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939B1 -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939B1
KR102465939B1 KR1020160025677A KR20160025677A KR102465939B1 KR 102465939 B1 KR102465939 B1 KR 102465939B1 KR 1020160025677 A KR1020160025677 A KR 1020160025677A KR 20160025677 A KR20160025677 A KR 20160025677A KR 102465939 B1 KR102465939 B1 KR 102465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upport member
hoistway
work floor
elevator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8201A (ko
Inventor
겐이치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04G3/246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following the inside contour of a bui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과제] 승강장의 높이 위치와 작업 바닥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얻는다.
[해결 수단] 승강로(100)의 피트(102)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지 부재(1)와, 지지 부재(1)에 마련되며,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와,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지지되는 하부 작업 바닥(3)을 구비하며,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는,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21)와, 바닥 받이 본체부(21)에 마련되며, 높이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고정부(22)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HOISTWAY WORKING FLOOR DEVICE}
본 발명은, 승강로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승강로에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부에 작업 바닥을 가지며 승강로의 피트(pit)에 세워지는 비티(Beatty) 발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고 평7-55777호 공보
그렇지만, 비티 발판은 높이 방향의 치수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비티 발판의 높이 방향의 치수와 피트로부터 승강장까지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강장의 높이 위치와 작업 바닥의 높이 위치를 맞출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승강장의 높이 위치와 작업 바닥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승강로의 피트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지 부재와, 각각의 지지 부재에 마련되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와, 바닥 받이 부재에 지지되는 작업 바닥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에 의하면,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에 작업 바닥이 지지되므로, 승강장의 높이 위치와 작업 바닥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의 하반분(下半分)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호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호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하부 작업 바닥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승강로(100)로부터 균형추(101)를 철거하는 경우, 승강로(100)에 균형추(101)를 설치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칸 바닥(도시하지 않음)을 철거하는 경우 및 엘리베이터 칸 바닥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 이용된다.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승강로(100)의 피트(102)에 세워지는 4개의 지지 부재(1)와, 각각의 지지 부재(1)에 걸쳐서 마련되며,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2)와,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지지되는 하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3)과,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보다도 상부에서 각각의 지지 부재(1)에 걸쳐서 마련되며,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상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4)와,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에 지지되는 상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5)과,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보다도 하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 부재(1)의 사이에 걸쳐 마련되는 밑둥 잡이 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1)는, 피트(102)에 세워지는 바닥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토대부(11)와, 토대부(1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가동부(12)를 가지고 있다. 가동부(12)는, 토대부(11)의 내측에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토대부(11)에 대한 가동부(12)에서의 높이 방향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지지 부재(1)는, 높이 방향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동부(12)는,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토대부(11)에 고정된다. 가동부(12)가 토대부(11)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변화하지 않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의 하반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는,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21)와, 바닥 받이 본체부(2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guide rail)(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22)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은,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을 높이 방향으로 안내한다.
바닥 받이 본체부(21)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단관(單管)(211)과,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단관(212)과, 제1 단관(211)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1 직교 클램프(clamp)(213)와, 제2 단관(212)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2 직교 클램프(214)를 가지고 있다. 제1 직교 클램프(213)는, 제1 단관(2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직교 클램프(214)는, 제2 단관(21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은, 승강장 출입구에 대한 폭방향과 동일 방향이며, 도 3의 화살표 A의 방향이다. 또, 이 예에서는,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은, 승강로(100)를 상부로부터 본 경우에 승강로(100)의 폭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도 3의 화살표 B의 방향이다.
하부 작업 바닥(3)은, 복수매의 발판 판자(31)와, 각각의 발판 판자(31)를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밴드(band)(32)를 가지고 있다. 또, 하부 작업 바닥(3)으로서는, 1매의 발판 판자(31)와, 발판 판자(31)를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밴드(32)를 가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발판 판자(31)로서는, 특정의 크기의 물건, 예를 들면, 두께 21mm, 폭 920mm, 깊이 1500nm인 콘크리트 판넬(concrete panel)을 들 수 있다. 하부 작업 바닥(3)으로서, 1매의 발판 판자(31)와 밴드(32)를 가지는 구성인 경우, 복수매의 발판 판자(31)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고, 하부 작업 바닥(3)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발판 판자(31)의 특정의 크기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크기에 따른 크기이며,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 발판 판자(31)로서는,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철판 등이라도 괜찮다. 또, 발판 판자(31) 상에 콘크리트 판넬 등을 겹치는 구조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한층 강고한 발판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발판 판자(31)는, 한 쌍의 제1 단관(211)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발판 판자(31)는,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하부 작업 바닥(3)은, 승강장(104)(도 1)과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바닥 받이 부재(4)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와 마찬가지로, 상부 작업 바닥(5)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41)와, 바닥 받이 본체부(4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42)를 가지고 있다.
바닥 받이 본체부(41)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단관(411)과,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단관(412)과, 제1 단관(411)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1 직교 클램프(413)와, 제2 단관(412)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2 직교 클램프(414)를 가지고 있다. 제1 직교 클램프(413)는, 제1 단관(4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직교 클램프(414)는, 제2 단관(41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작업 바닥(5)은, 복수매의 발판 판자(51)와, 각각의 발판 판자(51)를 제1 단관(411)에 고정하는 밴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또, 상부 작업 바닥(5)으로서는, 1매의 발판 판자(51)와, 발판 판자(51)를 제1 단관(411)에 고정하는 밴드를 가지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발판 판자(51)로서는, 특정의 크기의 물건, 예를 들면, 두께 21mm, 폭 920mm, 깊이 1500mm인 콘크리트 판넬을 들 수 있다. 상부 작업 바닥(5)으로서, 1매의 발판 판자(51)와 밴드를 가지는 구성인 경우, 복수매의 발판 판자(51)를 준비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부 작업 바닥(5)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 발판 판자(51)의 특정의 크기는,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크기에 따른 크기이며,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된다. 또, 발판 판자(51)로서는, 콘크리트 판넬을 이용하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철판 등이라도 괜찮다. 또, 발판 판자(51) 상에 콘크리트 판넬 등을 겹치는 구조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한층 강고한 발판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발판 판자(51)는, 한 쌍의 제1 단관(411)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또, 각각의 발판 판자(51)는,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늘어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상부 작업 바닥(5)은, 승강장(104)과 동일한 높이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밑둥 잡이 부재(6)는,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며,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단관(61)과, 승강로(100)의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승강로(100)의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단관(62)과, 제1 단관(61)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1 직교 클램프(63)와, 제2 단관(62)과 지지 부재(1)를 접속하는 4개의 제2 직교 클램프(64)를 가지고 있다. 제1 직교 클램프(63)는, 제1 단관(6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제2 직교 클램프(64)는, 제2 단관(62)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도 2의 고정부(2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은,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레일 본체부(105)와, 레일 본체부(105)와 일체로 형성되며, 레일 브라켓((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승강로에 대해서 고정되는 레일 평판부(106)를 가지고 있다.
고정부(22)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의 레일 평판부(106)의 배면과 승강로(100)의 벽(107)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221)과, 레일 평판부(106)의 표면에 마련되며, 지지 브라켓(221)과 함께 레일 평판부(106)를 사이에 끼우는 클립(222)과, 지지 브라켓(221)을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223)을 가지고 있다.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고정부(42)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고정부(2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위치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배치하여,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가설(假設) 공정). 하부 작업 바닥(3)을 배치하는 위치로서는, 승강장(104)으로부터 대략 30mm정도 하부의 높이 위치를 들 수 있다. 이것은, 제1 단관(211)의 높이 방향의 치수 및 하부 작업 바닥(3)의 두께 치수의 합계치가 대략 30mm이기 때문이다. 상부 작업 바닥(5)은, 상부 작업 바닥(5)의 높이 위치가 균형추(101)의 상단부 보다도 하부가 되도록 배치하여,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 후, 각각의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최소로 한 상태에서, 승강로(100)에 지지 부재(1)를 반입한다. 그 후, 각각의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변경함과 아울러, 각각의 지지 부재(1)를 피트(102)에 세운다(지지 부재 설치 공정).
지지 부재 설치 공정 후, 각각의 지지 부재(1)에 밑둥 잡이 부재(6)를 장착한다(밑둥 잡이 부재 설치 공정).
밑둥 잡이 부재 설치 공정 후,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지지 부재(1)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에 대해서도,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와 동일하게 하여, 지지 부재(1)에 장착한다(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시키고(작업 바닥 설치 공정),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에 상부 작업 바닥(5)을 지지시킨다(작업 바닥 설치 공정). 이상에 의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이 종료된다.
이 예에서는, 승강장(104)은, 1층의 승강장으로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설치한 후에, 균형추(101)로부터 추판(錘板)을 떼어내어 승강로(100)로부터 반출한다. 이 때, 균형추(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추판은, 작업자가 상부 작업 바닥(5)에 서서 떼어냄을 행한다. 균형추(10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추판은, 작업자가 하부 작업 바닥(3) 또는 피트(102)에 서서 떼어냄을 행한다. 그 후, 균형추 프레임을 승강로(100)로부터 반출한다. 이 때, 균형추(101)를 호이스트(hoist)에 의해서 매달아 올리고, 작업자는 하부 작업 바닥(3)에 서서 균형추 프레임의 반출을 행한다. 균형추(101)의 반입 및 조립은, 균형추(101)의 반입 및 해체의 반대의 순서에 의해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에 의하면, 피트(102)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지 부재(1)와, 각각의 지지 부재(1)에 걸쳐서 마련되며,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와,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지지되는 하부 작업 바닥(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장(104)의 높이 위치와 하부 작업 바닥(3)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다.
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는,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21)와, 바닥 받이 본체부(21)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고정부(22)를 가지고 있으므로, 하부 바닥 받이 부재(2) 및 하부 작업 바닥(3)의 횡요(橫搖, 좌우 흔들림)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보다도 하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지지 부재(1)의 사이에 걸쳐 마련되는 밑둥 잡이 부재(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지지 부재(1)의 횡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지지 부재(1)는, 높이 방향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지지 부재(1)의 높이 방향의 치수를 최소로 한 상태에서 승강로(100)에 대해서 반출입 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 부재(1)의 승강로(100)에 대한 반출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의하면, 피트(102)에 복수의 지지 부재(1)를 세우는 지지 부재 설치 공정과, 지지 부재 설치 공정 후, 지지 부재(1)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지지 부재(1)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과, 바닥 부재 설치 공정 후,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시키는 작업 바닥 설치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승강장(104)의 높이 위치와 하부 작업 바닥(3)의 높이 위치를 보다 확실히 맞출 수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의하면,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전에,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위치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배치하여,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위치에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는, 지지 부재(1)와 피트(102)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복수의 높임 부재(7)와, 상부 작업 바닥(5)보다도 상부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지지되는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와,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에 지지되는 경량형 작업 바닥(9)을 더 구비하고 있다.
높임 부재(7)는, 경질 발포 스티롤(styrol)로 구성되어 있다. 높임 부재(7)는, 지지 부재(1)를 지지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높임 부재(7)는, 1단(段)에만 배치되어 있지만, 피트(102)로부터 승강장(104)까지의 거리에 맞추어, 복수단의 높임 부재(7)를 피트(102)에 배치해도 좋다.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는, 경량형 작업 바닥(9)의 높이 위치가, 승강장(104)보다도 상부에 있는 승강장(108)의 높이 위치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는, 지지 부재(1)에 지지되어 있지 않다.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8)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지지되는 바닥 받이 본체부(81)와, 바닥 받이 본체부(81)에 마련되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되는 고정부(82)를 가지고 있다. 바닥 받이 본체부(81) 및 고정부(82)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바닥 받이 본체부(21) 및 고정부(22)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부 바닥 받이 부재(2)는, 하부 작업 바닥(3)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21)와, 바닥 받이 본체부(2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23)를 가지고 있다.
상부 바닥 받이 부재(4)는, 상부 작업 바닥(5)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41)와, 바닥 받이 본체부(41)에 마련되며,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43)를 가지고 있다.
경량형 작업 바닥(9)은, 1매의 발판 판자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작업 바닥(3) 및 상부 작업 바닥(5)은, 경량형 작업 바닥(9)과 마찬가지로, 1매의 발판 판자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고정부(23)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고정부(22)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의 레일 본체부(105)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파지부(231)와, 파지부(231)를 제1 단관(211)에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232)을 가지고 있다.
파지부(231)는, 레일 본체부(105)의 일방의 면에 접촉하는 베이스부(233)와, 레일 본체부(105)의 타방의 면에 접촉하는 보호 부재(234)와, 보호 부재(234)를 레일 본체부(105)를 향해 압압(押壓)하는 볼트(235)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부(233)는, 레일 본체부(105)의 일방의 면에 접촉되는 접촉부(236)와, 접촉부(236)로부터 폭방향으로 떨어져 마련되며, 볼트(235)를 지지하는 볼트 지지부(237)와, 접촉부(236)와 볼트 지지부(237)를 연결하는 연결부(238)를 가지고 있다. 볼트 지지부(237)에는, 나사 홈이 형성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235)는,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접촉부(236)에 대해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한다.
도 7은 도 6의 보호 부재(234)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보호 부재(23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보호 부재(234)는, 알루미늄 또는 철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 부재(234)에는, 볼트(235)의 직경 보다도 약간 큰 직경의 홈(239)이 형성되어 있다. 홈(239)에는, 볼트(235)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상부 바닥 받이 부재(4)의 고정부(43)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의 고정부(23)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 예에서는, 승강장(104)은, 지하 1층의 승강장, 승강장(108)은 1층의 승강장으로 되어 있다. 균형추(101)의 추판은, 하부 작업 바닥(3), 상부 작업 바닥(5) 및 경량형 작업 바닥(9)의 각각으로부터 떼어냄이 행하여진다. 균형추(101)의 균형추 프레임은, 승강장(108)으로부터 반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에 의하면, 고정부(23)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서의 레일 본체부(105)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되므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과 승강로(100)의 벽(107)과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부(23)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에 의하면,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에서는, 하부 바닥 받이 부재(2)에서의 고정부(23)가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서의 레일 본체부(105)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고정부(23)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대해서 고정하므로,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과 승강로(100)의 벽(107)과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라도, 고정부(23)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103)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 모양의 하부 작업 바닥(3)을 예로 설명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작업 바닥(3)에서의 승강장 출입구측 부분의 폭방향의 치수를 승강장 출입구의 폭방향의 치수 보다도 작게 하여, 하부 작업 바닥(3)을 승강장(104)까지 연장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하부 작업 바닥(3)과 승강장(104)과의 사이의 간극을 없앨 수 있다.
1 : 지지 부재
2 : 하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
3 : 하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
4 : 상부 바닥 받이 부재(바닥 받이 부재)
5 : 상부 작업 바닥(작업 바닥)
6 : 밑둥 잡이 부재 7 : 높임 부재
8 : 경량형 바닥 받이 부재 9 : 경량형 작업 바닥
11 : 토대부 12 : 가동부
21 : 바닥 받이 본체부 22 : 고정부
23 : 고정부 31 : 발판 판자
32 : 밴드 41 : 바닥 받이 본체부
42 : 고정부 43 : 고정부
51 : 발판 판자 61 : 제1 단관
62 : 제2 단관 63 : 제1 직교 클램프
64 : 제2 직교 클램프 81 : 바닥 받이 본체부
82 : 고정부 100 : 승강로
101 : 균형추 102 : 피트
103 :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 104 : 승강장
105 : 레일 본체부 106 : 레일 평판부
107 : 벽 108 : 승강장
211 : 제1 단관 212 : 제2 단관
213 : 제1 직교 클램프 214 : 제2 직교 클램프
221 : 지지 브라켓 222 : 클립
223 : 고정 브라켓 231 : 파지부
232 : 고정 브라켓 233 : 베이스부
234 : 보호 부재 235 : 볼트
236 : 접촉부 237 : 볼트 지지부
238 : 연결부 239 : 홈
411 : 제1 단관 412 : 제2 단관
413 : 제1 직교 클램프 414 : 제2 직교 클램프

Claims (8)

  1. 승강로의 피트(pit)에 세워지는 복수의 지지 부재와,
    각각의 상기 지지 부재에 걸쳐서 마련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와,
    상기 바닥 받이 부재에 지지되는 작업 바닥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받이 부재는, 상기 작업 바닥을 지지하는 바닥 받이 본체부와, 상기 바닥 받이 본체부에 마련되며, 높이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칸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서의 레일 본체부의 일방의 면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레일 본체부의 타방의 면에 접촉하는 보호 부재와, 상기 보호 부재를 레일 본체부를 향해 압압(押壓)하는 볼트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접촉부와 상기 보호 부재가 상기 레일 본체부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받이 부재 보다도 하부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지 부재의 사이에 걸쳐 마련되는 밑둥 잡이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높이 방향에 대해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6. 승강로에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를 설치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승강로의 피트에 복수의 지지 부재를 세우는 지지 부재 설치 공정과,
    상기 지지 부재 설치 공정 후,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해서 높이 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바닥 받이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과,
    상기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후, 상기 바닥 받이 부재에 작업 바닥을 지지시키는 작업 바닥 설치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받이 부재 설치 공정 전에, 상기 작업 바닥과 승강장이 서로 이웃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바닥 받이 부재의 위치에 상기 바닥 받이 부재를 배치하여, 상기 바닥 받이 부재를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장착하는 바닥 받이 부재 가설(假設)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받이 부재 가설 공정에서는, 상기 바닥 받이 부재에서의 고정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서의 레일 본체부를 폭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용 가이드 레일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KR1020160025677A 2015-03-05 2016-03-03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KR102465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3525 2015-03-05
JP2015043525A JP6211027B2 (ja) 2015-03-05 2015-03-05 エレベータ昇降路作業床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作業床装置設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201A KR20160108201A (ko) 2016-09-19
KR102465939B1 true KR102465939B1 (ko) 2022-11-11

Family

ID=5684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77A KR102465939B1 (ko) 2015-03-05 2016-03-03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1027B2 (ko)
KR (1) KR102465939B1 (ko)
CN (1) CN105937300A (ko)
TW (1) TWI6579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2320A (zh) * 2017-04-20 2017-06-27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提高井道电梯导轨安装施工安全的装置及方法
CN107879222A (zh) * 2017-10-30 2018-04-06 黄丽贤 一种多工位电梯结构
CN109208879B (zh) * 2018-09-17 2020-08-28 上海众启建筑装饰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施工平台及其拆装方法
CN112739638B (zh) * 2018-09-26 2023-04-04 三菱电机楼宇解决方案株式会社 电梯的对重的起重装置及起重方法
CN109399432B (zh) * 2018-11-23 2019-12-03 燕山大学 一种自爬升井道作业平台
CN110409839B (zh) * 2019-07-27 2023-09-29 陕西鼎盛装饰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集成推拉式屋面检修口施工方法
CN110510543A (zh) * 2019-08-14 2019-11-29 戴林涛 移动式提升工作装置
CN110790113B (zh) * 2019-11-14 2021-05-28 中亿丰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超长距离施工升降机附墙架安装的施工方法
CN111441565A (zh) * 2020-03-18 2020-07-24 航天海鹰(哈尔滨)钛业有限公司 用于热等静压机有限空间作业时的可升降装置及使用方法
CN114150855A (zh) * 2021-10-25 2022-03-08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井道的悬挑式铝制作业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836A (ja) * 1998-07-23 2000-02-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用足場
JP2000169060A (ja) * 1998-12-04 2000-06-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乗かご据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5777A (ja) 1993-08-19 1995-03-03 Olympus Optical Co Ltd 音響レンズ
JPH10218528A (ja) * 1997-01-31 1998-08-18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部品の昇降路内揚重装置
JPH11301947A (ja) * 1998-04-21 1999-11-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乗かごの据付装置
JP4245315B2 (ja) * 2002-08-02 2009-03-2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FI116461B (fi) * 2004-03-18 2005-11-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n toimituskokonaisuus
JP5119780B2 (ja) * 2007-07-20 2013-01-1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既設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CN102031862A (zh) * 2009-09-24 2011-04-27 中建四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高层建筑电梯井提升式安全防护钢平台施工方法
JP2012001348A (ja) * 2010-06-18 2012-01-05 Hitachi Ltd ガイドレール取付治具及びガイドレール固定方法
CN101920876B (zh) * 2010-08-20 2012-06-27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底坑的检修平台装置
JP2014005124A (ja) * 2012-06-26 2014-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エレベータレールブラケットによるガイドレール固定方法
JP5575851B2 (ja) * 2012-07-31 2014-08-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組立方法
CN203462736U (zh) * 2013-09-26 2014-03-05 重庆市南岸区建设工程施工安全监督站 一种电梯井道型钢施工操作平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8836A (ja) * 1998-07-23 2000-02-0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昇降路内作業用足場
JP2000169060A (ja) * 1998-12-04 2000-06-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乗かご据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32450A (zh) 2016-09-16
TWI657996B (zh) 2019-05-01
JP6211027B2 (ja) 2017-10-11
JP2016160090A (ja) 2016-09-05
CN105937300A (zh) 2016-09-14
KR20160108201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939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 작업 바닥 장치 설치 방법
US11598106B2 (en) Platform for assembling elevator equipment
FI109291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asentamiseksi
WO2017086704A1 (ko)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CN211647383U (zh) Alc墙板安装装置
KR20200030196A (ko)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RU2492131C2 (ru) Порт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монтажа или обслуживания тяжелых частей движущегося устройства
US5553686A (en) Installation of elevator rails in a hoistway
JP6917948B2 (ja)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JP2015101440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JP5174354B2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JP2016050102A (ja) エレベータの仮設作業床装置
EP1647512B1 (en) Working scaffold system of elevator
AU641007B2 (en) A lift shaft work platform
KR101836936B1 (ko) 거치구가 구비된 갱폼의 하부 케이지
JP2019082071A (ja) 足場吊上装置
KR20170124311A (ko) 거푸집용 발판브라켓
KR20130083351A (ko) 인 포스트 클라이밍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40305B2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支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釣合重り支持方法
JP2807776B2 (ja) 仮設手摺り用巾木装置
JP7275081B2 (ja) エスカレーターの足場装置
WO2020261804A1 (ja) ガイドレールの敷設方法及び回転防止治具
JP2872886B2 (ja) 構築物の上昇装置
JP2007009472A (ja) 仮設階段
JP2005112488A (ja) エレベータ緩衝器の支持装置と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