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391A -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 Google Patents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391A
KR20230060391A KR1020210145059A KR20210145059A KR20230060391A KR 20230060391 A KR20230060391 A KR 20230060391A KR 1020210145059 A KR1020210145059 A KR 1020210145059A KR 20210145059 A KR20210145059 A KR 20210145059A KR 20230060391 A KR20230060391 A KR 20230060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ace
loading
part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592B1 (ko
Inventor
노주현
김규태
최석재
김훈
이현택
황강현
성창민
윤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더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더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더스터
Priority to KR1020210145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5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60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to reserve sta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의 크기에 따라 추가적인 부품 교체 없이 적재공간이 가변되어 상품의 적재가 용이한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variable space type loading and withdrawing system and kiosk type vending machine using it}
본 발명은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의 크기에 따라 적재공간이 가변되어 상품의 적재가 용이한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판기는 인력 동원 없이 상품을 자동으로 파는 장치를 말한다. 즉, 자판기는 동전, 지폐, 신용카드, 교통카드 등으로 비용을 지불하고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면 해당 상품을 자동으로 배출하고 인출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자판기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 자판기’와 같이 적재트레이가 본체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자판기의 길이(lenght; 정면 시점에서 정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와 상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적재트레이에 적재될 수 있는 상품 개수가 정해진다.
이로 인해, 상품의 폭(width; 정면 시점에서 좌측에서 우측까지의 길이)과 높이(height; 정면 시점에서 하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가 적재트레이의 폭 또는 높이보다 클 경우에는 상품을 적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자판기는 상품의 길이에 따라 상품을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해서 적재트레이에 구비되는 스프링 혹은 부품이 변경되어야 하므로, 상품의 길이에 따라 길이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스프링 혹은 부품이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이로 인해, 적재되는 상품의 길이가 변경될 경우 상기 상품의 길이와 대응되는 부품으로 교체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24412호 ‘마스크 자판기’ 한국등록특허 제10-2247342호 ‘스마트 키오스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품 적재가 가능한 내부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폭 및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품의 크기에 따라 부품 교체가 필요없는 적재가 용이한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구획판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상품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하나의 상품만 인출되도록, 적재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최하측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과 상기 상품 위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 사이에 단부가 설치되는 걸림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후판에는 상기 구획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2구획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구획홈은 상기 제1구획홈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획홈에 상기 구획판의 일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걸림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2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에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제1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구획판의 결합 위치 또는 결합개수에 따라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의 폭이 가변되고, 걸림판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공간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품의 크기에 따라 공간이 용이하게 가변되어 상품의 적재가 용이하다.
그리고 상품의 높이에 따라 걸림판이 결합되는 높이가 변경됨으로써 적재공간의 최하측에 적재된 상품만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고, 후판의 후면이 바닥과 예각을 이루도록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됨으로써 상품 적재 시 상품의 후면이 후판의 전면과 면접촉되어 상품이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적재트레이가 구비된 자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품 인출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획판, 걸림판 및 적재판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우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공간 및 적재공간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기재된다.
또한,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설명을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 또는“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구비되거나 연결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구비” 또는“결합”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1방향은 정면 시점에서의 종방향, 제2방향은 정면 시점에서의 정면에서 후면으로의 방향, 제3방향은 정면 시점에서 횡방향을 의미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상품 인출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을 개폐하는 메인도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메인도어 상부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어를 관통하여 상품을 인출시키는 인출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형 자판기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좌측판(110), 우측판(120), 후판(130) 및 상판(140)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130)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200);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300); 상기 구획판(200),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판(300)에 적재된 상품 중 최하측에 위치한 하나의 상품만 인출되도록, 상품 전면에 배치되는 걸림판(400); 상기 적재판(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300)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500); 상기 후판(13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600); 및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5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판(130)에는 구획판(200)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1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131)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된다.
상세히, 제1구획홈(131)은 하나 이상의 열로 형성되되, 각 열에 형성되는 제1구획홈(131)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적재판(300)은 수직으로 후판(130)의 하면에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후판(130) 하측에서 좌측판(130) 및 우측판(120)과 결합된다. 상기 소정의 거리는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한 후술되는 블럭(150)의 높이보다 길고 적재되는 상품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걸림판(400)은 상기 구획판(200),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의 측면에 결합되되, 적재판(3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의 거리(이하 ‘L’)를 이격하여 설치된다. 상기 L은 적재된 상품의 높이(H)에 따라 가변되며, 상기 L은 H ≤ L ≤ 2H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즉, 최하측에 적재된 상품의 높이가 H일 경우 적재판(300) 상면에서 상기 상품 위에 적재되는 상품의 높이까지의 거리는 2H가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판(400)은 최하측에 적재되는 상품의 상면과 상기 상품 위에 적재되는 상품의 상면 사이에 단부가 설치되어, 최하측에 적재된 상품이 전면부로 이동할 시 상기 상품 위에 적재된 상품이 전면부로 함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500)는 적재판(300)의 상면에 구비되되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되는 블럭(510)과 적재판(300)의 하부에 구비되되 적재판(300)의 상면을 관통하여 블럭(510)과 결합되는 이동부(5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500)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럭(510) 및 이동부(520)가 단위공간마다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후판(130)의 후면에 구비되어 후판(130)에 끼움 장착되는 구획판(200)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센서(610)와 상판(1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300)에 적재된 상품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센서(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센서(610)는 광센서, 압력센서 또는 클릭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구획홈(131)의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제2센서(620)는 적재된 상품 중 최상단에 위치한 상품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광센서 또는 소리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위공간마다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판(140)은 메인바디의 상면부에 설치되되, 일측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후판(130)과 결합된다. 상기 제2센서(620)는 상면부에 위치되는 상판(140)의 하면에 구비됨으로써 적재판(300)의 상면과의 수직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600)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제1구획홈(131)마다 구비된 제1센서(610)의 위치를 바탕으로 후판(130)에 장착된 구획판(200)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는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의 식별번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후판(130)에 5개의 제1구획홈(13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었을 경우, 내부공간은 상기 제1구획홈(131)에 의해 6개의 단위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5개의 제1구획홈(131) 중 중간에 형성된 제1구획홈(131)에 구획판(200)이 끼움 장착될 경우, 상기 구획판(200)에 의해 내부공간이 2개로 구획되며 각각의 구획된 공간은 3개의 단위공간이 포함된다.
이때, 정면 시점(후판(120)을 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되는 단위공간의 식별번호를 ‘A’로 설정하고 우측에 위치되는 단위공간들의 식별번호를 차례대로 ‘B’ 내지 ‘F’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판(200)과 걸림판(400)의 결합관계 및 구획판(200)과 적재판(3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구획판(200)에는 걸림판(400)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2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부(2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판(400)에는 결합부(210)에 끼움 장착되도록 제1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4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걸림판(400)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의 길이(lenght; 정면 시점에서 정면에서 후면까지의 길이)가 가변되고, 상품의 높이에 따라 걸림판(400)의 하측 단부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210)는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 상부 측면에 형성되어, 걸림판(400)이 상기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판(400)은 결합홈(410)이 형성되는 측면부재와 상기 측면부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품 전면에 위치되는 전면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410)이 측면부재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구획판(200) 양측면에 걸림판(400)을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는 걸림판(400)을 180도 회전함으로써 전면부재를 상품 전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구획판(200)의 양측면 즉, 걸림판(400)과의 결합으로 인해 접촉하는 면에는 자석(2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걸림판(400)의 측면에 상기 자석(220)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자석(220)은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220)으로 인해, 구획판(200)과 걸림판(400) 간의 결합력과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과 걸린판(40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상품 인출에 의한 전진력에 의해 걸림판(400)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200)은 상기 제1구획홈(131)에 끼움 장착되도록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1끼움부(230)과 후술되는 제2구획홈(310)에 끼움 장착되도록 하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끼움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끼움부(230)는 제1구획홈(131)이 복수개의 열로 형성될 경우, 상기 제1구획홈(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재판(300)의 하부에는 작동부(500)를 수용할 수 있는 작동공간이 구비된다. 그리고 적재판(300)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2구획홈(31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구획홈(310)은 상기 제1구획홈(131)과 일직선 상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끼움부(230)가 제1구획홈(131)에 끼움 장착된 후 제2구획홈(310)에 제2끼움부(240)가 끼움 장착됨으로써, 구획판(200)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판(300)의 상면에는 상기 이동부(520)가 작동공간에서 상면을 관통하여 블럭(5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작동홈(320)이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작동홈(320)은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한 블럭(510)을 이동부(520)를 통해 후판(130)의 전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품은 상기 작동홈(320)이 형성되는 상면에 적재되되 후판(130)의 전면에 위치되므로,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되는 블럭(510)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인출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우측면도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후판(130)은 바닥과 예각을 이루도록 후면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좌측판(110) 및 우측판(120)과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적재판(300)은 후판(130)을 기준으로 후판(130)의 전면에 위치한 전면적재판과 후판(130)의 후면에 위치한 후면적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후면적재판의 길이가 전면적재판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적재판의 길이가 상품의 길이보다 짧아 상품의 일부분이 전면적재판의 상면을 벗어나더라도 상품의 후면이 후판(130)의 전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므로, 상기 상품은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위공간 및 적재공간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 도시된다.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의 작동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가 제1센서(610)로부터 감지된 구획판(200)의 장착여부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후판(130)에 형성된 제1구획홈(131)의 개수를 바탕으로 내부공간에 형성된 복수개의 단위공간 식별번호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공간의 식별번호는 좌측부터‘A’내지‘F’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제1센서(610)로부터 구획판(200)의 장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1센서(610)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판(200)이 어느 제1구획홈(131)에 장착되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좌측판(110)과 상기 좌측판(110)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장착된 구획판(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우측판(120)과 상기 우측판(120)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장착된 구획판(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두 개의 구획판(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들을 적재공간으로 판단하고, 적재공간들의 식별번호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적재공간이 2개일 경우, 적재공간의 식별번호는 좌측부터 ‘Ⅰ’및‘Ⅱ’로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적재공간이 6개일 경우 적재공간의 식별번호는 좌측부터 ‘Ⅰ’및‘Ⅵ’로 저장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적재공간 식별번호를 바탕으로 해당 적재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들의 식별번호를 판단하고, 해당 단위공간들에 구비되는 이동부(520)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2센서(620)로부터 측정된 적재판(300) 상면까지의 거리를 통해 상품의 적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품이 적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제2센서(620)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된 이동부(52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기입력된 상품의 높이와 측정된 거리를 바탕으로 적재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거나 관리자에게 무선 통신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110 : 좌측판 120 : 우측판
130 : 후판 131 : 제1구획홈
140 : 상판 200 : 구획판
210 : 결합부 220 : 자석
230 : 제1끼움부 240 : 제2끼움부
300 : 적재판 310 : 제2구획홈
320 : 작동홈 400 : 걸림판
410 : 결합홈 510 : 블럭
520 : 이동부 610 : 제1센서
620 : 제2센서

Claims (5)

  1.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판에는 상기 구획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제2구획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구획홈은 상기 제1구획홈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구획홈에 상기 구획판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의 측면에 결합되되, 상기 적재판에 적재된 상품 중 최하측에 위치되는 하나의 상품만 인출되도록, 적재판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최하측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과 상기 상품 위에 위치되는 상품의 상면 사이에 단부가 설치되는 걸림판;을 더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걸림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2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판에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제1방향으로 복수개의 결합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판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
  5.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전면을 개폐하는 메인도어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메인도어 상부에 구비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도어를 관통하여 상품을 인출시키는 인출부;
    자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좌측판과 우측판 및 후판으로 구성되어 상품의 적재를 위한 내부공간을 정의하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후판에 끼움 장착되어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구획판;
    상기 메인바디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면에 상품이 적재되는 적재판;
    상기 후판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획판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적재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적재판의 상면에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구획판에 의해 구획된 공간별로 적재된 상품을 인출시키도록 상기 작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판에는 상기 구획판이 끼움 장착되도록 제1구획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구획홈이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됨으로써 내부공간에 상품이 적재될 수 있는 단위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단위공간마다 독립적으로 상품을 인출시킬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구획판의 위치를 바탕으로 구획된 공간에 포함되는 단위공간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정보를 바탕으로 작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을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KR1020210145059A 2021-10-27 2021-10-27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KR10257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59A KR102578592B1 (ko) 2021-10-27 2021-10-27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059A KR102578592B1 (ko) 2021-10-27 2021-10-27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391A true KR20230060391A (ko) 2023-05-04
KR102578592B1 KR102578592B1 (ko) 2023-09-15

Family

ID=8637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059A KR102578592B1 (ko) 2021-10-27 2021-10-27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5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958A (ja) * 1997-05-08 1998-11-17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JP2002279513A (ja) * 2001-03-15 2002-09-27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KR102224412B1 (ko) 2020-10-05 2021-03-08 이경훈 마스크 자판기
KR102247342B1 (ko) 2021-01-18 2021-05-03 (주)쿠프마케팅 스마트 키오스크
KR20210072084A (ko) * 2018-11-13 2021-06-16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958A (ja) * 1997-05-08 1998-11-17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JP2002279513A (ja) * 2001-03-15 2002-09-27 Japan Tobacco Inc 自動販売機
KR20210072084A (ko) * 2018-11-13 2021-06-16 산덴 리테일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물품 판매기의 칼럼 자동 설정장치
KR102224412B1 (ko) 2020-10-05 2021-03-08 이경훈 마스크 자판기
KR102247342B1 (ko) 2021-01-18 2021-05-03 (주)쿠프마케팅 스마트 키오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592B1 (ko) 2023-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4514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housing
JP4832913B2 (ja) 棒金収納庫および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JP2020064694A (ja) 棒金収納装置
US5715924A (en) Game play media lending machine, for which bank notes can be used
JP5374052B2 (ja) 釣銭補充管理システム
KR20230060391A (ko)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JP457744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ラック
JP5033485B2 (ja) 物体検出装置、および包装硬貨検出装置
US10540836B2 (en)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coins from a coin deposit and dispensing machine
JP4370675B2 (ja) 硬貨投入口及びそれを有する自動取引装置
JP5857720B2 (ja) センサ及び監視装置
JP5033484B2 (ja) 貨幣放出装置
KR20060112827A (ko) 권종에 따라 카세트 구조를 달리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101675065B1 (ko) 객실 카드키 자동 판매기용 트레이 장치
JP7334559B2 (ja) 商品収納装置
JP2795946B2 (ja) ユニット出入れ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動取引機
JPS594382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3421174B2 (ja) 自動取引装置の包装硬貨出金機
JP4689864B2 (ja) コイン処理装置
JP2587645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装置
JP6407094B2 (ja) 現金管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棒金収納方法
JPH0530207Y2 (ko)
JPH02259990A (ja) 壁掛型電子キャッシュレジスタ
JP2969171B2 (ja) 自動販売機
KR940002739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 선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