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793B1 - 케이블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793B1
KR101323793B1 KR1020110104802A KR20110104802A KR101323793B1 KR 101323793 B1 KR101323793 B1 KR 101323793B1 KR 1020110104802 A KR1020110104802 A KR 1020110104802A KR 20110104802 A KR20110104802 A KR 20110104802A KR 101323793 B1 KR101323793 B1 KR 10132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rame
coupled
ring memb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0052A (ko
Inventor
장희영
강창우
김연규
백경민
이왕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4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1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axi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케이블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는, 장비를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용 체인이 관통되되, 권상용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부; 및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결합되되, 프레임부의 상하운동에 따라 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공급장치{CABLE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체의 블록을 용접하여 건조하는 작업이나 선체 블록 내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는 주행대차나 각각의 장비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를 구비한 이동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작업에 필요한 자재 등을 운반하거나 용접 로봇 등 필요한 장비를 지정된 선체의 블록 및 선체의 블록 상에 정해진 위치에 공급한다.
주행대차를 이용하여 자재 등을 운반하는 경우에, 주행대차는 개방된 수평경로상에서는 그 이동이 용이하나, 자재 등을 탑재한 채 다수의 블록들이 배치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 이동이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주행대차는 하나의 선체의 블록 내에 다수의 자재 등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주행대차 내의 자재 등이 서로 부딪히거나 엉켜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주행대차는 수직이동에 제한을 받으므로 작업경로를 형성한 부분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작업완료 후 주행대차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수용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이동 크레인을 이용하여 장애물이 없는 선체의 블록 상측의 공간상에서 자재 등을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측으로부터 하단부에 매달린 장비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케이블이 케이블 고정장치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운동함에 따라 접히면서 꺽여 단선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동 크레인을 이용하는 경우에 케이블의 상하 운동에도 불구하고 복수의 케이블이 꺽이는 것을 방지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문헌1] KR 10-0811236 B1 (최광술) 2008.02.29. [문헌2] KR 20-0342932 Y1 (김성평) 2004.02.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체의 블록 상부에서 하부로 장비를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는 경우에도 상기 장비에 공급되는 케이블의 꺽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장비를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용 체인이 관통되되, 상기 권상용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부; 및 상기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브라켓을 포함하는 케이블 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프레임부를 결합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케이블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에 접촉되는 내측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를 가압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몸체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는, 환형의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권상용 체인이 관통하는 체인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회전 브라켓의 몸체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관통 결합된 상기 회전 브라켓의 몸체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링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링부재의 중심부에서 방사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체인블록은 상기 링부재의 중심부에서 상기 지지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인블록은, 끝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권상용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프레임부와, 장비에 공급되는 케이블과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동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마련된 회전 브라켓을 설치함으로써, 프레임부의 반복적인 승강에도 복수의 케이블의 꺽임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케이블의 꺽임에 따른 케이블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브라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브라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100)는, 선체의 블록(미도시) 상부에서 하부로 장비(500)를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용 체인(200)이 관통되며 권상용 체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프레임부(110)와, 장비(500)에 공급되는 케이블(400)과 결합되며 프레임부(110)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부(110)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브라켓(130)과, 복수의 프레임부(110)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100)는, 이동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선체의 블록 상측의 공간상에서 장비(500)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권상용 체인(200)에 매달린 장비(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400) 또는 장비(500)에 장착되는 복수의 케이블(400)을 반복적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10)를 이용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복수의 케이블(400)이 상하 운동 중에 접히면서 꺽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400)과 결합된 회전 브라켓(130)을 프레임부(110)에 대하여 상대 회동시킨다.
여기서 이동 크레인 등은 크레인의 하단에 후크(300)나 기타 기구 등을 구비하여 대상물을 권상 및/또는 수평이동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110)는 권상용 체인(200)에 매달린 장비(500)에 사용되는 케이블(400)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회전 브라켓(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환형의 링부재(111)와, 링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브라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100)는, 선체의 블록(미도시) 상부에서 하부로 장비(500)를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용 체인(200)이 관통되며 권상용 체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프레임부(110)와, 장비(500)에 공급되는 케이블(400)과 결합되며 프레임부(110)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부(110)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브라켓(130)과, 복수의 프레임부(110)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100)는, 이동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장비(500)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권상용 체인(200)에 매달린 장비(5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400) 또는 장비(500)에 장착되는 복수의 케이블(400)을 반복적으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프레임부(110)를 이용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복수의 케이블(400)이 상하 운동 중에 접히면서 꺽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400)과 결합된 회전 브라켓(130)을 프레임부(110)에 대하여 상대 회동시킨다.
여기서 이동 크레인 등은 크레인의 하단에 후크(300)나 기타 기구 등을 구비하여 대상물을 권상 또는 수평이동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110)는 권상용 체인(200)에 매달린 장비(500)에 사용되는 케이블(400)을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회전 브라켓(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10)는, 환형의 링부재(111)와, 링부재(111)의 내측에 마련된 지지대(113)와, 지지대(113)와 결합되고 권상용 체인(200)이 관통하는 체인블록(115)을 포함한다.
링부재(111)는 자체 하중을 최소화하는 한편 자체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형으로 제작한다. 따라서, 링부재(111)의 하중이, 링부재(111)의 일측부에 마련되되 회전 브라켓(130)에 결합된 케이블(400)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링부재(111)의 내측에는 링부재(111)의 뒤틀림 또는 변형을 방지하도록 지지대(113)가 배치된다. 지지대(113)는 링부재(111)의 중심부에서 방사형태로 설치되며 링부재(111)의 내측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체인블록(115)은 권상용 체인(200)이 통과하도록 내부가 중공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체인블록(115)은 링부재(111)의 중심부에 마련되며 지지대(113)에 결합된다. 체인블록(115)과 지지대(113)의 결합은 지지대(113)에 체인블록(115)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방사형으로 마련된 지지대(113)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부(114)에 체인블록(115)을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체인블록(115)은 끝단부(116)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확관형상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권상용 체인(200)을 체인블록(115)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체인블록(115)의 확관형상의 끝단부에 의해 권상용 체인(200)이 관통하여 반복적으로 상하 운동하는 경우에 권상용 체인(200)의 상하 운동을 가이드 한다. 따라서, 권상용 체인(200)의 상하 운동시에 권상용 체인(200)이 체인블록(115)의 끝단부(116)와 충돌 및 접촉되어 권상용 체인(200) 및 체인블록(115)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권상용 체인(200)의 하단부에는 후크(30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300)를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최하부에 위치한 프레임부(110)의 체인블록(115)에 결려 프레임부(110)의 하방이동을 제한한다. 즉, 체인블록(110)이 후크(300)에 걸리기 때문에, 후크(300)가 위치하는 권상용 체인(200)의 길이만큼 프레임부(110)의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프레임부(110)는 권상용 체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배치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프레임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로프(150)에 의해 쌍을 이루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웃하는 프레임부(100)는 와이어 로프(15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150)는 복수의 프레임부(110)를 지지한다.
그리고, 와이어 로프(150)는 프레임부(110), 특히 링부재(111)가 선체의 블록 상부에서 평형을 유지하고,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와이어 로프(150)는 복수의 프레임부(110)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와이어 로프(150)의 길이에 의해 복수의 프레임부(1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프레임부(110) 간의 간격은 와이어 로프(150)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와이어 로프(150)의 강도는 프레임부(110) 및 장비(500)에 공급되는 케이블(400) 등의 자중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한편, 권상용 체인(200)으로 복수의 프레임부(1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하부에 설치된 프레임부(110)간의 상호 이격거리가 좁아지면서 복수의 프레임부(110)가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상부에 배치된 프레임부(110)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150)에 걸리는 하중은 후크(300)에 의해 권상용 체인(200)에 걸리는 프레임부(110)의 하중만큼 감소한다.
또한, 복수의 프레임부(110)를 하강시키는 경우에,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부(110)간의 상호 이격거리가 넓어지면서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상부에 배치된 프레임부(110)에 설치된 와이어 로프(150)에 걸리는 하중은 증가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 브라켓(130)은 권상용 체인(200)을 이용하여 프레임부(1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경우에, 프레임부(110)와 연동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복수의 케이블(400)이 접혀지면서 꺽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회전 브라켓(130)은, 케이블(400)이 삽입되되 프레임부(110)의 일측부에 마련된 몸체부(131)와, 몸체부(131)가 프레임부(110)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몸체부(131)와 프레임부(110)를 결합하는 연결부재(133)와, 몸체부(131)를 가압하여 케이블(400)이 몸체부(13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부(13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몸체부(131)에 결합되는 덮개부(135)를 포함한다.
몸체부(131)는 관통되게 삽입된 케이블(400)과 결합하여 케이블(400)의 위치를 고정하는 한편, 케이블(400)이 상하운동하는 경우에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프레임부(110), 특히 링부재(111)에 대해 상대 회동운동한다.
이때, 몸체부(131)는 프레임부(110)의 링부재(111)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블(400)이 상하운동하는 동안 케이블(400)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에 대한 반력 또는 케이블(400)의 자중이 링부재(111)에 대해 몸체부(131)를 상대 회동시킨다. 따라서, 몸체부(131)가 링부재(111)의 외주면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400)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에 의해 케이블(400)이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31)의 내측면에는 삽입된 케이블(400)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137)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31)가 2피스(Piece)로 형성된 경우에, 몸체부(131)의 내측면에 케이블(400)을 안착한 후 나사, 볼트 등의 결합부재(132)를 이용하여 몸체부(131)의 내측면에 안착된 케이블(400)을 가압함과 동시에 몸체부(131)를 조립한다. 이때, 요철(137)은 케이블(400)이 상하운동하는 동안 몸체부(13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연결부재(133)는 몸체부(131)가 링부재(111)의 외주면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131)와 링부재(111)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연결부재(133)는 몸체부(13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31) 내측면에 케이블(400)을 안착하여 조립한 후, 몸체부(131)의 외측, 즉 외주면을 덮개부(135)로 감싼다.
덮개부(135)는 몸체부(131)를 더욱 가압하여 케이블(400)이 몸체부(131)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2피스로 구성된 몸체부(131)를 조립하는 데 사용된 나사, 볼트 등의 결합부재(132)가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블(400) 등에 손상을 입히거나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공급장치(100)의 작동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크레인 등의 권상용 체인(200)을 이용하여 장애물이 없는 선체의 블록 상부의 공간상에서 자재, 산업용 로봇 등의 장비(500)를 이동시킨다.
이때, 장비(5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전원 케이블(400) 또는 기타 장비(500)에 장착되는 복수의 케이블(400)은 케이블 고정장치 등에 고정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상하운동함에 따라 접히면서 꺽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권상용 체인(200)의 상하운동에 따른 복수의 케이블(400)의 꺽임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도 5는 권상용 체인(200)이 선체의 블록 상에서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장비(500)를 들어올리는 권상용 체인(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프레임부(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권상용 체인(200)은 복수의 프레임부(110)의 체인블록(115)을 관통하며, 권상용 체인(200)의 하단부에 설치된 후크(300)는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최하측에 위치한 프레임부(110)에 걸려 결합된다.
그리고, 권상용 체인(200)이 선체의 블록 상부에서 하강한 상태에서, 복수의 프레임부(110)는 상호간에 연결된 다수의 와이어 로프(150)에 의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장비(500)에 제공되는 복수의 케이블(400)은 프레임부(110), 즉 링부재(111)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링부재(111)에 대해 자유롭게 상대 회동하는 회전 브라켓(130)의 몸체부(131)에 결합된다.
회전 브라켓(130)은 케이블(400)에 작용하는 굽힘 모멘트에 대한 반력에 의해 링부재(111)에 대해 상대 회동한다. 따라서, 케이블(400)에 한계이상의 굽힘모멘트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회전 브라켓(130)이 링부재(111)에 대해 상대 회동하므로 케이블(400)이 접혀져 꺽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권상용 체인(200)이 이동 크레인 등의 최상층에 위치한 체인 모터(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선체의 블록 상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에, 권상용 체인(200)은 프레임부(110)의 체인블록(115)을 통하여 상승되고,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부(110)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좁아지면서 복수의 프레임부(110) 중 하부에 배치된 프레임부(110)부터 차례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승하는 복수의 프레임부(110)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150)는 케이블이(400) 굽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함께 굽어진다.
복수의 프레임부(110)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케이블(400)은 프레임부(110)간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더 큰 굽힘 모멘트를 받아 차례로 더욱 크게 굽어지게 된다. 이때, 링부재(111)의 일측부에 마련된 회전 브라켓(130)은 케이블(400)이 굽어져 꺽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케이블(400)이 굽어짐에 따라 형성된 곡률반경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처럼, 회전 브라켓(130)이 프레임부(110)의 링부재(111)에 대해 상대 회동함으로써 케이블(400)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에 대항하여 케이블(400)이 꺽여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케이블 공급장치 110: 프레임부
111: 링부재 113: 지지대
115: 체인블록 130: 회전 브라켓
131: 몸체부 133: 연결부재
135: 덮개부 150: 와이어 로프
200: 권상용 체인 300: 후크

Claims (10)

  1. 장비를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용 체인이 관통되되, 상기 권상용 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프레임부;
    상기 장비에 연결되는 케이블과 결합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환형의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권상용 체인이 관통되며, 끝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확관형상으로 형성된 체인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링부재에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이 삽입되며, 삽입된 상기 케이블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블이 접촉되는 내측면에 요철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가 상기 링부재에 대해 상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와 상기 링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권상용 체인의 하단부에는 후크가 연결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 중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체인블록에 걸려 상기 복수의 프레임부의 하방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회전 브라켓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공급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회전 브라켓의 몸체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케이블이 관통 결합된 상기 회전 브라켓의 몸체부가 상기 프레임부의 링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링부재의 중심부에서 방사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체인블록은 상기 링부재의 중심부에서 상기 지지대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공급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04802A 2011-10-13 2011-10-13 케이블 공급장치 KR101323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02A KR101323793B1 (ko) 2011-10-13 2011-10-13 케이블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802A KR101323793B1 (ko) 2011-10-13 2011-10-13 케이블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52A KR20130040052A (ko) 2013-04-23
KR101323793B1 true KR101323793B1 (ko) 2013-10-31

Family

ID=4844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802A KR101323793B1 (ko) 2011-10-13 2011-10-13 케이블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3850B2 (en) * 2012-12-21 2019-01-22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047A (en) 1989-05-03 1994-05-24 Bromma Conquip Ab Cable guide for hoisting devices
JPH10136544A (ja) * 1996-10-28 1998-05-22 Nikken Seigyo Kiki Kk 伝送体の接続構造
KR20000005793U (ko) * 1998-09-03 2000-04-06 추호석 케이블 이동 바
KR200342932Y1 (ko) 2003-12-06 2004-02-21 김성평 용접로봇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4047A (en) 1989-05-03 1994-05-24 Bromma Conquip Ab Cable guide for hoisting devices
JPH10136544A (ja) * 1996-10-28 1998-05-22 Nikken Seigyo Kiki Kk 伝送体の接続構造
KR20000005793U (ko) * 1998-09-03 2000-04-06 추호석 케이블 이동 바
KR200342932Y1 (ko) 2003-12-06 2004-02-21 김성평 용접로봇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3850B2 (en) * 2012-12-21 2019-01-22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system
US11111117B2 (en) 2012-12-21 2021-09-07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052A (ko)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3076B1 (en) Cask transport assembly
JP2012012223A (ja) 風車のタワー壁部分を持ち上げるための装置及び風車のタワー壁部分を持ち上げるための方法
CN111360461B (zh) 一种竖井管片吊装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323793B1 (ko) 케이블 공급장치
JP6817150B2 (ja) ケーブル処理装置
KR200439342Y1 (ko) 높이조절과 이동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JP2008222382A (ja) 据付用昇降装置移動方法
KR20150002894U (ko) 케이블 풀림기
JP5927718B2 (ja) 移動型安全体感設備用架構
EP3197808B1 (en) Reel drive assembly
KR20140004732U (ko) 선장 작업용 대차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4981754B2 (ja) 荷吊り装置
KR20130129198A (ko) 갑판 하부 파이프 운송 기계용 포획 바스킷 시스템
KR200416865Y1 (ko) 건설용 리프트 카의 이동형 통신케이블 지지장치
KR20230049399A (ko)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KR20190005555A (ko) 원통형 부재 운반용 케이블 로봇
KR20140136693A (ko) Fpb용 이동 지그 및 그 이동방법
JP2018016415A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制御方法
CN106744356A (zh) 一种限位垃圾吊
KR102365385B1 (ko) 천장 크레인용 새들 고정장치
JP2010235265A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JP5274195B2 (ja) 発電設備内における重量物運搬装置
KR101752551B1 (ko) 중량물 이동 크레인 유닛
KR102125627B1 (ko) 대형물 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