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254A -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254A
KR20230044254A KR1020237006293A KR20237006293A KR20230044254A KR 20230044254 A KR20230044254 A KR 20230044254A KR 1020237006293 A KR1020237006293 A KR 1020237006293A KR 20237006293 A KR20237006293 A KR 20237006293A KR 20230044254 A KR20230044254 A KR 2023004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viral
hindered amine
layer
resin composition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엔도
하루카 나카무라
료스케 니시가키
요스케 스미다
고지 모리야마
가츠지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4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2Adsorbed ingredients, e.g. ingredients o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6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 C08J7/18Chemical modification with polymerisable compounds using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1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one nitrogen atom in the ring
    • C08K5/3432Six-membered rings
    • C08K5/3435Piperid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08K2003/0806Silv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08K5/526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with hydroxyaryl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빛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한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제공한다. 경화물층을 갖는 물품이며, 상기 경화물층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상기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기재 상에 상기 경화물층을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본 개시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위생 측면의 관점에서 건축물의 내장 재료, 차량의 내장 재료, OA 기기 및 터치패널 등 사람의 손이 닿는 물건의 표면에 항균성을 갖는 조성물을 도포하여 항균 처리를 실시하고 있었다.
항균성을 갖는 조성물 또는 항균성 물품에 관해서 예컨대 특허문헌 1∼3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대표되는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항균성을 갖추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즉, 특허문헌 1∼3의 항균성을 갖는 조성물 또는 물품으로는 항바이러스성을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항바이러스성을 갖는 조성물 또는 물품에 관해서 특허문헌 4∼5의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소63-26595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551201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제4840048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제6145758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제6229429호 공보
특허문헌 4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은 아산화구리 입자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아산화구리의 색(적갈색)에 유래한 색감을 막을 수 없는 것이었다.
특허문헌 5의 항바이러스성을 갖는 내장용 화장 시트는, 화장 시트 최표면의 코팅 수지 중에 은계 무기 첨가제 또는 아연계 무기 첨가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특허문헌 5의 첨가제 중, 후자의 아연계 무기 첨가제는, 대량으로 섭취한 경우에 건강상의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5의 첨가제 중, 전자의 은계 무기 첨가제는, 고가이기는 하지만, 건강상의 문제는 없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은계 무기 첨가제의 첨가량을 늘렸을 때에, 빛(가시광선, 자외선)으로 인해 갈색으로 변색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겼다. 특허문헌 5에서는, 은계 무기 첨가제의 첨가량 증가로 인한 변색 문제를 하등 검토하고 있지 않다.
본 개시는, 은계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의 빛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는 이하의 [1]∼[2]를 제공한다.
[1] 경화물층을 갖는 물품으로서, 상기 경화물층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2]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본 개시에 의하면, 은계 항바이러스제의 빛(가시광선, 자외선)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한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그 밖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그 밖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항바이러스성 물품]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경화물층을 갖는 물품으로서, 상기 경화물층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재료 및 층 구성의 물품이라도, 상기 물품의 「항바이러스성」 효력과 상기 「항균성」 및 「항곰팡이성」 효력은, 각종 조건에 따라 서로 상관이 없는 경우가 있다. 각종 조건으로서는 바이러스의 종류, 세균의 종류, 곰팡이의 종류, 환경 조건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세균의 종류, 환경 조건 및 요구하는 항균성 수준에 따라서, 항바이러스 용도뿐만 아니라, 항균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곰팡이는 균류의 일종이기 때문에,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마찬가지로 곰팡이의 종류, 환경 조건 및 요구하는 항곰팡이성 수준에 따라서, 항곰팡이 용도에 적용할 수도 있는 경우도 있다.
도 1(A)∼도 1(E), 도 2(A)∼도 2(D) 및 도 3은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A)∼도 1(E), 도 2(A)∼도 2(D) 및 도 3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11) 및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12)를 포함하는 경화물층(10)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A)∼도 1(E), 도 2(A)∼도 2(D) 및 도 3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의 경화물층(10)은, 도시하지 않는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다.
도 1(A)∼도 1(E)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경화물층(10) 단층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A)의 경화물층(10)은, 항바이러스제(12)를, 두께 방향(같은 도면의 Z축 방향) 및 면내 방향(같은 도면의 XY 평면 내의 각 방향)의 양방향에 있어서, 경화물층(10) 전체에 포함하고 있다. 도 1(B)의 경화물층(10)은, 항바이러스제(12)를 경화물층(10)의 표면 측(도면 상측)에 포함하고 있다. 도 1(C)의 경화물층(10)은, 항바이러스제(12)를, 경화물층(10)의 표면 측(도면 상측) 및 배면 측(도면 하측)에 포함하고 있다. 도 1(D)의 경화물층(10)은, 항바이러스제(12)를, 경화물층(10)의 표면 측(도면 상측)의 면내 방향에 있어서 일부 영역에 포함하고 있다. 도 1(E)의 경화물층(10)은, 항바이러스제(12)를, 경화물층(10)의 표면 측(도면 상측)의 일부 영역 및 경화물층(10)의 배면 측(도면 하측)의 일부 영역에 포함하고 있다.
도 1(A)∼도 1(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경화물층(10) 내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12)의 존재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항바이러스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사람이 닿는 측의 면에 항바이러스제(12)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도 1(E)와 같은, 경화물층(10) 단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예컨대 이형성(離型性)을 갖는 기재 상에 경화물층(1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한 후, 상기 적층체로부터 이형성을 갖는 기재를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도 2(A)∼도 2(D)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기재(20) 상에 경화물층(10)을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2(A)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기재(20)의 일측 전면에 경화물층(10)을 갖고 있다. 도 2(B)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기재(20)의 양측 전면에 경화물층(10)을 갖고 있다. 도 2(C)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기재(20)의 일측(같은 도면에서의 Z축 방향 + 측) 일부 영역에 경화물층(10)을 갖고 있다. 도 2(D)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기재(20)의 일측(같은 도면에서의 Z축 방향 + 측) 일부 영역 및 기재(20)의 타측(같은 도면에서의 Z축 방향 - 측) 일부 영역에 경화물층(10)을 갖고 있다.
도 2(A)∼도 2(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경화물층(10)은, 기재(20) 상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기재(20) 상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2(A)∼도 2(D)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경화물층(10)은, 기재(20)의 한쪽의 면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기재(20)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의 항바이러스성 물품(100)은, 입체 형상의 기재(20) 상에 경화물층(10)을 가지고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의 입체 형상 기재(20)는 문의 손잡이이고, 도 3은 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경화물층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경화물」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은 주로 바인더 수지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이 경화물을 포함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내찰상성이 양호하게 되어, 항바이러스성을 장기간에 걸쳐 지속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서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또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내찰상성 및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적어도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 조성물이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페놀 수지, 요소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이들 열경화성 수지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 경화제 및 경화 촉매 등이 첨가된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전자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자외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대표적인 것으로서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중합개시제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악취가 적다, 착색되기 어렵다 등의 관점에서, 전자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화물층이 후술하는 자외선흡수제를 함유하는 경우, 전자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쪽이, 경화물층의 가교 밀도를 높이기 쉽고, 내찰상성 및 내오염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전리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하, 「전리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이라고도 한다)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란, 전리방사선의 조사에 의해서 가교 경화하는 기이며,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작용기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전리방사선 경화성 작용기로서는 에폭시기 및 옥세타닐기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또는 메타크릴로일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전리방사선이란,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혹은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며, 통상 자외선(UV) 또는 전자선(EB)이 이용되지만, 기타, X선, γ선 등의 전자파, α선, 이온선 등의 하전 입자선도 포함된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은, 구체적으로는 종래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로서 관용되고 있는 중합성 모노머, 중합성 올리고머(「중합성 프리폴리머」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 기를 2개 이상 갖는,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에는 모노머 및 올리고머의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의 올리고머로서는, 얻어지는 물품의 양호한 내찰상성, 가공 취급 적성 및 항바이러스성 발현을 병립시키기 위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1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 6000 이하이다. 또한, 올리고머 1 분자 당 작용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6 이하이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중, 2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테트라에톡시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테트라프로폭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3작용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눌산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로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컨대 다가 알코올 및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의 반응에 의해서 얻어진다.
바람직한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는, 3작용 이상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지환족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과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2작용 이상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지환족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과 다염기산과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작용 이상의 방향족 에폭시 수지, 지환족 에폭시 수지, 지방족 에폭시 수지 등과 페놀류와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상기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성 화합물이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인 경우에는,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나 광중합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α-히드록시알킬페논, 미힐러케톤, 벤조인, 벤질디메틸케탈,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실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촉진제는, 경화 시의 공기에 의한 중합 저해를 경감시켜 경화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예컨대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은, 그 함유량이 바인더 수지 전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질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
경화물층은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를 「항바이러스제」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항바이러스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1(A)∼도 1(E)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항바이러스제(12)의 적어도 일부는 경화물층(10)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로서는, 제올라이트, 아파타이트, 유리, 인산지르코늄 및 인산티탄 등의 무기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다공성 무기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류 금속의 알루미노규산염이며, 천연 제올라이트 및 합성 제올라이트의 어느 쪽이나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결정 구조에 따라, A형, 포자사이트형(X형, Y 형), 모데나이트형, 클리노프틸로라이트형 등으로 분류되며,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아파타이트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조성을 갖는 광물의 총칭이다.
M10(ZO4)3X2
상기 식에 있어서, M은 Ca, Ba, Mg, Na, K, Fe 및 Al 등을 나타내고, Z는 P, S, Si 및 As 등을 나타내고, X는 F, Cl, O 및 OH 등을 나타낸다. 상기 식에 해당하는 대표예로서는, 불소아파타이트「Ca10(PO4)6F2」, 수산아파타이트「Ca10(PO4)6(OH)2」를 들 수 있다.
유리는 소다 유리, 붕규산 유리, 납 유리, 알루미노규산 유리, 붕산 유리 및 인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종류 및 그 각 형태나 가공 조건, 요구되는 항바이러스 성능 등의 각종 조건을 감안하여 공지된 각종 형태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여기서, 「은 이온을 함유」란, 은 이온 또는 은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을 어떠한 형태로 담체 중에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은 이온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란, 예컨대 물 등에 용해함으로써 은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과 같이, 외적 요인 내지는 경시적 요인 등에 의해 은 이온을 생성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담지 혹은 함유 형태로서는, 물리 흡착 또는 화학 흡착에 의해 담지시키는 방법; 이온 교환 반응에 의해 담지시키는 방법; 결합제에 의해 담지시키는 방법; 은 화합물을 담체에 집어 넣음으로써 함유시키는 방법; 증착, 용해 석출 반응, 스퍼터 등의 박막 형성법에 의해 담체의 표면에 은 화합물의 박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담지 혹은 함유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는 입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제의 입자 형상은, 공, 타원체, 다면체, 인편형(鱗片形)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자경은, 0.1∼10.0 ㎛가 바람직하고, 0.5∼5.0 ㎛가 보다 바람직하고, 1.0∼4.0 ㎛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을 0.1 ㎛ 이상으로 함으로써, 경화물층용 잉크의 안정성을 얻기 쉽게 된다. 또한, 평균 입자경을 10.0 ㎛ 이하로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제가 경화물층 표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함으로 인한 외관 불량, 내상성 및 내오염성의 저하, 그리고 도막의 백화를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도공 장치의 부재(코팅 롤, 닥터 블레이드 등)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자경을 D, 경화물층의 두께를 T라고 정의했을 때에, D/T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D/T를 1.0 이하로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제가 경화물층 표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함으로 인한 내오염성의 저하 및 도막의 백화를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도공 장치의 부재(코팅 롤, 닥터 블레이드 등)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D/T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은 0.0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입자경은, 레이저광 회절법에 의한 입도 분포 측정에 있어서의 질량 평균치 d50으로서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항바이러스제 내에서의 은 이온의 양은, 담체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3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25.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20.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은 이온의 양」이란, 담지되어 있는 은 이온 및 함유되어 있는 은 이온 양쪽을 의미한다.
은 이온의 양을 0.1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은 이온의 양을 3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빛으로 인한 변색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의 함유량은, 경화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이고,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이다.
항바이러스제의 함유량을 0.1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의 함유량을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빛으로 인한 변색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제의 함유량을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도막 강도나 내상성 등의 도막 물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제의 함유량을 2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항바이러스제가 경화물층 표면으로부터 과도하게 돌출함으로 인한 내오염성의 저하 및 도막의 백화를 억제하기 쉽고, 또한, 도공 장치의 부재(코팅 롤, 닥터 블레이드 등)가 마모되는 것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인더 수지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경우, 항바이러스제의 함유량은 상기 범위에서 조금 많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
경화물층은 추가로 광안정제를 포함하고, 또한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빛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할 수 없다.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골격을 분자 내에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은,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O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본 개시에서는,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 변색을 억제하는 이유는,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 은 이온과 착체를 형성하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중에서는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즉, 경화물층은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골격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소 원자가 수소 원자 그대로인 것이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골격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소 원자가 알킬기로 치환된 것을 말한다.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12인 것이 바람직하고, 1(알킬기가 메틸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2-[[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2-부틸프로판2산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신산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신산1-메틸10-(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NO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골격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소 원자가, OR1 또는 OCOR2로 치환된 것을 말한다. 여기서, R1 및 R2는 알킬기 및/또는 시클로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12의 알킬기 및/또는 시클로알킬기이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은, 염기 해리 상수(pkb)가 8.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pkb가 8.5 이하이면, 변색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pkb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고 있어도 좋고,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분자량은, 경화물층용 잉크에의 용해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1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8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7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물층용 잉크에의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용해성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경화물층 내 전체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 확산되어, 변색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분자량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2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 이상이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함유량은, 항바이러스제 100 질량부에 대하여 20∼10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200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2종 이상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함유량은, 2종 이상의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함유량을 20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변색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함유량을 10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가교 밀도가 저하하여, 경화물층의 내찰상성 및 내오염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광안정제》
경화물층은, 본 개시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의 광안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그 밖의 광안정제로서는, NO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방향족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유기산계 화합물 및 카테킨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이외의 광안정제는 변색을 억제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경화물층 내에는 그 밖의 광안정제(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이외의 광안정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은, 경화물층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그 밖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0.1 질량% 이하인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하이다.
<산화방지제>
경화물층은 추가로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및 인계 산화방지제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인계 산화방지제가 바람직하다. 경화물층이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빛으로 인한 변색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특히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상태에 있어서의 빛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상태에 있어서의 빛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의 취급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빛에 의해 생긴 라디칼을 포착하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은 이온의 변질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인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아인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포스폰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는 포스핀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포스핀옥사이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아인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상태에 있어서의 빛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현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아인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 (1-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식 (1)로 표시되는 아인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하기 일반식 (1-1)∼(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1)∼(1-3) 중에서는, 일반식 (1-1) 및 (1-2)인 것이, 경화물층용 잉크에의 용해성이 양호한 경향을 보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경화물층용 잉크에의 인계 산화방지제의 용해성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경화물층 내 전체로 인계 산화방지제가 확산되어, 변색을 보다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일반식 (1-1) 중, R11,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들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R11, R12 및 R13에서 선택되는 2개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변색을 보다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R11, R12 및 R13의 적어도 하나는 직쇄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6∼18인 것이 바람직하고, 8∼15가 보다 바람직하고, 8∼10이 더욱 바람직하다. R11, R12 및 R13의 적어도 하나가 직쇄 알킬기인 경우, 나머지 R11, R12 및 R13은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성을 높인다는 관점 및 변색을 보다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R11, R12 및 R13은 서로 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R11, R12 및 R13에서 선택되는 2개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1)의 인계 산화방지제의 구체예를 하기 식 (1-1-1)∼(1-1-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일반식 (1-2) 중, R23은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이며,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R21, R22, R24 및 R2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이며,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R21과 R22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R24와 R25가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변색을 보다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R21, R22, R22 및 R24의 적어도 하나는 직쇄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부가 직쇄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6∼18인 것이 바람직하고, 12∼1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해성을 높인다는 관점 및 변색을 보다 억제한다는 관점에서는, R21, R22, R24 및 R25는 서로 결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R21, R22, R24 및 R25가 서로 결합하여 고리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2)의 인계 산화방지제의 구체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하기 일반식 (1-2-1)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2∼15의 직쇄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일반식 (1-3) 중, R32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이며,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R31 및 R3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아릴기, 아릴알킬기,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이며, 추가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인계 산화방지제는,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갖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계 산화방지제가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지 않음으로써, 경화물층 내에서의 인계 산화방지제의 이동 자유도가 높아져, 경화물층 내 전체로 인계 산화방지제가 확산되어, 변색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인계 산화방지제의 분자량은, 경화물층용 잉크에의 용해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게 한다는 관점에서, 1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3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20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인계 산화방지제의 분자량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27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 이상이다.
인계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은, 항바이러스제 100 질량부에 대하여,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며,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0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부 이하이다.
인계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을 1 질량부 이상으로 함으로써, 변색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인계 산화방지제의 함유량을 1000 질량부 이하로 함으로써,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가교 밀도가 저하하여, 경화물층의 내찰상성 및 내오염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자외선흡수제>
경화물층은, 내후성의 관점에서, 추가로 자외선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 수 있고, 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가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 중에서도, 트리아진 고리에, 히드록시페닐기, 알콕시페닐기 및 이들 기를 포함하는 유기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기기가 3개 연결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가 보다 바람직하고, 하기 일반식 (A)로 표시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흡수제는, 분기 구조를 갖기 때문에, 경화물층으로부터 블리드아웃하기 어렵게 되는 것이 기대되어, 보다 장기적으로 우수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자외선흡수제는, 블리드아웃을 억제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일반식 (A) 중, R11은 2가의 유기기이고, R12는 -C(=O)OR15로 표시되는 에스테르기이고, R13,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1가의 유기기이고, n11 및 n12는 각각 독립적으로 1∼5의 정수이다.
R11의 2가의 유기기로서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고, 내후성의 관점에서, 알킬렌기가 바람직하며, 그 탄소수는 1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이상 1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이상 8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 이상 4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알킬렌기, 알케닐렌기는 직쇄상, 분기상, 환상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직쇄상, 분기상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렌기로서는, 예컨대 메틸렌기, 1,1-에틸렌기, 1,2-에틸렌기, 1,3-프로필렌, 1,2-프로필렌, 2,2-프로필렌등의 각종 프로필렌기(이하, 「각종」은 직쇄상, 분기상 및 이들의 이성체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각종 부틸렌기, 각종 펜틸렌기, 각종 헥실렌기, 각종 헵틸렌기, 각종 옥틸렌기, 각종 노닐렌기, 각종 데실렌기, 각종 운데실렌기, 각종 도데실렌기, 각종 트리데실렌기, 각종 테트라데실렌기, 각종 펜타데실렌기, 각종 헥사데실렌기, 각종 헵타데실렌기, 각종 옥타데실렌기, 각종 노나데실렌기, 각종 이코실렌기를 들 수 있다.
R13 및 R14의 1가의 유기기로서는,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아릴기, 아릴알킬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아릴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R13 및 R14의 1가의 유기기로서는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아릴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이상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이상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이상 10 이하의 아릴기, 예컨대 페닐기, 각종 메틸페닐기, 각종 에틸페닐기, 각종 디메틸페닐기, 각종 프로필페닐기, 각종 트리메틸페닐기, 각종 부틸페닐기, 각종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알킬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이상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이상 1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7 이상 10 이하의 아릴알킬기, 예컨대 벤질기, 페네틸기, 각종 페닐프로필기, 각종 페닐부틸기, 각종 메틸벤질기, 각종 에틸벤질기, 각종 프로필벤질기, 각종 부틸벤질기, 각종 헥실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R15의 1가의 유기기로서는, 알킬기, 알케닐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및 아릴알킬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알킬기, 알케닐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알킬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R12로서는, 알킬에스테르기, 알케닐에스테르기가 바람직하고, 알킬에스테르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알킬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이상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1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각종 프로필기, 각종 부틸기, 각종 펜틸기, 각종 헥실기, 각종 옥틸기, 각종 노닐기, 각종 데실기, 각종 운데실기, 각종 도데실기, 각종 트리데실기, 각종 테트라데실기, 각종 펜타데실기, 각종 헥사데실기, 각종 헵타데실기, 각종 옥타데실기, 각종 노나데실기, 각종 이코실기를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이상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1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이상 12 이하의 알케닐기, 예컨대 비닐기, 각종 프로페닐기, 각종 부테닐기, 각종 펜테닐기, 각종 헥세닐기, 각종 옥테닐기, 각종 노네닐기, 각종 데세닐기, 각종 운데세닐기, 각종 도데세닐기, 각종 트리데세닐기, 각종 테트라데세닐기, 각종 펜타데세닐기, 각종 헥사데세닐기, 각종 헵타데세닐기, 각종 옥타데세닐기, 각종 노나데세닐기, 각종 이코세닐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 (A)로 표시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R11이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렌기이며, R12 및 R15가 탄소수 1 이상 20 이하의 알킬기인 알킬에스테르기이고, R13 및 R14가 탄소수 6 이상 20 이하의 아릴기이고, n11 및 n12가 1인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R11이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킬렌기이며, R12 및 R15가 탄소수 2 이상 16 이하의 알킬기인 알킬에스테르기이고, R13 및 R14가 탄소수 6 이상 12 이하의 아릴기이고, n11 및 n12가 1인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R11이 탄소수 1 이상 8 이하의 알킬렌기이며, R12가 R15 및 탄소수 6 이상 12 이하의 알킬기인 알킬에스테르기이고, R13 및 R14가 탄소수 6 이상 10 이하의 아릴기이고, n11 및 n12가 1인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R11이 탄소수 1 이상 4 이하의 알킬렌기이며, R12 및 R15가 탄소수 8의 알킬기인 에스테르기이고, R13 및 R14가 페닐기이고, n11 및 n12가 1인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의 함유량은, 경화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0.2∼10.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5.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1.0∼4.0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화물층은 체질 안료를 함유하여도 좋다. 체질 안료는 예컨대 항바이러스 물품의 의장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체질 안료는, 실리카, 알루미나, 탄산칼슘,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및 황산바륨등의 무기 입자, 폴리에틸렌, 우레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미드(나일론) 등의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체질 안료의 형상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다면체, 구형, 인편형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질 안료의 평균 입경은, 통상 1∼10 ㎛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3∼8 ㎛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경화물층은 착색제를 함유하여 원하는 색상, 명도 및 채도로 착색되어 있어도 좋다. 착색제로서는, 후술하는 착색층 및 무늬층에 이용하는 착색제와 같은 것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착색제에 의해서 경화물층을 적절한 색(색상, 명도 및 채도)으로 착색함으로써, 의장 외관을 향상시키거나, 착색에 의해서 경화물층의 빛 등에 기인하는 변색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하여, 광안정제 첨가에 의한 변색 저감 효과와 더불어서, 경화물층의 변색 저감 효과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두께>
경화물층의 두께는, 가공 특성 및 내찰상성의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예컨대 1.0 ㎛ 이상 10000 ㎛ 이하로 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경화물층 단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경화물층의 두께는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재 상에 경화물층을 도공 형성하는 형태의 경우는, 자기 지지성과 외력에의 내구성은 기재가 담당한다는 점, 항바이러스성은 어느 정도 이상의 두께가 있으면 그 효과는 포화된다는 점, 그리고 경화물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후가공 적성 저하나 재료비 상승 등의 불이익도 생긴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경화물층의 두께는 박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경화물층의 두께는, 가공 특성 및 내찰상성의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1.5 ㎛ 이상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2 ㎛ 이상 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 ㎛ 이상 1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형성 방법>
경화물층은, 예컨대 경화물층을 구성하는 재료(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경화성 수지 조성물, 항바이러스제 등), 필요에 따라서 첨가하는 용제 등을 포함하는 경화물층용 잉크를, 기재 상에 도포, 건조, 경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형성을 갖는 기재 상에, 경화물층용 잉크를 도포, 건조, 경화하여 경화물층을 형성하고, 이 경화물층을 별도의 기재 등에 전사함으로써, 경화물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적층 구성>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경화물층 단층이라도 좋고, 경화물층 이외의 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경화물층 단층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예컨대 이형성을 갖는 기재 상에 경화물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작한 후, 이 적층체로부터 이형성을 갖는 기재를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갖는 경화물층 이외의 층으로서는, 기재, 프라이머층, 장식층, 투명성 수지층, 접착제층 등을 들 수 있다.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적층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하기 (1)∼(12)를 들 수 있다. 하기 (1)∼(12)에서 「/」는 각 층의 계면을 나타낸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갖는 경화물층 이외의 층으로서는, 자기 기록 용도의 자성체층; 회로, 전류의 구리선, 또는 전자파 차폐층으로서 기능하는 도전체층; 수증기, 산소 등의 기체가 투과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가스 배리어층; 가시광선을 높은 반사율로 반사하는 광반사층; 가시광선의 반사를 억제하기 위한 반사방지층; 등의 기능성 층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기능성층은, 각 층의 기능에 따라서 하기 (1)∼(12)의 적층 구성의 어느 하나에 형성할 수 있다.
(1) 경화물층
(2) 기재/경화물층
(3) 기재/프라이머층/경화물층
(4) 기재/장식층/경화물층
(5) 기재/투명성 수지층/경화물층
(6) 기재/접착제층/투명성 수지층/경화물층
(7) 기재/접착제층/장식층/투명성 수지층/경화물층
(8) 기재/장식층/접착제층/투명성 수지층/경화물층
(9) 기재/투명성 수지층/프라이머층/경화물층
(10) 기재/접착제층/투명성 수지층/프라이머층/경화물층
(11) 기재/접착제층/장식층/투명성 수지층/프라이머층/경화물층
(12) 기재/장식층/접착제층/투명성 수지층/프라이머층/경화물층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취급성의 관점에서, 기재 상에 경화물층을 갖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기재》
기재의 형태는, 필름, 시트 및 판 등의 평판형인 것, 그리고 다면체, 다각기둥, 원주, 구면 및 회전 타원체면 등의 삼차원 형상인 것 등을 들 수 있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한, 필름, 시트 및 판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것부터 순차 필름, 시트 및 판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양해를 구하지 않는 한, 이들 3자를 구별하지 않는다.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수지, 금속, 비금속 무기 재료, 섬유질 재료 및 목질계 재료 등을 들 수 있고,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기재는 단층이라도 좋고, 상기 재료를 포함하는 층을 2층 이상 적층한 것이라도 좋다. 기재가 2 이상의 층의 적층체인 경우, 이종 재료의 층을 2층 이상 적층하여, 각 층의 재료가 갖는 제반 성능을 상호 보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층 이상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는 예컨대 이하의 A∼J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는 각 층의 계면을 나타낸다.
(A) 수지/목질계 재료
(B) 수지/금속
(C) 수지/섬유질 재료
(D) 수지/비금속 무기 재료
(E) 수지 1/수지 2
(F) 금속/목질계 재료
(G) 금속/비금속 무기 재료
(H) 금속/섬유질 재료
(I) 금속 1/금속 2
(J) 비금속 무기 재료/섬유질 재료
상기 E에 있어서, 수지 1과 수지 2는 서로 다른 종의 수지를 나타낸다(예컨대 수지 1이 올레핀 수지, 수지 2가 아크릴 수지). 또한, 상기 H에 있어서, 금속 1과 금속 2는 서로 다른 종의 금속을 나타낸다(예컨대 금속 1이 구리, 금속 2가 크롬).
또한, 기재가 상기 A∼J와 같은 적층체인 경우는, 적층체의 각 구성층의 층 사이에,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한 층(접착제층 등)을 갖고 있어도 좋다.
기재에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각종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합성수지에는 열가소성 수지 및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아이오노머, 각종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올레핀 수지, 필요에 따라서 가소제를 적량 함유하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 등의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에틸렌글리콜-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폴리(메트)아크릴산에틸, 폴리(메트)아크릴산부틸, (메트)아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 수지, 나일론6 또는 나일론66 등으로 대표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셀로판, 셀룰로이드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서는, 경화물층에서 예시한 열경화성 수지 및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천연수지로서는 천연고무, 송지(松脂) 및 호박(琥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에 이용되는 금속으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듀랄루민 등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합금, 철 또는 탄소강, 스테인리스강 등의 철을 포함하는 합금, 구리 또는 진유, 청동 등의 구리를 포함하는 합금, 금, 은, 크롬, 니켈, 코발트, 주석, 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 기재에는 이들 금속을 도금 등에 의해서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재에 이용되는 비금속 무기 재료로서는, 예컨대 시멘트, ALC(경량 기포 콘크리트), 석고, 규산칼슘, 목편 시멘트 등의 비세라믹계 요업계 재료, 도자기, 토기, 유리, 법랑 등의 세라믹계 요업계 재료, 석회암(대리석을 포함한다), 화강암, 안산암 등의 천연석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기재에 이용되는 섬유질 재료로서는, 예컨대 박엽지, 크라프트지, 상질지, 일본지, 티탄지, 린터지(linter paper), 황산지, 파라핀지, 양피지, 글라신지, 벽지용 안감지, 판지 및 석고보드용 원지 등의 종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섬유, 아크릴 수지 섬유, 비단, 목면, 마 등의 단백질계 또는 셀룰로오스계 천연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의 섬유을 포함하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들 종이에는, 종이 기재의 섬유 사이 내지는 다른 층과 종이의 층 사이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 보풀 방지를 위해 추가로 아크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의 수지를 첨가(초조(抄造) 후 수지 함침 또는 초조 시에 내진(內塡))시킨 것이라도 좋다. 수지를 첨가한 종이로서는, 예컨대 지간(紙間) 강화지, 수지 함침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질 재료층에 수지층을 적층한 기재의 예로서, 건재 분야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벽지용 안감지의 표면에 염화비닐계 수지층, 올레핀 수지층, 아크릴 수지층 등의 수지층을 적층한 벽지 원단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의 형상 및 치수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용도 및 원하는 제반 성능과 가공 적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기재가 필름, 시트 및 판의 평판형인 경우는, 물품 설계상의 대표적인 치수로서 두께가 있다. 이러한 두께도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조 가공 적성, 기계적 강도, 사용 취급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10 ㎛ 이상 10 cm 이하 정도가 된다. 필름 또는 시트형인 경우는, 통상 20 ㎛ 이상 500 ㎛ 이하 정도인 것이 선택되고, 판 형태인 경우는, 통상 1 mm 이상 2 cm 이하 정도인 것이 선택된다.
기재는,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구성하는 타층과의 밀착성, 혹은 항바이러스성 물품과 적층하는 부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산화법, 요철화법 등의 물리적 표면 처리, 또는 화학적 표면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산화법으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크롬 산화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법 등을 들 수 있고, 요철화법으로서는 예컨대 샌드 블라스트법, 용제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는, 기재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코로나 방전 처리법이 표면 처리 효과 및 조작성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프라이머층》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경화물층의 기재 측의 면에 접하여 프라이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에 의해서, 기재와 경화물층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의 장기적인 층간 밀착성의 확보(소위 내후밀착성) 및 내찰상성을 양호하게 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사례로서는, 예컨대 창가 등의 자외선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햇빛이 들어오는 장소; 살균용 수은등이 설치된 주방, 냉장고 및 식기선반의 내부; 직접 햇빛의 직사를 받는 옥외 등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설치, 시공 또는 사용하는 사례 등을 들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주로 바인더 수지로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바인더 수지로서는, 우레탄 수지, 아크릴폴리올 수지, 아크릴 수지, 에스테르 수지, 아미드 수지, 부티랄 수지, 스티렌 수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폴리머 주쇄에 카보네이트 결합을 갖고, 말단, 측쇄에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중합체(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유래의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염소화프로필렌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초화면),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수지를 바람직하게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인더 수지는, 이들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에폭시계 경화제 등의 경화제를 첨가하여, 가교 경화한 것이라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아크릴폴리올 수지 등의 폴리올계 수지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경화한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폴리올 수지를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 가교 경화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은, 내후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외선흡수제 및/또는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흡수제 및 광안정제는 범용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01 ㎛ 이상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 이상 8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상 6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기재의 경화물층과는 반대측에, 피착재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이면 프라이머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기재의 경화물층과는 반대측에, 피착재와 맞붙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점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점착제층의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박리 가능한 세퍼레이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강도를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기재와 경화물층 사이에 투명성 수지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특히 기재가 수지 기재인 경우,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프라이머층을 갖는 경우, 투명성 수지층은 기재와 프라이머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장식층을 갖는 경우, 장식층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투명성 수지층은 장식층과 경화물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이하, 「ABS 수지」라고도 부른다.), 아크릴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가공 적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예시한 각종 수지를 2종류 이상 적층하거나 혹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 중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유량은, 가공 적성의 관점에서, 투명성 수지층의 전체 수지 성분에 대하여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성 수지층은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투명성 수지층의 두께는, 내찰상성, 가공 적성 및 내후성의 밸런스라는 관점에서, 20 ㎛ 이상 1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40 ㎛ 이상 12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60 ㎛ 이상 10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장식층》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의장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임의 부위에 장식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층을 형성하는 부위는, 장식층의 내후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기재에 가까운 측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프라이머층을 갖는 경우, 장식층은 기재와 프라이머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 장식층은 기재와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층은 항바이러스성 물품 전면에 형성하여도 좋고, 일부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경화물층의 외표면을 장식층이 피복하는 형태인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성의 발현을 저해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일부 영역에만 장식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층으로서는, 잉크를 온통 칠하여 이루어지는 착색층; 잉크를 모양으로서 인쇄하여 이루어지는 무늬층; 금속 박막; 등을 들 수 있다.
장식층에 의해 표현하는 무늬(모양)로서는, 목재판 표면의 나이테나 도관 홈 등의 나뭇결 모양; 대리석, 화강암 등의 석판 표면의 돌결 모양; 포백 표면의 옷감결 모양; 피혁 표면의 가죽 잔주름 모양; 줄눈 홈을 포함하는 타일 모양; 줄눈 홈을 포함하는 벽돌쌓기 모양; 모랫결 모양; 배 질감 모양;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오목 라인부 및 볼록 라인부를 복수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모양(소위 「만선형 요철 모양」 또는 「광선 새김 모양」); 기하학 모양, 문자, 도형, 물방울 및 꽃무늬 등의 추상 무늬 모양;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층 및 무늬층에 이용되는 잉크로서는, 바인더 수지에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체질 안료, 용제, 안정제, 가소제, 촉매, 경화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등을 적절하게 혼합한 것이 사용된다.
착색층 및 무늬층의 바인더 수지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우레탄 수지, 아크릴폴리올 수지, 아크릴 수지, 에스테르 수지, 아미드 수지, 부티랄 수지, 스티렌 수지,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염소화프로필렌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아세트산셀룰로오스 수지 등의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1액 경화형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제를 동반하는 2액 경화형 수지 등, 다양한 타입의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착색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카본 블랙(먹), 철흑, 티탄백, 안티몬백, 황연, 티탄황, 벵갈라, 카드뮴적, 군청, 코발트 블루 등의 무기 안료; 퀴나크리돈 레드, 이소인돌리논 옐로우, 니켈아조 착체, 프탈로시아닌 블루, 아조메틴 아조블랙 등의 유기 안료 또는 염료; 알루미늄, 진유 등의 인편형 박편을 포함하는 금속 안료;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염기성 탄산연 등의 인편형 박편을 포함하는 진주 광택(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의 함유량은, 착색층 및 무늬층을 구성하는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5 질량부 이상 9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질량부 이상 70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착색층 및 무늬층은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좋다.
착색층 및 무늬층의 두께는, 원하는 무늬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면 되지만, 피착재의 바탕색을 은폐하면서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0.5 ㎛ 이상 2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1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상 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금속 박막으로서는, 금, 은, 구리, 주석, 철, 인듐, 니켈, 크롬, 코발트 등의 금속 원소 단일체의 박막; 상기 금속 원소의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의 박막; 등을 들 수 있다. 합금으로서는 예컨대 진유, 청동, 스테인리스강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박막의 막 두께는 0.1 ㎛∼1 ㎛ 정도로 할 수 있다.
《접착제층》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접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항바이러스성 물품이 투명성 수지층을 갖는 경우, 기재와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는, 양 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와 투명성 수지층 사이에, 추가로 장식층을 갖는 경우, 접착제층과 장식층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에 가까운 측에서부터 장식층, 접착제층 및 투명성 수지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좋고, 기재층에 가까운 측에서부터 접착제층, 장식층 및 투명성 수지층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것과 같이, 기재가 2층 이상의 적층체인 경우, 기재를 구성하는 각 층 사이에 접착제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접착제층은, 예컨대 우레탄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접착제 중에서도 우레탄계 접착제가 접착력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우레탄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테르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아크릴폴리올 등의 각종 폴리올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경화제를 포함하는 2액 경화형 우레탄 수지를 이용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0.1 ㎛ 이상 30 ㎛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이상 15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상 1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장식층, 접착제층 및 프라이머층은, 예컨대 각 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포액을, 그라비아인쇄법, 바코트법, 롤코트법, 리버스롤코트법, 콤마코트법 등의 공지된 방식으로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 경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부형 처리>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엠보스 가공 등의 부형 처리로 원하는 요철 형상(요철 모양이라고도 한다)을 부여하여도 좋다.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 예컨대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2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2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80℃ 이하로 가열하고, 항바이러스성 물품에 엠보스판을 압박하여, 엠보스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엠보스판을 압박하는 부위는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경화물층 측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바이러스 활성치>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하기 수법에 의해 측정되는 항바이러스 활성치가 0.0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충분한 항바이러스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 항바이러스 활성치는 1.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기 수법은 ISO21702에 준거한 수법이다.
《항바이러스 활성치의 측정 방법》
네 변이 5 cm인 사각형의 시험편(항바이러스 가공품과 무가공품)에 0.4 ml의 바이러스액을 적하하여, 네 변이 4 cm인 사각형의 필름으로 피복한다. 이 시험편을 25℃×24시간 정치. 정치 후에, 시험편 상의 바이러스를 씻어내어 회수하고, 바이러스 감염가를 측정한다. 다음 식 (1)에 의해 항바이러스 활성치를 산출한다.
R=Ut-At (1)
R: 항바이러스 활성치
Ut: 무가공품의 24시간 정치 후의 바이러스 감염가(PFU/cm2)의 상용 로그의 평균
At: 항바이러스 가공품의 24시간 정치 후의 바이러스 감염가(PFU/cm2)의 상용 로그의 평균
<용도>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각종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용도는 하기 (1)∼(12)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하기 각종 표면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표면재와, 표면재를 적층하는 대상이 되는 피착체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공지된 접착제층을 개재시키더라도 좋다.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서는, 가열 용융한 후에 냉각 고화시킴으로써 접착하는 열융착형 접착제, 가열에 의한 중합 내지 가교 반응에 의해서 접착하는 열경화형 접착제, 자외선 및 전자선 등의 전리방사선 조사에 의한 중합 내지 가교 반응에 의해서 접착하는 전리방사선 경화형 접착제, 접착제 자체의 점착성을 이용하여, 가압에 의해서만 접착하는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1) 주택, 사무소, 점포, 병원, 진료소 등의 건축물의 벽, 바닥, 천장 등의 내장 부분의 표면재.
(2) 주택, 사무소, 점포, 병원, 진료소 등의 건축물의 외벽, 지붕, 처마, 도어 포켓 등의 외장 부분의 표면재.
(3) 창, 창틀, 문, 도어 프레임 등의 창호의 표면재(내장 부분 또는 외장 부분); 창호의 부수 비품(손잡이 등)의 표면재; 창호의 지그의 표면재.
(4) 난간, 요벽, 테두리, 문지방, 인방, 보의 조작 부재의 표면재.
(5) 담, 대문, 빨래건조대의 기둥이나 난간 등의 옥외(외장) 부분의 표면재.
(6) 장롱, 책상, 의자, 식기선반, 주방의 설거지통 등의 가구의 표면재; 가구의 부수 비품(손잡이 등)의 표면재; 가구의 지그의 표면재.
(7) 텔레비전 수상기, 라디오 수신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세탁기, 선풍기, 공조기 등의 각종 가전 제품의 하우징 등의 표면재; 가전 제품의 부수 비품(손잡이, 스위치, 터치패널 등)의 표면재; 가전 제품의 지그의 표면재.
(8) 전자복사기, 팩시밀리, 프린터,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계산 기기 등의 OA 기기의 표면재; 은행, 우체국 등의 금융기관의 ATM 장치의 각종 OA 기기류의 하우징의 표면재; 각종 OA 기기류의 부수 비품(키보드 건반, 터치패널 등)의 표면재; 각종 OA 기기류의 지그의 표면재.
(9) 자동차, 철도차량 등의 차량, 선박, 항공기 등의 탈것의 내장 또는 외장 부분(벽, 바닥, 천장, 난간, 지주, 조작반, 레버, 핸들, 타륜 등의 조종 기기류)의 표면재.
(10) 각종 건축물의 칸막이; 점포, 사무소, 관공서 등의 창구, 회계 정산 장소 등에 있어서의 바이러스의 비말 감염 방지를 위한 차폐판 또는 차폐 커튼; 보호면(페이스 가드), 보호안경(고글) 등의 안면 보호구; 혹은 이들의 표면재.
(11) 전표류 등의 사업 양식; 예금통장; 금융기관의 현금카드, 신용카드, 포인트카드 등의 카드류; 혹은 이들의 표면재.
(12) 유리, 수지 등의 병; 금속 캔; 수지 레토르트 용기 등의 수지 연질 포장재; 각종 튜브류 등의 포장 재료; 혹은 이들의 표면재.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 및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실시형태는, 상술한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에 있어서의 「경화성 수지 조성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 및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흡수제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흡수제」의 실시형태는, 상술한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에 있어서의 「산화방지제」 및 「자외선흡수제」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다.
<용제>
본 개시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은 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는, 예컨대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 등), 에테르류(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헥산등), 지환식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탄소류(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에스테르류(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 알코올류(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시클로헥산올 등), 셀로솔브류(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등), 글리콜에테르류(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술폭시드류(디메틸술폭시드 등), 아미드류(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이라도 좋다.
용제의 함유량은,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경화물층용 잉크) 전량의 10∼6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5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어서, 본 개시를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 예에 의해서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제작 및 평가
-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제작 -
[실시예 1]
하기 조성을 혼합 및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1의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조제했다.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
·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
(중량 평균 분자량 4000의 3작용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담체에 은 이온을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 3 질량부
(고아가라스사 제조의 품번 「PG711」, 담체는 유리, 평균 입자경 3 ㎛)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2 질량부
(BASF사의 폼번 「Tinuvin144」)
·자외선흡수제 2 질량부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TINUVIN479, BASF사 제조)
·체질 안료(부정형 실리카) 16 질량부
(평균 입자경: 10 ㎛)
·용제 50 질량부
(아세트산에틸)
이어서, 양면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기재(두께 60 ㎛의 산화티탄 함유 폴리프로필렌 수지 시트)의 한쪽의 면에, 2액 경화형 아크릴-우레탄 수지 및 착색제를 포함하는 장식층용 잉크를 그라비아인쇄법으로 도포, 건조하여, 두께 3 ㎛의 나뭇결 모양의 장식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장식층 상에,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두께 3 ㎛의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또한, 접착제층 상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T 다이 압출기에 의해 가열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 ㎛의 투명성 수지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투명성 수지층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투명성 수지층 상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잉크를 그라비아인쇄법으로 도포, 건조하여, 두께 2 ㎛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롤코트법으로 도포하여 미경화의 경화물층을 형성하고, 60℃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전자선(가속 전압: 175 kV, 5 Mrad(50 kGy))을 조사하여, 경화성 수지 조성물(전리방사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가교 경화하고, 두께 15 ㎛의 경화물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또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는, 조제한 직후에 프라이머층 상에 도포하게 했다.
<프라이머층용 잉크>
·우레탄-아크릴 공중합체 및 아크릴폴리올의 혼합물 100 질량부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5 질량부
[실시예 2]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의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BASF사의 품번 「Tinuvin765」)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2의 경화물층용 잉크 b(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b)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b(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b)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2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3]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의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닛폰뉴카자이사의 품번 「LS3410」.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것.)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3의 경화물층용 잉크 c(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c)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c(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c)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3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4]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의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BASF사의 품번 「Tinuvin770DF」)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4의 경화물층용 잉크 d(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d)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d(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d)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4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5]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에 대하여, 인계 산화방지제(상기 식 1-1-1의 인계 산화방지제)를 1 질량부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5의 경화물층용 잉크 e(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e)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e(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e)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5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6]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의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닛폰뉴카자이사의 품번 「LS3410」.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것.)로 변경하고, 첨가량을 2 질량부에서 5 질량부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6의 경화물층용 잉크 f(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f. 실시예 3의 경화물층용 잉크 c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첨가량을 증량한 것.)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f(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f)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6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7]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를, 「스미카엔바일로멘탈사이엔스사 제조의 품번 「네오신톨 AV-18F」,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 평균 입자경: 3.0 ㎛)」로 변경하고, 첨가량을 3 질량부에서 0.5 질량부로 변경하고, 또한,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닛폰뉴카자이사의 품번 「LS3410」.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것.)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7의 경화물층용 잉크 g(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g)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g(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g)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7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실시예 8]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제를, 「스미카엔바일로멘탈사이엔스사 제조의 품번 「네오신톨 AV-18F」,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 평균 입자경: 3.0 ㎛)」로 변경하고, 첨가량을 3 질량부에서 0.5 질량부로 변경하고, 또한,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닛폰뉴카자이사의 품번 「LS3410」.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중합 가능한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갖는 것.)로 변경하고, 첨가량을 2 질량부에서 5 질량부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 8의 경화물층용 잉크 h(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h. 실시예 7의 경화물층용 잉크 g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의 첨가량을 증량한 것.)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룰 경화물층용 잉크 h(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h)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실시예 8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비교예 1]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로부터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제외하여 이루어지는, 비교예 1의 경화물층용 잉크 i(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i)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i(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i)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1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비교예 2]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의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O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BASF사의 품번 「Tinuvin123」)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비교예 2의 경화물층용 잉크 j(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j)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j(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j)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2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비교예 3]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의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NO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BASF사의 품번 「Tinuvin152」)로 변경하여 이루어지는, 비교예 3의 경화물층용 잉크 k(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k)를 조제했다.
이어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를 경화물층용 잉크 k(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k)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비교예 3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을 얻었다.
- 항바이러스성 물품의 변색 평가 -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에 관해서 제조 직후의 L*a*b* 값을 측정했다. 측정 분위기는 온도 23℃±5℃, 습도 40∼65% RH로 했다. 측정 장치는 분광측색계(「Spectrolino」(형번), GretagMacbeth사 제조)를 이용했다.
이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에 대하여, 메탈할라이드 램프(MWOM)에 의한 촉진 내후 시험(하기 조사 조건으로 20시간 자외선을 조사한 후, 하기 결로 조건으로 4시간 결로를 행하는 공정을 1 사이클로 하여, 이 사이클을 반복해서 행하는 시험)을 2 사이클(48시간) 실시했다. 그리고, 촉진 내후 시험 후의 L*a*b* 값을 측정했다.
그리고, 제조 직후의 측정치 및 촉진 내후 시험 후의 측정치로부터 색차(ΔE*ab)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색차(ΔE*ab)는, 제조 직후의 측정치를 L*1, a*1 및 b*1로 하고, 촉진 내후 시험 후의 측정치를 L*2, a*2 및 b*2로 했을 때에, 하기 수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ΔE*ab=〔(L*2-L*1)2+(a*2-a*1)2+(b*2-a*2)21/2
<시험 장치>
다이플라·윈테스사 제조의 상품명 「다이플라·메탈웨더」
<조사 조건>
조도: 65 mW/cm2, 블랙 패널 온도: 63℃, 조내 습도: 50% RH, 시간: 20시간
<결로 조건>
조도: 0 mW/cm2, 조내 습도: 98% RH, 시간: 4시간
- 항바이러스 활성치 -
명세서 본문의 「항바이러스 활성치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에 관해서, 항바이러스 활성치를 측정했다. 항바이러스 활성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의 2종류를 측정했다.
Figure pct00006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표 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실시예의 항바이러스성 물품은 항바이러스성이 양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은 항바이러스 활성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2.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의 준비 또는 조제, 그리고 평가
-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의 준비 또는 조제 -
참고예 1∼4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 e, i, j를 준비했다.
또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로부터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제외하고, 대신에 인계 산화방지제(상기 식 1-1-1의 인계 산화방지제)를 1 질량부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참고예 5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l을 조제했다.
또한, 경화물층용 잉크 a(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a)로부터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제외하고, 대신에 인계 산화방지제(상기 식 1-2-1의 인계 산화방지제)를 1 질량부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참고예 6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l을 조제했다.
-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의 변색 평가 -
외광을 막은 상태의 방에서, 참고예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을 유리제 병(아즈원사 제조, 품번: 라보란스크류관병 50 ml)에 30 g 넣고, 덮개를 닫아, 평가용 샘플을 제작했다. 이 단계에서, 샘플 안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의 색은, 모두 항바이러스제 미첨가 조성물(참고예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항바이러스제를 제외한 조성물)의 색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고, 백색이었다.
이어서, 샘플을 책상 위에 놓고, 형광등 조명 하의 실내에 24시간 방치한 후, 샘플 안의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의 색을 눈으로 확인함으로 평가했다. 책상 위의 형광등 조명에 의한 밝기는 500∼1000 룩스의 범위로 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2의 결과로부터,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이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상태에서의 빛으로 인한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조성물 e, l 및 m이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 결과는,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 더하여, 추가로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은, 암소(暗所)에서의 보관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취급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표 1의 실시예 1∼8의 결과로부터,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이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빛의 조사를 다량으로 받기 전에 상기 조성물로 경화물층을 형성하면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즉, 인계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100: 항바이러스성 물품
10: 경화물층
11: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
12: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
20: 기재.

Claims (14)

  1. 경화물층을 갖는 물품으로서,
    상기 경화물층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항바이러스제를 0.1∼20.0 질량부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자경이 0.1∼10.0 ㎛인, 항바이러스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평균 입자경을 D, 상기 경화물층의 두께를 T로 정의했을 때에, D/T가 1.0 이하인, 항바이러스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경화물층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바이러스제 100 질량부에 대하여, 상기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20∼1000 질량부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이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인, 항바이러스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은,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골격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수소 원자가 알킬기로 치환된 것이고,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가 1∼12인, 항바이러스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층이 추가로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인산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항바이러스성 물품.
    Figure pct00008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하기 일반식 (1-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항바이러스성 물품.
    Figure pct00009

    [식 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2∼15의 직쇄 알킬기를 나타낸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물층이 추가로 자외선흡수제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재 상에 상기 경화물층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성 물품.
  14. 경화성 수지 조성물과, 담체에 은 이온을 담지 혹은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바이러스제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광안정제로서 NH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 및 NR형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KR1020237006293A 2020-07-30 2021-07-28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KR20230044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9746 2020-07-30
JPJP-P-2020-129746 2020-07-30
JP2021113040A JP7226480B2 (ja) 2020-07-30 2021-07-07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
JPJP-P-2021-113040 2021-07-07
PCT/JP2021/027970 WO2022025137A1 (ja) 2020-07-30 2021-07-28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254A true KR20230044254A (ko) 2023-04-03

Family

ID=7860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6293A KR20230044254A (ko) 2020-07-30 2021-07-28 항바이러스성 물품 및 항바이러스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92745A1 (ko)
EP (1) EP4190558A1 (ko)
JP (3) JP7226480B2 (ko)
KR (1) KR20230044254A (ko)
CN (1) CN116018267A (ko)
TW (1) TW202212499A (ko)
WO (1) WO2022025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11458B2 (ja) * 2020-07-30 2023-0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物品の製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0048B1 (ko) 1969-10-27 1973-11-28
JPS551201B2 (ko) 1974-11-25 1980-01-12
JPS6145758B2 (ko) 1979-04-19 1986-10-09 Nat House Ind
JPS6229429B2 (ko) 1976-12-15 1987-06-25 Lilly Co Eli
JPS63265958A (ja) 1987-04-22 1988-11-02 Shinagawa Nenryo Kk 抗菌性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5840B2 (ja) * 1992-06-30 2002-01-15 東亞合成株式会社 抗菌性被覆組成物
JP3106019B2 (ja) * 1992-10-23 2000-11-06 松下電工株式会社 電子部品用封止樹脂組成物
JPH0978789A (ja) * 1995-09-19 1997-03-25 Dainippon Printing Co Ltd 抗菌性手摺の製造方法
JP3799435B2 (ja) * 1998-04-13 2006-07-19 三共有機合成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抗菌性樹脂組成物
JP2000044408A (ja) * 1998-07-24 2000-02-15 Toyo Ink Mfg Co Ltd 抗菌剤および抗菌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抗菌性成形品
AU2003304507A1 (en) * 2003-10-16 2005-05-05 Toagosei Co., Ltd. Anti-coronavirus agent
JP4321603B2 (ja) * 2007-02-15 2009-08-26 凸版印刷株式会社 抗菌化粧シート
JP5601698B2 (ja) * 2009-10-20 2014-10-08 ロンシール工業株式会社 抗ウイルス性を有する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製シート
KR102326487B1 (ko) * 2013-09-24 2021-11-15 소마아루 가부시끼가이샤 코팅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경질 코팅 필름
JP6229429B2 (ja) * 2013-10-22 2017-11-15 凸版印刷株式会社 抗ウィルス性を有する内装用化粧シート
JP6242463B2 (ja) * 2015-11-17 2017-12-06 イビデン株式会社 化粧板
JP6864315B2 (ja) * 2016-01-12 2021-04-2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32913A (ja) * 2016-01-28 2017-08-03 帝人株式会社 抗菌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A3096814A1 (en) * 2017-05-12 2018-11-15 Inhibit Coatings Limited Composite resin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WO2019172041A1 (ja) * 2018-03-09 2019-09-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抗菌膜、抗菌組成物、抗菌膜付き基材、抗菌性を付与する方法
JP2019177360A (ja) * 2018-03-30 2019-10-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処理方法、有機材料、及び塗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0048B1 (ko) 1969-10-27 1973-11-28
JPS551201B2 (ko) 1974-11-25 1980-01-12
JPS6229429B2 (ko) 1976-12-15 1987-06-25 Lilly Co Eli
JPS6145758B2 (ko) 1979-04-19 1986-10-09 Nat House Ind
JPS63265958A (ja) 1987-04-22 1988-11-02 Shinagawa Nenryo Kk 抗菌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12499A (zh) 2022-04-01
JP2023062004A (ja) 2023-05-02
US20230292745A1 (en) 2023-09-21
JP7226480B2 (ja) 2023-02-21
EP4190558A1 (en) 2023-06-07
WO2022025137A1 (ja) 2022-02-03
JP2021181227A (ja) 2021-11-25
JP7226635B2 (ja) 2023-02-21
JP2022174258A (ja) 2022-11-22
CN116018267A (zh)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284B1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KR20120111728A (ko) 코팅제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시트
WO2016125907A1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備える化粧部材
JP5298582B2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JP2011225813A (ja) 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
JP7226635B2 (ja)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
KR20200059265A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장재
JP5035058B2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JP6977294B2 (ja)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JP7211458B2 (ja)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物品の製造方法
WO2022025136A1 (ja)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
WO2022209516A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22026338A (ja)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
WO2022059676A1 (ja)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
JP2022097957A (ja) 積層体
JP2007204966A (ja) 化粧シート及び該化粧シートを用いた化粧板
JP2022026339A (ja) 抗ウイルス性物品及び抗ウイルス性樹脂組成物
JP7415403B2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WO2022209492A1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WO2024070900A1 (ja) 化粧シート
US20220347983A1 (en)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material using same
JP2022086791A (ja) 抗ウイルス性粘着シート
JP2022086747A (ja) 抗ウイルス性粘着シート
JP2023138314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22158947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