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552B1 - 수직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552B1
KR102536552B1 KR1020210077519A KR20210077519A KR102536552B1 KR 102536552 B1 KR102536552 B1 KR 102536552B1 KR 1020210077519 A KR1020210077519 A KR 1020210077519A KR 20210077519 A KR20210077519 A KR 20210077519A KR 102536552 B1 KR102536552 B1 KR 102536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frame
lifting unit
trave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8025A (ko
Inventor
김현철
홍승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1007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5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6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Abstract

수직반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은, 반송 대상물을 지지하는 캐리지 본체와, 캐리지 본체에 연결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되는 캐리지; 캐리지 승강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리프터; 및 캐리지 승강유닛이 주행하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를 형성하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을 구비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은,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의 캐리지 본체를 향한 개구의 폭을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반송 시스템{Vertical Transport Systems}
본 발명은, 수직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의 본체를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캐리지 승강유닛의 휠 모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캐리지 승강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직반송 시스템은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할 때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하며, 도 1은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마스트 프레임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수직반송 시스템(1')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대상(2)을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반송하기 위한 통로인 부쓰(Booth, 3)를 마련하고, 그 내부에 캐리지(100'), 리프터(200') 및 마스트 프레임(300')을 마련하여 반송 대상(2)을 원하는 위치로 반송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리프터(200')의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구동부(210)가 동작하여 캐리지 승강유닛(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타이밍 벨트(22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캐리지 본체(110')를 포함하는 캐리지(100')를 원하는 층으로 반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마스트 프레임(300')은 복수 개의 층에 걸쳐 상하로 인접한 2개의 층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P)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균형추 승강유닛(230')이 흔들림없이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레일(Rail)의 역할을 해주므로, 마스트 프레임(300')의 내부에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균형추 승강유닛(23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 도 2 참조)와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P2', 도 2 참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캐리지 승강유닛(130')이 마스트 프레임(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 수직반송 시스템은 마스트 프레임과 캐리지 승강 유닛이 차지하는 면적을 좁힐 수 있으므로 전제적인 디자인을 심플하게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주행 휠에 의해 발생하는 파티클이 분산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수직반송 시스템의 청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반대로 주행 휠이 마스트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함에 따라, 마모된 주행 휠을 교체하기 위한 유지 보수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6240호 (2016.03.09.)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의 본체를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캐리지 승강유닛의 휠 모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캐리지 승강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 대상물을 지지하는 캐리지 본체와, 상기 캐리지 본체에 연결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리프터; 및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이 주행하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를 형성하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을 구비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의 상기 캐리지 본체를 향한 개구의 폭을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지 본체를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의 양 자유단부 내측에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단위 착탈식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며, 다수의 단위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하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에 배치되는 본체 모듈; 및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되되,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 측의 주행 면에 접촉하여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 휠 모듈은,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 방향으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주행 휠 모듈은, 상기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 모듈에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제1 주행 휠 모듈과 제2 주행 휠 모듈; 및 상기 제1 주행 휠 모듈 및 상기 제2 주행 휠 모듈을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행 휠 모듈 및 상기 제2 주행 휠 모듈 각각은,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 및 분리되는 주행 휠 지지블록; 및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은 상기 본체 모듈에 마련되는 주행 휠 모듈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행 휠 모듈 결합부에는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차 돌출부가 끼워 맞춰지는 단차 오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은, 상기 주행 휠 모듈이 접촉하는 주행 면과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의 가이드 면에 접촉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휠 모듈은,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 방향으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휠 모듈은,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캐리지 본체를 향한 개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되는 가이드 휠 지지블록; 및 상기 가이드 휠 지지블록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휠 지지블록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에 접촉하는 한 쌍의 가이드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휠 지지블록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 형태로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 모듈의 가이드 휠 모듈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휠 지지블록 및 제2 가이드 휠 지지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휠은 상기 제1 가이드 휠 지지블록 및 상기 제2 가이드 휠 지지블록의 수평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스트 프레임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상하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유닛이 주행하는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를 형성하는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이 상기 캐리지 본체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본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마스트 프레임이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의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에는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이 각각 주행할 수 있다.
상기 마스트 프레임은,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지 본체에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배치되는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 및 상기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마스트 프레임이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비접촉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비접촉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의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에는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이 각각 주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과 본체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모듈을 구비하는 캐리지 승강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의 본체를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캐리지 승강유닛의 휠 모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캐리지 승강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마스트 프레임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트 프레임과 캐리지 승강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스트 프레임과 캐리지 승강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주행 휠 모듈과 가이드 휠 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트 프레임과 캐리지 승강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마스트 프레임과 캐리지 승강유닛의 분해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주행 휠 모듈과 가이드 휠 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은, 캐리지(100)와, 리프터(200)와, 마스트 프레임(300A)을 포함한다.
먼저, 캐리지(100)는 반송 대상을 지지하며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昇降), 즉 상승(上昇) 및 하강(下降)함으로써 반송 대상을 반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캐리지(100)는,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본체(110)와 캐리지 승강유닛(130)을 포함한다.
캐리지 본체(110)는 반송 대상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캐리지 승강유닛(130)은 캐리지 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리프터의 구동부(210, 도 1 참조)에 의해 승강되면서 캐리지 본체(110)를 함께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캐리지 본체(110)와 캐리지 승강유닛(130)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리프터(2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지 승강유닛(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캐리지(10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동부(210, 도1 참조)와, 타이밍 벨트(220)와, 균형추 승강유닛(230)을 포함한다.
구동부(210, 도1 참조)는 일반적으로 풀리(240, 도 1 참조)와 연결되어 풀리를 회전시키며, 풀리의 회전에 의해 타이밍 벨트(220)를 움직임으로써, 캐리지(100)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풀리와 타이밍 벨트의 조합 이외에도 캐리지 승강유닛(130)의 일측에 연결되어 캐리지(100)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균형추 승강유닛(230)은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타이밍 벨트(220)에 의해 연결되어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캐리지 승강유닛(130)을 움직이는 구동부(210)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은 비접촉전원 마스트 프레임(300A)으로 마련되며, 도 3 내지 도 5 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과,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350)을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트 프레임인 비접촉전원 마스트 프레임(300A)은 복수 개의 층에 걸쳐 상하로 인접한 2개의 층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균형추 승강유닛(230)이 흔들림없이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레일(Rail)의 역할을 해준다.
우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전면부에 배치된 캐리지(100)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과,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350)은 캐리지 본체(11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때,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이 중앙에 배치되고,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의 양측에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 및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350)이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마스트 프레임과 비교하여,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와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P3)가 캐리지 본체(11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캐리지 본체와 균형추의 무게 배분을 고려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프레임(300')의 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는 캐리지 본체(110')측 방향에 위치하고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P2')는 그 반대편에 위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마스트 프레임은 캐리지 본체와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와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마스트 프레임이 캐리지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종래 방식의 마스트 프레임을 사용하여 복수 개의 캐리지를 반송하는 수직반송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하여 캐리지의 수 만큼 마스트 프레임과 리프터를 추가로 설치할 때, 수직반송 시스템의 설치 면적이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을 마련함으로써 캐리지 본체와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와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가 ㄱ자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어 마스트 프레임이 캐리지 본체에 밀착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캐리지 본체와 마스트 프레임을 둘러싸는 면적이 훨씬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는 후술할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면부에 배치된 캐리지와 후면부에 배치된 캐리지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듀얼 캐리지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 더욱 증가될 수 있으며, 보다 컴팩트한 구조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수직반송 시스템의 설치 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은 캐리지 승강유닛이 주행하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의 캐리지 본체(110)를 향한 개구의 폭을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은 메인 프레임(311)과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을 포함하며, 여기서 메인 프레임(311)은 내부에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를 형성하기 위하여 캐리지 본체(110)를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이고,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은 메인 프레임(311)의 개방된 부분의 양 자유단부 내측에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캐리지 승강유닛(13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렇게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메인 프레임(311)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의 캐리지 본체(110)를 향한 개구의 폭을 선택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게 되므로,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의 본체를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캐리지 승강유닛의 휠 모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캐리지 승강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은 메인 프레임(311)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단위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을 포함하며, 다수의 단위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상하로 연결되어 메인 프레임(311)에 결합된다.
따라서 캐리지 승강유닛이 정지하고 있는 위치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에서 분리시키는 작업만으로 캐리지 승강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은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연결되어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상하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유닛(230)이 주행하는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P3)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과 달리 하나의 메인 프레임으로 제작되는 일체형으로 마련되었다.
다만, 균형추 승강유닛(230)이 캐리지 승강유닛(130)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경우라면, 지금까지 설명한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과 그 구조가 거의 동일하게 분리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350)은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캐리지 본체(110, 도 3 참조)에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400, 도 3 참조)가 배치되는 장소이다.
수직반송 시스템에서 캐리지 본체(110)는 도 3 에서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었으나, 반송 대상물을 입/출고하기 위하여 수평이송시키는 장치 및 반송 대상물의 위치 등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 등 다양한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캐리지 본체에 전원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캐리지 본체(110)에 전원 케이블(미도시)을 연결하는 경우에는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캐리지 본체와 함께 승강하기 때문에, 원하는 반송 높이가 높을수록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전원 케이블의 부피 및 무게가 증가하게 되므로, 설치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의 높이가 물리적으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350)을 마련하고 캐리지 본체에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400, 도 3 참조)를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필요가 없이 캐리지 본체(110)에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캐리지 본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의 이동을 배제할 수 있고, 전원 케이블의 길이, 부피 및 무게의 증가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의 높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캐리지 승강유닛(130)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리지 승강유닛(130)은,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에 배치되는 본체 모듈(150)과, 본체 모듈(150)에 결합되되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에 접촉하여 승강을 가이드하는 주행 휠 모듈(170)과, 가이드 휠 모듈(190)을 포함한다.
먼저, 주행 휠 모듈(170)은 본체 모듈(150)에 결합되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의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 도 3 참조) 측의 주행 면에 접촉하여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을 따라 주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주행 휠 모듈(1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이 메인 프레임(31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본체 모듈(150)로부터 분리하여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캐리지 본체(110) 방향으로 본체 모듈(15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메인 프레임(31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의 캐리지 본체(110)를 향한 개구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주행 휠(175a, 175b)은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의 내부에서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의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 도 3 참조) 측의 주행 면에 접촉된 상태로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의 외부로 빠지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메인 프레임(31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의 캐리지 본체(110)를 향한 개구의 폭이 확장되므로, 한 쌍의 주행 휠(175a, 175b)은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의 외부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주행 휠 모듈(170)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6 및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행 휠 모듈(170a)과, 제2 주행 휠 모듈(170b)과, 지지 브라켓(170c)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주행 휠 모듈(170a)과 제2 주행 휠 모듈(170b)은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본체 모듈(150)에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그리고 제1 주행 휠 모듈(170a) 및 제2 주행 휠 모듈(170b) 각각은, 본체 모듈(150)에 결합 및 분리되는 주행 휠 지지블록(171a, 171b)과, 주행 휠 지지블록(171a, 171b)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 휠(175a, 175b)을 포함한다.
제1 주행 휠 모듈(170a)을 기준으로 더 자세히 설명하면, 주행 휠 지지블록(171a)이 본체 모듈(150)에 마련되는 주행 휠 모듈 결합부(151a)에 슬라이딩 결합되는데,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휠 지지블록(171a)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 돌출부(172a, 173a, 174a)가 마련되고, 주행 휠 모듈 결합부(151a)에는 주행 휠 지지블록(171a)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 돌출부(172a, 173a, 174a)가 끼워 맞춰지는 단차 오목부(152a, 153a, 154a)가 마련된다.
이 때,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차 돌출부(172a, 173a)는 한 쌍의 주행 휠 지지블록(171a, 171b)의 중앙 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내측 단차 돌출부로 마련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차 돌출부(174a)는 한 쌍의 주행 휠 지지블록(171a, 171b)의 바깥 측 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외측 단차 돌출부로 마련됨으로써, 주행 휠 지지블록(171a)이 주행 휠 모듈 결합부(151a)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 브라켓(170c)은 제1 주행 휠 모듈(170a) 및 제2 주행 휠 모듈(170b)을 본체 모듈(150)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주행 휠 모듈(170a) 및 제2 주행 휠 모듈(170b)이 제1 및 제2 주행 휠 모듈 결합부(151a, 151b)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브라켓(170c)이 주행 휠 지지블록(171a, 171b)과 본체 모듈(150)에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주행 휠 지지블록(171a, 171b)이 캐리지 본체를 향한 전면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고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메인 프레임(31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지지 브라켓(170c)을 분리하는 작업만으로 제1 주행 휠 모듈(170a) 및 제2 주행 휠 모듈(170b)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 휠 모듈(190)은 주행 휠 모듈이 접촉하는 주행 면과 교차하는 방향의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의 가이드 면에 접촉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며,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과 한 쌍의 가이드 휠(19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이드 휠 모듈(19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메인 프레임(311)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 모듈(150)로부터 분리하여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캐리지 본체(110, 도 3 참조) 방향으로 본체 모듈(15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은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메인 프레임(311)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에 의해 형성되는 캐리지 본체(110)를 향한 개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본체 모듈(150)에 결합되는 부분이고, 한 쌍의 가이드 휠(195a, 195b)은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가이드 휠 모듈(190)은 전술한 주행 휠 모듈(17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의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 면에 접촉하는 상태이므로, 전술한 주행 휠 모듈(170)과 달리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이 메인 프레임(3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라도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은 제1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a)과 제2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b)을 포함하며, 제1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a)과 제2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b) 각각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 형태로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며, 본체 모듈(150)의 가이드 휠 모듈 결합부(155)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휠(195a, 195b)은 제1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a) 및 제2 가이드 휠 지지블록(191b)의 수평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한 쌍의 가이드 휠(195a, 195b)이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312a, 312b)에 의해 형성되는 캐리지 본체(110)를 향한 개구의 폭에 맞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캐리지 승강유닛(130)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균형추 승강유닛(230, 도 3 참조)의 경우에도 캐리지 본체(110)가 아닌 균형추(미도시)와 결합되는 차이점을 제외하면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균형추 승강유닛(230)의 경우에도 본체 모듈을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P3, 도 3 참조)에서 꺼내지 않고도, 주행 휠 모듈 또는 가이드 휠 모듈만을 분리하여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을 전술한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과 그 구조가 거의 동일한 분리형으로 마련함으로써, 휠을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과 본체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모듈을 구비하는 캐리지 승강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의 본체를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내부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캐리지 승강유닛의 휠 모듈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캐리지 승강유닛의 유지 보수 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을 다양하게 배치하고 결합함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수직반송 시스템의 설치 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프레임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설치 높이와 설치 형태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의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2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은 비접촉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300B)으로 마련된다.
즉,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a)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a)과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350a)이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전면부 마스트 프레임이라 하고,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b)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b)과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350b)이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후면부 마스트 프레임이라 하면, 전면부 마스트 프레임과 후면부 마스트 프레임이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로 결합된 것을 비접촉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300B)이라고 한다.
이는 제1 실시 예와 달리, 두 개의 캐리지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반송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3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은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300C)으로 마련된다.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a)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a)이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마스트 프레임이라 하고,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b)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b)이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후면부 마스트 프레임이라 하면, 전면부 마스트 프레임과 후면부 마스트 프레임이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로 결합된 것을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300C)이라고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300C)은 설치하고자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의 요구높이가 높지 않아서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캐리지 본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이 효율적인 수직반송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300C)의 한 쌍의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P1a, P1b)에는 한 쌍의 캐리지 승강유닛이 각각 주행하게 되므로,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면서 한 쌍의 캐리지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의 제4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4 실시 예에 따른 마스트 프레임은 케이블전원 싱글 마스트 프레임(300D)으로 마련된다.
즉, 케이블전원 싱글 마스트 프레임(300D)은 제3 실시 예에서 설명한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10a)과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330a)이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의 마스트 프레임이며, 제3 실시 예와 달리, 하나의 캐리지만을 승강시킬 수 있는 싱글 캐리지 타입의 수직반송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캐리지 110 : 캐리지 본체
130 : 캐리지 승강유닛 150 : 본체 모듈
170 : 주행 휠 모듈 190 : 가이드 휠 모듈
200 : 리프터 210 : 구동부
220 : 타이밍 벨트 230 : 균형추 승강유닛
300 : 마스트 프레임 310 :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
311 : 메인 프레임 312 : 착탈식 레일 프레임
330 :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
350 :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
400 :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Claims (14)

  1. 반송 대상물을 지지하는 캐리지 본체와, 상기 캐리지 본체에 연결되는 캐리지 승강유닛을 구비하며,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리프터; 및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이 주행하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를 형성하는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을 구비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의 상기 캐리지 본체를 향한 개구의 폭을 선택적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이고,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은,
    내부에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캐리지 본체를 향해 개방된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개방된 부분의 양 자유단부 내측에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을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비해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단위 착탈식 레일 프레임을 포함하며, 다수의 단위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하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에 배치되는 본체 모듈; 및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되되,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 측의 주행 면에 접촉하여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 휠 모듈은,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 방향으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휠 모듈은,
    상기 한 쌍의 착탈식 레일 프레임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 모듈에 개별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제1 주행 휠 모듈과 제2 주행 휠 모듈; 및
    상기 제1 주행 휠 모듈 및 상기 제2 주행 휠 모듈을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행 휠 모듈 및 상기 제2 주행 휠 모듈 각각은,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 및 분리되는 주행 휠 지지블록; 및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행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은 상기 본체 모듈에 마련되는 주행 휠 모듈 결합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 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주행 휠 모듈 결합부에는 상기 주행 휠 지지블록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차 돌출부가 끼워 맞춰지는 단차 오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은,
    상기 주행 휠 모듈이 접촉하는 주행 면과 교차하는 방향의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의 가이드 면에 접촉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휠 모듈은,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 밖으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캐리지 본체 방향으로 상기 본체 모듈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 모듈은,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캐리지 본체를 향한 개구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상기 본체 모듈에 결합되는 가이드 휠 지지블록; 및
    상기 가이드 휠 지지블록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가이드 휠 지지블록의 양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착탈식 레일 프레임에 접촉하는 한 쌍의 가이드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휠 지지블록은,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린 형태로 결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본체 모듈의 가이드 휠 모듈 결합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가이드 휠 지지블록 및 제2 가이드 휠 지지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휠은 상기 제1 가이드 휠 지지블록 및 상기 제2 가이드 휠 지지블록의 수평부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프레임은,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상하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승강유닛이 주행하는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통로를 형성하는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과, 상기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이 상기 캐리지 본체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본체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며,
    한 쌍의 상기 마스트 프레임이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의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에는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이 각각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프레임은,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캐리지 본체에 비접촉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가 배치되는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분리형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프레임의 양측에 상기 균형추 승강유닛 주행프레임 및 상기 비접촉식 전원공급장치 배치프레임이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마스트 프레임이 서로 등지고 있는 상태로 결합되어 비접촉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이 마련되고,
    상기 비접촉전원 듀얼 마스트 프레임의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 주행통로에는 한 쌍의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이 각각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KR1020210077519A 2021-06-15 2021-06-15 수직반송 시스템 KR102536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19A KR102536552B1 (ko) 2021-06-15 2021-06-15 수직반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519A KR102536552B1 (ko) 2021-06-15 2021-06-15 수직반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25A KR20220168025A (ko) 2022-12-22
KR102536552B1 true KR102536552B1 (ko) 2023-05-26

Family

ID=8457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519A KR102536552B1 (ko) 2021-06-15 2021-06-15 수직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5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1A (ja) 1998-10-26 2000-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タッカクレーン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用マスト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7-04-09 서미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JP2008230841A (ja) 2007-03-23 2008-10-02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8813A (ko) * 2006-11-29 2008-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랙 마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토커
KR101570071B1 (ko) * 2013-08-22 2015-11-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 시스템
KR20160026240A (ko) 2014-08-29 2016-03-09 장세영 수직반송기
KR102282065B1 (ko) * 2019-08-14 2021-07-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1A (ja) 1998-10-26 2000-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タッカクレーン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用マスト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7-04-09 서미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JP2008230841A (ja) 2007-03-23 2008-10-02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25A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2199B6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US9073691B2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101982031B1 (ko) 자동창고
NL2013200B1 (nl) Systeem voor het opslaan van producthouders.
US11912314B2 (en) Express bin lift for automated storage system
JPWO2015174181A6 (ja)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方法
KR101419356B1 (ko) 대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송시스템
JP5057039B2 (ja) 台車式搬送設備
KR101521498B1 (ko) 반송대차 및 이를 이용하는 반송시스템
KR102282065B1 (ko) 수직반송 시스템
KR20080020437A (ko) 자동창고
KR102536552B1 (ko) 수직반송 시스템
JPH11278607A (ja) 自動倉庫
JP4984052B2 (ja) 搬送設備
CN108792465B (zh) 搬运托盘
JP4120626B2 (ja) 搬送装置
JP4895203B2 (ja) 吊下げ搬送設備
JP7135243B2 (ja) 立体自動倉庫
JP2003160047A (ja) 搬送装置
KR101396226B1 (ko) 반송시스템
JP2019156581A (ja) 搬送装置
JP6066107B2 (ja) 搬送台車昇降装置付き搬送装置
CN210730194U (zh) 立式交叉带分拣机
CN113955450B (zh) 一种垂直提升输送系统
JP7472538B2 (ja) 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