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0091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0091A
KR20210130091A KR1020210019379A KR20210019379A KR20210130091A KR 20210130091 A KR20210130091 A KR 20210130091A KR 1020210019379 A KR1020210019379 A KR 1020210019379A KR 20210019379 A KR20210019379 A KR 20210019379A KR 20210130091 A KR20210130091 A KR 20210130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movable cover
door
fire do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요시오카
히로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21013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4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connection with doors, windows, ventilators, partitions, or shutters, e.g. automatic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pecial W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2개의 물품 반송 장치를 반송 경로를 따라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방화 도어를 배치하면서, 칸막이벽의 양측을 적절히 구획할 수 있는 기술을 실현한다. 칸막이벽(5)에는, 벽 직교 방향을 따르는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절결부(51)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와, 도어 이동 궤적(P3)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가동 커버(C1)가 설치되고,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중복 상태로 되도록 가압되고, 방화 도어(3)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방화 도어(3)에 가압되어 퇴피 상태로 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 {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물품을 반송(搬送; transport)하는 반송 장치와 방화 도어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6304057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각 층의 바닥부(F)에 형성된 개구(f)를 통해 물품(1)을 복수 층에 걸쳐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2)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물품 반송 설비에는, 통상 시에는 개구(f)를 개방하고, 화재 발생 시에는 개구(f)를 폐쇄하는, 방화 도어(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괄호 내에 나타낸 부호는, 특허문헌 1의 것이다.
일본 특허 제6304057호 공보
여기서, 상기와 같은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물품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2개의 물품 반송 장치를 배열하여 배치함으로써, 반송 가능한 물품의 양을 많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물품 반송 장치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도 있지만, 2개의 물품 반송 장치를 별개로 유지보수 가능하도록 양자의 사이를 칸막이벽으로 구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쪽의 물품 반송 장치의 유지보수 시에 다른 쪽의 물품 반송 장치를 가동(稼動)시킨 상태라도, 유지보수를 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물품 반송 장치가, 바닥이나 벽 등의 방화 구획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통과하므로, 바닥이나 벽에 형성된 개구를, 화재 시에 막을 수 있도록 방화 도어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2개의 물품 반송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칸막이벽을 협지(sandwich)하여 한쪽의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된 영역과 다른 쪽의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된 영역과의 각각에, 방화 도어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방화 도어의 설치수가 증가하면, 그만큼, 비용이나 설치 스페이스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방화 도어를 1개로 하고, 칸막이벽의 일부에 상기한 양 영역을 관통하는 절결부(切缺部; cut-out portion)를 형성하여, 상기 양 영역에 걸치도록 방화 도어를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방화 도어를 양 영역으로 공용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 방화 도어가 개구를 개방시키고 있는 개방 상태에서는, 칸막이벽에 형성된 절결부는 개방된 상태로 된다. 절결부가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한쪽의 영역으로 유지보수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 등에, 작업자의 손발이나 유지보수에 사용하는 기재(機材) 등이, 절결부를 통해 다른 쪽의 영역으로 튀어나올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른 쪽의 영역에 있어서 물품 반송 장치를 가동시킬 수 없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개의 물품 반송 장치를 반송 경로(transport path)를 따라 구획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방화 도어를 배치하면서, 칸막이벽의 양측을 적절히 구획할 수 있는 기술의 실현이 요구된다.
물품이 반송되는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와, 상기 제1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반송 장치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반송 경로와 상기 제2 반송 경로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벽과, 상기 반송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대상벽과,
상기 대상벽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이 지나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막는 폐쇄 상태와, 상기 개구를 개방시켜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방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에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벽과 직교하는 방향을 벽 직교 방향으로 하여, 상기 칸막이벽에는, 상기 벽 직교 방향을 따르는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절결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와, 상기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가동(可動)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복 상태로 되도록 가압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에 가압되어 상기 퇴피 상태로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벽에서의 도어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방화 도어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방화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에 중복되도록 방화 도어를 배치하여 대상벽의 개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경로와 제2 반송 경로에서 방화 도어를 공용할 수 있고, 방화 도어의 설치수가 증가하는 것에 따른 비용 및 설치 스페이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방화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는, 칸막이벽에 설치된 가동 커버는, 폐쇄 동작을 행하는 방화 도어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된다. 한쪽, 방화 도어가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서는, 가동 커버는,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절결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중복 상태의 가동 커버에 의해, 칸막이벽을 협지하여 제1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과 제2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벽에 형성된 절결부에 의해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방화 도어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중복 상태에 있어서 절결부에 대하여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가동 커버에 의해, 칸막이벽의 양측을 적절히 구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記述)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대상벽에서의 개구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단면도(斷面圖)
도 4는 도 3에서의 IV-IV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의 V-V 단면도
도 6은 개방 상태의 방화 도어를 나타낸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
도 7은 방화 도어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도중을 나타내는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
도 8은 폐쇄 상태의 방화 도어를 나타낸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의 도면
도 9는 그 외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그 외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커버를 나타낸 도면
물품 반송 설비는, 예를 들면, 원재료, 중간 제품, 또는 완성품 등의 반송이나 보관을 행하는 설비이다. 이하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가 청정 환경 하에 있어서 원재료의 처리 등을 행하는 청정실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는, 복수 층의 바닥부(4)를 구비한 건물에 설치된, 천정 반송 장치(99), 바닥면 반송 장치(98),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천정 반송 장치(99)는, 각 층에 있어서 천정(ceiling) 근처를 주행하여 물품(W)을 반송한다. 바닥면 반송 장치(98)는, 각 층의 바닥면 상을 주행하여 물품(W)을 반송한다. 제1 반송 장치(1)는, 제1 반송 경로(P1)를 따라 배치된 제1 안내 레일(11)에 지지된 상태로 물품(W)을 반송한다. 제2 반송 장치(2)는, 제2 반송 경로(P2)를 따라 배치된 제2 안내 레일(21)에 지지된 상태로 물품(W)을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안내 레일(11) 및 제2 안내 레일은,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또한, 복수 층의 바닥부(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는, 복수 층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물품(W)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W)으로서는, 예를 들면, 반도체 기판이나 레티클(reticle) 기판 등을 수용하는 수용 용기[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나 레티클 포드 등]를 예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에는, 제1 반송 장치(1)에 의한 물품(W)의 반송 경로로 되는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 경로로 되는 제2 반송 경로(P2)의 주위를 에워싸는, 포위벽(96)이 설치되어 있다. 포위벽(96)은,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가 물품(W)을 반송하는 반송 방향을 따라,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를 포위하고 있다. 즉, 포위벽(96)의 내부에는, 물품(W)이 반송되는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와, 제1 반송 경로(P1)를 따라 이동하는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경로(P2)를 따라 이동하는 제2 반송 장치(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포위벽(96)은, 직사각형의 단면(斷面)을 구비하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는, 포위벽(9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천정 반송 장치(99) 및 바닥면 반송 장치(98)는, 포위벽(96)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는, 각 층에 설치되어 포위벽(96)의 내부에 물품(W)을 반입하거나 또는 포위벽(96)의 내부로부터 물품(W)을 반출(搬出)하는 입출 반송 장치(97)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 반송 장치(97)는, 포위벽(96)을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포위벽(96)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입출 반송 장치(97)는, 포위벽(96)의 외부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端部)[외부 측단부(97a)]와 포위벽(96)의 내부에 위치하는 측의 단부[내부측 단부(97b)]와의 사이에서 물품(W)을 반송한다. 입출 반송 장치(97)는, 예를 들면, 벨트 컨베이어나 롤러 컨베이어 등의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포위벽(96)의 내부에는, 물품(W)을 유지하는 유지부(holding portion)(7)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7)는, 물품(W)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 가능한 지지체(70)를 구비하고 있고, 지지체(70)에 의해 물품(W)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물품(W)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부(7)는, 반송 도중에 물품(W)을 임시 탑재하여 두기 위한 이른바 버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유지부(7)를 생략하고 있다.
천정 반송 장치(99), 바닥면 반송 장치(98), 또는 작업자 등에 의해, 입출 반송 장치(97)의 외부 측단부(97a)에 물품(W)이 탑재되면, 상기 물품(W)은, 입출 반송 장치(97)에 의해 포위벽(96)의 내부의 내부측 단부(97b)로 반송된다. 그 후, 물품(W)은,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에 의해 내부측 단부(97b)로부터 다른 층에 있는 입출 반송 장치(97)의 내부측 단부(97b)로 반송된다. 내부측 단부(97b)로 반송된 물품(W)은, 입출 반송 장치(97)에 의해 외부 측단부(97a)로 반송되고, 천정 반송 장치(99), 바닥면 반송 장치(98), 또는 작업자 등에 의해 다음의 단계가 행해지는 장소로 반송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반송의 도중에, 물품(W)이 유지부(7)에 임시 탑재되는 경우에는,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는, 빈 유지부(7)에 물품(W)을 반송한다. 그 후,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는, 유지부(7)에 임시 설치된 물품(W)을, 어느 하나의 층에 있는 입출 반송 장치(97)의 내부측 단부(97b)로 반송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구성, 및, 이들 각각의 장치의 주변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물품(W)의 반송 방향을 단지 「반송 방향」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방향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는, 반송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대상벽(4T)을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대상벽(4T)은, 반송 방향 및 후술하는 칸막이벽(5)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벽(4T)은, 설비의 바닥부(4)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대상벽(4T)은, 물품 반송 설비(100)에서의 최하층의 바닥부(4) 이외의 바닥부(4)로 된다. 도 1에는, 3층 건물의 물품 반송 설비(100)가 예시되어 있고, 2층 및 3층의 바닥부(4)가 대상벽(4T)인 예가 나타나 있다. 1층의 바닥부(4)는 대상벽(4T)은 아니다.
물품 반송 설비(100)는, 반송 방향을 따라 제1 반송 경로(P1)와 제2 반송 경로(P2)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벽(5)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칸막이벽(5)은, 포위벽(9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칸막이벽(5)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포위벽(96)의 내부는, 칸막이벽(5)에 의해, 제1 반송 장치(1)가 배치되는 제1 영역(A1)와 제2 반송 장치(2)가 배치되는 제2 영역(A2)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1 반송 장치(1)는, 제1 영역(A1)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물품(W)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반송 장치(2)는, 제2 영역(A2)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물품(W)을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칸막이벽(5)과 직교하는 방향을 벽 직교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벽 직교 방향 X에 있어서, 칸막이벽(5)에 대하여 제1 반송 장치(1)가 배치되는 측을 벽 직교 방향 제1 측 X1이라고 하고, 칸막이벽(5)에 대하여 제2 반송 장치(2)가 배치되는 측을 벽 직교 방향 제2 측 X2라고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 직교 방향 X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제1 반송 장치(1)는, 반송 방향(본 예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1 안내 레일(11)과, 제1 안내 레일(11)을 따라 승강하는 제1 승강체(13)와, 제1 승강체(13)에 지지되어 물품(W)의 유지 및 이송탑재(移載; transfer)를 행하는 제1 이송탑재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송탑재부(14)는, 물품(W)을 유지할 수 있는 제1 이송탑재 유지부(141)와, 제1 이송탑재 유지부(141)를 수평 방향으로 출퇴(出退; projecting and retracting)시키는 기구부 및 제1 이송탑재 유지부(141)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軸心) 주위로 선회(旋回)시키는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제1 이송탑재부(14)는, 제1 안내 레일(11)의 주위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레일(1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유지부(7)와의 사이에서, 물품(W)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송탑재부(14)는, 수평 다관절 암(arm)[이른바 SCARA; Selective Compliance Assembly Robot Arm)]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1 이송탑재부(14)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동일한 제1 승강체(13)에 지지되어 있다.
제2 반송 장치(2)는, 반송 방향(본 예에서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층에 걸쳐 배치된 제2 안내 레일(21)과, 제2 안내 레일(21)을 따라 승강하는 제2 승강체(23)과, 제2 승강체(23)에 지지되어 물품(W)의 유지 및 이송탑재를 행하는 제2 이송탑재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이송탑재부(24)는, 물품(W)을 유지할 수 있는 제2 이송탑재 유지부(241)와, 제2 이송탑재 유지부(241)를 수평 방향으로 출퇴시키는 기구부 및 제2 이송탑재 유지부(241)를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기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제2 이송탑재부(24)는, 제2 안내 레일(21)의 주위의 복수 개소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 레일(2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유지부(7)와의 사이에서, 물품(W)을 이송탑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이송탑재부(24)는, 수평 다관절 암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한 쌍의 제2 이송탑재부(24)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동일한 제2 승강체(23)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는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물품 반송 설비(100)는, 대상벽(4T)을 반송 방향으로 관통하고,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의 양쪽이 지나는 개구(4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는, 대상벽(4T)으로 되는 2층 및 3층의 바닥부(4)의 각각에, 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40)는, 이들 바닥부(4)의 각각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구(40)에는, 제1 안내 레일(11) 및 제2 안내 레일(21)의 양쪽이 삽통(揷通)하고 있다. 개구(40)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배치 영역의 합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는, 개구(40)를 통해 각 층을 왕래한다.
물품 반송 설비(100)는, 개구(40)의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여, 개구(40)를 막는 폐쇄 상태와, 개구(40)를 개방되어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방화 도어(3)를 구비하고 있다. 방화 도어(3)는, 바닥부(4)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방화 도어(3)의 이동 방향에서 있는 도어 이동 방향 Y는, 칸막이벽(5)과 직교하여 배치되는 대상벽(4T)[바닥부(4)]에 따른 방향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이동 방향 Y는, 또한 벽 직교 방향 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방화 도어(3)는, 대상벽(4T)에 설치된 도어 지지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도어 지지 프레임(30)에 안내되어 도어 이동 방향 Y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3)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3)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Y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도어 지지 프레임(30)의 프레임 단부(30a)와 맞닿는다. 방화 도어(3)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프레임 단부(30a)와 맞닿음으로써, 평면에서 볼 때 개구(40)를 막는다. 이하에서는, 도어 이동 방향 Y에 있어서, 방화 도어(3)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폐쇄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측을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이라고 하고, 방화 도어(3)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개방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측을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라고 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방화 도어(3)가 개방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가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방화 도어(3)는 개방 상태로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중 적어도 한쪽의 영역에서 유지보수가 행해지는 경우에도, 방화 도어(3)는 개방 상태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에는, 개구(40)의 일부를 덮은 상태로 배치 가능한 제1 작업대(91) 및 제2 작업대(9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작업대(91)는, 전개한 상태에서, 제1 영역(A1)에 있어서 개구(40)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2 작업대(92)는, 전개한 상태에서, 제2 영역(A2)에 있어서 개구(40)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작업대(91) 및 제2 작업대(92)는, 유지보수 시에 있어서 작업자의 발판(foothold)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유지보수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어서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절첩되어 수납된 상태의 제1 작업대(91) 및 제2 작업대(92)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영역(A1)에 제1 사다리(L1)가 설치되고, 제2 영역(A2)에 제2 사다리(L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에 대해서도, 유지보수 시에 이용할 수 있다. 제1 사다리(L1) 및 제2 사다리(L2)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지보수를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장치(1) 또는 제2 반송 장치(2)의 가동을 정지하기 위한 비상 정지(停止) 스위치(S)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비상 정지 스위치(S)는, 유지보수를 행하는 작업자 등에 의해 필요에 따라 이용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비상 정지 스위치(S)는, 포위벽(96)의 내측 및 외측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자 등은, 포위벽(96)의 내부 및 외부의 양쪽으로부터 비상 정지 스위치(S)를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8은, 방화 도어(3)가 폐쇄 상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방화 도어(3)는, 화재 발생 시에 폐쇄 동작에 의해 폐쇄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개구(40)를 막아, 인접하는 층간(inter floor)에서의 연소를 억제한다. 방화 도어(3)는, 물품 반송 설비(100) 등에 설치된 화재 검지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화재가 검지된 경우에, 자동으로 폐쇄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방화 도어(3)가 폐쇄 상태로 되는 경우에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의 양쪽은, 방화 도어(3)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여기서, 칸막이벽(5)에는, 방화 도어(3)의 이동 궤적인 도어 이동 궤적(P3)과 중복되는 영역에 절결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5)은, 제1 영역(A1)와 제2 영역(A2)을 구획하는 칸막이판(50)을 구비하고 있다. 칸막이판(50)은, 복수 층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2개의 층의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칸막이판(50)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칸막이판(50)의 상하 방향의 사이에, 전술한 절결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방화 도어(3)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절결부(51)를 관통하는 상태로 칸막이벽(5)의 양측에 걸쳐 배치된다. 이로써, 방화 도어(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의 양쪽에 중복되도록 방화 도어(3)를 배치하여 대상벽(4T)의 개구(40)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경로(P1)와 제2 반송 경로(P2)에서 방화 도어(3)를 공용할 수 있어, 방화 도어(3)의 설치수가 증가하는 것에 따른 비용 및 설치 스페이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방화 도어(3)는, 개방 상태에서는, 절결부(51)의 대부분으로부터 퇴피하고, 또한 개구(40)를 개방하고,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의 양쪽을 개방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5)에는, 벽 직교 방향 X를 따르는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와, 도어 이동 궤적(P3)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가동 커버(C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커버(C1)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리(表裏)의 판면(板面)이 벽 직교 방향 X를 향하도록 칸막이벽(5)에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칸막이벽(5)은, 칸막이판(50)과 가동 커버(C1)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2)[브래킷(bracket)]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 커버(C1)는, 연결 부재(52)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칸막이벽(5)에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연결 부재(52)는,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부재(52)는, 절결부(51)에 대하여 위쪽으로 인접하도록 칸막이판(5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연결 부재(52)에 연결되는 가동 커버(C1)를, 절결부(51)에 대하여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중복되는 중복 상태로 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복 상태로 되도록 가압되어 있다(도 6 참조). 이로써, 방화 도어(3)가 개방 상태에 있어서 절결부(51)의 대부분으로부터 퇴피하고 있는 경우라도, 가동 커버(C1)가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에 중복되는 중복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동 커버(C1)와 칸막이판(50)에 의해, 칸막이벽(5)을 협지하는 제1 영역(A1)와 제2 영역(A2)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중 어느 하나에서 유지보수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유지보수가 행해지고 있지 않은 영역을 가동 상태로 해도, 상기 가동 상태의 영역에, 유지보수 작업 중인 작업자의 손발이나 유지보수에 사용하는 기재 등이 절결부(51)를 통해 튀어나올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3)에 가압되어 상기 퇴피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이로써,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와 중복되도록 가동 커버(C1)가 설치된 구성이라도, 방화 도어(3)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동 커버(C1)를 밀어내도록 하여, 방화 도어(3)에 폐쇄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즉, 가동 커버(C1)가 방화 도어(3)의 폐쇄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가 개구(40)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 있어서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에 중복되는 중복 상태로 되고, 방화 도어(3)가 개구(40)를 막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3)의 도어 이동 궤적(P3)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물품 반송 설비(100)에 의하면, 칸막이벽(5)에 형성된 절결부(51)에 의해 칸막이벽(5)의 양측에 걸쳐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의 양쪽에 방화 도어(3)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복 상태에 있어서 절결부(51)에 대하여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가동 커버(C1)에 의해, 방화 도어(3)가 개방 상태인 경우에도 칸막이벽(5)의 양측을 적절히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는, 가동 커버(C1)에 더하여,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에 중복하여 배치되는 보조 커버(C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커버(C2)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표리의 판면이 벽 직교 방향 X를 향하도록 칸막이벽(5)에 설치되어 있다. 보조 커버(C2)는,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에서의 가동 커버(C1)와 중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중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는, 가동 커버(C1)를 칸막이벽(5)에 대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機構)(6)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요동 지지 기구(6)는, 가동 커버(C1)에 더하여, 보조 커버(C2)를 칸막이벽(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요동 지지 기구(6)는, 가동 커버(C1) 및 보조 커버(C2)를, 각각의 판면에 따른 방향으로 요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요동 지지 기구(6)에 의해 요동되는 가동 커버(C1) 및 보조 커버(C2)는, 각각이 벽 직교 방향 X를 따르는 요동 축심 Ax 주위에, 각각의 판면이 벽 직교 방향 X를 향한 상태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지지 기구(6)는, 칸막이벽(5)과 직교하는 요동 축심 Ax 주위로 요동하는 링크 부재(6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요동 지지 기구(6)는, 링크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요동 지지 기구(6)는, 링크 부재(61)로서 제1 링크 부재(611)와 제2 링크 부재(612)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요동 축심 Ax로서 제1 요동 축심 Ax1과 제2 요동 축심 Ax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요동 축심 Ax1 및 제2 요동 축심 Ax2는, 각각 벽 직교 방향 X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 링크 부재(611)는, 제1 요동 축심 Ax1 주위로 요동하도록, 칸막이벽(5)에서의 연결 부재(52)에 지지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612)는, 제2 요동 축심 Ax2 주위로 요동하도록, 칸막이벽(5)에서의 연결 부재(52)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2 요동 축심 Ax2는, 제1 요동 축심 Ax1보다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요동 축심 Ax2는, 제1 요동 축심 Ax1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커버(C1)는, 링크 부재(61)에서의 요동 축심 Ax로부터 이격된 지지부(6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링크 부재(611)는, 제1 요동 축심 Ax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62)로서의 제1 지지부(6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링크 부재(611)는, 보조 커버(C2)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623)도 구비하고 있지만, 이 점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그리고, 가동 커버(C1)에 설치된 제1 연결부(C11)가, 제1 지지부(621)에 대하여, 제1 연결 축심 CAx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2 링크 부재(612)는, 제2 요동 축심 Ax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부(62)로서의 제2 지지부(62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가동 커버(C1)에 설치된 제2 연결부(C12)가, 제2 지지부(622)에 대하여, 제2 연결 축심 CAx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결 축심 CAx2는, 제1 연결 축심(1)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연결 축심 CAx2는, 제1 연결 축심(1)에 대하여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요동 축심 Ax1로부터 제1 연결 축심 CAx1까지의 거리와, 제2 요동 축심 Ax2로부터 제2 연결 축심 CAx2까지의 거리와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 연결 축심 CAx2가 배치되는 제2 연결부(C12)는, 제1 연결 축심 CAx1이 배치되는 제1 연결부(C11)보다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연결부(C11)는, 가동 커버(C1)에서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단부 부근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연결부(C12)는, 가동 커버(C1)에서의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의 단부 부근에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동 커버(C1)가 요동 지지 기구(6)에 의해 지지된 구성에 있어서,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방화 도어(3)에 의해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부터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으로 이동하면서 도어 이동 궤적(P3)으로부터 퇴피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 된다(도 8 참조). 그리고,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방화 도어(3)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퇴피 상태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 이동하면서 도어 이동 궤적(P3)으로 진입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중복 상태로 된다(도 6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크 부재(61)의 요동 축심 Ax는, 절결부(51)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링크 부재(611)의 제1 요동 축심 Ax1 및 제2 링크 부재(612)의 제2 요동 축심 Ax2의 양쪽이, 절결부(51)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커버(C1)는, 링크 부재(61)[제1 링크 부재(611)] 및 제2 링크 부재(612)에 의해 현수 지지된(suspended and supported) 상태에서 상기 중복 상태로 되고,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커버(C1)를 그 자중(自重)에 의해 상기 중복 상태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가압(付勢)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방화 도어(3)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로 되도록 가압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 커버(C2)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커버(C2)는, 도어 이동 방향 Y를 따라 가동 커버(C1)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커버(C2)는,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인 경우에, 상기 가동 커버(C1)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커버(C2)는, 가동 커버(C1) 상태 변화에 따라,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중복 상태와(도 6 참조), 방화 도어(3)의 이동 궤적인 도어 이동 궤적(P3)로부터 퇴피하는 보조 퇴피 상태(도 8 참조)로 상태 변화하도록 링크 부재(61)에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보조 커버(C2)는, 가동 커버(C1)와 함께 제1 링크 부재(611)를 통해 연결 부재(52)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칸막이벽(5)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보조 커버(C2)는, 제1 링크 부재(611)에서의 제1 요동 축심 Ax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 보조 지지부(623)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커버(C2)는, 보조 지지부(623)에 대하여, 제3 연결 축심 CAx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보조 커버(C2)는, 가동 커버(C1)가 중복 상태인 경우에 보조 중복 상태로 되고(도 6 참조), 가동 커버(C1)가 상기 퇴피 상태인 경우에 보조 퇴피 상태로 된다(도 8 참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커버(C2)는, 보조 중복 상태에서는, 가동 커버(C1)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로서,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와 상기 퇴피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서의 가동 커버(C1)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보조 중복 상태의 보조 커버(C2)는,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도어 지지 프레임(30)에서의 프레임 단부(30a)와 가동 커버(C1)와의 도어 이동 방향 Y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 영역과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커버(C2)는,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함에 따라, 보조 중복 상태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요동하여 보조 퇴피 상태로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보조 커버(C2)는, 제1 링크 부재(611)의 제1 요동 축심 Ax1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 또한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 요동함으로써, 보조 중복 상태로부터 보조 퇴피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조 커버(C2)는, 보조 중복 상태(도 6 참조)에서 가장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에 있고, 그로부터 보조 퇴피 상태(도 8 참조)로 상태 변화할 때까지의 동안에,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으로는 변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보조 커버(C2)가 상태 변화되어 있는 도중에는 프레임 단부(30a)에 대하여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중복 상태의 보조 커버(C2)를, 프레임 단부(30a)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Y로 근접하도록, 또는, 접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커버(C2)가 보조 중복 상태에서,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보조 커버(C2)와 프레임 단부(30a)와의 간극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어, 칸막이벽(5)과 가동 커버(C1)와 보조 커버(C2)에 의해 제1 영역(A1)와 제2 영역(A2)를 적절히 차단할 수 있다.
보조 중복 상태로부터 보조 퇴피 상태로 이행하는 보조 커버(C2)는,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퇴피 상태로 이행하는 가동 커버(C1)에 선행하여, 가동 커버(C1)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상을 이동시킨다. 환언하면,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퇴피 상태로 이행하는 가동 커버(C1)에서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끝에지는, 보조 중복 상태로부터 보조 퇴피 상태로 이행하는 보조 커버(C2)에 추종하도록 이동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커버(C1)가 상기 퇴피 상태로 되고, 또한 보조 커버(C2)가 보조 퇴피 상태로 된 후, 방화 도어(3)는, 도어 지지 프레임(30)에서의 프레임 단부(30a)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부터 맞닿아 폐쇄 상태로 된다.
다음에, 요동 지지 기구(6)에 의한 가동 커버(C1) 및 보조 커버(C2)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 지지 기구(6)는, 제1 링크 부재(611)와 제2 링크 부재(61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부재(611)는, 제1 요동 축심 Ax1에 있어서, 연결 부재(5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링크 부재(612)는, 제2 요동 축심 Ax2에 있어서, 연결 부재(5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링크 부재(611)는, 제1 요동 축심 Ax1에 배치된 제1 축지지부(611a)와, 제1 연결 축심(1)이 설치된 제1 지지부(621)와, 제1 축지지부(611a)(제1 요동 축심 Ax1)로부터 제1 지지부(621)까지 연장되는 제1 가동측(可動側) 연장부(611b)와, 제3 연결 축심(3)이 설치된 보조 지지부(623)와, 제1 축지지부(611a)로부터 보조 지지부(623)까지 연장되는 보조측 연장부(611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링크 부재(611)는, 제1 축지지부(611a)에 있어서 제1 요동 축심 Ax1을 따라 축(軸) 부재에 삽통되어 있다. 이로써, 제1 링크 부재(611)는, 연결 부재(52)에 대하여 제1 요동 축심 Ax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1 가동측 연장부(611b)에서의 제1 요동 축심 Ax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가동 커버(C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621)[지지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커버(C1)는, 이 제1 지지부(621)에 대하여 제1 연결 축심(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도 6 참조), 제1 연결 축심(1)이 제1 요동 축심 Ax1에 대하여 아래쪽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요동 축심 Ax1과 제1 연결 축심(1)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가동측 연장부(611b)는,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축지지부(611a)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제1 요동 축심 Ax1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절결부(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 커버(C1)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보조측 연장부(611c)에서의 제1 요동 축심 Ax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보조 커버(C2)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 지지부(623)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 커버(C2)는, 이 보조 지지부(623)에 대하여 제3 연결 축심(3)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보조 커버(C2)가 보조 중복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도 6 참조), 제3 연결 축심(3)이 제1 요동 축심 Ax1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3 연결 축심(3)과 제1 요동 축심 Ax1이 도어 이동 방향 Y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보조측 연장부(611c)는,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로서 보조 커버(C2)가 보조 중복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1 축지지부(611a)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중복 상태의 가동 커버(C1)보다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영역에 보조 커버(C2)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예에서는, 제1 링크 부재(611)에서의 보조 지지부(623)는, 보조 커버(C2)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보조 커버(C2)는, 보조 중복 상태에 있어서, 제1 요동 축심 Ax1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된 제3 연결 축심(3)으로부터 아래쪽에 현수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보조 커버(C2)의 보조 중복 상태에 있어서, 제1 요동 축심 Ax1보다 아래쪽에 배치되는 상기 퇴피 상태의 가동 커버(C1)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에, 보조 커버(C2)를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링크 부재(611)는, 제1 요동 축심 Ax1로부터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제1 가동측 연장부(611b)가 연장되는 방향과 보조측 연장부(611c)가 연장되는 방향과는, 서로 교차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이들의 각각의 연장 방향은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직교하고 있다. 즉, 제1 링크 부재(611)는,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링크 부재(612)는, 제2 요동 축심 Ax2에 배치된 제2 축지지부(612a)와, 제2 연결 축심(2)이 설치된 제2 지지부(622)와, 제2 축지지부(612a)(제2 요동 축심 Ax2)로부터 제2 지지부(622)까지 연장되는 제2 가동측 연장부(612b)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링크 부재(612)는, 제2 축지지부(612a)에 있어서 제2 요동 축심 Ax2를 따라 축 부재에 삽통되어 있다. 이로써, 제2 링크 부재(612)는, 연결 부재(52)에 대하여 제2 요동 축심 Ax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2 가동측 연장부(612b)에서의 제2 요동 축심 Ax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가동 커버(C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부(622)[지지부(62)]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커버(C1)는, 이 제2 지지부(622)에 대하여 제2 연결 축심(2)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도 6 참조), 제2 연결 축심(2)가 제2 요동 축심 Ax2에 대하여 아래쪽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요동 축심 Ax2와 제2 연결 축심(2)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2 가동측 연장부(612b)는, 가동 커버(C1)가 상기 중복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제2 축지지부(612a)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제2 요동 축심 Ax2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절결부(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 커버(C1)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링크 부재(612)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밴드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방화 도어(3)가 개구(40)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부터 개구(40)를 막는 폐쇄 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서의, 가동 커버(C1) 및 보조 커버(C2)의 동작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3)의 개방 상태에서는, 가동 커버(C1)는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로 되고, 보조 커버(C2)는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절결부(51)에서의 가동 커버(C1)는 중복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중복 상태로 된다. 이 때, 가동 커버(C1)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중복 상태로 가압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 커버(C1)는 보조 커버(C2)보다 충분히 무겁다. 그러므로, 보조 커버(C2)에 작용하는 중력에 관계없이, 가동 커버(C1)는 상기 중복 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보조 커버(C2)가 보조 중복 상태로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가압 기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3)가 폐쇄 동작으로 이행하면,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에 의해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에 가압된다.
이로써, 가동 커버(C1)에 연결된 제1 링크 부재(611)이 제1 요동 축심 Ax1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또한, 동일하게 가동 커버(C1)에 연결된 제2 링크 부재(612)가 제2 요동 축심 Ax2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이로써, 가동 커버(C1)는,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 및 위쪽으로 요동하고, 도어 이동 궤적(P3)로부터 위쪽으로 퇴피한다.
이 때, 가동 커버(C1)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과 도어 지지 프레임(30)에서의 프레임 단부(30a)가 중복되지 않도록, 가동 커버(C1)의 배치 위치와, 링크 부재(61)(제1 링크 부재(611), 제2 링크 부재(612)의 형상 및 크기와, 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중복 상태와 상기 퇴피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하는 가동 커버(C1)가 프레임 단부(30a)에 접촉되지 않는다.
한쪽, 제1 링크 부재(611)에 연결된 보조 커버(C2)는, 보조 중복 상태에 있어서 가동 커버(C1)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과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커버(C2)는, 제1 링크 부재(611)의 요동에 수반하여, 가동 커버(C1)에 선행하여, 가동 커버(C1)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상을 이동시키는 동시에, 도어 이동 궤적(P3)에서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단부 영역으로부터 위쪽으로 퇴피하도록 요동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3)의 폐쇄 상태에서는, 가동 커버(C1)는 도어 이동 궤적(P3)으로부터 퇴피한 퇴피 상태로 되고, 보조 커버(C2)에 대하여 도 도어 이동 궤적(P3)으로부터 퇴피한 보조 퇴피 상태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3)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가동 커버(C1) 및 보조 커버(C2)는, 도어 이동 궤적(P3)으로부터 위쪽으로 퇴피하여, 방화 도어(3)보다 위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방화 도어(3)는, 프레임 단부(30a)와 맞닿아 평면에서 볼 때 개구(40)를 막는다. 이로써, 화재 발생 시에 있어서, 방화 도어(3)를 협지하여 상하로 인접하는 층간에서의 연소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방화 도어(3)에 의해 개구(40)를 막을 필요성이 없어졌을 경우에는, 방화 도어(3)는,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개방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도 8, 도 7, 도 6의 순으로, 방화 도어(3), 가동 커버(C1) 및 보조 커버(C2)가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방화 도어(3)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퇴피 상태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 이동하면서 도어 이동 궤적(P3)으로 진입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중복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개방 동작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부터 상기 중복 상태로 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커버(C1)의 상기 퇴피 상태에서는, 가동 커버(C1)와 제1 링크 부재(611)과의 연결부인 제1 연결 축심(1)은, 제1 링크 부재(611)의 요동 중심으로 되는 제1 요동 축심 Ax1보다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되어 있고, 동일하게 가동 커버(C1)와 제2 링크 부재(612)와의 연결부인 제2 연결 축심(2)은, 제2 링크 부재(612)의 요동 중심인 제2 요동 축심 Ax2보다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동 커버(C1)의 상기 퇴피 상태[방화 도어(3)의 폐쇄 상태]에서는, 제1 링크 부재(611) 및 제2 링크 부재(612)에 의해 현수 지지된 가동 커버(C1)는, 자체의 무게에 의해 아래쪽(도시한 예에서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방화 도어(3)가 개방 동작을 행함으로써, 가동 커버(C1)는, 상기 방화 도어(3)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상태로 되어 그 자중에 의해 하강하도록 요동한다. 이로써, 가동 커버(C1)는 상기 중복 상태로 된다. 또한, 제1 링크 부재(611)는, 가동 커버(C1)에 더하여, 보조 지지부(623)에 있어서 보조 커버(C2)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방화 도어(3)의 개방 동작에 따른 가동 커버(C1)의 하강에 의해, 보조 커버(C2)도 하강하여 보조 중복 상태로 된다.
[그 외의 실시형태]
다음에, 물품 반송 설비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지지 기구(6)가, 가동 커버(C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링크 부재(61)로서, 제1 링크 부재(611)와 제2 링크 부재(612)를 구비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동 지지 기구(6)는, 제1 링크 부재(611) 및 제2 링크 부재(612) 중 한쪽만을 구비한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 제1 링크 부재(611) 또는 제2 링크 부재(612)에 의해 가동 커버(C1)를 지지하는 개소(箇所)는, 적절히, 가동 커버(C1)를 양호한 밸런스로 지지하기 위해 바람직한 개소가 선택되면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링크 부재(611)가, 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고, 제2 링크 부재(612)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링크 부재(611)의 형상 및 제2 링크 부재(612)의 형상은, 벽 직교 방향 X에서 볼 때 직사각형, 다각형상, 원형, 타원형 등,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커버(C1)를 칸막이벽(5)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6)가, 링크 부재(61)를 구비한 링크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동 지지 기구(6)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의 요동 지지 기구(6)는, 칸막이벽(5)에서의 연결 부재(52)와 가동 커버(C1)를 연결하고 또한, 판형의 가동 커버(C1)를 그 판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63)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이 경우에서의 도어 이동 방향 Y는, 칸막이벽(5)과 직교하는 벽 직교 방향 X를 따른 방향으로 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도,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3)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도어 이동 궤적(P3)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된다. 그리고,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방화 도어(3)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것에 의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퇴피 상태로부터 도어 이동 궤적(P3)으로 진입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중복 상태로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지지 기구(6)에 의해 가동 커버(C1)를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커버(C1)를 상기 중복 상태와 상기 퇴피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시키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요동 지지 기구(6)를 이용하지 않고서 가동 커버(C1)를 상기 중복 상태와 상기 퇴피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예에서는, 가동 커버(C1)는,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이 허용된 상태에서 연결 부재(52)에 지지되고 또한,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의 단면(端面)에,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커버 경사면(C1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방화 도어(3)는,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의 단면에,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을 향함에 따라 위쪽을 향하는 방향에 경사지는 도어 경사면(3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방화 도어(3)의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커버 경사면(C1a)이 도어 경사면(3a)에 의해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Y2로부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1을 향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커버 경사면(C1a)에 상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커버 경사면(C1a)이 도어 경사면(3a)을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가동 커버(C1)가, 도어 이동 궤적(P3)로부터 위쪽으로 퇴피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 된다. 또한, 가동 커버(C1)는, 방화 도어(3)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방화 도어(3)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것에 의해, 그 자중에 의해, 상기 퇴피 상태로부터 도어 이동 궤적(P3)으로 진입하도록 이동하여 상기 중복 상태로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이, 가동 커버(C1)에 더하여, 보조 커버(C2)를 구비하고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 반송 설비(100)는, 보조 커버(C2)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의 양쪽이 지나는 개구(40)가 형성된 대상벽(4T)이, 설비의 바닥부(4)인 예, 즉 대상벽(4T)이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예에 한정되지 않고, 대상벽(4T)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된 벽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대상벽(4T)은, 시설내에 있어서 같은 층에 복수 배열되도록 설정된 방화 영역을 구획하는 수직벽 등이라도 된다. 이 경우,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설정된다. 또한, 대상벽(4T)은,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벽이라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반송 경로(P1) 및 제2 반송 경로(P2)의 주위를 반송 방향을 따라 에워싸는 포위벽(96)이 설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포위벽(96)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커버(C1)가, 그 자중에 의해 상기 중복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동 커버(C1)가,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중복 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품이 반송되는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와, 상기 제1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반송 장치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로서,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반송 경로와 상기 제2 반송 경로와의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벽과,
상기 반송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대상벽과,
상기 대상벽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이 지나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막는 폐쇄 상태와, 상기 개구를 개방시켜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방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에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벽과 직교하는 방향을 벽 직교 방향으로 하여, 상기 칸막이벽에는, 상기 벽 직교 방향을 따르는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절결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와, 상기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가동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복 상태로 되도록 가압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에 가압되어 상기 퇴피 상태로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벽에서의 도어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방화 도어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방화 도어의 폐쇄 상태에 있어서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에 중복되도록 방화 도어를 배치하여 대상벽의 개구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경로와 제2 반송 경로로 방화 도어를 공용할 수 있고, 방화 도어의 설치수가 증가하는 것에 따른 비용 및 설치 스페이스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방화 도어의 폐쇄 상태에서는, 칸막이벽에 설치된 가동 커버는, 폐쇄 동작을 행하는 방화 도어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된다. 한편, 방화 도어가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에서는, 가동 커버는,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절결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중복 상태의 가동 커버에 의해, 칸막이벽을 협지하여 제1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과 제2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칸막이벽에 형성된 절결부에 의해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방화 도어를 배치할 수 있고, 또한, 중복 상태에 있어서 절결부에 대하여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가동 커버에 의해, 칸막이벽의 양측을 적절히 구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방화 도어가 이동하는 방향을 도어 이동 방향으로 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측을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개방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측을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 하여, 상기 가동 커버를 상기 칸막이벽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에 의해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부터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 되고,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퇴피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이동 궤적에 진입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중복 상태로 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의 폐쇄 동작에 의해 가동 커버를 누름으로써 가동 커버를 요동시켜 퇴피 상태로 하고, 방화 도어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가동 커버가 방화 도어에 가압되지 않는 것에 의해, 가동 커버를 역방향으로 요동시켜 중복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커버를 요동 지지 기구에 의해 칸막이벽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방화 도어의 동작에 따라 중복 상태와 퇴피 상태와의 사이에서 상태 변화하는 가동 커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지지 기구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동 방향은, 상기 대상벽에 따른 방향이어,
상기 요동 지지 기구는, 상기 칸막이벽과 직교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하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서의 상기 요동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지지부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요동 축심은, 상기 절결부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현수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중복 상태로 되고,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 되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가동 커버를 그 자중에 의해 중복 상태에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스프링 등의 가압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방화 도어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가동 커버가 중복 상태로 되도록 가압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지지 기구가 링크 부재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 커버와 나란히 배치된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커버는,
상기 가동 커버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절결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중복 상태와, 상기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보조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중복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커버에 대하여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하여, 상기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가동 커버가 상기 중복 상태와 상기 퇴피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가동 커버의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커버가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함에 따라, 상기 보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보조 퇴피 상태로 되면 바람직하다.
가동 커버가, 중복 상태로부터 퇴피 상태로 되므로,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요동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가동 커버가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이동하는 여지(餘地)가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가동 커버가 중복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절결부의 전체에 중복되도록 가동 커버를 배치하는 것은 어렵다. 그 경우, 가동 커버가 중복 상태라도,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절결부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의 단부 영역에, 가동 커버에 의해 덮히지 않는 공극(空隙)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가동 커버에 대하여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하여,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가동 커버의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보조 커버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칸막이벽을 협지하여 제1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과 제2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측의 영역을 보다 적절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커버는, 가동 커버와 연동(連動)하여, 가동 커버가 퇴피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보조 퇴피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보조 커버를 구비한 본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보조 커버가 방화 도어의 이동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반송 장치 및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복수 층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상벽은, 설비의 바닥부이며,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바닥부를 따라 이동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물품 반송 설비는, 이와 같은, 각 층의 바닥부를 관통해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주위를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에워싸는 포위벽이 설치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공간과 외부를 포위벽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장치 또는 제2 반송 장치의 가동 중에 있어서, 제1 반송 경로 및 제2 반송 경로가 배치되는 공간에 작업자 등이 뜻하지 않게 세움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와 방화 도어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100: 물품 반송 설비
1: 제1 반송 장치
2: 제2 반송 장치
3: 방화 도어
4: 바닥부
40: 개구
4T: 대상벽
5: 칸막이벽
51: 절결부
6: 요동 지지 기구
61: 링크 부재
62: 지지부
96: 포위벽
C1: 가동 커버
C2: 보조 커버
Ax: 요동 축심
P1: 제1 반송 경로
P2: 제2 반송 경로
P3: 도어 이동 궤적
W: 물품
X: 벽 직교 방향
Y: 도어 이동 방향
Y1: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
Y2: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

Claims (6)

  1. 물품이 반송(transport)되는 반송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반송 경로(transport path) 및 제2 반송 경로;
    상기 제1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1 반송 장치;
    상기 제2 반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제2 반송 장치;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반송 경로와 상기 제2 반송 경로 사이를 구획하는 칸막이벽;
    상기 반송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대상벽;
    상기 대상벽을 상기 반송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이 지나는 개구; 및
    상기 개구의 개구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막는 폐쇄 상태와, 상기 개구를 개방시켜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양쪽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방화 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칸막이벽에는, 상기 방화 도어의 이동 궤적인 도어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절결부(切缺部; cut-out portion)가 형성되고,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칸막이벽의 양측에 걸쳐 배치되고,
    상기 칸막이벽과 직교하는 방향을 벽 직교 방향으로 하여, 상기 칸막이벽에는, 상기 벽 직교 방향을 따르는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절결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중복 상태와, 상기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하는 가동(可動)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개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복 상태로 되도록 가압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에 가압되어 상기 퇴피 상태로 되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가 이동하는 방향을 도어 이동 방향으로 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측을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개방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측을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 하여,
    상기 가동 커버를 상기 칸막이벽에 대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機構)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폐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에 의해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부터 가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 되고,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방화 도어로부터 가압되지 않는 것에 의해, 상기 퇴피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어 이동 궤적에 진입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중복 상태로 되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동 방향은, 상기 대상벽에 따른 방향이며,
    상기 요동 지지 기구는, 상기 칸막이벽과 직교하는 요동 축심 주위로 요동하는 링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서의 상기 요동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지지부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링크 부재의 상기 요동 축심은, 상기 절결부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커버는, 상기 링크 부재에 의해 현수 지지된(suspended and supported) 상태에서 상기 중복 상태로 되고,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퇴피 상태로 되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 커버와 나란히 배치된 보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커버는,
    상기 가동 커버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절결부와 중복되도록 배치되는 보조 중복 상태와, 상기 도어 이동 궤적으로부터 퇴피하는 보조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하도록 상기 링크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중복 상태에서는, 상기 가동 커버에 대하여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으로서, 상기 벽 직교 방향에서 볼 때, 상기 가동 커버가 상기 중복 상태와 상기 퇴피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우에서의 상기 가동 커버의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1 측의 끝에지의 이동 궤적과 중복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커버가 상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퇴피 상태로 상태 변화함에 따라, 상기 보조 중복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 이동 방향 제2 측으로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요동하여 상기 보조 퇴피 상태로 되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장치 및 상기 제2 반송 장치는, 복수 층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물품을 반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대상벽은, 설비의 바닥부이며,
    상기 방화 도어는, 상기 바닥부를 따라 이동하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경로 및 상기 제2 반송 경로의 주위를 상기 반송 방향을 따라 에워싸는 포위벽이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210019379A 2020-04-21 2021-02-10 물품 반송 설비 KR20210130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5693A JP7259799B2 (ja) 2020-04-21 2020-04-21 物品搬送設備
JPJP-P-2020-075693 2020-04-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091A true KR20210130091A (ko) 2021-10-29

Family

ID=78095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379A KR20210130091A (ko) 2020-04-21 2021-02-10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259799B2 (ko)
KR (1) KR20210130091A (ko)
CN (1) CN1135261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057A (ja) 1993-04-22 1994-11-01 Kataoka Bussan Kk グラスの保持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5609A (ja) * 1991-09-24 1993-04-06 Nippon Steel Corp パレツト台車式立体自動倉庫
JP2007022677A (ja) * 2005-07-12 2007-02-01 Asyst Shinko Inc ストッカ装置
JP6314713B2 (ja) * 2014-07-14 2018-04-25 株式会社ダイフク 階間搬送設備
JP6304057B2 (ja) * 2015-01-27 2018-04-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7065601B2 (ja) * 2017-12-28 2022-05-12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JP7063789B2 (ja) * 2018-10-22 2022-05-09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搬送路の遮断機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057A (ja) 1993-04-22 1994-11-01 Kataoka Bussan Kk グラスの保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59799B2 (ja) 2023-04-18
JP2021172467A (ja) 2021-11-01
CN113526130A (zh)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842B1 (ko) 층간 반송 설비
KR100440683B1 (ko) 진공처리장치및이를사용한반도체생산라인
KR102424033B1 (ko) 물품 보관 설비
KR102481186B1 (ko) 로드 포트 및 로드 포트를 구비하는 기판 반송 시스템
KR102385795B1 (ko) 물품 반송 설비
WO2013121918A1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TWI776125B (zh) 用於自動化晶圓載具搬運的系統及方法
KR20210130091A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294887B1 (ko) 물품 이송 장치
JP5745786B2 (ja) 処理設備
JP2012025532A (ja) 装置搬入方法及び装置搬出方法
JP7322924B2 (ja) 物品収容設備
JP2017208437A (ja) 物品搬送設備
KR20140059717A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419509B1 (ko) 물품 반송 설비
JP7184003B2 (ja) 物品搬送設備
JP7222337B2 (ja) 物品搬送設備
JP2012001344A (ja) 処理設備
JP3469230B2 (ja) 真空処理装置
CN117326237A (zh) 物品收容设备
KR100754271B1 (ko) 에스엠아이에프 시스템
JP2003051524A (ja) 真空処理装置および試料の真空処理方法
JP2012001345A (ja) 処理設備
JP2001171820A (ja) ワーク搬送装置
JP2010143716A (ja) 処理設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