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2896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896A
KR20210032896A KR1020200101080A KR20200101080A KR20210032896A KR 20210032896 A KR20210032896 A KR 20210032896A KR 1020200101080 A KR1020200101080 A KR 1020200101080A KR 20200101080 A KR20200101080 A KR 20200101080A KR 20210032896 A KR20210032896 A KR 20210032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conveying device
article
conveyan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요시오카
다카히로 세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10032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복수의 반송 장치를 병렬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하고, 또한 유지보수 시의 반송 효율의 저하를 적게 억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해결 수단]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은, 직교 방향 제2 측 Y2에 있어서 바닥부(4)에 고정되고, 제1 안내 레일(11)에서의 칸막이벽(5)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제1 승강체(1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급전부(12)가 배치되고, 제2 안내 레일(21)에서의 칸막이벽(5)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제2 승강체(2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급전부(22)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 반송(搬送) 설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 제2018-052659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배경기술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내에 붙이는 부호는, 특허문헌 1의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설비에서는, 복수 층의 각각에 있어서 설치된 통형(筒形)벽(90)의 내부에, 물품(A)을 유지 가능한 유지부(R)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벽(90)의 내부에는,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1개의 안내 레일(14)과, 이 안내 레일(14)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체(21)와, 이 승강체(21)에 지지되어 유지부(R)와의 사이에서 물품(A)을 이송탑재(移載)하는 이송탑재부(31)를 구비한 반송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송 장치(20)는, 복수의 유지부(R) 사이에, 복수 층에 걸쳐 물품(A)을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반송 장치(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부는, 일반적으로, 안내 레일(14)을 따라 설치되고, 정기적으로 유지보수가 행해진다.
일본공개특허 제2018-05265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설비에서는, 물품(A)의 상하 방향의 반송이, 1대의 반송 장치(20)에 의해 행해지지만, 물품의 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반송 장치(20)를 병렬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한정된 공간에 복수의 반송 장치(20)를 병렬 배치하는 경우에는, 이웃하는 반송 장치(20)끼리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각각의 반송 장치(20)의 유지보수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반송 장치(20)의 유지보수 시에, 모든 반송 장치(20)를 동시에 정지시키면 물품의 반송 효율이 대폭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복수의 반송 장치(20)를 개별로 정지시켜, 유지보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부의 반송 장치(20)를 가동시키면서 나머지 반송 장치(20)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동작 중인 반송 장치(20)에 대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복수의 반송 장치를 병렬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유지보수 시의 반송 효율의 저하를 적게 억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의 실현이 요망된다.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는,
복수 층의 바닥부를 구비한 건물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병렬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송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1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제1 승강체와, 상기 제1 승강체에 지지되어 물품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1 이송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2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제2 승강체와, 상기 제2 승강체에 지지되어 물품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2 이송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은,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강체 및 상기 제2 승강체가 통과하는 상기 바닥부인 통과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가 배열되는 방향을 병렬 방향으로 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병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병렬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 사이에, 상기 복수 층에 걸쳐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승강체는,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대하여 상기 직교 방향의 한쪽 측인 직교 방향 제1 측을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승강체는,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대하여 상기 직교 방향 제1 측을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은, 상기 직교 방향의 다른 쪽 측인 직교 방향 제2 측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에서의 상기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승강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급전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안내 레일에서의 상기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상기 제2 승강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급전부가 배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 장치 및 제2 반송 장치의 양쪽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므로, 반송 장치가 1개만의 경우에 비하여 많은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장치 사이가 칸막이벽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으므로, 제1 반송 장치 및 제2 반송 장치의 한쪽을 정지시켜 유지보수를 행할 때 다른 쪽의 가동을 계속시켰다고 해도,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해당 가동 중의 반송 장치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제1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장치를 개별로 정지시켜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유지보수 시의 반송 효율의 저하를 적게 억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급전부가 제1 안내 레일에서의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2 급전부가 제2 안내 레일에서의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급전부 및 제2 급전부의 유지보수를 행할 경우에, 칸막이벽이 상기 유지보수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따라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확보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반송 장치를 병렬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유지보수 시의 반송 효율의 저하를 적게 억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이 새로운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이면서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물품 반송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 개구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평면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 설비의 요부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 직교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 설비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병렬 방향에서 볼 때의 물품 반송 설비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 물품 반송 설비의 제어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제1 작업대가 돌출 상태로서 제2 작업대가 인퇴 상태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제1 작업대가 인퇴 상태로서 제2 작업대가 돌출 상태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방화문이 폐쇄 상태인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품 반송 설비는, 예를 들면, 원재료, 중간 제품, 혹은 완성품 등의 반송이나 보관을 행하는 설비이다. 이하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가 클린 환경 하에 있어서 원재료의 처리 등을 행하는 클린 룸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는, 복수 층의 바닥부(4)을 구비한 건물에 설치된, 천장 반송 장치(99), 바닥면 반송 장치(98),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를 포함하고 있다. 천장 반송 장치(99)는, 각 층에 있어서 천장 근처를 주행하여 물품(W)을 반송한다. 바닥면 반송 장치(98)는, 각 층의 바닥면상을 주행하여 물품(W)을 반송한다. 제1 반송 장치(1)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층에 걸쳐 물품(W)을 반송한다. 제2 반송 장치(2)는, 제1 반송 장치(1)와 병렬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층에 걸쳐 물품(W)을 반송한다. 그리고, 물품(W)으로서는,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이나 레티클 기판 등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나 레티클 포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는, 복수 층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덮는 통형벽(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는, 통형벽(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천장 반송 장치(99) 및 바닥면 반송 장치(98)는, 통형벽(3)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에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가 배열되는 방향을 병렬 방향 X로 하면, 병렬 방향 X에서의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 사이에, 복수 층에 걸쳐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5)이 설치되어 있다. 통형벽(3)의 내부는, 칸막이벽(5)에 의해, 제1 반송 장치(1)가 배치되는 제1 영역(A1)과 제2 반송 장치(2)가 배치되는 제2 영역(A2)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1 반송 장치(1)는 제1 영역(A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물품(W)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반송 장치(2)는 제2 영역(A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물품(W)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는, 각 층에 설치되어 통형벽(3)의 내부에 물품(W)을 반입하거나 또는 통형벽(3)의 내부로부터 물품(W)을 반출하는 입출 반송 장치(97)를 포함하고 있다. 입출 반송 장치(97)는, 통형벽(3)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에서, 통형벽(3)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입출 반송 장치(97)는, 통형벽(3)의 외부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端部)(외부측 단부(97a))와 통형벽(3)의 내부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내부측 단부(97b)) 사이에서 물품(W)을 반송한다. 입출 반송 장치(97)는,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나 롤러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통형벽(3)의 내부에는, 물품(W)을 유지하는 유지부(8)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도 3∼도 5 참조). 도시한 예에서는, 유지부(8)는, 물품(W)을 하방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지지체(80)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8)는, 지지체(80)에 의해 물품(W)을 지지함으로써 해당 물품(W)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천장 반송 장치(99), 바닥면 반송 장치(98), 혹은 작업자 등에 의해, 입출 반송 장치(97)의 외부측 단부(97a)에 물품(W)이 탑재되면, 해당 물품(W)은, 입출 반송 장치(97)에 의해 통형벽(3) 내부의 내부측 단부(97b)에 반송된다. 그 후, 물품(W)은,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에 의해 내부측 단부(97b)로부터 동일 층 또는 다른 층에 있는 유지부(8)에 반송되어, 그 유지부(8)에 유지된다. 또한, 유지부(8)에 유지되고 있는 물품(W)은,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에 의해 유지부(8)로부터 동일 층 또는 다른 층에 있는 입출 반송 장치(97)의 내부측 단부(97b)에 반송되고, 그 후, 입출 반송 장치(97)에 의해 외부측 단부(97a)에 반송된다. 외부측 단부(97a)에 반송된 물품(W)은, 천장 반송 장치(99), 바닥면 반송 장치(98), 혹은 작업자 등에 의해, 외부측 단부(97a)로부터 다른 장소에 반송된다. 또한,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에 의해, 내부측 단부(97b)로부터 별도의 입출 반송 장치(97)의 내부측 단부(97b)에 물품(W)을 반송하는 경우나, 유지부(8)로부터 다른 유지부(8)에 물품(W)을 반송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입출 반송 장치(97)의 내부측 단부(97b)는, 물품(W)을 반송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그 위치에 물품(W)을 유지하는 것으로 되므로, 유지부(8)로서도 기능한다.
이하, 도 2∼도 5를 참조하여,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구성, 및 이들 각 장치의 주변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통형벽(3)의 일부 및 칸막이벽(5)의 일부를 절결하여 나타내고, 또한 유지부(8)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제1 영역(A1)의 구조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도 5에 있어서 나타내어지지 않는 제2 영역(A2)의 구조는, 제1 영역(A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가 배열되는 방향을 병렬 방향 X로 한다. 그리고, 병렬 방향 X에서의 한쪽 측을 병렬 방향 제1 측 X1로 하고, 다른 쪽 측을 병렬 방향 제2 측 X2로 한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 볼 때 병렬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 Y로 한다. 그리고, 직교 방향 Y에서의 한쪽 측을 직교 방향 제1 측 Y1로 하고, 다른 쪽 측을 직교 방향 제2 측 Y2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형벽(3)은 복수 층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덮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벽(3)은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에 대하여, 직교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된 전벽부(31)와, 직교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된 후벽부(32)와, 병렬 방향 제1 측 X1에 배치된 제1 측벽부(33)와, 병렬 방향 제2 측 X2에 배치된 제2 측벽부(34)룰 구비하고 있다.
제1 반송 장치(1)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1 안내 레일(11)과, 제1 안내 레일(11)을 따라 승강하는 제1 승강체(13)와, 제1 승강체(13)에 지지되어 물품(W)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1 이송탑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송탑재부(14)는, 물품(W)을 유지 가능한 제1 이송탑재 유지부(141)와, 제1 이송탑재 유지부(141)를 수평 방향으로 출퇴(出退)시키는 기구부 및 제1 이송탑재 유지부(141)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軸心) 주변으로 선회시키는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송탑재부(14)는, 수평 다관절 암(이른바 SCARA;Selective Compliance Assembly Robot Arm)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이송탑재부(14)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동일한 제1 승강체(13)에 지지되어 있다.
제2 반송 장치(2)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2 안내 레일(21)과, 제2 안내 레일(21)을 따라 승강하는 제2 승강체(23)와, 제2 승강체(23)에 지지되어 물품(W)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2 이송탑재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이송탑재부(24)는, 물품(W)을 유지 가능한 제2 이송탑재 유지부(241)와, 제2 이송탑재 유지부(241)를 수평 방향으로 출퇴시키는 기구부 및 제2 이송탑재 유지부(241)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변으로 선회시키는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송탑재부(24)는, 수평 다관절 암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2 이송탑재부(24)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어 동일한 제2 승강체(23)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병렬 방향 제2 측 X2에 배치된 측면인 제1 대향면(11a)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대향면(11a)은, 병렬 방향 X에 있어서 칸막이벽(5)과 대향하고 있다. 또한, 제2 안내 레일(2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병렬 방향 제1 측 X1에 배치된 측면인 제2 대향면(21a)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대향면(21a)은, 병렬 방향 X에 있어서 칸막이벽(5)과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대향면(11a) 및 제2 대향면(21a)은, 전체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에 요철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은, 복수 층에 걸쳐 물품(W)을 반송하는 경우에 제1 승강체(13) 및 제2 승강체(23)가 통과하는 바닥부(4)인 통과 바닥부(4T)에 형성된 개구부(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최하층의 바닥부(4) 이외의 바닥부(4)가 통과 바닥부(4T)로 되고, 이 통과 바닥부(4T)의 각각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부(40)가 형성된다. 이하, 바닥부(4)와 통과 바닥부(4T)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들을 바닥부(4)로 총칭한다.
그리고, 제1 반송 장치(1)가 물품(W)을 반송하는 제1 반송 경로(P1)와, 제2 반송 장치(2)가 물품(W)을 반송하는 제2 반송 경로(P2)가, 바닥부(4)에 형성된 개구부(40)를 통과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설정되어 있다. 제1 반송 경로(P1)는 제1 안내 레일(11)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제2 반송 경로(P2)는 제2 안내 레일(2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은, 직교 방향 제2 측 Y2에 있어서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화문(6)을 지지하는 문 지지 프레임(6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문 지지 프레임(60)은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은, 방화문(6)의 문 지지 프레임(60)을 통하여,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은 복수 층의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을, 건물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직교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된 측면인 제1 고정면(11d)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이 제1 고정면(11d)이, 문 지지 프레임(60)을 통하여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안내 레일(2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직교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된 측면인 제2 고정면(21d)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이 제2 고정면(21d)이, 문 지지 프레임(60)을 통하여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면(11d) 및 제2 고정면(21d)은, 전체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에 요철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형벽(3)이, 제1 안내 레일(11) 및 제2 안내 레일(2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벽(5)이 통형벽(3)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을 이용하여, 통형벽(3)과 칸막이벽(5)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각 부재끼리의 고정은, 볼트 등의 도시하지 않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안내 레일(11)에서의 칸막이벽(5)과 대향하는 측(제1 대향면(11a))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제1 승강체(1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급전부(12)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병렬 방향 제1 측 X1에 배치된 측면인 제1 배치면(11b)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이 제1 배치면(11b)을 따라, 제1 급전부(1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배치면(11b)은, 전체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에 요철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급전부(12)는, 급전선(121)과 이 급전선(121)을 유지하는 급전선 유지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선 유지부(122)는, 제1 안내 레일(11)에서의 제1 배치면(1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배치면(11b)으로부터 병렬 방향 제1 측 X1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급전선 유지부(122)는, 제1 배치면(11b)으로부터 병렬 방향 제1 측 X1로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급전선(121)을 유지하고 있다. 급전선(121)은, 제1 배치면(1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전선(121)은, 직교 방향 Y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전력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전력선의 직교 방향 Y 사이에, 제1 승강체(13)에 구비된 제1 수전부(131)가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급전선(121)은, 제1 수전부(131)에 대하여 비접촉의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안내 레일(21)에서의 칸막이벽(5)과 대향하는 측(제2 대향면(21a))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제2 승강체(23)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급전부(22)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안내 레일(2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병렬 방향 제2 측 X2에 배치된 측면인 제2 배치면(21b)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이 제2 배치면(21b)을 따라, 제2 급전부(2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배치면(21b)은, 전체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에 요철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급전부(22)는, 급전선(221)과 이 급전선(221)을 유지하는 급전선 유지부(222)를 구비하고 있다. 급전선 유지부(222)는, 제2 안내 레일(21)에서의 제2 배치면(2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2 배치면(21b)으로부터 병렬 방향 제2 측 X2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급전선 유지부(222)는, 제2 배치면(21b)으로부터 병렬 방향 제2 측 X2로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급전선(221)을 유지하고 있다. 급전선(221)은, 제2 배치면(21b)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급전선(221)은, 직교 방향 Y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전력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전력선의 직교 방향 Y 사이에, 제2 승강체(23)에 구비된 제2 수전부(231)가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급전선(221)은, 제2 수전부(231)에 대하여 비접촉의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승강체(13)는, 제1 안내 레일(11)에 대하여 직교 방향 제1 측 Y1을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직교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된 측면인 제1 지지면(11c)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이 제1 지지면(11c)과 대향하도록, 제1 승강체(13)가 지지되어 있다. 제1 승강체(13)는, 제1 지지면(11c)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면(11c)은, 전체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에 요철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제1 지지면(11c)에는, 제1 승강체(13)를 지지 및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1 홈부(111)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제1 홈부(111)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승강체(13)는, 제1 안내 레일(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1 본체부(130)와, 제1 급전부(12)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한 제1 수전부(131)와, 이들 제1 본체부(130)와 제1 수전부(131)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132)를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본 예에서는, 제1 연결 부재(132)는, 기단부(基端部)에 있어서 제1 본체부(130)에 연결되고, 이 제1 본체부(130)로부터 병렬 방향 제1 측 X1로 돌출하고, 또한 직교 방향 제2 측 Y2로 굴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연결 부재(132)의 선단부에 제1 수전부(131)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제1 수전부(131)는, 제1 급전부(12)의 급전선(121)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수전부(131)는, 제1 급전부(12)에 구비된 한 쌍의 전력선의 직교 방향 Y 사이에 배치된다.
제2 승강체(23)는, 제2 안내 레일(21)에 대하여 직교 방향 제1 측 Y1을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안내 레일(21)은, 해당 레일의 중심축보다 직교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된 측면인 제2 지지면(21c)을 가지고 있다. 본 예에서는, 이 제2 지지면(21c)과 대향하도록, 제2 승강체(23)가 지지되어 있다. 제2 승강체(23)는 제2 지지면(21c)을 따라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면(21c)은, 전체가 평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에 요철면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예에서는, 제2 지지면(21c)에는, 제2 승강체(23)를 지지 및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제2 홈부(211)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3 참조). 제2 홈부(211)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승강체(23)는, 제2 안내 레일(2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2 본체부(230)와, 제2 급전부(22)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기 위한 제2 수전부(231)와, 이들 제2 본체부(230)와 제2 수전부(231)를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232)를 구비하고 있다(도 3 참조). 본 예에서는, 제2 연결 부재(232)는, 기단부에 있어서 제2 본체부(230)에 연결되고, 이 제2 본체부(230)로부터 병렬 방향 제2 측 X2로 돌출하고, 또한 직교 방향 제2 측 Y2에 굴곡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연결 부재(232)의 선단부에 제2 수전부(231)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제2 수전부(231)는, 제2 급전부(22)의 급전선(221)으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수전부(231)는, 제2 급전부(22)에 구비된 한 쌍의 전력선의 직교 방향 Y 사이에 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구성에 관한 급전부(12, 22)의 배치 위치에 의하면, 이 급전부(12, 22)가, 안내 레일(11, 21)의 고정의 방해가 되기 어렵고 또한 승강체(13, 23)의 이동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급전부(12, 22)에 의해 승강체(13, 23)로의 전력의 공급을 적절하게 행하기 쉬운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는, 제1 승강체(13) 및 제1 이송탑재부(14)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지 않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사다리(L1)와, 제2 승강체(23) 및 제2 이송탑재부(24)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지 않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사다리(L2)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1 반송 장치(1)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경우에, 제1 사다리(L1)를 이용하여 해당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제2 반송 장치(2)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2 사다리(L2)를 이용하여 해당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사다리(L1, L2)는, 승강체(13, 23) 및 이송탑재부(14, 24)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의 방해가 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동작하는 승강체(13, 23)의 이동 궤적은, 안내 레일(11, 21)보다 직교 방향 제1 측 Y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공간으로 된다. 출퇴 동작하는 이송탑재부(14, 24)의 이동 궤적은, 승강체(13, 23)의 이동 궤적으로부터, 복수의 유지부(8)의 각각의 높이에 있어서 복수의 유지부(8) 각각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넓어지는 공간으로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사다리(L1)는, 칸막이벽(5)에서의 제1 안내 레일(11)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1 면(51)에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사다리(L1)는, 제1 영역(A1)에 있어서 칸막이벽(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사다리(L2)는, 칸막이벽(5)에서의 제2 안내 레일(21)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2 면(52)에 고정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사다리(L2)는, 제2 영역(A2)에 있어서 칸막이벽(5)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5)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유지보수에 이용 가능한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는, 물품 반송 설비(100)에 상설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는, 칸막이벽(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유지보수 등이 행해질 때 설치되는 것이라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4)(통과 바닥부(4T))에는, 제1 안내 레일(11) 및 제2 안내 레일(21)의 양쪽이 관통하는 개구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40)에, 개방 상태에서 개구부(40)의 개구 영역(40R)을 개방하고, 폐쇄 상태에서 개구 영역(40R)을 폐쇄하는 가동식의 방화문(6)이 설치되어 있다. 방화문(6)은, 화재 시에 개구 영역(40R)을 폐쇄함으로써, 인접하는 층으로의 연소를 억제한다(도 9 참조). 예를 들면, 방화문(6)은, 물품 반송 설비(100)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 검지 센서(SeF)(도 6 참조)에 의해 설비 내의 화재가 검지된 경우에, 자동으로 폐쇄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방화문(6)이 폐쇄 상태가 된 경우에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은, 방화문(6)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문(6)은, 상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의 상태 변경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방화문(6)은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 관한 방화문(6)은, 직교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문(6)은, 바닥부(4)에 고정된 문 지지 프레임(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 지지 프레임(60)은, 제1 안내 레일(11)과 제2 안내 레일(21)을 바닥부(4)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다. 문 지지 프레임(60)에는, 방화문(6)을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문 가이드 홈(6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문 가이드 홈(61)은, 직교 방향 Y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방화문(6)은, 직교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40)에는, 인퇴 상태에서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돌출 상태에서 제1 반송 경로(P1)와 중복되고 제2 반송 경로(P2)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가동식의 제1 작업대(71)와, 인퇴 상태에서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돌출 상태에서 제2 반송 경로(P2)와 중복되고 제1 반송 경로(P1)와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가동식의 제2 작업대(7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제1 반송 장치(1)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1 작업대(71)를 돌출 상태로 하여, 해당 제1 작업대를 제1 반송 경로(P1)와 중복하면서 제2 반송 경로(P2)와는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 작업대(71)를 이용하여 제1 반송 장치(1)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1 작업대(71)가 제2 반송 경로(P2)와는 중복되지 않으므로, 제2 반송 장치(2)에 의해 제2 반송 경로(P2)를 따르는 물품(W)의 반송을 계속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제2 반송 장치(2)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2 작업대(72)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작업대(71)는, 돌출 상태에서, 제1 승강체(13) 및 제1 이송탑재부(14)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개구 영역(40R)에서의 칸막이벽(5)에 대하여 제1 반송 장치(1) 측의 부분을 제1 영역(41R)으로 하면, 돌출 상태의 제1 작업대(71)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제1 영역(41R)의 전체와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 상태의 제1 작업대(71)는, 제1 영역(41R)의 상방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제1 반송 경로(P1)가 폐쇄된다(도 7의 좌측 도면 참조). 그리고, 작업자는, 개구 영역(40R)의 일부인 제1 영역(41R)의 상방에 있어서, 제1 작업대(71)에 타고 제1 반송 장치(1)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퇴 상태의 제1 작업대(71)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제1 영역(41R)과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인퇴 상태의 제1 작업대(71)는, 제1 영역(41R)의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작업대(71)가 인퇴 상태에서는, 제1 반송 경로(P1)가 개방되고,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도 8의 좌측 도면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작업대(72)는, 돌출 상태에서, 제2 승강체(23) 및 제2 이송탑재부(24)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개구 영역(40R)에서의 칸막이벽(5)에 대하여 제2 반송 장치(2) 측의 부분을 제2 영역(42R)으로 하면, 돌출 상태의 제2 작업대(72)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제2 영역(42R)의 전체와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 상태의 제2 작업대(72)는, 제2 영역(42R)의 상방에 배치되고, 이에 의해, 제2 반송 경로(P2)가 폐쇄된다(도 8의 우측 도면 참조). 이에 의해 작업자는, 개구 영역(40R)의 일부인 제2 영역(42R)의 상방에 있어서, 제2 작업대(72)를 타고 제2 반송 장치(2)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퇴 상태의 제2 작업대(72)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제2 영역(42R)과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즉, 인퇴 상태의 제2 작업대(72)는, 제2 영역(42R)의 외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작업대(72)가 인퇴 상태에서는, 제2 반송 경로(P2)가 개방되고,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도 7의 우측 도면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는, 방화문(6)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함으로써 인퇴 상태와 돌출 상태의 상태 변경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비교적 작은 공간에, 방화문(6)의 구조와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의 구조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방화문(6)과,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는, 상태 변경을 행할 때의 이동 방향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즉, 방화문(6)과, 제1 작업대(71)와, 제2 작업대(72)는, 모두 직교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작업대(71)는, 바닥부(4)에 고정된 제1 지지 프레임(7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지지 프레임(710)은, 칸막이벽(5)에 대하여 제1 반송 장치(1) 측, 즉 제1 영역(A1)에 있어서, 문 지지 프레임(60)을 통하여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지지 프레임(710)은 문 지지 프레임(6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지지 프레임(710)에는, 제1 작업대(71)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 가이드 홈(71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가이드 홈(711)은 직교 방향 Y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작업대(71)는, 직교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프레임(710)은 문 지지 프레임(6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작업대(71)는 방화문(6)의 상방에 있어서 해당 방화문(6)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작업대(72)는, 바닥부(4)에 고정된 제2 지지 프레임(7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지지 프레임(720)은, 칸막이벽(5)에 대하여 제2 반송 장치(2) 측, 즉 제2 영역(A2)에 있어서, 문 지지 프레임(60)을 통하여 바닥부(4)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지지 프레임(720)은 문 지지 프레임(6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지지 프레임(720)에는, 제2 작업대(72)를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 가이드 홈(7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가이드 홈(721)은 직교 방향 Y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작업대(72)는 직교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지지 프레임(720)은 문 지지 프레임(6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작업대(72)는 방화문(6)의 상방에 있어서 해당 방화문(6)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문 지지 프레임(60), 제1 지지 프레임(710), 및 제2 지지 프레임(720)은, 통형벽(3)에서의 전벽부(31)를 직교 방향 Y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문 지지 프레임(60), 제1 지지 프레임(710), 및 제2 지지 프레임(720)에서의 전벽부(31)를 관통하여 상기 전벽부(31)보다 외측에 배치된 부분은, 커버 부재(C)에 의해 덮혀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벽(5)은, 복수 층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를 칸막이하도록 배치된 판형의 칸막이체(5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칸막이체(50)에는, 감시창(50a)이 형성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작업자는, 칸막이체(50)(칸막이벽(5))를 사이에 두고 자기가 작업을 행하고 있는 영역과는 반대측의 영역을 감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는, 제1 영역(A1)에 있어서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감시창(50a)에 의해 제2 영역(A2)을 감시할 수 있다. 제2 영역(A2)에 있어서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동일한 감시창(50a)에 의해 제1 영역(A1)을 감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층에서의 칸막이체(50)의 하단부는, 방화문(6)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칸막이체(50)가 배치된 층에 인접하는 아래의 층에 배치된 칸막이체(50)의 상단부는, 상기 방화문(6)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층의 각각에 배치된 한 쌍의 칸막이체(50)의 상하 방향 사이에, 방화문(6), 여기서는 문 지지 프레임(6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칸막이체(50)(칸막이벽(5))가 방화문(6)의 이동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방화문(6)을 적절하게 폐쇄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층의 각각에 배치된 한 쌍의 칸막이체(50)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는, 해당 한 쌍의 칸막이체(50) 사이에 존재하는 물체를 검지하는 물체 검지 센서(SeO)(도 6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물체 검지 센서(SeO)는, 예를 들면, 라이트 커튼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칸막이체(50) 중 상측의 칸막이체(50)의 하단부에 투광부가 배치되고, 또한 하측의 칸막이체(50)의 상단부에 수광부가 배치된다. 투광부와 수광부의 배치 관계는 반대여도 된다. 물체 검지 센서(SeO)에 의해 검지되는 대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작업자, 작업자가 사용하는 도구 등, 혹은, 방화문(6) 등을 들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물체 검지 센서(SeO)에 의해 어떠한 물체가 검지된 경우에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이 비상정지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벽(5)에서의 제1 안내 레일(11)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1 면(51)에, 적어도 제1 반송 장치(1)를 비상정지시키는 제1 비상정지 스위치(S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벽(5)에서의 제2 안내 레일(21)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2 면(52)에, 적어도 제2 반송 장치(2)를 비상정지시키는 제2 비상정지 스위치(S2)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비상정지 스위치(S1) 및 제2 비상정지 스위치(S2)의 각각은,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다. 본 예에서는, 제1 비상정지 스위치(S1) 및 제2 비상정지 스위치(S2)의 각각은, 각 층에 배치된 칸막이체(50)의 각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영역(A1)에서의 통형벽(3)의 내벽면에, 적어도 제1 반송 장치(1)를 비상정지시키는 제3 비상정지 스위치(S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3 비상정지 스위치(S3)는, 제1 측벽부(33)에서의 내측을 향하는 면인 제1 내벽면(33a)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3 비상정지 스위치(S3)는, 제1 반송 장치(1)만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3 비상정지 스위치(S3)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영역(A2)에서의 통형벽(3)의 내벽면에, 적어도 제2 반송 장치(2)를 비상정지시키는 제4 비상정지 스위치(S4)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4 비상정지 스위치(S4)는, 제2 측벽부(34)에서의 내측을 향하는 면인 제2 내벽면(34a)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4 비상정지 스위치(S4)는, 제2 반송 장치(2)만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4 비상정지 스위치(S4)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영역(A1)에서의 통형벽(3)의 외벽면에, 적어도 제1 반송 장치(1)를 비상정지시키는 제5 비상정지 스위치(S5)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5 비상정지 스위치(S5)는, 제1 측벽부(33)에서의 외측을 향하는 면인 제1 외벽면(33b)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5 비상정지 스위치(S5)는 제1 반송 장치(1)만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5 비상정지 스위치(S5)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영역(A2)에서의 통형벽(3)의 외벽면에, 적어도 제2 반송 장치(2)를 비상정지시키는 제6 비상정지 스위치(S6)가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6 비상정지 스위치(S6)는, 제2 측벽부(34)에서의 외측을 향하는 면인 제2 외벽면(34b)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6 비상정지 스위치(S6)는 제2 반송 장치(2)만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6 비상정지 스위치(S6)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비상정지시키는 스위치라도 된다.
다음으로, 물품 반송 설비(100)의 제어 구성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물품 반송 설비(100)의 제어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는, 설비 내에서의 복수의 물품(W)의 보관이나 이동 등을 통괄적으로 관리하는 통괄 제어 장치(Ht)를 포함하고 있다. 통괄 제어 장치(Ht)는, 제1 반송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반송 제어부(H1), 제2 반송 장치(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반송 제어부(H2), 및 방화문(6)의 동작을 제어하는 문 제어부(H6)과의 사이에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통괄 제어 장치(Ht)는, 제1 반송 제어부(H1) 및 제2 반송 제어부(H2)에 대하여, 지정의 장소에 물품(W)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지령이나 각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지령 등을 행한다. 통괄 제어 장치(Ht), 제1 반송 제어부(H1), 제2 반송 제어부(H2) 및 문 제어부(H6)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 등의 프로세서, 메모리 등의 주변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하드웨어와 컴퓨터 등의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과의 협동에 의해, 각 기능이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제어부(H1)는, 제1 작업대(71)의 돌출 상태 및 인퇴 상태를 검지하는 제1 센서(Se1)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송 경로(P1)는, 제1 작업대(71)가 돌출 상태인 경우에는 폐쇄되고, 제1 작업대(71)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는 개방된다. 그러므로 본 예에서는, 제1 작업대(71)가 돌출 상태인 경우에,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금지되고, 제1 작업대(71)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허용된다. 이 반송의 금지 및 허용은, 제1 반송 제어부(H1)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제어부(H1)는, 제1 비상정지 스위치(S1) 및 제2 비상정지 스위치(S2)가 압압(押壓)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비상정지 스위치(S1) 및 제2 비상정지 스위치(S2) 중 적어도 한쪽이 압압된 경우에, 제1 반송 장치(1)가 비상정지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1 반송 제어부(H1)는, 제3 비상정지 스위치(S3) 및 제5 비상정지 스위치(S5)가 압압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비상정지 스위치(S3) 또는 제5 비상정지 스위치(S5)가 압압된 경우에, 제1 반송 장치(1)가 비상정지된다. 이 비상정지는, 제1 반송 제어부(H1)에 의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반송 제어부(H2)는, 제2 작업대(72)의 돌출 상태 및 인퇴 상태를 검지하는 제2 센서(Se2)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반송 경로(P2)는, 제2 작업대(72)가 돌출 상태인 경우에는 폐쇄되고, 제2 작업대(72)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는 개방된다. 그러므로 본 예에서는, 제2 작업대(72)가 돌출 상태인 경우에,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금지되고, 제2 작업대(72)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허용된다. 이 반송의 금지 및 허용은, 제2 반송 제어부(H2)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반송 제어부(H2)는, 제1 비상정지 스위치(S1) 및 제2 비상정지 스위치(S2)가 압압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비상정지 스위치(S1) 및 제2 비상정지 스위치(S2) 중 적어도 한쪽이 압압된 경우에, 제2 반송 장치(2)가 비상정지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2 반송 제어부(H2)는, 제4 비상정지 스위치(S4) 및 제6 비상정지 스위치(S6)가 압압되었는지 아닌지의 정보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4 비상정지 스위치(S4) 또는 제6 비상정지 스위치(S6)가 압압된 경우에, 제2 반송 장치(2)가 비상정지된다. 이 비상정지는 제2 반송 제어부(H2)에 의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 장치(Ht)는, 물체 검지 센서(SeO)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괄 제어 장치(Ht)는, 물체 검지 센서(SeO)에 의해, 인접하는 층의 각각에 배치된 한 쌍의 칸막이체(50) 사이에 있어서 물체가 검지된 경우에, 제1 반송 제어부(H1) 및 제2 반송 제어부(H2)에 대하여, 각 반송 장치(1, 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정지 지령을 행한다. 즉, 물체 검지 센서(SeO)에 의해 물체가 검지된 경우에,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 및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의 양쪽이 금지된다. 다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반송 제어부(H1) 및 제2 반송 제어부(H2)의 양쪽이, 물체 검지 센서(SeO)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취득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괄 제어 장치(Ht)는, 화재 검지 센서(SeF)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괄 제어 장치(Ht)는, 화재 검지 센서(SeF)에 의해 화재가 검지된 경우에, 제1 반송 제어부(H1) 및 제2 반송 제어부(H2)에 대하여, 각 반송 장치(1, 2)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 지령을 행한다. 또한, 통괄 제어 장치(Ht)는, 화재 검지 센서(SeF)에 의해 화재가 검지된 경우에, 문 제어부(H6)에 대하여 방화문(6)을 폐쇄 상태로 하도록 지령한다. 이 지령을 받은 문 제어부(H6)는, 방화문(6)을 이동시켜 폐쇄 상태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화문(6)이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제1 영역(41R) 및 제2 영역(42R)을 포함하는 개구 영역(40R)이 폐쇄되고, 이에 의해,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의 양쪽이 폐쇄된다. 그러므로 본 예에서는, 방화문(6)이 폐쇄 상태인 경우에,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 및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의 양쪽이 금지된다. 다만, 제1 승강체(13) 또는 제2 승강체(23)가 방화문(6)과 간섭하는 위치에서 정지한 경우에는, 방화문(6)을 폐쇄 상태로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방화문(6)을 폐쇄 상태로 할 경우에는, 제1 승강체(13) 및 제2 승강체(23)가 방화문(6)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퇴피한 상태에서,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가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문 제어부(H6)는, 화재 검지 센서(SeF)에 의한 검지 결과를 취득한 통괄 제어 장치(Ht)로부터의 지령을 받아, 방화문(6)을 폐쇄 상태로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문 제어부(H6)는, 화재 검지 센서(SeF)로부터의 검지 결과를 취득 가능하게 구성되고, 취득한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방화문(6)을 폐쇄 상태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물품 반송 설비(100)에서는,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를 개별로 유지보수할 수 있고, 또한 화재 시에 적절하게 방화문(6)을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7∼도 9는, 제1 작업대(71), 제2 작업대(72), 및 방화문(6)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설명에 불필요한 요소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7∼도 9의 각각에서의 좌측 도면은, 병렬 방향 제1 측 X1로부터 본 제1 영역(A1)을 나타내고, 도 7∼도 9의 각각에서의 우측 도면은, 병렬 방향 제2 측 X2로부터 본 제2 영역(A2)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1 영역(A1)에 있어서 제1 반송 장치(1)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7의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작업대(71)를 돌출 상태로 하여, 개구 영역(40R)의 일부인 제1 영역(41R)의 상방에 해당 제1 작업대(71)를 배치한다. 작업자는, 제1 작업대(71)를 이용하여 제1 반송 장치(1)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제1 작업대(71)가 제1 영역(41R)의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제1 반송 장치(1)의 반송 경로인 제1 반송 경로(P1)가 폐쇄되지만, 제1 작업대(71)가 돌출 상태인 경우에는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금지되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작업대(72)는, 제1 작업대(71)와는 별도로 동작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7의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퇴 상태로 해 놓을 수 있다. 제2 작업대(72)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제2 작업대(72)는 개구 영역(40R)의 일부인 제2 영역(42R)의 외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2 반송 장치(2)의 반송 경로인 제2 반송 경로(P2)는 개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2 작업대(72)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는,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허용되고, 제2 영역(A2)에 있어서 물품(W)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2 영역(A2)에 있어서 제2 반송 장치(2)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경우에는, 도 8의 우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작업대(72)를 돌출 상태로 하여, 제2 영역(42R)의 상방에 해당 제2 작업대(72)를 배치한다. 작업자는, 제2 작업대(72)를 이용하여 제2 반송 장치(2)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제2 작업대(72)가 제2 영역(42R)의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제2 반송 경로(P2)가 폐쇄되지만, 제2 작업대(72)가 돌출 상태인 경우에는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금지되므로, 작업자는 안전하게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작업대(71)는, 제2 작업대(72)와는 별도로 동작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8의 좌측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퇴 상태로 해 놓을 수 있다. 제1 작업대(71)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는, 해당 제1 작업대(71)는 제1 영역(41R)의 외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반송 경로(P1)는 개방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제1 작업대(71)가 인퇴 상태인 경우에는,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이 허용되고, 제1 영역(A1)에 있어서 물품(W)의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병렬 방향 X에서의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 사이에는, 칸막이벽(5)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제1 영역(A1)에 있어서 제1 반송 장치(1)의 유지보수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영역(A2)에 있어서 제2 반송 장치(2)를 가동시키는 경우라도(도 7 참조), 작업자와 제2 반송 장치(2)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가 제2 영역(A2)에 있어서 제2 반송 장치(2)의 유지보수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제1 영역(A1)에 있어서 제1 반송 장치(1)를 가동시킬 경우에는(도 8 참조), 작업자와 제1 반송 장치(1)가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100)에 의하면,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를 병렬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유지보수 시의 반송 효율의 저하를 적게 억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 시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문(6)이 폐쇄 상태로 되고, 개구 영역(40R)의 상방에 방화문(6)이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화문(6)이 폐쇄 상태인 경우에는,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 및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의 양쪽이 금지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의 양쪽이 인퇴 상태로 되고, 또한 방화문(6)이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 중 적어도 한쪽이 돌출 상태에서, 방화문(6)을 폐쇄 상태로 해도 된다.
[기타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물품 반송 설비의 기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사다리(L1)가, 칸막이벽(5)에서의 제1 안내 레일(11)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1 면(51)에 고정되고, 제2 사다리(L2)가, 칸막이벽(5)에서의 제2 안내 레일(21)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2 면(52)에 고정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 중 적어도 한쪽은, 예를 들면, 통형벽(3)에서의 내면에 고정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고, 물품 반송 설비(100)는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2)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가,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을 덮는 통형벽(3)을 포함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통형벽(3)은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고, 물품 반송 설비(100)는, 이와 같은 통형벽(3)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3)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에,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를 비상정지시키는 제1∼제6 비상정지 스위치(S1∼S6)가 설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들 제1∼제6 비상정지 스위치(S1∼S6)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따라서, 물품 반송 설비(100)는, 이들 제1∼제6 비상정지 스위치(S1∼S6) 중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4)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방화문(6),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방화문(6),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변에 선회 동작함으로써 상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5)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4)(통과 바닥부(4T))에 형성된 개구부(40)에 방화문(6),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가 설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 방화문(6),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예를 들면, 방화문(6), 제1 작업대(71), 및 제2 작업대(72) 중 일부만을 구비한 구성이라도 되고, 혹은, 이들 모두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라도 된다.
(6)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 반송 설비는,
복수 층의 바닥부를 구비한 건물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병렬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송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1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제1 승강체와, 상기 제1 승강체에 지지되어 물품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1 이송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2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제2 승강체와, 상기 제2 승강체에 지지되어 물품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2 이송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은,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강체 및 상기 제2 승강체가 통과하는 상기 바닥부인 통과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가 배열되는 방향을 병렬 방향으로 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병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병렬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 사이에, 상기 복수 층에 걸쳐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승강체는,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대하여 상기 직교 방향의 한쪽 측인 직교 방향 제1 측을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승강체는,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대하여 상기 직교 방향 제1 측을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은, 상기 직교 방향의 다른 쪽 측인 직교 방향 제2 측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에서의 상기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승강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급전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안내 레일에서의 상기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상기 제2 승강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급전부가 배치되어 있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 장치 및 제2 반송 장치의 양쪽에 의해 물품을 반송하므로, 반송 장치가 1개만인 경우에 비하여 많은 물품을 반송할 수 있다. 제1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장치 사이가 칸막이벽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으므로, 제1 반송 장치 및 제2 반송 장치의 한쪽을 정지시켜 유지보수를 행할 때 다른 쪽의 가동을 계속시켰다고 해도,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해당 가동 중의 반송 장치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제1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장치를 개별로 정지시켜 유지보수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보수 시의 반송 효율의 저하를 적게 억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급전부가 제1 안내 레일에서의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또한 제2 급전부가 제2 안내 레일에서의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급전부 및 제2 급전부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경우에, 칸막이벽이 해당 유지보수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따라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이 확보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구성에 의하면, 2개의 반송 장치를 병렬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유지보수 시의 반송 효율의 저하를 적게 억제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승강체 및 상기 제1 이송탑재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승강체 및 상기 제2 이송탑재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사다리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다리는,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1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1 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사다리는,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2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2 면에 고정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유지보수 시에 작업자가 이용하는 사다리를, 제1 반송 장치 및 제2 반송 장치에 의한 물품의 반송 방해가 되지 않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장치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을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상기와 같은 사다리의 설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층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장치 및 상기 제2 반송 장치의 양쪽을 덮는 통형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이, 상기 복수 층의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형벽이 상기 제1 안내 레일 및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통형벽에 고정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안내 레일을 건물에 대하여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안내 레일을 이용하여, 통형벽과 칸막이벽을 적절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1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1 면에, 적어도 상기 제1 반송 장치를 비상정지시키는 제1 비상정지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2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2 면에, 적어도 상기 제2 반송 장치를 비상정지시키는 제2 비상정지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으면 호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 장치와 제2 반송 장치를 개별로 정지시켜 유지보수를 행하고 있는 경우로서, 작업자가 칸막이벽을 사이에 두고 가동 중인 반송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라도, 필요에 따라, 가동 중의 반송 장치를 작업자에 의해 비상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가일층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물품 반송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물품 반송 설비
1 : 제1 반송 장치
11 : 제1 안내 레일
12 : 제1 급전부
13 : 제1 승강체
14 : 제1 이송탑재부
2 : 제2 반송 장치
21 : 제2 안내 레일
22 : 제2 급전부
23 : 제2 승강체
24 : 제2 이송탑재부
3 : 통형벽
4 : 바닥부
4T : 통과 바닥부
40 : 개구부
5 : 칸막이벽
51 : 제1 면
52 : 제2 면
L1 : 제1 사다리
L2 : 제2 사다리
S1 : 제1 비상정지 스위치
S2 : 제2 비상정지 스위치
W : 물품
X : 병렬 방향
Y : 직교 방향
Y1 : 직교 방향 제1 측
Y2 : 직교 방향 제2 측

Claims (4)

  1. 복수 층의 바닥부를 구비한 건물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제1 반송 장치; 및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병렬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송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1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제1 승강체와, 상기 제1 승강체에 지지되어 물품의 유지 및 이송탑재(移載)를 행하는 제1 이송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2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제2 승강체와, 상기 제2 승강체에 지지되어 물품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2 이송탑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은, 상기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승강체 및 상기 제2 승강체가 통과하는 상기 바닥부인 통과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하 방향을 따르는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가 배열되는 방향을 병렬 방향으로 하고, 상기 상하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병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으로 하여,
    상기 병렬 방향에서의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 사이에, 상기 복수 층에 걸쳐 상기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장치 사이를 칸막이하는 칸막이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승강체는, 상기 제1 안내 레일에 대하여 상기 직교 방향의 한쪽 측인 직교 방향 제1 측을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승강체는,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대하여 상기 직교 방향 제1 측을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은, 상기 직교 방향의 다른 쪽 측인 직교 방향 제2 측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에서의 상기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상기 제1 승강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급전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안내 레일에서의 상기 칸막이벽과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 상기 제2 승강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급전부가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체 및 상기 제1 이송탑재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사다리; 및
    상기 제2 승강체 및 상기 제2 이송탑재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지 않도록, 상기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사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사다리는,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1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1 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사다리는,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2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2 면에 고정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층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장치 및 상기 제2 반송 장치의 양쪽을 덮는 통형(筒形)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안내 레일과 상기 제2 안내 레일이, 상기 복수 층의 상기 바닥부에 고정되고,
    상기 통형벽이 상기 제1 안내 레일 및 상기 제2 안내 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칸막이벽이 상기 통형벽에 고정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1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1 면에, 적어도 상기 제1 반송 장치를 비상정지시키는 제1 비상정지 스위치가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벽에서의 상기 제2 안내 레일이 배치된 측의 면인 제2 면에, 적어도 상기 제2 반송 장치를 비상정지시키는 제2 비상정지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200101080A 2019-09-17 2020-08-12 물품 반송 설비 KR202100328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8693 2019-09-17
JP2019168693A JP7184003B2 (ja) 2019-09-17 2019-09-17 物品搬送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896A true KR20210032896A (ko) 2021-03-25

Family

ID=7487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080A KR20210032896A (ko) 2019-09-17 2020-08-12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84003B2 (ko)
KR (1) KR20210032896A (ko)
CN (1) CN112591479B (ko)
TW (1) TW2021126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2659A (ja) 2016-09-27 2018-04-0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5897B1 (en) * 1998-05-20 2001-04-10 Applied Komatsu Technology, Inc. Automated substrate processing system
JP6314713B2 (ja) * 2014-07-14 2018-04-25 株式会社ダイフク 階間搬送設備
JP6304057B2 (ja) * 2015-01-27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531629B2 (ja) * 2015-11-17 2019-06-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2017208437A (ja) 2016-05-18 2017-11-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6593288B2 (ja) 2016-09-09 2019-10-23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2659A (ja) 2016-09-27 2018-04-0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2630A (zh) 2021-04-01
JP7184003B2 (ja) 2022-12-06
JP2021046274A (ja) 2021-03-25
CN112591479B (zh) 2024-05-28
CN112591479A (zh)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5624B2 (en) Inter-floor transport facility
CN107010514B (zh) 物品输送设备
CN110831873B (zh) 搬运系统以及搬运方法
EP2447193A1 (en) Storage container
JP2013203494A (ja) 物品収納設備
KR20180028938A (ko) 물품 반송 설비
JPWO2016031383A1 (ja) 自動倉庫、及び自動倉庫の制御方法
KR20170057847A (ko) 물품 반송 설비
EP3587307B1 (en) Stocker, and method for forming working scaffolding
KR20210032896A (ko) 물품 반송 설비
KR20210032897A (ko) 물품 반송 설비
JP2011001149A (ja) 保管庫
TW202031572A (zh) 保管系統
JP2017208437A (ja) 物品搬送設備
JP7447733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6809612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及び自動倉庫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2001344A (ja) 処理設備
JP4630386B1 (ja) 処理設備
KR20210130091A (ko) 물품 반송 설비
JP6586935B2 (ja) 物品搬送設備
KR20240003724A (ko) 물품 수용 설비
TW202045423A (zh) 貯藏庫系統
TW202246148A (zh) 台車升降裝置
JP2016054253A (ja) ストッカ及びストッカでの移載装置のバックアップ方法
JP2010143716A (ja) 処理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