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9399A -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9399A
KR20230049399A KR1020210132511A KR20210132511A KR20230049399A KR 20230049399 A KR20230049399 A KR 20230049399A KR 1020210132511 A KR1020210132511 A KR 1020210132511A KR 20210132511 A KR20210132511 A KR 20210132511A KR 20230049399 A KR20230049399 A KR 2023004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ocking
hub
heavy object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837B1 (ko
Inventor
박상화
Original Assignee
박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화 filed Critical 박상화
Priority to KR102021013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83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는 록킹부와; 록킹부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양력을 제공받는 인양허브와; 프레임에 지지되며, 록킹부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인양 시 중량물을 걸어 중량물의 하중을 분담하는 다수의 죠오부와; 인양허브와 죠오부를 연결하고, 프레임에 대한 인양허브의 고도 변화 시 동작하여, 중량물이 죠오부에 걸리게 하거나, 죠오부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인양허브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인양허브가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록킹부에 일부 삽입되고, 일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 한도 내에서의 인양허브의 승강운동에 의해 록킹부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 상태가 전환되는 회전형래치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는, 인양할 중량물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이 반자동으로 구현되므로 신속하고 능률적인 인양 작업이 가능하고, 인양을 위해 작업자가 중량물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Description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Heavy object lifting device with semiautomatic locking and unlocking function}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양할 중량물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이 반자동으로 구현되므로, 신속하고 능률적인 인양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자가 중량물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 안전한,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력식 크레인은, 전기모터의 힘을 이용해, 인양할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산업용 장비의 하나로서, 중량물을 취급하는 거의 모든 산업현장에 설치된다. 크레인의 종류는 다양하며 가장 흔히 사용하는 것으로서 천장형 크레인이 있다.
천장형 크레인은, 공장의 천장 하부 양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런웨이빔과, 런웨이빔에 양단부가 걸쳐지며 런웨이빔을 따라 이동 가능한 크레인거더와, 크레인거더에 설치되고 인양력을 출력하는 호이스트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호이스트에는 와이어로프을 통해 후크가 매달린다. 후크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며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린다.
한편, 인양할 중량물의 사이즈가, 크고 불규칙한 모양일 경우에는 무게중심을 잡기가 쉽지 않으므로, 여러 개의 인양와이어를 이용해 중량물의 가장자리와 후크를 일일이 연결해야 한다. 현재,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인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작업자가, 인양 대상물인 중량물의 주변에서 머물러 있다가, 후크가 내려오면 중량물과 후크를 연결하고 있는 것이다. 후크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작업은 중량물의 사이즈가 크고 복잡할수록 많은 시간을 요구하며, 특히 인양중의 중량물이 흔들려 떨어질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중량물을 크레인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연결하고 인양 중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인양장비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4706호를 통해,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인양장치는, 중량물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 이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중량물을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고정끈; 및 고정 프레임을 인양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인양장치는, 작업자가 고정끈을 이용해 인양대상물을 연결부에 연결해야 한다는 단점을 여전히 가져, 위에 설명한 단점을 해소하지 못한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4706호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6377호 (중량물 인양을 위한 비대칭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인양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신속하고 능률적인 인양 작업이 가능하고 인양을 위해 작업자가 중량물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는 록킹부와; 록킹부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양력을 제공받는 인양허브와; 프레임에 지지되며, 록킹부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인양 시 중량물을 걸어 중량물의 하중을 분담하는 다수의 죠오부와; 인양허브와 죠오부를 연결하고, 프레임에 대한 인양허브의 고도 변화 시 동작하여, 중량물이 죠오부에 걸리게 하거나, 죠오부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인양허브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인양허브가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록킹부에 일부 삽입되고, 일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 한도 내에서의 인양허브의 승강운동에 의해 록킹부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 상태가 전환되는 회전형래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록킹부를 중심으로 수평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직선의 주행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지지아암, 각 지지아암의 하측에 고정되며 지지아암을 중량부의 상부에 올릴 때 중량물에 접하는 탄력패드를 갖는 받침블록, 지지아암의 하부에 설치되며 탄력패드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다리를 구비하고, 지지아암의 주행로에는 지지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대차가 설치되며, 상기 죠오부는, 주행대차에 고정되며 주행대차의 이동에 따라 중량물에 대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리프팅죠오를 갖는다.
또한, 상기 동력전단부는; 양단부가 인양허브 및 주행대차에 핀연결되고, 인양허브가 록킹박스측으로 하강할 때 주행대차를 밀어 리프팅죠오가 중량물로부터 벌어지게 하고, 인양허브가 록킹박스로부터 상승할 때 리프팅죠오를 모아 리프팅죠오가 중량물로 접근하게 하는 다수의 링크아암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록킹부를 지지하는 중앙바디 및 중앙바디에 고정되며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아암을 포함하고, 죠오부는; 지지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 되어, 인양허브의 승강 시 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회전운동 하고, 인양허브의 상승 시 중량물에 걸리고, 인양허브의 하강 시 중량물로부터 분리된다.
아울러, 상기 죠오부를 지지아암에 연결시키는 핀은, 죠오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죠오부의 일단부에는 중량물에 걸리는 걸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단부는, 인양허브와 죠오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링크아암이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직사각형의 관통형 출입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록킹박스를 구비하고, 회전형래치부는; 인양허브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일정 내경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일부가 하우징 하부로 연장된 수직봉, 수직봉의 외주면에 고정된 수평돌출핀, 수직봉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록킹박스의 출입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래치블록이 구비된 승강래치와,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되 수평돌출핀을 사이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격되는 것으로서, 수직봉이 록킹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을 승강시킬 때, 수평돌출핀을 가압하여 수직봉이 축회전 하게 하는 상부이송라이너 및 하부받침라이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이송라이너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일정직경의 원통형 부재로서, 하단면에, 하우징이 하강할 때 수평돌출핀을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상부이송경사부를 가지고, 하부이송라이너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일정직경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단부에, 하우징이 상승할 때 수평돌출핀을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하부이송경사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는, 인양할 중량물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이 반자동으로 구현되므로 신속하고 능률적인 인양 작업이 가능하고, 인양을 위해 작업자가 중량물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인양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주행대차의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회전형래치부를 별도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회전형래치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1에 도시한 회전형래치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한 인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인양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주행대차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은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10)는, 프레임(20), 록킹부, 인양허브(51), 리프팅죠오(33), 동력전달부, 회전형래치부(60)를 구비한다.
프레임(20)은 중량물을 그 하부에 매다는 역할을 하며, 지지아암(21), 받침블록(22), 다리(21d)를 갖는다.
지지아암(21)은 다수의 I빔으로 연결 구성되며 대략 열십자의 형상을 취한다. 각 I빔은 서로에 대해 용접 또는 볼팅 방식으로 결합된다. 지지아암(21)은 록킹부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상호 직교하며 수평 연장된다. 또한, 지지아암(21)의 내부에는 직선형 주행로(21b)가 마련되어 있다. 주행로(21b)에는 후술할 주행대차(30)가 장착된다.
받침블록(22)은 각 지지아암(21)의 저면에 두 개씩 고정된 육면체형 부재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을 중량물(100) 위에 올렸을 때, 중량물(100)의 상부에 얹히는 부분이다. 받침블록(22)을 적용한 이유는, 지지아암(21)이 중량물(100)과 부딪혀 변형이나 손상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받침블록(22)의 저면에는 탄력패드(22a)가 설치되어 있다. 탄력패드(22a)는 중량물(100)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한다.
본 설명에서의 중량물(100)은, 인양할 대상물로서,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다만 상단부에 걸림부(101)나 관통구(도 10의 103)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의 인양장치(10)는 걸림부(101)나 관통구(103)가 형성되어 있는 중량물을 전문적으로 인양할 수 있는 것이다.
다리(21d)는, 각 지지아암(21)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부재로서, 인양장치(10)를 지면에 내려놓을 때 탄력패드(22a)가 지면에 닿아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록킹부는 프레임(20)의 중앙 상부에 고정되는 록킹박스(24)로서, 직사각형 모양의 출입통로(24c)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중공형 케이스이다. 출입통로(24c)는 직사각형 형상의 관통구멍으로서 후술할 래치블록(67e)을 통과시킨다. 래치블록(67e)이 승강운동을 통해 출입통로(24c)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치블록(67e)은 출입통로(24c)를 하향 통과한 상태로, 화살표 a방향으로 90도 회전할 수도 있고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래치블록(67e)이 90도 회전하면, 래치블록(67e)이 상판(24d)에 걸려 구속공간(24a)으로부터 빠지지 못한다. 또한 회전하지 않거나 180도 회전하면 출입통로(24c)를 상향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블록(67e)의 회전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인양허브(51)는, 록킹박스(24)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크레인(미도시)의 인양후크(53)에 걸려 매달리는 부분으로서 하단부에 회전형래치부(60)를 갖는다.
회전형래치부(60)는, 인양허브(51)가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일부(수직봉(65a)의 하단부, 래치블록(67e))가 록킹박스(24)에 삽입되고, 일부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 한도 내에서의 인양허브의 승강운동에 의해 록킹박스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 상태가 전환되는 부분이다.
인양허브(51)의 하사점은, 래치블록(67e)이 하강하여 록킹박스(24)의 바닥면(24e)에 도달했을 때의 인양허브(51)의 높이를 의미한다. 또한 록킹박스(24)에 삽입되는 일부분은 수직봉(67a)의 하단부와 래치블록(67e)이다. 아울러, 일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 한도라 함은, 래치블록(67e)이 구속공간(24a)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록킹상태는 래치블록(67e)이 화살표 a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이다. 록킹상태에서는 래치블록(67e)이 출입통로(24c)를 통과하지 못한다. 언록킹상태는 래치블로(67e)이 하강한 후 회전하지 않거나 180도 회전했을 때의 상태로서, 이 때에는 래치블록(67e)이 출입통로를 통과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회전형래치부(60)의 구성과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6은 도 1의 회전형래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회전형래치부의 일부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a 및 도 8b는 도 1에 도시한 회전형래치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형래치부(60)는, 하우징(61), 승강래치(67), 상부이송라이너(63), 하부받침라이너(65)를 구비한다.
하우징(61)은 인양허브(51)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일정 내경의 원통형 부재이다. 하우징(61)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61a)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61a)는 인양허브(51)의 저면에 볼팅 결합되는 부분이다.
승강래치(67)는, 수직봉(67a), 수평돌출핀(67c), 래치블록(67e)을 갖는다. 수직봉(67a)은 수직으로 연장된 환봉으로서 하우징(61) 내에 수용된 상태로 하단부가 하우징(61) 하부로 연장된다. 수평돌출핀(67c)은 수직봉(67a)에 고정되는 걸림용 부재로서, 수직봉(67a)의 외주면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수평돌출핀(67c)은 상부이송라이너(63)와 하부받침라이너(65)의 사이에 공간인 핀이송로(64)에 끼워진다.
래치블록(67d)은 수직봉(67a)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출입통로(24c)를 통해 록킹박스(27)에 출입이 가능하다. 래치블록(67d)의 상면은 걸림면부이다. 걸림면부(67d)는, 구속공간(24a)에 수용된 래치블록(67e)이 90도 회전했을 때 상판(24d)에 걸리는 부분이다.
상부이송라이너(63)는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하우징(61)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부이송라이너(63)의 외주면과 하우징(61)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하는 것이다. 상부이송라이너(63)의 하단면에는 상부이송경사부(63c)와 상부정지경사부(63d)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이송경사부(63c)와 상부정지경사부(63d)는, 상부이송라이너(63)의 원주방향을 따라 네 개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받침라이너(65)는, 상부이송라이너(63)와 마찬가지로,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하우징(61)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하부받침라이너(65)는 상부이송라이너(63)에 대해 이격되며, 상부이송라이너(63)와의 사이에 핀이송로(64)를 제공한다. 핀이송로(64)는 수평돌출핀(67c)이 끼워지는 공간이다. 하부받침라이너(65)의 상단면에는 하부이송경사부(65c)와 하부정지경사부(65d)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이송경사부(65c)와 하부정지경사부(65d)는, 하부받침라이너(65)의 원주방향을 따라 네 개가 마련되어 있다.
도 8a 및 8b는 상부이송라이너(63) 및 하부받침라이너(65)를 길이방향(원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펼친 전개도로서, 래치블록(67e)이 구속공간(24a)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수평돌출핀(67c)의 이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이송경사부(63c)와 상부정지경사부(63d)가 대략 톱니의 형상을 취하며 일정 피치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상부이송경사부(63c)와 상부정지경사부(63d)가 만나는 하향첨단부(63f)가 일정 피치 간격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하부이송경사부(65c)와 하부정지경사부(65d)도 대략 톱니의 형상을 취하며 일정한 피치 간격을 이룬다. 하부이송경사부(65c)와 하부정지경사부(65d)가 만나는 상향첨단부(65f)가 일정 피치를 이루는 것이다.
특히, 하향첨단부(63f)는 하부이송경사부(65c)에, 상향첨단부(65f)는 상부이송경사부(63c)에 근접 배치된다. 수평돌출핀(67c)는 하향첨단부(63f)와 하부이송경사부(65c)의 사이, 상향첨단부(65f)와 상부이송경사부(63c)의 사이를 통과함은 물론이다.
상부이송경사부(63c)는 (래치블록(67e)이 하강하여 바닥면(24e)에 접한 상태에서) 인양허브(51)를 도 8a의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할 때, 수평돌출핀(67c)을 화살표 k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이다. 래치블록(67e)이 이미 바닥면(24e)에 닿아 있으므로, 상부이송라이너(63)가 하강하면 수평돌출핀(67c)이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화살표 k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돌출핀(67c)은, 상향첨단부(65f)를 지나 상부정지경사부(63d)에 막혀 정지되고, 골부(63g)에 일단 대기한다. 이와 같이, 수평돌출핀(67c)이 화살표 k방향으로 한 칸 이동함에 의해 수직봉(67a)이 90도 만큼 축회전 함은 물론이다. 수직봉(67a)이 90도 만큼 축회전함에 따라 래치블록(67e)이 출입통로(24c)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즉, 회전형래치부(60)가 록킹박스(24)에 록킹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양허브(51)를 상승시켜 하부받침라이너(65)를 화살표 k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수평돌출핀(67c)이 하부이송경사부(65c)를 타고 화살표 m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돌출핀(67c)은 하향첨단부(63f)을 통과한 후 하부정지경사부(65d)에 막혀 골부(65g)에 일단 대기한다. 수평돌출핀(67c)이 화살표 m방향으로 한 칸 이동함에 의해 수직봉(67a)이 90도 만큼 더 회전하고, 래치블록(67e)이 출입통로(24c)를 상향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인양허브(51)를 들어 올리면, 회전형래치부(60)가 록킹박스(24)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주행대차(30)는, 각 지지아암(21)의 주행로(21b)에 지지된 상태로 주행로(21b)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하부에 죠오부를 갖는다. 주행대차(30)의 역할은 죠오부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죠오부는 주행대차(30)를 매개로 동력전달부에 연결되며, 동력전달부의 동작에 의해 화살표 s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도 1에 도시한 타입의 인양장치(10)에서의 죠오부는 대략 L 자로 절곡된 형상의 리프팅죠오(33)로서, 주행대차(30)의 본체(31) 하부에 장착된다. 리프팅죠오(33)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중량물의 걸림부(101)의 하부에 걸린다. 걸림부(101)가 리프팅죠오(33)에 받쳐진 상태에서 크레인을 올리면 중량물(100)의 인양이 이루어진다. 중량물의 하중이 다수의 리프팅죠오(33)에 걸리는 것이다.
주행대차(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31)와 다수의 휠(32)을 갖는다. 휠(32)은 주행로(21b)에 구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체(31)는 육면체의 형상을 취하며 하측에 리프팅죠오(33)를 구비한다. 또한 주행대차(30)의 상부에는 수평이동힌지(31a)가 마련되어 있다. 수평이동힌지(31a)는 동력전달부인 링크아암(41)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동력전달부는, 인양허브(51)와 주행대차(30)를 연결하고, 프레임(20)에 대한 인양허브(51)의 고도 변화 시, 주행대차(30)를 화살표 s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리프팅죠오(33)가 주행대차(3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리프팅죠오(33)가 동력전달부에 의해 직선 운동하고, 중량물(100)이 리프팅죠오에 걸리거나, 리프팅죠오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프레임(20)에 대한 인양허브(51)의 고도변화는, 말하자면, 프레임(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인양허브(51)가 상승하거나 하강 할 때의 인양허브(51)의 높이 변화를 의미한다. 즉, 프레임(20)과 인양허브(51)의 수직방향 거리의 변화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동력전달부는 링크아암(41)이다. 링크아암(41)은, 일단부가 인양허브(51)의 승강힌지(51a)에, 타단부가 주행대차(30)의 수평이동힌지(31a)에 연결핀(37)으로 연결되는 부재이다. 링크아암(41)은, 인양허브(51)가 하강할 때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하며, 주행대차(30)를 화살표 s방향으로 밀어낸다. 인양허브(51)가 상승할 때에는 주행대차(30)를 화살표 s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긴다.
록킹박스(24)의 주변에는 네 개의 고정힌지(26)가 구비된다. 고정힌지(26)는 받침아암(43)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부분이다. 받침아암(43)은 일단부가 고정힌지(26)에, 타단부가 링크아암(41)의 중간부위에 링크되는 막대형 부재로서, 주행대차(30)가 록킹박스(24) 방향으로 필요이상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중량물(100)의 상부에 프레임(20)을 올린 상태로 크레인을 내린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래치(67)의 래치블록(67e)이 구속공간(24a)에 수용되어 있고, 주행대차(30)는 최대한 바깥쪽으로 밀려나 있다. 주행대차(30)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리프팅죠오(33)도 최대한 벌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크레인을 조정하여 인양허브(51)를 들었다 놓으면, 도 8을 통해 설명한 원리에 의해, 수직봉(67a)이 90도 각도만큼 축회전 하고, 래치블록(67e)이 상판(24d)에 걸리게 된다. 인양허브(51)를 그대로 들어 올리면, 인양장치(10)는 중량물(100)을 남겨 두고 상승한다.
한편,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중량물(100)의 상부에 인양장치(10)를 올림과 동시에 인양허브(51)를 완전히 하강시켜 리프팅죠오(33)를 최대한 벌린다. 이 상태에서 인양허브(51)를 그대로 당겨 올리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양허브(51)가 상승하고 링크아암(41)이 세워지면서 리프팅죠오(33)를 당긴다. 리프팅죠오(33)는 걸림부(101)측으로 접근하여 마침내 걸림부에 걸린다. 인양허브(51)를 더욱 상승시키면 리프팅죠오(33)가 걸림부(101)를 더욱 강하게 압박하며, 중량물(100)이 리프팅죠오(33)에 물린 상태로 인양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한 인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타입의 중량물 인양장치(10)는, 프레임(70), 리프팅죠오(73), 링크아암(72), 인양허브(51), 회전형래치부(60)를 갖는다.
프레임(70)은 원통의 형상을 취하며 록킹박스(24)를 받치는 중앙바디(71a)와, 세 개의 지지아암(71b)을 포함한다. 지지아암(71b)은 중앙바디(71a)에 고정된 상태로 방사방향으로 수평 연장된 부재로서 120도 각도의 사이각을 갖는다.
리프팅죠오(73)는, 대략 중앙부가, 연결핀(37)을 통해 지지아암(71b)의 연장단부에 링크된다. 리프팅죠오(73)는 지지아암(71b)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 되어, 인양허브(51)의 승강 시 연결핀(37)을 회전축으로 삼아 회전운동 한다. 즉, 인양허브(51)의 상승 시 화살표 t방향으로 회전하여 중량물에 걸리고, 인양허브의 하강 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중량물로부터 분리된다.
리프팅죠오(73)의 일단부에는 걸이부(73a)가 마련되어 있다. 걸이부(73a)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물(100)의 관통구(103) 내부로 들어가면서 벌어져 관통구(103) 주변에 걸려 중량물의 하중을 분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리프팅죠오(73)의 타단부는, 링크아암(72)을 통해 인양허브(51)에 연결된다. 링크아암(72)은 인양허브(51)가 상승할 때 리프팅죠오(73)의 타단부를 당겨, 리프팅죠오(73)가 화살표 t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인양장치(10)를 이용해 중량물(100)을 인양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70)을 중량물(100)의 상부에 올린다. 이 때 리프팅죠오(73)는 인양장치(10)의 자중에 의해 접힌 상태가 되고, 걸이부(73a)는 관통구(103)의 내측에 일부 삽입되어 있다. 또한 래치블록(67e)은 록킹박스(24)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인양허브(51)를 그대로 들어 올리면, 링크아암(72)이 인양허브(51)를 따라 올라가고, 리프팅죠오(73)는 화살표 t방향으로 회전하여 관통구(103)에 완전히 걸린다. 인양허브(51)를 더욱 상승시키면 중량물(100)의 인양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0의 상태에서, 중량물(100)을 놔두고 인양장치(10)만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래치블록(67e)이 록킹박스(24)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인양허브(51)를 들어 올린 후 내려, 래치블록(67e)을 90도 만큼 축회전시켜, 래치블록(67e)이 록킹 상태가 되게 한다. 이어서, 인양허브(51)를 상승시키면 회전형래치부(60)가 록킹박스(24)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상승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인양장치 20:프레임 21:지지아암
21b:주행로 21d:다리 22:받침블록
22a:탄력패드 24;록킹박스 24a:구속공간
24c:출입통로 24d:상판 24e:바닥면
26:고정힌지 30:주행대차 31:본체
31a:수평이동힌지 32:휠 33:리프팅죠오
37:연결핀 41:링크아암 43:받침아암
51:인양허브 51a:승강힌지 53:인양후크
60:회전형래치부 61:하우징 61a:플랜지부
63:상부이송라이너 63c:상부이송경사부 63d:상부정지경사부
63f:하향첨단부 63g:골부 64:핀이송로
65:하부받침라이너 65c:하부이송경사부 65d:하부정지경사부
65f:상향첨단부 65g:골부 67:승강래치
67a:수직봉 67c:수평돌출핀 67e:래치블록
70:프레임 71a:중앙바디 71b:지지아암
72:링크아암 73:리프팅죠오 73a:걸이부
100:중량물 101:걸림부 103:관통구

Claims (7)

  1. 지지력을 제공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는 록킹부와;
    록킹부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로부터 인양력을 제공받는 인양허브와;
    프레임에 지지되며, 록킹부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인양 시 중량물을 걸어 중량물의 하중을 분담하는 다수의 죠오부와;
    인양허브와 죠오부를 연결하고, 프레임에 대한 인양허브의 고도 변화 시 동작하여, 중량물이 죠오부에 걸리게 하거나, 죠오부로부터 분리되게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인양허브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인양허브가 하사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록킹부에 일부 삽입되고, 일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 한도 내에서의 인양허브의 승강운동에 의해 록킹부에 대한 록킹과 언록킹 상태가 전환되는 회전형래치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록킹부를 중심으로 수평 연장되며 연장방향으로 직선의 주행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지지아암, 각 지지아암의 하측에 고정되며 지지아암을 중량부의 상부에 올릴 때 중량물에 접하는 탄력패드를 갖는 받침블록, 지지아암의 하부에 설치되며 탄력패드가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다리를 구비하고,
    지지아암의 주행로에는 지지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주행대차가 설치되며,
    상기 죠오부는, 주행대차에 고정되며 주행대차의 이동에 따라 중량물에 대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리프팅죠오를 갖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단부는;
    양단부가 인양허브 및 주행대차에 핀연결되고, 인양허브가 록킹박스측으로 하강할 때 주행대차를 밀어 리프팅죠오가 중량물로부터 벌어지게 하고, 인양허브가 록킹박스로부터 상승할 때 리프팅죠오를 모아 리프팅죠오가 중량물로 접근하게 하는 다수의 링크아암을 갖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록킹부를 지지하는 중앙바디 및 중앙바디에 고정되며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지지아암을 포함하고,
    죠오부는;
    지지아암에 회전 가능하게 핀 연결 되어, 인양허브의 승강 시 핀을 회전축으로 삼아 회전운동 하고, 인양허브의 상승 시 중량물에 걸리고, 인양허브의 하강 시 중량물로부터 분리되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죠오부를 지지아암에 연결시키는 핀은, 죠오부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죠오부의 일단부에는 중량물에 걸리는 걸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단부는, 인양허브와 죠오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링크아암인,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직사각형의 관통형 출입통로를 통해 상부로 개방된 록킹박스를 구비하고,
    회전형래치부는;
    인양허브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일정 내경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일부가 하우징 하부로 연장된 수직봉, 수직봉의 외주면에 고정된 수평돌출핀, 수직봉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록킹박스의 출입통로를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래치블록이 구비된 승강래치와,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되 수평돌출핀을 사이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이격되는 것으로서, 수직봉이 록킹박스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을 승강시킬 때, 수평돌출핀을 가압하여 수직봉이 축회전 하게 하는 상부이송라이너 및 하부받침라이너를 포함하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송라이너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일정직경의 원통형 부재로서, 하단면에, 하우징이 하강할 때 수평돌출핀을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상부이송경사부를 가지고,
    하부이송라이너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일정직경의 원통형 부재로서, 상단부에, 하우징이 상승할 때 수평돌출핀을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다수의 하부이송경사부를 구비하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KR1020210132511A 2021-10-06 2021-10-06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KR10265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11A KR102650837B1 (ko) 2021-10-06 2021-10-06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511A KR102650837B1 (ko) 2021-10-06 2021-10-06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399A true KR20230049399A (ko) 2023-04-13
KR102650837B1 KR102650837B1 (ko) 2024-03-22

Family

ID=8597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511A KR102650837B1 (ko) 2021-10-06 2021-10-06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8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149A (ko) * 2021-11-01 2023-05-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362A (ja) * 1997-05-12 1998-11-24 Kensetsusho Kanto Chiho Kensetsu Kyokucho 物品搬送具
CN104279131A (zh) * 2013-07-11 2015-01-14 西门子公司 抬升塔架节段
KR20200046377A (ko) 2018-10-24 2020-05-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을 위한 비대칭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인양방법
KR20210074706A (ko) 2019-12-12 2021-06-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0362A (ja) * 1997-05-12 1998-11-24 Kensetsusho Kanto Chiho Kensetsu Kyokucho 物品搬送具
CN104279131A (zh) * 2013-07-11 2015-01-14 西门子公司 抬升塔架节段
KR20200046377A (ko) 2018-10-24 2020-05-07 대림산업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을 위한 비대칭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인양방법
KR20210074706A (ko) 2019-12-12 2021-06-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149A (ko) * 2021-11-01 2023-05-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블럭 자동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837B1 (ko)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0517B1 (ko)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KR20230049399A (ko)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KR102228841B1 (ko) 4축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CN102303821A (zh) 基于钢绳牵引变幅的吊臂平衡式动臂塔机
CN105752826A (zh) 移动式吊装平台及其施工方法
KR102279414B1 (ko) 전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JP3859442B2 (ja) 送電鉄塔の建替え方法および装置
CN116605746A (zh) 一种大型产品翻转方法、翻转装置及起重设备
JP2013218102A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CN207061738U (zh) 一种防侧倒的升降辅助装置
JP6304316B2 (ja) ワークの輸送台への載置方法、ワークの輸送台からの吊り上げ方法および輸送台
CN211078307U (zh) 一种简易平台升降机
CN102935980A (zh) 一种小型立式工位折臂吊
CN111285260A (zh) 一种升降机用机械连锁安全装置
CN217972354U (zh) 一种超重构件起吊悬臂机构
JP4103322B2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天井面近傍高さ位置への駆動機の吊上げ方法及び装置
JP3517871B2 (ja) 箱形重量物の運搬方法および装置
CN210480590U (zh) 吊具及起重装置
KR102613953B1 (ko)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CN219636746U (zh) 一种提升输送机及预制混凝土构件生产线
JP2516844Y2 (ja) 長尺材料の吊荷用治具
CN219792310U (zh) 一种起重葫芦
KR102365385B1 (ko) 천장 크레인용 새들 고정장치
CN211664545U (zh) 一种砌块吊运用轻型箱笼
KR101323793B1 (ko) 케이블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