 및 식감을 증진시켜 다양한 사람들의 기호에 맞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달팽이 진액 조성물을 제조하는 추출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아로니아를 첨가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제조된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사진이다.
도 5는 의뢰한 결과로 받은 시험 검사성적서이다.
도 6은 관능평가를 실시한 사진이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색, 향미, 달팽이맛, 떫은맛, 질감, 목넘김, 균형감, 전체적 선호도의 8개의 조사항목에 대해서 연령별 응답율을 나타내었다.
도 9에서는 8개의 조사항목에 대한 총 평가를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 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를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아로니아 추출물 500중량부 내지 10000중량부; 갈랑가 추출물 2000중량부 내지 5000중량부; 달팽이 30000 중량부 내지 50000중량부, 쑥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양파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구기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홍화씨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토사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오가피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동충하초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석창포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강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우슬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두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갈근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삼채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뽕잎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감초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모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솔잎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황기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당귀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건강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를 포함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 및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1.5배 내지 2.5배의 물;을 포함한다.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0.15mg/100mL 내지 0.35mg/100mL의 셀레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 중에 포함되는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0.01mg/g 내지 0.05mg/g의 안토시아닌을 포함할 수 있다.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는 복족류 또는 달팽이과(Fruticiola sieboldiana)에 속하는 육산패류로 세계에 약 2만 종이 알려져 있다. 달팽이의 주요 영양성분은 단백질(54.29%), 지질(4.18%), 탄수화물(30.45%), 회분(4.07%)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단백질과 칼슘이 풍부하다. 달팽이에서 분비되는 끈끈한 점액을 구성하는 성분을 뮤신(Mucin)이라 하며 뮤신을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은 콘드로이친황산 (chondroitin sulfate)이다. 그 외에도, 달팽이 점액의 주요 함유물질인 알란토인(Allantoin)은 피부진정 및 모공수축작용이 있으며 글리콜산(Glicolic Acid)은 피부트러블 예방 효과가 있고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 (Elastin)은 피부탄력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달팽이의 성분의 주요 기능으로는 피부노화 방지, 윤기 나는 피부로 가꿀 수 있어 각종 피부 질환에 효과적이며, 조직 중의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힘이 있어 고온에도 피부의 세포 조직의 수분유지와 재생 및 피부, 혈판, 내장의 탄력을 높이며, 혈액청정 작용으로 동맥경화 억제 및 예방,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 항 혈액응고, 관절조직 보호, 석회화 작용에 의한 뼈형성, 항염증 및 진통효과, 각막보호, 세포전해질 조절, 세균감염 억제, 피로억제 작용,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천식, 장기, 소갈, 구강염, 후두염 등에 효과를 보인다.
쑥은 인진쑥과 사철쑥을 이용할 수 있다. 인진쑥은 인진쑥은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를 가리킨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나는데 봄철에 한 뼘쯤 자란 것을 베어 말려서 약으로 쓴다. 인진쑥은 비타민A의 함량이 많아 암예방에 효과적이고 발암물질의 생성이나 활성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또한 인진쑥 추출물은 대단히 강한 혈청 지질의 억제작용이 있어 동맥경화 및 고혈압을 예방하는데 좋은 치료제로 쓰여진다. 사철쑥의 풍부한 유파탈린 성분은 위를 보호하는데 뛰어나며 위병을 지켜 음식물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를 도와 위 관련 질환과 위암을 예방하고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고 비타민 성분도 다량 가지고 있어 몸속의 활성산소를 줄여 노화방지뿐만 아니라 피부를 깨끗하고 맑게 유지시켜준다고 알려진다.
아로니아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사과의 120배, 포도의 12배, 크랜베리의 10배 및 블루베리의 4배에 달하는데, 안토시아닌은 산화 후에 발생하는 활성산소 제거효과가 탁월하며,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개선 및 피부노화를 방지한다. 또한, 아로니아는 체내에 흡수되면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고, 체내에 저장된 지방을 태워 체중감량 효과를 나타내며, 다이어트로 인해 발생하는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나타낸다. 아로니아에 함유되어 있는 안토시아닌이 시각에 관여하는 단백질의 일종인 로돕신의 재합성을 촉진하여 눈의 피로를 완화시키고, 시력저하 및 백내장과 같은 질환을 예방하여 눈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갈랑가(Kaempferia galanga L)는 산나(山奈) 또는 사강(沙薑)이라고도 불리며 다년생의 관목으로 생강과에 속한다. 손가락 굵기의 괴경 형태로 뿌리줄기를 갖고 있으며 생강과 유사하게 생겼으나 더 작고 짙은 색깔을 띤다. 잎은 뿌리에서 바로 자라나며 타원형으로 땅에 평평하게 붙는다. 뿌리는 2.5~4% 정도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며 주로 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의 에틸에스테르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피부 요법제로서 이 성분은 자외선 차단제로서 많이 사용된다.
솔잎은 소나무의 잎으로서 소나무(Pinus densiflora Seibold et Zuccarini)로 부터 채집할 수 있다. 솔잎은 예로부터 한방 또는 민간 요법의 약용이나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고, 동의보감에 의하면 솔잎은 위장병, 중풍, 고혈압, 신경통, 천식 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솔잎의 이러한 약리작용은 솔잎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성분,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비타민 P(루틴), 인, 철분, 효소, 탄닌, 엽록소, 고미성 물질,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를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이와 같은 효능을 갖는 달팽이와 아로니아, 갈랑가, 쑥, 솔잎 및 그 외의 한방첨가물을 소정의 범위로 함유함으로써, 재료들 사이의 부작용이 없이 서로 효능을 촉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규한 방법에 의하여 아로니아를 처리하고, 혼합함으로써 아로니아 특유의 떫은 맛을 제거하고 아로니아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향 및 식감을 개선함으로써 남녀노소 다양하게 음용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아로니아 추출물 600중량부, 달팽이 40000중량부, 갈랑가 3000중량부, 쑥 600중량부, 양파 600중량부, 구기자 600중량부, 홍화씨 600중량부, 토사자 600중량부, 오가피 600중량부, 동충하초 600 중량부, 석창포 600 중량부, 강황 600 중량부, 우슬 600 중량부, 두충 600 중량부, 갈근 600 중량부, 삼채 600 중량부, 뽕잎 600 중량부, 감초 600 중량부, 계피 600 중량부, 진피 600 중량부, 모과 600 중량부, 솔잎 600 중량부, 황기 600 중량부, 당귀 600 중량부, 건강 6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를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아로니아 추출물 500중량부 내지 10000중량부 및 갈랑가 추출물 2000중량부 내지 5000중량부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달팽이 30000 중량부 내지 50000중량부, 쑥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양파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구기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홍화씨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토사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오가피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동충하초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석창포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강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우슬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두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갈근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삼채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뽕잎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감초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모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솔잎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황기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당귀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건강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를 포함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 준비단계;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 중에 물, 상기 갈랑가 추출물을 추출기에 넣고 진액을 추출하는 진액 추출단계; 및 상기 진액의 온도를 80℃ 내지 90℃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첨가하는 아로니아 첨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1.5배 내지 2.5배로 첨가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1.5배 미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이서 음용시 목걸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2.5배 초과로 첨가되는 경우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아 문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한방 추출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9배 내지 2.1배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0.15mg/100mL 내지 0.35mg/100mL의 셀레늄을 포함하고,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0.01mg/g 내지 0.05mg/g의 안토시아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준비단계는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과 갈랑가 추출물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아로니아를 마쇄(磨碎)한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에 증류수를 3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질하고, 15brix 내지 18brix가 되도록 설탕을 첨가하여 초기 당도를 조절하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5%(v/v)를 접종하여 25℃ 항온 배양기에서 7일간 알코올 발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모는 시판 건조 효모(Fermivin, Lallemand Inc.)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떫은 맛을 포함하고 있으며, 추출방법에 따라 추출되는 안토시아닌 함량과 추출물의 색이 달라진다. 또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과 혼합되어 각각에서 추출된 유효성분이 서로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추출함으로써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의 중에 포함되는 안토시아닌의 함량을 향상시키고 떫은 맛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에 증류수는 첨가하여 균질화하고, 설탕을 첨가하여 15brix 내지 18brix가 되도록 할 수 있는데, 15brix 미만인 경우에는 효모 발효가 잘 수행되지 않아 문제되고, 18brix 초과인 경우에는 아로니아 추출물의 색이 탁하게 형성되어 문제된다.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원료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으로 알코올 발효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발효가 수행될수록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의 pH는 점차 감소하고, 7일째 알코올 발효에 의하여 당도는 5.7brix 내지 6.8brix로 감소하고, 이에 아로니아 추출물의 색을 투명한 붉은색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아로니아의 떫은 맛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아로니아 추출물은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함으로써, 아로니아 열매에 포함되는 항산화능, 항알르기 효능, 저혈당 및 저지혈증 효과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순차적으로, 상기 달팽이를 전처리하고, 상기 솔잎을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달팽이와 전처리된 솔잎, 쑥, 양파, 구기자, 홍화씨, 토사자, 오가피, 동충하초, 석창포, 강황, 우슬, 두충, 갈근, 삼채, 뽕잎, 감초, 계피, 진피, 모과, 황기, 당귀, 건강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서 달팽이 약재 혼합물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를 전처리하는 것은, 살아있는 달팽이에게 독소가 배출되도록 48시간 동안 물만 제공하고, 달팽이 30마리당 5wt% 내지 6wt%의 소금물과 5wt% 내지 6wt%의 식초물을 첨가하여 상기 달팽이를 30초 동안 담갔다가 꺼낸 후 상온에 유지시키는 작업을 5회 동안 반복하고, 상기 달팽이를 여과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를 전처리함으로써 내의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달팽이 점액의 생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달팽이에 소금물과 식초물로 처리함으로써, 상기 달팽이의 달팽이의 육질과 육량을 증가시키고 점액질인 콘드로이친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에 달팽이 발효분말을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은, 세척한 달팽이를 분쇄한 다음 초음파 추출하여 300nm 내지 600nm 범위의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고,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유산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서 얻은 달팽이 발효액을, 동결건조기(Ilshin Biobase, Dongducheon, Korea)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이고, 상기 유산균은 1010CFU/ml ~ 1011CFU/ml로 농축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은 금속동결하여 분말형태로 보관하고, 필요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에 첨가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 중 포함된 나노입자는 달팽이를 나노분쇄기(Nanomil,Simbex.Co.,Ltd,German)로 물리적으로 분쇄한 다음 초음파추출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300nm 내지 600nm 범위의 균질화된 입자일 수 있는데, 300nm 미만의 경우에는 유산균에 의한 발효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600nm 초과의 경우에는 입자 크기가 커서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나노입자의 크기는 400nm 내지 600nm이거나, 550nm 내지 600nm일 수 있다.
상기 유산균으로 발효시키는 조건은,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는 30℃ 내지 40℃이거나, 37℃일 수 있고, 시간은 10시간 내지 40시간 이거나, 24시간 내지 35시간 또는 30시간일 수 있다.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은 유산균 배양배지의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은 달팽이 나노분쇄물의 발효에 사용되며, 글루코오스(glucose)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lactic acid)을 생성하는 세균의 일종이다.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이 저지되는 성질을 유제품, 김치류, 양조식품 등의 식품제조에 이용한다. 또한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로도 이용되는 세균이다. 그람양성균이고, 통성혐기성 또는 혐기성이며,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스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속, 엔테르콕커스(Entercoccus)속, 락토콕커스(Lactococcus)속, 페디오콕커스(Pediococcus)속 등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일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균종의 분류는 유산발효형식과 발육온도에 의하여 여러그룹으로 대별되는데, 이중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는 호기성 젖산균으로 사람 및 모든 포유류와 그 밖의 동물의 장에 존재하며, 버터 우유의 제조나 장내 자가중독의 치료에 사용된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정상 유산발효를 하는 균종으로 15℃에서 발육가능하고 글루콘산(gluconic acid)을 자화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은 열에 안정한 박테리오신을 생산할 수 있는 세균으로서 본 발명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은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여 유산균 발효를 수행할 수 있는데, 유산균 배양배지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의 배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달뱅이 발효분말은 유산균에 의한 발효에 의하여, 고분자를 저분자로 분해하며 분해과정 중 유산균의 각종 효소들에 의하여 유효성분의 활성도를 높이고 미량 성분에 대해서는 획득 수율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또한 농약, 중금속 등의 독성물질을 분해 또는 불활성화시켜 인체에 유해되는 요소를 제거시킬 수 있다. 발효과정을 거치면 유산균은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를 미세하게 분해하고 소화한 뒤 배설하게 되는데 이때 나오는 물질이 달팽이 발효액에 해당한다. 상기 유산균에 의한 발효는, 저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유산균을 이용하면 기존의 열수 추출이나 진공 추출 등에서 야기되는 성분의 손실이나 변성이 전혀 없이, 실온에서 원료의 외형은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유효성분만을 효과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다. 유산균의 배양 및 발효는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배양 종료 후에 배양물과 균체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분리(contrifugation) 또는 여과(filtration)과정을 거칠수 있으며 이러한 단계는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균체의 제거는 통상적인 균체의 제거를 위한 방법을 통해 유산균 균체가 실질적으로 제거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솔잎을 전처리하는 것은, 원료 솔잎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20mm 내지 30mm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솔잎 1kg에 대하여 50wt%의 설탕용액 2L 중에 상온에서 1일동안 상온에이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온에이징이 완료 후 35℃에서 7일간 유지시켜 발효 및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용액으로 준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잎은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에서 이용되는 유산균과 동일한 유산균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솔잎을 발효 및 숙성시켜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 중에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장기 보전성을 증가시키고,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갈랑가를 압착기로 착즙하고 여과하여 갈랑가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갈랑가 착즙액을 9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고, 가열이 완료된 갈랑가 착즙액을 농도가 9.5brix 내지 10.5brix가 되도록 45℃에서 농축하고, 잔탄검(xanthan gum) 1wt%를 첨가한 후 블렌더(waring blender)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5분 동안 균질화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페이스트는 수분함량은 89.2wt%이고, 조지방 함량은 0.7wt%를 포함할 수 있다.
갈랑가(galangal rhizome)는 소화촉진, 위경련 진정, 류머티즘 완화의 효과를 가졌으나, 진저롤 (gingerol) 성분에 의한 매운 생강 향을 가져 그 자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식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갈랑가 추출물로 제조함으로써 갈랑가 중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진저롤에 의한 매운 맛이 추출되는 것을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과 잘 어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발효숙성 생강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갈랑가를 이용하여 제조된 페이스트에 상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전체적인 맛 및 풍미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생강은 상기 갈랑가 추출물에 포함되어 갈랑가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이 보다 인체내에 잘 흡수되도록 보조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as)은 말레이시아와 인도 등의 열대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추정되며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동남아시아 등지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근경을 주로 이용하는 독특한 매운맛과 향기를 갖는다. 생강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는 정유성분(essential oil)과 매운맛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올레오레진(oleoresin)성분이 보고되어 있다. 정유 성분은 감기, 두통, 관절염 및 정신적 치료에 효과적이며 올레오레진(oleoresin)의 매운맛 성분인 진저롤(gingerol), 진저론(ginerone), 쇼가올(shogaol) 등은 항산화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생강의 생리활성 성분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생강을 발효숙성시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원료 생강(Zingiber offcinale Roscoe)을 수세한 후 껍질을 제거한 후, 80℃ 및 85% 조건의 항온 항습기에서 10일간 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생강을 마쇄한 후 상기 생강 100g에 대하여 500mL 증류수와 1g의 스타터(Starter)균주를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숙성된 생강으로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발효숙성된 생강을 동결건조기(Ilshin Biobase, Dongducheon, Korea)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인 발효숙성 생강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함으로써, 생강의 숙성과 발효 과정 중 유용성분인 6-gingerol이 6-shogaol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6-gingerol는 매운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6-gingerol가 감소됨으로써 생강에 포함되는 매운맛이 상당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생강 원료에는 상기 6-gingerol는 91 μg/g이였으나, 전술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효숙성 생강분말 중에는 상기 6-gingerol는 대략 24.4 μg/g로 감소되는 것을, HPLC에 의한 측정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HPLC에 의하여 수행된 6-gingerol과 6-shogaol의 함량의 분석은 발효숙성 생강분말 2 g을 메탄올 5 mL에 넣어 초음파 추출(1시간)을 한 후에 원심분리(3,000 rpm, 20분) 하고 여과한 상등액 10 μL를 HPLC(Agilent UV 1200 system)에 주입하였고, 컬럼(RP18, 컬럼 오븐의 온도 25℃)을 이용하고, 1.0 mL/min의 유속으로 UV 검출기(Absorbance 282 nm)를 이용하였다. 이때, 모바일상은 Isocratic (MeOH : D.W = 80 : 20)이고, 주입부피는 10㎕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
아로니아 열매는 경북 영천의 아로니아 농장에서 생산된 것을 구입하여 냉동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아로니아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세척한 아로니아를 food processor(Phillips Electronics, Seoul, Korea)를 이용하여 고속에서 3분간 3회에 걸쳐 곱게 마쇄한 다음, 2겹의 cheese cloth로 여과하여 착즙액을 얻었다.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상온에서 건조된 알피니아 갈랑가 뿌리 1.0kg을 믹서기로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달팽이는 국내산 식용달팽이로써 직경 4cm 내지 5cm 정도로 자란 것을 깨끗한 물에 담구어 3일 정도 생육상태로 정치(靜置)시켜 달팽이 자체가 품고 있는 이물질, 중금속, 해금류의 불순물을 스스로 토해내도록 유도한 다음, 껍질채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본 발명의 주재료로 사용하였다.
인진쑥, 양파, 구기자(구기자나무 열매), 홍화씨, 토사자, 오가피(오가피나무 줄기껍질), 동충하초(눈꽃 동충하초), 석창포(석창포 뿌리줄기), 강황(강황 뿌리줄기), 우슬, 두충, 칡(칡뿌리), 삼채, 뽕잎, 감초(건조감초), 계피(건조계피 껍질), 진피(귤나무 열매 껍질), 모과(건조모가), 솔잎, 황기, 당귀(참당귀 뿌리), 건강(건생강)을 음건하고 세절하여 각각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으로 준비하고, 달팽이와 혼합해서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달팽이 갈랑가 아로니아
함량(g) 40000 3000 600
성분 인진쑥  양파 구기자 홍화씨 토사자  오가피 동충하초 석창포  강황 우슬 두충 
함량(g)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성분 칡(갈근)  삼채  뽕잎 감초  계피  진피 모과 솔잎 황기 당귀 건강
함량(g)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600
아로니아를 제외한 표 1의 원료를 믹서기에 넣고 3시간 동안 갈아서 혼합물로 제조하였고 여기에 물 110000g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믹서기에 갈은 후, 도 2와 같은 추출기에 넣었다. 추출기에서, 0.2kgf/㎠의 압력에서 4시간 동안 110℃의 온도로 1차로 추출하고, 이어서 0.2kgf/㎠의 압력에서 20시간 동안 90℃의 온도로 2차로 추출하여 진액을 제조하였다. 도 3과 같이 진액의 온도를 85℃를 유지하면서 준비된 아로니아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달팽이 진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4는 제조된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사진이다.
실시예 2(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
아로니아, 갈랑가, 솔잎, 및 달팽이를 하기와 같이 준비한 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달팽이 진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아로니아 열매는 경북 영천의 아로니아 농장에서 생산된 것을 구입하여 냉동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아로니아는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여 세척한 아로니아를 food processor(Phillips Electronics, Seoul, Korea)를 이용하여 고속에서 3분간 3회에 걸쳐 곱게 마쇄한 다음, 2겹의 cheese cloth로 여과하여 착즙액을 얻었다. 제조된 아로니아 착즙액에 증류수를 3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균질하였다. 설탕을 첨가하여 당도가 18brix되도록 하였고, 여기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5%(v/v)를 접종하여 25℃ 항온 배양기(BF-150IN, BioFree, Seoul, Korea)에서 7일간 알코올 발효하여 아로니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상온에서 건조된 알피니아 갈랑가 뿌리 1.0kg을 압착기로 착즙하고 여과하여 갈랑가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갈랑가 착즙액을 9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였다. 가열이 완료된 갈랑가 착즙액을 농도가 대략 10brix가 되도록 45℃에서 농축하고, 잔탄검(xanthan gum) 1wt%를 첨가한 후 블렌더(waring blender)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5분 동안 균질화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였다. 여기에, 하기와 같이 제조된 발효숙성 생강분말을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로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원료 생강(Zingiber offcinale Roscoe)을 수세한 후 껍질을 제거한 후, 80℃ 및 85% 조건의 항온 항습기에서 10일간 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생강을 마쇄한 후 상기 생강 100g에 대하여 500mL 증류수와 1g의 스타터(Starter)균주를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숙성된 생강으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발효숙성된 생강을 동결건조기(Ilshin Biobase, Dongducheon, Korea)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인 발효숙성 생강분말로 제조하였다.
살아있는 달팽이에게 독소가 배출되도록 48시간 동안 물만 제공하여 독소를 배출시켰다. 이어서, 달팽이 30마리당 5wt%의 소금물과 5wt%의 식초물을 함께 첨가하여 30초 동안 유지했다가, 꺼낸 후 상온에 유지시키는 작업을 5회 동안 반복하였다. 이후, 달팽이를 여과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유지하였다.
원료 솔잎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20mm 내지 30mm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솔잎 1kg에 대하여 50wt%의 설탕용액 2L 중에 상온에서 1일동안 두었다. 이어서 35℃에서 7일간 유지시켜 발효 및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용액으로 준비하였다.
비교예 1
아로니아와 갈랑가를 생략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달팽이 진액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4는 제조된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사진이다.
영양성분 분석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주)세스코 시험분석센터에 의뢰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대한 영양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표 2에 나타내였다. 도 5는 의뢰한 결과로 받은 시험 검사성적서이다. 또한, (주)세스코 시험분석센터에서 함께 의뢰한 세균수, 대장균, 대장균군, 리스테리아모노사이토제네스, 바실루스셀레우스, 살모넬라, 장출혈성대장균, 클로스트리디움퍼프린젠스,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모두 음성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시험검사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셀레늄 0.15mg/100mL 0.35mg/100mL 0.05mg/100mL
아연 0.15mg/100mL 0.21mg/100mL 0.03mg/100mL
21.06mg/100mL 25.08mg/100mL 18.1mg/100mL
칼슘 16.46mg/100mL 16.1mg/100mL 11.5mg/100mL
칼륨 191.4mg/100mL 200.5mg/100mL 155.1mg/100mL
마그네슘 25.06mg/100mL 24.7mg/100mL 22.6mg/100mL
0.44mg/100mL 0.5mg/100mL 0.32mg/100mL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 1, 실시예 2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영양성분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그 중 셀레늄 및 아연의 함량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실시예 1, 실시예 2는 아로디움과 갈랑가를 더 포함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안토시아닌 함량측정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대해서, HPLC용 메탄올을 사용하여 5 mg/mL의 농도로 용해한 후에 0.45 μm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고, HPLC system은 Futecs NSG-Series(Futecs Co., Ltd., Daejeon, Korea)를 사용하였다. 시료 주입량은 20 μL, 칼럼은 GROM-SIL 120 ODS-5 ST column(25cm×4.6 mm, 5 μm, Futecs Co. Ltd.), 칼럼 온도는 35℃및 유속은 1.0 mL/min이었다. 이동상은 water : acetonitrile : acetone : phosphoric acid를 81.7:8.4:8.4:1.5(v/v)로 혼합한 용매를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UV detector를 사용하여 530 nm에서 검출하였다. 표준물질은 cyanidin-3-glucoside, cyanidin-3-rutinoside, pelargonidin-3-glucoside 및 peonidin-3-glucoside를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안토시아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은 0.02mg/g이고, 실시예 2는 0.31mg/g이며, 비교예 1은 0.001mg/g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로니아가 함유된 실시예 1, 2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안토시아닌 함량이 월등히 높게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했을 때, 실시예 2가 실시예 1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실시예 2에서의 아로니아를 추출물의 형식으로 제조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DPPH radical scavenging 효과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1에 대해서 DPPH radical scavenging 효과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비타민 C에 대해서 측정하여 실시예 1의 황산화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료액 0.2 mL에 60 μM DPPH 용액 2.8 mL를 첨가하여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에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및 DPPH radical의 흡광도를 50%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the half maximal effective concentration, EC50, μg/mL)는 다음의 식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를 내삽법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Absorbancecontrol-Absorbancesample)/ Absorbancecontrol}×100
vit c 실시예 1
1M 100mM 10mM 1mM 5% 10% 20% 50% 100%
1 0.132 0.12 0.122 0.115 0.568 0.649 0.528 0.387 0.624
2 0.124 0.12 0.117 0.115 0.431 0.312 0.561 0.421 0.527
3 0.119 0.114 0.117 0.114 0.524 0.544 0.645 0.439 0.479
Ave. 0.125 0.118 0.119 0.115 0.508 0.502 0.578 0.416 0.543
STD 0.007 0.003 0.003 0.001 0.070 0.172 0.060 0.026 0.074
위의 표 3을 참조할 때, 실시예 1은 대조군은 비타민 C에 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평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달팽이 진액 조성물에 대하여, 120명의 관능평가자를 대상으로 색, 향미, 달팽이맛, 떫은맛, 질감, 목넘김, 균형감, 전체적 선호도의 총 8가지 항목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은, 직접대면하여 블라인드로 실시예 1을 2번 제품으로 하고, 비교예 1를 1번 제품으로 하여 1:1로 시음평가를 하였으며,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4월 17일부터 25일 사이에서 전라북도 거주 만 30세 이상의 성인 여자와 남자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으로는 목적적 할당표본 추출법(Purposive Quota Sampling)을 이용하였다. 하기, 표 4는 관능평가자의 표본 크기를 나타내었고, 도 6은 관능평가를 실시한 사진이다.
30대 40대 50대 이상 total
여자 20명 20명 20명 60명
남자 20명 20명 20명 60명
total 40명 40명 40명 120명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색, 향미, 달팽이맛, 떫은맛, 질감, 목넘김, 균형감, 전체적 선호도의 8개의 조사항목에 대해서 연령별 응답율을 나타내었으며, 도 9에서는 8개의 조사항목에 대한 총 평가를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달팽이 진액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를 수행하기 위하여 8개의 조사항목을 선정한 이유로는 하기 표 5와 같다.
항목 내용
제품의 색상으로 평가한 기호도 조사
향미 제품의 향미로 평가한 기호도 조사
달팽이 맛 한방재료를 잘 쓰지 못하는 일반 달팽이진액은 달팽이 맛이 강하거나, 또는 달팽이를 적게 넣어 달팽이의 맛이 아예 없는 경우가 있음
떫은맛 아로니아의 항산화성분 때문에 떫은 맛이 있을 수 있음
질감 제품의 질감으로 평가한 기호도 조사
목넘김 제품의 목넘김으로 평가한 기호도 조사
균형감 제품을 마셨을 때 입안에서 느껴지는 맛, 질감 등의 균형감으로 평가한 기호도 조사
전체선호도 소비자가 체감하는 다양한 항목의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전체선호도를 평가함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색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는 2번 달팽이 진액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유로는, 2번 제품이 1번 제품보다 진한색이 있어서 고함량인 것 같아서 선호한다는 개별적인 의견들이 있었다.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향미와 달팽이 맛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는 2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각 연령과 무관하게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떫은 맛으로 평가했을 때, 전적인 선호도는 2번 달팽이 진액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이는 아로니아의 떫은 맛을 응답자들이 잘 구별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질감과 목넘김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는 2번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균형감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는 2번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전체적인 선호도에서는, 모든 연령에서 2번을 더 선호함을 나타났다.
도 9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기호도 8개 조사항목을 방사형 그래프로 표시한 것으로, 실시예 1인 2번 제품이 비교예 1인 1번 제품에 비해서 월등히 나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맛의 조화에서는 2번 제품이 7.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2번 제품이 해당 시음 평가항목의 다양한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전체적인 조화로운 맛을 만들어낸 점수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아로니아 추출물 500중량부 내지 10000중량부;
    갈랑가 추출물 2000중량부 내지 5000중량부;
    달팽이 30000 중량부 내지 50000중량부, 쑥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양파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구기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홍화씨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토사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오가피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동충하초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석창포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강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우슬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두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갈근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삼채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뽕잎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감초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모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솔잎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황기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당귀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건강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를 포함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 및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1.5배 내지 2.5배의 물;을 포함하고,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 상기 물 및 상기 갈랑가 추출물을 혼합한 후 온도가 80℃ 내지 90℃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첨가하고,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0.01mg/g 내지 0.05mg/g의 안토시아닌을 포함하고,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아로니아를 마쇄(磨碎)한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에 증류수를 3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질하고,
    15brix 내지 18brix가 되도록 설탕을 첨가하여 초기 당도를 조절하고,
    효모 5%(v/v)를 접종하여 25℃ 항온 배양기에서 7일간 알코올 발효하여 제조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0.15mg/100mL 내지 0.35mg/100mL의 셀레늄을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갈랑가를 압착기로 착즙하고 여과하여 갈랑가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갈랑가 착즙액을 9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고,
    가열이 완료된 갈랑가 착즙액을 농도가 9.5brix 내지 10.5brix가 되도록 45℃에서 농축하고,
    잔탄검(xanthan gum) 1wt%를 첨가한 후 블렌더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5분 동안 균질화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고,
    상기 페이스트는 수분함량은 89.2wt%이고, 조지방 함량은 0.7wt%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발효숙성 생강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첨가되고,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원료 생강을 수세한 후 껍질을 제거한 후, 80℃ 및 85% 조건의 항온 항습기에서 10일간 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생강을 마쇄한 후 상기 생강 100g에 대하여 500mL 증류수와 1g의 스타터(Starter)균주를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숙성된 생강으로 제조하고,
    상기 발효숙성된 생강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인 발효숙성 생강분말로 제조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은 달팽이 발효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은,
    세척한 달팽이를 분쇄한 다음 초음파 추출하여 300nm 내지 600nm 범위의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고,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유산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달팽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달팽이 발효액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이고,
    상기 유산균은 1010CFU/ml ~ 1011CFU/ml로 농축하여 사용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아로니아 추출물 600중량부, 달팽이 40000중량부, 갈랑가 추출물 3000중량부, 쑥 600중량부, 양파 600중량부, 구기자 600중량부, 홍화씨 600중량부, 토사자 600중량부, 오가피 600중량부, 동충하초 600 중량부, 석창포 600 중량부, 강황 600 중량부, 우슬 600 중량부, 두충 600 중량부, 갈근 600 중량부, 삼채 600 중량부, 뽕잎 600 중량부, 감초 600 중량부, 계피 600 중량부, 진피 600 중량부, 모과 600 중량부, 솔잎 600 중량부, 황기 600 중량부, 당귀 600 중량부, 건강 6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10. 아로니아 추출물 500중량부 내지 10000중량부 및 갈랑가 추출물 2000중량부 내지 5000중량부를 준비하는 원료 준비단계;
    달팽이 30000 중량부 내지 50000중량부, 쑥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양파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구기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홍화씨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토사자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오가피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동충하초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석창포 400중량부 내지 900중량부, 강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우슬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두충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갈근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삼채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뽕잎 4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감초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진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모과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솔잎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황기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당귀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 건강 500중량부 내지 700중량부를 포함하는 달팽이 약재 혼합물 준비단계;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 중에, 물과 상기 갈랑가 추출물을 추출기에 넣고 진액을 추출하는 진액 추출단계;
    상기 진액의 온도를 80℃ 내지 90℃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을 첨가하는 아로니아 첨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은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 상기 갈랑가 추출물 및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1.5배 내지 2.5배로 첨가되는 것인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0.01mg/g 내지 0.05mg/g의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아로니아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아로니아를 마쇄(磨碎)한 후 여과하여 아로니아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에 증류수를 30%(w/w)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질하고,
    15brix 내지 18brix가 되도록 설탕을 첨가하여 초기 당도를 조절하고,
    효모 5%(v/v)를 접종하여 25℃ 항온 배양기에서 7일간 알코올 발효하여 제조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진액 조성물은 0.15mg/100mL 내지 0.35mg/100mL의 셀레늄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달팽이를 전처리하고,
    상기 솔잎을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달팽이와 전처리된 솔잎, 쑥, 양파, 구기자, 홍화씨, 토사자, 오가피, 동충하초, 석창포, 강황, 우슬, 두충, 갈근, 삼채, 뽕잎, 감초, 계피, 진피, 모과, 황기, 당귀, 건강을 믹서기에 넣고 갈아서 달팽이 약재 혼합물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달팽이를 전처리하는 것은,
    살아있는 달팽이에게 독소가 배출되도록 48시간 동안 물만 제공하고,
    달팽이 30마리당 5wt% 내지 6wt%의 소금물과 5wt% 내지 6wt%의 식초물을 첨가하여 상기 달팽이를 30초 동안 담갔다가 꺼낸 후 상온에 유지시키는 작업을 5회 동안 반복하고,
    상기 달팽이를 여과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상온에서 1일 동안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달팽이 약재 혼합물에 달팽이 발효분말을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달팽이 발효분말은,
    세척한 달팽이를 분쇄한 다음 초음파 추출하여 300nm 내지 600nm 범위의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제조하고,
    상온에서 상기 달팽이 나노분쇄물을 유산균 배양배지에 혼합하고,
    25℃ 내지 40℃의 온도에서 7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유산균을 접종 및 발효시켜 달팽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달팽이 발효액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하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균주이고,
    상기 유산균은 1010CFU/ml ~ 1011CFU/ml로 농축하여 사용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을 전처리하는 것은,
    원료 솔잎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20mm 내지 30mm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솔잎 1kg에 대하여 50wt%의 설탕용액 2L 중에 상온에서 1일동안 상온에이징시키고,
    상온에이징이 완료 후 35℃에서 7일간 유지시켜 발효 및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용액으로 준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세척한 원료 갈랑가를 압착기로 착즙하고 여과하여 갈랑가 착즙액을 제조하고,
    상기 갈랑가 착즙액을 90℃에서 10분 동안 가열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고,
    가열이 완료된 갈랑가 착즙액을 농도가 9.5brix 내지 10.5brix가 되도록 45℃에서 농축하고,
    잔탄검(xanthan gum) 1wt%를 첨가한 후 블렌더를 이용하여 13000rpm으로 5분 동안 균질화하여 페이스트로 제조하고,
    상기 페이스트는 수분함량은 89.2wt%이고, 조지방 함량은 0.7wt%를 포함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갈랑가 추출물은 발효숙성 생강분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페이스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내지 30중량부로 첨가되고,
    상기 발효숙성 생강분말은,
    원료 생강을 수세한 후 껍질을 제거한 후, 80℃ 및 85% 조건의 항온 항습기에서 10일간 숙성시키고,
    숙성이 완료된 생강을 마쇄한 후 상기 생강 100g에 대하여 500mL 증류수와 1g의 스타터(Starter)균주를 접종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발효숙성된 생강으로 제조하고,
    상기 발효숙성된 생강을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급속동결하여 분말형태인 발효숙성 생강분말로 제조되는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64690A 2020-05-29 2020-05-29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3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690A KR102173618B1 (ko) 2020-05-29 2020-05-29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690A KR102173618B1 (ko) 2020-05-29 2020-05-29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618B1 true KR102173618B1 (ko) 2020-11-03

Family

ID=73197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690A KR102173618B1 (ko) 2020-05-29 2020-05-29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6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7589A (zh) * 2024-02-07 2024-03-19 四川锐雅博思科技有限公司 芦荟发酵物及含其的皮肤免疫微环境调节剂、制法及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30A (ko) * 2017-02-15 2018-08-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아로니아가 첨가된 블루베리청의 제조방법
KR101898846B1 (ko) * 2018-07-18 2018-09-13 하태걸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말
KR101969096B1 (ko) * 2019-01-29 2019-08-20 하태걸 닭발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230A (ko) * 2017-02-15 2018-08-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아로니아가 첨가된 블루베리청의 제조방법
KR101898846B1 (ko) * 2018-07-18 2018-09-13 하태걸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말
KR101969096B1 (ko) * 2019-01-29 2019-08-20 하태걸 닭발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17589A (zh) * 2024-02-07 2024-03-19 四川锐雅博思科技有限公司 芦荟发酵物及含其的皮肤免疫微环境调节剂、制法及应用
CN117717589B (zh) * 2024-02-07 2024-04-23 四川锐雅博思科技有限公司 芦荟发酵物及含其的皮肤免疫微环境调节剂、制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756B1 (ko) 양념 소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소갈비
KR20100069885A (ko) 흑마늘파우더와 그 제조방법 및 사용용도
KR20170024321A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693668B1 (ko) 꾸지뽕 나무 열매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기능성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1909423B1 (ko) 저염 된장의 제조방법
KR101904702B1 (ko) 면역 증강용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3618B1 (ko) 셀레늄이 강화된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달팽이 진액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9951B1 (ko) 양념 돼지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돼지갈비
KR102185001B1 (ko) 반건조 오징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건조 오징어
JP2006006318A (ja) 味覚修飾剤
KR102128602B1 (ko) 김치유산균이 활성화된 생막걸리 제조키트
KR100766808B1 (ko) 기능성 젓갈의 제조방법
KR101814941B1 (ko) 맨드라미꽃 물추출물의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32923B1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47881B1 (ko) 아연과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도록 아연 및 셀레늄이 융합된 기능성 인삼간장의 제조방법
KR102267942B1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72882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고장초 농축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장초 농축물
KR101773251B1 (ko) 꾸지뽕 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024319A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6006317A (ja) 味覚修飾剤
KR20200049228A (ko) 인삼 현미식초의 제조방법
KR102200918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KR102616727B1 (ko) 고단백 상황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상황주
KR102350970B1 (ko) 순한 맛의 간장게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