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0569A - 선박의 크래인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크래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0569A
KR20130050569A KR1020110115699A KR20110115699A KR20130050569A KR 20130050569 A KR20130050569 A KR 20130050569A KR 1020110115699 A KR1020110115699 A KR 1020110115699A KR 20110115699 A KR20110115699 A KR 20110115699A KR 20130050569 A KR20130050569 A KR 20130050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rest
tower
ship
boom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5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0569A/ko
Publication of KR2013005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릴쉽 등에 설치되는 크래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붐대의 피로를 저감시키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선박의 크래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크래인장치는 상기 선박의 상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워(200);와, 상기 타워(200)의 상부에서 붐대(4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붐레스트(300);와, 상기 붐레스트(3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붐대(40);를 포함하여 선박에 설치되는 크래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레스트(300)는 상기 타워(200)의 상부에서 붐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형성되어,
붐대(40)에 작용하는 피로하중을 최소화하고, 붐대의 붐레스트상에 장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크래인 장치{CRANE APPARATUS FOR SHIP}
본 발명의 드릴쉽 등에 설치되는 크래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붐대의 피로를 저감시키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선박의 크래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양 시추 목적으로 제작되는 드릴쉽 등의 배에는 드릴의 탈부착 등의 큰 하중을 가지는 시추장비 또는 작업부재의 이송을 위하여 대형의 크래인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크래인(10)의 상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붐레스트(30)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상기 크래인(10)은 선박의 상부에 설치되는 타워(20)와 타워(20)의 상단에 설치되는 붐레스트(30)와 일측 단부에는 하중부(50)가 설치되고 타 단부에는 작업부(60)가 설치되어 붐레스트(30)에 균형을 이루며 안착되는 붐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붐대(40)를 지지하는 붐레스트(30)는 도 2와 같이, 붐대(4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붐대(40)의 방향으로 설치되는 H빔(31)과, H빔(31)의 상단부에서 붐대(40)를 위치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안착홈(37)을 형성하며 돌출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33)와 제2가이드(35)(통칭하는 경우 '붐레스트가이드'라 함), 붐대(40)와 붐레스트(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붐레스트(30)의 상부에서 붐대(40)에 대한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붐레스트패드(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붐레스트(30)는 폭이 좁아(약 350mm) 크래인(10)의 붐대(40) 전체 길이(약 52000mm)에 비해 지지되는 부분이 작아 붐대(40)를 이루는 강구조체에 큰 하중 피로를 주게 된다.
그리고 붐레스트(30)를 지지하는 타워프레임(21)이 붐레스트(30)의 저면에서 양측의 2개의 접촉점에 의해 붐레스트(30)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붐레스트(30) 자체에도 붐대(40)의 하중이 전달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크래인(10)이 이러한 하중 부하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프레임의 변형, 크랙의 발생 등의 피로누적에 의한 피로파괴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대형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 크래인(10)의 경우 붐레스트가이드들의 사이로 붐대가 장착되는 경우 붐대를 이루는 강관프레임이 제1가이드(33)와 제2가이드(35)의 사이에 안착되는 경우 가이드가 폭이 좁은 한 쌍으로만 형성되어 붐대의 안정적인 유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붐대(40)와 충돌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붐대(40)와 붐레스트가이드들의 충돌은 붐대(40)의 구조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에따라 크래인(10)의 부정확한 하중체 이송 작용 또는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크래인(10)의 경우 작업대(51)와 난간(52)과 계단(53)으로 구성되는 작업플랫폼(50)이 붐레스트(30)를 형성하는 H빔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것에 의해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붐레스트에 붐대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붐레스트에 붐대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크래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플랫폼(500)의 작업공간을 현저히 넓혀 유지보수 작업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선박의 크래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의 크래인장치(100)는, 상기 선박의 상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워(200);와, 상기 타워(200)의 상부에서 붐대(4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붐레스트(300);와, 상기 붐레스트(3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붐대(40);를 포함하여 선박에 설치되는 크래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레스트(300)는 상기 타워(200)의 상부에서 붐대(40)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붐레스트지지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붐레스트(300)는 상부 면의 일측 단부에는 붐대(40)의 강관프레임(40A)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370)을 형성하도록 외측가이드(330)와 내측가이드(350)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쌍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래인장치(100)는 또한, 상기 붐레스트(300)의 양측 단부 각각이 복수의 타워프레임(210, 240 또는 220, 2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래인장치(100)는 또한, 상기 붐레스트(300)를 지지하는 제1타워프레임 내지 제4타워프레임(210~2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작업플랫폼(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플랫폼(500)은, 상기 붐레스트(300)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서 연장되는 작업대(510);와, 상기 작업대(510)의 둘레 영역에 설치되는 난간(520);과, 상기 작업대(510)로의 통로를 형성하는 계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크래인장치(100)는 붐대(40)의 길이방향으로 붐레스트(300)를 연장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붐대(40)의 고정안전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붐대(40)를 지지하는 강관프레임(40A)에 국부적으로 작용하는 하중 피로를 최소화시키는 것에 의해 하중 피로에 의한 붐대(40)의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붐대(40)의 사용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래인장치(100)는 복수의 가이드쌍(외측가이드(330)와 내측가이드(350)의 쌍)을 구비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붐대(40)를 붐레스트(300)에 장착시키는 경우 붐대(40)의 강관프레임(40A)을 붐대안착홈(370) 내부로의 유도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의해 붐대(40)의 붐레스트(300)에 장착시키는 작업을 현저히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래인장치(100)는 작업플랫폼(500)을 타워프레임들(210~2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작업공간을 현저히 넓힐 수 있게 되어, 유지보수 작업의 용이성 및 안정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크래인(10)의 상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붐레스트(30)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크래인장치(100)의 상단부 붐레스트(300) 부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붐레스트(300)에 붐대(4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크래인장치(100)의 부분사시도,
도 5는 상기 붐레스트(30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크래인장치(100)의 상단부 붐레스트(300) 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붐레스트(300)에 붐대(40)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크래인장치(100)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래인장치(100)는 드릴쉽 등의 선박의 갑판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타워(200)와, 타워(200)의 상부에 장착되는 붐레스트(300)와, 하중부(50, 도 1 참조)와 작업부(60, 도 1 참조)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붐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붐레스트(300)는 타워(200)의 골격체를 이루는 제1 내지 제4 타워프레임(210~240)으로 구성되는 타워프레임들의 상부에서 붐대(40)의 길이 방향으로 추가 설치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얹혀져 설치되는 복수의 붐레스트지지대(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붐레스트지지대(310)들은 H빔 등의 강재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타워프레임(210~240)의 상부면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장착되어 붐레스트(300)를 형성한다.
도 3과 같이, 상술한 구조의 붐레스트(300)는 일측단부는 제1타워프레임(210)과 제4타워프레임(240)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타워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 단부 또한 제2타워프레임(220)과 제3타워프레임(230)과 같이 복수의 타워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에 의해 더욱 안정적이고 안전하며 견고하게 지지된다.
상기 붐레스트(300)의 상부면 중 일측면에는 붐대안착홈(370)을 형성하도록 외측가이드(330)와 내측가이드(350)가 가이드쌍을 이루며 수직으로 돌출형성된다. 도3 내지 4의 경우 하나의 붐레스트(300)에는 한 쌍의 가이드 쌍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이드쌍이 하나의 붐레스트(300)의 상부에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붐대안착홈(370)의 저면과 가이드쌍이 형성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 상부면에는 붐레스트(300) 상에 안착되는 붐대(40)의 강관프레임(40A)에 대한 완충 작용 및 충격 흡수를 위한 붐레스트패드(380)가 설치된다.
또한, 도 3의 크래인장치(100)는 제1타워프레임 내지 제4타워프레임(210~2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붐레스트(300)의 하부에서 넓은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작업플랫폼(500)을 구비한다. 상기 작업플랫폼(500)은 붐레스트(300)를 지지하는 제1타워프레임 내지 제4타워프레임(210~240)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대(510)와, 작업대(510)의 둘레 영역에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난간(520)과, 작업플랫폼(500)으로 작업자가 오를 수 있도록 하는 계단(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업대(510)를 붐레스트(300)를 지지하는 타워프레임(210~24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의 경우 작업대(510)가 계단(530)의 측에 붐레스트(300)의 측면 영역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계단(530)의 반대측에서는 양측에서 제1 및 제2 타워프레임(240)까지의 영역과 제2 및 제3 타워프레임(220, 230) 까지의 영역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붐레스트(300)의 측면 둘레 전체 영역에 작업대가 설치되는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작업플랫폼(5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크래인장치(100)는 다 방향에서 붐레스트(300)에 접근할 수 있어 유지보수 작업 등의 크래인장치(100) 관련 작업을 현저히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상기 붐레스트(300)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이, 강관프레임(40A)이 붐대안착홈(370)에 삽입되는 경우, 붐레스트(300)별로 형성되는 가이드쌍들에 의해 강관프레임(40A)을 붐대안착홈(370)으로 삽입하는 것이 유도되어 붐대(40)의 설치를 현저히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크래인장치(100)는 붐대(40)를 지지하는 붐레스트(300)의 붐대(40)의 길이방향의 폭을 넓히는 것에 의해 붐레스트(300)의 붐대(40)의 지지력을 높이고 붐대(40)의 하중 스트레스를 분산시킴으로써 붐대(40)의 변형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크래인장치(100)는 붐대(40)의 강관프레임(40A)이 삽입 안착되는 붐레스트(300)의 붐대안착홈(370)을 이루는 외측가이드(330)와 내측가이드(350)로 이루어지는 가이드쌍을 복수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붐대(40)의 장착 시 강관프레임(40A)이 삽입되는 것을 유도하여 붐대(40)를 붐레스트(300)에 안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100: 크래인장치, 200: 타워, 210: 제1타워프레임, 220: 제2타워프레임
230: 제3타워프레임, 240: 제4타워프레임, 300: 붐레스트
310: 붐레스트지지대, 330: 외측가이드, 350: 내측가이드, 370: 안착홈
380: 붐레스트패드, 500: 작업플랫폼, 510: 작업대, 520: 난간, 530: 계단

Claims (5)

  1. 상기 선박의 상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워(200);와, 상기 타워(200)의 상부에서 붐대(4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붐레스트(300);와, 상기 붐레스트(300)의 상부에 안착되는 붐대(40);를 포함하여 선박에 설치되는 크래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레스트(300)는 상기 타워(200)의 상부에서 붐대(40)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붐레스트지지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크래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레스트(300)는,
    상부 면의 일측 단부에는 붐대(40)의 강관프레임(40A)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370)을 형성하도록 외측가이드(330)와 내측가이드(350)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쌍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크래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레스트(300)의 양측 단부 각각이 복수의 타워프레임(210, 240 또는 220, 2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크래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붐레스트(300)를 지지하는 제1타워프레임 내지 제4타워프레임(210~2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작업플랫폼(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크래인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업플랫폼(500)은,
    상기 붐레스트(300)의 둘레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서 연장되는 작업대(510);와,
    상기 작업대(510)의 둘레 영역에 설치되는 난간(520);과,
    상기 작업대(510)로의 통로를 형성하는 계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크래인장치.
KR1020110115699A 2011-11-08 2011-11-08 선박의 크래인 장치 KR20130050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699A KR20130050569A (ko) 2011-11-08 2011-11-08 선박의 크래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699A KR20130050569A (ko) 2011-11-08 2011-11-08 선박의 크래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569A true KR20130050569A (ko) 2013-05-16

Family

ID=4866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699A KR20130050569A (ko) 2011-11-08 2011-11-08 선박의 크래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05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9908A (zh) * 2014-03-28 2014-06-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用于大型塔机主臂杆安装拆卸的起落架及使用方法
KR20170010539A (ko) * 2015-07-20 2017-0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가스 배출 시스템 및 가스 배출 시스템이 마련된 드릴쉽
CN110239672A (zh) * 2019-07-02 2019-09-17 上海雄程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海油型海上登靠步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9908A (zh) * 2014-03-28 2014-06-25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用于大型塔机主臂杆安装拆卸的起落架及使用方法
KR20170010539A (ko) * 2015-07-20 2017-0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드릴쉽의 가스 배출 시스템 및 가스 배출 시스템이 마련된 드릴쉽
CN110239672A (zh) * 2019-07-02 2019-09-17 上海雄程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海油型海上登靠步桥
CN110239672B (zh) * 2019-07-02 2024-04-12 上海雄程海洋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海油型海上登靠步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939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KR20130050569A (ko) 선박의 크래인 장치
KR20130005864A (ko) 휴대용 접철식 작업대
KR100651823B1 (ko) 교량 점검로 지지구
JP4675094B2 (ja) エレベータレールの底部受装置
EP1647512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KR200437112Y1 (ko) 선박용 러그 취부장치
KR20170004126U (ko) 잭업 리그의 레그 작업대 고정장치
JP6002063B2 (ja) エレベーター
KR101369243B1 (ko) 교량 등 설치대
KR20110105601A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교량 등 설치대
JP2016216230A (ja) 保守用固定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JP45448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231770A5 (ko)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JP2018154966A (ja) 梯子及び梯子が取り付けられたスタッカークレーンを備える自動倉庫
JP5863543B2 (ja) エレベーター機器用点検台
KR101402614B1 (ko) 발전소 보일러 외벽부 공사 방법
JP2007320662A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ゲージサポート部材
KR101491660B1 (ko) 이동식 지지 장치
KR20150115137A (ko) 컨테이너 운반선용 래싱 브릿지
KR20140036689A (ko) 선박 묘쇄공 설치용 사다리
CN215631433U (zh) 变电站用检修工作平台
JP2005231770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219009699U (zh) 台架及汽轮发电机密封部件起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