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126U -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126U
KR20170004126U KR2020160002969U KR20160002969U KR20170004126U KR 20170004126 U KR20170004126 U KR 20170004126U KR 2020160002969 U KR2020160002969 U KR 2020160002969U KR 20160002969 U KR20160002969 U KR 20160002969U KR 20170004126 U KR20170004126 U KR 201700041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ack
legs
auxiliary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건
김성엽
추길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2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126U/ko
Publication of KR201700041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E02B17/0809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quipment being hydraul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5/00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 E21B15/02Supports for the drilling machine, e.g. derricks or masts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12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2Removal or dismantling of offshore structures from their offshore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레그에 작업대를 장착시 그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그를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레그의 전,후에 형성된 랙과 랙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에 곤돌라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한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Jack up the legs of the workbench fixture rig}
본 고안은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레그에 작업대를 장착시 그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잭업 리그(Jack up rig)는 해저의 석유나 가스 등을 시추하기 위한 것으로, 잭업 플랫폼, 잭업 선박 등으로도 칭하며, 복수의 레그(leg)에 의해 선체(hull)가 승강되면서 해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이동 가능한 해양 플랜트를 말한다.
공지된 잭업 리그는 플래트폼을 구성하는 선체(hull)와 선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체를 해저에 지지하는 레그와, 상기 선체에 구비되어 선체에 대해 레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잭업 리그는 통상적으로 3개나 경우에 따라 4개 이상의 독립형 레그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잭업 리그의 레그에 마련되는 승강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725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잭업 리그(Jack-up rig)와 함께 이동하면서 레그(Leg)의 톱날과 맞물리는 승강 기어의 형상을 스크류 형태로 구비하는 해상부유 구조물에서의 잭업 리그 승강 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646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레그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신축구동부와 링크절, 구동실린더 및 연결바로 구성되는 잭업 리그와 잭업 리그의 구동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3031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지지레그의 하강시에는 지지레그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되게 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잭업 리그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72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64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93031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에는 잭업 리그를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레그에 임시 작업을 위해 곤돌라 등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대를 고정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결여되어 있는 것이라 할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레그에 임시로 설치되는 러그 또는 P/F, LADDER 등을 철거하기 위해 작업자 접근용 곤도라 등을 설치하기 위해 작업대를 설치해야 하는 데, 종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에는 이러한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어디에도 찾아 볼 수 없이 결여되어 있는 것입니다.
종래 레그에 곤돌라 등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작업대는 레그에 형성된 랙(rake)에 통상적인 반원형의 링체를 서로 체결한 후 그 링체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지지대를 설치한 후 그 지지대로 곤돌라 등과 같은 작업대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레그의 랙 사이에 설치되는 종래 반원형의 링체는 랙과 랙 사이의 한 지점만으로 장착되어 고정됨에 따라 작업대의 무게나 작업시 중량물의 승강에 대하여 상하로의 유동성을 가짐은 물론 처짐이 발생함에 따라 작업자에게는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해결과제는 레그에 작업대를 장착시 그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해결과제는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고정 시 더욱더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해결과제는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작업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이 해결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결수단은 잭업 리그의 레그 상에 임시 작업을 위해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해 장착 고정되는 작업대 고정장치로서,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는 레그를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레그의 전,후에 형성된 랙과 랙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에 곤돌라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의 상하로 서로 다른 높이의 다단 및 양측으로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랙과 랙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부재의 선단은 그 랙과 랙 사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재는 고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본체의 전후에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에 작업대를 거치하기 위해 그 지지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 고정되는 각각 현수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하부 레그에는 현수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련되는 처짐 방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처짐 방지수단은 레그를 감싸는 보조 본체, 상기 보조 본체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레그의 전후에 형성된 랙과 랙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보조 고정부재, 상기 본체와 보조 본체 사이에 그 본체와 보조 본체에 마련된 프레임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대 및 상기 보조 본체의 프레임과 현수대 사이에 장착되는 각각의 보강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레그에 작업대를 장착시 그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한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고정 시 더욱더 안정적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에서의 유동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더욱더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작업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무거운 중량물을 작업시에도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잭업 리그(도시하지 않음)의 레그(100) 상에 임시로 설치되는 러그 또는 P/F, LADDER 등을 철거하기 위해 작업자 접근용 곤돌라 등과 같은 작업대(200)를 설치하기 위해 장착 고정되는 작업대 고정장치(1)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레그에 작업대를 장착시 그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1)는 내부가 중공되어 레그(100)를 감싸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레그(100)의 전,후에 형성된 랙(110)과 랙(110)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20) 및 상기 본체(10)에 작업자 등이 탑승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통상의 곤돌라 등과 같은 작업대(2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설치부재(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태를 일 예로 형성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사각형 이상의 오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 상기 본체에는 크레인 등의 후크나 또는 로프 등이 걸어져 레그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통상의 아이볼트(도시하지 않음)가 공지된 방식에 의해 체결되거나 상기 본체에 걸이공(도시하지 않음) 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로 인해 본체를 레그로 설치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고정부재(20)는 고정시 안정적이면 유동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본체(10)의 상하로 서로 다른 높이의 다단 및 양측으로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랙(110)과 랙(110)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부재(20)의 선단은 긴밀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그 랙(110)과 랙(110) 사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본체를 레그의 랙으로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상,하의 다단은 물론 양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하로의 유동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이 랙과 랙 사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는 유동성 자체가 발생하지 않게 긴밀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를 레그로부터 인출시에는 상기 본체를 크레인 등에 의해 현수한 상태에서 본체로부터 고정부재를 분리시킴으로써, 레그로부터 본체 또한 간편하게 인출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설치부재(30)는 고정부재(20)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본체(10)의 전후에 통상적인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대(32)와, 상기 각 지지대(32)에 통상의 곤돌라 등과 같은 작업대(200)를 거치하기 위해 그 지지대(3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통상적인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장착 고정되는 각각 현수대(34)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본체에 일단이 삽입되어 용접 또는 볼팅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현수대는 각 지지대의 양측에 마련되어 작업대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에 따라 곤돌라를 설치시에도 각 지지대 상에 구비된 현수대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곤돌라에 탑승한 작업자들로 하여금 더욱더 안전한 상태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진다.
이로써, 본 고안은 레그 상에서 임시 작업을 위해 설치되는 작업대를 작업대 고정장치인 레그의 랙과 랙 사이로 본체의 상하 다단과 양측으로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유동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에 따라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곤돌라 등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도 양측으로 마련됨에 따라 높은 지지력을 가져 곤돌라를 탑승하여 작업하는 작업자들도 안정적이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곤돌라에서 필요로 하는 작업을 수행시 혹여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곤돌라가 설치되는 현수대가 처짐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더욱더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레그(100)에 설치된 상기 본체(10)의 하부 레그(100)에는 현수대(34)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련되는 처짐 방지수단(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처짐 방지수단(40)은 레그(100)를 감싸는 상기한 본체(10)와 같은 형태의 보조 본체(10A)와, 상기 보조 본체(10A)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레그(100)의 전후에 형성된 랙(110)과 랙(110)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기한 고정부재와 같은 형태인 복수의 보조 고정부재(20A)와, 상기 본체(10)와 보조 본체(10A) 사이에 그 본체(10)와 보조 본체(10A)에 통상적인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마련된 프레임(10A-1)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도록 통상의 용접 또는 볼팅 등에 의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대(42) 및 상기 보조 본체(10A)의 프레임(10A-1)과 현수대(34) 사이에 통상의 용접이나 볼팅 등에 의해 장착되는 각각의 보강대(44)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체의 하부 레그에 그 본체와 같은 형태의 보조 본체를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같은 방식인 보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하되, 그 본체와 보조 본체를 복수의 장착대로 지지함으로써, 높은 고정력과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아울러, 곤돌라 등과 같은 작업대가 설치되는 현수대 또한 보강대에 의하여 받쳐 지지 되도록 함으로써, 현수대에 현수되는 곤돌라에 의해 무거운 하중의 작업을 수행시도 처짐 등이 발생하지 않은 조건을 가진다. 특히, 보강대 또한 각 현수대를 받쳐 지지함에 따라 더욱더 높은 지지력을 가져 무거운 하중에 대해서도 처짐이 발생하지 않은 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보조 고정부재 또한 전술한 고정부재와 같이 상하로의 다단은 물론 양측으로 보조 본체로 고정된다.
그로 인해 곤돌라 등을 통하여 무거운 하중을 가지는 작업시에도 처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더욱더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1 : 작업대 고정장치
10 : 본체 10A : 보조 본체
10A-1 : 프레임 20 : 고정부재
20A : 보조 고정부재 30 : 설치부재
32 : 지지대 34 : 현수대
40 : 처짐 방지수단 42 : 장착대
44 : 보강대
100 : 레그 110 : 랙

Claims (6)

  1. 잭업 리그의 레그 상에 임시 작업을 위해 작업대를 설치하기 위해 장착 고정되는 작업대 고정장치로서,
    상기 작업대 고정장치는 레그를 감싸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레그의 전,후에 형성된 랙과 랙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에 곤돌라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의 상하로 서로 다른 높이의 다단 및 양측으로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랙과 랙 사이로 삽입되는 고정부재의 선단은 그 랙과 랙 사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는 고정부재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본체의 전후에 장착되는 각각의 지지대, 상기 각 지지대에 작업대를 거치하기 위해 그 지지대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착 고정되는 각각 현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 레그에는 현수대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마련되는 처짐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수단은 레그를 감싸는 보조 본체, 상기 보조 본체의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레그의 전후에 형성된 랙과 랙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보조 고정부재, 상기 본체와 보조 본체 사이에 그 본체와 보조 본체에 마련된 프레임 사이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지지하도록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대 및 상기 보조 본체의 프레임과 현수대 사이에 장착되는 각각의 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KR2020160002969U 2016-05-31 2016-05-31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KR201700041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969U KR20170004126U (ko) 2016-05-31 2016-05-31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969U KR20170004126U (ko) 2016-05-31 2016-05-31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26U true KR20170004126U (ko) 2017-12-08

Family

ID=61259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969U KR20170004126U (ko) 2016-05-31 2016-05-31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1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034A (ko) 2018-09-19 2020-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용 제작 장치
KR20200045900A (ko) 2018-10-23 2020-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용 작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255B1 (ko) 2013-10-10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 구조물에서의 잭업 리그 승강 장치
KR20150076462A (ko) 2013-12-26 2015-07-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잭업 리그와 잭업 리그의 승강 장치
KR20150093031A (ko) 2014-02-06 2015-08-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잭업 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255B1 (ko) 2013-10-10 2015-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부유 구조물에서의 잭업 리그 승강 장치
KR20150076462A (ko) 2013-12-26 2015-07-0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잭업 리그와 잭업 리그의 승강 장치
KR20150093031A (ko) 2014-02-06 2015-08-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잭업 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3034A (ko) 2018-09-19 2020-03-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용 제작 장치
KR20200045900A (ko) 2018-10-23 2020-05-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레그용 작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EP2881522A1 (en) A platform
KR20170004126U (ko)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RU2736256C2 (ru) Сборный защитный экран для ограждения по периметру
JP2019090253A (ja) スライド式飛散防止装置
JP2015016059A (ja) 安全帯用支持部材
JP2008179469A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5356091B2 (ja) 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方法およびクレーンガーダー交換装置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KR20130050569A (ko) 선박의 크래인 장치
CN107394589B (zh) 一种侧开式吊装柜及其应用方法
CN216472034U (zh) 一种检修时可对角支撑防护的固定式液压升降台
KR200493150Y1 (ko) 잭업리그 레그용 곤돌라 장착장치
KR101826166B1 (ko) 로프 수평 확장 유닛
CN216235700U (zh) 一种重型钢结构手动起吊装置
CN204391581U (zh) 侧卧式电力电容器更换装置
TWM581580U (zh) Pulley receiving mechanism
KR20130099581A (ko) 지지대 일체형 발판 브라켓
KR100771088B1 (ko) 원터치식 지주간 받침대
CN211687962U (zh) 一种管道吊装架
CN209442584U (zh) 一种可移动式底座及带该底座的升降平台
CN218288071U (zh) 一种船用踏板支架定位装置
JP2018131759A (ja) 養生ネットの架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