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342B1 - 스마트 키오스크 - Google Patents

스마트 키오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342B1
KR102247342B1 KR1020210006765A KR20210006765A KR102247342B1 KR 102247342 B1 KR102247342 B1 KR 102247342B1 KR 1020210006765 A KR1020210006765 A KR 1020210006765A KR 20210006765 A KR20210006765 A KR 20210006765A KR 102247342 B1 KR102247342 B1 KR 10224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gift certificate
unit
user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명
Original Assignee
(주)쿠프마케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프마케팅 filed Critical (주)쿠프마케팅
Priority to KR102021000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kios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며, 스마트 키오스크는,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디스펜서, 패키지(package)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고,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하는 상품권 디스펜서, 사용자가 배출된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수납부, 상기 카드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카드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거나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상품권 패키지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납 통로, 카드 및 상품권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드 디스펜서 또는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키오스크{SMART KIOSK}
본원은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는 정보통신에서는 정보 서비스와 업무의 무인화 및 자동화를 통해 대중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한 무인단말기를 말한다. 현재 백화점, 영화관, 서점, 음식점, 카페 및 주요상권 등에 설치되어 기프트카드 및 상품권을 판매하고, 패널을 이용하여 각종 광고, 프로모션 정보,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 방법, 인근지역 관광정보 등을 제공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926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장소와 필요에 따라 상이한 기프트 카드 및 상품권 패키지를 판매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는,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디스펜서, 패키지(package)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고,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하는 상품권 디스펜서, 사용자가 배출된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수납부, 상기 카드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카드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거나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상품권 패키지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납 통로, 카드 및 상품권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드 디스펜서 또는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품권 적재부, 상기 상품권 적재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 및 제1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1푸셔를 전진시켜 상기 상품권 적재부에 구비된 상품권 패키지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상기 수납 통로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드 디스펜서는, 종류 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카드 적재부, 상기 카드 적재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드 바코드 리더부 및 제2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2푸셔를 전진시켜 상기 카드 적재부에 구비된 카드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상기 수납 통로로 배출하도록 하는 카드 배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의 종류, 카드 충전 금액 및 수량을 선택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 또는 상기 카드 바코드 리더부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상품권 배출 유닛 또는 상기 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는,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결제를 위한 신용 카드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 리더기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바일 쿠폰을 인식하기 위한 모바일 쿠폰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카드 리더기에 의해 획득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 배출 유닛 또는 상기 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쿠폰 리더기로부터 인식된 상기 모바일 쿠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승인된 경우, 상기 모바일 쿠폰에 대응하는 카드가 배출되도록 상기 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는, 상기 수납부의 내측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된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사용자의 손을 촬영하는 손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키오스크 및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 각각의 설치 위치, 매출 현황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는,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 각각의 설치 위치, 매출 현황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오스크는,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금액 충전 및 금액이 충전된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디스펜서, 사용자가 배출된 카드를 수령하는 수납부, 상기 카드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카드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납 통로, 카드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드 디스펜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오스크는, 패키지(package) 단위로 구분된 복수의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고,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하는 상품권 디스펜서, 사용자가 배출된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수납부,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상품권 패키지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납 통로, 상품권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마트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장소와 전략에 따라 상이한 기프트 카드 및 상품권 패키지를 판매함으로써, 사용자(구매자)가 상품권을 낱개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상품권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카드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 및 카드 디스펜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수납부의 개략적인 상세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스마트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 키오스크를 통해 기프트 카드 및 지류식 상품권을 판매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는 백화점, 영화관, 서점, 음식점, 카페, 주요 상권에 설치되어 장소와 전략에 따라 상이한 기프트 카드 및 상품권을 판매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이용하여 기프트 카드 및 지류식 상품권(예를 들어, 영화 관람권)을 패키지(예를 들어, 10매 PKG, 50매 PKG)로 구매할 수 있으며, 모바일쿠폰을 실물 카드(기프트 카드)로 교환할 수 있다.
일예로, 스마트 키오스크의 내부에는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 및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 중 어느 하나의 카드 디스펜서에서 금액이 충전된 카드 또는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 중 어느 하나의 상품권 디스펜서에서 패키지 단위로 구분된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스마트 키오스크의 내부에는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만 구비된 스마트 키오스크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충전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고,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 중 선택된 카드가 구비된 카드 디스펜서에서 카드에 금액을 충전하고, 금액이 충전된 카드를 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스마트 키오스크의 내부에는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만 구비된 스마트 키오스크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 중 선택된 상품권 패키지가 구비된 상품권 디스펜서에서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수납부의 개략적인 상세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키오스크(10)는 내부에 각기 다른 상품(카드 및 상품권)을 적재하는 카드 디스펜서 및 상품권 디스펜서를 수용할 수 있도록 챔버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할 수 있는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해, 도 1은 스마트 키오스크의 도어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오스크(10)는 사용자 입력 패널(11), 수납부(12), 카드 봉투함(13), 카메라(14), 카드 리더기(15), 영수증 배출기(16), 모바일 쿠폰 리더기(17)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키오스크(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오스크(10)의 도어에는 사용자 입력 패널(11), 수납부(12), 카드 봉투함(13), 카메라(14), 카드 리더기(15), 영수증 배출기(16), 모바일 쿠폰 리더기(17)가 구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스마트 키오스크(10)의 도어의 제1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를 이용한 터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스마트 키오스크(10)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 가능한 카드 및 상품권과 관련된 종류, 카드 충전 금액 및 수량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카드 및 상품권 패키지(항목)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정보는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의 종류, 카드 충전 금액 및 수량을 선택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품권 패키지는, 하나의 봉투안에 각각 10장의 상품권과 5장의 상품권 봉투, 30장의 상품권과 15장의 상품권 봉투 및 50장의 상품권과 25장의 상품권 봉투가 수용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위치에 구비된 제1스마트 키오스크(111)의 상품권 디스펜서(20)에는 제1상품권 패키지(예를 들어, 영화관람권 10매 set), 제2상품권 패키지(예를 들어, 영화관람권 30매 set), 제3상품권 패키지(예를 들어, 영화관람권 50매 set)가 구비되고, 카드 디스펜서(30)에 제1카드 내지 제10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카드 내지 제10카드는 서로 다른 종류의 디자인이 프린팅된 공카드일 수 있다. 제1상품권 패키지는 제1상품권 디스펜서에 적재되고, 제2상품권 패키지는 제2상품권 디스펜서에 적재되고, 제3상품권 패키지는 제3상품권 디스펜서에 적재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1카드 내지 제10카드 각각도 제1카드 디스펜서 내지 제10카드 디스펜서에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1스마트 키오스크(111)의 내부에는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 및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상품권 디스 펜서 각각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상품권 패키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 각각에도 서로 다른 종류의 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인터페이스 상에 제1상품권 패키지 내지 제3상품권 패키지 정보 및 제1카드 내지 제10카드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카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1입력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제1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카드 충전 금액과 관련된 선택 항목을 제공하고, 카드 충전 금액 정보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2입력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카드 구매 수량과 관련된 선택 항목을 제공하고, 카드 구매 수량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3입력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입력 정보 내지 제3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 결제 완료 정보를 제공(출력)하고, 결제가 실패한 경우, 결제 실패 정보 및 결제 재요청 정보를 제공(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예로,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상품권 패키지의 종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1입력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제1입력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품권 패키지 구매 수량과 관련된 선택 항목을 제공하고, 상품권 패키지 구매 수량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2입력 정보로서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1입력 정보 및 제2입력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결제가 완료된 경우, 결제 완료 정보를 제공(출력)하고, 결제가 실패한 경우, 결제 실패 정보 및 결제 재요청 정보를 제공(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광고 패널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광고 정보는, 광고 유형, 송출 시간 및 광고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10)는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활용하여 광고 프로모션(예를 들어, 게임, 퀴즈, 설문, 입력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부(12)는 사용자가 배출된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할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12)는 수납 통로(1212)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수납부(12)는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파지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을 참조하면, 수납 통로(121)는 수납부(1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각도를 유지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납 통로(121)는 카드 디스펜서(30)로부터 배출된 카드가 수납부(12)로 이동되거나 상품권 디스펜서(20)로부터 배출된 상품권 패키지가 수납부(12)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수납 통로(121)는 카드 및 상품권 승인 시 낙하(미끄럼틀) 방식으로 외부로 연결된 수납부(12)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수납 통로(121)가 일정 각도를 유지하며 형성됨으로써, 카드 또는 상품권 배출 시 오차없이 저항을 최소화하여 낙하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손 카메라(122)는 수납부(12)의 내측의 일면에 구비되어 배출된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사용자의 손을 촬영할 수 있다. 손 카메라(112)는 상품권 배출 유닛 또는 카드 배출 유닛이 구동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손 카메라(122)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의 수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봉투함(13)은 카드 포장에 사용될 봉투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카드 봉투함(13)은 스마트 키오스크(10)의 도어의 내면의 일영역에 복수의 봉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10)의 도어의 일 영역에는 카드 봉투함(13)에서 카드 봉투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겨 수령할 수 있는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카드 봉투함(13)에 포함된 복수의 카드 봉투가 구비된 수납공간에서 한장의 카드 봉투가 외부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롯은 카드 봉투가 구비된 수납공간에서 한장의 카드 봉투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14)는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4)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4)는 획득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제어부(미도시)로 제공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저장(보관)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드 리더기(15)는 결제를 위한 신용 카드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카드 리더기(15)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는 사용자가 제공한 신용 카드의 카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는 결제용 신용 카드에 마련되는 IC칩의 정보를 인식하며, 사용자 입력 정보에 포함된 결제 금액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는 결제용 신용 카드에 마련되는 IC칩의 정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패널(11)을 통해 결제 오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카드 리더기(15)에 의해 획득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권 배출 유닛(23) 또는 카드 배출 유닛(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 리더기(15)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카드 충전 금액으로서 5만원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의 내부로 사용자의 신용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카드 충전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제1카드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와 카드 충전 금액으로서 5만원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 및 구매 매수는 1장으로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카드 리더기(15)로부터 카드 충전 금액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결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공받은 카드 충전 금액 정보와 카드 리더기(15)에서 수행된 결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1카드가 적재된 제1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공받은 카드 충전 금액 정보와 카드 리더기(15)에서 수행된 결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결제 오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카드 리더기(15)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는 제1상품권 판매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의 내부로 사용자의 신용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제1상품권 패키지의 금액(예를 들어, 5만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제1상품권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 및 구매 매수는 1장으로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카드 리더기(15)로부터 제1상품권 패키지 판매 금액(예를 들어, 5만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결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공받은 제1상품권 패키지 판매 금액 정보와 카드 리더기(15)에서 수행된 결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1상품권 패키지가 적재된 제1상품권 디스펜서의 제1상품권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공받은 상품권 판매 금액 정보와 카드 리더기(15)에서 수행된 결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결제 오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수증 배출기(16)는 결제에 따른 영수증 출력 또는 모바일 쿠폰 교환에 따른 교환증을 출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쿠폰 리더기(17)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모바일 쿠폰을 인식할 수 있다. 모바일 쿠폰은 바코드, 일련번호, QR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쿠폰 리더기(17)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 모바일 쿠폰 리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활성화되어,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모바일 쿠폰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모바일 쿠폰 리더기(17)로부터 인식된 모바일 쿠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쿠폰에 대한 인증은 유효기간 경과 여부 및 위변조 여부에 대한 검증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인증이 승인된 경우, 모바일 쿠폰에 대응하는 카드가 배출되도록 카드 배출 유닛(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모바일 쿠폰 리더기(17)로부터 인식된 모바일 쿠폰에 대응하는 카드가 제1카드 디스펜서에 구비된 경우, 제1카드 디스펜서에 포함된 제1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인증이 승인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모바일 쿠폰 재인식 요청 정보를 출력(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미도시)에 표시된 모바일 쿠폰의 재인식을 수행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인증이 완료된 경우, 모바일 쿠폰 인식 완료 정보를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출력(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상품권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카드 디스펜서의 개략적인 개념 사시도이고,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의 복수의 상품권 디스펜서 및 카드 디스펜서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키오스크(10)의 몸체부에는 상품권 디스펜서(20) 및 카드 디스펜서(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품권 디스펜서(20)는 상품권 패키지를 내부에 적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기계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카드 디스펜서(30)는 카드(기프트 카드)를 내부에 적재하여 배출하는 기계 장치 일 수 있다.
상품권 디스펜서(20)는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고, 구매 금액별로 패키지가 배출될 수 있다. 상품권 디스펜서(20)는 패키지의 바코드 인식 및 인증을 수행하고, 인식 및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할 수 있다. 상품권 디스펜서(20)는 바 형식으로 밀어내는 방법을 통해 상품권 패키지를 방출(배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품권 디스펜서(20)는 상품권 적재부(21),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 및 상품권 배출 유닛(2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품권 디스펜서(20)의 구성이 이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품권 적재부(21)는 복수의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품권 적재부(21)는 중심 플레이트, 제1지지대(211) 및 제1지지대와 마주보며 형성되는 제2지지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대 및 제2지지대의 하측부에는 상품권 배출홀(213)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홀(213)을 통해 수납 통로(121) 방향(전방)으로 상품권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품권 적재부(21)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지지대(211) 및 제2지지대(212)는 중심 플레이트의 양 측면(우측 및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대(211) 및 제2지지대(212)는 상품권 적재부(21)의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211) 및 제2지지대(212)의 하측에는 상품권 패키지를 지지하기 위한 제3지지대가 포함될 수 있다. 제3지지대의 중앙에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외부 공간과 연통시킬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품권 패키지가 수납된 봉투에는 상품권 패키지의 종류 및 수량 등을 구분하기 위한 바코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관리자는 상품권 적재부(21)에 봉투에 기재된 바코드 정보가 하단 즉,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를 향하도록 상품권 패키지 봉투를 적재할 수 있다.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는 상품권 적재부(21)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는 바코드를 리드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광학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는 제3 지지대의 중앙에 형성된 홀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는 바코드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품권 패키지 봉투에 포함된 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바코드 리더부(22)는 인식된 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상품권 배출 유닛(2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는, 제1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로부터 제1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제1상품권 패키지가 구비된 제1상품권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상품권 배출 유닛 중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카드 리더기(15)에 의해 획득된 결제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1상품권 패키지가 구비된 제1상품권 배출 유닛(2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1차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1차 제어 신호는 상품권 배출 유닛(23)의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아닌 구동 준비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상품권 패키지가 구비된 제1상품권 바코드 리더부(22)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제1상품권 패키지가 구비된 제1 상품권 배출 유닛(23)이 구동하는 2차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2차 제어 신호는 상품권 배출 유닛(23)에 포함된 제1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상품권 배출 유닛(23)은 제1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1푸셔를 전진시켜 상품권 적재부(21)에 구비된 상품권 패키지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수납 통로(121)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품권 배출 유닛(23)의 내부에 포함된 제1모터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제1모터는 제1푸셔를 초기 위치에서 수납 통로(121)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 이동을 시킨 이후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권 배출 유닛(23)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카드 디스펜서(30)는 카드 적재부(31), 카드 바코드 리더부(32), 카드 배출 유닛(33) 및 충전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카드 디스펜서(3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드 적재부(31)는 종류 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카드 적재부(31)는 중심 프레임, 제1프레임(311) 및 제1프레임(311)과 마주보며 형성되는 제2프레임(3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311) 및 제2프레임(312)의 하측에는 카드를 지지하기 위한 제3프레임이 포함될 수 있다. 제3프레임의 중앙에는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외부 공간과 연통시킬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적재부(31)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카드 바코드 리더부(32)는 카드 적재부(31)의 일면에 구비되어 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카드 바코드 리더부(32)는 바코드를 리드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광학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바코드 리더부(32)는 디자인된 공카드에 표시된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카드의 바코드에는 카드 식별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카드 바코드 리더부(32)는 인식된 카드 바코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카드 바코드 리더부(32)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카드 배출 유닛(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는, 제2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카드 바코드 리더부(32)로부터 제1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1카드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카드 바코드 리더부(32)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제1카드가 구비된 제1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정에 기반하여 복수의 카드 배출 유닛 중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가 구비된 카드 배출 유닛(3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1차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1차 제어 신호는 카드 배출 유닛(33)의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가 아닌 구동 준비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복수의 카드 배출 유닛 중 사용자가 선택한 카드가 구비된 카드 디스펜서(30)의 카드 바코드 리더부(32)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사용자의 입력 정보가 매칭되는 경우 카드 배출 유닛(33)이 구동하는 2차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2차 제어 신호는 카드 배출 유닛(33)에 포함된 제2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카드 배출 유닛(33)은 제2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2푸셔를 전진시켜 카드 적재부(31)에 구비된 카드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수납 통로(121)로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카드 배출 유닛(33)의 내부에 포함된 제2모터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제2모터는 제2푸셔를 초기 위치에서 수납 통로(121)의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 이동을 시킨 이후 초기 위치로 되돌아 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배출 유닛(33)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카드 디스펜서(30)는 결제 금액에 따른 공카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34)는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 각각에 구비되어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공카드를 충전할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3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카드 충전 금액 정보가 포함된 경우, 충전을 수행한 이후 카드를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제1카드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와 카드 충전 금액으로서 5만원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 및 구매 매수는 1장으로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카드 디스펜서 중 제1카드가 구비된 제1카드 디스펜서의 충전부(34)는 카드 충전 금액 정보에 기반하여 제1카드(공카드)에 5만원을 충전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정보와 제1카드 디스펜서의 충전부(34)에서 충전된 충전 금액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제1카드 배출 유닛(3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카드 배출 유닛(33)은 제1 충전부(34)로 제1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1카드 적재부(31)에 보관된 제1카드를 제1충전부(34)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카드 배출 유닛(33)은 제어부(미도시)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와 충전 금액 정보가 일치한다고 판단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충전이 완료된 제1카드를 수납 통로(121)를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2구동을 수행하여 제1카드를 배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해,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정보와 충전 금액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충전이 완료된 제1카드를 수납 통로(121)를 향해 배출하기 위한 제2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키오스크(10)를 이용하여 상품권 또는 카드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스마트 키오스크(10)의 복수의 유닛이 동작하는 흐름을 설명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상품권 패키지 또는 카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항목에서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1상품권 패키지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입력 패널(11)로 출력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에는 제1상품권 판매 금액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의 내부로 사용자의 신용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제1상품권 패키지의 금액(예를 들어, 5만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 및 구매 매수는 1장으로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카드 리더기(15)로부터 제1상품권 패키지 판매 금액(예를 들어, 5만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결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로부터 제공받은 제1상품권 패키지 판매 금액 정보와 카드 리더기(15)에서 수행된 결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1상품권 패키지가 적재된 제1상품권 디스펜서의 제1상품권 배출 유닛의 구동을 준비하기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수납부(12) 내면에 구비된 손 카메라(122)가 활성화(ON)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상품권 패키지가 적재된 제1상품권 디스펜서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1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상품권 디스펜서에 구비된 제1상품권 바코드 리더부로부터 제1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상품권 바코드 리더부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제1상품권 패키지를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제1상품권 패키지가 구비된 제1상품권 디스펜서의 제1상품권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상품권 배출 유닛의 구동에 의하여 제1상품권 패키지는 수납통로(121)를 통해 수납부(12)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로 배출된 제1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패널(11)은 상품권 패키지 또는 카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항목에서 제1카드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제1카드의 충전 금액 정보(예를 들어, 5만원)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1카드의 충전 금액 정보의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입력 패널(11)로 출력할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제1카드의 충전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카드 리더기(15)의 내부로 사용자의 신용 카드가 삽입되는 경우, 제1카드의 충전 금액 (예를 들어, 5만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제1카드를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충전 금액 정보는 5만원, 구매 매수는 1장으로 선택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카드 리더기(15)로부터 제1카드 충전 금액(예를 들어, 5만원)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결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카드가 적재된 제1카드 디스펜서의 제1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준비하기 위한 제1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수납부(12) 내면에 구비된 손 카메라(122)가 활성화(ON)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카드가 적재된 제1카드 디스펜서의 제1카드 바코드 리더부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제1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카드 디스펜서에 구비된 제1카드 바코드 리더부로부터 제1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제1카드 리더부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제1카드를 선택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제1카드가 구비된 제1카드 디스펜서의 제1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구동 제어 신호는 제1카드 디스펜서의 제1카드 적재부에서 충전부(34)까지의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충전부(34)는 제1카드가 적재된 제1카드 디스펜서에 구비된 카드에 카드 충전 금액 정보(예를 들어, 5만원)를 고려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충전부(34)에서 카드 충전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가 요청한 카드 충전 금액 정보와 충전부(34)에서 완료한 충전 금액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제1상품권 배출 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제2구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구동 제어 신호는 제1카드를 제1카드 디스펜서의 전방으로 밀어내서 수납 통로(121)로 배출하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로 배출된 제1카드를 수령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1)은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10) 및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10)와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10)와 스마트 관리 서버(200) 간의 정보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의 일 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유무선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10) 각각의 설치 위치, 매출 현황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업체관리 프로세스, 키오스크 관리 프로세스, 상품 및 재고 관리 프로세스, 매출 현황 관리 프로세스 및 운영 관리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업체 관리 프로세스는 총괄 담당자가 업체 정보 및 지점정보를 조회, 생성, 수정, 삭제 등을 하기 위한 전반적인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키오스크 관리 프로세스는 총괄 담당자가 설치되거나, 설치된 키오스크 정보를 조회, 생성, 수정, 삭제 등을 하기 위한 전반적인 업체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또한, 키오스크 관리 프로세스는, 등록 및 연동이 완료된 키오스크의 상품 연결(디스펜서와 상품코드의 연계) 해당 기기의 상품의 재고 현황 파악, 운용 정보, 광고 편성을 설정한다. 또한, 키오스크 관리 프로세스는 광고 관리를 통해 광고 미디어를 등록하고, 등록된 미디어를 업체 공통 또는 키오스크별로 광고 편성을 진행할 수 있다.
상품 및 재고 관리 프로세스는 상품 관리 담당자가 상품의 발주처리(시스템 외부 매뉴얼 프로세스) 이후 상품의 입고 처리 및 출고(기기 입장에서 입고) 처리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품의 바코드를 관리하지 않는 경우 바코드 입력과 출고 후 기기 입고 시 바코드 인증을 제외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10) 각각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정보 및 신호를 수집(획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스마트 키오스크(10) 각각을 관리하는 관리자로부터 스마트 키오스크에 대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원에서의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키오스크를 관리하는 관리자에게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10)를 관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고 키오스크 관련 제반 사항 등을 관리자 단말을 통해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웹 사이트(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신규 업체 등록에 관련된 관리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업체 데이터베이스에 업체코드, 업체명, 업체 상태, 담당자명, 담당자 연력처로 구분된 테이블 각각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기존 등록 업체의 수정 사항에 대응하는 관리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업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기존 등록 업체 정보를 수정(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신규 지점 등록에 관련된 관리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지점 데이터베이스에 지점코드, 지점명, 지점위치, 지점담당자, 지점담당자 연락처로 구분된 테이블 각각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기존 등록 지점의 수정 사항에 대응하는 관리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지점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기존 지점 업체 정보를 수정(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스마트 키오스크(10) 각각에서 출력되어야 하는 광고 편성 정보를 관리하고, 복수의 스마트 키오스크(10)로 광고 편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관리 서버(200)는 제1스마트 키오스크(10)에서 출력되어야 하는 광고 코드, 송출 시간, 송출 순서를 포함하는 광고 편성 정보를 제1스마트 키오스크(10)로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신규 설치되는 키오스크 등록에 관련된 관리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키오스크 데이터베이스에 키오스크 정보, 코드, 설치장소, 기기 상태, 테마, 제조번호, 설치 일자로 구분된 테이블 각각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지점코드 및 테마코드와 연계하여 신규 키오스크를 키오스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기존 등록 키오스크의 수정 사항에 대응하는 관리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키오스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존 키오스크 정보를 수정(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키오스크에서 판매하고 있는 판매 상품을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제1스마트 키오스크(111)에 포함된 복수의 디스펜서 코드, 복수의 디스펜서에 적재된 상품권 및 카드 종류, 수량, 가용수량, 재고 상태, 특가 설정, 관리 정보에 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제1스마트 키오스크(111)의 제1디스펜서에 적재된 상품이 제1상품권 패키지이고 최대 적재 가능한 수량 정보에 기반하여 재고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재고 상태 정보는 정상, 부족, 재고 없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재고 상태 정보가 부족인 경우, 제1스마트 키오스크(111)를 관리하는 관리 단말로 상품 적재 요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재고 상태 정보가 재고 없음인 경우 제1스마트 키오스크(111)의 제어부(미도시)로 재고 없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1스마트 키오스크(111)의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입력 패널(11)을 통해 재고 없는 상품의 알림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스마트 키오스크(10) 각각으로부터 장애 이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장애 이력 정보는, 결제 오류, 무응답, 통신 장애, 상품 발송 오류, 카드 미회수 알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복수의 스마트 키오스크(10)에서 판매중인 카드 또는 상품권에 대한 본사 재고 및 기기 재고를 관리할 수 있다.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키오스크에 판매할 상품을 관리하고, 관리자(담당자)가 상품별 재고 현황과 입출고 내역을 조회할 수 있도록 상품 관리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키오스크에서 결제(또는 실패) 처리된 내역을 관리하고 영수증 재발행 및 결제 취소를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
10: 스마트 키오스크
11: 사용자 입력 패널
12: 수납부
13: 카드 봉투함
14: 카메라
15: 카드 리더기
16: 영수증 배출기
17: 모바일 쿠폰 리더기
20: 상품권 디스펜서
21: 상품권 적재부
22: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
23: 상품권 배출 유닛
30: 카드 디스펜서
31: 카드 적재부
32: 카드 바코드 리더부
33: 카드 배출 유닛
34: 충전부
40: 제어부
200: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장치

Claims (12)

  1. 스마트 키오스크에 있어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디스펜서;
    복수의 상품권이 패키지(package) 단위로 구분된 상품권 패키지를 복수개 적재하고,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하는 상품권 디스펜서;
    사용자가 배출된 카드 또는 복수의 상품권을 포함하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수납부;
    상기 카드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카드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거나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상품권 패키지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납 통로;
    카드 및 상품권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드 디스펜서 또는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품권 적재부;
    상기 상품권 적재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품권 적재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 및
    상기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1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1푸셔를 전진시켜 상기 상품권 적재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권 패키지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상기 수납 통로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카드 디스펜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카드 충전 금액 정보가 포함된 경우, 선택된 공카드에 상기 카드 충전 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충전을 수행한 이후에 카드를 배출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디스펜서는,
    종류 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카드 적재부;
    상기 카드 적재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드 바코드 리더부; 및
    제2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2푸셔를 전진시켜 상기 카드 적재부에 구비된 카드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상기 수납 통로로 배출하도록 하는 카드 배출 유닛;
    을 포함하는, 스마트 키오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의 종류, 카드 충전 금액 및 수량을 선택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 또는 상기 카드 바코드 리더부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상품권 배출 유닛 또는 상기 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결제를 위한 신용 카드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카드 리더기;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바일 쿠폰을 인식하기 위한 모바일 쿠폰 리더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카드 리더기에 의해 획득된 결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권 배출 유닛 또는 상기 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쿠폰 리더기로부터 인식된 상기 모바일 쿠폰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이 승인된 경우, 상기 모바일 쿠폰에 대응하는 카드가 배출되도록 상기 카드 배출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내측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된 카드 또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사용자의 손을 촬영하는 손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9.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스마트 키오스크; 및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 각각의 설치 위치, 매출 현황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따른 복수개의 스마트 키오스크 각각의 설치 위치, 매출 현황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스마트 키오스크 관리 서버.
  11. 스마트 키오스크에 있어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금액 충전 및 금액이 충전된 카드를 배출하는 카드 디스펜서;
    사용자가 배출된 카드를 수령하는 수납부;
    상기 카드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카드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납 통로;
    카드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드 디스펜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 디스펜서는,
    종류 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카드 적재부;
    상기 카드 적재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드 적재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카드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카드 바코드 리더부;
    상기 카드 바코드 리더부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2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2푸셔를 전진시켜 상기 카드 적재부에 구비된 카드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상기 수납 통로로 배출하도록 하는 카드 배출 유닛;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카드 충전 금액 정보가 포함된 경우, 선택된 공카드에 상기 카드 충전 금액 정보에 대응하는 금액에 대한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부,
    를 포함하되,
    상기 카드 배출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카드 충전 금액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충전부에 의해 충전이 완료된 카드를 배출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12. 스마트 키오스크에 있어서,
    복수의 상품권이 패키지(package) 단위로 구분된 상품권 패키지를 복수개 적재하고, 상품권 패키지를 배출하는 상품권 디스펜서;
    사용자가 배출된 복수의 상품권을 포함하는 상품권 패키지를 수령하는 수납부;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된 상품권 패키지가 상기 수납부로 이동되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수납 통로;
    상품권 패키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패널;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품권 디스펜서는,
    상기 복수의 상품권 패키지를 적재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상품권 적재부;
    상기 상품권 적재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품권 적재부의 최하단에 위치하는 상품권 패키지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 및
    상기 상품권 바코드 리더부에서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 간의 매칭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1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제1푸셔를 전진시켜 상기 상품권 적재부에 구비된 상품권 패키지를 전방으로 밀어내서 상기 수납 통로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품권 배출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키오스크.
KR1020210006765A 2021-01-18 2021-01-18 스마트 키오스크 KR10224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65A KR102247342B1 (ko) 2021-01-18 2021-01-18 스마트 키오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765A KR102247342B1 (ko) 2021-01-18 2021-01-18 스마트 키오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342B1 true KR102247342B1 (ko) 2021-05-03

Family

ID=7591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765A KR102247342B1 (ko) 2021-01-18 2021-01-18 스마트 키오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3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069B1 (ko) 2022-03-17 2022-05-04 최동성 3d 공간터치 적용구조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장치
KR20230060391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벤더스터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KR20230132164A (ko) 2022-03-08 2023-09-15 김진곤 가맹점 지류 상품권 자동 매입 키오스크와 이를 이용한 자동 매입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74A (ko) * 2001-04-13 2002-10-19 이영진 인터넷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 전자화폐 자판기 및 그자판기의 제어방법
KR200407873Y1 (ko) * 2005-11-21 2006-02-06 (주)이제이테크 상품권 판매 교환기
KR20090011296U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지한정보통신 관급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및 쓰레기봉투자동판매 시스템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2181823B1 (ko) * 2019-07-19 2020-11-24 주식회사 한네트 상품권 판매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74A (ko) * 2001-04-13 2002-10-19 이영진 인터넷 통신 시스템을 구비한 전자화폐 자판기 및 그자판기의 제어방법
KR200407873Y1 (ko) * 2005-11-21 2006-02-06 (주)이제이테크 상품권 판매 교환기
KR20090011296U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지한정보통신 관급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및 쓰레기봉투자동판매 시스템
KR20170033083A (ko) * 2015-09-16 2017-03-24 주식회사 아스티엄 스마트 벤딩머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벤딩머신 관리 시스템
KR102181823B1 (ko) * 2019-07-19 2020-11-24 주식회사 한네트 상품권 판매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391A (ko)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벤더스터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KR102578592B1 (ko) 2021-10-27 2023-09-15 주식회사 벤더스터 공간 가변형 적재 및 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키오스크형 자판기
KR20230132164A (ko) 2022-03-08 2023-09-15 김진곤 가맹점 지류 상품권 자동 매입 키오스크와 이를 이용한 자동 매입 방법
KR102394069B1 (ko) 2022-03-17 2022-05-04 최동성 3d 공간터치 적용구조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2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vendible media products
US10289989B2 (en) Drive-thru / point-of-sale automated transaction technologies and apparatus
US80602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condary vending options
US74476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a vending apparatus
KR102247342B1 (ko) 스마트 키오스크
US11657667B2 (en) Controlle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210327201A1 (en) Controlle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102372780B1 (ko) 상품 제공용 스마트 픽업 박스
US20210406970A1 (en) Controlle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210403239A1 (en) Controlled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20230156210A (ko) 호텔용 무인 자판기 상품 구매 및 서비스 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