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066B1 - 수직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직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066B1
KR102282066B1 KR1020190099332A KR20190099332A KR102282066B1 KR 102282066 B1 KR102282066 B1 KR 102282066B1 KR 1020190099332 A KR1020190099332 A KR 1020190099332A KR 20190099332 A KR20190099332 A KR 20190099332A KR 102282066 B1 KR102282066 B1 KR 10228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belt
power cable
barrier
shutter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281A (ko
Inventor
이성진
신성철
유능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9009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0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수직반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은, 반송 대상을 지지하는 캐리지; 캐리지를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시키는 캐리지 승강유닛과,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프터; 및 캐리지가 승강하는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마스트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캐리지 승강통로를 폐쇄할 때 마스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터 통로를 통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반송 시스템{Vertical Transport Systems}
본 발명은, 수직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직반송 시스템은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할 때 사용되는 것을 말하며, 도 1은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1')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 대상(2')을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반송하기 위한 통로인 부쓰(Booth, 3')의 외부에 방화벽(4')을 설치하고, 방화벽(4')에는 입/출고 컨베이어(5')에 의해 반송 대상(2')이 입고 또는 출고되는 입/출고 통로(6')가 마련된다.
이때 입/출고 통로(6')의 일측에 입/출고 통로(6')를 수직으로 개폐하는 수직방화셔터(7')를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입/출고 통로(5')를 폐쇄하고 층간 화재 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수직반송 시스템의 최하층에서부터 최상층까지 전구간에 걸쳐 방화벽(4')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의 설치비를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구간만이 아니고 모든 층의 수직방화셔터(7')가 동시에 작동하여야 층간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없으며, 수직방화셔터(7')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고, 장비의 유지 및 보수에 많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부쓰(3')를 통해 다른 층으로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마련하고 전원을 공급하여 바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연기의 층간 이동을 막을 수 있는데, 메인 전원 또는 UPS 전원이 끊어지게 되어 송풍기가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연기의 층간 이동에 의한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1207호 (2006.08.30.)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반송 대상을 지지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시키는 캐리지 승강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프터; 및 상기 캐리지가 승강하는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폐쇄할 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터 통로를 통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수평방화셔터는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화셔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 차연유닛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터 통로의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마스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형성하는 방화 플레이트; 및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일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에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타이밍 벨트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타이밍 벨트를 감싸면서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타이밍 벨트 관통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호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가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상기 캐리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전원 케이블을 둘러싸는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전원 케이블을 감싸면서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케이블과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과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할 때 상기 차연셔터의 가장자리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차연셔터의 미리 결정된 부분이 상기 차연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안착되는 차연셔터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 안착홈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차연 가스켓이 안착되는 차연 가스켓 안착홈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마련함으로써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방화셔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수평방화셔터에서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방화 플레이트와 차연셔터 부분(A)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방화 플레이트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상부 플레이트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하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에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에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평방화셔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수평방화셔터에서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방화 플레이트와 차연셔터 부분(A)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방화 플레이트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상부 플레이트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하부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은, 캐리지(10)와, 리프터(20)와, 수평방화셔터(40)를 포함한다.
먼저, 캐리지(10)는 반송 대상을 지지하며 캐리지 승강통로(CP, 도 3 참조)를 따라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昇降), 즉 상승(上昇) 및 하강(下降)함으로써 반송 대상(2)을 반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리프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층 사이를 관통하여 마련되어 캐리지(1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와, 리프터 선형부재와, 마스트 프레임(Mast Frame, 25)과, 구동부(26)를 포함한다.
캐리지 승강유닛(21)은 캐리지(10)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부(26)에 의해 승강되면서 캐리지(10)를 함께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며, 균형추 승강유닛(22)은 캐리지 승강유닛(21)과 타이밍 벨트(23)에 의해 연결되어 캐리지 승강유닛(21)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캐리지 승강유닛(21)을 움직이는 구동부(26)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리프터(20)의 동작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구동부(26)가 동작하여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을 연결하고 있는 타이밍 벨트(23)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캐리지 승강유닛(21)에 연결된 캐리지(10)를 원하는 층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마스트 프레임(25)은 복수 개의 층에 걸쳐 상하로 인접한 2개의 층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P)를 관통하여 배치되며, 리프터(20)의 골격과 같은 역할을 하는 동시에,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이 흔들림없이 승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레일(Rail)의 역할을 해주므로, 마스트 프레임(25)의 내부에 캐리지 승강유닛(21)과 균형추 승강유닛(22)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리프터 통로(LP, 도 3 참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반송 시스템에서는, 연결통로(P)에 캐리지 승강통로(CP, 도 3 참조)와 리프터 통로(LP, 도 3 참조)가 형성되므로, 이러한 통로를 통해 화재 발생시에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윗층으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을 위하여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캐리지 승강통로(CP)는 캐리지(1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빈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개폐장치를 마련하여 어느 정도 차단이 가능할 수 있지만, 리프터 통로(LP)의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리프터 선형부재가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간단하게 차단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화재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차단이 가능할 수 있지만, 연기의 경우에는 조그마한 틈새로도 확산될 수 있으므로 완벽한 차단이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할 수평방화셔터(40)를 마련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 뿐만 아니라 리프터 통로(LP)를 따라서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층간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평방화셔터(40)는 상하로 인접한 2개의 층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통로(P, 도 2 참조)에 마련되어 화재발생시 연결통로(P)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각층별로 설치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의 경우와 달리 원하는 구간의 연결통로를 선택하여 폐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만약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은 모든 층의 입/출고 통로에 설치된 모든 수직방화셔터를 동시에 작동시켜야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비를 작동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1층과 2층 사이에 마련되는 수평방화셔터만 작동시키면 1층에서 발생한 화재가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수직반송 시스템과 비교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각 층의 연결통로(P)를 폐쇄함으로써 반송 대상을 복수 개의 층에 걸쳐 반송하기 위한 통로인 부쓰(3)를 각층별로 단절시킬 수 있으므로 부쓰(3)의 내부를 통해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어 부쓰(3)의 외부에 별도의 방화벽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방화셔터(40)를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방화벽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비의 설치, 유지 및 보수에 드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평방화셔터(40)는,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셔터베이스(50)와,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과, 층간 차연유닛(70)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므로 하나의 캐리지(10)가 승강하는 도면으로 나타내었으나, 도 3의 수평방화셔터(40)는 서로 등지고 있는 두 개의 캐리지를 승강시킬 수 있는 듀얼 타입의 수직반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두 개의 캐리지 승강통로(CP)가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었다.
다만, 본 발명이 도 3과 같은 듀얼 타입의 수직반송 시스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하나의 캐리지를 승강시키는 싱글 타입의 수직반송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화셔터베이스(50)는 연결통로(P, 도 2 참조)의 일측에 마련되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캐리지 승강통로(CP)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곳이다.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은 캐리지(10)가 승강하는 캐리지 승강통로(CP)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데, 방화셔터베이스(5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캐리지 승강통로(CP)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캐리지 통로 개폐유닛(6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캐리지 승강통로(CP)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에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캐리지 승강통로(CP)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으로 접근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를 폐쇄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직반송 시스템은 캐리지 승강유닛(21)이 캐리지(10)를 측면에서 지지하면서 승강시키기 때문에, 캐리지 승강통로(CP)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별도의 리프터 선형부재가 배치되지 않고 리프터 통로(LP)에만 리프터 선형부재가 배치되므로,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의 슬라이딩 동작만으로 캐리지 승강통로(CP)를 간단하게 폐쇄하여 화재와 연기의 층간 확산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층간 차연유닛(70)은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과 마스트 프레임(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이 캐리지 승강통로(CP)를 폐쇄할 때 마스트 프레임(25)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터 통로(LP)를 통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방화 플레이트(700)와, 차연셔터(800, 900)를 포함한다.
방화 플레이트(700)는 마스트 프레임(25)에 결합되어 리프터 통로(LP)의 일부를 차단하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 도 5 참조)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 플레이트(710) 및 하부 플레이트(73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710) 및 하부 플레이트(730)는 후술할 차연셔터(800, 900)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되, 차연셔터(800, 900)와 접촉할 때 차연셔터(800, 900)의 가장자리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도 6은 도 5의 방화 플레이트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로서, 상부 플레이트(710)가 생략된 상태에서의 하부 플레이트(730)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 플레이트(730)에는 차연셔터(800, 900)의 미리 결정된 부분이 차연셔터(800, 90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안착되는 차연셔터 안착홈(731)이 마련된다.
그리고, 차연셔터 안착홈(731)의 일측에는 차연셔터(800, 900)와 접촉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차연 가스켓(733)이 안착되는 차연 가스켓 안착홈(735)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차연셔터(800, 900)가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방화 플레이트(700)로 접근하여 접촉할 때, 차연셔터 안착홈(731)에 차연셔터(800, 900)가 안착되면서 차연셔터(800, 900)와 하부 플레이트(730)의 사이에 차연 가스켓(733)이 밀착됨으로써, 그 사이로 연기가 통과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차연셔터(800, 900)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의 일측에 결합되어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60)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하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TZ, PZ)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23, 도 2 참조)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과, 전원 케이블(미도시)을 둘러싸는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이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었다.
중앙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캐리지 승강유닛(21)이 승강하는 통로이며, 동일한 크기로 마련된 좌측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균형추 승강유닛(22)이 승강하는 통로이다.
그리고,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은 캐리지 승강유닛(21)이나 균형추 승강유닛(22)보다 작은 면적을 차지하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배치되는 장소이므로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보다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었다.
이러한 차연 개폐영역에 대응하여, 차연셔터(800, 900)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와,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타이밍 벨트와 전원케이블에 한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리프터 선형부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차연 개폐영역 및 차연셔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리지 승강통로(CP)는 캐리지(10)가 승강할 수 있도록 빈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개폐장치를 마련하여 어느 정도 차단이 가능할 수 있지만, 리프터 통로(LP)에 형성되는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과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경우에는 중앙 영역에 리프터 선형부재인 타이밍 벨트(23)와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간단하게 차단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에서 설명할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와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를 마련함으로써,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과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리프터 선형부재를 감싸면서 그 영역을 폐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 승강통로(CP) 뿐만 아니라 리프터 통로(LP)를 따라서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층간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5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에서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와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을 포함한다.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는 방화 플레이트(700)와 접촉함으로써,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타이밍 벨트(23)와의 간섭 없이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이 마련된다.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은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의 일측에 결합되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가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폐쇄할 때, 타이밍 벨트(23)를 감싸면서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과, 탄성력 제공부(834)를 포함한다.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은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810)의 제1 플레이트(811)와 제2 플레이트(812)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은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된다.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상호 접촉하는 면에는 타이밍 벨트(23)가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835)이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타이밍 벨트 배치홈(835)이 한 쌍으로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의 수량 및 위치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는, 타이밍 벨트(23)와 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837a, 837b)이 마련된다.
탄성력 제공부(834)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831a, 831b)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이동블록(833a, 833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조를 가진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 도 5 참조)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7과 같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탄성력 제공부(8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어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800)가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폐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도중에, 타이밍 벨트가 가이드면(837a, 837b)과 접촉하게 되면, 타이밍 벨트가 가이드면(837a, 837b)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8과 같이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이 계속 이동하여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다시 도 7과 같이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이 탄성력 제공부(8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가 되면서, 타이밍 벨트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835)에 위치하게 되고,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이 타이밍 벨트의 주위를 감싸면서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중앙부 즉,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830)을 마련함으로써,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TZ)의 중앙부의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폐쇄하여 타이밍 벨트 관통홈(815)을 통해 층간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5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에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와,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을 포함한다.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는 방화 플레이트(700)와 접촉함으로써,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전원 케이블(미도시)과의 간섭 없이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이 마련된다.
전원 케이블(미도시)의 경우, 타이밍 벨트(23)와 달리, 두 개의 단위 전원 케이블이 캐리지(10)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었으므로,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가 이동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이 각각의 단위 전원 케이블에 대응하여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는 제1 플레이트(911), 제2 플레이트(912) 및 제3 플레이트(913)가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과 번갈아 가면서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은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가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폐쇄할 때, 전원 케이블(24)을 감싸면서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과,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932)과,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은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915)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의 제1 플레이트(911)와 제3 플레이트(913)에 각각 결합된다.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932)은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915) 사이에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910)의 제2 플레이트(912)에 결합된다.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은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과 공용 고정블록(932)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915)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된다.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833a, 833b)과 마찬가지로,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상호 접촉하는 면에는 전원케이블이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 배치홈(935)이 마련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하여 전원 케이블 배치홈(935)이 한 쌍으로 마련되었으나,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치되는 전원 케이블의 수량 및 위치에 맞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방화 플레이트(700)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는, 전원 케이블과 접촉함으로써,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937a, 937b, 937c, 937d)이 마련된다.
탄성력 제공부(934)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931a, 931b) 및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932)에 각각 연결되는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러한 구조를 가진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평상시에 전원 케이블용 차연 개폐영역(PZ, 도 5 참조)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9와 같이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탄성력 제공부(9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어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900)가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폐쇄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하는 도중에, 전원 케이블이 가이드면(937a, 937b, 937c, 937d)과 접촉하게 되면, 전원 케이블이 가이드면(937a, 937b, 937c, 937d)에 가하는 압력에 의해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10과 같이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이 계속 이동하여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을 완전히 폐쇄하게 되면, 다시 도 9와 같이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933a, 933b, 933c, 933d)이 탄성력 제공부(934)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된 상태가 되면서, 전원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 배치홈(935)에 위치하게 되고,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이 전원 케이블의 주위를 감싸면서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부 즉,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을 폐쇄하게 된다.
이렇게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930)을 마련함으로써,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PZ)의 중앙부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을 폐쇄하여 전원 케이블 관통홈(915)을 통해 층간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마련함으로써 층간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층간 차연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캐리지 승강통로(CP) 뿐만 아니라 리프터 통로(LP)를 따라서 화재의 확산 및 연기의 층간 확산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전원공급이 필요한 별도의 송풍장치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층간 연기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캐리지 20 : 리프터
21 : 캐리지 승강유닛 22 : 균형추 승강유닛
25 : 마스트 프레임 26 : 구동부
40 : 수평방화셔터 50 : 방화셔터베이스
60 : 캐리지 통로 개폐유닛 70 : 층간 차연유닛
700 : 방화 플레이트 710 : 상부 플레이트
730 : 하부 플레이트 733 : 차연 가스켓
800 :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 810 :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815 : 타이밍 벨트용 관통홈 830 :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
831a, 831b :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833a, 833b :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
834 : 탄성력 제공부 835 : 타이밍 벨트 배치홈
900 :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 910 :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915 :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 930 :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
931a, 931b :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
932 :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933a, 933b, 933c, 933d :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
934 : 탄성력 제공부 935 : 타이밍 벨트 배치홈
CP : 캐리지 승강 통로 LP : 리프터 통로
TZ :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 PZ :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

Claims (17)

  1. 반송 대상을 지지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를 복수 개의 층 사이로 승강시키는 캐리지 승강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마스트 프레임을 구비하는 리프터; 및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상기 캐리지가 승강하는 캐리지 승강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폐쇄할 때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리프터 통로를 통해 연기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층간 차연유닛과,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를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방화셔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방화셔터를 포함하며,
    상기 층간 차연유닛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터 통로의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마스트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형성하는 방화 플레이트; 및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지 승강통로 개폐유닛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함께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연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일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과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 유닛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캐리지 승강유닛에 연결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타이밍 벨트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타이밍 벨트를 감싸면서 상기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타이밍 벨트와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타이밍 벨트 관통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타이밍 벨트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에 대하여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과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고정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블록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호 접촉하는 면에 마련되어 상기 타이밍 벨트가 배치되는 타이밍 벨트 배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은,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된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타이밍 벨트용 이동블록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용 차연셔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밍 벨트 차연 개폐영역에 대응되게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프터 선형부재는,
    상기 캐리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연 개폐영역은 상기 전원 케이블을 둘러싸는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연셔터는,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는,
    상기 방화 플레이트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주변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을 폐쇄할 때, 상기 전원 케이블을 감싸면서 상기 전원 케이블 차연 개폐영역의 중앙부를 폐쇄하는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원 케이블과의 간섭 없이 상기 방화 플레이트를 향해 접근할 수 있도록, 중앙영역에 이동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전원 케이블 관통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용 차연셔터블록은,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1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
    상기 한 쌍의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 케이블용 블레이드 플레이트의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및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고정블록과 상기 전원 케이블용 공용 고정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전원 케이블용 관통홈을 폐쇄하기 위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호 접촉되도록 탄성 바이어스 되는 두 쌍의 전원 케이블용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접촉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할 때 상기 차연셔터의 가장자리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는 상기 차연셔터의 미리 결정된 부분이 상기 차연셔터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안착되는 차연셔터 안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차연셔터 안착홈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차연셔터와 접촉하여 연기를 차단하는 차연 가스켓이 안착되는 차연 가스켓 안착홈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반송 시스템.
KR1020190099332A 2019-08-14 2019-08-14 수직반송 시스템 KR10228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32A KR102282066B1 (ko) 2019-08-14 2019-08-14 수직반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9332A KR102282066B1 (ko) 2019-08-14 2019-08-14 수직반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81A KR20210020281A (ko) 2021-02-24
KR102282066B1 true KR102282066B1 (ko) 2021-07-27

Family

ID=7468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332A KR102282066B1 (ko) 2019-08-14 2019-08-14 수직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0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155B1 (ko) * 2021-07-05 2023-03-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1A (ja) 1998-10-26 2000-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タッカクレーン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用マスト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7-04-09 서미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JP2008230841A (ja) 2007-03-23 2008-10-02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207B1 (ko) 2004-11-04 2006-09-13 장종복 방화셔터
KR20080048813A (ko) * 2006-11-29 2008-06-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랙 마스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토커
JP5093586B2 (ja) * 2007-12-04 2012-12-12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設備
KR101570071B1 (ko) * 2013-08-22 2015-11-1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 시스템
JP6304057B2 (ja) * 2015-01-27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KR101731260B1 (ko) * 2015-09-17 2017-04-2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8311A (ja) 1998-10-26 2000-05-09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タッカクレーン及びスタッカクレーン用マスト
KR100703766B1 (ko) 2006-05-30 2007-04-09 서미란 리프트용 독립 지주식 가이드레일
JP2008230841A (ja) 2007-03-23 2008-10-02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281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260B1 (ko) 수직반송 시스템
KR102276842B1 (ko) 층간 반송 설비
CN109476462B (zh) 电梯装置
KR102282066B1 (ko) 수직반송 시스템
JP6263650B2 (ja) 電車プラットホーム安全装置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KR10057234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CA2447396C (en) Elevator hoist machine installation apparatus
JP200603648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514155B1 (ko) 수직반송 시스템
KR100438994B1 (ko) 엘리베이터장치
CN104024139A (zh) 包括用于维持顶部间隙的轿厢停止器的电梯系统
JP6825600B2 (ja) 物品搬送設備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WO2012060146A1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及び物品の搬出入方法
JP2017208437A (ja) 物品搬送設備
KR102567005B1 (ko) 개선된 엘리베이터용 에이프런 장치
KR101987576B1 (ko) 승강하는 유도부와 연동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JPH09328270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486567B1 (ko) 엘리베이터 카
JP2016145092A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2591424B (zh) 物品输送设备
AU2017245728A1 (en) Arrangement for evacuating persons from a lift car
JP7485208B2 (ja) 台車昇降装置
KR20210032896A (ko) 물품 반송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