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339Y1 -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 Google Patents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339Y1
KR200236339Y1 KR2020010009803U KR20010009803U KR200236339Y1 KR 200236339 Y1 KR200236339 Y1 KR 200236339Y1 KR 2020010009803 U KR2020010009803 U KR 2020010009803U KR 20010009803 U KR20010009803 U KR 20010009803U KR 200236339 Y1 KR200236339 Y1 KR 200236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argo
rotating plate
fork
lift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원
Original Assignee
형제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형제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9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33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써, 저장창고, 공장건물, 산업현장 등에서 화물의 이동 및 적재 시 화물이 올려진 포크가 신축 가능한 신축빔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됨은 물론, 상기 신축빔이 새들에 설치된 회전판과 결합되어져 회전이 가능하여 적재 시간의 단축 및 적재공간의 이용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ROTARY LIFT CRANE}
본 고안은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의 이동 및 적재 시 화물이 올려진 포크가 신축 가능한 신축빔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됨은 물론, 회전이 가능하여 적재 시간의 단축 및 적재공간의 이용효율이 증가시키는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크레인은 저장창고, 공장건물, 산업현장 등에 설치된 철골 구조물의 거더(Girder) 및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에는 호이스트(Hoist)가 설치되고, 상기 호이스트에 연결된 와이어, 로프 등의 끝단부에 화물 또는 적재물 등의 중량물(이하 ‘화물’이라 함)을 묶거나 연결고리, 훅(Hook) 등에 걸어서 들어올린 후 소정의 위치로 이동 및 적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승-하강 시에 화물이 흔들리거나 이동, 정지 시에 화물이 흔들림이 발생하여 주위의 구조물 및 작업자와 충돌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발생하고, 화물의 파손 및 추락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장창고에 적재된 화물을 이동하는 수단의 일환으로 지게차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저장창고 내에서 지게차가 진입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뒤 지게차가 이동하여 빠져나오는 통로 및 회전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공간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없어서 저장창고 내의 공간이용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에 따른 화물의 적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물이 올려지는 포크가 상-하로 신축이 가능한 신축빔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 및 이동됨은 물론, 상기 신축빔이 새들에 설치된 회전판과 결합되어져 상기 포크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물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이동이 자유롭고, 다른 적재된 화물과의 충돌이나 별도의 통로가 필요없이 저장창고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포크의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새들과, 상기 새들에 설치된 호이스트에 체인이 연결된 통상의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가 설치된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구동기어가 결합된 기어드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새들과 연결되는 주프레임과; 상기 체인이 통과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종동기어와 베어링이 내장된 하우징과 회전판이 결합된 중공형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과 주프레임을 연결하는 지지대와; 일측부가 상기 회전판과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화물이 올려지는 포크를 지지하는 신축빔과; 상기 포크는 상기 체인의 끝단부가 연결되어져 상기 신축빔을 따라 승-하강 및 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을 중앙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 - 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호이스트 12: 와이어
14: 포크 20: 주프레임
22: 지지프레임 26: 기어드모터
30: 회전축 32: 종동기어
34: 하우징 36: 회전판
38: 지지대 40: 가이드롤러
50: 신축빔 52: 고정빔
54: 연결빔 56: 안내빔
58: 하부롤러 60: 신축체인
66, 68: 롤러 70: 실린더
100: 횡행새들 108: 횡행레일
110: 주행새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을 중앙에서 절개하여 도시한 중앙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은 건물 내지는 산업현장 등에 주로 설치되고, 이는 철골 구조물에 전-후방으로 양측부에 나란하게 수평 설치된 주행레일(116)과, 상기 주행레일(116)을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주행새들(110)과, 양측 단부가 상기 주행새들(110)과 결합되고 하단부에 횡행레일(108)이 결합된 거더(Girder; 106)와, 상기 횡행레일(100)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횡행새들(100)이 설치된다. 상기 거더(106) 및 횡행새들(100)은 도 3에서처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져 나란하게 설치되어져 상기 주행새들(110)과 함께 이동된다.
상기 새들(100,110)에는 레일(108,116)을 따라 구동하는 롤러(104)가 양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104)와 연결된 모터(102)가 구비되어져 전-후 또는 좌-후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양측 횡행새들(10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양측의 주프레임(20)으로 연결된다. 상기 주프레임(20)의 상단부에는 양측부에 지지프레임(22)이 설치된다. 지지봉(24)의 양측 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22)과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훅(Hook) 등을 통해 호이스트(10)가 설치된다. 상기 호이스트(Hoist; 10)는 전동기, 감속장치, 와인딩 드럼 등을 하나로 조합한 소형의 감아 올리기 기계로서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것이 많다. 그리고, 체인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전기 호이스트 등이 있다. 상기 체인(12)은 와이어, 로프, 등이 사용되고, 상기 호이스트(10)는 바람직하게는 체인이 연결된 체인 호이스트이다. 상기 주프레임(20)의 일측부에는 구동기어(28)가 모터축과 결합된 기어드모터(2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기어드모터(Geared Motor; 26)는 전동기와 감속기어장치를 하나로 조합된 것이다.
회전축(30)은 중공체로써 중간부에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하우징(34)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34)의 하부에 회전판(36)과, 상부에 상기 구동기어(28)와 연결된 종동기어(32)가 결합되어져 고정구가 체결된다. 상기 양측 주프레임(20)의 외측부 양측에는 다수개의 지지구(42)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구(42)에는 축봉으로 지지된 가이드롤러(40)가 하향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롤러(40)의 홈부에상기 회전판(30)의 외측 테두리부가 삽입되어져 상기 회전판(30)의 지지 및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 하우징(34)의 중간부에는 지지대(38)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38)의 타측부는 주프레임(20)과 결합되어져 상기 하우징(34)을 지지한다. 상기 회전판(36)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져 양측부에 하향 수직되게 신축빔(50)이 설치된다. 상기 신축빔(50)은 상단부가 상기 회전판(36)과 결합된 고정빔(52)과, 상기 고정빔(5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연결빔(54)과, 상기 연결빔(5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안내빔(56)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축빔(50)은 도 4에서처럼,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연결빔(54)과 안내빔(56)의 외측면 일측부에는 롤러(66)를 안내하는 돌출부(55,57)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55,57)의 일측부에는 원활한 슬라이딩을 위한 슬라이딩패드(69)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빔(52)의 하단부와 상기 연결빔(54)과 안내빔(56)의 상부와 하부에는 신축빔(50)의 상-하 신축 시에 원활한 슬라이딩은 물론,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롤러(66)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빔(56)의 일측부에는 고정구(64)와, 하단부에는 하부롤러(58)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빔(54)의 상단 내측부에는 스토퍼(59)가 설치된다. 상기 신축빔(50)은 3단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화물이 승-하강되는 높이에 따라 1단 또는 1단 이상의 복수개의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포크(14)는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양측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져 수직부의 일측이 받침판(16)과 결합되어져 화물이 올려진다. 상기 포크(14)는 화물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판(16)의일측면 중간부에는 상기 체인(12)이 연결되는 고정구(18)와, 상기 고정구(18)의 하부에 연결구(62)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62)와 고정구(64)는 하부롤러(58)에 감아도는 신축체인(60)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62)의 양측부에는 지지대(17)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17)에는 상기 안내빔(56)의 내측부를 따라 구동하는 롤러(68)가 설치된다.
실린더(70)는 일측부가 상기 회전판(36)의 하단 일측부와 힌지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신축빔(5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크(14)의 타측부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실린더(70)는 신축빔(50)을 지지하고, 상기 횡행새들(100)의 이동 및 정지 시 상기 신축빔(5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횡행새들(100)의 양측부에는 스토퍼(44)가 설치되어져 상기 횡행새들(100)이 주행레일(116)과 충돌하거나 포크(14)가 벽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상기 호이스트(10)가 체인(12)을 감아 올리면 상기 포크(14)는 상승되고, 이때 상기 연결구(62)도 상승되고, 상기 신축체인(60)이 하부롤러(56)를 감아 돌면서 안내빔(56)이 동시에 상승된다. 상기 안내빔(56)이 지속적으로 상승되면 상단부가 상기 연결빔(54)의 스토퍼(59)와 접촉하여 연결빔(54)이 함께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드모터(26)가 작동하여 상기 구동기어(28)가 종동기어(32)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30)과 결합된 회전판(36)과 신축빔(50)과 포크(14)는 회전된다. 또한, 상기 새들(100,110)은 모터(102)가 작동하여 기어로 연결된 롤러(104)가 구동하면서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은 화물의 이동적재함에 있어서, 화물이 올려지는 포크의 안정된 상태에서의 승-하강은 물론, 회전이 가능하여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자유롭고, 화물의 적재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화물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원하는 적재위치로 이동 시 별도의 통로가 필요치 않아서 저장창고 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적재공간의 이용효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호이스트와 연결된 포크가 구비되어져 화물이 안정적으로 올려지고, 상기 포크가 신축빔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됨으로써 화물을 추락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화물이 적재된 포크를 빔 및 실린더로 지지함으로써 이동 및 정지 시 화물이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화물이 주위의 구조물 및 작업자 등과의 충돌 및 추락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포크를 지지하는 신축빔이 다단으로 형성되어져 높낮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자유롭고, 화물의 적재 높이에 따라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새들(100)과, 상기 새들(100)에 설치된 호이스트(10)에 체인(12)이 연결된 통상의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10)가 설치된 지지프레임(22)이 설치되고, 구동기어(28)가 결합된 기어드모터(26)가 설치되고, 상기 양측 새들(100)과 연결되는 주프레임(20)과;
    상기 체인(12)이 통과되고, 상기 구동기어(28)와 연결되는 종동기어(32)와 베어링이 내장된 하우징(34)과 회전판(36)이 결합된 중공형 회전축(30)과;
    상기 하우징(34)과 주프레임(20)을 연결하는 지지대(38)와;
    일측부가 상기 회전판(30)과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어져 화물이 올려지는 포크(14)를 지지하는 신축빔(50)과;
    상기 포크(14)는 상기 체인(12)의 끝단부가 연결되어져 상기 신축빔(50)을 따라 승-하강 및 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20)에는 상기 회전판(36)을 안내 및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40)가 복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빔(50)은 상단부가 상기 회전판(36)과 결합되고, 하부에 롤러(66)가 결합된 고정빔(52)과, 상기 고정빔(5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연결빔(54)과, 상기 연결빔(54)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하단부에 하부롤러(58)가 장착된 안내빔(5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빔(56)의 일측부에 결합된 신축체인(60)은 상기 하부롤러(58)를 감아 돌면서 상기 포크(14)와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빔(50)과 회전판(36)을 연결 지지하는 실린더(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KR2020010009803U 2001-04-09 2001-04-09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KR200236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03U KR200236339Y1 (ko) 2001-04-09 2001-04-09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803U KR200236339Y1 (ko) 2001-04-09 2001-04-09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339Y1 true KR200236339Y1 (ko) 2001-10-11

Family

ID=7309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803U KR200236339Y1 (ko) 2001-04-09 2001-04-09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3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3004A (zh) * 2018-05-17 2018-08-10 史瑶瑶 一种货架起重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3004A (zh) * 2018-05-17 2018-08-10 史瑶瑶 一种货架起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92134C1 (ru) Мостовой кран
KR970026838A (ko) 자동창고용 입출고 장치
US3971478A (en) Overhead crane with lifting beam provided with C-shaped claws
JP2009137695A (ja) エレベータ
US5489033A (en) Low headroom stacker crane
KR200236339Y1 (ko)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KR20140122488A (ko)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JP2007113345A (ja) 駐車装置と昇降装置
JPS59158794A (ja) 鉄塔組立用クレ−ン
CN218058156U (zh) 一种可移动式设备门型吊
JP3865531B2 (ja) 駐車設備の昇降装置
US5626247A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moving the main girder and trolley of a crane
US3422963A (en) Safety suspension for cab of stacker crane
KR0148135B1 (ko)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JPH02279876A (ja) 多段式駐車装置
KR980009092A (ko) 천정 크레인
JP2959330B2 (ja) 出し入れ装置
KR200251266Y1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JP2569585Y2 (ja) 立体駐車装置の昇降台巻上げ機構
SU1364589A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одъемник
JPH07251904A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SU387921A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подъемник12
KR20230034498A (ko) 텔레스코픽 방식의 스태커 크레인
JPH0881012A (ja) 自動倉庫用スタッカクレーン
KR19980058847U (ko) 자동창고 시스템의 스태커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