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706A -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706A
KR20210074706A KR1020190165701A KR20190165701A KR20210074706A KR 20210074706 A KR20210074706 A KR 20210074706A KR 1020190165701 A KR1020190165701 A KR 1020190165701A KR 20190165701 A KR20190165701 A KR 20190165701A KR 20210074706 A KR20210074706 A KR 2021007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eight
fixing
mov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6596B1 (ko
Inventor
김창진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65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중량물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 이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조절하여 중량물을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고정끈 및 고정 프레임과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Heavy Weight Lifting Apparatus and Lift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기용 도구가 없는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가 없는 장비를 육상에서 함정으로 이동하거나, 높은 곳에 설치하여 인양하는 상황이 발생할 때, 슬링, 끈 등으로 장비 아래를 떠 받치거나 묶어서 인양하는 경우가 있으며, 제대로 고정되지 않거나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가 없는 장비를 인양하는 상황은 장비에 재질, 구조상의 문제로 아이볼트를 설치할 수 없는 중량물을 인양하는 상황 또는 설계 시 인양이 고려되지 않아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비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상황이다.
종래에 아이볼트 등의 인양고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장비는 인양이 필요한 상황에서 적절한 치구 없이 임시방편으로 슬링 등으로 묶어서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안정상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별도의 인양 치구를 설계할 때 장비마다 형상 및 크기에 맞는 전용 치구를 설계하며, 타 장비와 공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여 중복 투자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걸기용 도구가 없는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중량물 인양장치를 통해 인양물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중량물을 인양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별도의 중량물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중량물을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고정끈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조립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양 끝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을 통과하여 조립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에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는 지지봉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중량물의 형상에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봉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목표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양 끝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목표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는 다양한 형상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을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량물과 맞닿는 내측에 상기 중량물에 손상이 없도록 완충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크기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모양에 맞게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량물에 따라 상기 간격과 상기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지지봉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끈은 상기 중량물의 하단부에서부터 감아 상기 중량물을 고정시키며, 상기 중량물을 흔들림 없이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 대칭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끈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중량물을 밀착시켜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자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바는 상기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상기 고정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끝단부에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리 형상으로 인양수단과 연결된 인양끈을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량물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중량물을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끈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상기 중량물을 들어올려 목표하는 위치로 인양하는 인양수단 및 상기 중량물 인양장치와 상기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인양끈을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조립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양 끝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을 통과하여 조립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는 지지봉 고정 나사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크기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모양에 맞게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량물에 따라 상기 간격과 상기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지지봉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끝단부에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리 형상으로 상기 인양수단과 연결된 상기 인양끈을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장비 설치 환경 상 크레인으로 인양이 필요하나 재질, 구조상의 문제로 장비에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를 설치할 수 없을 경우, 장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장비 형상, 크기에 따라 전용으로 인양 치구를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다양한 형상, 크기의 장비에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의 고정 프레임 및 이동부를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의 고정 프레임 및 이동부의 결합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에 중량물이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중량물의 고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의 이동부의 이동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걸기용 도구가 없는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가 없는 장비를 육상에서 함정으로 이동하거나, 높은 곳에 설치하여 인양하는 상황에는 슬링, 끈 등으로 장비 아래를 떠 받치거나 묶어서 인양하는 경우가 있으며, 제대로 고정되지 않거나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가 없는 장비를 인양하는 상황은 장비에 재질, 구조상의 문제로 아이볼트를 설치할 수 없는 중량물(12)을 인양하는 상황 또는 설계 시 인양이 고려되지 않아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장비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상황이다.
상술한 상황에서,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인양수단을 사용하여 중량물(12)을 인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아이볼트 등의 인양 고리를 설치할 수 없는 장비를 크레인 등으로 인양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거나 다양한 형상 또는 크기의 중량물(12)을 인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중량물(12)에 아이볼트 등의 걸기용 도구가 없어도 인양이 가능하며, 형상, 크기에 따라 전용으로 인양치구를 제작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형상 및 크기에 사용이 가능하다.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장비의 상단을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상부의 고정 프레임(100)과 장비를 고정끈(300)을 통해 고정하여 묶어서 들어올릴 수 있는 인양끈(20)으로 구성된 인양치구로서, 상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0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200)와 이동부(200)에 조립되어 있는 지지부(220) 및 지지봉(230)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장비 설치 환경 상 크레인으로 인양이 필요하나 재질, 구조상의 문제로 장비에 아이볼트 등의 인양고리를 설치 할 수 없을 경우, 장비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안전하게 인양 가능하도록 형성된 장치이다.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장비 형상, 크기에 따라 전용으로 인양치구를 제작할 필요 없이, 다양한 형상, 크기의 장비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은 사람이 들기 힘들 정도의 무거운 무게를 지니는 장비로서, 부피에 비해 무거운 물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량물 인양장치(10)는 고정 프레임(100), 이동부(200), 고정끈(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중량물 인양장치(10)는 도 1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0)은 중량물(12)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0)은 하단부에 중량물(12)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동부(200)는 고정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동부(200)는 고정 프레임(100)의 표면을 따라서 고정 프레임(100)에서 목표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100)과 이동부(200)는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의 고정 프레임 및 이동부를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부(200)는 이동 프레임(210), 지지부(220) 및 지지봉(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부(200)는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 및 지지봉 고정 나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200)는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에 조립되어 위치하며,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는 고정 프레임(100)에 이동 프레임(2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의 양 끝에 위치하며,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를 이용하여 목표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220)는 이동 프레임(210)의 양 끝 하부에 연결되며, 중량물(12)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중량물(12)이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며, 중량물(12)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다양한 형상의 모서리를 지지하기 위해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량물(12)과 맞닿는 내측에 중량물(12)에 손상이 없도록 완충재 처리될 수 있다.
지지봉(230)은 지지부(220)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이동 프레임(210)의 홈을 통과하여 조립될 수 있다.
지지봉 고정 나사(232)는 이동 프레임(210)의 홈에 지지봉(230)을 고정할 수 있다.
지지봉(230)은 중량물(12)의 형상에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봉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목표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200)의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중량물(12)의 크기에 맞게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동부(200)의 지지봉(230)은 이동 프레임(210)의 홈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중량물(12)의 모양에 맞게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동부(200)는 중량물(12)에 따라 상술한 간격과 높이를 조절한 후, 지지봉 고정 나사(232)를 통해 지지봉(230)을 고정하고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를 통해 이동 프레임(210)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끈(300)은 이동부(200)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조절하여 중량물(12)을 고정시키고 지지할 수 있다.
고정끈(300)은 상기 중량물(12)의 하단부에서부터 감아 중량물(12)을 고정시키며, 중량물(12)을 흔들림 없이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 대칭되어 위치할 수 있다.
고정끈(300)은 고정 프레임(100)에 중량물(12)을 밀착시켜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자동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바(310)는 중량물(12)의 형태에 따라 고정끈(3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끈(300)은 마주보는 한 쌍의 이동부(200)에 부착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두 개의 끈으로 형성되어 중량물(12)의 마주보는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고정끈(300)의 개수와 이동부(200)에 부착된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정적으로 중량물(12)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끈(300)은 마주보는 두 쌍의 이동부(200)에 모두 부착되어 중량물의 측면 모두를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고정 프레임(100)과 인양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400)는 고정 프레임(100)의 끝단부에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400)는 고리 형상으로 인양수단과 연결된 인양끈(20)을 통해 고정 프레임(100)과 인양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양끈(20)은 고리 형식으로 형성된 연결부(400)에 매듭을 지어 연결되거나,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갈고리를 통해 연결부(400)와 결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의 고정 프레임 및 이동부의 결합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이동부(200)의 이동 프레임(210)이 고정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형상 및 지지봉(230)이 이동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이동부(200)의 이동 프레임(210)이 고정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고정된 형상 및 지지봉(230)이 이동 프레임(210)과 결합되어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210)은 X 방향으로 고정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의 주위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이 고정 프레임(100)에 결합되면 연결부(400)는 고정 프레임(100)에 조립되어 고정되며, 이동 프레임(210)이 고정 프레임(100)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없도록 가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봉(230)은 Y 방향을 따라 이동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이동 프레임(210)의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프레임(210)의 홈은 지지봉(230)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형성하여 이동 프레임(210)의 홈을 따라 지지봉(230)이 목표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과 지지봉(230)과 조립되지 않는 양 옆이 삼각 형태의 빈 공간을 형성한다. 이는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과 지지봉(230)과 조립되지 않는 양 옆이 빈틈이 없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210)은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여 목표하는 위치에서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는 제1 틈(214)이 빈틈이 없도록 조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틈(214)은 이동 프레임(210)이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에 의해 상술한 공간이 없도록 조여서 사이의 틈이 붙을 수 있다. 또한,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에 의해 제1 틈(214)이 결합되어 고정되면, 이동 프레임(210)은 같은 형상을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지지봉(230)은 이동 프레임(210)의 홈을 따라 이동하여 목표하는 위치에서 지지봉 고정 나사(232)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지지봉 고정 나사(212)는 제2 틈(216)이 빈틈이 없도록 조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틈(216)은 지지봉(230)이 이동 프레임(210)의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주며, 지지봉 고정 나사(232)에 의해 상술한 공간이 없도록 조여서 사이의 틈이 붙을 수 있다. 또한, 지지봉 고정 나사(232)에 의해 제2 틈(216)이 결합되어 고정되면, 지지봉(230)은 같은 형상을 형성하는 이동 프레임(210)의 홈과 결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프레임(100)에 조립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210)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 프레임(210)에 조립되어 있는 지지봉(230)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프레임(210)과 지지봉(230)은 클램프 형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틈(214) 및 제2 틈(216)은 클램프에 의해 이동 프레임(210)과 지지봉(230)을 고정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클램프는 체결용 부품 또는 도구로서, 물건을 조여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에 중량물(12)이 고정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중량물 인양장치(10)는 고정 프레임(100)의 하단부에서 중량물(12)의 크기 및 모양에 맞게 이동부(200)의 지지부(220) 의해 중량물(12)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200)와 연결된 고정끈(300)은 중량물(12)의 주위를 감싸 중량물(12)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끈(300)은 자동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바(310)는 중량물(12) 주위를 감싸는 고정끈(300)의 길이를 조절하고 결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바(310)는 중량물(12)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끈(300)이 중량물(12)의 주위를 감싸 중량물(1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끈(300)은 중량물(12)을 아래에서부터 좌측 및 우측으로 감아줄 수 있다. 이때, 자동바(310)를 이용하여 고정 프레임(100) 및 이동부(200)의 지지부(220)와 완전히 밀착시켜 중량물(12)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묶어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십자 형태의 고정 프레임(100)에 4개의 이동부(200)가 각각 조립되어 있으며, 하나의 이동부(200)에는 하나의 이동 프레임(210)에 2개의 지지부(220) 및 2개의 지지봉(230)이 조립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 인양장치(10)는 하나의 십자 형태의 고정 프레임(100)에 4개의 이동 프레임(210), 8개의 지지부(220) 및 8개의 지지봉(230)이 도 4와 같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상술한 바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 프레임(100)의 형태에 따라 고정 프레임(100)에 조립되는 이동부(20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동부(200)의 개수에 따라 지지부(220) 및 지지봉(230)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중량물의 고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원형의 형태의 라운드 모서리를 형성하는 중량물(12)을 중량물 인양장치(10)를 통해 고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둔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중량물(12)을 중량물 인양장치(10)를 통해 고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c는 예각 모서리를 형성하는 중량물(12)을 중량물 인양장치(10)를 통해 고정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100)에 조립되어 결합된 이동부(200)의 지지부(220)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라운드 처리 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중량물(12)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12)과 맞닿는 라운드에는 중량물(12)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완충재 처리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ㄱ자 형태의 쿠션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재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캡, 솜 등과 같이 중량물(12)에 손상을 주지 않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 인양장치(10)는 다수의 지지부(220)를 통해 중량물(12)의 다수의 모서리를 고정하며, 이를 통해 중량물(12)의 상단부를 고정할 수 있으며, 이동부(200)와 연결된 고정끈(300)을 통해 중량물(12)의 하단부까지 고정할 수 있다. 중량물(12)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지지부(220)를 통해 중량물(12)의 다수의 면을 고정하여 중량물(12)의 이동을 방지하여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장치의 이동부의 이동을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중량물 인양장치(10)의 이동 프레임(210) 및 지지봉(230)의 간격과 높이의 조절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b는 간격과 높이를 조절한 이동 프레임(210) 및 지지봉(230)에 의해 중량물(12)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210)은 X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지지봉(230)은 Y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이동 프레임(210)을 통해 간격을 조절하고, 지지봉(230)을 통해 높이를 조절한 후 각각의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 및 지지봉 고정 나사(232)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 및 높이는 중량물(1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이동 프레임(210) 및 지지봉(230)에 의해 형상 및 크기가 다른 중량물(12)을 인양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210)은 중량물(12)의 크기에 따라서 고정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X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2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지지봉(230)은 중량물(12)의 모양에 따라서 이동 프레임(210)의 홈을 따라 슬라이드 되면서 Y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지지봉 고정 나사(23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중량물(12)의 형상에 따라 이동 프레임(210) 및 지지봉(230)의 간격 및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이동 프레임(210)에 2개의 지지봉(230)을 조립하여 경사가 있는 모서리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 인양장치(10)의 4개의 이동 프레임(210)은 중량물(12)의 상단부의 둘레 길이에 따라 각각 간격을 조절하여 이동하여 고정되며, 8개의 지지봉(230)은 지지봉(230)이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12)의 모서리가 위치하는 높이에 따라 각각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될 수 있다.
십자 형태의 고정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배치된 제1 이동 프레임, 제2 이동 프레임, 제3 이동 프레임, 및 제4 이동 프레임은 쌍을 이뤄 중량물을 고정한다. 예컨대, 제1 이동 프레임과 제3 이동 프레임은 중량물의 가로 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제2 이동 프레임과 제4 이동 프레임은 중량물의 세로 방향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중량물의 무게 중심과 중량물의 상단의 형상은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중량물 인양장치(10)는 제1 이동 프레임, 제2 이동 프레임, 제3 이동 프레임, 및 제4 이동 프레임의 지지봉 쌍의 높이를 중량물의 상단의 형상에 맞게 경사지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이동 프레임의 지지봉 쌍이 제일 높고, 제3 이동 프레임의 지지봉 쌍이 제일 낮고, 제2 이동 프레임과 제4 이동 프레임의 지지봉 쌍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정하되, 제1 이동 프레임의 지지봉 쌍과 제3 이동 프레임의 지지봉 쌍의 중간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이동 프레임과 제4 이동 프레임은 한 쌍의 고정끈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12)은 무게 중심을 고정 프레임(100)의 중심부에 두고 이동 프레임(210) 및 지지봉(230)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시켜 중량물(12)을 인양할 수 있다. 중량물(12)이 고정되는 위치는 반드시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 프레임(100) 및 지지봉(230)의 범위 내에서 움직여 중량물(12)을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인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중량물 인양 시스템은 중량물 인양장치(10), 인양수단(미도시) 및 인양끈(20)을 포함한다. 중량물 인양 시스템은 도 7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인양수단은 중량물(12)을 들어올려 목표하는 위치로 인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양수단은 크레인, 기중기 등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목표하는 위치로 옮기는 수단일 수 있다.
인양끈(20)은 중량물 인양장치(10)와 상기 인양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인양끈(20)은 중량물(12)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인양줄(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양수단은 인양끈(20)을 중량물 인양장치(10)에 연결하여 중량물(12)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중량물 인양 시스템은 인양끈(20)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인양끈(20)이 중량물(12)을 들어 올리면서 끊어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인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인양끈(20)은 중량물(12)의 무게와 중량물 인양장치(10)의 무게를 더한 값을 버텨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 인양장치(10)는 고정끈(300)을 중량물(12)에 연결하여 중량물(12)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중량물 인양 시스템은 고정끈(300)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고정끈(300)이 중량물(12)을 들어 올리면서 끊어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인장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프레임(100)의 연결부(400)에 고정된 다수의 인양끈(20)은 인양부(22)에서 하나로 결합되어 인양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봉 쌍의 높이를 조절하여, 중량체의 무게 중심을 십자 형태의 고정 프레임(100)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인양부(22)를 십자 형태의 중앙 위치에서 수직하게 바라본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중량체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량물 인양장치(10)는 고정끈(300)으로 중량물(12)을 묶었을 때, 중량물(12)이 전, 후,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중량물(12)을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으며, 장비의 크기, 형상에 맞게 위치를 조절하여 중량물(12)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끈(300)은 이동부(200)에 연결되어 중량물(12)을 묶어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중량물(12)의 아래에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감아줄 수 있다. 고정끈(300)은 자동바(310)를 사용하여 중량물(12)이 고정 프레임(100)과 이동부(20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중량물(12)이 흔들림이 없도록 묶어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중량물 인양장치
100: 고정 프레임
200: 이동부
300: 고정끈

Claims (13)

  1. 중량물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중량물을 고정시키고 지지하는 고정끈; 및
    상기 고정 프레임을 인양수단과 연결하기 위한 고리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조립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양 끝의 이동 프레임의 홈을 통과하여 조립되는 지지봉; 및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에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는 지지봉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중량물의 형상에 의해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봉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목표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중량물의 형상에 의해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목표하는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가장자리가 라운드 처리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상의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량물과 맞닿는 내측에 상기 중량물에 손상이 없도록 완충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크기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모양에 맞게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량물에 따라 상기 간격과 상기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지지봉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은 상기 중량물의 하단부에서부터 감아 상기 중량물을 고정시키며, 상기 중량물을 흔들림 없이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 이상 대칭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끈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중량물을 밀착시켜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자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바는 상기 중량물의 형태에 따라 상기 고정끈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끝단부에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고리 형상으로 인양수단과 연결된 인양끈을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10. 중량물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 상기 고정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중량물을 고정하여 지지하기 위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끈 및 상기 고정 프레임과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장치;
    상기 중량물을 들어올려 목표하는 위치로 인양하는 인양수단; 및
    상기 중량물 인양장치와 상기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인양끈을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에 조립되어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양 끝의 이동 프레임의 홈을 통과하여 조립되는 지지봉;
    상기 지지봉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는 지지봉 고정 나사; 및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포함하는 중량물 인양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기 고정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크기에 맞게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지지봉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홈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량물의 모양에 맞게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중량물에 따라 상기 간격과 상기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지지봉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지지봉을 고정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 고정 나사를 통해 상기 이동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 시스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끝단부에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하여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인양수단과 연결된 상기 인양끈을 통해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인양수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인양 시스템.
KR1020190165701A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KR102336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01A KR102336596B1 (ko)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01A KR102336596B1 (ko)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06A true KR20210074706A (ko) 2021-06-22
KR102336596B1 KR102336596B1 (ko) 2021-12-07

Family

ID=7660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701A KR102336596B1 (ko) 2019-12-12 2019-12-12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6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399A (ko) 2021-10-06 2023-04-13 박상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1172A (ja) * 1994-09-14 1996-03-26 Douei Unyu Kk 吊り荷の荷崩れ防止装置
JP2005330042A (ja) * 2004-05-19 2005-12-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モータ用吊り治具
KR200439227Y1 (ko) * 2007-05-22 2008-03-27 김무광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1172A (ja) * 1994-09-14 1996-03-26 Douei Unyu Kk 吊り荷の荷崩れ防止装置
JP2005330042A (ja) * 2004-05-19 2005-12-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モータ用吊り治具
KR200439227Y1 (ko) * 2007-05-22 2008-03-27 김무광 텐셔너를 구비한 파렛트 슬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399A (ko) 2021-10-06 2023-04-13 박상화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596B1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550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KR102336596B1 (ko) 중량물 인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량물 인양 시스템
KR20150058094A (ko) 조정 가능한 모듈 리프트 프레임 어셈블리
CN206502505U (zh) 船舶舱室单元的吊笼
JP6882019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運用方法
KR20190008918A (ko) 주위 안전 스크린 어셈블리
US41650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element of a crane
CN206928687U (zh) 一种建筑物边柱防护平台
CN105905780B (zh) 一种组合式起重平衡梁
JP5673134B2 (ja) 昇降装置、揺れ防止治具及び吊り治具
JP4038745B2 (ja) 機器の組立方法
KR101466021B1 (ko) 원자로 내부구조물용 리프트 장치
KR20120132044A (ko) 크레인의 후크 파킹 장치
CN208684255U (zh) 一种钢网架高空散装装配式定位装置
KR20170004126U (ko)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JP2005170655A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振れ止め装置
JP6278821B2 (ja) ラック制振装置の支持構造
JP2004217389A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用スペーサ装置
CN208251653U (zh) 一种单元式玻璃幕墙吊装装置
RU145539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текстильный силовой каркас (варианты)
JP7358298B2 (ja) ボイラ用バックステーの付設方法
JP6815204B2 (ja) ラック制振装置の設置方法
CN215048051U (zh) 一种摇盘机用吊具
CN216336099U (zh) 一种大跨度网架分块吊装刚度保障机构
JP6749129B2 (ja) 飛来物防護設備および飛来物防護設備の開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