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3953B1 -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3953B1
KR102613953B1 KR1020230103002A KR20230103002A KR102613953B1 KR 102613953 B1 KR102613953 B1 KR 102613953B1 KR 1020230103002 A KR1020230103002 A KR 1020230103002A KR 20230103002 A KR20230103002 A KR 20230103002A KR 102613953 B1 KR102613953 B1 KR 102613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pillar
power generation
lifting unit
lif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3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영 filed Critical 정태영
Priority to KR1020230103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3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3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3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설치면에 배치되는 중심기둥;과 상기 중심기둥에 관통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져 작업자가 탑승되는 인력승강부;와 상기 인력승강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심기둥의 외주연에 일측이 접촉 배치되어, 발전설비가 안착되는 화물승강부; 및 상기 중심기둥을 따라 상기 인력승강부 및 상기 화물승강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ELEVATING DEVICE FOR INSTALLING POLE-TYPE POWER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중심 기둥에 다수 개의 태양광 발전 패널 및 다수 개의 풍력 발전기와 같은 발전 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기둥식 발전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일 예로 본 출원인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 개의 태양광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가 배치된 기둥식 발전기인 그린에너지폴 장치에 대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KR10-2549686호를 기 등록받은 바 있다.
이와 같은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승강 장치가 필요하다. 상세하게는, 중심기둥은 작업자의 키에 비해 상당히 높은 높이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중심 기둥을 따라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승강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위와 같은 승강장치는 중심기둥을 따라 발전 장치와 작업자가 동시에 이동되어, 작업자가 중심기둥에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통해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단일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와 발전 장치를 동시에 옮기게 되면, 발전 장치의 부피가 크기 때문에 승강장치가 거대해질 수 있다. 또한, 승강장치가 설치 위치로 이동된 후,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발전 장치를 승강장치의 외부로 꺼내어 설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위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대부피 고중량인 발전 장치와 작업자를 동시에 안전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중심기둥에 발전장치의 설치가 용이한 승강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549686호(2023.06.27.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전 장치와 작업자를 안전하게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중심기둥에 발전장치의 설치가 용이한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치면에 배치되는 중심기둥;과 상기 중심기둥에 관통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져 작업자가 탑승되는 인력승강부;와 상기 인력승강부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심기둥의 외주연에 일측이 접촉 배치되어, 발전설비가 안착되는 화물승강부; 및 상기 중심기둥을 따라 상기 인력승강부 및 상기 화물승강부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승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장치는 작업자와 발전설비를 분리 이송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설비는 고중량 부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와 동시에 이송되는 경우 발전설비가 흔들리거나 하여 부딪히는 등 안전에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승강장치는 작업자와 발전설비가 분리된 영역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발전설비가 흔들리거나 추락한다고 하더라도 작업자가 부딪히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장치는 설치 위치로 이동된 발전설비를 꺼내어 옮기는 것과 같은 별도의 과정 없이, 이동 후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과정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발전설비가 이동 시 안착되는 화물 안착부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발전설비가 설치 위치로 이동된 후 별도의 이송 과정 없이 발전설비가 화물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 즉, 설치 위치로 이동된 발전설비를 중심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이송과정 없이 화물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이동된 발전설비의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장치에 발전설비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력승강부 내부의 구름장치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력승강부 내부의 안전고정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력승강부 내부의 안전고정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화물승강부 및 보조거치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장치에 발전설비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승강장치(1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중심기둥(110)에 다수 개의 발전설비(P)를 상하 방향으로 설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의 승강장치(100)는 작업자와 발전설비(P)를 분리된 상태로 이송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설치 위치에 발전설비(P)가 이송된 후 꺼내어 옮기는 등의 과정 없이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승강장치(100)는 발전설비(P)와 작업자를 설치 위치까지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승강장치(100)는 설치면에 배치되는 중심기둥(110), 작업자가 탑승되는 인력승강부(120), 발전설비(P)가 안착되는 화물승강부(130) 및 중심기둥(110)을 따라 인력승강부(120)와 화물승강부(130)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중심기둥(110)은 설치면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심기둥(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하광상협한 원뿔대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기둥(110)의 하단 지름은 대략 36cm 내외, 상단 지름은 대략 20cm 내외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심기둥(110)은 설치면과 인접한 위치에 베이스판(미도시)이 배치되어, 후술할 동력전달부(140)의 윈치(141)가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중심기둥(110)의 상부에는 후술할 동력전달부(140)의 도르래(14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동력전달부(140)에서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력승강부 내부의 구름장치대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인력승강부 내부의 안전고정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인력승강부 내부의 안전고정틀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5를 더 참조하면, 인력승강부(120)는 중심기둥(110)에 관통 배치되어, 중심기둥(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인력승강부(12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박스(Box) 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탑승될 수 있다. 즉, 인력승강부(120)는 작업자를 발전설비(P)와 별도로 중심기둥(110)의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인력승강부(120)는 두 부분 혹은 그 이상으로 분리 형성되어, 기둥식 발전 장치의 설치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인력승강부(120)는 상기 설치 현장까지 이동되는 동안에는 분리된 상태로 이동되어 부피를 적게 차지하고, 상기 설치 현장에 도착 후 조립하여 간편하게 설치가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력승강부(120)는 바닥면(121), 측면(122) 및 상부프레임(123)이 대략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를 이루는 박스형 공간으로 형성되고, 인력승강부(12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름장치대(124) 및 인력승강부(120)를 중심기둥(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안전고정틀(125)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21)은 작업자가 상측에 탑승되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면(121)은 중심기둥(110)이 관통 배치되기 위한 바닥개구면(12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121)은 바닥개구면(121a)을 중심으로 두 부분으로 분리 형성되어, 설치 장소로 분리 이동 후 조립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닥개구면(121a)은 바닥면(121)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인력승강부(12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균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개구면(121a)은 바닥면(121)의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형성되되, 폭 방향으로는 일측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닥개구면(121a)이 폭 방향 끝단에 개방 형성되더라도 가장자리에 프레임을 포함하여, 인력승강부(120)가 중심기둥(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면(122)은 바닥면(121)의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122)은 바닥면(121)의 가장자리를 커버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발전설비(P)의 설치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대략 1m 내외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123)은 측면(122)의 상측 끝단과 연결되게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프레임(123)은 측면(122)의 상단 테두리에 배치되어, 후술할 안전고정틀(125)의 고정틀 지지구(125a)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프레임(123)은 작업자가 바닥면(121)에 탑승한 상태에서 발전설비(P)의 설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상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고, 상면의 가장자리에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a)는 구름장치대(124)가 중심기둥(110)에 접하지 않도록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구름장치대(124)가 펼쳐져 중심기둥(110)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름장치대(124)는 인력승강부(120)가 중심기둥(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바닥개구면(121a)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구름장치대(124)는 바닥개구면(121a)의 일측에 회전체가 돌출 배치되어, 인력승강부(120)의 승강 시 중심기둥(110)에 일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름장치대(124)는 인력승강부(120)와 중심기둥(11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승강되도록 하고, 인력승강부(120)와 중심기둥(110) 간의 접촉 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름장치대(124)는 바닥개구면(121a)에서 중심기둥(110)이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는 연결패널(124a), 연결패널(124a)의 끝단에 회전체가 배치되는 롤러(124b) 및 연결패널(124a)과 바닥면(121)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연결패널(124a)이 회동되게 하는 힌지부(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패널(124a)은 바닥면(121)에 배치되되, 바닥개구면(121a)에서 중심기둥(110)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연결패널(124a)은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에 롤러(124b)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패널(124a)은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가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연결패널(124a)은 바닥개구면(121a)의 끝단에서부터 바닥개구면(121a)의 중심 방향으로 배치되어, 바닥면(121)의 중심부와 중심기둥(110) 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력승강부(120)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연결패널(124a)이 바닥면(121)의 중심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롤러(124b)는 연결패널(124a)의 끝단에 배치되어,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에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롤러(124b)는 회전체로 형성되어, 인력승강부(120)가 중심기둥(11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롤러(124b)는 인력승강부(120)와 중심기둥(110) 간의 접촉 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힌지부(124c)는 연결패널(124a)과 바닥면(121)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구름장치대(12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힌지부(124c)는 연결패널(124a)이 바닥면(121)의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부(124c)는 필요에 따라 인력승강부(120)의 방향전환 시, 구름장치대(124)가 로프(142)에 접촉되지 않으며 회동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인력승강부(12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후술할 로프(14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구름장치대(124)가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안전고정틀(125)은 인력승강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필요에 따라 인력승강부(1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중심기둥(110)에 인력승강부(120)를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안전고정틀(125)은 바닥개구면(121a) 가장자리와 상부프레임(123)의 가장자리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안전고정틀(125)은 인력승강부(120)의 바닥면(121) 및 상부프레임(123)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전고정틀(125)은 회전 가능한 'U'자형 부재로 형성되어, 지름이 다른 중심기둥(110)의 어느 한 부분에서도 회전하여 고정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고정틀(125)은 고정대(125b)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틀 지지구(125a), 'U'자형 부재로 중심기둥(110)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대(125b) 및 고정대(125b)를 중심기둥(110)에 고정시키는 회전고정구(125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틀 지지구(125a)는 인력승강부(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고정대(125b)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틀 지지구(125a)는 바닥면(121)의 일측 프레임과 상부프레임(123)의 일측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틀 지지구(125a)는 바닥면(121) 및 상부프레임(123)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틀 지지구(125a)는 고정대(125b)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고정틀 지지구(125a)의 회동에 따라 고정대(125b)가 회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틀 지지구(125a)는 안전고정틀(125)이 설치되는 설치면에 배치되는 고정틀(125a-1), 회동바(125a-3)를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틀(125a-2)에 연결하는 관통부(125a-2) 및 고정대(125b)가 연결되며 관통부(125a-2)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바(125a-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틀(125a-1)은 안전고정틀(125)을 구성하는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안전고정틀(125)이 설치되는 설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틀(125a-1)은 안전고정틀(125)이 배치되는 인력승강부(120)의 바닥면(121) 및 상부프레임(123)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정틀(125a-1)은 관통부(125a-2)가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 정도의 면적을 갖는 바(bar)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틀(125a-1)은 사각 파이프 형태의 각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125a-2)는 고정틀(125a-1)에 배치되고, 회동바(125a-3)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관통부(125a-2)는 아이볼트와 같이 중심부가 개방 형성된 원형 부재의 하단에 고정 바가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부(125a-2)는 원형 부재에 회동바(125a-3)가 관통 배치되고, 고정 바는 고정틀(125a-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관통부(125a-2)의 원형 부재의 내주연에는 베어링이 배치되어, 회동바(125a-3)가 원활하게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관통부(125a-2)는 회동바(125a-3)의 양 끝단 부분을 포함한 여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회동바(125a-3)를 지지할 수 있다.
회동바(125a-3)는 고정대(125b)가 연결되며, 관통부(125a-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동바(125a-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 부재로 형성되어, 관통부(125a-2)에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바(125a-3)는 관통부(125a-2)에 관통된 상태로 회동됨에 따라 연결된 고정대(125b)가 회동될 수 있다.
고정대(125b)는 대략 'U'자형의 부재로 형성되어, 중심기둥(110)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대(125b)는 중심기둥(110)의 가장 넓은 부분의 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면적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되어, 중심기둥(110)의 하단부터 상단까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중심기둥(110)의 상단에 인력승강부(120)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고정대(125b)가 회동되어 중심기둥(110)에 근접하게 배치시킨 후 회전고정구(125c)를 통해 중심기둥(110)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고정구(125c)는 고정대(125b)의 일측에 배치되며, 고정대(125b)를 중심기둥(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회전고정구(125c)는 고정대(125b)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고정구(125c)는 중심기둥(110)의 크기(지름)에 맞게 고정대(125b)를 회전시켜, 회전고정구(125c)가 중심기둥(110)에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한 후, 회전고정구(125c)를 작동시켜 인력승강부(120)를 중심기둥(110)에 압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고정구(125c)는 다면체 형상의 부재에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고정구(125c)를 회전시켜 중심기둥(110)에 인력승강부(120)를 고정 및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회전고정구(125c)는 폭이 좁은 부분과 넓은 부분으로 구성되어, 폭이 좁은 부분이 상단에 배치되면 인력승강부(120)의 결합이 해제되고, 폭이 넓은 부분이 상단에 배치되면 인력승강부(120)가 중심기둥(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고정구(125c)는 좁은면(125c-1), 넓은면(125c-2), 곡면(125c-3) 및 작업자가 회전고정구(125c)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125c-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안전고정틀(125)이 중심기둥(110)을 가압하지 않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의 (b)는 안전고정틀(125)이 중심기둥(110)을 가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4의 (a)를 기준으로 회전고정구(125c)를 설명하고자 한다.
좁은면(125c-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의 면으로 형성되어, 회전고정구(125c)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넓은면(125c-2)은 좁은면(125c-1)의 일측 끝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절곡 배치되되, 중심기둥(110)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넓은면(125c-2)은 좁은면(125c-1)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연장된 직사각 또는 정사각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넓은면(125c-2)에는 레버(125c-4)가 배치되어, 작업자가 레버(125c-4)를 파지하여 회전고정구(125c)를 회전시킬 수 있다.
곡면(125c-3)은 좁은면(125c-1)과 넓은면(125c-2)의 양 끝단을 연결하는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며, 중심기둥(11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곡면(125c-3)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볼록면을 형성하여, 회전고정구(125c)를 회전 시 곡면(125c-3)이 중심기둥(110)을 따라 원활하게 회전되어, 중심기둥(110)에 회전고정구(125c)가 압착될 수 있다.
레버(125c-4)는 넓은면(125c-2)에 돌출 형성되어, 작업자가 파지하여 회전고정구(125c)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고정대(125b)는 회전고정구(125c)에 관통 배치되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면(125c-1)과 근접한 위치에 관통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전고정구(125c)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면(125c-1)이 상단을 바라보게 배치되면 회전고정구(125c)와 중심기둥(110)은 고정되지 않는다. 반면, 도 4의 (b)와 같이 곡면(125c-3)이 중심기둥(110)을 따라 회전되어, 곡면(125c-3)이 상단을 바라보게 배치되면 회전고정구(125c)와 중심기둥(110)이 압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화물승강부 및 보조거치대의 확대도이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화물승강부(130)는 발전설비(P)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화물승강부(130)는 중심기둥(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인력승강부(120)와 후술할 로프(142)로 연결되어, 인력승강부(120)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물승강부(130)는 발전설비(P)를 작업자와 별도로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 위치로 이동된 발전설비(P)를 바로 중심기둥(110)에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화물승강부(130)는 발전설비(P)가 안착되는 하부승강대(131), 하부승강대(131)의 대각선 방향 상측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승강대(132) 및 하부승강대(131)와 상부승강대(132)를 연결하는 커넥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승강대(131)는 중심기둥(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승강대(131)는 반원형 부재로 형성되되, 다각 기둥과 같이 절곡 형성되어,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승강대(131)는 다각주 반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승강대(131)에는 발전설비(P)의 일측이 안착되어 승강될 수 있다. 또한, 하부승강대(131)는 상부승강대(132)와 중심기둥(110)을 사이에 두고 연결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승강대(131)는 로프(142)가 관통되는 하부 로프연결부(131a), 중심기둥(110)과 접촉 지지되는 하부 지지롤러(131b) 및 발전설비(P)가 안착되는 화물 안착부(131c)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로프연결부(131a)는 하부승강대(131)의 일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로프(142)가 관통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 로프연결부(131a)는 로프(142)가 하부승강대(131)의 내부면과 중심기둥(110)의 사이 공간으로 배치되도록, 하부승강대(131)의 내측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부 로프연결부(131a)는 로프(142)가 관통 배치될 수 있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승강대(131)의 내부면 중심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로프연결부(131a)는 로프(142)가 발전설비(P), 인력승강부(120) 및 화물승강부(130)와 중심기둥(110)의 사이에 겹치거나 끼이지 않고, 로프(142)가 원활히 승강되도록 이동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지지롤러(131b)는 중심기둥(110)과 하부승강대(131)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승강되도록, 하부승강대(1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중심기둥(110)에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부 지지롤러(131b)는 하부승강대(131)의 내부면에 중심기둥(110)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중심기둥(110)에 일측이 소정 정도 접촉된 상태로 하부승강대(131)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화물 안착부(131c)는 하부승강대(131)의 외주연에 외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화물 안착부(131c)에는 발전설비(P)가 안착되어 화물승강부(130)의 승강에 따라 발전설비(P)가 이동될 수 있다. 즉, 화물 안착부(131c)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판형 부재의 끝단이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발전설비(P)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물 안착부(131c)는 발전설비(P)가 상측에 안착되는 화물거치대(131c-1), 발전설비(P)의 이탈을 방지하는 절곡부(131c-2) 및 발전설비(P)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화물거치대(131c-1)가 개방 형성되는 개구부(131c-3)를 포함할 수 있다.
화물거치대(131c-1)는 판형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발전설비(P)가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화물거치대(131c-1)는 발전설비(P)의 거치대의 폭보다 소정 정도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발전설비(P)의 거치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화물거치대(131c-1)는 하부승강대(131)의 양 측면부를 제외한 중심부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발전설비(P)가 하부승강대(131)의 중심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절곡부(131c-2)는 화물거치대(131c-1)의 끝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발전설비(P)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131c-3)는 화물거치대(131c-1)의 중심부가 개방 형성되는 것으로, 발전설비(P)가 안착되는 중심부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구부(131c-3)는 발전설비(P)가 화물거치대(131c-1)에 안착된 상태로 중심기둥(110)에 바로 설치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부승강대(132)는 중심기둥(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되, 하부승강대(131)의 대각선 방향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상부승강대(132)는 하부승강대(131)와 중심기둥(110)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게 배치되되, 하부승강대(131)보다 소정 정도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승강대(132)는 하부승강대(131)와 커넥터(133)로 연결되어, 발전설비(P)의 승강 시 균형 유지 및 균형 조절이 용이하다.
상세하게는, 상부승강대(132)는 하부승강대(131)와 유사하게 반원형 부재로 형성되며, 다각 기둥과 같이 절곡 형성되되, 화물 안착부(131c)가 포함되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승강대(132)도 하부승강대(131)와 마찬가지로 다각주 반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승강대(132)는 로프(142)가 관통되는 상부 로프연결부(132a) 및 중심기둥(110)과 접촉 지지되는 상부 지지롤러(13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로프연결부(132a)는 상부승강대(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후술할 로프(142)가 관통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로프연결부(132a)는 상부승강대(132)의 외주연에 배치될 수 있으며, 로프(142)가 고정되어 로프(142)의 작동에 의해 승강 및 하강될 수 있다. 이때 상부승강대(132)와 하부승강대(131)는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부승강대(132)의 승하강에 의해 하부승강대(131)가 동일하게 승하강될 수 있다.
상부 지지롤러(132b)는 중심기둥(110)과 상부승강대(13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승강되도록, 상부승강대(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중심기둥(110)에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지지롤러(132b)는 상부승강대(132)의 내부면에 중심기둥(110)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중심기둥(110)에 일측이 소정 정도 접촉된 상태로 상부승강대(132)가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33)는 하부승강대(131)와 상부승강대(132)를 연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커넥터(133)는 하부승강대(131)와 하부승강대(131)의 대각선 방향 상측에 배치된 상부승강대(132)를 연결하여, 하부승강대(131)와 상부승강대(132)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커넥터(133)는 상부승강대(132)와 하부승강대(131)의 양 측면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부승강대(132)와 하부승강대(131)를 두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커넥터(133)는 분리가 가능하여, 상부승강대(132)와 하부승강대(131)를 분리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140)는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을 따라 배치되어, 인력승강부(120) 및 화물승강부(130)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동력전달부(140)는 인력승강부(120)와 화물승강부(130)에 모두 연결되어, 작동 시, 인력승강부(120)와 화물승강부(130)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동력전달부(140)에 사용되는 전원은 일반 전원인 AC220V가 사용되거나 이동이 용이하도록 차량에서 주로 사용되는 DC12V 내지 DC24V용 전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부(140)는 중심기둥(110)을 따라 인력승강부(120)와 화물승강부(130)를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140)는 설치면과 인접한 중심기둥(110)에 고정되는 윈치(141), 윈치(141)와 도르래(143)를 거쳐 연결되는 로프(142) 및 중심기둥(110)의 상단에 배치되는 도르래(143)를 포함할 수 있다.
윈치(141)는 설치면과 인접한 중심기둥(110)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윈치(141)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중심기둥(110)의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베이스판(미도시)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윈치(141)는 중량물인 인력승강부(120)와 화물승강부(130)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로프(142)가 감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윈치(141)는 이미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프(142)는 윈치(141)와 도르래(143)를 거쳐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로프(142)는 중심기둥(110)의 하단에 배치된 윈치(141)에서 인력승강부(120)의 바닥개구면(121a)과 하부 로프연결부(131a)를 관통 이동되고, 도르래(143)를 거쳐 상부승강대(132)의 상부 로프연결부(132a) 및 인력승강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로프(142)는 화물승강부(130)와 인력승강부(120)에 동시에 연결되어, 윈치(141)의 작동 시 화물승강부(130)와 인력승강부(120)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도르래(143)는 중심기둥(1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윈치(141)에서 인출된 로프(14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로프(142)는 윈치(141)에서 인출되어 도르래(143)를 거쳐 화물승강부(130)와 인력승강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보조거치대(150)는 발전설비(P)를 화물승강부(130)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키고, 중심기둥(110)에 용이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보조거치대(150)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며, 다수 회 절곡되어 발전설비(P)가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거치대(150)는 발전설비(P)의 거치대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발전설비(P)가 안정적으로 승강되고, 중심기둥(110)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거치대(150)는 발전설비(P)의 거치대에 고정된 상태로 화물승강부(130)에 안착되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 후 중심기둥(11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조거치대(150)는 체결부재를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여, 중심기둥(110)에 발전설비(P)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거치대(150)는 발전설비(P)의 상측에 배치되어 중심기둥(110)과 연결되는 상부체결면(151), 발전설비(P)의 고정 시 경사를 유지시키기 위한 경사면(152), 발전설비(P)의 승하강 시 안전성이 향상되는 안전고정면(153), 발전설비(P)의 하단을 받쳐 지지하는 균형유지면(154) 및 발전설비(P)의 하측에 배치되어 중심기둥(110)과 연결되는 하부체결면(1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체결면(151)은 보조거치대(150)의 최상단에 배치되며, 체결부재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체결면(151)은 중심기둥(110)에 발전설비(P)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경사면(152)은 상부체결면(151)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절곡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경사면(152)은 안전고정면(153)과 상부체결면(151)을 연결하는 부재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경사면(152)은 안전고정면(153)이 특정 각도로 배치되어, 안전고정면(153)에 연결되는 발전설비(P)가 특정 각도로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배치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사면(152)의 배치각도는 배치되는 발전설비(P)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그 배치각은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안전고정면(153)은 경사면(152)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되, 내측 방향으로 절곡 배치되며, 발전설비(P)의 거치대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
균형유지면(154)은 안전고정면(153)의 끝단에 연장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절곡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균형유지면(154)은 안전고정면(153)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각관 형태의 발전설비(P)의 거치대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균형유지면(154)은 발전설비(P)의 거치대 타측이 고정되어, 발전설비(P)의 좌우 균형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발전설비(P)의 거치대는 일측 및 타측이 안전고정면(153)과 균형유지면(154)에 각각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균형유지면(154)은 안전고정면(153)의 양 측면 끝단에 배치되어, 안전고정면(153)의 중심부는 균형유지면(154)이 배치되지 않은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균형유지면(154)은 발전설비(P) 거치대의 중심부를 제외한 두 부분을 지지하여 발전설비(P)의 좌우 균형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하부체결면(155)은 균형유지면(154)의 하단에 배치되되, 안전고정면(153)의 중심부 끝단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부체결면(155)은 보조거치대(150)의 최하단에 배치되며, 체결부재가 연결되기 위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체결면(155)은 상부체결면(151)과 마찬가지로 중심기둥(110)에 발전설비(P)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보조거치대(150)는 상부체결면(151)과 하부체결면(155)이 발전설비(P) 거치대의 상하부에 배치되어 발전설비(P)를 안전하게 승강시키고, 중심기둥(110)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승강장치(100)를 이용한 기둥식 발전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심기둥(110)의 상단에 도르래(143)를 장착하고, 중심기둥(110)을 설치면에 설치한다. 이후, 설치면에 인접한 중심기둥(110)의 하단에 베이스판(미도시)을 설치하고, 윈치(141)를 안착시킨다. 인력승강부(120)의 바닥면(121)을 중심기둥(110)에 관통 배치되도록 조립하고, 바닥면(121)에 측면(122) 및 상부프레임(123)을 조립한다. 상기 인력승강부(120)에 안전고정틀(125)과 구름장치대(124)를 설치한다.
인력승강부(120)의 상단에 하부승강대(131)를 장착하고, 하부승강대(131)의 대각선 상측에 상부승강대(132)를 이격 배치한다. 발전설비(P)에 보조거치대(150)를 장착하고, 보조거치대(150)가 장착된 발전설비(P)를 하부승강대(131)의 화물 안착부(131c) 중심에 안착시킨다. 이후, 윈치(141)에 연결된 로프(142)에 화물승강부(130)와 인력승강부(120)를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보조로프(미도시)를 화물승강부(130) 및 인력승강부(120)와 로프(142)의 연결부에 연결하여 작동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윈치(141)가 가동되면 로프(142)에 연결된 상부승강대(132)가 상승되고, 하부승강대(131)에 안착된 발전설비(P)의 일측이 무게중심에 의해 상부승강대(132)에 안착되어, 화물승강부(130)가 중심기둥(110)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운반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부승강대(132)와 커넥터(133)로 연결된 하부승강대(131)도 동시에 상승되고, 화물승강부(130)와 로프(142)로 연결된 인력승강부(120)도 동시에 상승된다. 발전설비(P)가 설치 위치에 도달 시, 윈치(141)의 가동을 정지하고 인력승강부(120)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고정틀(125)을 조작하여 인력승강부(120)를 중심기둥(110)에 밀착 고정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발전설비(P)를 중심기둥(110)에 고정 설치한 후, 커넥터(133)로 연결된 하부승강대(131)와 상부승강대(132)를 분리한다. 다음으로, 인력승강부(120)의 안전고정틀(125)을 해제한 후 윈치(141)를 역방향으로 가동하여 인력승강부(120)를 설치면으로 하강시킨다.
위와 같은 과정을 설치하고자 하는 발전설비(P)의 개수만큼 반복 진행하여 중심기둥(110)에 다수 개의 발전설비(P)를 설치한다. 작업 완료 후, 중심기둥(110)에 설치되었던 동력전달부(140)를 회수하여 기둥식 발전 장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작업자와 발전설비(P)를 분리 이송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설비(P)는 고중량 고부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와 동시에 이송되는 경우 발전설비(P)가 흔들리거나 하여 부딪히는 등 안전에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작업자와 발전설비(P)가 분리된 영역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발전설비(P)가 흔들리거나 추락한다고 하더라도 작업자가 부딪히지 않아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인력승강부(120)는 상면이 개방 형성되지만, 발전설비(P)가 안전고정틀(125)의 상측에 배치된 화물승강부(130)에 안착되기 때문에, 발전설비(P)가 탈락되더라도 인력승강부(120)의 내부로 떨어지지 않고 외측으로 이탈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승강장치(100)는 설치 위치로 이동된 발전설비(P)를 꺼내어 옮기는 것과 같은 별도의 과정 없이, 이동 후 바로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과정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발전설비(P)가 이동 시 안착되는 화물 안착부(131c)는 개구부(131c-3)를 포함하여, 발전설비(P)가 설치 위치로 이동된 후 별도의 이송 과정 없이 발전설비(P)가 화물 안착부(131c)에 안착된 상태로 바로 설치가 가능하다. 즉, 설치 위치로 이동된 발전설비(P)를 중심기둥(110)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이송과정 없이 화물 안착부(131c)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승강장치(100)는 이동된 발전설비(P)의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승강장치 110: 중심기둥
120: 인력승강부 121: 바닥면
122: 측면 123: 상부프레임
124: 구름장치대 125: 안전고정틀
130: 화물승강부 131: 하부승강대
132: 상부승강대 133: 커넥터
140: 동력전달부 141: 윈치
142: 로프 143: 도르래
150: 보조거치대 151: 상부체결면
152: 경사면 153: 안전고정면
154: 균형유지면 155: 하부체결면

Claims (11)

  1. 설치면에 배치되는 중심기둥(110);
    상기 중심기둥(110)에 관통 배치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져 작업자가 탑승되는 인력승강부(120);
    상기 인력승강부(120)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에 일측이 접촉 배치되어, 발전설비(P)가 안착되는 화물승강부(130); 및
    상기 중심기둥(110)을 따라 상기 인력승강부(120) 및 상기 화물승강부(1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동력전달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화물승강부(130)는,
    상기 중심기둥(1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전설비(P)가 안착되어, 상기 인력승강부(120)와 동시에 이동되는 하부승강대(131); 및
    승강 시 균형 조절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부승강대(131)의 대각선 방향 상측에 배치되고, 커넥터(133)로 상기 하부승강대(131)와 연결되는 상부승강대(132);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대(131)는,
    판형 부재로 형성되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발전설비(P)가 상측에 안착되는 화물거치대(131c-1); 및
    상기 발전설비(P)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물거치대(131c-1)의 끝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31c-2);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대(131)는,
    상기 발전설비(P)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중심기둥(110)에 설치되도록, 상기 발전설비(P)가 안착되는 중심부가 개방 형성되는 개구부(131c-3);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대(131) 및 상기 상부승강대(132)는,
    상기 중심기둥(110)의 외주연을 감싸는 다각주 반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승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승강대(131)는 내면에 하부 지지롤러(131b);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승강대(132)는 내면에 상부 지지롤러(132b);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승강부(130)가 상기 중심기둥(110)에 대해 원활한 승강이 이뤄지는, 승강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승강부(120)는,
    상기 인력승강부(120)가 상기 중심기둥(110)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승강되도록, 상기 인력승강부(120)의 바닥개구면(121a)에 회전체가 돌출 배치되어, 상기 중심기둥(110)에 일부 접촉되는 구름장치대(124);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름장치대(124)는,
    상기 바닥개구면(121a)에 상기 중심기둥(110)의 방향으로 돌출 배치된 연결패널(124a); 및
    상기 연결패널(124a)의 끝단에 회전체가 배치되어, 상기 중심기둥(110)에 접촉되는 롤러(124b);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름장치대(124)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인력승강부(120)의 방향전환 시, 상기 구름장치대(124)가 로프(142)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구름장치대(124)와 상기 바닥개구면(121a)의 연결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름장치대(124)를 회동시키는 힌지부(124c);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력승강부(120)는,
    작업자가 상기 인력승강부(120)의 내부에서 상기 인력승강부(120)를 상기 중심기둥(11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안전고정틀(125);을 포함하는, 승강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발전설비(P)에 체결되고,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중심기둥(110)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형성되는, 보조거치대(150);를 더 포함하는, 승강장치.
KR1020230103002A 2023-08-07 2023-08-07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KR102613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002A KR102613953B1 (ko) 2023-08-07 2023-08-07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3002A KR102613953B1 (ko) 2023-08-07 2023-08-07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3953B1 true KR102613953B1 (ko) 2023-12-13

Family

ID=89157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3002A KR102613953B1 (ko) 2023-08-07 2023-08-07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395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15Y2 (ja) * 1990-01-31 1995-05-01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自走式高所作業車
KR20090103555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디엠에스 풍력 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EP2159419A1 (en) * 2007-06-20 2010-03-0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uspension device for wind wheel blade, method of mounting wind wheel blade, and method of constructing wind-driven generator
KR20130017228A (ko) * 2011-08-10 2013-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및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의 승강 방법
CN213783209U (zh) * 2020-12-27 2021-07-23 江苏晟大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升降平移的光伏组件结构
CN216277203U (zh) * 2021-09-23 2022-04-12 四川联达电力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用具有自动爬升装置的混凝土电线杆
KR102549686B1 (ko) 2023-01-05 2023-06-29 정태영 그린에너지폴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15Y2 (ja) * 1990-01-31 1995-05-01 株式会社アイチコーポレーション 自走式高所作業車
EP2159419A1 (en) * 2007-06-20 2010-03-0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Suspension device for wind wheel blade, method of mounting wind wheel blade, and method of constructing wind-driven generator
KR20090103555A (ko) * 2008-03-28 2009-10-01 주식회사 디엠에스 풍력 발전기 설치용 크레인
KR20130017228A (ko) * 2011-08-10 2013-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 및 풍력 발전기 설치작업 선박의 승강 방법
CN213783209U (zh) * 2020-12-27 2021-07-23 江苏晟大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升降平移的光伏组件结构
CN216277203U (zh) * 2021-09-23 2022-04-12 四川联达电力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电力工程用具有自动爬升装置的混凝土电线杆
KR102549686B1 (ko) 2023-01-05 2023-06-29 정태영 그린에너지폴 장치 및 이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2895B2 (en) Solar array lifter and method
KR101110837B1 (ko) 턴 오버 지그를 이용한 턴 오버 방법
KR20180022951A (ko)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풍력 터빈 부품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시스템
KR102466049B1 (ko) 타워작업용 곤돌라
KR102613953B1 (ko) 기둥식 발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승강장치
EP2508467B1 (fr) Appareil de levage et de manutention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20040097542A (ko) 커튼월 설치용 이동대차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설치방법
CN105819352A (zh) 可拆卸式门式桅杆建筑用起重装置及其施工方法
KR102309532B1 (ko) 기상관측타워의 관측장비용 승강장치
CN210628940U (zh) 顶升式全防护跨越架
CN2379090Y (zh) 多用途微型擦窗机
KR20230049399A (ko) 반자동 록킹 및 언록킹 기능을 갖는 중량물 인양장치
JP5331539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KR20120054156A (ko) 풍력발전기의 리프트 장치
JP2018091098A (ja) 仮設支柱および屋根架構の構築方法
KR200355684Y1 (ko) 캔버스 도어의 하강 안전장치
JP2021031234A (ja) 盤起立治具及び当該治具を用いた盤起立方法
JP2003077332A (ja) 昇降式架台付き照明柱及びその架台昇降方法並びにウインチ運搬用キャリヤー
KR102484730B1 (ko) 붐포스트 자동 상승 및 하강유닛을 갖는 붐포스트 회동식 갠트리 크레인 조립체
JPS6219667Y2 (ko)
CN221165732U (zh) 一种机电设备安装辅助装置
JP3745905B2 (ja) 屋上鉄塔におけるステーの構築方法
CN219546598U (zh) 一种屋顶钢结构垂直运输装置
CN220033794U (zh) 一种新型大型立式水泵起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