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243B1 - 교량 등 설치대 - Google Patents

교량 등 설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243B1
KR101369243B1 KR1020100024830A KR20100024830A KR101369243B1 KR 101369243 B1 KR101369243 B1 KR 101369243B1 KR 1020100024830 A KR1020100024830 A KR 1020100024830A KR 20100024830 A KR20100024830 A KR 20100024830A KR 101369243 B1 KR101369243 B1 KR 101369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uide rail
cradle
stand
back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602A (ko
Inventor
이용재
Original Assignee
우리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4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243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1/00Marking of navigation rou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또는 교각에 교량 방향 표시용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교각등 또는 교량등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등이 거꾸로 있지 않고 올바른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설치된 등의 점검 및 보수 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등은 교량의 일측 단면에 상측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진 수직대(200)의 하측단으로 등의 본체 하단을 결합 고정시키는 것이어서 등이 거꾸로 설치되어짐에 따른 시인성 저하 및 등 수명 단축의 단점이 있고, 또한 등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는 수직대에 연결되어진 핸들을 끈으로 잡아당겨 회전토록 함으로써 수직대의 회전을 통하여 등이 교량 상측으로 끌어 올려지도록 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등 파손의 가능성과, 작업 시 안전상의 위험성과 작업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량 측단과 난간에 직립되게 설치되어지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하측단에 형성되어 등 거치대를 거치시켜 등을 올바른 상태로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스토퍼와, 상기 등 거치대를 가이드레일 상에서의 상,하 이송을 통하여 점검 및 보수 작업 시 안전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 거치대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등 설치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등 설치대 {a installation of a bridge lamp}
본 발명은 교량(교각 포함)에 등을 장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등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등이 교량 또는 교각에 거꾸로 설치되지 않고 올바른 상태로 설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인성 저하 및 수명 단축의 요인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등의 설치는 물론 등의 점검 시 작업의 안전성과 용이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통상 이러한 교량 등은 교량 측단이나 교각에 설치되어져 교량의 방향를 표시토록 함으로써 교량을 통과하게 되는 선박이나 여객선들이 교량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등(100)은 교량 또는 교각에의 직접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일측단에 상측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ㄱ"자로 절곡되어진 바(200)를 설치하고, 상기 바(200)의 하측단으로 등의 하단부를 고정시켜 교량의 일측단 외측으로 공중에 등이 매달려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등의 설치는, 바(200)의 하측단으로 등(100)의 하측단이 고정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측으로는 등의 본체(101)가 방향되어지고 하측으로 렌즈(102)가 방향되어 등(100)이 거꾸로 설치되어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등이 거꾸로 설치되어짐에 따라 등이 올바른 상태로 설치될 경우보다 시인성 확보가 저하되게 됨은 물론 자중에 의한 등의 구성 요소 간의 부하 등 다양한 문제로 등의 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등의 점검을 위하여는, 작업자가 바(200)에 형성되어진 끈(201)을 잡아당겨 바(200)를 회전토록 함으로써 바(200)에 고정되어진 등(100)이 교량 상측으로 끌어 올려지도록 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이때 등(100)이 고정되어진 바(200)는 교량 측단에서 이격되어져 있기 때문에 등의 점검을 위하여 작업자가 바(200)를 회전시켜 등(100)을 교량 상측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상 많은 위험성이 따를 뿐 아니라 점검 작업 자체도 용이치 않다는 것이다.
또한 등이 바(200)에 의하여 공중에 매달려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자칫 외부 물체와의 접촉 시 파손의 위험성이 크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수 및 점검을 위한 작업상의 위험성 및 곤란함으로 교량 등의 경우 주기적인 점검이 법제화되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기적인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관리에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등의 안정적인 정 방향 설치를 통한 수명 연장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점검 및 보수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외부 물체와의 접촉을 최소화시켜 파손의 위험성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모든 문제점들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교량 등 설치대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교량등 설치대는, 교량 측단과 난간에 직립되게 설치되어지는 가이드레일의 하측단에 등의 정 방향 거치가 가능하도록 된 등 거치대를 거치시켜 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를 형성시키고, 상기 스토퍼에 거치되어진 등 거치대에는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져 가이드레일 상에서의 상,하 이송으로 점검 및 보수 시 등 거치대를 가이드레일의 상측에 고정시켜 작업의 안전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교량 등 설치대는, 등의 안정적인 정 방향 설치로 종래에 등이 교량 측단의 공중에 거꾸로 매달려 불안전하게 설치됨에 따라 발생되었던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고, 또한 가이드레일이 교량의 난간과 측단에 설치되어져 등의 점검 및 보수가 필요할 경우 작업자가 등 거치대를 난간이 방향된 가이드 레일의 상측에 안전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등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한 작업성이 용이하기 때문에 등의 주기적인 안전 점검 및 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 사시도.
도3은 도2의 전방 상면도.
도4는 도2의 측방 상면도.
도 5a는 본 발명 설치대의 가이드레일 정면도.
도 5b는 본 발명 설치대의 가이드레일 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 설치대의 가이드레일 상면도.
도 6a는 본 발명 설치대의 스토퍼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 설치대의 스토퍼 측면도.
도 6c는 본 발명 설치대의 스토퍼 상면도.
도 7a는 본 발명 설치대의 등 거치대 정면도.
도 7b는 본 발명 설치대의 등 거치대 측면도.
도 7c는 본 발명 설치대의 등 거치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하여 등이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하여 등이 교량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10은 등의 점검을 위한 본 발명의 참고 사용 상태도.
도 11은 등의 점검을 위하여 등 거치대를 이송시킨 상태도.
도 12는 종래에 교량에 등이 설치된 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치대는, 등의 정 방향 거치를 위한 등 거치대(10)와, 교량 측단과 난간에 상,하로 직립되게 설치되어지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레일(20)의 하측단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20)과 등 거치대(10)가 받쳐져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30)와, 상기 등 거치대(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0)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0) 상에서의 등 거치대(10)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캐스터(40)로 구성되고, 상기 등 거치대(10)에는 등 거치대(10)를 작업자가 끈으로 잡아당겨 가이드레일(20)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끈 고정요소(10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과 등 거치대(10)의 대응부에는 등 거치대(10)를 가이드레일(20)의 상측으로 이동시켜 볼트를 이용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고정요소(10b)(20b)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도 5a,5b,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로 절곡되어져 상기 등 거치대(10)의 양측에 고정되어 장착되어지는 캐스터(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등 거치대(1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홈(21a)을 갖는 2개의 직립대(21)와, 상기 직립대(21) 사이에의 이격 간격 유지를 위하여 직립대(21)의 상,하측에 형성되어지는 수평연결대(22a)(22b)로 이루어지고, 직립대(21)와 수평연결대(22a)(22b)는 강판으로 이루어져 용접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직립대(21)의 상측에 형성되어지는 수평연결대(22a)에는 상기 등 거치대(10)의 고정을 위한 볼트 고정요소(20b) 뿐 아니라 난간(50) 상측에 볼트를 이용한 가이드레일(20)의 설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고정요소(20c)가 형성되어지는 것이고, 하측에 형성되어지는 수평연결대(22b)에는 난간(50) 하측에 볼트를 이용한 설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볼트 고정요소(20d)를 형성시키는 것이고, 상기한 볼트 고정요소들은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30)는, 6a,6b,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31)과 받침면(32)으로 이루어지도록 "ㄴ"자로 절곡되어져 가이드레일(20)의 하단부 후면과 하단면에 용접되어지는 것으로, 이때 스토퍼(30)의 후면(31)과 받침면(32)은 상기 등 거치대(10)의 안전한 거치가 가능할 정도로 받침면(32)이 전방으로 돌출되어지는 것이고, 양측으로는 등 거치대(10)의 보다 안전한 거치를 위하여 후면(31)과 받침면(32)의 양측에 연결되어지는 안전대(33)가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30)의 후면(31)에 볼트 고정요소(20e)를 형성시켜 볼트를 이용한 교량(60)에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레일(20)의 보다 견고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받침면(32)에는 경량화를 위하여 개구면(32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30)의 하중 감량에 의하여 본 발명의 설치대를 교량에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 거치대(10)는 도 7a,7b,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로 절곡되어져 상기 케스터(30)의 장착을 위한 케스터 고정홀(11a)과 가이드레일(20)에의 고정을 위한 볼트 고정요소(10a)가 형성되어지는 후면(11)과 등(10)이 받쳐져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면(12)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받침면(12)에는 테두리부에 내입단턱(12a)이 형성되어 등 거치대(10)의 상,하 이동 시 바람 등으로 인한 등(7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경량화를 위한 개구면(12b)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 거치대(10)에는 등(70)을 포함하여 등의 점등을 위한 정류기가 동시에 거치되어지는 것으로, 이때 등 거치대(10)의 후면(11) 상측에는 정류기를 등과 분리하여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면(13)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상면(13)에 의하여 정류기를 다양한 방향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양측으로는 후면(11)과 받침면(12)에 연결되어지는 안전대(14)를 형성시켜 등(70)이 더욱 안전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 거치대(10)에 형성되어지는 끈 고정요소(10a)는 등 거치대(10)의 후면(11) 상측단 중앙에 구멍의 형태로 형성시켜 작업자가 끈을 이용하여 등 거치대(10)를 가장 용이하고 안전하게 끌어올려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등 거치대(10)의 받침면(12)에는 등(70)의 거치 시 완충을 위한 완충패드층과 등의 밀림 방지를 위한 밀림방지패드층 등 다양한 기능성패드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의 교량등 설치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앙카볼트와 U볼트를 사용하여 교량의 난간(50)에 가이드레일(2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스토퍼(30)에 거치되어진 등 거치대(10)는 캐스터(40)에 의하여 가이드레일(20)에 결합되어져 있어 등 거치대(10)에 등(70)을 거치시키면 등(70)이 교량 또는 교각에 정 방향로 설치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설치된 등의 점검 및 보수를 위하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 거치대(10)의 끈 고정요소(10a)에 끈(80)을 연결시켜 교량 위에서 작업자가 끈(80)을 잡아당기면 등 거치대(10)가 케스터(40)에 의하여 가이드레일(20)을 타고 가이드레일(20) 상측으로 안전하게 이송되어지기 때문에 등 거치대(10)를 등 거치대(10)에 형성된 볼트 고정요소(10b)와 가이드레일(20)의 상측 수평연결대(22a)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고정요소(20b)가 일치되어지는 지점으로 앙카볼트를 사용하여 교량의 난간이 방향되어 있는 가이드레일(20)의 상측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난간에서 등(70)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점검하거나 보수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등의 점검 및 보수 작업 이후에는 고정된 볼트를 해체한 후 작업자가 끈(80)을 풀어 등 거치대(10)를 다시 하강시키면 가이드레일(20)을 타고 등 거치대(10)가 안전하게 하강되어져 스토퍼(30)에 안착되어지기 때문에 등(70)이 다시 교량에 안전한 상태로 설치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10: 등 거치대 10a: 끈 고정요소
10b: 볼트 고정요소 11: 후면
12: 받침면 13: 상면
14: 안전대
20: 가이드레일 20b, 20c, 20d, 20e: 볼트 고정요소
21: 직립대 22a, 22b: 수평연결대
30: 스토퍼 31: 후면
32: 받침면 33: 안전대
40: 케스터 50: 난간
60: 교량 70: 등
80: 끈

Claims (4)

  1. 교량 측단과 난간에 상,하로 직립되게 설치되어지는 가이드레일(20)의 하측단으로는 등의 정 방향 거치를 위한 등 거치대(10)가 받쳐져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30)가 형성되고, 상기 등 거치대(10)에는 가이드레일(20)에 결합되게 장착되어 가이드레일(20) 상에서의 등 거치대(10) 상,하 이송이 가능하도록 캐스터(40)가 장착되고, 상기 등 거치대(10)에는 끈을 이용한 등 거치대(10)의 끌어올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끈 고정요소(10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상측과 등 거치대(10)의 대응부에는 등 거치대(10)를 가이드레일(20)의 상측에 볼트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볼트 고정요소(10b)(20b)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 교량등 설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레일홈(21a)을 갖는 2개의 직립대(21) 사이의 상,하측으로 수평연결대(22a)(22b)가 형성되어, 상측 수평연결대(22a)에 상기 등 거치대(10)의 고정을 위한 볼트 고정요소(20b)가 형성되도록 한 교량등 설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는 후면(31)과 받침면(32)으로 이루어지고, 후면(31)과 받침면(32)의 양측으로는 안전대(33)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31)에는 교량에의 고정을 위한 볼트 고정요소(20e)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면(32)에는 경량화를 위한 개구면(32a)이 형성되도록 한 교량등 설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 거치대(10)는 후면(11)과 받침면(12)으로 이루어지고, 후면(11)과 받침면(12)의 양측으로는 안전대(14)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11)에는 케스터 고정홀(11a)과 가이드레일(20)에의 고정을 위한 볼트 고정요소(10a)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면(12)에는 경량화를 위한 개구면(12b)과 테두리부에 내입단턱(12a)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정류기의 또 다른 수납 공간을 위한 상면(13)이 형성된 교량등 설치대.








KR1020100024830A 2010-03-19 2010-03-19 교량 등 설치대 KR10136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30A KR101369243B1 (ko) 2010-03-19 2010-03-19 교량 등 설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30A KR101369243B1 (ko) 2010-03-19 2010-03-19 교량 등 설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02A KR20110105602A (ko) 2011-09-27
KR101369243B1 true KR101369243B1 (ko) 2014-03-24

Family

ID=4495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30A KR101369243B1 (ko) 2010-03-19 2010-03-19 교량 등 설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2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547A (ko) 2022-03-28 2023-10-05 신용범 교량표지용 해상용등명기의 회동점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42B1 (ko) 2022-01-27 2022-09-01 고성광 교량등 설치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7-04-09 서미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7-04-09 서미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9547A (ko) 2022-03-28 2023-10-05 신용범 교량표지용 해상용등명기의 회동점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02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549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2216545A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US9090437B2 (en) Trolley of overhead crane
KR101369243B1 (ko) 교량 등 설치대
KR101224416B1 (ko)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JP2015101472A (ja) 乗客コンベア用フレーム支持構造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265273B1 (ko) 선박용 승하선 사다리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JP7062279B2 (ja) 墜落防止器具
CN206814225U (zh) 轿厢吊架机构
KR20110105601A (ko) 리니어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교량 등 설치대
JP200525529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A2296856C (en) Scaffold mountable hoist platform
JP4606858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振れ止め装置
CN208932770U (zh) 一种自动扶梯的梯级链张紧架
TWI773793B (zh) 可由工作者在長形導軌之檢測操作期間使用之安全系統
JP20111530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KR101263300B1 (ko) 본체 상하 이동식 권상장치
KR20170132597A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20210148282A (ko) 승강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카 지지대
KR100561709B1 (ko) 교량 상판 하부받침장치 안전점검시설
JP3444816B2 (ja) エレベータ主索の交換方法
JP2009012865A (ja) エレベータ
JP5460077B2 (ja) ピット梯子装置及びピット梯子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