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766B1 -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 Google Patents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766B1
KR100703766B1 KR1020060048569A KR20060048569A KR100703766B1 KR 100703766 B1 KR100703766 B1 KR 100703766B1 KR 1020060048569 A KR1020060048569 A KR 1020060048569A KR 20060048569 A KR20060048569 A KR 20060048569A KR 100703766 B1 KR100703766 B1 KR 100703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guide roller
elevating member
guid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미란
Original Assignee
서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미란 filed Critical 서미란
Priority to KR102006004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3/00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가이드레일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일체형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설치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 그 절곡된 형상(개구부, 전면지지턱, 후면지지턱)에 따라 길이방향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롤러를 안정되게 상하 수직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하강부재로부터의 받침판에 올려놓는 물품의 안정된 상태로 승하강시켜 운반하는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됨은 물론, 좁은 공간으로부터 독립적인 수직 설치로서 건축현장, 복층으로 된 영업소의 물품 엘리베이터, 공구상가, 물품창고 등의 활용범위를 넓은 이점이 있다.
리프트, 가이드레일, 가이드롤러, 절곡, 승하강부재

Description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Singleness pillar type guide rail for lift}
도 1은 종래 리프트용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리프트용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롤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일 예의 리프트장치를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승하강부재 13: 가이드롤러
13a: 직경 13b: 직각면
20: 가이드레일 20-1: 전면부
20-2: 측면부 20-3: 후면부
21: 개구부 22: 전면 지지턱
23: 후면 지지턱 24: 플랜지
24a: 결합공 30: 승하강수단
본 발명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바닥 또는 윈치 등의 권선장치 상부에 수직으로 기립 설치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연속 설치가 가능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승하강부재의 가이드롤러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단독으로 설치되어 좁은 공간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리프트장치는 지게차, 과중량의 물건을 인양하는 기중기 등의 장치 외에도 소규모로 공장, 상가 등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건축 구조물이나, 벽면 측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물건을 탑재하여 상층이나 하층으로 이동시켜 물품의 보관, 운반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형 리프트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작은 중량체의 물품을 탑재시켜 리프팅 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리프트장치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또는 구조물의 측면으로부터 한 쌍의 가이드레일(2)이 수직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은 보편적인 ㄷ자 형의 형강으로 제작된 것으로, 이는 길이방향의 개구된 면이 상호 마주하는 상태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하면서 기립 설치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2) 상에는 물건을 탑재시켜 승강시킬 수 있는 승하강부재(1)가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부재(1)는 양측에 가이드레일(2)을 따라 구름 동작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롤러(1-3)가 각각 마련되며, 승하강부재(1)의 몸체(1-1) 일측에는 물건을 탑재시키기 위한 받침판(1-2)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이 설치되는 장소는 벽면이나 구조물의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되, 이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길이방향에 등 간격의 고정대(4)를 용접 설치하거나, 벽면 측과 가이드레일 측과의 브라켓 설치로서 수직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2) 상에 설치된 승하강부재(1)는 이를 상하동작시키기 위한 승강수단(도면에서 생략함)이 설치되며, 승강수단은 와이어로프를 승하강부재측으로부터 마련되는 도르레를 통해 연결하여 윈치를 이용하거나, 상부로부터 설치되는 별도의 호이스트 장치에 의해 승,하강 동작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는 리프트에 있어, 승강 높이가 비교적 낮은 높이(사람이 들어올릴 수 있는 정도의 높이)는 직접적으로 승하강부재측에 유압실린더를 연결하여 작동로드의 전,후진동작으로서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이드롤러가 적용되는 가이드레일의 설치에 따른 취약점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야 하는 평행조건을 가지게 되며, 이는 적지않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단점과, 한정된 지점에 설치되어야 하는 이유에서 활용도가 극히 낮은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호 대응되면서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에 대하여 승하강부재(1)에 적용된 가이드롤러(1-3)의 구름접촉 ㄷ자 내면에 단차진 직경 이 안내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먼저,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롤러인 경우, 구름접촉되는 부분이 도면에서 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의 A부분과 B부분에 직경이 접촉 가이드 되는데, 승하강부재(1)를 통해 받침판(1-2)에 실리는 무게에 따라 양측 가이드롤러 중 어느 한쪽의 가이드롤러(1-3)에 편중된 힘이 실리게 되어 가이드롤러의 편마모가 발생되며, 이는 승하강부재의 승,하강동작에 있어 가이드레일의 C부분에 편중되어 밀착되는 사례가 발생되므로, 승하강부재의 승하강작용이 부자연스러워지는 폐단이 있었다.
가령, 단차진 가이드롤러(1-3)의 경우는 구름접촉되는 면이 A부분, B부분에 작은 직경이 안내되더라도, 가이드롤러의 단차진 직경에서 직각되는 원형의 접촉면은 가이드레일의 D부분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상하 이동되는데, 가이드레일의 D부분의 두께가 갖는 폭이 가이드롤러의 접촉되는 면보다 작기 때문에 마모가 발생되며, 이때 승하강부재(1)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1-3)는 양측 가이드레일(2)로부터 좌우측방으로 유격이 발생되어 이 또한 승하강부재의 승하강 작용이 매끄럽게 이루어지지 않는 폐단이 있었다.
즉, 승하강부재의 수평유지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물품 이송은 불안정하며, 물품의 운반도중 흔들림으로 물품이 받침판으로부터 흐트러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점을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바닥 또는 윈치 등의 권선장치 상부에 수직으로 기립 설치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연속 설치가 가능하고, 내부에 설치되는 승하강부재의 가이드롤러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하강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단독으로 설치되어 좁은 공간으로부터 효율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측으로부터 물건을 탑재하기 위한 받침판이 구비되고, 몸체 상,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롤러가 대응되게 설치된 승하강부재와, 상기 가이드롤러를 상하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하강부재로부터 와이어로프와 도르레의 설치로서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으로 구성된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면으로부터 중앙에 소정 폭의 개구부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단차진 직경에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양단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전면 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지지턱의 개구된 지점으로부터 연이어 일체로 직각되게 전면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로부터 직각으로 측면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로부터 상기 가이드롤러의 단차진 직경이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후면부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편, 상기 후면부로부터 가이드롤러의 단차진 직각면이 걸려지도록 상기 개구부와 동일한 폭의 후면 지지턱이 후방으로 직각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며, 길이방향 상,하부측 양단에는 상기 개구부로부터 후면 지지턱을 포함하는 외측둘레에는 또 하나의 가이드레일을 연속 설치하기 위한 결합공이 등 간격지게 형성된 플랜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인 리프트용 가이드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에 가이드롤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이용하여 일 예의 리프트장치를 구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이다.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물건을 탑재하기 위한 받침판(12)이 구비되고, 몸체(11) 상,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롤러(13)가 대응되게 설치된 승하강부재(10)와, 상기 가이드롤러(13)를 포함하여 승하강부재를 상하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승하강부재(10)로부터 와이어로프(W)와 도르레(R)의 설치로서 승하강부재(1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30)으로 구성된 리프트(1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면으로부터 중앙에 소정 폭의 개구부(21)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13)의 단차진 직경(13a)에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양단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전면 지지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지지턱(22)의 개구된 지점으로부터 연이어 일체로 직각되게 전면부(20-1)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20-1)로부터 직각으로 측면부(20-2)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20-2)로부터 상기 가이드롤러(13)의 단차진 직경이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후면부(20-3)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편, 상기 후면부(20-3)로부터 가이드롤러(13)의 단차진 직각면(13b)이 걸 려지도록 상기 개구부(21)와 동일한 폭의 후면 지지턱(23)이 후방으로 직각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며, 길이방향 상,하부측 양단에 상기 개구부(21)로부터 후면 지지턱(23)을 포함하는 외측둘레에는 또 하나의 가이드레일(20)을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하기 위한 결합공(24a)이 등 간격지게 형성된 플랜지(24)가 부착된 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레일(20)로부터 설치되는 승하강부재(10)측의 받침판(12)은 실사용에 따라 접거나, 이중으로 펼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서, 승하강부재(10)의 몸체(11)측으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3)는 승하강부재(10)의 적어도 상, 하부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승하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의 설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이드레일(20)의 상,하부측 일단에 마련된 플랜지(24)를 통해 첨부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고정 설치되는 승강수단(30)의 상부에 고정한다.
또는 단독적으로 바닥으로부터 상기 플랜지(24)의 결합공(24a)을 감안한 기초보울트(도면에서 생략함)를 설치하고, 이 기초보울트를 통해 하부측 플랜지를 위치시켜 준비된 너트의 체결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을 기립되게 설치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수직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은 첨부된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플랜지(24)를 통해 또 하나의 동일한 가이드레일을 사용범위의 높이에 따라 연속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설치공간은 구석진 모퉁이, 벽면, 구조물로부터 근접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치 예는 복층으로 된 영업식당에서 사용되는 음식 엘리베이터의 용도, 건축공사현장, 밀집된 공구상가의 입구 등에 유효 적절한 위치에 단독으로 수직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구상가에 설치되어 사용됨에 있어서, 물품의 운반차량에 대해 물품의 하역과 적재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20)은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플랜지(24)측의 결합공(24a)을 통해 체결된 보울트 또는 너트를 분리하여, 손쉬운 해체와 더불어 필요로 하는 장소에 설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레일(20)에 있어, 몸체(11) 일측으로부터 받침판(12)과 가이드롤러(13)가 구비된 승하강부재(10)를 설치하되, 대응되는 가이드롤러(13)는 가이드레일(2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ㄷ자 형의 전면 지지턱(22)과 후면부(20-3)의 내측면에 단턱진 가이드롤러(13)의 직경(13a)을 안내시켜 승하강 가능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승강수단(30)을 통해 승,하강 동작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로프(W)와 도르레(R)를 이용하여 상기 승하강부재(10)측과 연결 설치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도면상에서 그 하부에 위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와이어가 권선된 윈치를 통해 연결 설치되지만, 가이드레일(20)의 상부로부터 호이스트 등의 장비를 장치하여 승,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도 채택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승,하강 동작되는 승하강부재(10)측 가이드롤러(13)는 상기와 같이 전면 지지턱(22)과 후면부(20-3)의 내측면에 단턱진 가이드롤러(13)의 직경(13a)을 수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가이드롤러(13)의 단차진 직경(13a)으로부터 직각되는 원형의 직각면(13b)은 가이드레일(20)의 전면부(20-1)에 형성된 개구부(21)와 상기 후면부(20-3)로부터 더 돌출시킨 후면 지지턱(2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동되는 것으로, 가이드롤러(13)의 안정적인 승,하강 동작에 있어, 좌우측 및 전후측의 유동이 방지되어 승하강부재(10)를 보다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승하강부재(10)의 몸체(11) 상,하측에 대응되게 설치된 가이드롤러(13)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있어, 그 내부 중앙부분에서 수직되는 일방향을 제외한 좌,우측, 전후측방으로 유동 없이 구름작용 함으로써, 가이드롤러의 불안정한 수직 승하강작용으로서 받침판에 탑재된 물품이 흐트러지거나 떨어지는 등의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일체형으로 절곡시켜 형성된 것으로, 설치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 그 절곡된 형상(개구부, 전면지지턱, 후면지지턱)에 따라 길이방향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롤러를 안정되게 상하 수직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하강부재로부터의 받침판에 올려놓는 물품의 안정된 상태로 승하강시켜 운반하는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됨은 물론, 좁은공간으로부터 독립적인 수직 설치로서 건축현장, 복층으로 된 영업소의 물품 엘리베 이터, 공구상가, 물품창고 등의 활용범위를 넓은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일측으로부터 물건을 탑재하기 위한 받침판(12)이 구비되고, 몸체(11) 상,하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가이드롤러(13)가 대응되게 설치된 승하강부재(10)와, 상기 가이드롤러(13)를 포함하여 승하강부재를 상하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승하강부재(10)로부터 와이어로프(W)와 도르레(R)의 설치로서 승하강부재(1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30)으로 구성된 리프트(10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은 하나의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길이방향 일측면으로부터 중앙에 소정 폭의 개구부(21)를 갖도록 하면서 상기 가이드롤러(13)의 단차진 직경(13a)에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양단이 ㄷ자 형상을 이루는 전면 지지턱(22)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 지지턱(22)의 개구된 지점으로부터 연이어 일체로 직각되게 전면부(20-1)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20-1)로부터 직각으로 측면부(20-2)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20-2)로부터 상기 가이드롤러(13)의 단차진 직경이 접촉되어 안내되도록 후면부(20-3)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한편, 상기 후면부(20-3)로부터 가이드롤러(13)의 단차진 직각면(13b)이 걸려지도록 상기 개구부(21)와 동일한 폭의 후면 지지턱(23)이 후방으로 직각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며, 길이방향 상,하부측 양단에 상기 개구부(21)로부터 후면 지지턱(23)을 포함하는 외측둘레에는 또 하나의 가이드레일(20)을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하기 위한 결합공(24a)이 등 간격지게 형성된 플랜지(24)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13)는 승하강부재(10)의 적어도 상, 하부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되어 승하강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KR1020060048569A 2006-05-30 2006-05-30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KR100703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569A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6-05-30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569A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6-05-30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766B1 true KR100703766B1 (ko) 2007-04-09

Family

ID=3816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569A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6-05-30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766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695B1 (ko) * 2010-03-11 2011-01-10 주식회사 지엔에스모션 전동식 리프트 칼럼
KR101260601B1 (ko) * 2011-03-11 2013-05-03 김명수 고소차용 신축식 작업대
KR101369243B1 (ko) 2010-03-19 2014-03-24 우리해양 주식회사 교량 등 설치대
KR101470354B1 (ko) * 2014-04-09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KR101572313B1 (ko) * 2013-09-27 2015-11-2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KR20210020281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10020280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102279571B1 (ko) * 2020-03-27 2021-07-20 김대형 건축가설용 화물 승하강 장치
KR20220168025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30007180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102502853B1 (ko) * 2022-06-24 2023-02-23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방폭등기구 높이 조절구
US11673778B2 (en) 2020-01-20 2023-06-13 Yingkou Tianzhou Technology Co., Ltd. Upright post structure and automobile elevator
KR102670026B1 (ko) * 2022-05-25 2024-05-27 안장홍 승강물류용 덤웨이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실용공고1981-708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695B1 (ko) * 2010-03-11 2011-01-10 주식회사 지엔에스모션 전동식 리프트 칼럼
KR101369243B1 (ko) 2010-03-19 2014-03-24 우리해양 주식회사 교량 등 설치대
KR101260601B1 (ko) * 2011-03-11 2013-05-03 김명수 고소차용 신축식 작업대
KR101572313B1 (ko) * 2013-09-27 2015-11-2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취수구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70354B1 (ko) * 2014-04-09 2014-12-08 박미숙 무대리프트 승하강 장치
KR102282066B1 (ko) 2019-08-14 2021-07-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10020280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10020281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102282065B1 (ko) * 2019-08-14 2021-07-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US11673778B2 (en) 2020-01-20 2023-06-13 Yingkou Tianzhou Technology Co., Ltd. Upright post structure and automobile elevator
KR102279571B1 (ko) * 2020-03-27 2021-07-20 김대형 건축가설용 화물 승하강 장치
KR20220168025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102536552B1 (ko) 2021-06-15 2023-05-2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30007180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102514155B1 (ko) 2021-07-05 2023-03-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102670026B1 (ko) * 2022-05-25 2024-05-27 안장홍 승강물류용 덤웨이트
KR102502853B1 (ko) * 2022-06-24 2023-02-23 일신산업전기 주식회사 방폭등기구 높이 조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766B1 (ko)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US6511275B2 (en) Drywall panel carrier attachable to lift platform
JP2008156015A (ja) 移動クレーン
JP2009051574A (ja) エレベータの工事作業用足場、及びそれを用いた足場の設置方法
KR20120114106A (ko) 대차 레일 이동용 지그
JP6735483B2 (ja) 搬入装置
JP2010007228A (ja) 荷吊り装置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JPH0628548Y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の吊り装置
AU2016101598B4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ssing a Racking System
JP2000063094A (ja) 簡易型吊り上げ搬送装置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JP2003095407A (ja) テーブル上の台車により物品を搬入搬出する方法
JP3092430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CN212269305U (zh) 一种吊装装置
JPH08231161A (ja) 下降型工事用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エレベータマストを下降方向に延長する方法
JPS63300100A (ja) 重量物運搬装置
JP2018065500A (ja) 建材向き変更装置
CN210682994U (zh) 延伸梁防翘起的桥式起重机
KR102524889B1 (ko) 중량물 인상기
KR20230034498A (ko) 텔레스코픽 방식의 스태커 크레인
KR200236339Y1 (ko)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JPH0592894A (ja) 棚積クレーン
JP3477672B2 (ja) 斜行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
JP2023128271A (ja) 工事用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